KR20010075973A -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5973A
KR20010075973A KR1020000002946A KR20000002946A KR20010075973A KR 20010075973 A KR20010075973 A KR 20010075973A KR 1020000002946 A KR1020000002946 A KR 1020000002946A KR 20000002946 A KR20000002946 A KR 20000002946A KR 20010075973 A KR20010075973 A KR 20010075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lithium secondary
electrolyte
battery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6461B1 (ko
Inventor
김진성
이종욱
김광식
김영규
김제윤
김종섭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안복현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안복현,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20000002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461B1/ko
Priority to JP2001010957A priority patent/JP4153170B2/ja
Priority to US09/766,056 priority patent/US6544685B2/en
Publication of KR20010075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6/16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 H01M6/162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 H01M6/168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by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은 비수성 유기 용매에 하기 식 (Ⅰ)의 1-프로판포스폰산 환형 무수물(1-alkylphosphonic acid cyclic anhydride)을 첨가하여 제조된다:
(Ⅰ)
상기 식에서 R, R', 및 R"는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4인 알킬기이다.
상기 1-알킬포스폰산 환형 무수물은 비수성 유기 용매에 대하여 0.1∼10 중량로 첨가된다. 본 발명의 전해액은 충전 후 고온 저장시 유기 용매가 분해되어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상온 충전시 및 충전 후 고온 저장시 전지의 두께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A ELECTROLYT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충전 후 고온 저장시 전지의 두께 변화가 거의 없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 후 고온 저장시 비수성 카보네이트계 유기 용매의 분해를 억제할 수 있는 1-알킬포스폰산 환형 무수물이 첨가된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최근 첨단 전자산업의 발달로 전자장비의 소량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휴대용 전자 기기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진 전지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리튬 이차 전지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전이금속 산화물이 사용되고 음극 활물질로는 리튬 금속, 리튬 합금, 탄소(결정질 또는 비정질) 또는 탄소 복합체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활물질을 적당한 두께와 길이로 집전체에 도포하거나 또는 활물질 자체를 필름 형상으로 도포하여 절연체인 세퍼레이터와함께 감거나 적층하여 전극군을 만든 다음, 캔 또는 이와 유사한 용기에 넣은 후, 전해액을 주입하여 각형의 이차 전지를 제조하게 된다.
리튬 이차 전지의 평균 방전 전압은 3.6∼3.7 V 정도로 다른 알칼리 전지, Ni-MH 전지, Ni-Cd 전지 등에 비하여 높은 전력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높은 구동 전압을 내기 위해서는 충·방전 전압영역인 0∼4.2 V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한 전해액 조성물이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에틸렌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등의 비수성 카보네이트계 용매의 혼합물을 전해액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성을 가지는 전해액은 Ni-MH 전지 또는 Ni-Cd 전지에 사용되는 수계(aqueous) 전해액에 비하여 이온전도도가 현저히 낮아 고율 충·방전시 전지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리튬 이차 전지의 초기 충전시 양극인 리튬-전이금속 산화물로부터 나온 리튬 이온이 음극인 탄소 전극으로 이동하여 탄소에 인터컬레이션된다. 이때 리튬은 반응성이 강하므로 탄소 전극과 반응하여 Li2CO3, LiO, LiOH 등을 생성시켜 음극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한다. 이러한 피막을 고체 전해질(Solid Electrolyte Interface; SEI) 필름이라고 한다. 충전 초기에 형성된 SEI 필름은 충·방전중 리튬 이온과 탄소 음극 또는 다른 물질과의 반응을 막아준다. 또한 이온 터널(Ion Tunnel)의 역할을 수행하여 리튬 이온만을 통과시킨다. 이 이온 터널은 리튬 이온을 용매화(solvation)시켜 함께 이동하는 분자량이 큰 전해액의 유기 용매들이 탄소 음극에 함께 코인터컬레이션되어 탄소 음극의 구조를 붕괴시키는 것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한다. 일단 SEI 필름이 형성되고 나면, 리튬 이온은 다시 탄소 음극이나 다른 물질과 부반응을 하지 않게 되어 리튬 이온의 양이 가역적으로 유지된다. 즉, 음극의 탄소는 충전 초기에 전해액과 반응하여 음극 표면에 SEI 필름과 같은 패시베이션 층(passivation layer)을 형성하여 전해액이 더 이상 분해되지 않고 안정적인 충·방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J. Power Sources, 51(1994), 79-104). 이러한 이유로 리튬 이차 전지는 초기의 충전 반응 이후 더 이상의 비가역적인 패시베이션 층의 형성 반응을 나타내지 않고 안정적인 사이클 라이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박형의 각형 전지에서는 SEI 필름 형성 반응중 카보네이트계 유기 용매의 분해로 인하여 전지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J. Power Sources, 72(1998), 66-70). 이러한 가스로는 비수성 유기 용매와 음극 활물질의 종류에 따라 H2, CO, CO2, CH4, CH2, C2H6, C3H8, C3H6등이 될 수 있다. 전지 내부의 가스 발생으로 인하여 충전시 전지의 두께가 팽창되고, 충전후 고온 저장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된 전기화학적 에너지와 열에너지에 의하여 패시베이션 층이 서서히 붕괴되어 노출된 음극 표면과 주위의 전해액이 반응하는 부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또한 계속적인 가스의 발생으로 인하여 전지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내압의 증가는 각형 전지와 리튬 폴리머 전지(PLI)가 특정 방향으로 부풀어오르는 등 전지의 특정면의 중심부가 변형되는 현상을 유발한다. 이로 인하여 전지의 전극군내 극판간 밀착성에서 국부적인 차이점이 발생하여 전지의성능과 안전성이 저하되고 리튬 이차 전지의 세트 장착 자체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내압 상승시 내부의 전해액을 분출시키기 위한 벤트 또는 전류 차단기(current breaker)를 장착하여 비수성 전해액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안전성을 개선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내압 상승으로 인하여 오작동의 위험까지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압 상승을 억제하기 위하여 전해액에 첨가제를 주입하여 SEI 형성 반응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 예로, 일본 특허공개 제97-73918A호에는 1이하의 디페닐 피크릴히드라질(diphenyl picrylhydrazyl)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전지의 고온저장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일본 특허공개 제96-321312A호에는 1~20의 N-부틸 아민류의 화합물을 전해액에 사용함으로써 수명 성능 및 장기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 특허공개 제96-64238A호에는 3×10-4∼3×10-3몰의 칼슘염을 첨가하여 전지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일본 특허공개 제94-333596A호에는 아조 화합물을 첨가하여 전해액과 음극과의 반응을 억제시킴으로써 전지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지의 저장성과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소량의 유기물 또는 무기물을 첨가함으로써 SEI 필름과 같은 음극 표면에 적절한 피막 형성을 유도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첨가되는 화합물은 고유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따라초기 충방전시 음극인 카본과 상호작용하여 분해되거나 불안정한 피막을 형성하며, 그 결과로 전자내 이온 이동성이 저하되고, 전지내부에 기체를 발생시키며, 내압을 상승시킴으로써 오히려 전지의 저장성과 안정성, 수명 성능 및 용량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후 고온 저장시 카보네이트계 유기 용매의 분해로 인한 전지 내부의 가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1-알킬포스폰산 환형 무수물을 함유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전후 고온 저장시 전지의 두께 변화가 거의 없으며, 고온 용량 저장 특성도 개선된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수성 유기 용매에 1-알킬포스폰산 환형 무수물(1-alkylphosphonic acid cyclic anhydride)을 첨가한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해액은 비수성 카보네이트계 유기 용매에 하기 식 (Ⅰ)의 1-알킬포스폰산 환형 무수물을 첨가하여 제조된다.
(Ⅰ)
상기 식에서 R, R', 및 R"는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4인 알킬기이다.
1-알킬포스폰산 환형 무수물은 비수성 유기 용매에 대하여 0.1∼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상기 1-알킬포스폰산 환형 무수물의 사용량이 0.1 중량미만일 경우에는 전지 내부에서의 가스 발생 억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지의 초기 충·방전 효율과 수명 성능이 사용량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1-알킬포스폰산 환형 무수물은 충전 후 고온 저장시 유기 용매의 분해을 억제하여 전지의 두께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비수성 유기 용매로는 환형(cyclic) 또는 사슬형(chain) 카보네이트와 같은 유기 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메틸에틸 카보네이트(MEC) 등이 있다.
상기 전해액에는 리튬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LiPF6), 리튬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LiBF4), 리튬 퍼클로레이트(LiClO4), 리튬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CF3SO3Li), 및 리튬 헥사플루오로아세네이트(LiAsF6)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지지(supporting) 전해염으로 첨가된다. 이들은 전지 내에서 리튬 이온의 공급원으로 작용하여 기본적인 리튬 이차 전지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의 전해액은 통상 -20∼60℃의 온도 범위에서 안정하여 4V의 전압에서도 안정적인 특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전해액은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 모든 리튬 이차 전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 재료로는 LiCoO2, LiNiO2, LiMnO2, LiMn2O4, 또는 LiNi1-x-yCoxMyO2(0≤x≤1, 0≤y≤1, 0≤x+y≤1, M은 Al, Sr, Mg, La 등의 금속)와 같은 리튬-전이금속 산화물을 사용하고, 음극 재료로는 결정질 또는 비정질의 탄소, 탄소 복합체, 리튬 금속, 또는 리튬 합금을 사용한다. 상기 활물질을 적당한 두께와 길이로 박판의 집전체에 도포하거나 또는 활물질 자체를 필름 형상으로 도포하여 절연체인 세퍼레이터와 함께 감거나 적층하여 전극군을 만든 다음, 캔 또는 이와 유사한 용기에 넣은 후, 상기 1-알킬포스폰산 환형 무수물이 첨가된 비수성계 전해액을 주입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한다. 상기 세퍼레이터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4
에틸렌 카보네이트/디메틸 카보네이트(EC/DMC)가 1/1로 혼합된 비수성 유기 용매에 1M의 LiPF6를 첨가하고,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1-프로판포스폰산 환형 무수물을 첨가하여 실시예 1∼4의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2 3 4
첨가량(중량) 0.5 1.0 2.0 5.0
비교예 1
에틸렌 카보네이트/디메틸 카보네이트(EC/DMC)가 1/1으로 혼합된 비수성 유기 용매에 1M의 LiPF6를 첨가하고, 1-프로판포스폰산 환형 무수물을 첨가하지 않았다.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양극 활물질로서 LiCoO2, 바인더로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및 도전제로서 아세틸렌 블랙을 92:4:4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N-메틸-2-피롤리돈에 분산시켜 양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 슬러리를 두께 20㎛의 알루미늄 호일에 코팅한 후 건조, 압연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음극 활물질로서 결정성 인조흑연과 바인더로서 PVDF를 92:8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N-메틸-2-피롤리돈에 분산시켜 음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 슬러리를 두께 15㎛의 구리 호일에 코팅한 후 건조, 압연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전극들을 두께 25㎛의 폴리에틸렌 재질의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권취, 압축하여 30㎜×48㎜×6㎜인 각형 캔에 넣은 다음, 상기 실시예 1∼4와 비교예 1의 전해액을 주입하여 전지를 제조하였다.
충전후 고온 저장시 전지의 두께 변화
상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1의 전해액을 주입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하여 CC-CV 조건하에서 160mA의 전류, 4.2V의 충전 전압으로 충전한 후, 1 시간 방치후 160mA의 전류로 2.5V까지 방전하고 1시간 방치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한 후 600mA의 전류로 2시간 30분동안 4.2V 충전 전압으로 충전하였다. 이때의 두께에 대하여 이 전지를 85℃의 고온 챔버에서 4일간 방치할 경우 두께의 증가율을 24시간마다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비교예1
1 2 3 4
4시간 5.9 5.0 5.0 4.2 8.8
24시간 9.1 7.5 5.9 5.7 11.6
48시간 12.4 8.9 7.2 8.1 13.4
72시간 17.2 14.5 11.4 13.1 17.4
96시간 21.5 20.0 15.6 18.2 22.0
실시예 1∼4의 전해액이 주입된 리튬 이차 전지가 비교예 1에 비하여 두께팽창이 훨씬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충전후 85℃에서 4일간 방치한 후 방전실험을 하여 용량 유지율을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비교예1
1 2 3 4
방전용량 유지율 82.5 84.4 85.0 85.3 82.0
실시예 1∼4의 전해액이 주입된 리튬 이차 전지가 비교예 1에 비하여 고온에서 용량 유지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1-알킬포스폰산 환형 무수물이 첨가된 전해액은 충전 후 고온 저장시 카보네이트계 유기 용매의 분해를 억제하여 각형 전지나 리튬 폴리머 전지에 적용할 경우 두께 팽창 억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해액이 사용된 리튬 이차 전지는 고온에서의 용량 유지 특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3)

  1. 비수성 유기 용매에 하기 식 (Ⅰ)의 1-알킬포스폰산 환형 무수물(1-alkylphosphonic acid cyclic anhydride)을 첨가한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Ⅰ)
    상기 식에서 R, R', 및 R"는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4인 알킬기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알킬포스폰산 환형 무수물이 0.1∼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전해액;
    양극 활물질로서 리튬-전이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양극; 및
    음극 활물질로서 탄소, 탄소 복합체, 리튬금속, 또는 리튬합금을 포함하는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0000002946A 2000-01-21 2000-01-21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KR100326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946A KR100326461B1 (ko) 2000-01-21 2000-01-21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JP2001010957A JP4153170B2 (ja) 2000-01-21 2001-01-19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解液
US09/766,056 US6544685B2 (en) 2000-01-21 2001-01-19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946A KR100326461B1 (ko) 2000-01-21 2000-01-21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973A true KR20010075973A (ko) 2001-08-11
KR100326461B1 KR100326461B1 (ko) 2002-02-28

Family

ID=19640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946A KR100326461B1 (ko) 2000-01-21 2000-01-21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44685B2 (ko)
JP (1) JP4153170B2 (ko)
KR (1) KR1003264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334B1 (ko) * 2007-11-30 2009-10-22 욱성화학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464766B1 (ko) * 2021-07-09 2022-11-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전해액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0680B2 (ja) * 2000-04-13 2010-12-01 三菱化学株式会社 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及びそれに用いる非水系電解液
KR100497232B1 (ko) * 2003-07-01 2005-06-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설퍼 전지용 음극,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리튬 설퍼 전지
JP4396675B2 (ja) * 2006-06-16 2010-01-13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8066062A (ja) * 2006-09-06 2008-03-21 Sony Corp 非水電解質組成物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5954217B2 (ja) * 2013-02-20 2016-07-20 日立化成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
CN104332653B (zh) * 2014-09-01 2017-03-01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非水电解液及使用该电解液的锂离子电池
CN105789697B (zh) * 2014-12-22 2018-08-0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非水电解液及使用该非水电解液的锂离子电池
CN104934636A (zh) * 2015-06-17 2015-09-23 宁德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解液以及包含该电解液的锂离子电池
CN107017432B (zh) * 2016-01-28 2019-02-22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非水电解液及锂离子电池
CN107331893B (zh) * 2016-04-29 2020-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高温锂离子电池电解液及其制备方法和高温锂离子电池
KR102542965B1 (ko) 2018-02-16 2023-06-14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해액, 전기 화학 디바이스,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및 모듈
CN109301326B (zh) 2018-09-21 2020-11-27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解液及电化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255B2 (ja) 1993-05-25 2001-07-03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系電解質電池
JP3384625B2 (ja) 1994-08-25 2003-03-10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液電池
JPH08321312A (ja) 1995-05-24 1996-12-03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JPH0973918A (ja) 1995-09-05 1997-03-18 Fuji Elelctrochem Co Ltd 電池用非水電解液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334B1 (ko) * 2007-11-30 2009-10-22 욱성화학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464766B1 (ko) * 2021-07-09 2022-11-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전해액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6461B1 (ko) 2002-02-28
JP2001202992A (ja) 2001-07-27
US6544685B2 (en) 2003-04-08
JP4153170B2 (ja) 2008-09-17
US20010018151A1 (en) 200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9154B2 (en) Non-aqueous electrolyte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0612272B1 (ko) 비수성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428615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KR100508923B1 (ko) 비수성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20030068562A1 (en) Non-aqueous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US20100227219A1 (en) Non-aqueous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100898284B1 (ko) 리튬 이차 전지
US8252465B2 (en)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100326461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KR100984134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515331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490626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570676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412527B1 (ko) 비수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412524B1 (ko) 비수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370384B1 (ko) 리튬 전지용 비수전해액
KR20020086069A (ko) 비수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521868B1 (ko) 2차전지용 비수전해액
KR100370385B1 (ko) 리튬 전지용 비수전해액
KR20050060746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010055830A (ko) 전지용 비수전해액
KR20070094414A (ko) 벤질 페닐 에테르를 포함하는 리튬 2차전지용 비수성전해액
KR20040088311A (ko) 2차전지용 비수전해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