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3771A - 오리사료 - Google Patents

오리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3771A
KR20010073771A KR1020000002618A KR20000002618A KR20010073771A KR 20010073771 A KR20010073771 A KR 20010073771A KR 1020000002618 A KR1020000002618 A KR 1020000002618A KR 20000002618 A KR20000002618 A KR 20000002618A KR 20010073771 A KR20010073771 A KR 20010073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k
weight
sulfur
ducks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금수
Original Assignee
박금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금수 filed Critical 박금수
Priority to KR1020000002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3771A/ko
Publication of KR20010073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77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su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리사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리의 건강과 성장촉진에 효과가 있으며, 섭취했을 경우 오리의 체질을 개선시켜 비만과 동맥경화 및 고혈압 등의 성인병 예방과 허약체질을 개선하는데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는 오리를 사육할 수 있도록 제조된 오리사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옥수수 43∼29중량%와 호밀 16∼20중량%, 대두박 16∼20중량%, 소맥피 16∼20중량%, 수수 9∼11중량%의 비율로 제조된 사료에 있어서, 상기 사료 64∼46중량%에 유황 12∼18중량%와 황토 4∼6중량%, 산야초 16∼24중량%, 게껍질과 깻묵을 갈은 부영양분 4∼6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리사료{feed for a duck}
본 발명은 오리사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리의 건강과 성장촉진에 효과가 있으며, 섭취했을 경우 오리의 체질을 개선시켜 비만과 동맥경화 및 고혈압 등의 성인병 예방과 허약체질을 개선하는데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는 오리를 사육할 수 있도록 제조된 오리사료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오리는 중풍, 고혈압, 신경통, 허약체질, 해독작용 및 혈액순환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 각종 질병치료에 자주 사용되어 왔으며, 거의 모든 동물성 식품은 산성인데 반하여 오리는 알칼리성 불포화 지방성인 토코페롤 식품으로써 체내의 콜레스테롤 형성을 억제하며, 매일 섭취하여도 살이 찌지 않아 근래에는 건강식품으로 많이 애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질병치료나 건강식품으로 애용되는 오리의 뇌수 속에는 각종 독(毒)을 해독하는 성분이 다량 분비되고 있어 오리가 양잿물이나 청산가리 등의 독극물을 섭취하여도 체내에서 독극물을 해독할 수 있어 죽지 않는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독성물질에 강한 내성을 지닌 오리에게 유황을 먹이면 유황의독성을 제거하는 해독물질이 생성되어 원래의 오리가 갖고 있는 해독물질이 3∼4배로 늘어나 오리의 간이나 쓸개, 뇌수 및 뼈 등에 축적된다.
동의보감 탕액편에 의하면 유황을 먹인 청둥오리는 산삼보다 더 나은 보양제로서 그 성질은 덥고 맛은 담백하며 짠맛을 낸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유황을 먹은 오리는 해독능력을 발휘하여 인체에 유익한 성분만을 체내에 축적하고 유해한 지방성분이나 불순물 및 독성분은 모두 배설하므로 이러한 오리를 사람이 섭취할 경우 체내의 포화지방을 분해하여 배출시키며 각종 성인병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유황은 일반 가축이나 가금류에 소량만 섭취케 하여도 대부분이 폐사할 정도로 독성이 매우 강하므로, 독성물질에 강한 내성을 지닌 오리에게 급여할 경우에도, 사료에 기준치보다 유황을 과다 투여하게 되면 오리가 알을 못 낳거나 알을 낳더라도 알이 물러지는 문제점과, 그 보다 많은 양을 투여하게 되면 오리가 폐사(斃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료에 기준치보다 적은 양의 유황을 투여하게 되면 원래 목적하는 대로의 약용 효과가 있는 오리로 사육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 농장에서는 가축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가축에게 항생제를 주사하거나 사료에 투여하고 있으나, 이러한 항생제가 가축에게 축적되면 고기나 알을 복용하는 사람의 인체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 본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오리의 약용 효과가 최대로 발휘될 수 있도록 사료에 적당한 양의 유황을 투여하고, 각종 가축이나 가금류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항생제 대신 사료에 황토를 투입하여 각종 성인병 예방이나 청혈(淸血)작용 및 질병치료에 효능이 좋은 오리를 사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옥수수 43∼29중량%와 호밀 16∼20중량%, 대두박 16∼20중량%, 소맥피 16∼20중량%, 수수 9∼11중량%의 비율로 제조된 사료에 있어서, 상기 사료 64∼46중량%에 유황 12∼18중량%와 황토 4∼6중량%, 산야초 16∼24중량%, 게껍질과 깻묵을 갈은 부영양분 4∼6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오리사료의 조성물과 그 조성비는, 옥수수 43∼29중량%와 호밀 16∼20중량%, 대두박 16∼20중량%, 소맥피 16∼20중량%, 수수 9∼11중량%의 비율로 일반 사료를 제조한 후, 상기 사료 64∼46중량%에 유황 12∼18중량%와 황토 4∼6중량%, 산야초 16∼24중량%, 게껍질과 깻묵을 갈은 부영양분 4∼6중량%를 골고루 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유황은 오리고기나 오리알의 약용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배합되는 것으로, 전체 사료량에서 유황이 차지하는 조성비가 18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오리가 알을 잘 낳지 못하게 되거나 오리가 알을 낳더라도 오리알 껍질이 단단하지 못하고 무른 알을 낳게 되어 상품성이 떨어지거나 알 생산량이 저조하게 되어 사육농장의 수익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유황이 전체 사료에서 차지하는 조성비가 3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독성물질에 강한 내성을 지닌 오리라고 할지라도 폐사하게 되므로 유황의 과다한 투여는 극히 조심하여야 하며, 유황이 기준치보다 미달되도록 투여되면 좋은 약용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므로 기준치에 부합되도록 배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성비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오리사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오리가 하루에 섭취하는 일일 평균 사료 섭취량인 20g을 기준으로 분류한 표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옥수수 20중량%와 호밀 10중량%, 대두박 10중량%, 소맥피 10중량% 및 수수 5중량%에, 유황 15중량%와, 황토 5중량%, 산야초 20중량%, 부영양분 5중량%를 균일하게 배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리사료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수득한 오리사료를 오리에게 급여한 결과, 오리의 약용 효과가 높아지고, 병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지며 성장이 촉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오리사료 조 성 물 중량%
옥 수 수 20중량% 4g
호 밀 10중량% 2g
대 두 박 10중량% 2g
소 맥 피 10중량% 2g
수 수 5중량% 1g
유 황 15중량% 3g
황 토 5중량% 1g
산 야 초 20중량% 4g
부영양분 5중량% 1g
상술한 바와 같은 조성비로 배합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옥수수와 호밀 대두박, 소맥피 및 수수는 오리의 성장과 건강유지에 필요한 주영양분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오리에게 급여되는 일반 사료의 기능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유황은 오리 특유의 해독능력을 최대로 발휘하게 하여 해독물질이 오리의 체내에 최대한 축적되도록 하는 것으로 해독물질이 축적된 오리고기나 오리알을 섭취할 경우 오리고기나 오리알에 축적된 해독물질이 복용자의 체내에서 그 기능을 발휘하여 각종 성인병 예방과 치료에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산야초는 음양각과 쑥, 미나리, 뽕나무 잎(桑葉), 무잎 및 들풀 등을 대등한 비율로 골고루 섞은 것으로 오리고기나 오리알 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하고 유황고 함께 사료의 약용 효과를 높이며, 유황의 화기와 독성을 저감시키고 소화흡수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황토는 각종 가축이나 가금류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항생제 대신에 사료에 배합하는 것으로, 상기 황토에는 백혈구의 식균작용을 촉진하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칼슘 및 마그네슘 등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오리의 질병예방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게껍질과 깻묵을 갈아서 만든 부영양분은 칼슘 및 마그네슘과 함께 오리에게 결핍되기 쉬운 각종 미량원소가 포함되어 있어 오리의 질병예방과 함께 성장촉진에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리사료를 오리에게 급여할 경우, 오리고기와 오리알의 약용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복용자의 건강증진에 일조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오리와 오리알의 부가가치를 높여 오리 사육농장의 소득을 높일 수 있으며, 오리고기와 오리알 특유의 비린내가 제거되어 복용하는데 거부감을 느낄 수 없으며, 오리의 각종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켜 사육에 따른 폐사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옥수수 43∼29중량%와 호밀 16∼20중량%, 대두박 16∼20중량%, 소맥피 16∼20중량%, 수수 9∼11중량%의 비율로 제조된 사료에 있어서,
    상기 사료 64∼46중량%에 유황 12∼18중량%와 황토 4∼6중량%, 산야초 16∼24중량%, 게껍질과 깻묵을 갈은 부영양분 4∼6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사료.
KR1020000002618A 2000-01-20 2000-01-20 오리사료 KR20010073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618A KR20010073771A (ko) 2000-01-20 2000-01-20 오리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618A KR20010073771A (ko) 2000-01-20 2000-01-20 오리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771A true KR20010073771A (ko) 2001-08-03

Family

ID=1963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618A KR20010073771A (ko) 2000-01-20 2000-01-20 오리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3771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903B1 (ko) * 2000-02-19 2002-05-15 허병구 지장수(地漿水)를 이용한 유황오리 사육방법
KR100507539B1 (ko) * 2002-10-31 2005-08-09 김거리 모자반과 대게껍질을 이용한 오리사육용 사료와 그를이용하여 생산된 오리육
KR20070023315A (ko) * 2005-08-24 2007-02-28 이강준 유황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1444270B (zh) * 2007-12-18 2010-05-12 山东六和集团有限公司 一种全小麦型肉鸭饲料
CN102919195A (zh) * 2012-10-16 2013-02-13 石金雷 一种番鸭去腥增鲜的饲养方法
CN103549209A (zh) * 2013-11-11 2014-02-05 山东新希望六和集团有限公司 一种两阶段肉鸭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082605A (zh) * 2014-06-12 2014-10-08 安徽天隆饲料有限公司 一种育雏肉小鸭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256195A (zh) * 2014-10-14 2015-01-07 哈尔滨金玉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鸭用中草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5124258A (zh) * 2015-09-02 2015-12-09 胡满云 一种鸭饲料配方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903B1 (ko) * 2000-02-19 2002-05-15 허병구 지장수(地漿水)를 이용한 유황오리 사육방법
KR100507539B1 (ko) * 2002-10-31 2005-08-09 김거리 모자반과 대게껍질을 이용한 오리사육용 사료와 그를이용하여 생산된 오리육
KR20070023315A (ko) * 2005-08-24 2007-02-28 이강준 유황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1444270B (zh) * 2007-12-18 2010-05-12 山东六和集团有限公司 一种全小麦型肉鸭饲料
CN102919195A (zh) * 2012-10-16 2013-02-13 石金雷 一种番鸭去腥增鲜的饲养方法
CN102919195B (zh) * 2012-10-16 2013-09-25 石金雷 一种番鸭去腥增鲜的饲养方法
CN103549209A (zh) * 2013-11-11 2014-02-05 山东新希望六和集团有限公司 一种两阶段肉鸭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082605A (zh) * 2014-06-12 2014-10-08 安徽天隆饲料有限公司 一种育雏肉小鸭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256195A (zh) * 2014-10-14 2015-01-07 哈尔滨金玉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鸭用中草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5124258A (zh) * 2015-09-02 2015-12-09 胡满云 一种鸭饲料配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0615A (ko) 애완동물용 보조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725926B1 (ko) 마늘을 함유하는 닭 사료 조성물
KR20170131999A (ko) 도토리를 포함하는 돼지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돼지의 사육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돈육
CN107772106A (zh) 一种猪用预混合饲料及其生产方法
KR20010073771A (ko) 오리사료
KR100346394B1 (ko) 마늘 및/또는 한약재를 섭취시켜 사육된 오리고기 및 그사육방법
EP1049384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eicht verdaulichen proteinkonzentrats, proteinreiches nahrungsmittel und dessen verwendung
CN103689226A (zh) 桑叶粉饲料
Oyeagu et al. The effect of feeding toasted Bambara nut (Vignasubterranea (L) verdc) Offal and supplementary Enzyme on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KR101053496B1 (ko) 애완견 및 고양이용 배합사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93564A (ko)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873778B1 (ko) 가축사료첨가제
KR100585970B1 (ko) 솔잎과 마늘에 의한 오리 사육방법 및 그 오리고기
KR20040102963A (ko) 가자를 함유한 동물용 사료 조성물
KR20040104075A (ko) 배합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283686B1 (ko) 독성이 제거된 유황을 함유하는 사료조성물의 제조방법
KR19980082031A (ko) 유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KR102609860B1 (ko) Gi 수치를 낮춰 소화흡수를 도와주는 반려견 껌 영양제
CN108371689A (zh) 一种含有大蒜素的动物药剂
KR102582313B1 (ko)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RU2787022C1 (ru) Способ применения кормовой добавки при выращивании цыплят-бройлеров
KR20040054949A (ko) 오리 사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오리의 사육방법
KR20190083045A (ko) 동애등에과 유충을 포함하는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배합사료
KR101303925B1 (ko) 숯을 이용한 가축의 설사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6071344A (zh) 一种添加硅藻土和中药成分的鸡饲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