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2963A - 가자를 함유한 동물용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자를 함유한 동물용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2963A
KR20040102963A KR1020030034819A KR20030034819A KR20040102963A KR 20040102963 A KR20040102963 A KR 20040102963A KR 1020030034819 A KR1020030034819 A KR 1020030034819A KR 20030034819 A KR20030034819 A KR 20030034819A KR 20040102963 A KR20040102963 A KR 20040102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feed composition
antibiotics
present
live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학수
Original Assignee
신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학수 filed Critical 신학수
Priority to KR1020030034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2963A/ko
Priority to CNB2004100455060A priority patent/CN100362939C/zh
Publication of KR20040102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96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 당질, 비타민, 단백질, 지질, 광물질 중 임의의 성분을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전체 동물용 사료 조성물에 대하여 가자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생약 성분의 항생제를 사용하여 생체에 대한 거부반응이 적고 가축의 사료 섭취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인공적인 화학약품인 항생제를 사용할 경우 생균제, 감미제 등의 약품이 사료에 추가되는 문제를 없앨 수 있으며, 따라서 사료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축산물의 질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자를 함유한 동물용 사료 조성물{FEED COMPOSITION FOR DOMESTIC ANIMALS CONTAINING FRUCTUS CHEBULAE}
본 발명은 동물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약 성분을 항생물질로서 함유하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활이 윤택해지고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국민들의 식탁에 육류와 계란 등의 축산물이 더욱 빈번하게 오르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국민 식생활이 풍족해지는 측면이 있으나, 부수적으로 동물성 지방 섭취 과다에 따른 비만이나 축산품의 품질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축산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및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여러 가지 건강식품들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고, 축산물에 있어서도 사료에 여러가지 첨가물을 함유시켜 그 품질을 개선시키려는 시도가 있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 제165955호에서는 필수미량 광물질인 아연함유 유산균이 포함되어 있는 가축용 사료 첨가제를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77679호에서는 키틴, 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첨가제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99114호에서는 맥반석, 황토흙, 점토흙 등으로부터 27%의 농도를 갖는 미네랄을 추출하고, 이를 생버섯에 투여하고, 분쇄한 후, 일반 배합사료에 첨가, 혼합하여 제조된 닭 사료를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35412호에서는 기초사료에 게르마늄 흑운모를 첨가하여 얻어진 항생제 대체용 가축사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들은 동물용 사료 조성물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성장률, 면역력 등을 모두 만족시키지는 못하고 있으며, 특히 기존의 인공 화학약품인 항생제를 대체할 만큼의 항생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가축들은 대부분 비좁고 비위생적인 케이지안에 많은 수를 사육하여 사육 가축이 질병에 걸리는 일이 잦고 폐사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항생제를 투여할 수밖에 없지만, 사료에 인공적 화학약품인 항생제를 포함시킴으로써 가축 우리에 악취가 발생하고 특히 양계용 닭의 경우 계란에서 생선 비린내와 같은 악취가 발생한다. 또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커져 항생제 투여량을 계속 증가시켜야 하는 악순환이 발생하고, 항생제에 대한 가축들의 거부반응으로 생균제, 감미제 등의 약품을 추가 투입해야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료 섭취량이 줄어들어 가축의 증체율이 저하되는 문제 또한 생긴다.
이와 같이,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기존의 인공 화합물인 항생제를 대체할 정도로 항생 효능이 높으면서 동물의 생체에 적합한 생약 성분의 항생물질을 첨가한 사료가 요구되어져 왔으나 그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생약 성분의 항생물질을 사용하여 생체에 대한 거부반응이 적어 사료 섭취량을 늘릴 수 있고,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육류, 유제품, 계란 등의 축산품에 항생제 성분이 포함되는 것을 감소시켜 생산물의 품질을 개선하고 부가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 항생제에 비해 가축의 발병율 및 폐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일단 발병한 가축에 대한 치료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체 사료 조성물에 대하여 가자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물이란 사람을 제외한 모든 가축 및 가금류를 포함한다. 동물의 예는 비반추동물과 소, 양 및 말과 같은 반추동물이다. 비반추동물은 예를 들어, 돼지; 칠면조 및 닭과 같은 가금; 송아지; 및 어류와 같은 동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이 기호성이 우수하여 사료 섭취량 및 증체율을 늘릴 수 있다는 측면에서, 상기 동물은 비육돈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자(訶子)란 가리득 열매로서, '본초강목'에는 성분이 따뜻하고 맛이 쓰며 독이 없고 폐기의 급천과 곽란, 분돈신기, 사리, 장풍사혈, 붕중대하, 결기, 심복의 장만을 치료하고 소식과 개위를 하며 격기를 고치고 태를 편하게 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또한, 가자는 임상적으로 기관지근에 작용하여 해수, 천식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보장건비탕과 병용 투여할 경우 위액분비억제 및 제산 효과, 지사작용 등을 갖는 것으로 임상적으로 확인된 바 있다.
그러나, 가자는 상기 언급한 효과 이외에, 항생제로서의 효과가 있는지에 대하여는 보고된 바 없으며, 특히 사람을 제외한 가축이나 가금 등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는 전혀 알려진 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장기간의 반복된 임상 실험 및 연구를 통해, 가자가 사람과는 달리 가축 및 가금 등에 대하여는 뚜렷한 항생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에서 가자는 전체 사료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사용된다. 상기 범위 미만에서는 항생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사료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자는 건조 후 분쇄하여 첨가하거나 쪄서 말린 것을 분말화하여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고, 추출하여 첨가할 경우에는 상기 중량부에 해당하는 가자 약재로부터 약리 성분을 추출하여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서와 같이 가자를 항생제로 첨가하여 사용하게 되면, 생약 성분이므로 생체에 대한 거부감이 줄어들고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생겨 항생제 투여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생산된 육류,유제품, 계란 등에 항생제 성분이 포함되는 것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생산 육류의 품질이 개선되고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인공적인 화학약품인 항생제를 사용할 경우 가축의 기호성이 떨어지고 사료 섭취량이 줄어 생균제, 감미제 등의 약품이 추가적으로 사료에 추가돼야 하는데, 이는 사료의 생산비용을 더욱 증가시키고 생산 육류, 유제품, 계란의 품질을 떨어뜨리며 가축의 발육과 생식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바, 본 발명의 생약 성분의 항생제를 사용하게 되면 추가적인 인공 약품의 사용이 필요 없어 사료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가축의 사료에 대한 기호성이 좋아 사료 섭취량을 10 % 가량 증대시켜 성장속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다만, 항생제 및 기타 부대 약품의 추가는 비용 및 축산물의 품질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나, 이미 제조된 항생제가 포함된 사료에 본 발명의 가자를 상기 범위에서 추가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상기 가자 이외에도,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일반적인 사료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곡물 가루, 당질, 비타민, 아미노산, 단백질, 지질, 광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는 곡물 및 곡물 부산물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평지씨, 면실, 대두, 밀기울,미강,탈지강,맥강,옥수수겨,맥아근,대두피,감자전분,고구마전분,옥수수전분,커피박,잠사,잠분,해조분,타피오카,대두박,면실박,임자박,채종박,아마박,호마박,옥수수글루텐,밀글루텐,낙화생박,야자박,해바라기씨박,주정박,옥수수배아박,고추씨박,장유박,맥주박 중에서단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수용성 및 수불용성 모노사카라이드, 디사카라이드 및 폴리사카라이드와 같은 당 및 복합 탄수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당질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도당, 마노오스, 프룩토오스, 백당, 맥아당, 셀로비오스, 젖당, 트레할로오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오스, 에스크린, 살리신, 아미그달린, 만니트, 소르비트, 소르보스, 멘티토오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당밀, 자당뿐만 아니라 올리고당도 병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아미노산 성분에는 아르기닌, 히스티딘, 이소로이신, 로이신, 리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트립토판, 발린, 티로신 에틸 HCl,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나트륨, 글리신, 프롤린, 세린, 시스테인 에틸 HCl 및 이들의 동족체 및 이들의 염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임의로 첨가할 수 있는 비타민에는 티아민 HCl, 리보플라빈, 피리독신 HCl, 니아신, 니아신아미드, 이노시톨, 염화콜린, 판토텐산칼슘, 바이오틴, 폴산, 아스코르브산, 및 비타민 A, B, K, D, E 등이 있다. 이 중, 특히 비타민 A, 비타민 B군 및 비타민 E는 항산화 물질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지방산은, 예를 들어 대두유, 평지씨유, 옥수수유, 홍화유, 해바라기유, 라이스유, 비프스테이크 식물유, 달맞이꽃유, 유리지치유, 아마인유 등의 식물유, 및 가다랭이, 고등어, 정어리 등의 어유 및 각종 미생물 유래의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의 유지를 가수 분해 처리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얻어지는 지방산의 금속염으로서 지방산의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는 사장석, 벤토나이트, 맥반석 등 공지의 바이오세라믹 물질이 소량 첨가되어 항균 기능 등을 배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약제 성분을 첨가할 수 있고, 특히 항생제, 생균제, 감미제, 제산제, 지사제 등의 인공적 화학약품을 포함시켜도 본 발명의 범주안에 들지만, 전술한 이유에서와 같이 항생제, 생균제, 감미제와 같은 약품은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비용 및 육류 품질의 측면에서 권할 만하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칼슘원으로서 패각류를, 철, 망간, 구리, 아연, 몰립덴의 미네랄원으로서 게 껍질, 소라 껍질 등을 소량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옥수수 0-80 중량%, 당밀 0-80 중량%, 소맥 0-70 중량%, 대맥 0-70 중량%, 귀리 0-30 중량%, 대두가루 0-40 중량%, 어분 생성물 0-10 중량%, 유장 0-20 중량% 및 가자 0.1-1.0 중량%로 이루어진 동물용 사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에서 나열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 성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배합비율 및 배합방법으로 포함될 수 있는 바, 기타 성분들이 혼합된 사료에 가자 약재를 상기 함량으로 첨가시킬 수도 있고, 또는 처음 제조시부터 한꺼번에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내용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옥수수 49 kg, 소맥 25 kg, 대두박 19.4 kg, 당밀 2 kg, 석회석 1.6 kg, 식염 0.3 kg, 메치오닌 0.6 kg, 우지 0.9 kg, 라이신 0.2 kg, 조단백질 15.5 kg, ME 3200, 라이신 1.0 kg이 배합된 사료에 건조된 가자 열매의 분쇄물을 0.8 kg 첨가하여 혼합하여 사료 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옥수수 47.2 kg, 소맥 25 kg, 대두박 12.8 kg, 소맥피 3 kg, 당밀 3 kg, 석회석 2 kg, 식염 0.3 kg, 메치오닌 0.5 kg, 우지 2.4 kg, 채종박 3 kg, 조단백질 14 kg, ME 3200, 라이신 0.75 kg이 배합된 사료에 건조된 가자 열매의 분쇄물을 0.7 kg 첨가 혼합하여 사료 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옥수수 전분 45.80 kg, 대두가루 44.40 kg, 수지 3.20 kg, 콩기름 1.00 kg, DL-메티오닌 0.18 kg, MCP 0.76 kg, 염 0.05 kg, 비타민 3.55 kg 및 미네랄 1.00 kg이 배합된 사료에 건조된 가자 열매의 분쇄물을 0.2 kg 첨가 혼합하여 사료 3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옥수수 전분 64.5 kg, 44 SBM 28.3 kg, 어분 생성물 7 kg, 지방 1.0 kg, 콩깍지 30 kg, 락트산 베이스 1.2 kg, 소금 0.20 kg, 라이신 0.15 kg 및 메티오닌 0.07 kg이 배합된 사료에 건조된 가자 열매의 분쇄물 0.55 kg 첨가 혼합하여 사료 4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옥수수 45.4 kg??대두가루 39.1 kg??어분 7.0 kg??식물성 지방 2.1 kg??석회석칼슘 1.9 kg??포스페이트염 3.0 kg??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 0.2 kg??리신 1.0 kg??칼슘 0.13 kg, 인 0.82 kg, 리신 0.61 kg, 메티오닌 0.21 kg이 배합된 사료에 건조된 가자 열매의 분쇄물을 0.2 kg 첨가 혼합하여 사료 5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옥수수 40.70 kg, 건조유청 25.00 kg, 대두박 15.21 kg, 대두단백 10.00 kg, 분무건조혈분 2.00 kg, 어분 2.50 kg, 동물성 지방 2.50 kg, 인산칼슘 1.30 kg, 석회석 0.15 kg, 광물질 혼합 0.22 kg, 소금 0.20 kg, 라이신 0.15 kg 및 메티오닌 0.07 kg이 배합된 사료에 건조된 가자 열매의 분쇄물을 0.3 kg 첨가 혼합하여 사료 6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6
실시예 1 ~ 6에서 가자 분쇄물 대신 일반 항생제 0.2 kg(단, 비교예 4는 0.5 kg)을 첨가한 것이 각각 비교사료 1 ~ 6에 해당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사료를 소, 돼지, 닭의 처리군에, 비교예에서 제조된 비교사료를 소, 돼지, 닭의 대조군에게 3개월 동안 공급하고, 후반 2개월 동안에 발생한 발병 개체 및 치사 개체의 수를 조사하여 하기의 표에 나타내었다. 대표적인 발병 원인은 설사병, 전염성 위장염, 오제스키병, 생식기호흡기증후군, 위축성비염, 폐렴, 대장균증, 톡소프라즈마병, 삼출성표피염, 살모넬라증 등이었다.
특히 사료 3이 질병 예방용 사료 조성물이었던데 비해 사료 4는 질병 치료 조성물에 해당하는데, 각종 질병에 감염된 돼지들 23 마리 중 처리군 12 마리에 사료 4를, 대조군 11 마리에 비교사료 4를 공급하고 보름 후 질병의 치료 경과를 조사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발병 개체수 (%) 치사 개체수 (%)
사료1(소 35) 2 (5.7) 0 (0.0)
비교사료 1(소 32) 2 (6.3) 1 (3.1)
사료 2(소 27) 1 (3.7) 0 (0.0)
비교사료 2(소 24) 2 (8.3) 1 (4.2)
사료 3(돼지 1520) 42 (2.8) 14 (0.9)
비교사료 3(돼지 734) 36 (4.9) 24 (3.3)
사료 5(닭 45) 3 (6.7) 1 (2.2)
비교사료 5(닭 48) 4 (8.3) 2 (4.2)
사료 6(닭 34) 3 (8.8) 1 (2.9)
비교사료 6(닭 35) 3 (8.6) 1 (2.9)
폐사 개체수 치료율
처리군(12 마리) 2 83.3 %
대조군(11 마리) 5 54.5 %
소, 돼지, 닭에 대한 실험결과,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공급한 가축의 경우에는 질병 발병률과 폐사율이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특히 돼지에 대하여 항생 및 질병 치료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란닭의 경우 계란에서의 비린내가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축사내의 악취 또한 개선되었다. 발병한 돼지에게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 중 치료용 사료를 공급한 결과 일반 항생제에 비해 치료율이 유의적으로 상승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생약 성분의 항생물질 사용으로 인해 가축의 사료에 대한 기호성이 우수하였는데, 성장 과정 중의 사료 공급량은 계속 증가하므로 사료 섭취량의 상승폭이 얼마인지는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려우나,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사료 조성물은 비교사료에 비해 대략 10 % 정도 가축들이 더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결과, 가축의 증체율 및 성장 속도가 증가하였고, 비육돈의 경우 160 일후에 완전히 성장하여 일반적인 비육돈의 생산일수인 170 일보다 열흘 정도 사육기간이 감소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생약 성분의 항생제를 사용하여 생체에 대한 거부반응이 적고 사료 섭취량이 증대되어 증체율 및 성장속도가 향상되고,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생산물인 육류, 유제품, 계란 등에 항생제 성분이 포함되는 것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생산 육류의 품질 개선 및 부가가치의 상승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생약 성분의 항생제를 사용하므로, 인공적인 화학약품인 항생제를 사용할 경우 생균제, 감미제 등의 약품이 사료에 추가되는 문제를 없앨 수 있고, 따라서 사료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축산물의 질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기존의 일반 항생제에 비해 가축의 발병율 및 폐사율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특히 일단 발병한 가축에 대한 치료 용도로도 명확한 효과를 보인다.

Claims (3)

  1. 곡물, 당질, 비타민, 단백질, 지질, 광물질 중 임의의 성분을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전체 동물용 사료 조성물에 대하여 가자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자 이외의 항생제, 생균제 및 감미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이 비육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
KR1020030034819A 2003-05-30 2003-05-30 가자를 함유한 동물용 사료 조성물 KR20040102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819A KR20040102963A (ko) 2003-05-30 2003-05-30 가자를 함유한 동물용 사료 조성물
CNB2004100455060A CN100362939C (zh) 2003-05-30 2004-05-28 含有诃子的动物用饲料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819A KR20040102963A (ko) 2003-05-30 2003-05-30 가자를 함유한 동물용 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963A true KR20040102963A (ko) 2004-12-08

Family

ID=34510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819A KR20040102963A (ko) 2003-05-30 2003-05-30 가자를 함유한 동물용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0102963A (ko)
CN (1) CN100362939C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590B1 (ko) * 2011-02-18 2013-12-06 주식회사 제이 엔 에스 텍 어류의 안정화, 질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천연약제가 함유된 서방형 안전 시트및 그 제작방법
KR101397539B1 (ko) * 2012-07-30 2014-05-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열 스트레스 저항성을 갖는 육계용 배합사료 조성물
WO2015020347A1 (ko) * 2013-08-07 2015-02-12 일성건설 주식회사 팜 가공 부산물을 이용한 섬유질 발효사료 제조 설비 및 제조 방법
KR20160129250A (ko) 2015-04-30 2016-11-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폭염 스트레스 저감용 베타인 함유 양계용 사료
CN106417910A (zh) * 2016-08-31 2017-02-22 苏州市湘园特种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以车螺壳为主料的天然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9007285A (zh) * 2018-08-21 2018-12-18 怀来安贝宠物食品有限公司 动物饲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23847B (zh) * 2008-01-31 2011-02-16 华南农业大学 一种诃子育苗的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590B1 (ko) * 2011-02-18 2013-12-06 주식회사 제이 엔 에스 텍 어류의 안정화, 질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천연약제가 함유된 서방형 안전 시트및 그 제작방법
KR101397539B1 (ko) * 2012-07-30 2014-05-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열 스트레스 저항성을 갖는 육계용 배합사료 조성물
WO2015020347A1 (ko) * 2013-08-07 2015-02-12 일성건설 주식회사 팜 가공 부산물을 이용한 섬유질 발효사료 제조 설비 및 제조 방법
US10582724B2 (en) 2013-08-07 2020-03-10 Hee Dong Bae Equip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fiber feed by using palm-processing by-products
KR20160129250A (ko) 2015-04-30 2016-11-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폭염 스트레스 저감용 베타인 함유 양계용 사료
CN106417910A (zh) * 2016-08-31 2017-02-22 苏州市湘园特种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以车螺壳为主料的天然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9007285A (zh) * 2018-08-21 2018-12-18 怀来安贝宠物食品有限公司 动物饲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2149A (zh) 2005-02-02
CN100362939C (zh)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4927B2 (ja) 家畜飼料用添加物および家畜用飼料組成物
JP4790129B2 (ja) カルバクロールおよびチモールを含む組成物の、トレポネーマによってもたらされる疾患の治療のための薬剤の製造のための使用
JP2009234924A (ja) 免疫回復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飼料組成物
BE1013997A6 (nl) Antimicrobiele samenstelling voor dieren.
BG107626A (bg) Приложение на бензофенантридиналкалоиди като добавка за фураж и като лечебно средство против чревновъзпаление
Chamberlain Frontiers in shrimp nutrition research
WO1995017103A1 (en) The use of mannan-rich materials in feedstuffs
JP2542655B2 (ja) 動物用混合飼料
KR20040102963A (ko) 가자를 함유한 동물용 사료 조성물
JP6568363B2 (ja) ほ乳期子豚用発育成績改善剤およびほ乳期子豚育成用配合飼料
CN103689226A (zh) 桑叶粉饲料
JP3068692B2 (ja) カゼインホスホペプチドを含有する飼料
AU2022285032A1 (en) Use of furan formic acid compound in preparing animal feed additive
KR20040102964A (ko) 적석지를 함유한 동물용 사료 조성물
Nathanailides et al. Probiotics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Digestion Efficiency and the Environmental Impact of Fresh Water Fish Farms
JP2009159942A (ja) 家畜成育増強用飼料
US20230413879A1 (en) Food comprising isosteviol and uses thereof
GB2137881A (en) Growth promoter fodders and feed additives containing prenylamine
KR102371548B1 (ko) 중성화된 암컷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JPH06701B2 (ja) 動物用組成物
JP2007116972A (ja) 骨折予防剤及び脚弱予防剤
KR20070039114A (ko) 가축병 치료제와 축산에서 동물의 안녕을 위한 약용 식물과그 추출물의 용도
KR101303925B1 (ko) 숯을 이용한 가축의 설사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4747658A (zh) 一种家禽、畜牧辅助饲料及家禽、畜牧饲料
JP2000325027A (ja) 増体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