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564A -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564A
KR20180093564A KR1020170019832A KR20170019832A KR20180093564A KR 20180093564 A KR20180093564 A KR 20180093564A KR 1020170019832 A KR1020170019832 A KR 1020170019832A KR 20170019832 A KR20170019832 A KR 20170019832A KR 20180093564 A KR20180093564 A KR 20180093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eight
vitamin
composition
st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구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구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구펍
Priority to KR1020170019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3564A/ko
Publication of KR20180093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5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전분 분말은 65 내지 75중량%, 상기 포도당분말은 20 내지 25 중량%, 상기 한방복합물 분말은 2 내지 4 중량%, 상기 천연향미제는 2 내지 4 중량%, 상기 개다래 분말 0.3 내지 3 중량%, 상기 비타민 혼합물은 0.8 내지 1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 질환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COMPOSITION OF THE FUNCTIONAL FE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건강 개선을 위한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가족의 개념이 다양화되면서 반려동물의 개념을 넘어 반려 동물로서 또 가족의 일원으로 질병 없이 오래도록 생활하기를 원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개의 평균 수명은 견종과 환경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10년에서 15년 정도이며 이러한 노환에 의한 사망이나 자연사의 경우에도 견주에게 심리적인 상실감이 매우 크며 합병증에 의한 질병을 동반하는 경우 정서적 경제적 손실 비용 또한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포유동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노령에 동반하는 질병으로는 관절장애와 혈관계 이상, 각종 암 발생 등이 대표적인 질환이며 복합적인 병증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견주는 치료와 치료비용, 안락사 처리, 유기 등의 처리에 따른 심리적, 경제적 갈등이 큰 것이 주지된 사실이다. 개에서 발생하는 관절염의 경우 일반적으로 포유류와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류머티즘성 관절염, 골 관절염, 과도한 운동에 의한 관절염, 관절 주위염, 변형성 관절증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노령견에 경우 골관절염, 관절 주위염이 주요 질병으로 많이 발생한다.
반려동물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관절 관련 질환이 특히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관절 관련 질환이 생기거나 관절이 약해지면 반려동물의 움직임이 둔화되고 이에 따라 소화 불량, 비만 등 2차 3차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커진다.
또한,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도 반려동물로 변화해감에 따라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 사이에서 반려동물의 건강을 위한 기능성 사료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한편, 고압 스팀이나 압출기(extruder)로 가공한 사료는 건조되면 너무 단단해져서 일부 동물들(어린동물, 노령의 동물, 출산 전후의 동물)의 이빨이 상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또한, 일반 사료의 경우 제조 공정에 고온 열처리 과정을 포함하고 있어 영양 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따라서, 고온 열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사료만 급여할 경우 영양 불균형으로 인해 질병을 야기할 수 있다.
매년 8만 마리 이상의 반려동물이 유기되고 있다. 동물 유기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그 중 건강상의 이유 또는 치료 비용의 부담으로 인해 버려지는 반려동물이 48% 이상인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따라서, 평소 반려동물의 건강관리를 통해 동물 유기를 사전에 예방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6-0061494호 (2016.06.0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반려동물의 질환의 예방 및 증상의 완화시킬 수 있는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노령 반려동물, 병중 또는 환후의 반려동물, 산후의 반려동물, 신생 반려 동물의 섭취가 용이하면서 영양을 공급하여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사료 조성물은 전분 분말, 포도당 분말, 개다래 분말, 한방복합물, 천연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다래 분말은 생 개다래 충영을 끓는 물에서 2분 내지 5분 끓인 후 건조하여 분쇄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다래 분말은 50㎛ 내지 100㎛의 입도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전분 분말은 65 내지 75중량%, 상기 포도당분말은 20 내지 25 중량%, 상기 한방복합물 분말은 2 내지 4 중량%, 상기 천연향미제는 2 내지 4 중량%, 상기 개다래 분말 0.3 내지 3 중량%, 상기 비타민 혼합물은 0.8 내지 1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홍삼 추출물 분말, 글루코사민 분말, 콘드로이친 분말, 콜라겐 분말, 비오틴 분말 중 선택된 어느 이상의 물질을 1 중량%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을 구성하는 분말의 입자 크기 30㎛ 내지 100㎛ 범위 이내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 동물의 노화에 따른 관절 통증을 저감하고 관절 질환을 개선하며 관절 건강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병중의 반려 동물이나, 노령의 반려동물, 산후의 반려 동물들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반려 동물 주인들이 반려동물의 건강에서 가장 염려하는 부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사료 조성물의 성분을 나타낸 표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1 은 500명의 반려 동물 견주 또는 묘주를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반려 동물 견주 또는 묘주가 반려동물 건강 중 가장 고려하는 부분이, 기본 영양 섭취(26%)를 제외할 경우, 뼈 또는 관절 건강(37%), 피부 또는 모질 건강(22%), 장건강(11%)이었다.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반려동물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퇴행성 관절염 등의 관절염이 점점 증가하고, 관절에 이상이 생긴 반려동물은 운동량이 점차 감소하여 사료 섭취량도 감소하고, 소화력도 감소하여 체력이 더욱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노령 반려 동물의 경우 사료 섭취를 거부하는 경우도 있어 사료의 용이한 섭취와 반려 동물의 선호도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관절염을 포함하는 노화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는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사료 조성물은 전분 분말, 포도당분말, 천연향미제, 개다래(충영) 분말, 한방복합물 분말,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한다. 홍삼 추출물 분말, 글루코사민, 콘드로이친, 콜라겐, 비오틴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사료 조성물의 성분을 나타낸 표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능성 사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전분 분말 65 내지 75중량%, 상기 포도당분말 20 내지 25 중량%, 상기 한방복합물 분말 2 내지 4 중량%, 상기 천연향미제 2 내지 4 중량%, 상기 개다래 분말 0.3 내지 3 중량%, 상기 비타민 혼합물 0.8 내지 1 중량%, 한방복합물 분말 2 내지 4 중량%을 포함한다. 홍삼 추출물 분말, 글루코사민, 콘드로이친, 콜라겐, 비오틴이 1 중량% 범위로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전분 분말은 감자, 고구마, 또는 옥수수 전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전분 분말은 30 내지 60메시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분 분말은 기초 에너지원인 탄수화물로 사료의 주재료가 되는 성분이다. 전분 분말은 65 내지 75 중량 %, 바람직하게 72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도당은 상기 포도당은 20 내지 25 중량%가 함유되며, 바람직하게 20 중량% 함유한다. 포도당은 피로회복 및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데,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소화를 촉진하며 반려동물의 피로를 회복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포도당의 함량이 3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단맛이 지나치게 증가하고 반려 동물의 당 섭취량이 증가하여 건강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천연향미제는 2 내지 4 중량%가 함유되며, 바람직하게 2.5 중량% 함유된다. 천연향미제는 기능성 사료 조성물의 향과 기호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천연향미제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이면 향미가 거의 나지 않게 되고, 천연향미제의 함량이 4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더 이상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천연향미제는 반려동물용 사료나 영양제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바베큐, 베이건, 비프, 치킨 및 치즈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의 향과 맛을 나타내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는 0.2 내지 0.4 중량%가 함유되며, 바람직하게 0.25 중량% 함유된다. 분산제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이 전분에 고르게 분산되어 혼합도를 높이며, 체내 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산제의 함량이 0.2 중량%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분산제의 함량이 0.4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분산효과는 더이상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분산제는 지방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존제로 안식향산나트륨을 0.2 내지 0.3 중량%, 바람직하게 0.25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존제는 조성물에 세균이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고 신선도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보존제의 함량이 0.2 중량% 미만이면 상기 효과가 미미하며, 보존제의 함량이 0.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상기 효과는 더이상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비타민 혼합물은 0.8 내지 1 중량%가 함유되며,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 비타민과 같은 영양성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B1, 비타민B2 비타민 B3, 비타민 B4, 비타민 B6, 비타민 B9 및 비타민 B12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 비타민 A 0.04 중량%, 비타민 D 0.15 중량%, 비타민 E 0.3 중량%, 비타민 B1 0.02 중량%, 비타민B2 0.04 중량%, 비타민 B3 0.25 중량%, 비타민 B4 0.03 중량%, 비타민 B6 0.015 중량%, 비타민 B9 0.002 중량% 및 비타민 B12 0.0003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타민 A는 야맹증, 시력감퇴, 결막염, 각종 안구질환 예방, 면역기능 강화, 항진, 피부탄력을 향상시키며, 상기 비타민D는 구루병, 충치, 골절의 예방, 면역증강작용, 항암작용을 하고, 상기 비타민 E는 항산화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혈액 순환 개선, 혈전 생성 방지, 노화 지연 및 백내장 형성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상기 티아민 B1은 피로 및 스트레스 해소, 면역력 증진, 구내염 완화, 근육통, 신경통 및 관절염을 개선해주고, 상기 비타민 B2는 구각염, 설염, 각, 결막염, 지루성 피부염 치료, 간 해독, 시력약화 감소 및 눈의 피로를 감소시켜주며, 비타민 B3는 여러 가지 산화환원반응에 관여하고, 상기 비타민 B4는 근육량증가, 체지방 감소, 콜레스테롤 수치 낮춤, 스트레스해소, 피로회복 및 치매예방 효과를 나타내며, 상기 비타민 B6는 빈혈개선, 우울증개선, 운동능력발달, 항암 효과, 적혈구생성 및 기형아를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상기 비타민 B12는 만성피로 개선, 기억력 감퇴 억제, 조혈작용, 신경기능정상화, 성장촉진, 식욕증진, 체력증강, 집중력 및 기억력을 증강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개다래 분말은 개다래 열매, 충영, 잎, 가지를 건조하여 분말화하여 사용한다. 관절염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개다래 충영이다. 개다래 충영은 개다래 열매에 진딧물 등이 알을 낳아 개다래 열매에 덩어리 모양의 혹이 생긴 것이다. 곤충이나 선충 등의 동물이나 균류의 기생에 의해 열매에 자극이 생기고 이에 따라 독특한 성분이 발생하게 된다. 개다래 충영 분말은 개다래 충영을 끓는 물에 넣어 2 내지 5분 끓인 후 건조한 다음 갈아서 제조한다. 끓는 물에 삶아 충영 내의 벌레를 살충하고 독성 성분을 중화시킬 수 있다. 2분 이하에서는 충영 내의 진딧물 등의 유충이 살아남아 열매를 뚫고 나올 위험이 있고 충영 내에 포함된 독성이 남아있을 위험이 있다. 실험 결과 2분 이하로 끓일 경우 매운 맛이 남아 반려견이 섭취를 꺼리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2분 이상 끓인 충영 분말의 경우 반려견 섭취 실험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5분 이상 끓일 경우 수용성 성분이 손실될 위험이 있다. 개다래 분말 입도는 50㎛ 내지 100㎛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되는 다른 분말보다 크지 않게 분쇄하여 용이하게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다래 분말은 0.3 내지 3.0 중량%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려동물 무게 0.5kg 당 1회 0.3g 내지 0.5g 섭취하도록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방복합물 분말은 대추, 생강, 백출, 당귀, 작약, 육계, 감초, 천궁, 황기, 복령, 여정자, 숙지황, 진범, 보골지, 쇄양, 선모, 계혈등, 홍화자, 독활, 강활, 토사자, 사상자, 공사인, 계지 및 길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한방 재료를 중량 기준으로 약 1 내지 50배 분량의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5 내지 100에서 약 1 내지 100시간 동안 교반 추출, 열탕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 농축 또는 건조하여 제조한 건조물 또는 농축액에 분말 또는 첨가제를 넣어 분말화한 것을 포함한다. 한방복합물 분말은 2 내지 4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중량% 이상 함유할 경우 특유의 향미로 인하여 반려동물의 선호도를 저감할 우려가 있으므로 4 중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중량% 이하 함유할 경우, 한방 재료의 효능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2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홍삼 추출물 분말은 반려동물의 면역력 강화와 항산화 효과에 도움이 된다. 글루코사민은 연골 강화, 스트레스 해소, 피부재생효과, 혈액순환 촉진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콘드로이친은 연골 생성 증지, 활막염 감소, 관절염 예방, 고관절염 예방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콜라겐은 피부 탄력 유지, 혈관 건강, 자외선에 대한 저항력 증가, 관절 건강 증진, 탈모예방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비오틴은 모발 및 피부의 건강 유지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친을 개다래 분말과 함께 섭취할 경우 반려동물의 관절 건강을 유지하면서 통증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a) 제1항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S10), b) 상기 a) 단계에서 준비된 전분 분말 65 내지 75중량%, 포도당분말 20 내지 25 중량%, 상기 한방복합물 분말 2 내지 3 중량%, 상기 천연향미제 2 내지 4 중량%, 상기 개다래 분말 0.3 내지 3 중량%, 상기 비타민 혼합물은 0.8 내지 1 중량%를 혼합하는 1차 혼합 단계(S20), c) 상기 b) 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에 분산제, 보존제 분말을 혼합하는 2차 혼합 단계(S30), d) 상기 c) 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60 메시보다 작은 스크린으로 여과하는 단계(S40), e) 상기 d) 단계에서 크기 선별된 혼합물을 저온 자외선 살균하는 단계(S50), f) 상기 e) 단계에서 살균된 혼합물을 안정화하는 안정화 단계(S60), 및 h) 상기 g) 단계에서 안정화된 혼합물을 1회 분량으로 개별 포장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상기 준비단계(S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분말들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추출물을 분말화하거나 마쇄하여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 입자 크기를 60 메시 이하로 한정하여 반려 동물에게 공급 시 물에 혼합할 때 분산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개다래 분말 입자를 혼합되는 다른 분말보다 크지 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혼합단계(S20)는 S10 단계에서 준비된 전분 분말 65 내지 75중량%, 포도당분말 20 내지 25 중량%, 상기 한방복합물 분말 2 내지 3 중량%, 상기 천연향미제 2 내지 4 중량%, 상기 개다래 분말 0.3 내지 3 중량%, 상기 비타민 혼합물 0.8 내지 1 중량%를 혼합 교반기에 투입하고 200 내지 300rpm의 속도로 5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다.
상기 2차 혼합단계(S30)는 S20 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분산제, 보존제 분말을 혼합하고 200 내지 300rpm의 속도로 5 내지 10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다.
그 다음 여과 단계(S40)를 통해 설정 입자 이하의 입자로 선별하고, 불순물을 걸러내게 된다. 여과 단계(S40)는 60메시 이하의 공극을 가지는 스크린을 사용하여 여과한다.
상기 저온살균단계(S50)는 상기 여과단계(S40)를 통해 여과된 혼합물을 저온살균하는 단계로, 상기 여과단계(S40)를 통해 여과된 혼합물을 50 내지 60℃의 온도의 열과 자외선을 18분 동안 가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자외선의 조사는 통상의 자외선 살균기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의 저온살균단계(S50)를 통해 혼합물에 함유되어 있는 세균의 증식이 억제되어 보존기간이 향상된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단계(S60)는 저온 살균 단계(S50)를 거친 혼합물을 안정화하는 단계로, 혼합물을 상온에서 100 내지 150시간 동안 자연숙성시켜 안정화하는 단계다.
안정화된 혼합분말을 1회 분량으로 개별 포장하는 단계(S70)를 거쳐 개량 없이 용이하게 반려동물에게 급이할 수 있게 된다. 1회 분량을 질소 포장으로 개별 포장하므로 공기와 차단하여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사료 조성물의 반려동물에 대한 급이는 반려동물의 몸무게에 해당하는 1회 분량을 음용수와 혼합하여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사료 조성물은 분말은 영양 공급을 위해 일반 사료와 혼합하여 반려동물에게 급이할 수도 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된 기능성 사료 조성물은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반려동물의 영양불균형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다래 분말을 함유하여 관절 통증을 저감하면서 반려동물의 관절 건강을 개선하며, 한방복합물과 비타민 혼합물, 홍삼, 글루코사민, 콘드로이친, 콜라겐, 비오틴을 함유하여 반려동물의 뼈를 튼튼하게 하고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며, 원료를 저온살균하는 과정이 진행되어 세균의 증식이 억제되고, 소화율이 높아 장의 부담을 덜어주기 때문에 반려동물의 체취와 변의 냄새를 줄여주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물에 잘 분산되는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신생 동물이나 병중의 동물, 노령의 동물들이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된다.
개다래 분말을 포함하여, 노령묘의 사료에 대한 선호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전분 분말, 포도당 분말, 개다래 분말, 한방복합물, 천연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를 포함하고,
    상기 개다래 분말은 생 개다래 충영을 끓는 물에서 2분 내지 5분 끓인 후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전분 분말은 65 내지 75중량%, 상기 포도당분말은 20 내지 25 중량%, 상기 한방복합물 분말은 2 내지 4 중량%, 상기 천연향미제는 2 내지 4 중량%, 상기 개다래 분말 0.3 내지 3 중량%, 상기 비타민 혼합물은 0.8 내지 1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홍삼 추출물 분말, 글루코사민 분말, 콘드로이친 분말, 콜라겐 분말, 비오틴 분말 중 선택된 어느 이상의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기능성 사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추가된 물질의 질량 합은 1 중량%인 기능성 사료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구성하는 분말의 입자 크기 1㎛ 내지 100㎛인 기능성 사료 조성물.
KR1020170019832A 2017-02-14 2017-02-14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93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832A KR20180093564A (ko) 2017-02-14 2017-02-14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832A KR20180093564A (ko) 2017-02-14 2017-02-14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564A true KR20180093564A (ko) 2018-08-22

Family

ID=63453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832A KR20180093564A (ko) 2017-02-14 2017-02-14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35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968B1 (ko) * 2020-01-10 2020-09-04 윤현석 고양이 사료의 기호성 증진을 위한 개다래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254820B1 (ko) * 2021-01-15 2021-05-24 주식회사 펫21 한방약재를 포함하는 동물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2654B1 (ko) * 2021-08-31 2022-08-16 주식회사 캘러스 반려동물 관절질환 개선을 위한 사료첨가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494A (ko) 2014-11-21 2016-06-01 (주) 에이티바이오 면역력 향상용 사료 및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494A (ko) 2014-11-21 2016-06-01 (주) 에이티바이오 면역력 향상용 사료 및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968B1 (ko) * 2020-01-10 2020-09-04 윤현석 고양이 사료의 기호성 증진을 위한 개다래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254820B1 (ko) * 2021-01-15 2021-05-24 주식회사 펫21 한방약재를 포함하는 동물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2654B1 (ko) * 2021-08-31 2022-08-16 주식회사 캘러스 반려동물 관절질환 개선을 위한 사료첨가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34513A (zh) 一种原生态猪用饲料
CN101946864A (zh) 一种可以提高鸡肉和鸡蛋中硒含量的饲料及其制备方法
CN102987151A (zh) 一种土鸡饲料
KR20190028234A (ko)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4818177B2 (ja) 高齢者向け骨・筋肉増強促進組成物
KR20200050121A (ko) 반려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03443A (ko) 애완동물용 사료 첨가제
KR20180093564A (ko)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761377B1 (ko) 닭 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03330093A (zh) 宠物消胃胀食品
KR100904923B1 (ko) 양념 및 양념육의 제조방법
KR100346394B1 (ko) 마늘 및/또는 한약재를 섭취시켜 사육된 오리고기 및 그사육방법
CN106900641A (zh) 一种土鸡的养殖方法
KR101730794B1 (ko) 해천탕의 제조방법 및 그 해천탕
KR101775662B1 (ko)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807183B1 (ko) 간편 조리 식의 이유식 제조방법
CN110037139A (zh) 一种养生擂茶及其生产工艺
Makała Impact of Selected Feed Additives in Broiler Nutrition on Breeding and the Meat Quality Features
KR102082115B1 (ko) 굼벵이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Rusli et al. Percentage of carcass parts of broiler chicken given additional African leaf flour feed (Vernonia amygdalina)
KR100430851B1 (ko) 가금류의 음수와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수와 사료
KR101665532B1 (ko) 유기농 혼합물 함유된 애완동물 건강 증진용 맛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173562A (zh) 一种包括白芨的中药羊饲料及其制备方法
KR102418319B1 (ko) 애완동물용 스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RU2704855C1 (ru)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для ягня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