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967B1 - 항암제로 사용되는 3-아미노-6-메틸-인다졸 유도체 - Google Patents

항암제로 사용되는 3-아미노-6-메틸-인다졸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9967B1
KR100589967B1 KR1020020006287A KR20020006287A KR100589967B1 KR 100589967 B1 KR100589967 B1 KR 100589967B1 KR 1020020006287 A KR1020020006287 A KR 1020020006287A KR 20020006287 A KR20020006287 A KR 20020006287A KR 100589967 B1 KR100589967 B1 KR 100589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indazol
phenylacetamide
compound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6111A (ko
Inventor
홍창용
이진호
이인상
이성배
김종현
최세현
김학중
최환근
윤숙경
정신우
김동명
김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to KR1020020006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9967B1/ko
Publication of KR20030066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1/56Benzopyrazoles; Hydrogenated benzopyr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61K31/4161,2-D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indazol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36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 C07D213/38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having only hydrogen or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the substituent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Cyclin Dependent Kinase; 이하, "CDK"라 한다)의 저해제로서 유용한 하기 화학식 1의 신규한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성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2003663510-pat00001
상기식에서
R1 및 R2 는 각각 명세서에 정의한 바와 같다.

Description

항암제로 사용되는 3-아미노-6-메틸-인다졸 유도체 {3-Amino-6-methyl-indazole derivative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cancer}
본 발명은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Cyclin Dependent Kinase; 이하, "CDK"라 한다)의 저해제로서 유용한 하기 화학식 1의 신규한 3-아미노-6-메틸-인다졸 유도체,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성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2003663510-pat00002
상기식에서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을 나타내거나; 할로겐, C1-C4-알킬, 할로게노-C1-C4-알킬, C1-C4-알콕시, 니트로, 하이드록시, C1 -C4-알콕시카보닐 및 카복 실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5-C12-아릴 또는 -비아릴을 나타내거나; 질소, 산소 및 황원자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며 상기 아릴에 대해 언급된 것과 동일한 치환체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5-C12-헤테로아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포분열 과정의 분자 수준에서의 본격적인 연구는 1980년대 후반 개구리 난자의 분열에 관한 연구, 효모의 여러 세포 성장이나 방사성 돌연변이의 특성분석, 그리고 종양 억제자인 Rb 연구를 통하여 활발해지기 시작했다. 1990년대에 들어 작은 크기의 세포주기 조절인자가 그의 조절기능을 통하여 세포의 성장, 분화, 발생, 노화, 고사(apoptosis) 등 세포분열과정을 조절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러 질병의 병리현상들을 좀더 정확히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암(cancer)이다.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세포성장 조절이 그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많이 발견되었다. 즉, 암세포에서는 세포주기 조절인자의 비정상적인 활성이 많이 발견되었고 이중에는 암병리학에서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침입/전이(invasion/metastasis)의 깊은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경우도 있다. 특히, 형질전환된 동물을 이용하여 세포성장 조절요소들의 과발현(overexpression) 또는 녹아웃(knock-out)을 유도하면 이들 실험동물에 암이 유발되는 것으로부터 세포주기의 조절해제(cell cycle deregulation)가 암을 유발 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임을 알 수 있다.
세포의 성장은 다른 모든 생물학적 조절과 마찬가지로 세포가 처한 환경에 따라 포지티브 조절과 네거티브 조절을 받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세포주기 조절의 주된 경로는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의 활성에 의한 것으로서, 많은 암세포 및 발암기전에 대한 연구결과 키나아제 활성에 대한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조절상의 문제가 암의 발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균형잡힌 조절이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적시 조절(timely regulation)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암이 발생될 수 있다.
포유류의 대표적인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로는 세포주기의 mid-G1기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CDK4(cyclin dependent kinase 4), mid-G1 및 S기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CDK2, 및 G2-M기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CDC2(CDK1)을 들 수 있다. 이중 CDK4 및 CDK2는 G1-S 세포주기 체크포인트에 의해서 그 활성이 조절되며 CDC2는 G2-M 체크포인트에 의해서 그 활성이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러 암세포에서 CDK4, CDK2, CDC2(CDK1)의 조절기작에 있어서의 비정상성을 보여주고 있고, 실제로 형질전환된 동물에서 인위적으로 유도된 이들 효소의 비정상성이 암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들 대표적인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CDK4, CDK2, CDC2(CDK1)는 항암제의 표적(target)으로서 매우 좋은 위치에 있다.
이들 CDKs와 암발병과의 관련성에 대해 지금까지 보고된 결과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DK4 활성의 비정상적 조절과 암발병과의 연관성은 여러 암조직에서 관찰되 고 있다. 여러 종류의 암에서 p16, p15 유전자의 결실 또는 사이클린 D1의 과발현이 확인되고 있는데, 이는 유방암이 전이성질을 띄는 것과 잘 연관이 되고 있으며, CDK4 활성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암의 악성 표현형(malignant phenotype)이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p16 녹아웃 마우스는 p53 녹아웃 마우스만큼이나 암발생율이 높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이로부터 CDK4 조절에 대한 p16의 기능상실이 암의 원인임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p16이 Ras나 src 등을 과량발현시킨 NIH 3T3 세포에 있어서 하부(downstream)에서 그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역으로 p16 이나 p21을 ras로 형질변환시킨 세포에서 발현시키면 변형된 표현형이 정상적인 표현형으로 바뀌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실험적 증거들은 CDK4 활성의 조절해제가 암을 유도하는 분명한 원인임을 입증한다고 여겨지고, 한걸음 더 나아가 암세포의 표현형을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 준다고 하겠다. 따라서 CDK4의 저해제는 항암효과를 보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한편, CDK2의 경우에, 일부 유방암에서 사이클린 E의 과발현이 관찰되고 이는 유방암의 전이와 깊은 연관이 있으며, 사이클린 E의 과발현이 낮은 혈청조건에서 세포의 고사를 저해하고 고착 비의존성 성장(anchorage independent growth)을 유발시키며, MMTV 프로모터를 이용하여 CDK2가 과발현되는 형질전환 동물에서 유방 상피세포의 이상증식(hyperproliferation, neoplasia)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CDK2 활성이 세포변형 과정 또는 그의 유지에 관여함을 강하게 시사하며, CDK2의 저해제가 항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CDC2(CDK1), CDK3, CDK5, CDK6, CDK7 등이 세포분열의 각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차츰 밝혀지고 있고 이들은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CDKs) 패밀리로 구분되고 있다. 또한, 사이클린의 경우도 위에서 언급했던 사이클린 D1이나 사이클린 E 이외에 사이클린 A, B, C, D2, D3, D4, F 및 G 가 같은 패밀리에 속한다.
이렇게 축적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이들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저해제가 항암제로서 유용하리라는 인식하에 이들 저해제에 대한 개발이 최근에와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개발된 CDKs 저해제로서 효과적인 화합물로는 하기 화학식 2의 플라보피리돌(Flavopiridol; 유럽특허 제0,241,003호(1987) 및 제0,366,061호(1990) 참조)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2003663510-pat00003
또한, 퓨린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3의 CDKs 저해제가 최근에 보고된 바 있으며(참조: WO 97/20842), 구조적으로 전혀 상이한 하기 화학식 4의 4-아미노피리미딘 화합물이 효과적인 CDK 저해제인 것으로 보고되었다(참조: WO 98/33798).
Figure 112002003663510-pat00004
Figure 112002003663510-pat00005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CDK 저해제들은 아직까지 충분히 만족스러운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며,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들 CDKs 효소들의 저해제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새로운 구조를 갖는 상기 화학식 1의 3-아미노-6-메틸-인다졸 구조의 화합물이 상기한 CDKs 효소들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CDKs 활성을 저해하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CDKs 란 CDK2, CDK4 및 CDC2(CDK1), CDK3, CDK5, CDK6, CDK7 등을 모두 포함하며, 사이클린도 사이클린 D1 과 사이클린 E 및 사이클린 A, B, C, D2, D3, D4, F, G 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CDKs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하기 화학식 1의 신규한 3-아미노-6-메틸-인다졸 유도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성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2003663510-pat00006
상기식에서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을 나타내거나; 할로겐, C1-C4-알킬, 할로게노-C1-C4-알킬, C1-C4-알콕시, 니트로, 하이드록시, C1 -C4-알콕시카보닐 및 카복실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5-C12-아릴 또는 -비아릴을 나타내거나; 질소, 산소 및 황원자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며 상기 아릴에 대해 언급된 것과 동일한 치환체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5-C12-헤테로아릴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치환체의 종류에 따라 비대칭 탄소중심을 가질 수 있고 이중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으므로, 개개의 에난티오머, 부분입체 이성체 또는 기하이성체로 존재할 수 있고, 라세미체를 포함한 이들의 혼합물로도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성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무독성 산부가염을 형성하는 산,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등과 같은 유기 카본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또는 나프탈렌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포함된다.
화학식 1의 화합물중 대표적인 화합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N-(5-브로모-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
N-(6-메틸-5-페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2);
N-[5-(2-퓨릴)-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3);
N-[6-메틸-5-(2-메틸페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4);
N-{6-메틸-5-[2-(트리프루오로메틸)페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5);
N-{6-메틸-5-[4-(트리프루오로메틸)페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6);
N-[6-메틸-5-(1-나프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7);
N-[6-메틸-5-(2-나프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8);
N-(5-[1,1-비페닐-4-일]-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9);
N-[6-메틸-5-(3-메틸페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0);
N-[6-메틸-5-(4-메틸페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1);
N-[5-(2-클로로페닐)-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2);
N-[5-(2-플루오로페닐)-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3);
N-[5-(3-클로로페닐)-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4);
N-[5-(4-클로로페닐)-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5);
N-[5-(4-메톡시페닐)-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6);
N-[6-메틸-5-(3-니트로페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7);
N-[5-(4-히드록시페닐)-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8);
N-[5-(3-아미노페닐)-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9);
N-[6-메틸-5-(4-피리디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20);
2-[1,1-비페닐-4-일]-N-[5-(2-플루오로페닐)-6-메틸-1H-인다졸-3-일]아세트아미드(화합물 21);
2-(4-클로로페닐)-N-[5-(2-플루오로페닐)-6-메틸-1H-인다졸-3-일]아세트아미드(화합물 22);
N-[5-(2-플루오로페닐)-6-메틸-1H-인다졸-3-일]-2-(2-나프틸)아세트아미드(화합물 23);
N-[6-메틸-5-(2-니트로페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24);
N-[6-메틸-5-(2-메틸-5-니트로페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25);
N-[6-메틸-5-(2-메틸-3-니트로페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26);
N-[5-(3-플루오로페닐)-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27);
N-[5-(4-플루오로페닐)-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28);
에틸 3-{6-메틸-3-[(2-페닐아세틸)아미노]-1H-인다졸-5-일}벤조에이트(화합물 29); 및
3-{6-메틸-3-[(2-페닐아세틸)아미노]-1H-인다졸-5-일}벤조산(화합물 3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방법, 예를들어 반응용매, 염기, 반응물질의 사용량과 같은 반응조건들이 하기에 설명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에 기재되거나 당업계의 공지문헌에 개시된 여러 가지 합성방법을 임의로 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이러한 조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범용화된 통상의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에 도시한 방법을 통해 합성하거나, 하기 반응식 2에 도시한 방법을 통해 수득된 하기 화학식 11의 화합물에 R2그룹을 도입시키는 아미드화 반응을 통해 합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2003663510-pat00007
Figure 112002003663510-pat00008
Figure 112002003663510-pat00009
상기식에서
R1 및 R2 는 각각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먼저, 반응식 1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트라릴로니트릴 화합물[5]를 브롬화반응시켜 화합물[6]을 얻은 후, 이를 하이드록시아민과 반응시키면 아미드옥심 화합물[7]이 수득된다. 수득된 아미드옥심[7]을 R1 그룹을 포함하는 에스테르 화합물과 반응시켜 본 발명에 따른 3-아미노인다졸[1a]을 수득하였다. 3-아미노인다졸 화합물의 1번 위치를 t-부톡시카보닐 그룹으로 보호하여 화합물[8]을 얻은 다음, 팔라듐이나 주석 촉매를 이용한 반응 및 탈보호기화반응을 수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1b]를 수득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함에 있어 중간체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화학식 11의 화합물은 상기 반응식 2에 도시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을 촉매로 사용한 t-부톡시카보닐 보호기화 반응을 통하여 화합물[9]로부터 페닐아세테이트를 제거하여 화합물[10]을 얻은 다음, t-부톡시카보닐기를 제거하여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반응이 완결된 후에 생성물은 통상적인 후처리 방법, 예를 들면 크로마토그래피, 재결정화 등의 방법에 의해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CDKs 에 대한 우수한 저해활성으로 인하여 항암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화학식 1의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이성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임상적인 목적으로 투여시에 단일용량 또는 분리용량으로 숙주에게 투여될 총 일일용량은 체중 1kg 당 0.1 내지 1000mg의 범위가 바람직하나, 특정 환자에 대한 특이 용량 수준은 사용될 특정 화합물, 체중, 성,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약제혼합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주사용 제제 및 경구용 제제로 투여할 수 있다.
주사용 제제, 예를들면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은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적합한 분산제, 습윤제 또는 현탁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용매에는 물, 링거액 및 등장성 NaCl 용액이 있으며, 멸균 고정 오일은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한다. 모노-,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은 주사용 제제에 사용할 수 있다.
경구투여용 고체투여 형태는 캅셀제, 정제, 환제, 산제 및 입제가 가능하고, 특히 캅셀제와 정제가 유용하다. 정제 및 환제는 장피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투여 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활성화합물을 슈크로오즈, 락토오즈, 전분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불활성 희석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붕해제 및 결합제 중에서 선택된 담체와 혼합시킴으로서 제조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임상적으로 투여하여 목적하는 항암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 화학식 1의 활성화합물은 공지의 항암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과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과 혼합하여 투여될 수 있는 항암제로는 5-플루오로우라실, 시스플라틴, 독소루비신, 택솔, 젬시타빈 (Gemcitabine)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항암 효과를 목적으로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함유 제제는 상술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암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한 제제라면 어떠한 것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제조예는 최종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중간체의 합성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며, 실시예는 제조예 화합물의 반응을 통하여 최종화합물을 합성하는 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2-아미노-5-브로모-4-메틸벤조니트릴의 합성
2-아미노-4-메틸벤조니트릴 4.63g(35mmole)을 100㎖의 아세트산에 녹인 후, 아세트산 10㎖에 희석된 브롬 5.59g(35mmole)을 천천히 가하여 30분동안 교반하였다. 포화된 탄산수소나트륨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침전된 고체를 여과하여 물로 세척해주고 건조시켜 표제화합물 6.33g을 8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2.23 (3H, s), 6.15 (2H, s), 6.74 (1H, s), 7.59 (1H, s)
ESI MS(m/e) = 212 [M+1]
제조예 2
2-아미노-5-브로모-N-하이드록시-4-메틸벤젠카르복시이미드아미드의 합성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5.28g(25mmole)을 75㎖의 에탄올에 녹인 용액을 하이드록시아민 3.47g(50mmole)과 탄산수소나트륨 4.2g(50mmole)을 15㎖의 물에 녹인 용액에 가하고 15시간동안 환류시키면서 가열하였다. 반응액을 상온으로 냉각 시키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에 물을 붓고, 석출된 고체를 여과한 다음 물로 세척하여 표제화합물 5.53g을 91% 수율로 수득하였다.
제조예 3
tert-부틸 5-브로모-6-메틸-3-[(2-페닐아세틸)아미노]-1 H -인다졸-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하기 실시예 1에서 얻은 화합물 5.4g(15.69mmole)을 150㎖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6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23㎖(31.38mmole) 및 디-tert-부틸디카보네이트 4.11g(18.83mmole)을 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증류하여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소금물로 세척해주었다. 용매를 감압증류하여 제거한 후 디에틸에테르를 이용하여 고체화시키고 여과하여 표제화합물 4.06g을 5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1.62 (9H, s), 2.50 (3H, s), 3.77 (2H, s), 7.20~7.50 (5H, m), 8.08 (1H, s), 8.23 (1H, s), 11.30 (1H,s)
ESI MS(m/e) = 445 [M+1]
제조예 4
tert-부틸 3-[비스(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 - 5-(2-플루오로페닐)-6-메틸-1 H -인다졸-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하기 실시예 13-1에서 얻은 화합물 0.41g(0.9mmole)과 디-tert-부틸디카보네이트 0.49g(2.25mmole)을 10㎖의 디클로로메탄에 녹인 후, 여기에 트리에틸아민 0.31㎖(0.9mmole)와 디메틸아미노피리딘 11mg(0.09mmole)을 가하여 1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증류하여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소금물로 세척해주었다. 용매를 감압증류하여 제거한 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에틸아세테이트=5/1,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0.46g을 9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1.37 (18H, s), 1.66 (9H, s), 2.28 (3H, s), 7.23~7.58 (5H, m), 8.07 (1H, s)
ESI MS(m/e) = 542 [M+1]
제조예 5
5-(2-플루오로페닐)-6-메틸-1 H -인다졸-3-일아민의 합성
제조예 4에서 얻은 화합물 0.46g(0.84mmole)을 10㎖의 디클로로메탄에 녹인 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0㎖)을 가하여 1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증류 로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포화된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해주었다. 용매를 감압증류하여 제거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에틸아세테이트=1/1,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63mg을 3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CD3OD, ppm); δ 2.18 (3H, s), 7.05~7.41 (6H, m)
ESI MS(m/e) = 242 [M+1]
실시예 1
N -(5-브로모-6-메틸-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의 합성
제조예 2에서 얻은 화합물 5.53g(22.7mmole)을 250㎖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녹인 후 수소화나트륨 2.72g(68.1mmole)을 가하고 상온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에틸 페닐아세테이트 7.45g(45.4mmole)을 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한 후 20 ㎖의 디메틸포름아미드를 가하고 15시간 동안 약하게 가열하면서 교반하였다.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하고,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로 처리하여 고체를 수득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한 후 물과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표제화합물 5.41g을 6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2.43 (3H, s), 3.72 (2H, s), 7.22~7.4 (5H, m), 7.42 (1H, s), 8.04 (1H, s), 10.74 (1H, s)
ESI MS(m/e) = 345 [M+1]
실시예 2
N -(6-메틸-5-페닐-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2)의 합성
2-1) tert-부틸 5-페닐-6-메틸-3-[(2-페닐아세틸)아미노]-1 H -인다졸-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제조예 3에서 얻은 화합물 1.0g(2.25mmole)을 50㎖의 톨루엔에 녹인 후 트리부틸페닐틴 1.24g(3.38mmole)과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26g(0.23 mmole)을 가하여 5시간동안 환류시켰다.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 다음, 불소화칼륨 수용액으로 세척해주었다. 용매를 감압증류하여 제거한 후 디에틸에테르를 이용하여 고체화시키고 여과하여 표제화합물 0.78g을 7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1.69 (9H, s), 2.36 (3H, s), 3.79 (2H, s), 7.20~7.60 (11H, m), 7.97 (1H, d), 8.15 (1H, s)
ESI MS(m/e) = 442 [M+1]
2-2) N -(6-메틸-5-페닐-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2)의 합성
실시예 2-1)에서 얻은 화합물 8mg(0.018mmole)을 1㎖의 디클로로메탄에 녹인 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을 가하여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포화된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해주었다. 용매를 감압증류하여 제거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에틸아세테이트=1/3,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5mg을 8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CD3OD, ppm); δ 2.23 (3H, s), 3.71 (2H, s), 7.16~7.40 (11H, m), 7.62 (1H, d)
ESI MS(m/e) = 342 [M+1]
실시예 3
N -[5-(2-퓨릴)-6-메틸-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3)의 합성
트리부틸페닐틴 대신에 2-(트리부틸스테닐)퓨란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9mg을 3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CD3OD, ppm); δ 2.46 (3H, s), 3.77 (2H, s), 6.42 (2H, s), 7.14 (1H, s), 7.22~7.40 (5H, m), 7.43 (1H, s), 8.07 (1H, s)
ESI MS(m/e) = 332 [M+1]
실시예 4
N -[6-메틸-5-(2-메틸페닐)-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4)의 합성
4-1) tert-부틸 5-(2-메틸페닐)-6-메틸-3-[(2-페닐아세틸)아미노]-1 H -인다졸-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제조예 3에서 얻은 화합물 36mg(0.08mmole), 오르토-톨릴보론산 22mg(0.16 mmole),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9mg(0.008mmole)을 3㎖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묽힌 후 세슘 플루오라이드 24mg(0.16mmole)을 가하여 5시간 동안 환류시키면서 가열하였다. 반응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소금물로 세척해주었다.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에틸아세테이트=2/1,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23mg을 6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1.74 (9H, s), 2.04 (3H, s), 2.18 (3H, s), 3.77 (2H, s), 7.10~7.48 (9H, m), 7.89 (1H, s), 8.00 (1H, s), 8.76 (1H, s)
ESI MS(m/e) = 456 [M+1]
4-2) N -[6-메틸-5-(2-메틸페닐)-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4)의 합성
실시예 2-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4-1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16mg을 8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2.02 (3H, s), 2.07 (3H, s), 3.75 (2H, s), 7.00~ 7.40 (9H, m), 7.67 (1H, s), 8.13 (1H, s), 10.07 (1H, s)
ESI MS(m/e) = 356 [M+1]
실시예 5
N -{6-메틸-5-[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5)의 합성
오르토-톨릴보론산 대신에 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보론산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20mg을 6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CD3OD, ppm); δ 1.99 (3H, s), 3.71 (2H, s), 7.12~7.33 (7H, m), 7.38 (1H, t), 7.45 (1H, t), 7.58 (1H, s), 7.65 (1H, d)
ESI MS(m/e) = 410 [M+1]
실시예 6
N -{6-메틸-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6)의 합성
오르토-톨릴보론산 대신에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보론산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19mg을 5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CD3OD, ppm); δ 2.22 (3H, s), 3.73 (2H, s), 7.17 (1H, s), 7.20~7.42 (7H, m), 7.58 (2H, d), 7.69(1H, s)
ESI MS(m/e) = 410 [M+1]
실시예 7
N -[6-메틸-5-(1-나프틸)-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7)의 합성
오르토-톨릴보론산 대신에 1-나프탈렌 보론산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18mg을 5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1.99 (3H, s), 3.65 (2H, s), 7.15~7.45 (9H, m), 7.51 (1H, t), 7.57 (1H, t), 7.62 (1H, s), 7.95 (1H, d), 7.99 (1H, d), 10.65 (1H, s)
ESI MS(m/e) = 392 [M+1]
실시예 8
N -[6-메틸-5-(2-나프틸)-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8)의 합성
오르토-톨릴보론산 대신에 2-나프탈렌 보론산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10mg을 3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2.32 (3H, s), 3.69 (2H, s), 7.18~7.58 (9H, m), 7.68 (1H, s), 7.82 (1H, s), 7.93~7.99 (3H, m), 10.65 (1H, s)
ESI MS(m/e) = 392 [M+1]
실시예 9
N -(5-[1,1-비페닐-4-일]-6-메틸-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화합물 9)의 합성
오르토-톨릴보론산 대신에 4-바이페닐 보론산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8mg을 2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2.33 (3H, s), 3.70 (2H, s), 7.20~7.43 (9H, m), 7.49 (2H, t), 7.63 (1H, s), 7.72 (4H, dd), 10.65 (1H, s)
ESI MS(m/e) = 418 [M+1]
실시예 10
N -[6-메틸-5-(3-메틸페닐)-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0)의 합성
오르토-톨릴보론산 대신에 3-메틸벤젠 보론산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3mg을 75% 수율로 수득하였 다.
1H NMR (CDCl3+CD3OD, ppm); δ 2.27 (3H, s), 2.33 (3H, s), 3.73 (2H, s), 7.02~7.38 (10H, m), 7.62 (1H, s)
ESI MS(m/e) = 356 [M+1]
실시예 11
N -[6-메틸-5-(4-메틸페닐)-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1)의 합성
오르토-톨릴보론산 대신에 4-메틸벤젠 보론산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7mg을 2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CD3OD, ppm); δ 2.24 (3H, s), 2.34 (3H, s), 3.72 (2H, s), 7.12~7.36 (10H, m), 7.60 (1H, s)
ESI MS(m/e) = 356 [M+1]
실시예 12
N -[5-(2-클로로페닐)-6-메틸-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2)의 합성
오르토-톨릴보론산 대신에 2-클로로벤젠 보론산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14mg을 4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2.11 (3H, s), 3.69 (2H, s), 7.19~7.57 (11H, m), 10.65 (1H, s)
ESI MS(m/e) = 376 [M+1]
실시예 13
N -[5-(2-플루오로페닐)-6-메틸-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3)의 합성
13-1) tert-부틸 5-(2-플루오로페닐)-6-메틸-3-[(2-페닐아세틸)아미노]-1 H -인다졸-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오르토-톨릴보론산 대신에 2-플루오로벤젠 보론산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18mg을 4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1.68 (9H, s), 2.32 (3H, s), 3.78 (2H, s), 7.18~ 7.40 (9H, m), 8.02 (2H, d), 8.50 (1H, s)
ESI MS(m/e) = 460 [M+1]
13-2) N -[5-(2-플루오로페닐)-6-메틸-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 미드의 합성
실시예 2-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13-1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12mg을 8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2.18 (3H, s), 3.69 (2H, s), 7.20~7.48 (10H, m), 7.60 (1H, s), 10.66 (1H, s)
ESI MS(m/e) = 360 [M+1]
실시예 14
N -[5-(3-클로로페닐)-6-메틸-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4)의 합성
오르토-톨릴보론산 대신에 3-클로로벤젠 보론산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12mg을 4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2.27 (3H, s), 3.69 (2H, s), 7.20~7.48 (10H, m), 7.59 (1H, s), 10.66 (1H, s)
ESI MS(m/e) = 376 [M+1]
실시예 15
N -[5-(4-클로로페닐)-6-메틸-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5)의 합성
오르토-톨릴보론산 대신에 4-클로로벤젠 보론산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16mg을 5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2.50 (3H, s), 3.69 (2H, s), 7.20~7.38 (8H, m), 7.47 (2H, d), 7.58 (1H, s), 10.65 (1H, s)
ESI MS(m/e) = 376 [M+1]
실시예 16
N -[5-(4-메톡시페닐)-6-메틸-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6)의 합성
오르토-톨릴보론산 대신에 4-메톡시벤젠 보론산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5mg을 6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2.26 (3H, s), 3.68 (2H, s), 3.78 (3H, s), 6.96 (2H, d), 7.18~7.64 (9H, m), 10.60 (1H, s)
ESI MS(m/e) = 372 [M+1]
실시예 17
N -[6-메틸-5-(3-니트로페닐)-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7)의 합성
오르토-톨릴보론산 대신에 3-니트로벤젠 보론산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5mg을 3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2.29 (3H, s), 3.70 (2H, s), 7.19~7.41 (6H, m), 7.68 (1H, s), 7.73 (1H, t), 7.80 (1H, d), 8.08 (1H, s), 8.22 (1H, d), 10.69 (1H, s)
ESI MS(m/e) = 387 [M+1]
실시예 18
N -[5-(4-하이드록시페닐)-6-메틸-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8)의 합성
실시예 16에서 탈보호기화 반응전에 얻은 화합물 12mg(0.025mmole)을 2㎖의 디클로로메탄에 녹인 후 과량의 트리브로모보론을 첨가하여 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메탄올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하고 디에틸에테르에서 고체화하여 표제화합물 8mg을 8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2.25 (3H, s), 3.68 (2H, s), 6.79 (2H, d), 7.07 (2H, d), 7.20~7.42 (6H, m), 7.49 (1H, s), 10.59 (1H, s)
ESI MS(m/e) = 358 [M+1]
실시예 19
N -[5-(3-아미노페닐)-6-메틸-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19)의 합성
19-1) tert-부틸 5-(3-아미노페닐)-6-메틸-3-[(2-페닐아세틸)아미노]-1 H -인다졸-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실시예 17에서 탈보호기화 반응전에 얻은 화합물 22mg(0.045mmole)을 2㎖의 디클로로메탄과 5㎖의 메탄올에 녹인 후 활성탄소에 흡착된 팔라듐(10%) 소량(10% 질량비)을 가하고 5시간 동안 수소기체하에 교반하였다. 셀라이트를 통해 반응액을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한 다음,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에틸아세테이트=1/1,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4mg을 6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1.68 (9H, s), 2.37 (3H, s), 3.73 (2H, s), 3.78 (2H, s), 6.61~6.74 (3H, m), 7.17 (1H, t), 7.23~7.38 (5H, m), 7.95 (2H, d), 8.37 (1H, s)
ESI MS(m/e) = 457 [M+1]
19-2) N -[5-(3-아미노페닐)-6-메틸-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 드(화합물 19)의 합성
실시예 2-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19-1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3mg을 3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2.26 (3H, s), 3.69 (2H, s), 5.08 (2H, s), 6.39 (1H, d), 6.46 (1H, s), 6.52 (1H, d), 7.03 (1H, t), 7.18~7.42 (6H, m), 7.51 (1H, s), 10.59 (1H, s)
ESI MS(m/e) = 357 [M+1]
실시예 20
N -[6-메틸-5-(4-피리디닐)-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20)의 합성
20-1) tert-부틸 5-(4-피리디닐)-6-메틸-3-[(2-페닐아세틸)아미노]-1 H -인다졸-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제조예 3에서 얻은 화합물 22mg(0.05mmole), 디클로로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4mg(0.005mmole),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14mg(0.055mmole) 및 포타슘아세테이트 15mg(0.15mmole)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묽힌 후 80℃로 가열하여 3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4-브로모피리딘 19mg(0.1mmole), 디클로로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4mg(0.005mmole) 및 2M 탄산나트륨 수용액 0.15㎖(0.3mmole)을 가하여 80℃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포화된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과 소금물로 세척해주었다.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에틸아세테이트=1/3,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7mg을 3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ppm); δ 1.69 (9H, s), 2.37 (3H, s), 3.79 (2H, s), 7.26~ 7.41 (7H, m), 8.02 (3H, d), 8.66 (2H, s)
ESI MS(m/e) = 443 [M+1]
20-2) N -[6-메틸-5-(4-피리디닐)-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20)의 합성
실시예 2-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20-1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3mg을 5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CD3OD, ppm); δ 2.26 (3H, s), 3.72 (2H, s), 7.20~7.36 (8H, m), 7.72 (1H, s), 8.49 (2H, s)
ESI MS(m/e) = 343 [M+1]
실시예 21
2-[1,1-비페닐-4-일] -N -[5-(2-플루오로페닐)-6-메틸-1 H -인다졸-3-일]아세트아미드(화합물 21)의 합성
제조예 5에서 얻은 화합물 31mg(0.13mmole)을 3㎖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4-바이페닐아세틸클로라이드 120mg(0.52mmole)을 가하여 1시간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6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0.5㎖를 가하여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시킨 후 포화된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과 소금물로 세척해주었다.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하고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고체화하여 표제화합물 13mg을 2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2.18 (3H, s), 3.74 (2H, s), 7.23~7.68 (15H, m), 10.69 (1H, s)
ESI MS(m/e) = 436 [M+1]
실시예 22
2-(4-클로로페닐) -N -[5-(2-플루오로페닐)-6-메틸-1 H -인다졸-3-일]아세트아미드(화합물 22)의 합성
4-클로로페닐아세트산 51mg(0.3mmole)을 1㎖의 디클로로메탄에 녹인 후 설퍼옥시클로라이드 0.2㎖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1㎖를 가하여 1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한 후 3㎖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였다. 여기에 제조예 5에서 얻은 화합물 18mg(0.075mmole)을 가하여 1시간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상 온으로 냉각시킨 후 6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0.5㎖를 가하여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시키고 포화된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과 소금물로 세척해주었다.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에틸아세테이트=1/2, v/v)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8mg을 2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2.18 (3H, s), 3.70 (2H, s), 7.24~7.48 (9H, m), 7.60 (1H, s), 10.67 (1H, s)
ESI MS(m/e) = 394 [M+1]
실시예 23
N -[5-(2-플루오로페닐)-6-메틸-1 H -인다졸-3-일]-2-(2-나프틸)아세트아미드(화합물 23)의 합성
4-클로로페닐아세트산 대신에 2-나프틸아세트산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15mg을 4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2.17 (3H, s), 3.88 (2H, s), 7.21~7.93 (13H, m), 10.73 (1H, s)
ESI MS(m/e) = 410 [M+1]
실시예 24
N -[6-메틸-5-(2-니트로페닐)-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24)의 합성
4-브로모피리딘 대신에 1-브로모-2-니트로벤젠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0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10mg을 1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1.64 (9H, s), 2.18 (3H, s), 3.75 (2H, s), 7.20~7.51 (6H, m), 7.70 (1H, t), 7.74 (1H, s), 7.81 (1H, t), 8.04 (1H, s), 8.10 (1H, d), 11.21 (1H, s)
ESI MS(m/e) = 387 [M+1]
실시예 25
N -[6-메틸-5-(2-메틸-5-니트로페닐)-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25)의 합성
4-브로모피리딘 대신에 2-브로모-4-니트로톨루엔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0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6mg을 1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2.06 (3H, s), 2.09 (3H, s), 3.68 (2H, s), 7.18~7.52 (6H, m), 7.54 (1H, s), 7.60 (1H, d), 7.87 (1H, s), 8.16 (1H, d), 10.67 (1H, s)
ESI MS(m/e) = 401 [M+1]
실시예 26
N -[6-메틸-5-(2-메틸-3-니트로페닐)-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26)의 합성
4-브로모피리딘 대신에 2-브로모-6-니트로톨루엔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0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5mg을 1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2.05 (3H, s), 2.07 (3H, s), 3.68 (2H, s), 7.16~7.56 (9H, m), 9.71 (1H, d), 10.66 (1H, s)
ESI MS(m/e) = 401 [M+1]
실시예 27
N -[5-(3-플루오로페닐)-6-메틸-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27)의 합성
오르토-톨릴보론산 대신에 3-플루오로벤젠 보론산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9mg을 31% 수율로 수득하 였다.
1H NMR (DMSO-d6, ppm); δ 2.28 (3H, s), 3.69 (2H, s), 7.10~7.50 (10H, m), 7.59 (1H, s), 10.63 (1H, s)
ESI MS(m/e) = 360 [M+1]
실시예 28
N -[5-(4-플루오로페닐)-6-메틸-1 H -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화합물 28)의 합성
4-브로모피리딘 대신에 4-브로모-1-플루오로벤젠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0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5mg을 1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2.26 (3H, s), 3.70 (2H, s), 7.16~7.45 (10H, m), 7.58 (1H, s), 10.61 (1H, s)
ESI MS(m/e) = 360 [M+1]
실시예 29
에틸 3-{6-메틸-3-[(2-페닐아세틸)아미노]-1 H -인다졸-5-일}벤조에이트(화합물 29) 의 합성
오르토-톨릴보론산 대신에 3-에톡시카보닐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 21mg을 4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ppm); δ 1.32 (3H, t), 2.26 (3H, s), 3.70 (2H, s), 4.33 (2H, q), 7.18~7.67 (9H, m), 7.83 (1H, s), 7.94 (1H, d), 10.65 (1H, s)
ESI MS(m/e) = 414 [M+1]
실시예 30
3-{6-메틸-3-[(2-페닐아세틸)아미노]-1 H -인다졸-5-일}벤조산 리튬염(화합물 30)의 합성
Figure 112002003663510-pat00010
실시예 29에서 얻은 화합물 20mg(0.048mmole)을 3㎖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1㎖의 물에 녹인 후 수산화리튬 3mg(0.072mmole)을 가하여 1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하여 표제화합물을 정량적으로 수득하였다.
1H NMR (CD3OD, ppm); δ 2.31 (3H, s), 3.76 (2H, s), 7.18~7.47 (8H, m), 7.56 (1H, s), 7.91~7.96 (2H, m)
ESI MS(m/e) = 392 [M+1]
실험예 1
CDK2 와 CDK4의 억제활성
CDK2 억제능에 대한 실험은 키타가와(Kitagawa) 방법[참조: Kitagawa, M. et al., Oncogene 9; 2549, 1994]에 따라 측정하고, CDK4 억제능은 칼슨(Carlson) 법[참조: Carlson, B.A. et al., Cancer Research 56; 2473, 1996]에 따라 측정하였다.
활성 CDK2/사이클린 A는 히스티딘으로 표지된 인체 CDK2 단백질과 사이클린 A 단백질의 결합체로서 His-CDK2 유전자를 발현하는 배큐로바이러스와 사이클린 A 유전자를 발현하는 배큐로바이러스를 동시에 감염시킨 곤충세포로부터 정제된, 단위활성 14nmole/min/㎎이고 ATP에 대한 Km이 22μM인 것을 사용하였다. 활성 CDK4/사이클린 D1은 GST(글루타치온-S-트랜스퍼라제)와 연결된 인체 CDK4 단백질과 사이클린 D1 단백질의 결합체로서 곤충세포에서 발현 및 정제된, 단위활성 57nmole/min/㎎이고 ATP에 대한 Km이 940μM인 것을 사용하였다. 효소의 기질로는 인간의 Rb 단백질중 C-말단의 아미노산 780 에서 928 까지를 그의 N-말단에 GST 단 백질로 표식하여 박테리아에서 대량 발현시킨 후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CDK2/사이클린 A 와 CDK4/사이클린 D1 효소 활동도 측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약 100ng의 효소를 20㎍의 GST-RB 단백질, 100μM ATP, 5μCi p32-γ-ATP 를 포함한 총 100㎕ 의 20mM 트리스(pH 8.0), 100mM NaCl, 10mM MgCl2 완충용액중에서 30℃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후 EDTA 용액을 가하여 그 농도가 20mM이 되도록 하여 효소반응을 종결시켰다. 이어서 30㎕ 의 50% 글루타치온 비드(Pharmacia 에서 구입)를 가하여 GST-RB를 비드에 부착시킨 후, 이를 20mM 트리스(pH 8.0), 100mM NaCl, 10mM EDTA 용액으로 3회 세척하고 섬광계수(scintilla- tion counting)를 측정하였다. 화합물의 저해능을 분석하기 위해 적당 농도의 저해제를 효소반응용액에 첨가하여 상기한 방법에 따라 효소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측정한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학식 1 화합물의 CDK2 및 CDK4 에 대한 저해활성을 IC50 값으로 나타내었다(하기 표 1 참조).
화합물 번호 분자량 CDK2 (μM) CDK4 (μM)
1 344.2 0.75 7.9
2 341.4 0.13 3
3 331.4 0.12 1.2
4 355.4 0.07 0.8
5 409.4 0.32 4.7
6 409.4 >1 >1
7 391.5 1.3 8
8 391.5 1.8 12
9 417.5 5.3 9
10 355.4 0.18 3.5
11 355.4 0.75 5.6
12 375.9 0.17 1.5
13 359.4 0.06 1
14 375.9 0.2 3.6
15 375.9 3 12
16 371.4 2.5 7.5
17 386.4 0.07 1
18 357.4 0.19 5
19 356.4 0.31 6
20 342.4 0.94 15
21 435.5 1 15
22 393.8 0.11 2.2
23 409.5 0.14 3
24 386.4 0.21 3.2
25 400.4 0.126 1.1
26 400.4 0.4 3.9
27 359.4 0.22 7.1
28 359.4 0.4 20
29 413.5 0.38 20
30 391.4 3.2 20

Claims (3)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또는 수화물:
    [화학식 1]
    Figure 112006002197481-pat00011
    상기식에서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을 나타내거나; 할로겐, C1-C4-알킬, 할로게노-C1-C4-알킬, C1-C4-알콕시, 니트로, 하이드록시, C1-C4-알콕시카보닐 및 카복실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5-C12-아릴 또는 -비아릴을 나타내거나; 질소, 산소 및 황원자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며 상기 아릴에 대해 언급된 것과 동일한 치환체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5-C12-헤테로아릴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N-(5-브로모-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6-메틸-5-페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5-(2-퓨릴)-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6-메틸-5-(2-메틸페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6-메틸-5-[2-(트리프루오로메틸)페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6-메틸-5-[4-(트리프루오로메틸)페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6-메틸-5-(1-나프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6-메틸-5-(2-나프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5-[1,1-비페닐-4-일]-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6-메틸-5-(3-메틸페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6-메틸-5-(4-메틸페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5-(2-클로로페닐)-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5-(2-플루오로페닐)-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5-(3-클로로페닐)-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5-(4-클로로페닐)-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5-(4-메톡시페닐)-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6-메틸-5-(3-니트로페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5-(4-히드록시페닐)-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5-(3-아미노페닐)-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6-메틸-5-(4-피리디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2-[1,1-비페닐-4-일]-N-[5-(2-플루오로페닐)-6-메틸-1H-인다졸-3-일]아세트아미드;
    2-(4-클로로페닐)-N-[5-(2-플루오로페닐)-6-메틸-1H-인다졸-3-일]아세트아미드;
    N-[5-(2-플루오로페닐)-6-메틸-1H-인다졸-3-일]-2-(2-나프틸)아세트아미드;
    N-[6-메틸-5-(2-니트로페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6-메틸-5-(2-메틸-5-니트로페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6-메틸-5-(2-메틸-3-니트로페닐)-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5-(3-플루오로페닐)-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N-[5-(4-플루오로페닐)-6-메틸-1H-인다졸-3-일]-2-페닐아세트아미드;
    에틸 3-{6-메틸-3-[(2-페닐아세틸)아미노]-1H-인다졸-5-일}벤조에이트; 및
    3-{6-메틸-3-[(2-페닐아세틸)아미노]-1H-인다졸-5-일}벤조산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
  3.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활성성분으로 제1항에 정의된 화학식 1의 화합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또는 수화물을 함유하는 항암제 조성물.
KR1020020006287A 2002-02-04 2002-02-04 항암제로 사용되는 3-아미노-6-메틸-인다졸 유도체 KR100589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287A KR100589967B1 (ko) 2002-02-04 2002-02-04 항암제로 사용되는 3-아미노-6-메틸-인다졸 유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287A KR100589967B1 (ko) 2002-02-04 2002-02-04 항암제로 사용되는 3-아미노-6-메틸-인다졸 유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111A KR20030066111A (ko) 2003-08-09
KR100589967B1 true KR100589967B1 (ko) 2006-06-15

Family

ID=3222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287A KR100589967B1 (ko) 2002-02-04 2002-02-04 항암제로 사용되는 3-아미노-6-메틸-인다졸 유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99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2932A1 (en) 2007-02-21 2008-08-28 Biobud Co., Ltd. Compositions for treating hyperproliferative vascular disorders and canc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045B1 (ko) 2018-12-12 2021-02-05 주식회사 메디너스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2932A1 (en) 2007-02-21 2008-08-28 Biobud Co., Ltd. Compositions for treating hyperproliferative vascular disorders and canc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111A (ko) 200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0831B2 (en) Indazoles substituted with 1,1-dioxoisothiazolidine useful as inhibitors of cell proliferation
EP3733659B1 (en) Aromatic vinyl or aromatic ethyl derivativ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intermedia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application
EP3875458A1 (en) Diphenyl-like compound, intermediate thereof, preparation method theref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and uses thereof
JP4294960B2 (ja) 抗癌剤としてのサイクリン依存性キナーゼ阻害剤
JP2001072592A (ja) テロメラーゼ阻害剤
EA017112B1 (ru) N-замещенные производные глицина: ингибиторы гидроксилаз
EP3287463A1 (en) Condensed-ring pyrimidylamino derivativ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intermedia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applications thereof
EA021306B1 (ru) Ингибитор stat3, содержащий хинолинкарбоксамидное производное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EP3943083A1 (en) Small-molecule inhibitor of pd-1/pd-l1,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with pd-l1 antibody, and application of same
JP2011526917A (ja) オキシインドール化合物
EP2107054A1 (en) Antiproliferative compound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KR100589967B1 (ko) 항암제로 사용되는 3-아미노-6-메틸-인다졸 유도체
KR100392468B1 (ko)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의 저해제로서 유용한3-히드록시크로멘-4-온 유도체
KR20000018305A (ko) Cdk 저해제로서 유용한 크로멘 유도체
WO2021185297A1 (zh) Egfr酪氨酸激酶抑制剂及其用途
KR100380146B1 (ko) 나프토퀴논구조를갖는사이클린-의존키나아제저해제화합물
KR100399345B1 (ko) 아미노나프토퀴논구조를갖는사이클린-의존키나아제저해제화합물
KR100589965B1 (ko) 3,5-디아미노인다졸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사이클린의존성 키나아제 저해제로서의 그의 용도
KR100406634B1 (ko) 3,5-디아미노인다졸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사이클린의존성 키나아제 저해제로서의 그의 용도
KR20010097481A (ko) 새로운 구조를 갖는 cdk 저해제
KR19990069877A (ko) 나프토퀴논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화합물
KR20000055080A (ko) 싸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399364B1 (ko)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의 저해제로서 유용한3-히드록시-6-아미노-크로멘-4-온 유도체
KR20030064078A (ko) 6-번 위치에 아미노메틸기가 치환된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 의존키나아제 저해제
KR20010103188A (ko) 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cdk 저해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