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305A - Cdk 저해제로서 유용한 크로멘 유도체 - Google Patents

Cdk 저해제로서 유용한 크로멘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305A
KR20000018305A KR1019980035837A KR19980035837A KR20000018305A KR 20000018305 A KR20000018305 A KR 20000018305A KR 1019980035837 A KR1019980035837 A KR 1019980035837A KR 19980035837 A KR19980035837 A KR 19980035837A KR 20000018305 A KR20000018305 A KR 20000018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xy
formula
methoxy
chromen
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웅
홍창용
김영관
김인철
손호선
김동명
양범석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80035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305A/ko
Priority to EP99941831A priority patent/EP1109800A1/en
Priority to KR1020017000420A priority patent/KR20010071836A/ko
Priority to US09/786,227 priority patent/US6500846B1/en
Priority to PCT/KR1999/000499 priority patent/WO2000012496A1/en
Priority to JP2000567524A priority patent/JP2002523501A/ja
Priority to AU55315/99A priority patent/AU5531599A/en
Publication of KR20000018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30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22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 C07D311/26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 C07D311/28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nly
    • C07D311/30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nly not hydrogenated in the hetero ring, e.g. flav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 C07D4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Cyclin Dependent Kinase)의 저해제로서 유용한 하기 화학식 1의 신규한 크로멘 유도체,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그의 제조방법 및 이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R1, R2, R3, R4및 R5는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다.

Description

CDK 저해제로서 유용한 크로멘 유도체
본 발명은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Cyclin Dependent Kinase; 이하, "CDK"라 한다)의 저해제로서 유용한 하기 화학식 1의 신규한 크로멘 유도체,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그의 제조방법 및 이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1및 R2는 상호 o, m 또는 p 위치에 치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저급알콕시 또는 니트로를 나타내고,
R3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며,
R4및 R5는 상호 o, m 또는 p 위치에 치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또는 저급알콕시를 나타내거나 R4및 R5가 함께 저급알킬렌디옥시를 나타낸다.
1990년대에 들어 작은 크기의 세포주기 조절인자가 그의 조절기능을 통하여 세포의 성장, 분화, 발생, 노화, 고사(apoptosis) 등 세포분열과정을 조절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러 질병의 병리현상들을 좀더 정확히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암(cancer)이다.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세포성장 조절이 그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많이 발견되었다. 즉, 암세포에서는 세포주기 조절인자의 비정상적인 활성이 많이 발견되었고 이러한 비정상적 활성은 암병리학에서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발병/전이(invasion/metastasis)와의 상관관계도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형질전환된 동물을 이용하여 세포성장 조절요소들의 과발현 또는 녹아웃(knock-out)을 유도하면 이들 실험동물에 암이 유발되는 것으로부터 세포주기의 조절파괴(deregulation)가 암을 유발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임을 알 수 있다.
세포의 성장은 다른 모든 생물학적 조절과 마찬가지로 포지티브 조절과 네거티브 조절을 받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세포주기 조절의 주된 경로는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의 활성에 의한 것으로서, 많은 암세포 및 발암기전에 대한 연구결과 키나아제 활성에 대한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조절상의 문제가 암의 발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균형잡힌 조절이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적시의(timely) 조절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암이 발생될 수 있다.
포유류의 대표적인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로는 세포주기의 mid-G1기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CDK4(cyclin dependent kinase 4), mid-G1 및 S기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CDK2, 및 G2-M기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CDC2(CDK1)을 들 수 있다. 이중 CDK4 및 CDK2는 G1-S 세포주기 체크포인트에 의해서 그 활성이 조절되며 CDC2는 G2-M 체크포인트에 의해서 그 활성이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러 암세포에서 CDK4, CDK2, CDC2(CDK1)의 조절기작에 있어서의 비정상성을 보여주고 있고, 실제로 형질전환된 동물에서 인위적으로 유도된 이들의 비정상성이 암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들 대표적인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들은 항암제의 표적(target)으로서 매우 좋은 위치에 있다.
이들 CDKs와 암발병과의 관련성에 대해 지금까지 보고된 결과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DK4 활성의 비정상적 조절과 암발병과의 연관성은 여러 암조직에서 관찰되고 있다. 여러종류의 암에서 p16, p15 유전자의 결실 또는 사이클린 D1의 과발현이 확인되고 있는데 이는 CDK4 활성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암의 악성 표현형이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p16 녹아웃 마우스는 p53 녹아웃 마우스만큼이나 암발생율이 높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이로부터 CDK4 조절에 대한 p16의 기능상실이 암의 원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실험적 결과들로부터, CDK4의 비정상적인 활성이 암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됨은 물론 암세포의 표현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리라 생각할 수 있으며, 아울러 CDK4의 저해제는 항암효과를 가질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한편, CDK2의 경우에, 일부 유방암에서 사이클린 E의 과발현이 관찰되고 이는 유방암의 전이와 깊은 연관이 있으며, 사이클린 E의 과발현이 낮은 혈청조건에서 세포의 고사를 저해하고 앵커리지(anchorage) 비의존성 성장을 유발시키며, MMTV 프로모터를 이용하여 CDK2가 과발현되는 형질전환 동물에서 전흉부 상피세포의 과증식(hyperproliferation) 및 종양(neoplasia)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이러한 사실은 CDK2 저해제가 항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CDC2(CDK1), CDK3, CDK5, CDK6, CDK7 등이 세포분열의 각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차츰 밝혀지고 있고 이들은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CDKs) 패밀리로 구분되고 있다.
이상 설명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이들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저해제가 항암제로서 유용하리라는 인식하에 이들 저해제에 대한 개발이 최근에와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개발된 CDKs 저해제로서 효과적인 화합물로는 현재 임상실험이 진행중인 하기 화학식 2의 플라보피리돌(Flavopiridol; 유럽특허 제0,241,003호(1987) 및 제0,366,061호(1990) 참조)을 들 수 있다.
또한, 퓨린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3의 CDKs 저해제가 최근에 보고된 바 있다(참조: WO 97/16447).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CDK 저해제들은 아직까지 충분히 만족스러운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들 CDK 효소의 저해제에 대하여 광범하고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지금까지 알려진 CDK 저해제들의 구조와는 전혀 다른 구조를 가지는 상기 정의된 화학식 1의 크로멘 유도체가 CDK 효소들을 매우 효과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CDK 활성을 저해하는 신규한 크로멘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 크로멘 유도체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CDK 란 CDK2, CDK4 및 CDC2(CDK1), CDK3, CDK5, CDK6, CDK7 등을 모두 포함하며, 사이클린도 사이클린 D1 과 사이클린 E 및 사이클린 A, B, C, D2, D3, D4, F, G 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CDK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하기 화학식 1의 신규한 크로멘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1및 R2는 상호 o, m 또는 p 위치에 치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저급알콕시 또는 니트로를 나타내고,
R3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며,
R4및 R5는 상호 o, m 또는 p 위치에 치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또는 저급알콕시를 나타내거나 R4및 R5가 함께 저급알킬렌디옥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학식 1 의 화합물중에서 바람직한 화합물은 R1및 R2는 상호 o, m 또는 p 위치에 치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클로로, 메톡시 또는 니트로를 나타내고; R3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며; R4및 R5는 상호 o, m 또는 p 위치에 치환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클로로 또는 메톡시를 나타내거나, R4및 R5이 함께 메틸렌디옥시를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 의 화합물은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무독성 산부가염을 형성하는 산,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등과 같은 유기 카본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또는 나프탈렌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학식 1의 신규한 크로멘 유도체의 대표적인 예로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1) 2-(4-클로로-페닐)-7-메톡시-크로멘-4-온
2) 7-메톡시-2-페닐-크로멘-4-온
3) 7-하이드록시-2-페닐-크로멘-4-온
4)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5-메톡시-크로멘-4-온
5)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6-메톡시-크로멘-4-온
6)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7-메톡시-크로멘-4-온
7) 3-하이드록시-7-메톡시-2-(4-메톡시-페닐)-크로멘-4-온
8) 2-(4-클로로-페닐)-3-하이드록시-7-메톡시-크로멘-4-온
9) 6-클로로-3-하이드록시-2-(4-메톡시-페닐)-8-니트로-크로멘-4-온
10) 6,8-디클로로-3-하이드록시-2-(4-메톡시-페닐)-크로멘-4-온
11) 3-하이드록시-2-(4-메톡시-페닐)-크로멘-4-온
12) 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메톡시-크로멘-4-온
13) 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7-메톡시-크로멘-4-온
14) 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5-메톡시-크로멘-4-온
15) 2-(3,4-디하이드록시-페닐)-3,6-디하이드록시-크로멘-4-온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각 치환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먼저, R3가 수소원자인 화학식 1의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1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a)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존재하에 폐환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제조한 후, 생성된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환원제 존재하에 환원시키거나, b)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아세트산나트륨 존재하에 폐환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식에서
R1, R2, R4및 R5는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을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하기 반응식 1 및 2와 같다.
반응식 1로 도시한 반응에서는 먼저 화학식 4의 화합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중에서 가열환류시켜 폐환반응을 수행하여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때, 반응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반응을 완결시키기에 적당한 시간동안 가열환류를 수행하게 되나 통상 하루정도가 바람직하다. 폐환반응이 완결된 후 수득된 화학식 5의 크로만 유도체를 용매중에서 환원제 존재하에 환원반응시키면 화학식 1a의 크로멘 유도체가 생성된다. 이 반응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용매로는 벤젠 및 톨루엔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들 수 있고, 환원제로는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DDQ)을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반응식 2에 따른 반응에서는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아세트산나트륨 존재하에 폐환반응시켜 R3가 수소원자인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제조하며, 이때 용매로는 아세트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3가 하이드록시인 화학식 1의 화합물, 즉 화학식 1b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염기 및 과산화수소 존재하에 폐환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식에서
R1, R2, R4및 R5는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을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하기 반응식 3과 같다.
반응식 3에 따른 반응에서 용매로는 메탄올 및 에탄올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염기로는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에서는 필수적으로 과산화수소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때 과산화수소는 30% 수용액상으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임의로 염산과 같은 산촉매를 첨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한편, R1, R2, R4및 R5치환체중의 1개 내지 4개가 하이드록시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R1, R2, R4및 R5치환체중의 1개 내지 4개가 저급알콕시이거나 R4및 R5가 함께 저급알킬렌디옥시를 나타내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보론트리브로마이드(BBr3) 존재하에 선택적으로 탈보호시켜 하이드록시 또는 디하이드록시 그룹으로 전환시킴을 특징으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 제조방법에서 반응물질의 사용량, 반응온도, 반응시간 등을 포함한 반응조건은 사용되는 반응물질에 따라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매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고, 반응온도는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나, 0 내지 100℃ 범위내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상기 방법에서 출발물질로 사용된 화학식 4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7의 화합물과 화학식 8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염기존재하에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식에서
R1, R2, R4및 R5는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을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하기 반응식 4와 같다.
반응식 4에 따른 반응에서 용매로는 메탄올 및 에탄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염기로는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에서 생성된 화학식 1의 유리화합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반응이 완결된 후에 생성물은 통상적인 후처리 방법, 예를 들면 크로마토그래피, 재결정화 등의 방법에 의해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CDK 저해작용을 가지고 있어 항암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활성성분으로서 화학식 1 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항암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임상적인 목적으로 투여시에 단일용량 또는 분리용량으로 숙주에게 투여될 총 일일용량은 체중 1㎏ 당 0.001㎎ 내지 10㎎ 의 범위가 바람직하나, 특정 환자에 대한 특이 용량 수준은 사용될 특정 화합물, 환자의 체중, 성, 건강상태, 식이, 약제의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약제혼합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주사용 제제 및 경구용 제제로 투여할 수 있다. 주사용 제제, 예를들면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은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적합한 분산제, 습윤제, 또는 현탁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용매에는 물, 링거액 및 등장성 NaCl 용액이 있으며, 멸균 고정오일도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한다. 모노-,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도 주사용 제제에 사용할 수 있다.
경구투여용 고체투여 형태로는 캅셀제, 정제, 환제, 산제 및 입제가 있으며, 특히 캅셀제와 정제가 유용하다. 정제 및 환제는 장피제로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투여 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활성화합물을 슈크로오즈, 락토오즈, 전분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불활성 희석제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붕해제, 결합제 등과 같은 담체와 혼합시킴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3-(벤조[1,3]디옥솔-5-일)-1-(2-하이드록시-6-메톡시-페닐)-프로페논의 합성
2'-하이드록시-6'-메톡시아세토페논 1.0g (6.0 mmol)을 30㎖의 메탄올 용매에 녹인 후 0.53g의 NaOH(13.2 밀리몰)를 넣고 30분간 교반하였다. 여기에 피페로날 0.9g (6.0 mmol)를 가하고 50℃로 승온시킨 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메탄올을 감압증류로 제거하고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7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CDCl3): δ 7.80-6.71(m, 6H), 6.22-6.00(m, 2H), 5.90(s, 2H), 3.83(s, 3H)
MS(FAB): 299(M+H+)
제조예 2: 3-(벤조[1,3]디옥솔-5-일)-1-(2-하이드록시-5-메톡시-페닐)-프로페논의 합성
2'-하이드록시-5'-메톡시아세토페논 1.0g (6.0 밀리몰)과 피페로날 0.9g (6.0 밀리몰)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화합물을 6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CDCl3): δ 7.89-6.80(m, 6H), 6.10-5.92(m, 2H), 6.11(s, 2H), 3.83(s, 3H)
MS(FAB): 299(M+H+)
제조예 3: 3-(벤조[1,3]디옥솔-5-일)-1-(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페논의 합성
2'-하이드록시-4'-메톡시아세토페논 1.0g (6.0 밀리몰)과 피페로날 0.9g (6.0 밀리몰)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화합물을 6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CDCl3): δ 7.74-6.96(m, 6H), 6.00-5.89(m, 2H), 6.11(s, 2H), 3.90(s, 3H)
MS(FAB): 299(M+H+)
제조예 4: 1-(3,5-디클로로-2-하이드록시-페닐)-3-(4-메톡시-페닐)-프로페논의 합성
3',5'-디클로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0g (4.8 밀리몰)과 4-메톡시벤즈알데히드 0.61g (4.8 밀리몰)을 사용하여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화합물을 5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CDCl3): δ 8.52(m, 1H), 7.60-7.02(m, 5H), 6.22-6.00(m, 2H), 3.90(s, 3H)
MS(FAB): 323(M+H+)
제조예 5: 1-(2-하이드록시-페닐)-3-(4-메톡시-페닐)-프로페논의 합성
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0g (7.3 밀리몰)과 4-메톡시벤즈알데히드 0.99g (7.3 밀리몰)을 사용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화합물을 8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CDCl3): δ 7.44-6.66(m, 8H), 6.21-6.01(m, 2H), 3.89(s, 3H)
MS(FAB): 255(M+H+)
제조예 6: 3-(4-클로로-페닐)-1-(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페논의 합성
2'-하이드록시-4'-메톡시아세토페논 1.0g (6.0 밀리몰)과 4-클로로벤즈알데히드 0.84g (6.0 밀리몰)을 사용하여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화합물을 7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CDCl3): δ 7.55-6.46(m, 7H), 6.42-6.21(m, 2H), 3.89(s, 3H)
MS(FAB): 289(M+H+)
제조예 7: 2-(4-클로로-페닐)-7-메톡시-크로만-4-온의 합성
제조예 6에서 합성한 3-(4-클로로-페닐)-1-(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페논 0.1g(0.35 mmol)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 용매중에서 하루동안 환류시킨 후 감압 증류하여 TFA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5/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8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CDCl3): δ 7.86(d, 1H, J=8.7Hz), 7.42(m, 4H), 6.62(d, 1H, J=2.4Hz), 6.49(s, 1H), 5.45(m, 1H), 3.90(s, 3H), 2.98(dd, 1H, J=12.7Hz, J=16.6Hz), 2.80(dd, 1H, J=12.9Hz, J=16.6Hz)
MS(FAB): 289(M+H+)
실시예 1: 2-(4-클로로-페닐)-7-메톡시-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7에서 합성한 2-(4-클로로-페닐)-7-메톡시-크로만-4-온 50mg(0.17 밀리몰)을 3.0당량의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0.12g, 0.51 밀리몰)과 벤젠 용매중에서 하루동안 환류시킨 후 감압 증류하여 벤젠을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5/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7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CDCl3): δ 8.12(d, 1H, J=9.3Hz), 7.84(d, 2H, J=8.8Hz), 7.49(d, 2H, 8.8Hz), 7.00(m, 2H), 6.72(s, 1H), 3.95(s, 3H)
MS(FAB): 287(M+H+)
실시예 2: 7-메톡시-2-페닐-크로멘-4-온의 합성
1-(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3-페닐-프로판-1,3-디온 240mg(0.89 밀리몰)을 아세트산에 녹인 후 소듐아세테이트 0.73g(8.9 밀리몰)을 가한 후 밤새도록 환류시켰다. 감압 증류로 아세트산을 제거한 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5/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7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CDCl3): δ 8.20(m, 1H), 7.91(m, 2H), 7.55(m, 3H), 6.97(m, 3H), 3.90(s, 3H)
MS(FAB): 253(M+H+)
실시예 3: 7-하이드록시-2-페닐-크로멘-4-온의 합성
실시예 2에서 수득한 화합물 7-메톡시-2-페닐-크로멘-4-온 100mg(0.4 밀리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인 후 2.0 당량의 BBr3를 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메탄올을 가한 후 감압 증류로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5/95,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6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4-MeOH): δ 8.04(m, 1H), 7.90(m, 2H), 7.61(m, 3H), 6.92(m, 2H), 6.72(m, 1H)
MS(FAB): 239(M+H+)
실시예 4: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5-메톡시-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1에서 수득한 3-(벤조[1,3]디옥솔-5-일)-1-(2-하이드록시-6-메톡시-페닐)-프로페논 100mg(0.35 밀리몰)을 메탄올 5㎖에 녹인 후 10%의 NaOH 6㎖ 및 30% H2O23.9㎖를 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물 20㎖를 가하고 10% HCl 10㎖를 첨가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에틸아세테이트액을 감압 증류한 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9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4-MeOH): δ 7.70-6.72(m, 6H), 6.00(s, 2H), 3.92(s, 3H)
MS(FAB): 313(M+H+)
실시예 5: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6-메톡시-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2에서 수득한 3-(벤조[1,3]디옥솔-5-일)-1-(2-하이드록시-5-메톡시-페닐)-프로페논 100mg(0.35 밀리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한 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9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4-MeOH): δ 7.56-6.62(m, 6H), 6.08(s, 2H), 3.89(s, 3H)
MS(FAB): 313(M+H+)
실시예 6: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7-메톡시-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3에서 수득한 3-(벤조[1,3]디옥솔-5-일)-1-(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페논 100mg(0.35 밀리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한 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8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4-MeOH): δ 7.30-6.79(m, 6H), 6.00(s, 2H), 3.90(s, 3H)
MS(FAB): 313(M+H+)
실시예 7: 3-하이드록시-7-메톡시-2-(4-메톡시-페닐)-크로멘-4-온의 합성
1-(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3-(4-메톡시-페닐)-프로페논 57mg(0.2 밀리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한 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9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4-MeOH): δ 7.60-6.70(m, 7H), 3.90(s, 3H), 3.87(s, 3H)
MS(FAB): 299(M+H+)
실시예 8: 2-(4-클로로-페닐)-3-하이드록시-7-메톡시-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6에서 수득한 3-(4-클로로-페닐)-1-(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페논 200mg(0.69 밀리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한 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8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4-MeOH): δ 7.50-6.80(m, 7H), 3.92(s, 3H)
MS(FAB): 303(M+H+)
실시예 9: 6-클로로-3-하이드록시-2-(4-메톡시-페닐)-8-니트로-크로멘-4-온의 합성
1-(5-클로로-2-하이드록시-3-니트로-페닐)-3-(4-메톡시-페닐)-프로페논 170 mg(0.51 밀리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한 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2/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7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4-MeOH): δ 8.00(s, 1H), 7.67(m, 1H), 7.47-6.78(m, 4H), 3.87(s, 3H)
MS(FAB): 348(M+H+)
실시예 10: 6,8-디클로로-3-하이드록시-2-(4-메톡시-페닐)-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4에서 수득한 1-(3,5-디클로로-2-하이드록시-페닐)-3-(4-메톡시-페닐)-프로페논 150mg(0.47 밀리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한 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7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6-DMSO): δ 8.23-7.90(m, 4H), 7.11(m, 2H), 3.87(s, 3H)
MS(FAB): 337(M+H+)
실시예 11: 3-하이드록시-2-(4-메톡시-페닐)-크로멘-4-온의 합성
제조예 5에서 수득한 1-(2-하이드록시-페닐)-3-(4-메톡시-페닐)-프로페논 220mg(0.87 밀리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한 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9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6-DMSO): δ 8.20(m, 3H), 7.81(m, 2H), 7.45(m, 1H), 7.18(m, 2H), 3.91(s, 3H)
MS(FAB): 269(M+H+)
실시예 12: 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메톡시-크로멘-4-온의 합성
실시예 5에서 수득한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6-메톡시-크로멘-4-온 50mg(0.16 밀리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5㎖에 녹인 후 1.5당량의 BBr3를 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메탄올 5㎖를 첨가하고 감압증류한 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메탄올/메틸렌클로라이드=1/9,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6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4-MeOH): δ 7.78(m, 1H), 7.65(m, 1H), 7.50(m, 2H), 6.91(m, 1H), 6.80(m, 1H), 3.90(s, 3H)
MS(FAB): 301(M+H+)
실시예 13: 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7-메톡시-크로멘-4-온의 합성
실시예 6에서 수득한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7-메톡시-크로멘-4-온 45mg(0.14 밀리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한 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5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4-MeOH): δ 7.70(m, 1H), 7.60(m, 2H), 7.47(m, 1H), 6.90(m, 1H), 6.70(m, 1H), 3.92(s, 3H)
MS(FAB): 301(M+H+)
실시예 14: 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5-메톡시-크로멘-4-온의 합성
실시예 4에서 수득한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5-메톡시-크로멘-4-온 60mg(0.19 밀리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한 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5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6-DMSO): δ 7.71-6.47(m, 6H), 3.91(s, 3H)
MS(FAB): 301(M+H+)
실시예 15: 2-(3,4-디하이드록시-페닐)-3,6-디하이드록시-크로멘-4-온의 합성
실시예 5에서 수득한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6-메톡시-크로멘-4-온 60mg(0.19 밀리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5㎖에 녹인 후 3.0당량의 BBr3를 가하고 밤새도록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메탄올 5㎖를 첨가하고 감압증류한 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메탄올/메틸렌클로라이드=1/9, 부피비)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5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d6-DMSO): δ 7.47-6.48(m, 6H)
MS(FAB): 287(M+H+)
실험예 1 : CDK2/사이클린 A 및 CDK4/사이클린 D1 효소의 저해능 검색
CDK2 억제능에 대한 실험은 키타가와(Kitagawa) 방법[참조: Kitagawa, M. et al., Oncogene 9; 2549, 1994]에 따라 측정하고, CDK4 억제능은 칼슨(Carlson) 법[참조: Carlson, B.A. et al., Cancer Research 56; 2473, 1996]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활성 CDK2/사이클린 A 및 CDK4/사이클린 D1 효소는 각각을 발현하는 배큐로바이러스를 이용하여 sf21에서 대량 발현시킨 후,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배큐로바이러스 발현시스템은 클론사(Clon Tech Inc., U.S.A.)에서 구입하여 제조회사에서 제시한 방법에 준하여 사용하였다.
효소의 기질로는 인간의 RB 단백질중 C-말단의 아미노산 780 에서 928 까지를 그의 N-말단에 GST 단백질로 표식하여 박테리아에서 대량 발현시킨 후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CDK2/사이클린 A 와 CDK4/사이클린 D1 효소 활동도 측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약 100ng의 효소를 20㎍의 GST-RB 단백질, 100μM ATP, 5μCi p32-γ-ATP 를 포함한 총 100㎕ 의 20mM 트리스(pH 8.0), 100mM NaCl, 10mM MgCl2완충용액중에서 30℃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후 EDTA 용액을 가하여 그 농도가 20mM이 되도록 하여 효소반응을 종결시켰다. 이어서 30㎕ 의 50% 글루타치온 비드(Pharmacia 에서 구입)를 가하여 GST-RB를 비드에 부착시킨 후, 이를 20mM 트리스(pH 8.0), 100mM NaCl, 10mM EDTA 용액으로 3회 세척하고 섬광계수(scintilla- tion counting)를 측정하였다. 화합물의 저해능을 분석하기 위해 적당 농도의 저해제를 효소반응용액에 첨가하여 상기한 방법에 따라 효소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측정한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CDK2 및 CDK4 에 대한 저해활성은 IC50 값으로 나타내었다. 측정된 결과는 하기 표 1a 내지 1d에 나타내었다.
화합물번호 구조식 분자량 CDK2IC50 (μM) CDK4IC50 (μM)
1 286 >200 >200
2 252 >200 >200
3 238 >200 >200
4 312 >100 >100
5 312 >100 >100
화합물번호 구조식 분자량 CDK2IC50 (μM) CDK4IC50 (μM)
6 312 >100 >100
7 298 >100 >100
8 302 >100 >100
9 347 >100 >100
10 336 >100 >100
화합물번호 구조식 분자량 CDK2IC50 (μM) CDK4IC50 (μM)
11 268 >100 >100
12 300 <8 <10
13 300 <30 <30
14 300 >100 >100
15 286 <1.5 <4.5
상기 표 1 에 기재된 결과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학식 1의 신규한 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우수한 CDK2 및 CDK4 저해활성을 나타내며, 따라서 항암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의 크로멘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1및 R2는 상호 o, m 또는 p 위치에 치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저급알콕시 또는 니트로를 나타내고,
    R3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며,
    R4및 R5는 상호 o, m 또는 p 위치에 치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또는 저급알콕시를 나타내거나 R4및 R5가 함께 저급알킬렌디옥시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및 R2는 상호 o, m 또는 p 위치에 치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클로로, 메톡시 또는 니트로를 나타내고; R3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며; R4및 R5는 상호 o, m 또는 p 위치에 치환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클로로 또는 메톡시를 나타내거나, R4및 R5이 함께 메틸렌디옥시를 나타내는 화합물.
  3. 제 2 항에 있어서, 2-(4-클로로-페닐)-7-메톡시-크로멘-4-온, 7-메톡시-2-페닐-크로멘-4-온, 7-하이드록시-2-페닐-크로멘-4-온,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5-메톡시-크로멘-4-온,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6-메톡시-크로멘-4-온, 2-(벤조[1,3]디옥솔-5-일)-3-하이드록시-7-메톡시-크로멘-4-온, 3-하이드록시-7-메톡시-2-(4-메톡시-페닐)-크로멘-4-온, 2-(4-클로로-페닐)-3-하이드록시-7-메톡시-크로멘-4-온, 6-클로로-3-하이드록시-2-(4-메톡시-페닐)-8-니트로-크로멘-4-온, 6,8-디클로로-3-하이드록시-2-(4-메톡시-페닐)-크로멘-4-온, 3-하이드록시-2-(4-메톡시-페닐)-크로멘-4-온, 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6-메톡시-크로멘-4-온, 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7-메톡시-크로멘-4-온, 2-(3,4-디하이드록시-페닐)-3-하이드록시-5-메톡시-크로멘-4-온 및 2-(3,4-디하이드록시-페닐)-3,6-디하이드록시-크로멘-4-온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4. a)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존재하에 폐환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제조한 후, 생성된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환원제 존재하에 환원시키거나, b)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아세트산나트륨 존재하에 폐환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하기 화학식 1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1a
    상기식에서
    R1, R2, R4및 R5는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5.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염기 및 과산화수소 존재하에 폐환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하기 화학식 1b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4
    화학식 1b
    상기식에서
    R1, R2, R4및 R5는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6. R1, R2, R4및 R5치환체중의 1개 내지 4개가 저급알콕시이거나 R4및 R5가 함께 저급알킬렌디옥시를 나타내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보론트리브로마이드(BBr3) 존재하에 탈보호시켜 하이드록시 또는 디하이드록시 그룹으로 전환시킴을 특징으로하여 R1, R2, R4및 R5치환체중의 1개 내지 4개가 하이드록시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7.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활성성분으로 제 1 항에 정의된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항암제 조성물.
KR1019980035837A 1998-09-01 1998-09-01 Cdk 저해제로서 유용한 크로멘 유도체 KR20000018305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837A KR20000018305A (ko) 1998-09-01 1998-09-01 Cdk 저해제로서 유용한 크로멘 유도체
EP99941831A EP1109800A1 (en) 1998-09-01 1999-08-31 Novel cdk inhibitors having flavone structure
KR1020017000420A KR20010071836A (ko) 1998-09-01 1999-08-31 플라본 구조를 갖는 신규한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US09/786,227 US6500846B1 (en) 1998-09-01 1999-08-31 CDK inhibitors having flavone structure
PCT/KR1999/000499 WO2000012496A1 (en) 1998-09-01 1999-08-31 Novel cdk inhibitors having flavone structure
JP2000567524A JP2002523501A (ja) 1998-09-01 1999-08-31 フラボン構造を有する新規なcdk阻害剤
AU55315/99A AU5531599A (en) 1998-09-01 1999-08-31 Novel cdk inhibitors having flavon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837A KR20000018305A (ko) 1998-09-01 1998-09-01 Cdk 저해제로서 유용한 크로멘 유도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305A true KR20000018305A (ko) 2000-04-06

Family

ID=1954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837A KR20000018305A (ko) 1998-09-01 1998-09-01 Cdk 저해제로서 유용한 크로멘 유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30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477A (ko) * 2000-04-24 2001-11-08 성재갑 새로운 구조를 갖는 플라본 계열 cdk 저해제
KR20010097480A (ko) * 2000-04-24 2001-11-08 성재갑 새로운 구조를 갖는 cdk 저해제
KR20010097481A (ko) * 2000-04-24 2001-11-08 성재갑 새로운 구조를 갖는 cdk 저해제
KR100392468B1 (ko) * 2000-09-18 2003-07-22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의 저해제로서 유용한3-히드록시크로멘-4-온 유도체
KR20030064078A (ko) * 2002-01-25 2003-07-31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6-번 위치에 아미노메틸기가 치환된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 의존키나아제 저해제
KR20030064077A (ko) * 2002-01-25 2003-07-31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새로운 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KR100754373B1 (ko) * 2006-08-17 2007-08-3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꼬마선충에 대해 치사 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2-페닐-4에이치-크로멘-4-온 및 살선충제로서의 용도
KR100781191B1 (ko) * 2007-01-12 2007-11-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나무 재선충에 대해 치사 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2-페닐-4에이치-크로멘-4-온 및 살선충제로서의 용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477A (ko) * 2000-04-24 2001-11-08 성재갑 새로운 구조를 갖는 플라본 계열 cdk 저해제
KR20010097480A (ko) * 2000-04-24 2001-11-08 성재갑 새로운 구조를 갖는 cdk 저해제
KR20010097481A (ko) * 2000-04-24 2001-11-08 성재갑 새로운 구조를 갖는 cdk 저해제
KR100392468B1 (ko) * 2000-09-18 2003-07-22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의 저해제로서 유용한3-히드록시크로멘-4-온 유도체
KR20030064078A (ko) * 2002-01-25 2003-07-31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6-번 위치에 아미노메틸기가 치환된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 의존키나아제 저해제
KR20030064077A (ko) * 2002-01-25 2003-07-31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새로운 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KR100754373B1 (ko) * 2006-08-17 2007-08-3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꼬마선충에 대해 치사 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2-페닐-4에이치-크로멘-4-온 및 살선충제로서의 용도
KR100781191B1 (ko) * 2007-01-12 2007-11-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나무 재선충에 대해 치사 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2-페닐-4에이치-크로멘-4-온 및 살선충제로서의 용도
WO2008084952A1 (en) * 2007-01-12 2008-07-17 Konkuk University Industrial Cooperation Corp. 2-phenyl-4h-chromen-4-one and the use thereof as nematici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0462B1 (en) Heterocyclic compounds and antitumor agent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EP1389617B1 (en) Heterocyclic compound and antitumor agent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US6620831B2 (en) Indazoles substituted with 1,1-dioxoisothiazolidine useful as inhibitors of cell proliferation
JP2001072592A (ja) テロメラーゼ阻害剤
US6500846B1 (en) CDK inhibitors having flavone structure
KR20010085984A (ko) 2-우레이도-티아졸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항암제로서의 이의 용도
KR20050017110A (ko) 사이클린-의존성 키나제의 억제제 및 그 용도
IE883145L (en) Substituted tetralins, chromans and related compounds in the treatment of asthma, arthritis and related diseases
CA3006139C (en) Compoun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neuropsychological disorder or malignant tumor
US6683095B2 (en) CDK inhibitors having 3-hydroxychromen-4-one structure
KR20000018305A (ko) Cdk 저해제로서 유용한 크로멘 유도체
Seebacher et al. New 1, 3-thiazoles and 1, 3-thiazines from 1-thiocarbamoylpyrazoles
KR100392468B1 (ko)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의 저해제로서 유용한3-히드록시크로멘-4-온 유도체
KR100380146B1 (ko) 나프토퀴논구조를갖는사이클린-의존키나아제저해제화합물
KR100399345B1 (ko) 아미노나프토퀴논구조를갖는사이클린-의존키나아제저해제화합물
KR100589967B1 (ko) 항암제로 사용되는 3-아미노-6-메틸-인다졸 유도체
KR19990069876A (ko) 4-퀴놀론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화합물
CN106810553B (zh) 3-(4,5-取代氨基嘧啶)苯基衍生物及其应用
KR20000065824A (ko) 하이드록시플라본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KR19990069877A (ko) 나프토퀴논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화합물
KR20010097481A (ko) 새로운 구조를 갖는 cdk 저해제
KR20010103188A (ko) 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cdk 저해제
KR19990080440A (ko) 신규한 피라졸 유도체
KR20010097477A (ko) 새로운 구조를 갖는 플라본 계열 cdk 저해제
KR20030064078A (ko) 6-번 위치에 아미노메틸기가 치환된3-하이드록시크로멘-4-온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 의존키나아제 저해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