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4078A - 6-번 위치에 아미노메틸기가 치환된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 의존키나아제 저해제 - Google Patents

6-번 위치에 아미노메틸기가 치환된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 의존키나아제 저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4078A
KR20030064078A KR1020020004512A KR20020004512A KR20030064078A KR 20030064078 A KR20030064078 A KR 20030064078A KR 1020020004512 A KR1020020004512 A KR 1020020004512A KR 20020004512 A KR20020004512 A KR 20020004512A KR 20030064078 A KR20030064078 A KR 20030064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hydroxy
chloro
chromen
hydroxy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용
이진호
이인상
이성배
김종현
최세현
김학중
최환근
김민형
김정인
홍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to KR1020020004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4078A/ko
Publication of KR20030064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07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22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 C07D311/26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 C07D311/28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nly
    • C07D311/30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nly not hydrogenated in the hetero ring, e.g. flav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Cyclin Dependent Kinase; 이하, "CDK"라 한다)의 저해제로서 유용한 하기 화학식 1의 신규한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성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R1, R2 및 R3 은 각각 명세서에 정의한 바와 같다.

Description

6-번 위치에 아미노메틸기가 치환된 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Inhibitors of cyclin dependent kinase with 3-hydroxychromen-4-one structure having aminomethyl group at 6-position}
본 발명은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Cyclin Dependent Kinase; 이하, "CDK"라 한다)의 저해제로서 유용한 하기 화학식 1의 신규한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성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콕시카보닐을 나타내거나; 산소 및 질소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며임의로 C1-C4-알킬을 포함할 수 있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6-알킬을 나타내거나; 하이드록시, 할로겐, 또는 산소 및 질소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며 임의로 C1-C4-알킬을 포함할 수 있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 또는 하이드록시-C1-C4-알킬 및 C1-C4-알킬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개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미노에 의해 치환된 카보닐-C1-C6-알킬을 나타내거나; 할로겐, 또는 산소 및 질소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며 임의로 C1-C4-알킬을 포함할 수 있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 또는 하이드록시-C1-C4-알킬 및 C1-C4-알킬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개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미노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6-알킬카보닐을 나타내거나,
R1 및 R2 는 이들이 치환된 질소원자와 함께 산소 및 질소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며 임의로 C1-C4-알킬을 포함할 수 있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을 나타내고,
R3 는 할로겐, 아미노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 피리딘, C1-C4-알킬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피페리딘, 또는 피리디늄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포분열 과정의 분자 수준에서의 본격적인 연구는 1980년대 후반 개구리 난자의 분열에 관한 연구, 효모의 여러 세포 성장이나 방사성 돌연변이의 특성분석, 그리고 종양 억제자인 Rb 연구를 통하여 활발해지기 시작했다. 1990년대에 들어 작은 크기의 세포주기 조절인자가 그의 조절기능을 통하여 세포의 성장, 분화, 발생, 노화, 고사(apoptosis) 등 세포분열과정을 조절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러 질병의 병리현상들을 좀더 정확히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암(cancer)이다.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세포성장 조절이 그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많이 발견되었다. 즉, 암세포에서는 세포주기 조절인자의 비정상적인 활성이 많이 발견되었고 이중에는 암병리학에서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침입/전이(invasion/metastasis)의 깊은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경우도 있다. 특히, 형질전환된 동물을 이용하여 세포성장 조절요소들의 과발현(overexpression) 또는 녹아웃(knock-out)을 유도하면 이들 실험동물에 암이 유발되는 것으로부터 세포주기의 조절해제(cell cycle deregulation)가 암을 유발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임을 알 수 있다.
세포의 성장은 다른 모든 생물학적 조절과 마찬가지로 세포가 처한 환경에 따라 포지티브 조절과 네거티브 조절을 받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세포주기 조절의 주된 경로는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의 활성에 의한 것으로서, 많은 암세포 및 발암기전에 대한 연구결과 키나아제 활성에 대한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조절상의 문제가 암의 발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균형잡힌 조절이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적시 조절(timely regulation)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암이 발생될 수 있다.
포유류의 대표적인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로는 세포주기의 mid-G1기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CDK4(cyclin dependent kinase 4), mid-G1 및 S기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CDK2, 및 G2-M기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CDC2(CDK1)을 들 수 있다. 이중 CDK4 및 CDK2는 G1-S 세포주기 체크포인트에 의해서 그 활성이 조절되며 CDC2는 G2-M 체크포인트에 의해서 그 활성이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러 암세포에서 CDK4, CDK2, CDC2(CDK1)의 조절기작에 있어서의 비정상성을 보여주고 있고, 실제로 형질전환된 동물에서 인위적으로 유도된 이들 효소의 비정상성이 암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들 대표적인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CDK4, CDK2, CDC2(CDK1)는 항암제의 표적(target)으로서 매우 좋은 위치에 있다.
이들 CDKs와 암발병과의 관련성에 대해 지금까지 보고된 결과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DK4 활성의 비정상적 조절과 암발병과의 연관성은 여러 암조직에서 관찰되고 있다. 여러 종류의 암에서 p16, p15 유전자의 결실 또는 사이클린 D1의 과발현이 확인되고 있는데, 이는 유방암이 전이성질을 띄는 것과 잘 연관이 되고 있으며, CDK4 활성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암의 악성 표현형(malignant phenotype)이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p16 녹아웃 마우스는 p53 녹아웃 마우스만큼이나 암발생율이 높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이로부터 CDK4 조절에 대한 p16의 기능상실이 암의 원인임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p16이 Ras나 src 등을 과량발현시킨 NIH 3T3 세포에 있어서 하부(downstream)에서 그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을 보여준다고할 수 있다. 역으로 p16 이나 p21을 ras로 형질변환시킨 세포에서 발현시키면 변형된 표현형이 정상적인 표현형으로 바뀌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실험적 증거들은 CDK4 활성의 조절해제가 암을 유도하는 분명한 원인임을 입증한다고 여겨지고, 한걸음 더 나아가 암세포의 표현형을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 준다고 하겠다. 따라서 CDK4의 저해제는 항암효과를 보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한편, CDK2의 경우에, 일부 유방암에서 사이클린 E의 과발현이 관찰되고 이는 유방암의 전이와 깊은 연관이 있으며, 사이클린 E의 과발현이 낮은 혈청조건에서 세포의 고사를 저해하고 고착 비의존성 성장(anchorage independent growth)을 유발시키며, MMTV 프로모터를 이용하여 CDK2가 과발현되는 형질전환 동물에서 유방 상피세포의 이상증식(hyperproliferation, neoplasia)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CDK2 활성이 세포변형 과정 또는 그의 유지에 관여함을 강하게 시사하며, CDK2의 저해제가 항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CDC2(CDK1), CDK3, CDK5, CDK6, CDK7 등이 세포분열의 각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차츰 밝혀지고 있고 이들은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CDKs) 패밀리로 구분되고 있다. 또한, 사이클린의 경우도 위에서 언급했던 사이클린 D1이나 사이클린 E 이외에 사이클린 A, B, C, D2, D3, D4, F 및 G 가 같은 패밀리에 속한다.
이렇게 축적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이들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저해제가 항암제로서 유용하리라는 인식하에 이들 저해제에대한 개발이 최근에와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개발된 CDKs 저해제로서 효과적인 화합물로는 하기 화학식 2의 플라보피리돌(Flavopiridol; 유럽특허 제0,241,003호(1987) 및 제0,366,061호(1990) 참조)을 들 수 있다.
또한, 퓨린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3의 CDKs 저해제가 최근에 보고된 바 있으며(참조: WO 97/16447), 구조적으로 전혀 상이한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이 효과적인 CDK 저해제인 것으로 보고되었다(참조: WO 98/33798).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CDK 저해제들은 아직까지 충분히 만족스러운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며,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들 CDKs 효소들의 저해제, 특히 플라본계열 화합물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새로운 구조를 갖는 상기 화학식 1의 3-하이드록시플라본 구조의 화합물이 상기한 CDKs 효소들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CDKs 활성을 저해하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CDKs 란 CDK2, CDK4 및 CDC2(CDK1), CDK3, CDK5, CDK6, CDK7 등을 모두 포함하며, 사이클린도 사이클린 D1 과 사이클린 E 및 사이클린 A, B, C, D2, D3, D4, F, G 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CDKs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하기 화학식 1의신규한 화합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성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콕시카보닐을 나타내거나; 산소 및 질소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며 임의로 C1-C4-알킬을 포함할 수 있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6-알킬을 나타내거나; 하이드록시, 할로겐, 또는 산소 및 질소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며 임의로 C1-C4-알킬을 포함할 수 있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 또는 하이드록시-C1-C4-알킬 및 C1-C4-알킬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개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미노에 의해 치환된 카보닐-C1-C6-알킬을 나타내거나; 할로겐, 또는 산소 및 질소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며 임의로 C1-C4-알킬을 포함할 수 있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 또는 하이드록시-C1-C4-알킬 및C1-C4-알킬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개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미노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6-알킬카보닐을 나타내거나,
R1 및 R2 는 이들이 치환된 질소원자와 함께 산소 및 질소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며 임의로 C1-C4-알킬을 포함할 수 있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을 나타내고,
R3 는 할로겐, 아미노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 피리딘, C1-C4-알킬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피페리딘, 또는 피리디늄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치환체의 종류에 따라 비대칭 탄소중심을 가질 수 있고 이중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으므로, 개개의 에난티오머, 부분입체이성체 또는 기하이성체로 존재할 수 있고, 라세미체를 포함한 이들의 혼합물로도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성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무독성 산부가염을 형성하는 산,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등과 같은 유기 카본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또는 나프탈렌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포함된다.
화학식 1의 화합물중 대표적인 화합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6-(아미노메틸)-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화합물 1);
6-(아미노메틸)-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8-(4-피리딜)-4H-크로멘-4-온(화합물 2);
6-(아미노메틸)-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8-(3-피리딜)-4H-크로멘-4-온(화합물 3);
6-(아미노메틸)-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8-(3,4-디아미노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화합물 4);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메틸아미노)메틸]-8-(4-피리딜)-4H-크로멘-4-온(화합물 5);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6-[(디메틸아미노)메틸]-3-하이드록시-8-(4-피리딜)-4H-크로멘-4-온(화합물 6);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6-[(디에틸아미노)메틸]-3-하이드록시-8-(4-피리딜)-4H-크로멘-4-온(화합물 7);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1-피페리디닐메틸)-8-(4-피리딜)-4H-크로멘-4-온(화합물 8);
6-(아미노메틸)-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8-(1-메틸-4-피페리디닐)-4H-크로멘-4-온(화합물 9);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메틸아미노)메틸]-8-(1-메틸-4-피페리디닐)-4H-크로멘-4-온(화합물 10);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6-[(디메틸아미노)메틸]-3-하이드록시-8-(1-메틸-4-피페리디닐)-4H-크로멘-4-온(화합물 11);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6-[(디에틸아미노)메틸]-3-하이드록시-8-(1-메틸-4-피페리디닐)-4H-크로멘-4-온(화합물 12);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8-(1-메틸-4-피페리디닐)-6-(1-피페리디닐메틸)-4H-크로멘-4-온(화합물 13);
N-{[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2-(4-모폴리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4);
N-{[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2-[(2-하이드록시에틸)(메틸)아미노]아세트아미드(화합물 15);
N-{[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2-(4-메틸-1-피페라지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6);
2-({[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아미노)아세트산(화합물 17);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2-(4-모폴리닐)-2-옥소에틸]아미노}메틸)-4H-크로멘-4-온(화합물 18);
2-({[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아미노)-N-(2-하이드록시에틸)-N-메틸아세트아미드(화합물 19);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2-(4-메틸-1-피페라지닐)-2-옥소에틸]아미노}메틸)-4H-크로멘-4-온(화합물 20);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3-(4-모폴리닐)-3-옥소프로필]아미노}메틸)-4H-크로멘-4-온(화합물 21);
3-({[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아미노)-N-(2-하이드록시에틸)-N-메틸프로판아미드(화합물 22);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3-(4-메틸-1-피페라지닐)-3-옥소프로필]아미노}메틸)-4H-크로멘-4-온(화합물 23);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3-(4-모폴리닐)프로필]아미노}메틸)-4H-크로멘-4-온(화합물 24);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메틸[3-(4-모폴리닐)프로필]아미노}메틸)-4H-크로멘-4-온(화합물 25);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3-(1-피페라지닐)프로필]아미노}메틸)-4H-크로멘-4-온(화합물 26); 및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2-(1-피페라지닐)에틸]아미노}메틸)-4H-크로멘-4-온(화합물 27).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방법, 예를들어 반응용매, 염기, 반응물질의 사용량과 같은 반응조건들이 하기에 설명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에 기재되거나 당업계의 공지문헌에 개시된 여러 가지 합성방법을 임의로 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이러한 조합은 본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범용화된 통상의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합성경로를 통해 합성하였으며, 이를 도식화하여 하기 반응식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상기식에서
R1' 및 R2' 는 각각 R1 및 R2와 동일하나, 단 수소는 제외된다.
반응식 1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합물[4]와 3-클로로-4-메톡시벤즈알데히드를 80% 에탄올 수용액에서 3당량의 수산화나트륨과 함께 실온에서 15시간동안 교반하여 화합물[5]를 얻는다. 수득된 화합물[5]를 메탄올에 넣고 3당량의 30% 과산화수소수와 3당량의 2N 수산화나트륨을 가한 후,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하여 화합물[6]을 얻는다. 이 화합물을 아세톤에 넣고 10당량의 요오드화메탄과 1.1당량의 탄산칼륨을 가한 다음, 15시간 환류시키면 화합물[7]이 수득된다. 수득된 화합물[7]에 촉매량의 디메틸아미노피리딘과 1.2당량의 디(t-부틸)디카보네이트를 넣고 디메틸포름아미드 용매중의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하여 화합물[8]을 얻는다. 화합물[8]을 메탄올과 디클로로메탄의 1/1 혼합용매에 녹이고 2N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반응시켜 화합물[9]를 얻는다. 이 화합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디클로로메탄의 1/1 혼합용액에 가하고 교반하여 화합물[10]을 얻는다. 화합물[10]의 아민에 수소를 제외한 R1 및 R2 그룹을 도입시켜 화합물[11]을 얻은 다음, 이 화합물을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넣고 10당량의 보론트리브로마이드를 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반응시켜 화합물[1a]를 얻는다.
상기식에서
R1' 및 R2' 는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이하, 반응식 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반응식 1에서 제조한 화합물[9]와 1.2당량의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3당량의 아세트산칼륨, 및 5몰%의 디클로로비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매중의 질소환경하에 80 내지 90℃로 가열하며 2시간 반응시킨다. 반응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1.5당량의 4-브로모피리딘 염산염과 5몰%의 디클로로비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그리고 2M 탄산나트륨 수용액 2-3당량을 넣고 15시간 반응시키면, 화합물[12]가 얻어진다. 수득된 화합물[12]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디클로로메탄의 1/1 혼합용액중에서 교반하여 화합물[13]을 얻는다. 화합물[13]의 아민에 수소를 제외한 R1 및 R2 그룹을 도입시켜 화합물[14]를 얻은 다음, 이 화합물을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넣고 10당량의 보론트리브로마이드를 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반응시켜 화합물[1b]를 얻는다.
상기식에서
R1' 및 R2' 는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이하, 반응식 3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한 화합물[12]를 10당량의 요오드화메탄과 함께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용매중에서 15시간 가열 환류하면 화합물[15]가 얻어진다. 수득된 화합물[15]를 10% 메탄올/디클로로메탄에 녹이고 5몰%의 산화백금을 넣은 다음 상온, 1기압의 수소압력하에 15시간 반응시켜 화합물[16]을 수득한다. 화합물[16]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디클로로메탄의 1:5 혼합용액에서 교반하여 화합물[17]을 얻는다. 화합물[17]의 아민에 수소를 제외한 R1 및 R2 그룹을 도입시켜 화합물[18]을 얻은 다음, 이 화합물을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넣고 10당량의 보론트리브로마이드를 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반응시켜 화합물[1c]를 얻는다.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상기 설명한 제조방법은 하나의 예시일 뿐으로서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는 한 얼마든지 다른 방법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화합물들도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방법을 선택하느냐는 당업자의 재량에 속하는 문제이다. 구체적인 반응조건들에 대해서는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를 참고할 수 있다.
반응이 완결된 후에 생성물은 통상적인 후처리 방법, 예를 들면 크로마토그래피, 재결정화 등의 방법에 의해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CDKs 에 대한 우수한 저해활성으로 인하여 항암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화학식 1의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이성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임상적인 목적으로 투여시에 단일용량 또는 분리용량으로 숙주에게 투여될 총 일일용량은 체중 1kg 당 0.1 내지 1000mg의 범위가 바람직하나, 특정 환자에 대한 특이 용량 수준은 사용될 특정 화합물, 체중, 성,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약제혼합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주사용 제제 및 경구용 제제로 투여할 수 있다.
주사용 제제, 예를들면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은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적합한 분산제, 습윤제 또는 현탁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용매에는 물, 링거액 및 등장성 NaCl 용액이 있으며, 멸균 고정 오일은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한다. 모노-,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은 주사용 제제에 사용할 수 있다.
경구투여용 고체투여 형태는 캅셀제, 정제, 환제, 산제 및 입제가 가능하고, 특히 캅셀제와 정제가 유용하다. 정제 및 환제는 장피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투여 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활성화합물을 슈크로오즈, 락토오즈, 전분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불활성 희석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붕해제 및 결합제 중에서 선택된 담체와 혼합시킴으로서 제조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임상적으로 투여하여 목적하는 항암효과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 화학식 1의 활성화합물은 공지의 항암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과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과 혼합하여 투여될 수있는 항암제로는 5-플루오로우라실, 시스플라틴, 독소루비신, 택솔, 젬시타빈 (Gemcitabine)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항암효과를 목적으로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함유 제제는 상술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암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한 제제라면 어떠한 것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N -(4-메톡시벤질)아세트아미드의 합성
4-메톡시벤질아민 20g(145.8mmol)과 탄산나트륨 18.6g(175mmol)을 디클로로메탄 100㎖와 물 100㎖에 넣고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아세트산무수물 16.3g(160.3 mmol)을 천천히 가하였다. 실온에서 한시간동안 교반한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디에틸에테르를 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표제화합물 24g(수율 91.8%)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δ 7.10(d, 2H), 6.75(d, 2H), 4.30(s, 2H), 3.70(s, 3H), 1.99(s, 3H)
FAB MS(m/e) = 180[M++1]
제조예 2
N -(3-아세틸-4-하이드록시벤질)아세트아미드의 합성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24g(133.9mmol)을 카본디설파이드 100㎖에 넣고, 알루미늄클로라이드 53g(398mmol)을 가하였다. 용액을 교반하면서, 아세틸클로라이드 19㎖를 카본디설파이드 30㎖에 섞어서 실온에서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액을 한시간동안 환류시키고 냉각시켰다. 차가운 물을 조심스럽게 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디에틸에테르를 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감압하에 여과하여 표제화합물 21.9g(수율 79%)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δ 7.64(s, 1H), 7.40(d, 1H), 6.94(d, 1H), 5.82(br s, 1H), 4.36(s, 2H), 2.63(s, 3H), 2.02(s, 3H)
FAB MS(m/e) = 208[M++1]
제조예 3
N -(3-아세틸-5-브로모-4-하이드록시벤질)아세트아미드의 합성
제조예 2에서 얻은 화합물 21.9g(105.8mmol)을 아세트산 150㎖에 녹이고 브롬 20g(125mmol)을 천천히 실온에서 가하였다. 실온에서 15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농축하고 물을 가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표제화합물 27.8g(수율 94%)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 δ 7.65(d, 2H), 5.92(br s, 1H), 4.35(s, 2H), 2.64 (s, 3H), 2.03(s, 3H)
FAB MS(m/e) = 286[M++1]
제조예 4
N -{3-브로모-5-[( E )-3-(3-클로로-4-메톡시페닐)-2-프로페노일]-4-하이드록시벤질}아세트아미드의 합성
제조예 3에서 얻은 화합물 31.7g(110.8mmol), 3-클로로-4-메톡시벤즈알데히드 22.8g(134mmol) 및 수산화나트륨 12.6g(315mmol)을 80% 에탄올 수용액 500㎖에 넣고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1N 염산으로 용액을 산성화시키고 물로 희석시켜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였다. 물과 메탄올로 세척해준 다음 건조시켜 표제화합물 17g(수율 35%)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 δ 7.84-7.65(m, 4H), 7.53(s, 1H), 7.50(d, 1H), 6.95 (d, 1H), 4.31(s, 2H), 3.91(s, 3H), 1.96(s, 3H)
FAB MS(m/e) = 438[M++1]
제조예 5
N -{[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 H -크로멘-6-일]메틸}아세트아미드의 합성
제조예 4에서 얻은 화합물 17g(38.7mmol)을 메탄올 200㎖에 넣고, 2N 수산화나트륨 58㎖와 30% 과산화수소수 13.2㎖를 가한 다음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1N 염산으로 용액을 산성화시켜 생성된 노란 고체를 여과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물과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표제화합물 15g(수율 85%)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δ 8.54(d, 1H), 8.34(s, 1H), 8.24(d, 1H), 7.99(s, 1H), 7.96(s, 1H), 7.42(s, 1H), 4.37(d, 2H), 3.98(s, 3H), 1.90(s, 3H)
FAB MS(m/e) = 452[M++1]
제조예 6
N -{[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4 H -크로멘-6-일]메틸}아세트아미드의 합성
제조예 5에서 얻은 화합물 0.5g(1.1mmol)을 탄산칼륨 0.15g(1.08mmol) 및 10당량의 요오드화메탄과 함께 아세톤 10㎖에 넣고 15시간 환류시켰다. 1N 염산으로 산성화시키고, 물을 가한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였다. 물과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표제화합물 0.47g(수율 91.6%)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 δ 8.32(s, 1H), 8.22(d, 1H), 8.03(s, 1H), 7.86(s, 1H), 7.08(d, 1H), 5.97(br s, 1H), 4.53(d, 2H), 4.00(s, 3H), 3.92(s, 3H), 2.08(s, 3H)
FAB MS(m/e) = 466[M++1]
제조예 7
tert -부틸아세틸{[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4 H -크로멘-6-일]메틸}카바메이트의 합성
제조예 6에서 얻은 화합물 11g(23.6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50㎖에 녹이고 디tert-부틸디카보네이트 6.2g(28.4mmol)과 촉매량의 디메틸아미노피리딘과 함께 상온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용액을 감압농축하고 디에틸에테르를 넣어 교반한 다음,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여 표제화합물 11.6g(수율 87%)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 δ 8.33(s, 1H), 8.22(d, 1H), 8.11(s, 1H), 7.86(s, 1H), 7.08(d, 1H), 4.95(d, 2H), 4.00(s, 3H), 3.93(s, 3H), 2.56(s, 3H), 1.50(s, 9H)
FAB MS(m/e) = 566[M++1]
제조예 8
tert -부틸[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4 H -크로멘-6-일]메틸카바메이트의 합성
제조예 7에서 얻은 화합물 11.6g(20.5mmol)을 메탄올 100㎖와 디클로로메탄 100㎖에 녹이고 2N 수산화나트륨 용액 50㎖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물을 넣어 희석시키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과 메탄올로 세척하여 표제화합물 10.3g(수율 96%)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 δ 8.33(s, 1H), 8.22(d, 1H), 8.06(s, 1H), 7.86(s, 1H), 7.08(d, 1H), 5.00(br s, 1H), 4.41(d, 2H), 4.00(s, 3H), 3.91(s, 3H), 1.47 (s, 9H)
FAB MS(m/e) = 524[M++1]
제조예 9
tert -부틸[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8-(4-피리딜)-4 H -크로멘-6-일]메틸카바메이트의 합성
제조예 8에서 얻은 화합물 1.29g(2.46mmol), 1.2당량의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0.75g(2.95mmol), 5mol%의 디클로로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및 3당량의 칼륨아세테이트 0.73g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5㎖에 녹이고, 질소공기하에 80℃를 유지시키면서 2시간 반응시켰다.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4-브로모피리딘 염산염 1.5당량, 5몰%의 디클로로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및 2M 탄산나트륨 수용액 3당량(3.7㎖)을 넣고, 질소공기하에 80℃를 유지시키면서 15시간 교반하였다. 용액을 여과하고 디메틸포름아미드와 10%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물 30㎖로 처리한 후, 생성된 옅은 노란색 고체를 여과하였다. 여과된 고체를 물과 아세톤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표제화합물 0.88g(수율 68%)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8.73(d, 2H), 8.15(s, 1H), 7.99(s, 1H), 7.82(d, 1H), 7.70-7.30(m, 2H), 6.90(d, 1H), 5.00(br s, 1H), 4.42(s, 2H), 3.90(d, 6H), 1.40(s, 9H)
FAB MS(m/e) = 523[M++1]
제조예 10
tert -부틸[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8-(3-피리딜)-4 H -크로멘-6-일]메틸카바메이트의 합성
제조예 8에서 얻은 화합물 0.1g(0.19mmol), 1.2당량의 피리딘-3-보론산 1,3-프로판디올사이클릭에스테르 37mg, 5당량의 2M 탄산나트륨(0.5㎖) 및 촉매량의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매중에서 4시간 환류시켰다.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농축한 다음 물을 넣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농축시킨 후,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에틸아세테이트/헥산=7/3,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70mg(수율 70%)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δ 8.86(s, 1H), 8.74(d, 1H), 8.20(s, 1H), 8.01(s, 1H), 7.91(d, 1H), 7.67(m, 1H), 7.46(m, 2H), 6.96(d, 1H), 5.29(br s, 1H), 4.50(d, 2H), 3.96(d, 6H), 1.47(s, 3H)
FAB MS(m/e) = 523[M++1]
제조예 11
tert -부틸[8-{3,4-비스[( tert -부톡시카보닐)아미노]페닐}-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4 H -크로멘-6-일]메틸카바메이트의 합성
4-브로모피리딘 대신 3,4-비스[(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1-브로모벤젠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8에서 얻은 화합물 50mg(0.095mmol)을 제조예 9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43mg(수율 60%)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δ 8.40(s, 1H), 8.22(s, 1H), 8.03(s, 1H), 7.95(d, 1H), 7.88(d, 1H), 7.71(s, 1H), 7.50(d, 1H), 6.95(d, 1H), 4.49(d, 2H), 3.93(d, 6H), 1.46(s, 9H), 1.42(s, 18H)
FAB MS(m/e) = 752[M++1]
제조예 12
tert -부틸[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8-(4-피리딜)-4 H -크로멘-6-일]메틸(메틸)카바메이트의 합성
제조예 9에서 얻은 화합물 200mg(0.38mmol)과 과량의 요오드화메탄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에 녹이고, 여기에 5당량의 60% 수소화나트륨 76mg을 가하였다.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고, 메탄올을 넣어 반응을 종결시켰다. 물을 넣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에틸아세테이트/헥산=6/4,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49mg(수율 24%)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δ 8.79(d, 2H), 8.06-7.30(m, 6H), 6.95(d, 1H), 4.58 (s, 2H), 3.96(d, 6H), 2.87(s, 3H), 1.56(s, 9H)
FAB MS(m/e) = 537[M++1]
제조예 13
6-(아미노메틸)-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8-(4-피리딜)-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9에서 얻은 화합물 0.48g(0.91mmol)을 디클로로메탄 5㎖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에 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메탄올에 녹였다. 여기에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여 알칼리화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였다.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표제화합물 0.38g(수율 98.7%)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8.79(d, 2H), 8.22(s, 1H), 8.08(s, 1H), 7.92(d, 1H), 7.82(s, 1H), 7.58(d, 2H), 6.99(d, 1H), 4.19(s, 2H), 3.94(d, 6H)
FAB MS(m/e) = 423[M++1]
제조예 14
2-(3-클로로-4-메톡시페닐)-6-[(디메틸아미노)메틸]-3-메톡시-8-(4-피리딜)-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13에서 얻은 화합물 190mg(0.45mmol)과 10당량의 35% 포르말린을 디클로로에탄 10㎖에 녹이고, 여기에 5당량의 소듐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하고 농축시켰다.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알칼리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메탄올을 가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표제화합물 138mg(수율 68%)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8.79(d, 2H), 8.23~7.57(m, 6H), 6.95(d, 1H), 4.20(s, 2H), 3.98(s, 3H), 3.89(s, 3H),3.31(s, 3H),3.28(s, 3H)
FAB MS(m/e) = 451[M++1]
제조예 15
2-(3-클로로-4-메톡시페닐)-6-[(디에틸아미노)메틸]-3-메톡시-8-(4-피리딜)-4 H -크로멘-4-온의 합성
포르말린 대신 아세트알데히드를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3에서얻은 화합물 227mg(0.53mmol)을 제조예 1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173mg(수율 68%)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δ 8.79(d, 2H), 8.22(s, 1H), 8.08(s, 1H), 7.92(d, 1H), 7.82(s, 1H), 7.58(d, 2H), 6.99(d, 1H), 3.96(d, 6H), 3.71(s, 2H), 2.58(q, 4H), 1.08(t, 6H)
FAB MS(m/e) = 479[M++1]
제조예 16
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6-(1-피페리디닐메틸)-8-(4-피리딜)-4 H -크로멘-4-온의 합성
포르말린 대신 글루타릴디알데히드를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3에서 얻은 화합물 157mg(0.37mmol)을 제조예 1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104mg(수율 57%)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8.76(d, 2H), 8.20(s, 1H), 8.06(s, 1H), 7.89- 7.70(m, 2H), 7.58(d, 2H), 6.98(d, 1H), 3.96(m, 6H), 3.61(m, 2H), 2.42(m, 4H), 1.59(m, 6H)
FAB MS(m/e) = 491[M++1]
제조예 17
4-[6-{[( tert -부톡시카보닐)아미노]메틸}-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4 H -크로멘-8-일]-1-메틸피리디늄 요오다이드의 합성
제조예 9에서 얻은 화합물 0.67mg(1.28mmol)을 10당량의 요오드화메탄과 함께 5㎖ 아세토니트릴 용매중에서 15시간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감압농축한 후 디에틸에테르를 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표제화합물 0.59mg(수율 69%)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δ 9.23(d, 2H), 8.33(d, 2H), 8.05(s, 1H), 7.89(s, 1H), 7.80(d, 1H), 7.77(m, 1H), 7.66(m, 2H), 4.73(s, 3H), 4.47(d, 2H), 4.01(s, 3H), 3.91(s, 3H), 1.44(s, 9H)
FAB MS(m/e) = 537[M+]
제조예 18
tert -부틸[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8-(1-메틸-4-피페리디닐)-4-옥소-4-크로멘-6-일]메틸카바메이트의 합성
제조예 17에서 얻은 화합물 0.59g(0.89mmol)을 10% 메탄올/디클로로메탄 용매에 녹이고, 촉매량의 5mol% 산화백금을 가하였다. 반응액을 상온, 1기압의 수소대기하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시켜 표제화합물의 요오드화수소산염 0.45g(수율 75%)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δ 8.12(m, 2H), 7.99(s, 1H), 7.49(s, 1H), 7.08(d, 1H), 4.96(br s, 1H), 4.41(d, 2H), 4.00(s, 3H), 3.90(s, 3H), 3.30(m, 1H), 3.13 (m, 4H), 2.43(s, 3H), 2.32(m, 2H), 1.99(m, 2H), 1.46(s, 9H)
FAB MS(m/e) = 543[M++1]
제조예 19
4-[6-{[( tert -부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메틸}-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4 H -크로멘-8-일]-1-메틸피리디늄요오다이드의 합성
제조예 12에서 얻은 화합물 69mg(0.128mmol)을 제조예 1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61mg(수율 70%)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9.23(d, 2H), 8.33(d, 2H), 8.05(s, 1H), 7.89(s, 1H), 7.80(d, 1H), 7.77(m, 1H), 7.66(m, 1H), 4.73(s, 3H), 4.47(d, 2H), 4.01(s, 3H), 3.91(s, 3H), 2.87(s, 3H), 1.44(s, 9H)
FAB MS(m/e) = 551[M+]
제조예 20
tert -부틸[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8-(1-메틸-4-피페리디닐)-4-옥소-4 H -크로멘-6-일]메틸(메틸)카바메이트의 합성
제조예 19에서 얻은 화합물 61mg(0.089mmol)을 제조예 18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요오드화수소산염 23.6mg(수율 38%)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δ 8.08-7.90(m, 3H), 7.47(s, 1H), 7.09(d, 1H), 4.51 (d, 2H), 4.00(s, 3H), 3.90(s, 3H), 3.56-3.47(m, 3H), 2.85-2.72(m, 8H), 2.44 (m, 2H), 2.18(m, 2H), 1.49(s, 9H)
FAB MS(m/e) = 557[M++1]
제조예 21
6-(아미노메틸)-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8-(1-메틸-4-피페리디닐)-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18에서 얻은 화합물 250mg(0.46mmol)을 제조예 1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308mg(수율 99.9%)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8.28(m, 3H), 8.17(s, 1H), 7.99(d, 1H), 7.73(s, 1H), 7.23(d, 1H), 4.21(s, 2H), 4.00(s, 3H), 3.90(s, 3H), 3.64(m, 3H), 3.40(m, 2H), 2.88(s, 3H), 2.20(m, 2H), 1.95(m, 2H)
FAB MS(m/e) = 443[M++1]
제조예 22
2-(3-클로로-4-메톡시페닐)-6-[(디메틸아미노)메틸]-3-메톡시-8-(1-메틸-4-피페리디닐)-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21에서 얻은 화합물 250mg(0.37mmol)을 제조예 1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54mg(수율 31%)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δ 8.17(s, 1H), 8.14(d, 1H), 7.98(s, 1H), 7.61(d, 1H), 7.09(d, 1H), 4.01(s, 3H), 3.92(s, 3H), 3.50(s, 2H), 3.24(m, 1H), 3.09(d, 2H), 2.38(s, 2H), 2.23(s, 6H), 1.94(m, 4H)
FAB MS(m/e) = 471[M++1]
제조예 23
2-(3-클로로-4-메톡시페닐)-6-[(디에틸아미노)메틸]-3-메톡시-8-(1-메틸-4-피페리디닐)-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21에서 얻은 화합물 143mg(0.223mmol)을 제조예 15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110mg(수율99%)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δ 8.01(m, 3H), 7.77(s, 1H), 7.05(d, 1H), 3.95(s, 3H), 3.85(s, 3H), 3.48(m, 3H), 3.30(m, 1H), 3.00(q, 2H), 2.77(m, 6H), 2.59(m, 4H), 2.00(m, 2H), 1.17(m, 6H)
FAB MS(m/e) = 499[M++1]
제조예 24
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8-(1-메틸-4-피페리디닐)-6-(1-피페리디닐메틸)-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21에서 얻은 화합물 79mg(0.117mmol)을 제조예 16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36mg(수율 60%)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δ 8.10(s, 1H), 8.05(d, 1H), 7.56(s, 1H), 7.02(s, 1H), 3.94(s, 3H), 3.85(s, 3H), 3.47(s, 2H), 3.17(m, 1H), 3.03(m, 2H), 2.31(m, 6H), 2.15(m, 2H), 1.84(m, 5H), 1.50(m, 6H)
FAB MS(m/e) = 511[M++1]
제조예 25
6-(아미노메틸)-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H-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8에서 얻은 화합물 4g(7.622mmol)을 디클로로메탄 50㎖에 녹이고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10㎖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을 넣어 희석시키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과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표제화합물 3.2g(수율 99%)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 δ 8.22(m, 2H), 8.06(s, 1H), 7.87(s, 1H), 7.29 (d, 1H), 5.12(br s, 2H), 4.32(d, 2H), 3.90(s, 3H), 3.75(s, 3H)
FAB MS(m/e) = 424[M++1]
제조예 26
2-브로모-N-{[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아세트아미드의 합성
제조예 25에서 얻은 화합물 0.86g(1.596mmol)을 디클로로메탄 30㎖에 녹이고 트리에틸아민 0.67㎖(3.0eq)와 브로모아세틸브로마이드 0.212㎖(1.2eq)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고 감압농축하였다. 물과 디클로로메탄을 넣어 희석시키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과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표제화합물 0.68g(수율 79%)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 δ 8.85(t, 1H), 8.07(d, 1H), 8.04(dd, 1H), 7.92 (s, 1H), 7.87(s, 1H), 7.31(d,1H), 4.33(d, 2H), 3.88(s, 3H), 3.85(s, 2H), 3.75 (s, 3H)
FAB MS(m/e) = 544[M++1]
제조예 27
N-{[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2-(4-모폴리닐)아세트아미드의 합성
제조예 26에서 얻은 화합물 0.2g(0.369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20㎖에 녹이고 모폴린과 탄산칼륨을 과량 가하였다.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희석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디클로로메탄/메탄올=19/1,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0.17g(수율 84%)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 δ 8.23(d, 1H), 8.13(dd, 1H), 7.95(d, 1H), 7.78(d, 1H), 7.65(t, 1H), 7.01(d,1H), 4.51(d, 2H), 3.95(s, 3H), 3.88(s, 3H), 3.69(m, 4H), 3.07(s, 2H), 2.54(m, 4H)
FAB MS(m/e) = 551[M++1]
제조예 28
N-{[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2-[(2-메톡시에틸)(메틸)아미노]아세트아미드의 합성
제조예 26에서 얻은 화합물 0.2g(0.369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20㎖에 녹이고 N-(2-메톡시에틸)-N-메틸아민과 탄산칼륨을 과량 가하였다.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희석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디클로로메탄/메탄올=19/1,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0.15g(수율 74%)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 δ 8.26(d, 1H), 8.15(dd, 1H), 8.07(t, 1H), 8.03(d, 1H), 7.84(d, 1H), 7.03(d,1H), 4.50(d, 2H), 3.95(s, 3H), 3.89(s, 3H), 3.40(t, 2H), 3.25(s, 2H), 2.60(t, 2H), 2.35(s, 3H)
FAB MS(m/e) = 553[M++1]
제조예 29
N-{[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2-(4-메틸-1-피페라지닐)아세트아미드의 합성
제조예 26에서 얻은 화합물 0.2g(0.369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20㎖에 녹이고 N-메틸피페라진과 탄산칼륨을 과량 가하였다.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희석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디클로로메탄/메탄올=9/1,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0.12g(수율 57%)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 δ 8.32(d, 1H), 8.21(dd, 1H), 8.05(d, 1H), 7.87(d, 1H), 7.64(t, 1H), 7.07(d,1H), 4.56(d, 2H), 4.00(s, 3H), 3.93(s, 3H), 3.10(s, 2H), 2.60(s br, 4H), 2.47(s br, 4H), 2.29(s, 3H)
FAB MS(m/e) = 564[M++1]
제조예 30
에틸 2-({[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의 합성
제조예 25에서 얻은 화합물 0.5g(0.928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20㎖에 녹이고 탄산칼륨 0.64g(5.0eq)와 에틸브로모아세테이트 0.12㎖(1.2eq)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희석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에틸아세테이트/헥산=2/1,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0.16g(수율 34%)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 δ 8.34(d, 1H), 8.22(dd, 1H), 8.10(d, 1H), 7.99(d, 1H), 7.09(d, 1H), 4.21(m,2H), 4.00(s, 3H), 3.93(s, 3H), 3.91(s, 2H), 3.41(s, 2H), 1.30(t, 3H)
FAB MS(m/e) = 510[M++1]
제조예 31
2-({[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아미노)아세트산의 합성
제조예 30에서 얻은 화합물 0.149g(0.292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6㎖와 에탄올 4㎖에 녹이고 수산화리튬 일수화물 0.18mg(1.5eq)를 물 2㎖에 녹여 가하였다.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고 감압농축하여 표제화합물 0.142g(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 δ 8.28(s, 1H), 8.19(s, 1H), 8.10(m, 2H), 6.98 (d, 1H), 4.40(d,2H), 4.11(s, 3H), 4.05(s, 2H), 3.93(s, 3H)
FAB MS(m/e) = 482[M++1]
제조예 32
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6-({[2-(4-모폴리닐)-2-옥소에틸]아미노}메틸)-4H-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31에서 얻은 화합물 40mg(0.082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0㎖에 녹이고, 여기에 HOBt 39mg(3.5eq), EDC 40mg(2.5eq) 및 모폴린 0.011㎖(1.5eq)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희석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디클로로메탄/메탄올=19/1,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3mg(수율 29%)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 δ 8.34(d, 1H), 8.22(dd, 1H), 8.10(d, 1H), 8.01(d, 1H), 7.08(d, 1H), 4.00(s,3H), 3.92(m, 5H), 3.65(m, 6H), 3.39(s, 3H), 3.35(m, 2H)
FAB MS(m/e) = 551[M++1]
제조예 33
2-({[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아미노)-N-(2-메톡시에틸)-N-메틸아세트아미드의 합성
제조예 31에서 얻은 화합물 40mg(0.082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0㎖에 녹이고, 여기에 HOBt 39mg(3.5eq), EDC 40mg(2.5eq) 및 N-(2-메톡시에틸)-N-메틸아민 0.014㎖(1.5eq)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희석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디클로로메탄/메탄올=19/1,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1mg(수율 24%)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 δ 8.33(d, 1H), 8.21(dd, 1H), 8.09(d, 1H), 8.02(d, 1H), 7.07(d, 1H), 3.99(s, 3H), 3.92(m, 5H), 3.57(m, 1H), 3.53(m, 1H), 3.45(m, 2H), 3.37(m, 2H), 3.30(s, 3H), 2.97(s, 3H)
FAB MS(m/e) = 553[M++1]
제조예 34
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6-({[2-(4-메틸-1-피페라지닐)-2-옥소에틸]아미노}메틸)-4H-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31에서 얻은 화합물 40mg(0.082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0㎖에 녹이고, 여기에 HOBt 39mg(3.5eq), EDC 40mg(2.5eq) 및 N-메틸피페라진0.014㎖(1.5eq)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희석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디클로로메탄/메탄올=9/1,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2mg(수율 26%)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 δ 8.33(d, 1H), 8.21(dd, 1H), 8.09(d, 1H), 8.02(d, 1H), 7.07(d, 1H), 3.99(s,3H), 3.92(s, 3H), 3.90(s, 2H), 3.65(m, 2H), 3.39(s, 2H), 3.35(m, 2H), 2.37(m, 4H), 2.29(s, 3H)
FAB MS(m/e) = 564[M++1]
제조예 35
에틸 3-[{[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의 합성
제조예 8에서 얻은 화합물 0.6g(1.143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40㎖에 녹인 후, 수소화나트륨 0.14g(3.0eq)를 가하였다. 5분 경과 후 에틸아크릴레이트 0.25㎖(2.0eq)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하고 감압농축하여 표제화합물 0.70g(수율98%)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 δ 8.30(d, 1H), 8.19(dd, 1H), 8.03(d, 1H), 7.78(s, 1H), 7.07(d, 1H), 4.55(s,2H), 4.21(m, 2H), 3.98(m, 5H), 3.91(s, 3H), 3.40(t, 2H), 1.30(m, 12H)
FAB MS(m/e) = 624[M++1]
제조예 36
N-{[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N-(tert-부톡시카보닐)-β-알라닌 리튬염의 합성
제조예 35에서 얻은 화합물 0.96g(1.829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2㎖와 에탄올 14㎖에 녹이고 수산화리튬 수화물 0.1g(2.0eq)를 물 8㎖에 녹여 가하였다. 실온에서 6시간 교반하고 감압농축하여 표제화합물 1.03g(수율 94%)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 δ 8.34(d, 1H), 8.22(dd, 1H), 8.10(d, 1H), 8.00 (d, 1H), 7.10(d, 1H), 4.45(s,2H), 4.05(m, 5H), 3.93(s, 3H), 3.42(t, 2H), 1.32(s, 9H)
FAB MS(m/e) = 596[M++1]
제조예 37
tert-부틸 [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3-(4-모폴리닐)-3-옥소프로필]카바메이트의 합성
제조예 36에서 얻은 화합물 0.15g(0.225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0㎖에 녹이고, 여기에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HOBt) 0.12g(4.0eq),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보디이미드 염산염(EDC) 0.114g(2.5eq) 및 모폴린 0.011㎖(1.5eq)를가하였다.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희석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디클로로메탄/메탄올=19/1,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50mg(수율 33%)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 δ 8.29(d, 1H), 8.18(dd, 1H), 8.01(s, 1H), 7.77(s, 1H), 7.04(d, 1H), 4.54(s, 2H), 3.96(s,3H), 3.90(s, 3H), 3.62(m, 9H), 2.58(m, 2H), 1.43(s, 9H)
FAB MS(m/e) = 665[M++1]
제조예 38
tert-부틸 [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3-[(2-메톡시에틸)(메틸)아미노]-3-옥소프로필}카바메이트의 합성
제조예 36에서 얻은 화합물 0.15g(0.225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0㎖에 녹이고, 여기에 HOBt 0.12g(4.0eq), EDC 0.114g(2.5eq) 및 N-(2-메톡시에틸)-N-메틸아민 0.07㎖(2.5eq)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희석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디클로로메탄/메탄올=19/1,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80mg(수율 53%)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 δ 8.30(d, 1H), 8.18(dd, 1H), 8.02(s, 1H), 7.78(s, 1H), 7.05(d, 1H), 4.55(s, 2H), 3.97(s,3H), 3.90(s, 3H), 3.48(m, 6H), 3.30(s, 3H), 2.89(s, 3H), 2.61(m, 2H), 2.43(s, 9H)
FAB MS(m/e) = 667[M++1]
제조예 39
tert-부틸 [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3-(4-메틸-1-피페라지닐)-3-옥소프로필]카바메이트의 합성
제조예 36에서 얻은 화합물 0.15g(0.225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0㎖에 녹이고, 여기에 HOBt 0.12g(4.0eq), EDC 40.114g(2.5eq) 및 N-메틸피페라진 0.07㎖(2.5eq)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희석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디클로로메탄/메탄올=9/1,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60mg(수율 39%)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 δ 8.31(d, 1H), 8.20(dd, 1H), 8.03(s, 1H), 7.78(s, 1H), 7.05(d, 1H), 4.55(s, 2H), 3.98(s,3H), 3.91(s, 3H), 3.60(m, 2H), 3.56(m, 6H), 2.33(m, 7H), 1.46(s, 9H)
FAB MS(m/e) = 678[M++1]
제조예 40
3-(4-모폴리닐)-1-프로판올의 합성
3-브로모-1-프로판올 1.72㎖(19mmol)과 모폴린 1.58g(18.1mmol)을 에탄올 50㎖에 녹이고 탄산칼륨 2.51g(18.1mmol)을 가한 후 18시간 동안 환류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고체를 여과하고, 농축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메탄올/디클로로메탄=1/4,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2.52g(17.3mmol, 수율 96%)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 δ 3.79(2H, t), 3.70(4H, t), 2.60(2H, t), 2.50(4H, t), 1.71(2H, quin)
FAB MS(m/e) = 146[M++1]
제조예 41
3-(4-모폴리닐)프로필 4-메틸벤젠설포네이트의 합성
제조예 40에서 얻은 화합물 1.10g(7.58mmol)을 클로로포름 100㎖에 녹이고 트리에틸아민 3.17㎖(22.7mmol)과 톨루엔설포닐클로라이드 1.45g(7.58mol)을 가한 다음 상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물 100㎖씩으로 2회 세척하고, 농축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메탄올/디클로로메탄=1/9,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587mg(1.96mmol, 수율 26%)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 δ 7.78(2H, d), 7.33(2H, d), 4.09(2H, t), 3.61(4H, t), 2.43(3H, s), 2.34(4H, t), 2.29(2H, t), 1.80(2H, quin)
FAB MS(m/e) = 300[M++1]
제조예 42
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6-({[3-(4-모폴리닐)프로필]아미노}메틸)-4H-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25에서 얻은 화합물 277mg(0.653mmol)과 제조예 41에서 얻은 화합물 215mg(0.717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30㎖에 녹인 후 탄산칼륨 135mg (0.980mmol)을 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농축하고 에틸아세테이트 40㎖을 사용하여 녹이고 물 30㎖씩으로 2회 세척해주었다. 다시 농축하고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메탄올/디클로로메탄=1/9,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245mg(0.444mmol, 수율 68%)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 δ 8.31(1H, d), 8.11(1H, s), 8.06(1H, dd), 8.00 (1H, s), 3.99(3H, s), 3.94(3H,s), 3.91(2H, s), 3.70(4H, t), 2.77(2H, t), 2.46 (4H, t), 1.77(2H, quin)
FAB MS(m/e) = 552[M++1]
제조예 43
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6-({메틸[3-(4-모폴리닐)프로필]아미노}메틸-4H-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42에서 얻은 화합물 140mg(0.254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30㎖에 녹이고 포르말린 1㎖와 소듐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 500mg(2.35mmol)을 가한 다음 상온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농축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50㎖에 녹이고, 물 30㎖씩으로 2회 세척해준 다음, 다시 농축시켜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121mg(0.214mmol, 수율 84%)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 δ 8.31(1H, d), 8.08(1H, s), 8.06(1H, dd), 7.95 (1H, s), 7.01(1H, d), 4.00(3H, s), 3.95(3H, s), 3.70(2H, t), 3.56(2H, s), 2.45-2.43(8H, m), 2.41(2H, t), 2.21(3H, s), 1.72(2H, quin)
FAB MS(m/e) = 566[M++1]
제조예 44
벤질 4-(3-히드록시프로필)-1-피페라진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N-벤질옥시카보닐피페라진 2.62g(11.05mol)과 3-브로모-1-프로판올 1.16㎖ (12.82mmol)을 제조예 40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2.89g(10.4 mmol, 수율 94%)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 δ 7.36-7.31(5H, m), 5.11(2H, s), 3.78(2H, t), 3.50(4H, t), 2.60(2H, t), 2.47(4H, t), 1.72(2H, quin)
FAB MS(m/e) = 279[M++1]
제조예 45
벤질 4-(3-{[(4-메틸페닐)설포닐]옥시}프로필)-1-피페라진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제조예 44에서 얻은 화합물 1.70g(6.12mmol)을 제조예 4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970mg(2.24mmol, 수율 37%)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 δ 7.78(2H, d), 7.41-7.31(7H, m), 5.11(2H, s), 4.11(2H, t), 3.43(4H, t), 2.60(2H, t), 2.43(3H, s), 2.39(4H, t), 1.74(2H, quin)
FAB MS(m/e) = 433[M++1]
제조예 46
벤질 4-[3-({[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아미노)프로필]-1-피페라진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제조예 45에서 얻은 화합물 150mg(0.347mmol)과 제조예 25에서 얻은 화합물134mg(0.316mmol)을 제조예 4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184mg (0.269mmol, 수율 85%)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 δ 8.29(1H, d), 8.08(1H, s), 8.06(1H, dd), 7.86 (1H, s), 7.48-7.27(10H, m), 7.01(1H, d), 5.11(2H, s), 4.46(2H, d), 4.25(2H, t), 3.99(3H, s), 3.92(3H, s), 3.53(4H, t), 2.65(2H, t), 2.48(4H, t), 1.74(2H, quin)
FAB MS(m/e) = 685[M++1]
제조예 47
벤질 4-[2-({[8-브로모-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톡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아미노)에틸]-1-피페라진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2-브로모에탄올 0.65㎖(8.64mmol)을 제조예 44, 45 및 46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1.21g(1.81mmol, 수율 21%)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 δ 8.31(1H, d), 8.10(1H, s), 8.08(1H, dd), 7.95 (1H, s), 7.48-7.26(10H, m), 7.01(1H, d), 5.11(2H, s), 4.02(3H, s), 3.96(3H, s), 3.90(2H, s), 3.51(4H, t), 2.69(2H, t), 2.51(2H, t), 2.39(4H, t)
FAB MS(m/e) = 671[M++1]
실시예 1
6-(아미노메틸)-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8에서 얻은 화합물 20mg(0.038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녹이고 10당량의 보론트리브로마이드를 가한 다음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시키고, 디클로로메탄을 가하여 교반하고, 여과하여 표제화합물의 브롬화수소산염 16mg(수율 92%)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11.03(s, 1H), 10.03(s, 1H), 8.29-8.21(m, 5H), 8.09(d, 1H), 7.19(d, 1H), 4.19(s, 2H)
FAB MS(m/e) = 396[M++1]
실시예 2
6-(아미노메틸)-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8-(4-피리딜)-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9에서 얻은 화합물 22mg(0.042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브롬화수소산염 16mg(수율 68%)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9.00(d, 2H), 8.41(s, 1H), 8.11-8.03(m, 4H), 7.86(d, 1H), 7.08(d, 1H), 4.27(s, 2H)
FAB MS(m/e) = 395[M++1]
실시예 3
6-(아미노메틸)-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8-(3-피리딜)-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10에서 얻은 화합물 70mg(0.133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브롬화수소산염 69mg(수율 93%)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11.0(br s, 1H), 9.90(br s, 1H), 9.07(s, 1H), 8.88(d, 1H), 8.50(d, 1H), 8.36(s, 1H), 8.28(br s. 2H), 8.04(s, 1H), 7.99(s, 1H), 7.85(m, 2H), 7.06(d, 1H), 4.28(s, 1H)
FAB MS(m/e) = 395[M++1]
실시예 4
6-(아미노메틸)-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8-(3,4-디아미노페닐)-3-하이드록시-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11에서 얻은 화합물 43mg(0.057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3 브롬화수소산염 10.8mg(수율 29%)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8.42(s, 1H), 8.26(d, 1H), 8.04-7.80(m, 4H),7.26(d, 1H), 7.09(d, 1H), 4.24(s, 2H)
FAB MS(m/e) = 424[M++1]
실시예 5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메틸아미노)메틸]-8-(4-피리딜)-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12에서 얻은 화합물 49mg(0.09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브롬화수소산염 43mg(수율 83%)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10.95(br s, 1H), 9.95(br s, 1H), 8.91(m, 3H), 8.40(s, 1H), 8.02(m, 4H), 7.09(d, 1H), 4.35(s, 2H), 2.62(s, 3H)
FAB MS(m/e) = 409[M++1]
실시예 6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6-[(디메틸아미노)메틸]-3-하이드록시-8-(4-피리딜)-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14에서 얻은 화합물 138mg(0.30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브롬화수소산염 175mg(수율 99%)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11.00(s, 1H), 10.00(s, 1H), 9.75(s, 1H), 8.95(d, 2H), 8.45(s, 1H), 8.04(m, 3H), 7.85(d, 1H), 7.11(d, 1H), 4.52(s, 2H), 2.82(s, 6H)
FAB MS(m/e) = 423[M++1]
실시예 7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6-[(디에틸아미노)메틸]-3-하이드록시-8-(4-피리딜)-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15에서 얻은 화합물 173mg(0.36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브롬화수소산염 221mg(수율 99.9%)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11.00(s, 1H), 10.00(s, 1H), 9.50(s, 1H), 8.97 (s, 2H), 8.47(s, 1H), 8.14(m, 3H), 7.85(d, 1H), 7.10(d, 1H), 4.55(s, 2H), 3.16(m, 4H), 1.25(t, 6H)
FAB MS(m/e) = 451[M++1]
실시예 8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1-피페리디닐메틸)-8-(4-피리딜)-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16에서 얻은 화합물 104mg(0.21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브롬화수소산염 130mg(수율 99.9%)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11.00(s, 1H), 10.00(s, 1H), 9.50(s, 1H), 8.97 (s, 2H), 8.47(s, 1H), 8.11(m, 3H), 7.86(d, 1H), 7.11(d, 1H), 4.54(s, 2H), 2.98(m, 2H), 2.00-1.30(m, 6H)
FAB MS(m/e) = 463[M++1]
실시예 9
6-(아미노메틸)-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8-(1-메틸-4-피페리디닐)-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18에서 얻은 화합물 200mg(0.298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브롬화수소산염 164mg(수율 96%)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11.02(s, 1H), 9.85(s, 1H), 9.60(br s, 1H), 8.28(m, 3H), 8.17(s, 1H), 7.99(d, 1H), 7.73(s, 1H), 7.23(d, 1H), 4.21(s, 2H), 3.64(m, 3H), 3.40(m, 2H), 2.88(s, 3H), 2.20(m, 2H), 1.95(m, 2H)
FAB MS(m/e) = 415[M++1]
실시예 10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메틸아미노)메틸]-8-(1-메틸-4-피페리디닐)-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20에서 얻은 화합물 23.6mg(0.034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브롬화수소산염 11.4mg(수율 56%)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11.02(s, 1H), 9.87(s, 1H), 9.50(br s, 1H), 8.90(br s, 1H), 8.29(s, 1H), 8.21(s, 1H), 8.00(d, 1H), 7.75(s, 1H), 7.23(s, 1H), 4.31(s, 2H), 3.62(m, 3H), 3.38(m, 2H), 2.89(s, 3H), 2.61(s, 3H), 2.19(m, 2H), 1.95(m, 2H)
FAB MS(m/e) = 429[M++1]
실시예 11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6-[(디메틸아미노)메틸]-3-하이드록시-8-(1-메틸-4-피페리디닐)-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22에서 얻은 화합물 54mg(0.115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브롬화수소산염 59mg(수율 85%)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11.01(s, 1H), 9.87(s, 1H), 9.80(br s, 1H), 9.50(br s, 1H), 8.29(s, 1H), 8.22(s, 1H), 8.00(d, 1H), 7.77(s, 1H), 7.23(d, 1H), 4.47(s, 2H), 3.65(m, 3H), 3.17(m, 2H), 2.89(s, 3H), 2.77(s, 6H), 2.24(m, 2H), 1.96(m, 2H)
FAB MS(m/e) = 443[M++1]
실시예 12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6-[(디에틸아미노)메틸]-3-하이드록시-8-(1-메틸-4-피페리디닐)-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23에서 얻은 화합물 110mg(0.22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브롬화수소산염 73.6mg(수율 53%)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11.01(s, 1H), 9.87(s, 1H), 9.54(br s, 1H), 8.28(s, 1H), 8.24(s, 1H), 7.88(d, 1H), 7.81(s, 1H), 7.22(d, 1H), 4.51(s, 2H), 3.61(m, 3H), 3.27(m, 2H), 3.12(m, 4H), 2.88(s, 3H), 2.22(m, 2H), 1.96(m, 2H), 1.24(m, 6H)
FAB MS(m/e) = 471[M++1]
실시예 13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8-(1-메틸-4-피페리디닐)-6-(1-피페리디닐메틸)-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24에서 얻은 화합물 36mg(0.07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브롬화수소산염 33.6mg(수율 74%)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11.00(br s, 1H), 9.90(br s, 1H), 9.55(br s, 1H), 8.28(s, 1H), 8.21(s, 1H), 7.99(d, 1H), 7.80(s, 1H), 7.23(d, 1H), 4.48(s,2H), 3.80(m, 4H), 3.15(s, 3H), 2.90(m, 5H), 2.30-1.50(m, 10H)
FAB MS(m/e) = 483[M++1]
실시예 14
N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 H -크로멘-6-일]메틸}-2-(4-모폴리닐)아세트아미드의 합성
제조예 27에서 얻은 화합물 30mg(0.054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브롬화수소산염 28mg(수율 76%)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8.17(m, 2H), 8.00(d, 1H), 7.93(d, 1H), 7.08(d, 1H), 4.40(d, 2H), 4.10(m, 2H), 3.85(m, 4H), 3.62(m, 4H)
FAB MS(m/e) = 523[M++1]
실시예 15
N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 H -크로멘-6-일]메틸}-2-[(2-하이드록시에틸)(메틸)아미노]아세트아미드의 합성
제조예 28에서 얻은 화합물 30mg(0.054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브롬화수소산염 27mg(수율 75%)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8.19(s, 1H), 8.00(d, 1H), 7.93(d, 2H), 7.10(d, 1H), 4.40(d, 2H), 3.94(m, 2H), 3.66(m, 2H), 3.48(m, 2H), 2.76(s, 3H)
FAB MS(m/e) = 511[M++1]
실시예 16
N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 H -크로멘-6-일]메틸}-2-(4-메틸-1-피페라지닐)아세트아미드의 합성
제조예 29에서 얻은 화합물 30mg(0.054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브롬화수소산염 26mg(수율 89%)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ppm); δ 8.29(s, 1H), 8.02(d, 1H), 7.93(d, 2H), 7.09(d, 1H), 4.24(d, 2H), 3.76(s, 2H), 3.60(m, 4H), 3.50(m, 2H), 3.36(m, 2H), 2.97(s, 3H)
FAB MS(m/e) = 536[M++1]
실시예 17
2-({[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 H -크로멘-6-일]메틸}아미노)아세트산의 합성
제조예 30에서 얻은 화합물 14mg(0.027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브롬화수소산염 15mg(수율 88%)을 수득하였다.
1H NMR (MeOD, ppm) ; δ 8.28(s, 1H), 8.19(s, 1H), 8.11(m, 2H), 7.98(s, 1H), 4.40(s,2H), 4.04(s, 2H)
FAB MS(m/e) = 454[M++1]
실시예 18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2-(4-모폴리닐)-2-옥소에틸]아미노}메틸)-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32에서 얻은 화합물 13mg(0.024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브롬화수소산염 16mg(수율 97%)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 δ 8.30(d, 1H), 8.26(s, 1H), 8.14(d, 2H), 8.07 (dd, 1H), 7.05(d, 1H), 4.22(d,2H), 3.60(m, 4H), 3.52(m, 2H), 3.35(m, 2H), 3.16(m, 2H)
FAB MS(m/e) = 523[M++1]
실시예 19
2-({[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 H -크로멘-6-일]메틸}아미노)- N -(2-하이드록시에틸)- N -메틸아세트아미드의 합성
제조예 33에서 얻은 화합물 11mg(0.020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브롬화수소산염 13mg(수율 97%)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 δ 8.33(d, 1H), 8.21(dd, 1H), 8.09(d, 1H), 8.03(d, 1H), 7.07(d, 1H), 3.91(d, 2H), 3.54(m, 2H), 3.45(m, 2H), 3.37(m, 2H), 2.96(s, 3H)
FAB MS(m/e) = 511[M++1]
실시예 20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2-(4-메틸-1-피페라지닐)-2-옥소에틸]아미노}메틸)-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34에서 얻은 화합물 12mg(0.021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브롬화수소산염 14mg(수율 95%)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 δ 8.28(m, 3H), 8.11(d, 1H), 7.20(d, 1H), 4.31 (s, 2H), 4.15(m, 2H), 3.85(m, 2H), 3.49(m, 2H), 3.04(m, 4H), 2.85(s, 3H)
FAB MS(m/e) = 536[M++1]
실시예 21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3-(4-모폴리닐)-3-옥소프로필]아미노}메틸)-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37에서 얻은 화합물 40mg(0.06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브롬화수소산염 41mg(수율 97%)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 δ 8.30(m, 2H), 8.27(d, 1H), 8.10(dd, 1H), 7.20 (d, 1H), 4.35(s,2H), 3.62(m, 4H), 3.43(m, 2H), 3.26(m, 4H), 2.77(t, 2H)
FAB MS(m/e) = 537[M++1]
실시예 22
3-({[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 H -크로멘-6-일]메틸}아미노)- N -(2-하이드록시에틸)- N -메틸프로판아미드의 합성
제조예 38에서 얻은 화합물 50mg(0.075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브롬화수소산염 46mg(수율 97%)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 δ 8.31(m, 3H), 8.10(dd, 1H), 7.20(d, 1H), 4.35 (m, 4H), 3.24(m, 4H), 2.84(s, 3H), 2.60(t, 2H)
FAB MS(m/e) = 525[M++1]
실시예 23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3-(4-메틸-1-피페라지닐)-3-옥소프로필]아미노}메틸)-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39에서 얻은 화합물 50mg(0.074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의 2 브롬화수소산염 51mg(수율 96%)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 δ 8.32(m, 2H), 8.29(d, 1H), 8.10(dd, 1H), 7.20 (d, 1H), 4.37(m,4H), 3.45(m, 4H), 3.14(m, 2H), 2.99(m, 2H), 2.83(m, 5H)
FAB MS(m/e) = 550[M++1]
실시예 24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3-(4-모폴리닐)프로필]아미노}메틸)-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42에서 얻은 화합물 100mg(0.18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52mg(0.099mmol, 수율 55%)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 δ 8.33-8.28(3H, m), 8.11(1H, d), 7.20(1H, s), 4.33(2H, s), 3.96(2H, t), 3.80(2H, t), 3.43-3.21(8H, m), 2.18(2H, quin)
FAB MS(m/e) = 523[M++1]
실시예 25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메틸[3-(4-모폴리닐)프로필]아미노}메틸)-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43에서 얻은 화합물 90mg(0.159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65mg(0.121mmol, 수율 76%)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 δ 8.33-8.28(3H, m), 8.10(1H, d), 7.21(1H, s), 4.33(2H, s), 3.96(2H, t), 3.80(2H, t), 3.43-3.21(8H, m), 2.32(3H, s), 2.18 (2H, quin)
FAB MS(m/e) = 537[M++1]
실시예 26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3-(1-피페라지닐)프로필]아미노}메틸)-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46에서 얻은 화합물 100mg(0.146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53mg(0.101mmol, 수율 69%)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 δ 8.29(1H, d), 8.08(1H, dd), 8.00(1H, s), 7.97 (1H, s), 7.19(1H, d), 4.32(2H, s), 4.07(2H, t), 3.36-3.24(8H, m), 2.72(2H, t), 2.01(2H, quin)
FAB MS(m/e) = 522[M++1]
실시예 27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2-(1-피페라지닐)에틸]아미노}메틸)-4 H -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47에서 얻은 화합물 400mg(0.597mmol)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180mg(0.354mmol, 수율 59%)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 δ 8.30(1H, d), 8.10(1H, dd), 8.04(1H, s), 7.99 (1H, s), 7.21(1H, d), 4.36(2H, s), 4.10(2H, t), 3.39-3.24(8H, m), 2.74(2H, t)
FAB MS(m/e) = 508[M++1]
실험예 1
CDK2 와 CDK4의 억제활성
CDK2 억제능에 대한 실험은 키타가와(Kitagawa) 방법[참조: Kitagawa, M. et al.,Oncogene 9; 2549, 1994]에 따라 측정하고, CDK4 억제능은 칼슨(Carlson) 법[참조: Carlson, B.A. et al.,Cancer Research 56; 2473, 1996]에 따라 측정하였다.
활성 CDK2/사이클린 A는 히스티딘으로 표지된 인체 CDK2 단백질과 사이클린A 단백질의 결합체로서 His-CDK2 유전자를 발현하는 배큐로바이러스와 사이클린 A 유전자를 발현하는 배큐로바이러스를 동시에 감염시킨 곤충세포로부터 정제된, 단위활성 14nmole/min/㎎이고 ATP에 대한 Km이 22μM인 것을 사용하였다. 활성 CDK4/사이클린 D1은 GST(글루타치온-S-트랜스퍼라제)와 연결된 인체 CDK4 단백질과 사이클린 D1 단백질의 결합체로서 곤충세포에서 발현 및 정제된, 단위활성 57nmole/min/㎎이고 ATP에 대한 Km이 940μM인 것을 사용하였다. 효소의 기질로는 인간의 Rb 단백질중 C-말단의 아미노산 780 에서 928 까지를 그의 N-말단에 GST 단백질로 표식하여 박테리아에서 대량 발현시킨 후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CDK2/사이클린 A 와 CDK4/사이클린 D1 효소 활동도 측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약 100ng의 효소를 20㎍의 GST-RB 단백질, 100μM ATP, 5μCi p32-γ-ATP 를 포함한 총 100㎕ 의 20mM 트리스(pH 8.0), 100mM NaCl, 10mM MgCl2완충용액중에서 30℃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후 EDTA 용액을 가하여 그 농도가 20mM이 되도록 하여 효소반응을 종결시켰다. 이어서 30㎕ 의 50% 글루타치온 비드(Pharmacia 에서 구입)를 가하여 GST-RB를 비드에 부착시킨 후, 이를 20mM 트리스(pH 8.0), 100mM NaCl, 10mM EDTA 용액으로 3회 세척하고 섬광계수(scintilla- tion counting)를 측정하였다. 화합물의 저해능을 분석하기 위해 적당 농도의 저해제를 효소반응용액에 첨가하여 상기한 방법에 따라 효소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측정한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학식 1 화합물의 CDK2 및 CDK4 에 대한 저해활성을 IC50 값으로 나타내었다(하기 표 1 참조).

Claims (3)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성체: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콕시카보닐을 나타내거나; 산소 및 질소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며 임의로 C1-C4-알킬을 포함할 수 있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6-알킬을 나타내거나; 하이드록시, 할로겐, 또는 산소 및 질소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며 임의로 C1-C4-알킬을 포함할 수 있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 또는 하이드록시-C1-C4-알킬 및 C1-C4-알킬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개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미노에 의해 치환된 카보닐-C1-C6-알킬을 나타내거나; 할로겐, 또는 산소 및 질소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며 임의로 C1-C4-알킬을 포함할 수 있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 또는 하이드록시-C1-C4-알킬 및 C1-C4-알킬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개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미노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6-알킬카보닐을 나타내거나,
    R1 및 R2 는 이들이 치환된 질소원자와 함께 산소 및 질소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며 임의로 C1-C4-알킬을 포함할 수 있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을 나타내고,
    R3 는 할로겐, 아미노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 피리딘, C1-C4-알킬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피페리딘, 또는 피리디늄염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6-(아미노메틸)-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6-(아미노메틸)-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8-(4-피리딜)-4H-크로멘-4-온;
    6-(아미노메틸)-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8-(3-피리딜)-4H-크로멘-4-온;
    6-(아미노메틸)-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8-(3,4-디아미노페닐)-3-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메틸아미노)메틸]-8-(4-피리딜)-4H-크로멘-4-온;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6-[(디메틸아미노)메틸]-3-하이드록시-8-(4-피리딜)-4H-크로멘-4-온;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6-[(디에틸아미노)메틸]-3-하이드록시-8-(4-피리딜)-4H-크로멘-4-온;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1-피페리디닐메틸)-8-(4-피리딜)-4H-크로멘-4-온;
    6-(아미노메틸)-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8-(1-메틸-4-피페리디닐)-4H-크로멘-4-온;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메틸아미노)메틸]-8-(1-메틸-4-피페리디닐)-4H-크로멘-4-온;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6-[(디메틸아미노)메틸]-3-하이드록시-8-(1-메틸-4-피페리디닐)-4H-크로멘-4-온;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6-[(디에틸아미노)메틸]-3-하이드록시-8-(1-메틸-4-피페리디닐)-4H-크로멘-4-온;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8-(1-메틸-4-피페리디닐)-6-(1-피페리디닐메틸)-4H-크로멘-4-온;
    N-{[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2-(4-모폴리닐)아세트아미드;
    N-{[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2-[(2-하이드록시에틸)(메틸)아미노]아세트아미드;
    N-{[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2-(4-메틸-1-피페라지닐)아세트아미드;
    2-({[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아미노)아세트산;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2-(4-모폴리닐)-2-옥소에틸]아미노}메틸)-4H-크로멘-4-온;
    2-({[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아미노)-N-(2-하이드록시에틸)-N-메틸아세트아미드;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2-(4-메틸-1-피페라지닐)-2-옥소에틸]아미노}메틸)-4H-크로멘-4-온;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3-(4-모폴리닐)-3-옥소프로필]아미노}메틸)-4H-크로멘-4-온;
    3-({[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4-옥소-4H-크로멘-6-일]메틸}아미노)-N-(2-하이드록시에틸)-N-메틸프로판아미드;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3-(4-메틸-1-피페라지닐)-3-옥소프로필]아미노}메틸)-4H-크로멘-4-온;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3-(4-모폴리닐)프로필]아미노}메틸)-4H-크로멘-4-온;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메틸[3-(4-모폴리닐)프로필]아미노}메틸)-4H-크로멘-4-온;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3-(1-피페라지닐)프로필]아미노}메틸)-4H-크로멘-4-온; 및
    8-브로모-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2-(1-피페라지닐)에틸]아미노}메틸)-4H-크로멘-4-온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
  3.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활성성분으로 제1항에 정의된 화학식 1의 화합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이성체를 함유하는 항암제 조성물.
KR1020020004512A 2002-01-25 2002-01-25 6-번 위치에 아미노메틸기가 치환된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 의존키나아제 저해제 KR20030064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512A KR20030064078A (ko) 2002-01-25 2002-01-25 6-번 위치에 아미노메틸기가 치환된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 의존키나아제 저해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512A KR20030064078A (ko) 2002-01-25 2002-01-25 6-번 위치에 아미노메틸기가 치환된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 의존키나아제 저해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078A true KR20030064078A (ko) 2003-07-31

Family

ID=32219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512A KR20030064078A (ko) 2002-01-25 2002-01-25 6-번 위치에 아미노메틸기가 치환된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 의존키나아제 저해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407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3920A (en) * 1995-10-31 1998-03-31 Mitotix, Inc. Inhibitors of cyclin dependent kinases
KR20000018305A (ko) * 1998-09-01 2000-04-06 성재갑 Cdk 저해제로서 유용한 크로멘 유도체
KR20000066253A (ko) * 1999-04-15 2000-11-15 성재갑 싸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010103188A (ko) * 2000-05-03 2001-11-23 성재갑 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cdk 저해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3920A (en) * 1995-10-31 1998-03-31 Mitotix, Inc. Inhibitors of cyclin dependent kinases
KR20000018305A (ko) * 1998-09-01 2000-04-06 성재갑 Cdk 저해제로서 유용한 크로멘 유도체
KR20000066253A (ko) * 1999-04-15 2000-11-15 성재갑 싸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010103188A (ko) * 2000-05-03 2001-11-23 성재갑 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cdk 저해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0831B2 (en) Indazoles substituted with 1,1-dioxoisothiazolidine useful as inhibitors of cell proliferation
KR100563514B1 (ko)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종양제
KR101738866B1 (ko) 안드로겐 수용체 길항제, 항암제로서 사이클릭 n,n'-다이아릴티오우레아 및 n,n'-다이아릴우레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JP2021176847A (ja) 置換5員および6員複素環式化合物、その調製方法、薬剤の組み合わせおよびその使用
JP2009511562A (ja) pSTAT3/IL−6インヒビターとしての新規ヘテロ環式化合物
JP6057907B2 (ja) チアゾリジン誘導体又はその塩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品
EA036388B1 (ru) Ингибиторы фосфатидилинозитол-3-киназы гамма
KR20010071836A (ko) 플라본 구조를 갖는 신규한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KR20110036951A (ko) 아랄킬 치환된 피페리딘 또는 피페라진 유도체 및 정신분열증 치료를 위한 이의 용도
WO2021008338A1 (zh) 极光激酶抑制剂及其用途
KR20000018305A (ko) Cdk 저해제로서 유용한 크로멘 유도체
KR100392468B1 (ko)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의 저해제로서 유용한3-히드록시크로멘-4-온 유도체
JP2018087173A (ja) 悪性脳腫瘍治療薬
KR20030064078A (ko) 6-번 위치에 아미노메틸기가 치환된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 의존키나아제 저해제
KR100589967B1 (ko) 항암제로 사용되는 3-아미노-6-메틸-인다졸 유도체
JP7371253B2 (ja) 新規なトリアゾロピリジン誘導体およびこれを含む薬学組成物
KR100399345B1 (ko) 아미노나프토퀴논구조를갖는사이클린-의존키나아제저해제화합물
KR100380146B1 (ko) 나프토퀴논구조를갖는사이클린-의존키나아제저해제화합물
KR20010097481A (ko) 새로운 구조를 갖는 cdk 저해제
KR20010103188A (ko) 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cdk 저해제
KR100589965B1 (ko) 3,5-디아미노인다졸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사이클린의존성 키나아제 저해제로서의 그의 용도
KR100406634B1 (ko) 3,5-디아미노인다졸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사이클린의존성 키나아제 저해제로서의 그의 용도
KR20240051859A (ko) Yap-tead 상호작용 억제를 위한 신규한 헤테로비시클릭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010097480A (ko) 새로운 구조를 갖는 cdk 저해제
KR20030064077A (ko) 새로운 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