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1836A - 플라본 구조를 갖는 신규한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 Google Patents

플라본 구조를 갖는 신규한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1836A
KR20010071836A KR1020017000420A KR20017000420A KR20010071836A KR 20010071836 A KR20010071836 A KR 20010071836A KR 1020017000420 A KR1020017000420 A KR 1020017000420A KR 20017000420 A KR20017000420 A KR 20017000420A KR 20010071836 A KR20010071836 A KR 20010071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xy
chromen
compound
dihydroxypheny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용
박태식
김영관
이진호
김종현
김동명
손호선
김상웅
김은경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8003583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18305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1252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65824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1322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66253A/ko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filed Critical 성재갑
Publication of KR20010071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83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22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 C07D311/26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 C07D311/28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22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 C07D311/26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 C07D311/28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nly
    • C07D311/30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nly not hydrogenated in the hetero ring, e.g. flav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 C07D4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yrane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Cyclin Dependent Kinase; 이하, "CDK"라 한다)의 저해제로서 유용한 신규한 플라본 유도체,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성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활성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항암제 또는 신경변성 질병 치료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본 구조를 갖는 신규한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Novel Cyclin Dependent Kinase inhibitors having flavone structure}
세포분열 과정에 대한 분자수준에서의 본격적인 연구는 1980년대 후반 개구리 난자의 분열에 관한 연구, 효모의 여러 세포성장이나 방사성 돌연변이의 특성분석 그리고 종양억제자인 Rb의 연구를 통해 활발히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에 들어 작은 크기의 세포성장 조절인자가 그의 조절기능을 통하여 세포의 성장, 분화, 발생, 노화, 고사(apoptosis) 등 세포분열과정을 조절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러 질병의 병리현상들을 좀더 정확히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암(cancer)이다.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세포성장 조절이 그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많이 발견되었다. 즉, 암세포에서는 세포성장 조절인자의 비정상적인 활성이 많이 발견되었고 이러한 비정상적 활성은 암병리학에서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발병/전이(invasion/metastasis)와의 상관관계도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형질전환된 동물을 이용하여 세포성장 조절요소들의 과발현(overexpression) 또는 녹아웃(knock-out)을 유도하면 이들 실험동물에 암이 유발되는 것으로부터 세포주기의 조절해제(cell cycle deregulation)가 암을 유발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임을 알 수 있다.
세포의 성장은 다른 모든 생물학적 조절과 마찬가지로 정(포지티브) 조절 또는 부(네거티브) 조절을 받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세포주기 조절의 주된 경로는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의 활성에 의한 것으로서, 많은 암세포 및 발암기전에 대한 연구결과 키나아제 활성에 대한 정 또는 부 조절상의 문제가 암의 발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필요 이상의 지나친 정 또는 부 조절상실 및 세포성장 조절의 중요한 점인 적시(timely) 조절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암이 발생될 수 있다.
포유류의 대표적인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로는 세포주기의 mid-G1기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CDK4(cyclin dependent kinase 4), mid-G1 및 S기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CDK2, 및 G2-M기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CDC2(CDK1)를 들 수 있다. 이중 CDK4 및 CDK2는 G1-S 세포주기 체크포인트(check point)에 의해서 그 활성이 조절되며 또한 CDC2는 G2-M 체크포인트에 의해서 그 활성이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러 암세포에서 CDK4, CDK2 및 CDC2(CDK1)의 조절기작에 있어서 비정상성이 타나타며, 실제로 형질전환된 동물에서 인위적으로 유도된 이들의 비정상성이 암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여러 종류의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들 중에서도 CDK4, CDK2 및 CDC2(CDK1)가 항암제의 표적(target)으로서 매우 좋은 위치에 있다.
이들 CDKs와 암발병과의 관련성에 대해 지금까지 보고된 결과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DK4 활성의 비정상적 조절과 암발병과의 연관성은 여러 암조직에서 관찰되고 있다. 여러종류의 암에서 p16 및 p15 유전자의 결실이 보고되었고, 특히 사이클린 D1의 과량발현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특히 유방암이 전이성질을 띠는 것과 잘 연관이 되며 CDK4 활성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암의 악성 표현형(malignant phenoty
pe)이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p16 녹아웃 마우스는 p53 녹아웃 마우스만큼이나 암발생율이 높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이로부터 CDK4 조절에 대한 p16의 기능상실이 암의 원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ras나 src 등을 과량발현시킨 NIH 3T3 세포에 있어서 하부(downstr
eam)에서 그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역으로 p16이나 p21을 ras로 형질변환시킨 변형된 표현형이 정상적인 표현형으로 바뀌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실험적 결과들로부터, CDK4 활성의 조절해제가 암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됨은 물론 암세포의 표현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CDK4의 저해제는 항암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CDK2의 경우에, 일부 유방암에서 사이클린 E의 과발현이 관찰되고 이는 유방암의 전이와 깊은 연관이 있으며, 사이클린 E의 과발현이 낮은 혈청조건에서 세포의 고사를 저해하고 고착 비의존적 성장(anchorage independent growth)을 유발시키며, MMTV 프로모터를 이용하여 CDK2가 과발현되는 형질전환 동물에서 유방 상피세포의 과증식(hyperproliferation, neoplasia)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이러한 사실은 CDK2 활성이 세포변형 과정 또는 그의 유지에 관여됨을 강하게 시사하며, CDK2 저해제가 항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들 CDKs 중에서 CDK5 는 뇌에 존재하고 있는 타우 단백질(tau protein)을 인산화(phosphorylation)하여 신경변성 질병(neurodegenerative disease)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최근에 밝혀졌다. 따라서 CDK5 저해제가 신경변성 질병(예를 들어 알츠하이머병)치료제로서 유용할 수 있다. CDK5 저해제는 CDK2 및 CDK5가 동일 패밀리에서 상동성이 있다는 점에서 CDK5에 대한 저해작용을 갖는다 (참조: John Leu등, "Neuronal CDC2-like kinase", TIBS, January 1995, pp 33∼37).
그 이외에, CDC2(CDK1), CDK3, CDK6 및 CDK7는 세포분열의 각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고, 이들은 CDKs 패밀리로 구분되고 있다. 또한, 사이클린의 경우에도 사이클린 D1이나 사이클린 E 이외에 사이클린 A, B, C,D2, D3, D4, F 및 사이클린 G 가 동일한 패밀리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축적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이들 CDKs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저해제가 항암제 또는 신경변성 질병 치료제로서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 이들 저해제가 개발되었다.
지금까지 개발된 CDKs 저해제로서 효과적인 화합물로는 현재 임상실험이 진행중인 하기 화학식(2)의 플라보피리돌(Flavopiridol; 유럽특허 제0,241,003호 및 제0,366,061호 참조)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
또한, 화학식(3)의 퓨린 유도체가 최근에 개발되었다다(참조: WO 97/16447).
[화학식 3]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CDK 저해제들은 아직까지 충분히 만족스러운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들 CDKs 저해제에 대하여 광범하고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공지된 CDKs 저해제들의 구조와는 전혀 다른 구조를 가지는 상기 정의된 화학식(1)의 플라본 유도체가 CDKs 효소를 매우 효과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Cyclin Dependent Kinase; 이하, "CDK"라 한다)의 저해제로서 유용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플라본 유도체,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성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1, R3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저급알콕시, 아미노 또는 니트로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아미노, 니트로 또는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A 는 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르알킬, 아실 또는 아릴로 임의로 치환된 아미노를 나타내며 이때 아릴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및 아미노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되며; 또는 할로게노알킬카보닐로 임의로 치환된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을 나타내거나; 또는 알킬, 아릴,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을 나타내며 이들 각각은 알킬, 할로게노알킬, 할로겐, 디알킬아미노, 페닐, 니트로, 아미노, 이소옥사졸, 피리딘, 카르복시, 모르폴린, 메틸피페라진 및 시아노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체 임의로 치환되며,
Y 는 SO2또는 CO 를 나타내며,
B 는 수소 또는 알킬을 나타내고,
R5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며,
R6및 R7은 상호 o, m 또는 p 위치에 치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또는 저급알콕시를 나타내거나 R6및 R7이 함께 저급알킬렌디옥시를 나타낸다.
그외에 본 발명은 화학식(1)의 플라본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화학식(1)의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또는 신경변성 질병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CDKs 활성을 저해하는 화학식(1)의 신규한 플라본 유도체,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성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활성성분으로서 화학식(1)의 화합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및 신경변성 질환 치료제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CDKs 란 CDK2, CDK4, CDC2(CDK1), CDK3, CDK5, CDK6, CDK7 등을 모두 포함하며, 또한 사이클린(cyclin)은 사이클린 D1, E, A, B, C, D2, D3, D4, F 및 G 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CDKs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암효과 또는 신경변성 질병(neuro- degenerative disease)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하기 화학식(1)의 신규한 플라본 유도체,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성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1, R3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저급알콕시, 아미노 또는 니트로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아미노, 니트로 또는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A 는 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르알킬, 아실 또는 아릴로 임의로 치환된 아미노를 나타내며 이때 아릴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및 아미노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되며; 또는 할로게노알킬카보닐로 임의로 치환된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을 나타내거나; 또는 알킬, 아릴,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을 나타내며 이들 각각은 알킬, 할로게노알킬, 할로겐, 디알킬아미노, 페닐, 니트로, 아미노, 이소옥사졸, 피리딘, 카르복시, 모르폴린, 메틸피페라진 및 시아노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되며,
Y 는 SO2또는 CO 를 나타내며,
B 는 수소 또는 알킬을 나타내고,
R5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며,
R6및 R7은 상호 o, m 또는 p 위치에 치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또는 저급알콕시를 나타내거나 R6및 R7이 함께 저급알킬렌디옥시를 나타낸다.
그외에 본 발명은 화학식(1)의 플라본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화학식(1)의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또는 신경변성 질병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화학식(1)의 화합물중에서도 다음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1) R1, R2, R3및 R4가 각기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저급알콕시 또는 니트로를 나타내고 (단 이들 4개의 치환체중 2개 이상은 수소이다), R5가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며, 또한 R6및 R7은 상호 o, m 또는 p 위치에 치환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또는 저급알콕시를 나타내거나 R6및 R7이 함께 저급알킬렌디옥시를 나타내거나, 또는
(2) R1이 수소, 하이드록시, 저급알콕시 또는 아미노를 나타내고, R2및 R3가 각기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또는 아미노를 나타내며, R4가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또는 저급알콕시를 나타내며, R5는하이드록시를 나타내고, R6및 R7은 각각 3-하이드록시 및 4-하이드록시를 나타내거나, 또는
(3) R1, R3및 R4가 각기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또는 아미노를 나타내며(이들 3개의 치환체중 2개 이상은 수소임), R2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A 는 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르알킬, 아실 또는 아릴로 임의로 치환된 아미노를 나타내고 이때 아릴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및 아미노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되며; 또는 할로게노알킬카보닐로 임의로 치환된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을 나타내거나; 또는 알킬, 아릴,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을 나타내며 이들 각각이 알킬, 할로게노알킬, 할로겐, 디알킬아미노, 페닐, 니트로, 아미노, 옥소옥사졸, 피리딘, 카르복시, 모르폴린, 메틸피페라진 및 시아노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Y 는 CO 또는 SO2를 나타내며, B 는 수소 또는 알킬을 나타내고, R5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며, R6및 R7은 각각 3-하이드록시 및 4-하이드록시를 나타낸다.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은 다음 화합물을 포함한다.
(1) R1, R2, R3및 R4가 각기 독립적으로 수소, 클로로, 하이드록시, 메톡시 또는 니트로를 나타내고(단 이들 4개의 치환체중 2개 이상은 수소이다), R5가 수소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며, 또한 R6및 R7은 상호 o, m 또는 p 위치에 치환되고 각기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클로로 또는 메톡시를 나타내거나 R6및 R7이 함께 메틸렌디옥시를 나타내거나, 또는
(2) R1이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저급알콕시를 나타내고, R2가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또는 아미노를 나타내며, R3가 수소, 하이드록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또는 아미노를 나타내며, R4가 수소, 할로겐 또는 하이드록시 를 나타내며, R5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고, R6및 R7은 각각 3-하이드록시 및 4-하이드록시를 나타내거나, 또는
(3) R1, R3및 R4가 각각 수소를 나타내며, R2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A 는 사이클로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아미노를 나타내고; 또는 할로게노알킬카보닐로 임의로 치환된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을 나타내거나; 또는 알킬, 아릴,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을 나타내며 이들 각각이 알킬, 할로게노알킬, 할로겐, 디알킬아미노, 페닐, 니트로, 아미노, 옥소옥사졸, 피리딘, 카르복시, 모르폴린 및 메틸피페라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Y는 SO2를 나타내며, B 는 수소를 나타내고, R5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며, R6및 R7은 각각 3-하이드록시 및 4-하이드록시를 나타내거나, 또는
(4) R1, R3및 R4가 각각 수소를 나타내며, R2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A 는 사이클로알킬, 아르알킬, 아실 또는 아릴로 임의로 치환된 아미노를 나타내며 이때 아릴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및 아미노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되며; 또는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된 아릴 또는 알킬을 나타내며, Y 는 CO 를 나타내며, B 는 수소를 나타내고, R5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며, 또한 R6및 R7은 각각 3-하이드록시 및 4-하이드록시를 나타낸다.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다음 화합물을 포함한다.
(1) R1은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를 나타내며, R2는 수소, 브롬, 하이드록시, 메틸 또는 아미노를 나타내며, R3은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또는 아미노를 나타내며, R4는 수소, 할로겐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며, R5가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며, 또한 R6및 R7은 각각 3-하이드록시 및 4-하이드록시를 나타내거나, 또는
(2) R1, R3및 R4가 각각 수소를 나타내며, R2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A 는 할로게노알킬카보닐로 임의로 치환된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을 나타내거나; 또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을 나타내며 이들 각각이 알킬, 할로게노알킬, 할로겐, 디알킬아미노, 페닐, 니트로, 아미노, 옥소옥사졸, 피리딘, 카르복시, 모르폴린 및 메틸피페라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Y 는 SO2를 나타내며, B 는 수소를 나타내고, R5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며, R6및 R7은 각각 3-하이드록시 및 4-하이드록시를 나타내거나, 또는
(3) R1, R3및 R4가 각각 수소를 나타내며, R2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A 는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및 아미노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치환된 아릴로 치환된 아미노를 나타내며, Y 는 CO 를 나타내며, B 는 수소를 나타내고, R5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며, R6및 R7은 각각 3-하이드록시 및 4-하이드록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플라본 유도체의 대표적인 예로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
화합물 1) 2-(4-클로로-페닐)-7-메톡시-크로멘-4-온,
화합물 2) 7-메톡시-2-페닐-크로멘-4-온,
화합물 3) 7-하이드록시-2-페닐-크로멘-4-온,
화합물 4)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5-메톡시-크로멘-4-온,
화합물 5)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6-메톡시-크로멘-4-온,
화합물 6)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7-메톡시-크로멘-4-온,
화합물 7) 3-하이드록시-7-메톡시-2-(4-메톡시-페닐)-크로멘-4-온,
화합물 8) 2-(4-클로로-페닐)-3-하이드록시-7-메톡시-크로멘-4-온,
화합물 9) 6-클로로-3-하이드록시-2-(4-메톡시-페닐)-8-니트로-크로멘-4-온,
화합물 10) 6,8-디클로로-3-하이드록시-2-(4-메톡시-페닐)-크로멘-4-온,
화합물 11) 3-하이드록시-2-(4-메톡시-페닐)-크로멘-4-온,
화합물 12) 6-클로로-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화합물 13) 6-브로모-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화합물 14) 2-(3,4-디하이드록시페닐)-3,6-디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화합물 15) 6-아미노-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화합물 16) 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메톡시-4H-크로멘-4-온,
화합물 17) 6-플루오로-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화합물 18) 6-메틸-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화합물 19) 6,8-디클로로-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
-4-온,
화합물 20) 6,8-디브로모-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
-4-온,
화합물 21) 6,8-디플루오로-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화합물 22) 6-클로로-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7-메틸-4H-크로멘-4-온,
화합물 23) 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7-메톡시-4H-크로멘-4-온,
화합물 24) 2-(3,4-디하이드록시페닐)-3,8-디하이드록시-7-메톡시-4H-크로멘
-4-온,
화합물 25) 2-(3,4-디하이드록시페닐)-3,8-디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화합물 26) 2-(3,4-디하이드록시페닐)-6,7-디메틸-3-하이드록시-4H-크로멘-4
-온,
화합물 27) 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5-메톡시-4H-크로멘-4-온,
화합물 28)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메틸벤젠설폰아미드,
화합물 29) 4-브로모-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벤젠설폰아미드,
화합물 30) 3-브로모-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벤젠설폰아미드,
화합물 31)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2-나프탈렌설폰아미드,
화합물 32)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5- (디메틸아미노)-1-나프탈렌설폰아미드,
화합물 33)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2- (1-나프틸)-1-에탄설폰아미드,
화합물 34) 4,5-디브로모-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
-4H-크로멘-6-일]-2-티오펜설폰아미드,
화합물 35)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 [1,1'-비페닐]-4-설폰아미드,
화합물 36)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5- (이소옥사졸일)-2-티오펜설폰아미드,
화합물 37)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5-(2-피리디닐)-2-티오펜설폰아미드,
화합물 38)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 3,4-디플루오로벤젠설폰아미드,
화합물 39)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폰아미드,
화합물 40) 4-클로로-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3-니트로벤젠설폰아미드,
화합물 41) 3-클로로-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1-프로판설폰아미드,
화합물 42)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2,4-디플루오로벤젠설폰아미드,
화합물 43)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플루오로벤젠설폰아미드,
화합물 44)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2-(2,2,2-트리플루오로아세틸)-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린설폰아미드,
화합물 45) 4-({[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아미노}설포닐)벤조산,
화합물 46)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린설폰아미드,
화합물 47) N-싸이클로헥실-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설파이드,
화합물 48)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4-모폴리닐)-3-니트로벤젠설폰아미드,
화합물 49)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4-메틸-1-피페라지닐)-3-니트로벤젠설폰아미드,
화합물 50) 3-아미노-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4-메틸-1-피페라지닐)벤젠설폰아미드,
화합물 51)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아세타미드,
화합물 52)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벤자미드,
화합물 53) 4-클로로-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벤자미드,
화합물 54) N-벤질-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우레아,
화합물 55) N-(4-브로모페닐)-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 4H-크로멘-6-일]우레아,
화합물 56)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 N'-페닐우레아,
화합물 57) N-벤조일-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우레아,
화합물 58) N-(3-브로모페닐)-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 4H-크로멘-6-일]우레아,
화합물 59) N-(2,4-디클로로페닐)-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우레아,
화합물 60) N-(3-시아노페닐)-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 4H-크로멘-6-일]우레아,
화합물 61)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 N'-(4-니트로페닐)우레아,
화합물 62) N-(4-아미노페닐)-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 4H-크로멘-6-일]우레아,
화합물 63) 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화합물 64) 2-(3,4-디하이드록시페닐)-3,7-디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화합물 65) 2-(3,4-디하이드록시페닐)-3,5,7-트리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또는
화합물 66) 2-(3,4-디하이드록시페닐)-3,7,8-트리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염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무독성 산부가염을 형성하는 산,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등과 같은 유기 카본산, 또는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나프탈렌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포함된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또한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비대칭 탄소 중심을 가질 수 있으므로 라세미화합물, 부분 입체 이성체 또는 그의 혼합물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 모든 이성체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1)의 화합물은 하기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R5가 수소원자인 화학식 (1)의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1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a)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존재하에 폐환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제조한 후, 생성된 화학식(5)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환원제 존재하에 환원시키거나, 또는 b) 하기 화학식(6)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아세트산나트륨 존재하에 폐환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
[화학식 1a]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상기식에서,
R1, R2, R3, R4, R5, R6및 R7은 각각 전술한 바와같다.
상기 반응을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하기 반응식 1 및 2와 같다 :
[반응식 1]
[반응식 2]
상기 반응식에서,
R1, R2, R3, R4,R6및 R7는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반응식 1로 도시한 반응에서는 화학식(4)의 화합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중에서 가열환류시켜 폐환반응을 수행하여 화학식(5)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때, 반응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반응을 완결시키기에 적당한 시간동안 반응을 수행하게 되나 통상 하루정도가 바람직하다. 폐환반응이 완결된 후 수득된 화학식 (5)의 크로만 유도체를 용매중에서 환원제 존재하에 환원반응시키면 화학식(1a)의 크로멘 유도체가 생성된다. 용매로는 벤젠 및 톨루엔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고, 환원제로는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DDQ)을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반응식(2)에 따른 반응에서, R5가 수소원자인 화학식(1a)의 화합물은 화학식(6)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아세트산나트륨 존재하에 폐환반응시켜 제조하며, 이때 용매로는 아세트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R5가 하이드록시인 화학식(1)의 화합물, 즉 화학식(1b)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화학식(4)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염기 및 과산화수소 존재하에 폐환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b]
[화학식 4]
상기 화학식에서,
R1, R2, R3, R4, R6및 R7은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특히 R6및 R7가 함께 메틸렌디옥시인 화학식(1b)의 화합물, 즉 화학식(1cc)의 화합물은 상술한 방법에 따라 화학식(4a)의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cc]
[화학식 4a]
상기식에서,
R1, R2, R3및 R4는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의 방법은 하기 반응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
[반응식 3]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6및 R7은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반응식 3에 따른 반응에서, 화학식(1b)의 화합물은 화학식(4)의 화합물을 과산화수소의 존재하에 폐환반응시켜 제조한다. 이 과정에서 용매 및 염기를 사용한다. 용매로는 반응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도내에서 선택할 수 있으나, 메탄올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특히 메탄올을 사용한다. 염기로는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특히 10% 농도를 갖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바람직하다. 이반응에서는 필수적으로 과산화수소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때 과산화수소는 화학식(4)의 화합물에 대하여 과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당량배의 양으로 사용하며, 적합하게는 30% 수용액상으로 제조하여 사용한다. 임의로 염산과 같은 산촉매를 첨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반응은 통상 실온 내지 가온하에서 수행되며, 실온에서 3시간 가량 반응시키면 반응이 완료된다.
한편, 탈보호 반응은 임의의 아미노- 또는 하이드록시-보호기를 제거하기 위해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치환체 R1, R2, R3및 R4중 하나 이상이 하이드록시 또는 아미노인 화학식(1)의 화합물은 저급알킬 또는 알카노일에 의해 보호된 하이드록시 또는 아미노 그룹을 보론 트리브로마이드 존재하에 선택적으로 탈보호시키거나 황산수용액 또는 알콜 용매로 가수분해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하기 화학식(9)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10)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11)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R2인 화학식(1)의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1h)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9]
[화학식 10]
A-Y-X
[화학식 11]
A'-N=C=O
[화학식 1h]
상기식에서,
R1, R3, R4, R5, A, Y 및 B는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 는 이탈기이며,
A'는 아르알킬, 아실 또는 아릴을 나타내며 이때 아릴은 할로겐, 시아노 및 니트로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다.
특히 R5가 하이드록시인 화학식(1h)의 화합물, 즉 화학식(1hh)의 화합물은 상술한 방법에 따라 화학식(9a)의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hh]
[화학식 9a]
상기식에서,
R1, R3, R4, A, Y 및 B는 전술한 바와같다.
화학식(9)의 화합물, 특히 상기 방법에서 사용된 화학식(9a)의 화합물은 다음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4b)의 화합물은 화학식(7a)의 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유도체, 화학식(8a)의 피페로날 및 수산화나트륨을 에탄올 수용액 용매중에서 반응시킨 다음 수득된 화학식(4b)의 화합물을 메탄올 용매중에서 수성 수산화나트륨 및 과산화수소와 반응시켜 화학식(1e)의 화합물을 생성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4b]
[화학식 7a]
[화학식 8a]
[화학식 1e]
상기식에서,
R1, R3, R4및 B는 전술한 바와같다.
다음에, 상기 수득된 화학식(1e)의 화합물을 알콜성 용매중에서 황산수용액과 가수분해시켜 화학식(9a)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화학식9a]
상기식에서,
R1, R3, R4및 B는 전술한 바와같다.
치환체 R1, R2, R3, R4, R6및 R7중의 1개 내지 6개가 하이드록시인 화학식(1)의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1)의 화합물에서 1개 내지 6개의 저급알콕시 그룹 또는 저급 알킬렌디옥시 그룹을 보론트리브로마이드(BBr3) 존재하에 선택적으로 탈보호시켜 하이드록시 또는 디하이드록시 그룹으로 전환시킴을 특징으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들어, R6및 R7이 각각 3-하이드록시 및 4-하이드록시인 화학식(1)의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1d)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4에 나타낸 바와같은 반응에 따라 하기 화학식(1c)의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
[화학식 1c]
[화학식 1d]
[반응식 4]
상기 화학식 및 반응식에서,
R1, R2, R3, R4및 R5는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특히, R5가 하이드록시인 화학식(1d)의 화합물, 즉 화학식(1dd)의 화합물은 상기 방법에 따라 화학식(1cc)의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dd]
[화학식 1cc]
상기 화학식에서,
R1, R2, R3및 R4는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그외에, R2인 화학식(1cc)의 화합물, 즉 화학식(1i)의 화합물은 상기 방법에 따라 화학식(1hh)의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i]
[화학식 1hh]
상기 화학식에서,
R1, R3, R4, A, Y 및 B는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반응식 4에 따른 반응에서는 화학식 (1c)의 화합물에서 디옥솔란환을 개환시켜 디하이드록시 그룹으로 전환시킴으로써 화학식(1d)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디옥솔란환의 개환은 보론 트리브로마이드와의 반응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통상 화학식(1c)의 화합물에 대하여 2 내지 5당량배, 바람직하게는 3당량배 이상의 보론 트리브로마이드를 사용한다. 이 개환반응은 용매중에서 수행하는 것이 좋고, 이러한 용매로는 메틸렌클로라이드, 디옥산, 벤젠 및 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언급할 수 있다. 반응은 통상 실온 내지 가온하에서 수행되며, 실온에서 약 2시간 반응시키면 반응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상기 방법에서 출발물질로사용된 화학식(4)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7)의 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유도체와 화학식(8)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염기존재하에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7]
[화학식 8]
상기 화학식에서,
R1, R2, R3, R4, R6및 R7은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특히, 화학식(4a)의 화합물은 상기 방법에 따라 화학식(7)의 화합물을 화학식(8a)의 피페로날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8a]
상기 반응을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하기 반응식 5와 같다 :
[반응식 5]
상기 반응식에서,
R1, R2, R3, R4, R6및 R7은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반응식 5에 따른 반응에서, 화학식(4)의 화합물은 화학식(7)의 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유도체를 1 내지 3당량배, 바람직하게는 3당량배의 화학식(8)의 화합물과 커플링 반응시켜 제조한다. 사용가능한 용매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및 디옥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예시할 수 있으며, 메탄올, 에탄올 또는 80% 에탄올 수용액이 더욱 바람직하다. 염기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을 들 수 있다. 염기의 사용량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통상 화학식(7)의 화합물에 대해 2 내지 5당량배, 바람직하게는 3당량배의 양으로 사용한다. 반응은 통상 실온 내지 가온하에서 수행되며, 반응시간은 사용된 용매 또는 염기의 종류, 또는 반응온도에 따라 가변적이다. 통상 실온에서 약 15시간 반응시키면 반응이 완료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방법에서, 반응물질의 사용량, 반응온도, 반응시간 등을 포함한 반응조건은 사용되는 반응물질에 따라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매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나, 반응은 0 내지 12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에서 생성된 화학식(1)의 유리화합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반응이 완결된 후에 생성물은 통상적인 후처리 방법, 예를 들면 크로마토그래피, 재결정화 등의 방법에 의해 분리 또는 정제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CDK 저해작용을 가지고 있어 항암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활성성분으로서 화학식(1)의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이성체를 함유하는 항암제 또는 신경변성 질병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임상적인 목적으로 투여시에 하루에 체중 1㎏ 당 0.01 내지 50㎎의 범위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총 일일 투여용량은 한번에 또는 여러번에 걸쳐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환자에 대한 특이 용량 수준은 사용될 특정 화합물, 환자의 체중, 성, 건강상태, 식이, 약제의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약제혼합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주사용 제제 및 경구용 제제로 투여할 수 있다. 주사용 제제, 예를들면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은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적합한 분산제, 습윤제 또는 현탁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용매에는 물, 링거액 및 등장성 NaCl 용액이 있으며, 멸균 고정오일도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한다.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도 주사용 제제에 사용할 수 있다.
경구투여용 고체투여 형태로는 캅셀제, 정제, 환제, 산제 및 입제가 있으며, 특히 캅셀제와 정제가 유용하다. 정제 및 환제는 장피제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투여 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1)의 활성화합물을 수크로오즈, 락토오즈, 전분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불활성 희석제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붕해제, 결합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담체와 혼합시킴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조예 1 : 1-(3,5-디클로로-2-하이드록시-페닐)-3-(4-메톡시-페닐)-프로페논의 합성
3',5'-디클로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0g (4.8 밀리몰)을 30㎖의 메탄올 용매에 녹인 후 0.53g의 NaOH(13.2 밀리몰)를 넣고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하였다. 여기에 4-메톡시벤즈알데히드 0.61g (4.8 밀리몰)을 가하고 혼합물을 50℃로 승온시킨 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메탄올을 감압증류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5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CDCl3): δ 8.52(m, 1H), 7.60-7.02(m, 5H), 6.22-6.00(m, 2H), 3.90(s, 3H)
MS(FAB): 323(M+H+)
제조예 2 : 1-(2-하이드록시-페닐)-3-(4-메톡시-페닐)-프로페논의 합성
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0g (7.3 밀리몰)과 4-메톡시벤즈알데히드 0.99g (7.3 밀리몰)을 사용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화합물을 8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CDCl3): δ 7.44-6.66(m, 8H), 6.21-6.01(m, 2H), 3.89(s, 3H)
MS(FAB): 255(M+H+)
제조예 3 : 3-(4-클로로-페닐)-1-(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페논의 합성
2'-하이드록시-4'-메톡시아세토페논 1.0g (6.0 밀리몰)과 4-클로로벤즈알데히드 0.84g (6.0 밀리몰)을 사용하여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화합물을 7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CDCl3): δ 7.55-6.46(m, 7H), 6.42-6.21(m, 2H), 3.89(s, 3H)
MS(FAB): 289(M+H+)
제조예 4 : 2-(4-클로로-페닐)-7-메톡시-크로만-4-온의 합성
제조예 3에서 합성한 3-(4-클로로-페닐)-1-(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페논 0.1g(0.35 mmol)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 용매중에서 하루동안 환류시킨 후 감압 증류하여 TFA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5/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8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CDCl3): δ 7.86(d, 1H, J=8.7Hz), 7.42(m, 4H), 6.62(d, 1H,
J=2.4Hz), 6.49(s, 1H), 5.45(m, 1H), 3.90(s, 3H), 2.98(dd, 1H, J=12.7Hz, J=16.6Hz), 2.80(dd, 1H, J=12.9Hz, J=16.6Hz)
MS(FAB): 289(M+H+)
제조예 5 : 3-(벤조[1,3]디옥솔-5-일)-1-(5-클로로-2-하이드록시페닐)
-2-프로펜-1-온의 합성
5-클로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g(5.86 mmol), 3 당량의 피페로날 및 3 당량의 수산화나트륨을 80% 에탄올 수용액 15㎖에서 혼합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물 50㎖를 가하고 혼합물을 약 10분간 교반하였다. 수득된 옅은 노란색 고체를 여과하고 물과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건조시켜 표제화합물 1.42g(수율 80%)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9.80 (1H, br s), 7.84 (1H, s), 7.43 (2H, m), 7.33 (1H, s), 7.19 (1H, m), 6.98 (3H, m), 6.07 (2H, s)
FAB MS(m/e) = 303[M++1]
제조예 6 : 3-(벤조[1,3]디옥솔-5-일)-1-(5-브로모-2-하이드록시페닐)
-2-프로펜-1-온의 합성
5-클로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대신에 5-브로모-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g(4.65 m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1.5g(수율 93%)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δ 7.99 (1H, s), 7.88 (1H, d), 7.55 (1H, d), 7.37(1H, d), 7.21-7.17 (2H, m), 6.94 (1H, d), 6.88 (1H, d)
FAB MS (m/e) = 348 [M++1]
제조예 7 : 3-(벤조[1,3]디옥솔-5-일)-1-(2-하이드록시-5-메톡시페닐
)-2-프로펜-1-온의 합성
5-클로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대신에 5-메톡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g(6.02 m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1.3g(수율 72%)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δ 7.85 (1H, d), 7.40 (1H, d), 7.33 (1H, s), 7.15 (3H, m), 7.00-6.80 (3H, m), 6.07 (2H, s), 3.84 (3H, s)
FAB MS(m/e) = 299[M++1]
제조예 8 : 3-(벤조[1,3]디옥솔-5-일)-1-(5-플루오로-2-하이드록시페닐) -2-프로펜-1-온의 합성
5-클로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대신에 5-플루오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g(6.49 m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1.6g(수율 86%)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7.85 (1H, s), 7.80 (1H, d), 7.55 (1H, d), 7.37 (1H, d), 7.21-7.17 (2H, m), 6.94 (1H, d), 6.88 (1H, d)
FAB MS (m/e) = 287 [M++1]
제조예 9 : 3-(벤조[1,3]디옥솔-5-일)-1-(5-메틸-2-하이드록시페닐)-2-프로펜-1-온의 합성
5-클로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대신에 5-메틸-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g (6.66 m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1.7g(수율 90%)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7.73 (1H, s), 7.69 (1H, d), 7.55 (1H, d), 7.37 (1H, d), 7.15-7.25 (2H, m), 6.92(1H, d), 6.85 (1H, d)
FAB MS (m/e) =283 [M++1]
제조예 10 : 3-(벤조[1,3]디옥솔-5-일)-1-(3,5-디클로로-2-하이드록시페닐)-2-프로펜-1-온의 합성
5-클로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대신에 3,5-디클로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g(4.8 m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1.4g(수율 85%)을 수득하였다.
1H NMR (DMDO-d6, ppm); δ 8.57 (1H, br s), 8.11 (1H, s), 8.06 (1H, d), 7.88 (1H, d), 7.78 (1H, s), 7.42 (1H, d), 7.04 (1H, d), 6.13 (2H, s)
FAB MS (m/e) = 337 [M++1]
제조예 11 : 3-(벤조[1,3]디옥솔-5-일)-1-(3,5-디브로모-2-하이드록시페닐)-2-프로펜-1-온의 합성
5-클로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대신에 3,5-디브로모-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2g(6.8 m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2.9g(수율 97%)을 수득하였다.
1H NMR (DMDO-d6, ppm); δ 8.57 (1H, br s), 8.08 (1H, s), 8.01 (1H, d), 7.88 (1H, d), 7.78 (1H, s), 7.42 (1H, d), 7.04 (1H, d), 6.13 (2H, s)
FAB MS (m/e) = 427 [M++1]
제조예 12 : 3-(벤조[1,3]디옥솔-5-일)-1-(3,5-디플루오로-2-하이드록시페닐)-2-프로펜-1-온의 합성
5-클로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대신에 3,5-디플루오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g(5.8 m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1.6g(수율 90%)을 수득하였다.
1H NMR (DMDO-d6, ppm); δ 8.59 (1H, br s), 8.12 (1H, s), 8.01 (1H, d), 7.88 (1H, d), 7.78 (1H, s), 7.42 (1H, d), 7.04 (1H, d), 6.13 (2H, s)
FAB MS (m/e) = 305 [M++1]
제조예 13 : 3-(벤조[1,3]디옥솔-5-일)-1-(5-클로로-2-하이드록시-4-메틸페닐)-2-프로펜-1-온의 합성
5-클로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대신에 4-메틸-5-클로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5g(2.70 m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0.77g(수율 90%)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7.85 (1H, d), 7.82 (1H, s), 7.38 (1H, d), 7.19 (2H, m), 6.86 (2H, m), 6.07 (2H, s), 2.41(3H, s)
FAB MS (m/e) = 317 [M++1]
제조예 14 : 3-(벤조[1,3]디옥솔-5-일)-1-(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 -2-프로펜-1-온의 합성
5-클로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대신에 4-메톡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g(6.02 m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1.3g(수율 72%)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7.85 (1H, d), 7.40 (1H, d), 7.33 (1H, s), 7.15 (3H, m), 7.00-6.80 (3H, m), 6.07 (2H, s), 3.84 (3H, s)
FAB MS (m/e) = 299 [M++1]
제조예 15 : 3-(벤조[1,3]디옥솔-5-일)-1-(2-하이드록시-3,4-디메톡시페닐)-2-프로펜-1-온의 합성
5-클로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대신에 3,4-디메톡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g(5.1 m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1.2g(수율 72%)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7.85 (1H, d), 7.40 (1H, d), 7.33 (1H, s), 7.15 (1H, m), 7.00-6.80 (3H, m), 6.07 (2H, s), 3.84 (6H, s)
FAB MS (m/e) = 329[M++1]
제조예 16 : 3-(벤조[1,3]디옥솔-5-일)-1-(2-하이드록시-3-메톡시페닐)-2-프로펜-1-온의 합성
5-클로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대신에 3-메톡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g(6.02 m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1.2g(수율 67%)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7.85 (1H, d), 7.40 (1H, m), 7.33 (1H, s), 7.15 (2H, m), 7.00-6.80 (3H, m), 6.07 (2H, s), 3.84 (3H, s)
FAB MS (m/e) = 299 [M++1]
제조예 17 : 3-(벤조[1,3]디옥솔-5-일)-1-(2-하이드록시-4,5-디메틸페닐)-2-프로펜-1-온의 합성
5-클로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대신에 4,5-디메틸-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g(6.09 m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1.77g(수율 97%)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7.75 (1H, s), 7.62 (1H, s), 7.38 (1H, d), 7.19 (2H, m), 6.86 (2H, m), 6.07 (2H, s), 2.41 (6H, s)
FAB MS (m/e) = 297 [M++1]
제조예 18 : 3-(벤조[1,3]디옥솔-5-일)-1-(2-하이드록시-6-메톡시페닐)-2-프로펜-1-온의 합성
5-클로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대신에 6-메톡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g(6.02 m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1.25g(수율 70%)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7.80-6.71 (m, 6H), 6.22-6.00 (m, 2H), 5.90 (s, 2H), 3.83 (s, 3H)
FAB MS (m/e) = 299 [M++1]
제조예 19: N-{3-[3-(벤조[1,3]디옥솔-5-일)-2-프로펜오일]-4-하이드록시페닐}아세타미드 합성.
5-아세트아미도-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7.0g (36.23mmol), 3당량의 피페로날 및 3당량의 수산화나트륨 4.32g (108mmol)을 80% 에탄올 수용액 50㎖ 에 섞어서 상온에서 20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물 100㎖ 를 가한 후 10분 가량 더 교반하였다. 이 때 얻어진 흰색의 고체를 여과하고 물과 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목적 화합물 9.46g (수율 80%)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 δ 11.94(1H, s), 9.86(1H, s), 8.13(1H, s), 7.80-7.67(3H, m), 7.52(1H, s), 7.32(1H, d), 7.03(1H, d), 6.95(1H, d), 6.12(2H, s), 2.02(3H, s)
FAB MS (m/e) = 326[M++1]
실시예 1 : 2-(4-클로로-페닐)-7-메톡시-크로멘-4-온(화합물 1)의 합성
제조예 4에서 합성한 2-(4-클로로-페닐)-7-메톡시-크로만-4-온 50mg(0.17 밀리몰)을 3.0당량의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0.12g, 0.51 밀리몰)과 벤젠 용매중에서 하루동안 환류시킨 후 감압 증류하여 벤젠을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5/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7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CDCl3): δ 8.12(d, 1H, J=9.3Hz), 7.84(d, 2H, J=8.8Hz), 7.49(d, 2H, 8.8Hz), 7.00(m, 2H), 6.72(s, 1H), 3.95(s, 3H)
MS(FAB): 287(M+H+)
실시예 2 : 7-메톡시-2-페닐-크로멘-4-온(화합물 2)의 합성
1-(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3-페닐-프로판-1,3-디온 240mg(0.89 밀리몰)을 아세트산에 녹인 후 소듐아세테이트 0.73g(8.9 밀리몰)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하룻밤 환류시켰다. 감압 증류로 아세트산을 제거한 후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5/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7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CDCl3): δ 8.20(m, 1H), 7.91(m, 2H), 7.55(m, 3H), 6.97(m, 3H), 3.90(s, 3H)
MS(FAB): 253(M+H+)
실시예 3 : 7-하이드록시-2-페닐-크로멘-4-온(화합물 3)의 합성
실시예 2에서 수득한 화합물 7-메톡시-2-페닐-크로멘-4-온 100mg(0.4 밀리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인 후 2.0 몰당량의 BBr3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메탄올을 가한 후 감압 증류로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5/95,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6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4-MeOH): δ 8.04(m, 1H), 7.90(m, 2H), 7.61(m, 3H), 6.92(m, 2H), 6.72(m, 1H)
MS(FAB): 239(M+H+)
실시예 4 :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5-메톡시-크로멘-4-온(화합물 4)의 합성
제조예 18에서 수득한 3-(벤조[1,3]디옥솔-5-일)-1-(2-하이드록시-6-메톡시-페닐)-프로페논 100mg(0.35 밀리몰)을 메탄올 5㎖에 녹인 후 10%의 NaOH 6㎖ 및 30% H2O23.9㎖를 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물 20㎖를 가하고 10% HCl 10㎖를 첨가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에틸아세테이트액을 감압 증류한 후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9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4-MeOH): δ 7.70-6.72(m, 6H), 6.00(s, 2H), 3.92(s, 3H)
MS(FAB): 313(M+H+)
실시예 5 :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6-메톡시-크로멘-4-온(화합물 5)의 합성
제조예 7에서 수득한 3-(벤조[1,3]디옥솔-5-일)-1-(2-하이드록시-5-메톡시-페닐)-프로페논 100mg(0.35 밀리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9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4-MeOH): δ 7.56-6.62(m, 6H), 6.08(s, 2H), 3.89(s, 3H)
MS(FAB): 313(M+H+)
실시예 6 :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7-메톡시-크로멘-4-온(화합물 6)의 합성
제조예 14에서 수득한 3-(벤조[1,3]디옥솔-5-일)-1-(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페논 100mg(0.35 밀리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러서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8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4-MeOH): δ 7.30-6.79(m, 6H), 6.00(s, 2H), 3.90(s, 3H)
MS(FAB): 313(M+H+)
실시예 7 : 3-하이드록시-7-메톡시-2-(4-메톡시-페닐)-크로멘-4-온(화합물 7)의 합성
1-(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3-(4-메톡시-페닐)-프로페논 57mg(0.2 밀리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9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4-MeOH): δ 7.60-6.70(m, 7H), 3.90(s, 3H), 3.87(s, 3H)
MS(FAB): 299(M+H+)
실시예 8 : 2-(4-클로로-페닐)-3-하이드록시-7-메톡시-크로멘-4-온(화합물 8)의 합성
제조예 3에서 수득한 3-(4-클로로-페닐)-1-(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페논 200mg(0.69 밀리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8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4-MeOH): δ 7.50-6.80(m, 7H), 3.92(s, 3H)
MS(FAB): 303(M+H+)
실시예 9 : 6-클로로-3-하이드록시-2-(4-메톡시-페닐)-8-니트로-크로멘
-4-온(화합물 9)의 합성
1-(5-클로로-2-하이드록시-3-니트로-페닐)-3-(4-메톡시-페닐)-프로페논 170 mg(0.51 밀리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2/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7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4-MeOH): δ 8.00(s, 1H), 7.67(m, 1H), 7.47-6.78(m, 4H), 3.87(s, 3H)
MS(FAB): 348(M+H+)
실시예 10 : 6,8-디클로로-3-하이드록시-2-(4-메톡시-페닐)-크로멘-4-온(화합물 10)의 합성
제조예 1에서 수득한 1-(3,5-디클로로-2-하이드록시-페닐)-3-(4-메톡시-페닐)-프로페논 150mg(0.47 밀리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7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6-DMSO): δ 8.23-7.90(m, 4H), 7.11(m, 2H), 3.87(s, 3H)
MS(FAB): 337(M+H+)
실시예 11 : 3-하이드록시-2-(4-메톡시-페닐)-크로멘-4-온(화합물 11)의 합성
제조예 2에서 수득한 1-(2-하이드록시-페닐)-3-(4-메톡시-페닐)-프로페논 220mg(0.87 밀리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9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6-DMSO): δ 8.20(m, 3H), 7.81(m, 2H), 7.45(m, 1H), 7.18(m, 2H), 3.91(s, 3H)
MS(FAB): 269(M+H+)
실시예 12 : 2-(벤조[1,3]디옥솔-5-일)-6-클로로-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5에서 수득한 화합물 1g(3.31 mmol)을 메탄올 5㎖에 녹이고, 여기에 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 및 30% 과산화수소수 2㎖를 가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물 5㎖로 희석시키고 4N 염산으로 산성화 시킨 후, 수득된 생성물을 여과하여 옅은 노란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0.83g(수율 80%)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8.20 (1H, br s), 7.75 (1H, s), 7.70 (1H, d), 7.54 (1H, d), 7.50 (1H, s), 6.99 (2H, m)
FAB MS (m/e) = 317 [M++1]
실시예 13 : 2-(벤조[1,3]디옥솔-5-일)-6-브로모-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5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제조예 6에서 수득한 화합물 1g(2.89 m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0.89g(수율 85%)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DMSO-d6, ppm); δ 8.47 (1H, s), 8.32 (1H, s), 7.95-7.75 (3H, m), 6.96 (1H, d), 6.07 (2H, s)
FAB MS (m/e) = 362 [M++1]
실시예 14 : 2-(벤조[1,3]디옥솔-5-일)-6-플루오로-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5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제조예 8에서 수득한 화합물 1.0g(3.48 m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0.85g(수율 81%)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8.30 (1H, br s), 7.79 (1H, s), 7.70 (1H, d), 7.54 (1H, d), 7.50 (1H, s), 6.99 (2H, m)
FAB MS (m/e) = 301 [M++1]
실시예 15 : 2-(벤조[1,3]디옥솔-5-일)-6-메틸-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5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제조예 9에서 수득한 화합물 1.5g(5.3 m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1.3g(수율 82%)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7.78 (1H, br s), 7.45 (1H, s), 7.40 (1H, d),7.34 (1H, d), 7.30 (1H, s), 6.99 (2H, m)
FAB MS (m/e) = 297 [M++1]
실시예 16 : 2-(벤조[1,3]디옥솔-5-일)-6,8-디클로로-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5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제조예 10에서 수득한 화합물 1.4g(4.1 m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1.3g(수율 89%)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10.00 (1H, br s), 8.46 (1H, s), 8.20 (1H, s), 7.95 (1H, d), 7.75 (1H, s), 7.53 (1H, d), 6.15 (2H, s)
FAB MS (m/e) = 351 [M++1]
실시예 17 : 2-(벤조[1,3]디옥솔-5-일)-6,8-디브로모-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5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제조예 11에서 수득한 화합물 2.9g(6.79m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1.86g(수율 62%)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10.05 (1H, br s), 8.35 (1H, s), 8.15 (1H, s), 7.90 (1H, d), 7.75 (1H, s), 7.53 (1H, d), 6.15 (2H, s)
FAB MS (m/e) = 441 [M++1]
실시예 18 : 2-(벤조[1,3]디옥솔-5-일)-6,8-디플루오로-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5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제조예 12에서 수득한 화합물 1.6g(5.2 m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1.5g(수율 89%)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10.00 (1H, br s), 8.37 (1H, s), 8.19 (1H, s), 7.91 (1H, d), 7.75 (1H, s), 7.53 (1H, d), 6.15 (2H, s)
FAB MS (m/e) = 319 [M++1]
실시예 19 : 2-(벤조[1,3]디옥솔-5-일)-6-클로로-3-하이드록시-7-메틸
-4H-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5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제조예 13에서 수득한 화합물 50㎎(157 p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44mg(수율 85%)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8.20 (1H, br s), 7.75 (1H, s), 7.70 (1H, d), 7.54 (1H, d), 7.50 (1H, s), 6.99 (2H, m)
FAB MS (m/e) = 331 [M++1]
실시예 20 :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7,8-디메톡시-4H-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5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제조예 15에서 수득한 화합물 100㎎(303 p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80mg(수율 76%)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7.87 (1H, d), 7.77 (1H, d), 7.56 (1H, s), 7.51 (1H, m), 6.98 (1H, d), 6.07 (2H, s), 3.92 (6H, s)
FAB MS (m/e) = 343 [M++1]
실시예 21 :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8-메톡시-4H-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5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제조예 16에서 수득한 화합물 100㎎(335 p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80mg(수율 76%)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7.87 (1H, d), 7.77 (1H, d), 7.56 (1H, s), 7.51 (1H, m), 7.31-7.26 (2H, m), 6.98 (1H, d), 6.07 (2H, s), 3.92 (3H, s)
FAB MS (m/e) = 313 [M++1]
실시예 22 :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6,7-디메틸-4H-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5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제조예 17에서 수득한 화합물 100㎎(337 p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95mg(수율 90%)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7.84 (1H, s), 7.37 (2H, m), 7.18 (1H, s), 6.91 (1H, m), 6.07 (2H, s), 2.39 (6H, s)
FAB MS (m/e) = 311 [M++1]
실시예 23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아세타미드의 합성
제조예 19로부터 얻은 화합물 4g(12.3mmol)을 메탄올 50㎖ 에 녹이고, 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 와 30% 과산화수소수 10㎖ 를 가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물 50㎖ 로 희석시키고 4N 염산으로 산성화시킨 후, 수득된 생성물을 여과하여 옅은 노란색 고체 3.29g(수율 79%)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 ; δ10.24(1H, br s), 9.49(1H, br s), 8.40(1H, s), 7.90-7.71(4H, m), 7.12(1H, d), 2.08(3H, s)
FAB MS (m/e) = 340[M++1]
실시예 24 : 6-아미노-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의 합성
실시예 23에서 얻은 화합물 3g(8.85mmol)을 80% 에탄올 수용액 30㎖ 와 30% 황산 수용액 10㎖ 에서 120℃에서 18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진한 암모니아수로 중화시켰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 후 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8g(수율 68%)을 얻었다.
1H NMR(CDCl3, ppm);δ7.85(1H, d), 7.75(1H, s), 7.39(1H, d), 7.08(1H, d), 6.97(2H, m), 6.05(2H, s), 3.86(2H, br s)
FAB MS (m/e) = 298[M++1]
실시예 25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메틸벤젠설폰아미드의 합성
실시예 24에서 얻은 6-아미노-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50mg (168pmol)을 메틸렌클로라이드 5㎖에 녹이고 2당량의 4-톨루엔설포닐클로라이드(p-TsCl)와 3당량의 트리에틸아민을 넣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0시간 반응시켰다. 감압 농축 후 분취용 TLC 로 분리하여 목적 화합물 34mg (수율 45%)을 얻었다.
1H NMR(CDCl3, ppm);δ7.79(2H, d), 7.50-7.20(8H, m), 6.99(1H, d), 6.05(2H, s), 2.47(3H, s).
FAB MS (m/e) = 452[M++1]
실시예 26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브로모벤젠설폰아미드의 합성
실시예 24에서 얻은 6-아미노-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100mg (336pmol)을 피리딘 3㎖에 녹이고 2당량의 4-브로모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와 실온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완료 후 생성물을 물 10㎖로 희석시켜서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였다. 수득된 생성물을 물과 에틸에테르로 씻고 건조하여 목적 화합물 159mg (수율 91.6%)을 얻었다.
1H NMR(MeOH-d4, ppm);δ8.69(1H, s), 8.11(1H, s), 7.92-7.70(6H, m), 7.58(1H, m), 7.01(1H, d), 6.06(2H, s).
FAB MS (m/e) = 517[M++1]
실시예 27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3-브로모벤젠설폰아미드의 합성
실시예 26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4-브로모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대신 3-브로모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와 6-아미노-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20mg (67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24mg (수율 69.4%)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70(1H, br s), 9.55(1H, s), 7.91(1H, s), 7.85(1H, d), 7.80(1H, d), 7.72(4H, m), 7.50(2H, m), 7.11(1H, d), 6.12(2H, s).
FAB MS (m/e) = 517[M++1]
실시예 28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2-나프탈렌설폰아미드의 합성
실시예 26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4-브로모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대신 2-나프탈렌설포닐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27mg (수율 82.5%)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69(1H, br s), 9.48(1H, s), 8.45(1H, s), 8.15(2H, m), 8.00(1H, d), 7.78-7.55(8H, m), 7.09(1H, d), 6.11(2H, s).
FAB MS (m/e) = 488[M++1]
실시예 29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5-(디메틸아미노)-1-나프탈렌설폰아미드의 합성
실시예 26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4-브로모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대신 5-디메틸아미노-1-나프탈렌설포닐클로라이드(Dansyl chloride)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22mg (수율 61.7%)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97(1H, br s), 9.46(1H, s), 8.44(1H, d),8.38(1H, d), 8.22(1H, d), 7.75-7.61(6H, m), 7.45(1H, d), 7.26(1H, d), 7.07(1H, d), 6.11(2H, s), 2.79(6H, s).
FAB MS (m/e) = 531[M++1]
실시예 30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2-(1-나프틸)-에탄설폰아미드의 합성
실시예 26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4-브로모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대신 2-(1-나프틸)-에탄설포닐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32mg (수율 92.6%)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34(1H, br s), 9.58(1H, s), 7.98(1H, s), 7.90-7.70(7H, m), 7.50-7.40(4H, m), 7.13(1H, d), 6.14(2H, d), 3.47(2H, m), 3.30(2H, m).
FAB MS (m/e) = 516[M++1]
실시예 31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5-디브로모-2-티오펜설폰아미드의 합성
실시예 26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4-브로모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대신 4,5-티오펜설포닐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33mg (수율 82%)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9.60(1H, s), 7.85-7.74(4H, m), 7.57(2H, m), 7.12(1H, s), 6.16(2H, s).
FAB MS (m/e) = 602[M++1]
실시예 32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1,1'-비페닐]-4-설폰아미드의 합성
실시예 26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4-브로모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대신 4-비페닐설포닐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34mg (수율 98.8%)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67(1H, br s), 9.56(1H, s), 8.00-7.47(14H, m), 7.12(1H, d), 6.12(2H, s).
FAB MS (m/e) = 514[M++1]
실시예 33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5-(이소옥사졸일)-2-티오펜설폰아미드의 합성
실시예 26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4-브로모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대신 5-(이소옥사졸일)-2-티오펜설포닐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30mg (수율 87.7%)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1.00(1H, br s), 9.58(1H, s), 8.70(1H, s), 7.90-7.50(7H, m), 7.15-7.07(2H, m), 6.13(2H, s).
FAB MS (m/e) = 511[M++1]
실시예 34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5-(2-피리디닐)-2-티오펜설폰아미드의 합성
실시예 26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4-브로모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대신 5-(2-피리디닐)-2-티오펜설포닐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30mg (수율 86%)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84(1H, br s), 9.56(1H, s), 8.53(1H, s), 8.00-7.70(7H, m), 7.56(2H, m), 7.40(1H, m), 7.11(1H, m), 6.12(2H, s).
FAB MS (m/e) = 521[M++1]
실시예 35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3,4-디플루오로벤젠설폰아미드의 합성
실시예 26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4-브로모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대신 3,4-디플루오로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22mg (수율 69.4%)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70(1H, br s), 9.57(1H, s), 7.82-7.52(8H, m), 7.11(1H, d), 6.13(2H, s).
FAB MS (m/e) = 474[M++1]
실시예 36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폰아미드의 합성
실시예 26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4-브로모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대신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24mg (수율 70.8%)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84(1H, br s), 9.57(1H, s), 7.95(4H, m), 7.79-7.71(4H, m), 7.52(1H, d), 7.11(1H, d), 6.13(2H, s).
FAB MS (m/e) = 506[M++1]
실시예 37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클로로-3-니트로벤젠설폰아미드의 합성
실시예 26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4-브로모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대신 4-클로로-3-니트로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와 6-아미노-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50mg(168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81mg (수율93.4%)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90(1H, br s), 9.58(1H, s), 8.42(1H, s), 7.95(2H, m), 7.80-7.70(4H, m), 7.53(1H, d), 7.12(1H, d), 6.12(2H, s).
FAB MS (m/e) = 517[M++1]
실시예 38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3-클로로-1-프로판설폰아미드의 합성
실시예 37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4-클로로-3-니트로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대신 3-클로로-1-프로판설포닐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61mg (수율 84.4%)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21(1H, br s), 9.58(1H, s), 7.89(1H, s), 7.81(2H, m), 7.75(1H, s), 7.62(1H, d), 7.13(1H, d), 6.13(2H, s), 3.72(2H, m), 3.26(2H, m), 2.12(2H, m).
FAB MS (m/e) = 438[M++1]
실시예 39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2,4-디플루오로벤젠설폰아미드의 합성
실시예 37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4-클로로-3-니트로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대신 2,4-디플루오로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76mg (수율 95.2%)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96(1H, s), 9.54(1H, s), 7.90(1H, m), 7.79-7.70(4H, m), 7.54(2H, m), 7.25(1H, m), 7.11(1H, d), 6.12(2H, s).
FAB MS (m/e) = 474[M++1]
실시예 40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플루오로벤젠설폰아미드의 합성
실시예 37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4-클로로-3-니트로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대신 4-플루오로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72mg (수율 94%)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59(1H, s), 9.55(1H, s), 7.79-7.71(6H, m), 7.50(1H, d), 7.39(2H, m), 7.12(1H, d), 6.12(2H, s).
FAB MS (m/e) = 456[M++1]
실시예 41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2-(2,2,2-트리플루오로아세틸)-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린설폰아미드의 합성
실시예 26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4-브로모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대신 2-(2,2,2-트리플루오로아세틸)-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린설포닐클로라이드와 6-아미노-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30mg(101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49mg (수율 82.4%)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65(1H, br s), 9.54(1H, s), 7.90-7.70(5H, m), 7.60-7.50(2H, m), 7.40(1H, m), 7.11(1H, d), 6.12(2H, s), 4.78(2H, d), 3.76(2H, d), 2.94(2H, m).
FAB MS (m/e) = 589[M++1]
실시예 42 : 4-({[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아미노}설폰닐)벤조산의 합성
실시예 41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2-(2,2,2-트리플루오로아세틸)-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린설포닐클로라이드 대신 4-클로로설포닐벤조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47mg (수율 96%)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71(1H, br s), 9.55(1H, s), 8.07(2H, d), 7.86-7.70(6H, m), 7.52(1H, d), 7.11(1H, d), 6.12(2H, s).
FAB MS (m/e) = 482[M++1]
실시예 43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린설폰아미드의 합성
실시예 38에서 얻은 화합물 20mg(34 pmol)을 메탄올에 녹이고 1N수산화나트륨수용액 0.1㎖를 넣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한 후 물로 희석시키고 1N 염산으로 산성화 시켰다가 탄산수소나트륨을 넣어 중화시켰다.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씻고 건조하여 목적 화합물 14.4mg (수율 85.8%)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7.76-7.66(4H, m), 7.48(3H, m), 7.23(1H, d), 7.11(1H, d), 6.12(2H, s), 3.85(2H, m), 2.92(2H, m), 2.70(2H, m).
FAB MS (m/e) = 493[M++1]
실시예 44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N'-싸이클로헥실설파미드의 합성
실시예 24에서 얻은 6-아미노-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30mg (101 pmol)을 피리딘 3㎖에 녹이고 혼합물을 과량의 싸이클로헥실아미노설포닐클로라이드와 실온에서 1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완료 후 수득된 생성물을 물 10㎖로 희석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과 에틸에테르로 씻고 건조하여 목적 화합물 6mg (수율 13%)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7.82-7.55(5H, m), 7.13(1H, d), 6.13(2H, s), 3.15(1H, m), 1.67-1.40(4H, m), 1.20-1.05(6H, m).
FAB MS (m/e) = 459[M++1]
실시예 45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4-모폴리닐)-3-니트로벤젠설폰아미드의 합성
실시예 37에서 얻은 화합물 10mg (19.3 pmol)과 과량의 모폴린(morpholine)과 탄산칼륨을 5㎖의 아세토나이트릴에 넣고 4시간 동안 끓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에틸에테르를 넣고 10분간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과 에틸에테르로 씻은 후 건조하여 목적 화합물 5mg (수율 45.5%)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60(1H, br s), 9.55(1H, br s), 8.16(1H, s), 7.80-7.70(5H, m), 7.53(1H, d), 7.36(1H, d), 7.11(1H, d), 6.12(2H, s), 3.64(4H, m), 3.10(4H, m).
FAB MS (m/e) = 568[M++1]
실시예 46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4-메틸-1-피페라지닐)-3-니트로벤젠설폰아미드의 합성
실시예 37에서 얻은 화합물 20mg (38.7 pmol)과 과량의 N-메틸피페라진(N-methylpiperazine)과 탄산칼륨을 5㎖의 아세토나이트릴에 넣고 4시간 동안 끓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한 후 감압농축하여 10% 메탄올/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여서 실리카겔 패드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 4.5mg (수율 20%)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9.50(1H, br s), 8.13(1H, s), 7.79-7.70(5H, m), 7.52(1H, m), 7.35(1H, d), 7.11(1H, d), 6.12(2H, s), 3.10(4H, m), 2.36(4H, m), 2.17(3H, s).
FAB MS (m/e) = 581[M++1]
실시예 47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벤자미드의 합성
실시예 24에서 얻은 6-아미노-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30mg (101pmol)을 메틸렌클로라이드 2㎖에 녹이고 혼합물을 10당량의 벤조일클로라이드와 과량의 탄산칼륨과 함께 실온에서 10시간 반응시켰다. 수득된 생성물을 여과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물로 씻고 건조하여 목적 화합물 32mg (수율 79%)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54(1H, s), 9.55(1H, br s), 8.61(1H, s), 8.17(1H, d), 8.02(2H, d), 7.85-7.78(3H, m), 7.62-7.55(2H, m), 7.14(1H, d), 6.14(2H, s)
FAB MS (m/e) = 402[M++1]
실시예 48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클로로벤자미드의 합성
실시예 47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벤조일클로라이드 대신 4-클로로벤조일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반응시켜서 목적 화합물 43.5mg (수율 99%)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63(1H, br s), 9.61(1H, br s), 8.59(1H, s), 8.15(1H, d), 8.05(2H, d), 8.90-8.70(3H, m), 7.65(2H, d), 7.14(1H, s), 6.14(2H, s)
FAB MS (m/e) = 436[M++1]
실시예 49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N'-벤질우레아의 합성
6-아미노-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30mg(101
pmol)을 1.5당량의 벤질이소시아나이트와 함께 3㎖의 메틸렌클로라이드에서 15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수득된 생성물을 여과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씻고 건조하여 목적 화합물 35.9mg (수율 82.5%)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9.40(1H, br s), 8.96(1H, s), 8.24(1H, s), 7.85-7.65(4H, m), 7.34(2H, m), 7.25(1H, m), 7.12(1H, d), 6.80(1H, m), 6.13(2H, s), 4.33(2H, d).
FAB MS (m/e) = 431[M++1]
실시예 50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N'-(4-브로모페닐)우레아의 합성
실시예 49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벤질이소시아나이트 대신 4-브로모페닐이소시아나이트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34.8mg (수율 69.6%)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7.78(1H, d), 7.72(1H, s), 7.55-7.40(4H, m), 7.20-7.05(4H, m), 6.13(2H, s).
FAB MS (m/e) = 496[M++1]
실시예 51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N'-페닐우레아의 합성
실시예 49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벤질이소시아나이트 대신 페닐이소시아나이트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28.5mg (수율 67.8%)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9.10(1H, s), 8.80(1H, s), 8.31(1H, s), 7.84(1H, d), 7.77(1H, s), 7.72(2H, s), 7.49(1H, d), 7.29(2H, m), 7.13(1H, d), 6.98(1H, d), 6.14(2H, s).
FAB MS (m/e) = 417[M++1]
실시예 52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N'-벤조일우레아의 합성
실시예 49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벤질이소시아나이트 대신 벤조일이소시아나이트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36mg (수율 80%)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1.1(1H, s), 11.0(1H, s), 9.55(1H, s), 8.42(1H, m), 8.04(2H, m), 7.88-7.56(6H, m), 7.13(2H, m), 6.14(2H, s).
FAB MS (m/e) = 445[M++1]
실시예 53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N'-(3-브로모페닐)우레아의 합성
실시예 49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벤질이소시아나이트 대신 3-브로모페닐이소시아나이트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36mg (수율 72%)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9.50(1H, br s), 9.09(1H, s), 8.97(1H, s), 8.30(1H, s), 7.88(1H, s), 7.82(1H, d), 7.76(1H, s), 7.73(2H, s), 7.34(1H, d), 7.25(1H, t), 7.18(1H, d), 7.12(1H, d), 6.14(1H, s).
FAB MS (m/e) = 496[M++1]
실시예 54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N'-(2,4-디클로로페닐)우레아의 합성
실시예 49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벤질이소시아나이트 대신 2,4-디클로로페닐이소시아나이트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39mg (수율 79.6%)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9.75(1H, s), 9.50(1H, br s), 8.44(1H, s), 8.34(1H, s), 8.23(1H, d), 7.84-7.65(5H, m), 7.42(1H, d), 7.13(1H, d), 6.14(2H, s).
FAB MS (m/e) = 486[M++1]
실시예 55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N'-(3-시아노페닐)우레아의 합성
실시예 49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벤질이소시아나이트 대신 3-시아노페닐이소시아나이트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40mg (수율 89.6%)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9.56(1H, s), 9.15(1H, s), 8.32(1H, s), 8.01(1H, m), 7.84(1H, d), 7.80-7.45(6H, m), 7.14(1H, d), 6.14(2H, s).
FAB MS (m/e) = 442[M++1]
실시예 56 : N-[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N'-(4-니트로페닐)우레아의 합성
실시예 49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벤질이소시아나이트 대신 4-니트로페닐이소시아나이트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37.5mg (수율 80.5%)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9.57(1H, s), 9.53(1H, s), 8.33(1H, s), 8.21(2H, m), 7.82-7.74(6H, m), 7.13(1H, d), 6.14(2H, s).
FAB MS (m/e) = 462[M++1]
실시예 57 : 6-클로로-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화합물 12)의 합성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화합물 10mg(31.6 pmol)을 메틸렌클로라이드 2㎖에 녹이고, 3 당량의 보론트리브로마이드(BBr3)를 가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메탄올을 사용하여 남아있는 보론트리브로마이드를 분해시키고 잔류물을 감압, 농축한 후 분취용 TLC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7mg(수율 72%)을 수득하였다.
1H NMR (MeOH-d4, ppm); δ 8.09 (1H, s), 7.80 (1H, s), 7.70 (3H, m), 6.90 (1H, d)
FAB MS (m/e) = 305 [M++1]
실시예 58 : 6-브로모-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화합물 13)의 합성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13에서 수득한 화합물 50mg (138 p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7.8mg(수율 16%)을 수득하였다.
1H NMR (MeOH-d4, ppm); δ 8.26 (1H, s), 7.83 (1H, d), 7.80 (1H, s), 7.72 (1H, d), 7.60 (1H, d), 6.91 (1H, d)
FAB MS (m/e) = 350[M++1]
실시예 59 : 2-(3,4-디하이드록시페닐)-3,6-디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화합물 14)의 합성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5에서 수득한 화합물 50mg (159 pmol)을 사용하고, 보론트리브로마이드(BBr3) 5.0당량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킨 다음 수득된 생성물을 분취용 TLC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 23mg(수율 51%)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7.47-6.48 (6H, m)
FAB MS (m/e) = 287 [M++1]
실시예 60 : 6-아미노-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화합물 15)의 합성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제조예 35에서 수득한 화합물 10mg(33.5 p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5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켰다. 수득된 생성물을 농축시킨 후, 10% 메탄올/메틸렌클로라이드 용액에서 고체를 생성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표제화합물 9.5mg(수율 99%)을 수득하였다.
1H NMR (MeOH-d4, ppm); δ 8.11 (1H, s), 7.85-7.82 (2H, m), 7.75-7.67 (2H, m), 7.62 (1H, d)
FAB MS (m/e) = 286 [M++1]
실시예 61 : 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메톡시-4H-크로멘-4-온(화합물 16)의 합성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5에서 수득한 화합물 50mg (159 pmol)을 사용하고, 보론트리브로마이드(BBr3) 1.5당량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킨 다음 수득된 생성물을 분취용 TLC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 28mg(수율 60%)을 수득하였다.
1H NMR (MeOH-d4, ppm); δ 7.78 (1H, m), 7.65 (1H, m), 7.50 (2H, m), 6.91 (1H, m), 6.80 (1H, m), 3.90 (3H, s)
FAB MS (m/e) = 301 [M++1]
실시예 62 : 6-플루오로-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화합물 17)의 합성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14에서 수득한 화합물 50mg (166 p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40mg(수율 83%)을 수득하였다.
1H NMR (MeOH-d4, ppm); δ 8.26 (1H, d), 7.83 (1H, t), 7.80 (1H, s), 7.72 (1H, d), 7.60 (1H, d), 6.91 (1H, d)
FAB MS (m/e) = 289 [M++1]
실시예 63 : 6-메틸-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화합물 18)의 합성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15에서 수득한 화합물 50mg(168 p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40mg(수율 83%)을 수득하였다.
1H NMR (MeOH-d4, ppm); δ 8.02 (1H, s), 7.63 (1H, d), 7.80 (1H, s), 7.72 (1H, d), 7.60 (1H, d), 6.91 (1H, d), 2.54 (3H, s)
FAB MS (m/e) = 285 [M++1]
실시예 64 : 6,8-디클로로-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화합물 19)의 합성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16에서 수득한 화합물 30mg(85 p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20mg(수율 69%)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9.76 (1H, s), 9.72 (1H, s), 9.36 (1H, s), 8.33 (1H, s), 8.15 (1H, s), 7.83 (1H, s), 7.68 (1H, d), 6.93 (1H, d)
FAB MS (m/e) = 339 [M++1]
실시예 65 : 6,8-디브로모-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화합물 20)의 합성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17에서 수득한 화합물 30mg (68 p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22.8mg(수율 78%)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9.75 (1H, s), 9.69 (1H, s), 9.36 (1H, s), 8.33 (1H, s), 8.15 (1H, s), 7.83 (1H, s), 7.68 (1H, d), 6.93 (1H, d)
FAB MS (m/e) = 429 [M++1]
실시예 66 : 6,8-디플루오로-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화합물 21)의 합성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18에서 수득한 화합물 30mg (94 p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25mg(수율 86%)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9.75 (1H, s), 9.69 (1H, s), 9.36 (1H, s), 8.33 (1H, s), 8.15 (1H, s), 7.83 (1H, s), 7.68 (1H, d), 6.93 (1H, d)
FAB MS (m/e) = 307 [M++1]
실시예 67 : 6-클로로-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7-메틸
-4H-크로멘-4-온(화합물 22)의 합성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19에서 수득한 화합물 30mg (91 p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21.0mg(수율 73%)을 수득하였다.
1H NMR (MeOH-d4, ppm); δ 8.07 (1H, s), 7.79 (1H, s), 7.70 (1H, d), 7.61 (1H, s), 6.90 (1H, d), 2.52 (3H, s)
FAB MS (m/e) = 319 [M++1]
실시예 68 : 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7-메톡시-4H-크로멘-4-온(화합물 23)의 합성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6에서 수득한 화합물 50mg (159 pmol)을 사용하고 보론트리브로마이드(BBr3) 1.5당량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켰다. 수득된 생성물을 분취용 TLC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 28mg(수율 60%)을 수득하였다.
1H NMR (MeOH-d4, ppm); δ 7.78 (1H, m), 7.65 (1H, m), 7.50 (2H, m), 6.91 (1H, m), 6.80 (1H, m), 3.90 (3H, s)
FAB MS (m/e) = 301[M++1]
실시예 69 : 2-(3,4-디하이드록시페닐)-3,8-디하이드록시-7-메톡시-4H-크로멘-4-온(화합물 24)의 합성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20에서 수득한 화합물 30mg(87 p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15mg(수율 54%)을 수득하였다.
1H NMR (MeOH-d4, ppm); δ 8.07 (1H, s), 7.79 (1H, s), 7.70 (1H, d), 7.61 (1H, s), 6.90 (1H, d), 3.84 (3H, s)
FAB MS (m/e) = 317 [M++1]
실시예 70 : 2-(3,4-디하이드록시페닐)-3,8-디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화합물 25)의 합성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21에서 수득한 화합물 30mg(96 p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16mg(수율 58%)을 수득하였다.
1H NMR (MeOH-d4, ppm); δ 8.07 (1H, s), 7.79 (1H, s), 7.70 (1H, d), 7.61 (1H, s), 7.54 (1H, m), 6.90 (1H, d)
FAB MS (m/e) = 287 [M++1]
실시예 71 : 2-(3,4-디하이드록시페닐)-6,7-디메틸-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화합물 26)의 합성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22에서 수득한 화합물 30mg(96 pmol)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25mg(수율 86%)을 수득하였다.
1H NMR (MeOH-d4, ppm); δ 8.07 (1H, s), 7.79 (1H, s), 7.70 (1H, d), 7.61 (1H, s), 6.90 (1H, d), 2.52 (6H, s)
FAB MS (m/e) = 299 [M++1]
실시예 72 : 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5-메톡시-4H-크로멘-4-온(화합물 27)의 합성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4에서 수득한 화합물 60mg (190 pmol)을 사용하고 보론트리브로마이드(BBr3) 1.5당량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키고, 분취용 TLC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23mg(수율 40%)을 수득하였다.
1H NMR(d6-DMSO, ppm): δ 7.71-6.47(m, 6H), 3.91(s, 3H)
FAB MS (m/e) = 301[M++1]
실시예 73 :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메틸벤젠설폰아미드(화합물 28)의 합성
실시예 25에서 얻은 화합물 20mg (44.3 pmol)을 3㎖의 메틸렌클로라이드에서 과량의 보론트리브로마이드(BBr3)로 실온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완결 후 수득된 생성물을 감압농축하고 10% 메탄올/메틸렌클로라이드 용매를 사용하여 분취용 TLC로 분리해서 목적 화합물 2.8mg (수율 14.3%)을 얻었다.
1H NMR(MeOH-d4, ppm);δ7.75-7.48(7H, m), 7.21(2H, d), 6.90(1H, d), 2.32(3H, s).
FAB MS (m/e) = 440[M++1]
실시예 74 : 4-브로모-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벤젠설폰아미드(화합물 29)의 합성
실시예 73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25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실시예 26에서 얻은 화합물 20mg (38.7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14mg (수율 71.5%)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7.73(2H, m), 7.57(3H, m), 7.46(2H, m), 6.89(2H, m).
FAB MS (m/e) = 505[M++1]
실시예 75 : 3-브로모-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벤젠설폰아미드(화합물 30)의 합성
실시예 73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27에서 얻은 화합물 30mg (58.1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16mg (수율 54.5%)을 얻었다.
1H NMR(MeOH-d4, ppm);δ7.92(1H, s), 7.78-7.67(5H, m), 7.59(1H, m), 7.54(1H, m), 7.39(1H, m), 6.89(1H, d).
FAB MS (m/e) = 517[M++1]
실시예 76 :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2-나프탈렌설폰아미드(화합물 31)의 합성
실시예 73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28에서 얻은 화합물 27mg (55.4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11mg (수율 41.7%)을 얻었다.
1H NMR(MeOH-d4, ppm);δ8.37(1H, s), 7.96-7.53(11H, m), 6.87(1H, d).
FAB MS (m/e) = 476[M++1]
실시예 77 :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5-(디메틸아미노)-1-나프탈렌설폰아미드(화합물 32)의 합성
실시예 73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29에서 얻은 화합물 22mg (41.5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11mg (수율 51%)을 얻었다.
1H NMR(MeOH-d4, ppm);δ8.49(1H, d), 8.42(1H, d), 8.24(1H, d), 7.73-7.59(4H, m), 7.47-7.41(3H, m), 7.25(1H, d), 6.86(1H, d), 2.81(6H, s).
FAB MS (m/e) = 519[M++1]
실시예 78 :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2-(1-나프틸)-1-에탄설폰아미드(화합물 33)의 합성
실시예 73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30에서 얻은 화합물 32mg (62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9mg (수율 28.8%)을 얻었다.
1H NMR(MeOH-d4, ppm);δ7.96(1H, s), 7.81-7.71(5H, m), 7.61(2H, s), 7.36(4H, m), 6.91(1H, d), 3.55-3.50(4H, m).
FAB MS (m/e) = 504[M++1]
실시예 79 : 4,5-디브로모-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
-4-옥소-4H-크로멘-6-일]-2-티오펜설폰아미드(화합물 34)의 합성
실시예 73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31에서 얻은 화합물 20mg (33.2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10mg (수율 50.9%)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1.00(1H, br s), 9.40(1H, br s), 7.79(1H, s), 7.71(2H, m), 7.59-7.53(3H, m), 6.89(1H, d).
FAB MS (m/e) = 590[M++1]
실시예 80 :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1,1'-비페닐]-4-설폰아미드(화합물 35)의 합성
실시예 73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32에서 얻은 화합물 35mg (68.2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7.2mg (수율 21%)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63(1H, br s), 9.60(1H, br s), 9.28(2H, br s), 7.84-7.40(14H, m), 6.87(1H, d).
FAB MS (m/e) = 502[M++1]
실시예 81 :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5-(이소옥사졸일)-2-티오펜설폰아미드(화합물 36)의 합성
실시예 73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33에서 얻은 화합물 29mg (56.8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18.7mg (수율 66%)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93(1H, br s), 9.58(1H, br s), 9.32(1H, br s), 8.70(1H, s), 7.84(1H, s), 7.68(3H, m), 7.60-7.50(3H, m), 7.07(1H, s), 6.88(1H, d).
FAB MS (m/e) = 499[M++1]
실시예 82 :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5-(2-피리디닐)-2-티오펜설폰아미드(화합물 37)의 합성
실시예 73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34에서 얻은 화합물 30mg (57.6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29mg (수율 99%)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80(1H, s), 8.53(1H, d), 7.98(1H, d), 7.87(2H, m), 7.77(1H, d), 7.69(2H, m), 7.55(3H, m), 7.38(1H, m), 6.88(1H, m).
FAB MS (m/e) = 509[M++1]
실시예 83 :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3,4-디플루오로벤젠설폰아미드(화합물 38)의 합성
실시예 73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35에서 얻은 화합물 22mg (46.5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11.4mg (수율 53.1%)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65(1H, s), 9.58(1H, s), 9.31(1H, s), 9.29(1H, s), 7.82(1H, t), 7.72-7.50(7H, m), 6.88(1H, d).
FAB MS (m/e) = 462[M++1]
실시예 84 :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폰아미드(화합물 39)의 합성
실시예 73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36에서 얻은 화합물 12mg (23.7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10mg (수율 85.5%)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78(1H, s), 7.95(4H, m), 7.73-7.50(5H, m), 6.88(1H, d).
FAB MS (m/e) = 494[M++1]
실시예 85 : 4-클로로-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3-니트로벤젠설폰아미드(화합물 40)의 합성
실시예 73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37에서 얻은 화합물 20mg (38.7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19mg (수율 97.3%)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84(1H, s), 9.60(1H, br s), 9.35(1H, s), 9.30(1H, br s), 8.41(1H, s), 7.96(2H, m), 7.74-7.66(3H, m), 7.56-7.50(2H, m),6.89(1H, d).
FAB MS (m/e) = 505[M++1]
실시예 86 : 3-클로로-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1-프로판설폰아미드(화합물 41)의 합성
실시예 73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38에서 얻은 화합물 20mg (45.7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19mg (수율 97.8%)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20(1H, s), 9.30(1H, br s), 7.89(1H, s), 7.72(2H, m), 7.59(2H, m), 6.90(1H, d), 3.71(2H, m), 3.26(2H, m), 2.12(2H, m).
FAB MS (m/e) = 426[M++1]
실시예 87 :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2,4-디플루오로벤젠설폰아미드(화합물 42)의 합성
실시예 73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39에서 얻은 화합물 20mg (42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9.4mg (수율 48.6%)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94(1H, s), 9.30(1H, br s), 7.90(1H, m), 7.74(1H, m), 7.68(2H, m), 7.54(3H, m), 7.25(1H, m), 6.88(1H, d).
FAB MS (m/e) = 462[M++1]
실시예 88 :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플루오로벤젠설폰아미드(화합물 43)의 합성
실시예 73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40에서 얻은 화합물 20mg (44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5.2mg (수율 26.5%)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57(1H, br s), 9.60(1H, br s), 9.30(1H, br s), 7.79(2H, m), 7.72(3H, m), 7.50(2H, m), 7.41(2H, m), 6.88(1H, d).
FAB MS (m/e) = 444[M++1]
실시예 89 :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2-(2,2,2-트리플루오로아세틸)-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린설폰아미드(화합물 44)의 합성
실시예 73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41에서 얻은 화합물 20mg (34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3.5mg (수율 17.6%)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9.70-9.00(4H, br m), 7.74-7.20(8H, m), 6.88(1H, d), 4.30(2H, m), 3.80(2H, m), 3.01(2H, m).
FAB MS (m/e) = 577[M++1]
실시예 90 : 4-({[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아미노}설포닐)벤조산(화합물 45)의 합성
실시예 73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42에서 얻은 화합물 20mg (41.5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9.6mg (수율 49%)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56(1H, s), 9.30(1H, br s), 8.10-7.50(9H, m), 6.89(1H, m).
FAB MS (m/e) = 470[M++1]
실시예 91 :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린설폰아미드(화합물 46)의 합
실시예 73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43에서 얻은 화합물 14.4mg (29.2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7.8mg (수율 55.6%)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64(1H, s), 9.63(1H, s), 9.29(1H, br s), 9.0(1H, m), 7.74-7.40(8H, m), 6.89(1H, d), 4.30(2H, m), 3.47(2H, m), 3.00(2H, m).
FAB MS (m/e) = 481[M++1]
실시예 92 : N-싸이클로헥실-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설파미드(화합물 47)의 합성
실시예 73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44에서 얻은 화합물 6mg (13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1.5mg (수율 25.8%)을 얻었다.
1H NMR(MeOH-d4, ppm);δ7.89-7.50(5H, m), 6.91(1H, d), 3.15(1H, m), 1.79-1.16(10H, m).
FAB MS (m/e) = 447[M++1]
실시예 93 :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4-모폴리닐)-3-니트로벤젠설폰아미드(화합물 48)의 합성
실시예 73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45에서 얻은 화합물 20mg (35.2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5mg (수율 25.5%)을 얻었다.
1H NMR(MeOH-d4, ppm);δ7.92(1H, s), 7.53(3H, m), 7.45(1H, d), 7.36(2H, m), 7.01(1H, d), 6.65(1H, d), 3.49(4H, m), 2.90(4H, m).
FAB MS (m/e) = 556[M++1]
실시예 94 :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4-메틸-1-피페라지닐)-3-니트로벤젠설폰아미드(화합 49)의 합성
실시예 73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46에서 얻은 화합물 30mg (51.7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22.5mg (수율 76.5%)을 얻었다.
1H NMR(MeOH-d4, ppm);δ8.30(1H, s), 7.90(1H, m), 7.78(2H, m), 7.69(1H, d), 7.60(2H, m), 7.40(1H, m), 6.89(1H, d), 3.57(4H, m), 3.40(4H, m), 2.94(3H, s).
FAB MS (m/e) = 569[M++1]
실시예 95 : 3-아미노-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4-메틸-1-피페라지닐)벤젠설폰아미드(화합물 50)의 합성
실시예 94에서 얻은 화합물 10mg (17.6 pmol)을 5㎖ 메탄올에 녹이고 10%Pd/C 촉매량을 넣고, 실온 1 기압 수소가스 하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셀라이트 패드로 여과하고 메탄올로 씻었다. 여과액을 농축한 후 건조하여 목적 화합물 6.4mg (수율 67.5%)을 얻었다.
1H NMR(MeOH-d4, ppm);δ7.77(2H, d), 7.69(1H, d), 7.55(2H, m), 7.17(1H, s), 7.06(1H, d), 7.01(1H, d), 6.89(1H, d), 3.34(8H, m), 2.85(3H, s).
FAB MS (m/e) = 539[M++1]
실시예 96 :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아세타미드(화합물 51)의 합성
실시예 23에서 얻은 화합물 20mg (59pmol)을 메틸렌클로라이드 2㎖에 녹이고, 과량의 보론트리브로마이드(BBr3)로 실온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수득된 생성물을 농축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메틸렌클로라이드와 10% 메탄올/메틸렌클로라이드로 씻고 여과 건조하여 목적 화합물 18mg (수율 93%)을 얻었다.
1H NMR(MeOH-d4, ppm);δ8.32(1H, s), 7.94(1H, d), 7.80(1H, s), 7.72(1H, d), 7.69(1H, d), 6.91(1H, d), 2.16(3H, s).
FAB MS (m/e) = 328[M++1]
실시예 97 :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벤자미드(화합물 52)의 합성
실시예 96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실시예 23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실시예 47에서 얻은 화합물 30mg (74.8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24.8mg (수율 85%)을 얻었다.
1H NMR(MeOH-d4+DMSO-d6, ppm);δ11.07(1H, s), 9.25(1H, s), 8.80(1H, d), 8.69(2H, d), 8.51(1H, s), 8.39(2H, m), 8.30-8.20(3H, m), 7.63(1H, d).
FAB MS (m/e) = 390[M++1]
실시예 98 : 4-클로로-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벤자미드(화합물 53)의 합성
실시예 96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실시예 23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실시예 48에서 얻은 화합물 20mg (46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13mg (수율 66.7%)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0.59(1H, s), 9.25(1H, br s), 8.57(1H, s), 8.16(1H, d), 8.05(2H, d), 7.75(2H, m), 7.65(1H, d), 7.63(1H, d), 6.91(1H, d).
FAB MS (m/e) = 424[M++1]
실시예 99 : N-벤질-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우레아(화합물 54)의 합성
실시예 49에서 얻은 화합물 30mg (69.7 pmol)을 3㎖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넣고, 혼합물을 3당량의 보론트리브로마이드(BBr3)와 실온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메탄올로 남아있는 보론트리브로마이드를 분해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메틸렌클로라이드와 10% 메탄올/메틸렌클로라이드로 씻고 여과한 후 건조하여 목적 화합물 23mg (수율 78.9%)을 얻었다.
1H NMR(MeOH-d4, ppm);δ8.83(1H, s), 8.50(3H, m), 8.38(1H, d), 8.29(1H, d), 8.04(4H, m), 7.61(1H, d).
FAB MS (m/e) = 419[M++1]
실시예 100 : N-(4-브로모페닐)-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 -4-옥소-4H-크로멘-6-일]우레아(화합물 55)의 합성
실시예 99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실시예 49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실시예 50에서 얻은 화합물 20mg (40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18mg (수율 92.5%)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7.73(2H, m), 7.57(3H, m), 7.46(2H, m), 7.30(1H, m), 6.89(2H, m).
FAB MS (m/e) = 484[M++1]
실시예 101 :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N'-페닐우레아(화합물 56)의 합성
실시예 99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실시예 49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실시예 51에서 얻은 화합물 19mg (45.6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15mg (수율 81%)을 얻었다.
1H NMR(MeOH-d4, ppm);δ8.13(1H, s), 7.91(1H, d), 7.81(1H, s), 7.72(1H,m), 7.62(1H, s), 7.45(2H, d), 7.29(2H, m), 7.04(1H, m), 6.91(1H, m).
FAB MS (m/e) = 405[M++1]
실시예 102 : N-벤조일-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우레아(화합물 57)의 합성
실시예 99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실시예 49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실시예 52에서 얻은 화합물 24mg (54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18mg (수율 77%)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11.14(1H, s), 11.02(1H, s), 8.40(1H, s), 8.05(1H, d), 7.90(1H, d), 7.75-7.54(6H, m), 6.91(1H, d).
FAB MS (m/e) = 433[M++1]
실시예 103 : N-(3-브로모페닐)-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 -4-옥소-4H-크로멘-6-일]우레아(화합물 58)의 합성
실시예 99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실시예 49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실시예53에서 얻은 화합물 24mg (48.4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20mg (수율 85.5%)을 얻었다.
1H NMR(MeOH-d4, ppm);δ8.14(1H, s), 7.92(1H, d), 7.81(2H, m), 7.13(1H, d), 7.64(1H, d), 7.36(1H, d), 7.20-7.17(2H, m), 6.91(1H, d).
FAB MS (m/e) = 484[M++1]
실시예 104 : N-(2,4-디클로로페닐)-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우레아(화합물 59)의 합성
실시예 99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실시예 49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실시예 54에서 얻은 화합물 26mg (53.6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25mg (수율 98.5%)을 얻었다.
1H NMR(MeOH-d4, ppm);δ8.20(2H, m), 7.90(1H, d), 7.81(1H, s), 7.73(1H, d), 7.65(1H, d), 7.48(1H, s), 7.32(1H, d), 6.91(1H, d).
FAB MS (m/e) = 474[M++1]
실시예 105 : N-(3-시아노페닐)-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 -4-옥소-4H-크로멘-6-일]우레아(화합물 60)의 합성
실시예 99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실시예 49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실시예 55에서 얻은 화합물 10mg (22.6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4.9mg (수율 50.4%)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9.19(1H, s), 9.13(1H, s), 8.82(1H, s), 8.31(1H, s), 8.01(1H, s), 7.93(1H, s), 7.89(1H, s), 7.74-7.34(7H, m), 6.90(1H, s).
FAB MS (m/e) = 430[M++1]
실시예 106 :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N'-(4-니트로페닐)우레아(화합물 61)의 합성
실시예 99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실시예 49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실시예 56에서 얻은 화합물 25mg (54 pmol)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24mg (수율 98%)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9.57(1H, s), 9.28(1H, s), 8.32(1H, s), 8.22(2H,d), 7.74-7.60(6H, m), 6.90(1H, d).
FAB MS (m/e) = 450[M++1]
실시예 107 : N-(4-아미노페닐)-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 -4-옥소-4H-크로멘-6-일]우레아(화합물 62)의 합성
실시예 106에서 얻은 화합물 16mg (35.6 pmol)을 메탄올 2㎖에 녹이고 10% Pd/C를 촉매량 넣고, 1기압 수소가스 하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수득된 생성물을 셀라이트 패드로 여과하고 메탄올로 씻은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 3.5mg (수율 23%)을 얻었다.
1H NMR(DMSO-d6, ppm);δ9.55(1H, s), 9.28(1H, s), 9.20(1H, s), 8.93(1H, s), 8.43(1H, s), 8.25(1H, s), 7.73-7.59(4H, m), 7.21(2H, d), 6.90(1H, d), 6.69(2H, d).
FAB MS (m/e) = 420[M++1]
실험예 1 : CDK2/사이클린 A 및 CDK4/사이클린 D1 효소의 저해능 검색
CDK2 억제능에 대한 실험은 키타가와(Kitagawa) 방법[참조: Kitagawa, M. et al.,Oncogene9: 2549, 1994]에 따라 측정하고, CDK4 억제능은 칼슨(Carlson) 법[참조: Carlson, B.A. et al.,Cancer Research56: 2473, 1996]에 따라 측정하였다.
CDK2로는 CDK2 유전자를 발현하는 배큐로바이러스(baculovirus)와 사이클린 A 유전자를 발현하는 배큐로바이러스를 동시에 감염시킨 곤충세포 추출액 또는 이로부터 정제된 활성효소를 사용하였다. CDK4 효소 역시, CDK4 유전자를 발현하는 배큐로바이러스와 사이클린 D1 유전자를 발현하는 배큐로바이러스를 동시에 감염시킨 곤충세포로부터 얻었다. CDK2의 기질로는 히스톤(histon) H1이나 Rb 단백질을 사용하였고, CDK4의 기질로는 Rb 단백질을 사용하였다.
CDK2/사이클린 A 와 CDK4/사이클린 D1 효소 활동도 측정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약 100ng의 효소를 20㎍의 GST-RB 단백질, 100μM ATP, 5μCi P32-γ-ATP 를 포함한 총 100㎕ 의 20mM 트리스(pH 8.0), 100mM NaCl, 10mM MgCl2완충용액중에서 30℃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후 EDTA 용액을 가하여 그 농도가 20mM이 되도록 하여 효소반응을 종결시켰다. 이어서 30㎕ 의 50% 글루타치온 비드(Pharmacia 에서 구입)를 가하여 GST-RB를 비드에 부착시킨 후, 이를 20mM 트리스(pH 8.0), 100mM NaCl, 10mM EDTA 용액으로 3회 세척하고 섬광계수 (scintillation counting)를 측정하였다. 화합물의 저해능을 분석하기 위해 적당 농도의 저해제를 효소반응용액에 첨가하여 상기한 방법에 따라 효소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측정한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학식(1)의 화합물의 CDK2 및 CDK4 에 대한 저해활성은 IC50값으로 나타내었다. 측정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화합물(화합물 63, 64, 65, 66)들도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 정제하여 IC50값을 측정하였다.
[표 1]
상기 표 1 에 기재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학식(1)의 신규한 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우수한 CDK2 및 CDK4 저해활성을 나타내며, 따라서 항암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외에, CDK2와 상동성이 있고 동일 패밀리에 포함되는 CDK5에 대한 저해작용을 갖기 때문에 신경변성 질병 치료제로서 유용할 수 있다 (참조: John Leu등, "Neuronal CDC2-like kinase", TIBS, January 1995, pp 33∼37).
실험예 2 : 급성독성 시험
실시예 14, 17, 73, 84, 96 및 102 에서 각각 수득한 화합물 14, 17, 28, 39, 51 및 57 의 급성 경구 독성을 다음과 같이 조사하였다. 화합물을 각기 다른여러 농도로 함유하는 용액으로 제조한 후, ICR 계통의 수컷 생쥐에게 1kg 당 10㎖의 투여량으로 경구투여하였다. 투여후 치사율 및 7 일 동안의 증상을 관측하고 리츠필드-윌콕손(Litchfield-Wilcoxon) 방법에 따라 중등 치사량치(LD50, mg/kg)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표 2]
시험 화합물 번호 LD50(mg/kg)
14 >3,000
17 >3,000
28 >3,000
39 >3,000
51 >3,000
57 >3,000

Claims (15)

  1. 하기 화학식(1)의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성체 :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1, R3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저급알콕시, 아미노 또는 니트로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아미노, 니트로 또는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A 는 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르알킬, 아실 또는 아릴로 임의로 치환된 아미노를 나타내며 이때 아릴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및 아미노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되며; 또는 할로게노알킬카보닐로 임의로 치환된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을 나타내거나; 또는 알킬, 아릴,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을 나타내며 이들 각각은 알킬, 할로게노알킬, 할로겐, 디알킬아미노, 페닐, 니트로, 아미노, 이소옥사졸, 피리딘, 카르복시, 모르폴린, 메틸피페라진 및 시아노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체 임의로 치환되며,
    Y 는 SO2또는 CO 를 나타내며,
    B 는 수소 또는 알킬을 나타내고,
    R5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며,
    R6및 R7은 상호 o, m 또는 p 위치에 치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또는 저급알콕시를 나타내거나 R6및 R7이 함께 저급알킬렌디옥시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 R2, R3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저급알콕시 또는 니트로를 나타내고(단, 이들 4개의 치환기중 2개 이상은 수소이다),
    R5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며,
    R6및 R7은 상호 o, m 또는 p 위치에 치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또는 저급알콕시를 나타내거나 R6및 R7이 함께 저급알킬렌디옥시를 나타내는 화합물.
  3. 제 2 항에 있어서,
    R1, R2, R3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클로로, 하이드록시, 메톡시 또는 니트로를 나타내고(단, 이들 4개의 치환기중 2개 이상은 수소이다),
    R5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며,
    R6및 R7는 상호 o, m 또는 p 위치에 치환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클로로 또는 메톡시를 나타내거나, R6및 R7이 함께 메틸렌디옥시를 나타내는 화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R1는 수소, 하이드록시, 저급알콕시 또는 아미노를 나타내고,
    R2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또는 아미노를 나타내며,
    R4는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또는 저급알콕시를 나타내고,
    R5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며,
    R6및 R7은 각각 3-하이드록시 및 4-하이드록시를 나타내는 화합물.
  5. 제 4 항에 있어서,
    R1이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저급알콕시를 나타내고,
    R2가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또는 아미노를 나타내며,
    R3가 수소, 하이드록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또는 아미노를 나타내고,
    R4가 수소, 할로겐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는 화합물.
  6. 제 5 항에 있어서,
    R1이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를 나타내고,
    R2가 수소, 브롬, 하이드록시, 메틸 또는 아미노를 나타내며,
    R3가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또는 아미노를 나타내고,
    R4가 수소, 할로겐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는 화합물.
  7. 제 1 항에 있어서,
    R1, R3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또는 아미노를 나타내고(단, 이들 3개의 치환기중 2개 이상은 수소이다),
    R2는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아미노, 니트로 또는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A 는 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르알킬, 아실 또는 아릴로 임의로 치환된 아미노를 나타내며, 이때 아릴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및 아미노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또는 할로게노알킬카보닐로 임의로 치환된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을 나타내거나; 또는 알킬, 아릴,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을 나타내며 이들 각각은 알킬, 할로게노알킬, 할로겐, 디알킬아미노, 페닐, 니트로, 아미노, 이소옥사졸, 피리딘, 카르복시, 모르폴린, 메틸피페라진 및 시아노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Y 는 SO2또는 CO 를 나타내며,
    B 는 수소 또는 알킬을 나타내고,
    R5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며,
    R6및 R7은 각각 3-하이드록시 및 4-하이드록시를 나타내는 화합물.
  8. 제 7 항에 있어서,
    R1, R3및 R4는 각각 수소를 나타내고,
    A 는 사이클로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아미노를 나타내며, 또는 할로게노알킬카보닐로 임의로 치환된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을 나타내거나; 또는 알킬, 아릴,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을 나타내며 이들 각각은 알킬, 할로게노알킬, 할로겐, 디알킬아미노, 페닐, 니트로, 아미노, 이소옥사졸, 피리딘, 카복시, 모르폴린 및 메틸피페라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체로임의로 치환되며,
    Y 는 SO2를 나타내고, 또한
    B 는 수소인 화합물.
  9. 제 8 항에 있어서, A 는 할로게노알킬카보닐로 임의로 치환된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을 나타내거나; 또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을 나타내며 이들 각각이 알킬, 할로게노알킬, 할로겐, 디알킬아미노, 페닐, 니트로, 아미노, 이속사졸, 피리딘, 카르복시, 모르폴린 및 메틸피페라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화합물.
  10. 제 7 항에 있어서,
    R1, R3및 R4는 각각 수소를 나타내고,
    A는 사이클로알킬, 아르알킬, 아실 또는 아릴로 임의로 치환된 아미노를 나타내며, 이때 아릴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및 아미노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되며; 또는 알킬 또는 아릴을 나타내며 이들 각각은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Y 는 CO를 나타내며, 또한
    B 는 수소인 화합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A 는 아릴로 치환된 아미노를 나타내여 이때 아릴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및 아미노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 치환체로 치환된 화합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2-(4-클로로-페닐)-7-메톡시-크로멘-4-온,
    7-메톡시-2-페닐-크로멘-4-온,
    7-하이드록시-2-페닐-크로멘-4-온,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5-메톡시-크로멘-4-온,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6-메톡시-크로멘-4-온,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7-메톡시-크로멘-4-온,
    3-하이드록시-7-메톡시-2-(4-메톡시-페닐)-크로멘-4-온,
    2-(4-클로로-페닐)-3-하이드록시-7-메톡시-크로멘-4-온,
    6-클로로-3-하이드록시-2-(4-메톡시-페닐)-8-니트로-크로멘-4-온,
    6,8-디클로로-3-하이드록시-2-(4-메톡시-페닐)-크로멘-4-온,
    3-하이드록시-2-(4-메톡시-페닐)-크로멘-4-온,
    6-클로로-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6-브로모-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2-(3,4-디하이드록시페닐)-3,6-디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6-아미노-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메톡시-4H-크로멘-4-온,
    6-플루오로-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6-메틸-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6,8-디클로로-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6,8-디브로모-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6,8-디플루오로-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6-클로로-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7-메틸-4H-크로멘-4-온,
    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7-메톡시-4H-크로멘-4-온,
    2-(3,4-디하이드록시페닐)-3,8-디하이드록시-7-메톡시-4H-크로멘-4-온,
    2-(3,4-디하이드록시페닐)-3,8-디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2-(3,4-디하이드록시페닐)-6,7-디메틸-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5-메톡시-4H-크로멘-4-온,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메틸벤젠설폰아미드,
    4-브로모-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벤젠설폰아미드,
    3-브로모-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벤젠설폰아미드,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2-나프탈렌설폰아미드,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5-(디메틸아미노)-1-나프탈렌설폰아미드,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2-(1-나프틸)-1-에탄설폰아미드,
    4,5-디브로모-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2-티오펜설폰아미드,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1,1'-비페닐]-4-설폰아미드,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5-(이소옥사졸일)-2-티오펜설폰아미드,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5-(2-피리디닐)-2-티오펜설폰아미드,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3,4-디플루오로벤젠설폰아미드,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폰아미드,
    4-클로로-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3-니트로벤젠설폰아미드,
    3-클로로-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1-프로판설폰아미드,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2,4-디플루오로벤젠설폰아미드,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플루오로벤젠설폰아미드,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2-(2,2,2-트리플루오로아세틸)-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린설폰아미드,
    4-({[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아미노}설포닐)벤조산,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 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린설폰아미드,
    N-싸이클로헥실-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설파이드,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4-모폴리닐)-3-니트로벤젠설폰아미드,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4-메틸-1-피페라지닐)-3-니트로벤젠설폰아미드,
    3-아미노-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4-(4-메틸-1-피페라지닐)벤젠설폰아미드,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아세타미드,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벤자미드,
    4-클로로-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벤자미드,
    N-벤질-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우레아,
    N-(4-브로모페닐)-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우레아,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N'-페닐우레아,
    N-벤조일-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우레아,
    N-(3-브로모페닐)-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우레아,
    N-(2,4-디클로로페닐)-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우레아,
    N-(3-시아노페닐)-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우레아,
    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N' -(4-니트로페닐)우레아,
    N-(4-아미노페닐)-N'-[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우레아
    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2-(3,4-디하이드록시페닐)-3,7-디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2-(3,4-디하이드록시페닐)-3,5,7-트리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및
    2-(3,4-디하이드록시페닐)-3,7,8-트리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13. a) 하기 화학식(4)의 화합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존재하에 폐환반응시켜 하기 화학식(5)의 화합물을 제조한 후, 생성된 화학식(5)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환원제 존재하에 환원시켜 하기 화학식(1a)의 화합물을 수득하거나 ; 또는
    b) 하기 화학식(6)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아세트산나트륨 존재하에 폐환반응시켜 하기 화학식(1a)의 화합물을 수득하거나 ; 또는
    c) 하기 화학식(4)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염기 및 과산화수소 존재하에 폐환반응시켜 하기 화학식(1b)의 화합물을 수득하거나 ; 또는
    d) 화학식(1)의 화합물에서 1개 내지 6개의 저급알콕시 그룹을 보론트리브로마이드(BBr3) 존재하에 탈보호하여 하이드록시 또는 디하이드록시 그룹으로 전환시켜 R1, R2, R3, R4, R6및 R7치환체중의 1개 내지 6개가 하이드록시인 화학식(1)의화합물을 수득하거나 ; 또는
    e) 하기 화학식(7)의 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유도체를 하기 화학식(8a)의 피페로날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4a)의 화합물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화학식(4a)의 화합물을 과산화수소 존재하에 폐환반응시켜 하기 화학식(1cc)의 화합물을 수득하거나 ; 또는
    f) 상기 수득한 화학식(1cc)의 화합물을 보론 트리브로마이드 (BBr3)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1dd)의 화합물을 수득하거나 ; 또는
    g) 화학식(7a)의 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유도체와 화학식(8a)의 피페로날 및 수산화나트륨을 에탄올 수용액 용매에서 반응시켜 화학식(4b)의 화합물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화학식(4b)의 화합물을 메탄올 용매에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및 과산화수소와 반응시켜 화학식(1e)의 화합물을 수득하거나 ; 또는
    h) 상기 수득한 화학식(1e)의 화합물을 황산 수용액과 알콜 용매에서 반응시켜 가수분해한 화학식(9a)의 화합물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화학식(9a)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10)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11)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1hh)의 화합물을 수득하거나; 또는
    i) 상기 수득한 화학식(1hh)의 화합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 용매에서 보론 트리브로마이드(BBr3)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1i)의 화합물을 수득하여,
    제 1 항에 따르는 화학식(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1a]
    [화학식 6]
    [화학식 1b]
    [화학식 7]
    [화학식 8a]
    [화학식 4a]
    [화학식 1cc]
    [화학식 1dd]
    [화학식 7a]
    [화학식 4b]
    [화학식 1e]
    [화학식 9a]
    [화학식 10]
    A-Y-X
    [화학식 11]
    A'-N=C=O
    [화학식 1hh]
    [화학식 1i]
    상기식에서,
    R1, R2, R3, R4, R6, R7, A, Y 및 B 는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 는 반응 이탈기이이고,
    A'는 아르알킬, 아실 또는 아릴을 나타내며 이때 아릴은 할로겐, 시아노 및 니트로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다.
  14.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활성성분으로서 제1항에 정의된 화학식 (1)의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이성체를 함유하는 항암제 조성물.
  15.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활성성분으로서 제1항에 정의된 화학식 (1)의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이성체를함유하는 신경변성 질병 치료제 조성물.



















KR1020017000420A 1998-09-01 1999-08-31 플라본 구조를 갖는 신규한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KR200100718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837A KR20000018305A (ko) 1998-09-01 1998-09-01 Cdk 저해제로서 유용한 크로멘 유도체
KR1019980035837 1998-09-01
KR1019990012523 1999-04-09
KR1019990012523A KR20000065824A (ko) 1999-04-09 1999-04-09 하이드록시플라본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KR1019990013225A KR20000066253A (ko) 1999-04-15 1999-04-15 싸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9990013225 1999-04-15
PCT/KR1999/000499 WO2000012496A1 (en) 1998-09-01 1999-08-31 Novel cdk inhibitors having flavone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836A true KR20010071836A (ko) 2001-07-31

Family

ID=2734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420A KR20010071836A (ko) 1998-09-01 1999-08-31 플라본 구조를 갖는 신규한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00846B1 (ko)
EP (1) EP1109800A1 (ko)
JP (1) JP2002523501A (ko)
KR (1) KR20010071836A (ko)
AU (1) AU5531599A (ko)
WO (1) WO20000124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80789A1 (en) * 2000-05-03 2003-02-05 LG Life Sciences Ltd. Cdk inhibitors having 3-hydroxychromen-4-one structure
KR100399364B1 (ko) * 2000-09-18 2003-09-26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의 저해제로서 유용한3-히드록시-6-아미노-크로멘-4-온 유도체
US6472436B1 (en) * 2000-07-17 2002-10-29 The Salk Institute For Biological Studies Methods for protecting cells from amyloid toxicity and for inhibiting amyloid protein production
US20020160983A1 (en) * 2001-03-16 2002-10-31 Alberto Bargiotti Substituted benzopyranones as telomerase inhibitors
DE60237213D1 (de) * 2001-09-06 2010-09-16 Synorx Inc Hemmung der t-lymphozyten-aktivierung durch 3-deoxyflavonoide und relevante therapien
US20040102386A1 (en) * 2001-09-06 2004-05-27 Thomas Lahey Inhibition by 3-deoxyflavonoids of T-lymphocyte activation and therapies related thereto
AU2003221762B2 (en) * 2002-04-30 2008-09-25 Alcon, Inc. Agents which regulate, inhibit or modulate the activity and/or expression of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CTGF) as a unique means to both lower intraocular pressure and treat glaucomatous retinopathies/optic neuropathies
JP5380069B2 (ja) 2005-03-11 2014-01-08 ハワード フローリー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フラボノイド化合物およびその使用
AU2006233256B2 (en) * 2006-10-30 2012-01-19 Armaron Bio Pty Ltd Improved flavonols
CA2715796C (en) 2008-03-06 2015-04-28 Rottapharm S.P.A. 2-aryl and 2 -heteroaryl 4h-1-benzopyran-4-one-6-amidino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arthritis, cancer and related pain
EP2112145A1 (en) * 2008-04-24 2009-10-28 AxoGlia Therapeutics S.A. Chromenone derivative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WO2011029956A1 (en) * 2009-09-14 2011-03-17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Inserm) Flavones and flavanones derivates as dna methyltransferases inhibitors
WO2012172090A1 (en) 2011-06-17 2012-12-20 Ludwig Aigner Chromane-like cyclic prenylflavonoids for the medical intervention in neurological disorders
CA2844511A1 (en) * 2011-08-11 2013-02-14 Neuprotect Pty Ltd Flavonoid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2844670A1 (en) * 2011-08-12 2013-02-21 Salk Institute For Biological Studies Neuroprotective polyphenol analogs
CN102993149A (zh) * 2012-12-17 2013-03-27 江南大学 一种微波辅助合成b-环取代黄酮化合物的方法
CN105272970A (zh) * 2014-07-03 2016-01-27 中国药科大学 基于色原酮结构的Raf激酶抑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6905280B (zh) * 2017-02-24 2019-04-09 安徽医科大学 一种酰胺基取代的橙皮素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作为抗阿尔兹海默症的药物中的应用
CN111171018B (zh) * 2018-11-13 2022-08-16 沈阳化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查尔酮类化合物及其应用
CN109400595B (zh) * 2018-12-24 2020-07-17 深圳市第二人民医院 一类含噻吩环的抗癌化合物
WO2022113047A1 (en) * 2020-11-30 2022-06-02 Stellenbosch University 4'-substituted analogues of fisetin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canc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7818A (ja) * 1984-12-07 1986-06-25 Mitsubishi Chem Ind Ltd 抗腫瘍剤
JP3086312B2 (ja) * 1991-10-28 2000-09-11 富山化学工業株式会社 インターロイキン6の産生抑制剤並びにその産生抑制作用が有効な疾患の治療・予防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00846B1 (en) 2002-12-31
JP2002523501A (ja) 2002-07-30
EP1109800A1 (en) 2001-06-27
WO2000012496A1 (en) 2000-03-09
AU5531599A (en) 2000-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1836A (ko) 플라본 구조를 갖는 신규한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US9783499B2 (en) Quinoline derivatives and their applications
JP2009511562A (ja) pSTAT3/IL−6インヒビターとしての新規ヘテロ環式化合物
KR101890442B1 (ko) P2x4 수용체 길항제
WO2003043961A2 (en) Modulators of rho c activity
KR101890443B1 (ko) P2x4 수용체 길항제
US6683095B2 (en) CDK inhibitors having 3-hydroxychromen-4-one structure
KR20000018305A (ko) Cdk 저해제로서 유용한 크로멘 유도체
US20040132807A1 (en) Aurones as telomerase inhibitors
EP1453470A1 (en) Modulators of rho c activity
KR100392468B1 (ko)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의 저해제로서 유용한3-히드록시크로멘-4-온 유도체
KR20000066253A (ko) 싸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010103188A (ko) 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cdk 저해제
KR20000065824A (ko) 하이드록시플라본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KR100380146B1 (ko) 나프토퀴논구조를갖는사이클린-의존키나아제저해제화합물
KR100589967B1 (ko) 항암제로 사용되는 3-아미노-6-메틸-인다졸 유도체
KR100399364B1 (ko)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의 저해제로서 유용한3-히드록시-6-아미노-크로멘-4-온 유도체
KR20010097480A (ko) 새로운 구조를 갖는 cdk 저해제
KR20010097477A (ko) 새로운 구조를 갖는 플라본 계열 cdk 저해제
RU2251546C1 (ru) Замещенные 3-оксо-1,2,3,4-тетрагидрохиноксалины,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варианты),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я
WO2011055142A2 (en) 1,4-quinones and their sulfur analogues useful as ligands of n-acetyltransferases
KR20010097481A (ko) 새로운 구조를 갖는 cdk 저해제
KR20030064078A (ko) 6-번 위치에 아미노메틸기가 치환된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 의존키나아제 저해제
KR19990069877A (ko) 나프토퀴논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화합물
KR20040066296A (ko) 3-(2-아미노-4-피리미디닐)-2-나프톨 구조를 갖는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