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7092A - 전지용 감압 차단기 - Google Patents

전지용 감압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7092A
KR20010067092A KR1020000048520A KR20000048520A KR20010067092A KR 20010067092 A KR20010067092 A KR 20010067092A KR 1020000048520 A KR1020000048520 A KR 1020000048520A KR 20000048520 A KR20000048520 A KR 20000048520A KR 20010067092 A KR20010067092 A KR 20010067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battery pack
recess
batter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1784B1 (ko
Inventor
아제마다다미츠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20010067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7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미네이트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전지케이스를 가지는 폴리머 리튬 2차전지 등에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음과 더불어, 조립작업성이 좋은 전지용 감압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지팩(1)의 내면에는 전지(2)의 전지케이스(2a)의 측면(2d)과 대향하는 위치에 오목부(3)가 형성되고, 전지팩(1)의 외부전극(5)에 접속되는 제 1 단자(5a)와 전지의 한쪽 전극인 전지케이스(2a)에 접속되는 제 2 단자(6)를 가지며, 엘리먼트(7)의 표면에는 도전부(7a)로 이루어지는 전로가 형성되고, 상기 도전부(7a)의 양쪽 끝부가 제 1 단자와 제 2 단자(5a, 6)에 접속되어 전지(2)의 내압이 소정치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 생기는 전지케이스(2a)의 측면(2d)의 오목부(3)측으로의 휘어짐에 의하여 엘리먼트(7)가 오목부(3)측으로 변형하여 파단되고, 이 엘리먼트의 파단에 의해 상기 전로를 차단하도록 한 전지용 감압 차단기이다.

Description

전지용 감압 차단기{BREAKER FOR REDUCING A PRESSURE IN A BATTERY}
본 발명은 전지용 감압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전지케이스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였을 때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지용 감압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충전이 가능한 리튬이온 2차전지 등에 있어서는 전지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등에 의한 어떠한 이상이 있으면 전해액의 분해나 증발 등에 의한 다량의 가스가 발생하고 밀폐된 전지케이스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전지케이스가 변형되어 파열, 또는 전해액의 누설 등의 위험성이 있었다.
이 대책으로서 전지케이스의 변형에 의해 전지의 전로를 차단하여 전지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종래의 전지용 감압 차단기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7-335272호 공보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전지용 감압 차단기는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튬이온 2차전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각진 형 전지(28)의 전지케이스(28a)의 측면에 세라믹기판(21)을 밀착시켜 부착하도록 되어 있었다.
상기 전지(28)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깥 둘레부가 전지케이스(28a)에 덮여져 있고, 전지케이스(28a)의 도시 좌측면으로부터는 제 1 전극(25)과 제 2 전극(26)이, 또 도시 우측면으로부터는 제 3 전극(27)이 각각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제 2 전극과 제 3 전극(26, 27)사이에서 기전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전지케이스(28a)의 상면에는 무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외형이 직사각형의 세라믹기판(21)이 얹어 놓여져 있다. 이 세라믹기판(21)의 상면에는 도전패턴(22)이 인쇄형성되고, 세라믹기판(21)의 하면에는 V 자형상의 홈(23)이 세라믹기판(21)의 폭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홈(23) 부분의 세라믹기판(21)이 파단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 전지(28)와 세라믹기판(21)을 부착하여 유닛화하기 위한 한 쌍의 단자 (24, 24)가 배치되어 있다. 이 단자(24)는 스프링성이 있는 인청동(燐靑銅), 또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판을 구부려 형성되고, 도전패턴(22)에 탄성접촉하는 두 갈래형상의 다리(24a, 24b)와, 전지(28)의 하면에 탄성접촉하는 다리(24c)와, 전지케이스 (28a)의 좌우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 1 전극과 제 3 전극(25, 27)에 끼워넣기 가능한 잘라 세운부(24d)가 설치되어 전체로서 대략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지용 감압 차단기를 전지(28)에 부착하기 위한 조립은 도 8,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케이스(28a)의 상면에 세라믹기판(21)을 위치시켜 도시 좌우로부터 단자(24, 24)를 조립지그(도시 생략)에 의해 각각 찔러 넣음으로써두 갈래형상의 다리(24a, 24b)로 전지(28)와 세라믹기판(21)이 압접 끼워유지됨과 더불어 제 1 전극과 제 3 전극(25, 27)이 잘라 세운부(24d)에 끼워넣어지고, 제 1 전극, 제 3전극(25, 27)이 단자(24)를 개재하여 도전패턴(2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단자(24)에 의해 전지(28)의 측면에 세라믹기판(21)이 설치되어 제 1 전극과 제 3 전극(25, 27)사이에 전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전지용 감압 차단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휴대용 기기(도시 생략) 등에 전지용 감압 차단기를 부착시킨 전지(28)가 구비되어 제 1 전극과 제 2 전극(25, 26)이 휴대용 기기(도시 생략) 등의 전원단자로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충전 또는 과방전이 행하여지면 전지(28)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전지케이스(28a)가 팽창하여 변형한다.
이 전지케이스(28a)의 변형에 의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라믹기판 (21)이 홈(23)으로부터 파단되어 도전패턴(22)이 절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전극과 제 3 전극(25, 27)사이의 전로가 차단되어 전지(28)에 대한 통전이 정지된다. 이 전지(28)에 대한 통전이 정지됨으로써 전지케이스 (28a)의 팽창이 정지되어 전지(28)의 파열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지용 감압 차단기를 최근 시판되고 있는 박형 경량의 폴리머 리튬 2차전지 등에 사용하는 경우, 폴리머 리튬 2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재질이 알루미늄박과 플라스틱을 라미네이트한 가요성이 있는 필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무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세라믹기판(21)을 가요성이 있는 전지케이스의 측면에 단자(24)로 압접 끼워유지하여 부착하면 전지케이스가 휘어 변형되고, 세라믹기판(21)의 홈(23)으로부터 잔금 균열이 발생하여 제 1 전극과 제 3 전극(25, 27)사이의 전로가 차단될 염려가 있었다.
또 세라믹기판(21)을 전지(28)에 부착할 때 단자(24)의 잘라 세운부(24d)를 제 1 전극과 제 3 전극(25, 27)에 압입하고 있었기 때문에 전용의 조립지그가 필요함과 더불어 조립의 작업성이 좋지 않았다.
본 발명의 전지용 감압 차단기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라미네이트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지케이스를 가지는 폴리머리튬 2차전지 등에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음과 더불어 조립작업성이 좋은 전지용 감압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단자구조를 설명하는 요부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동작을 설명하는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조립방법을 설명하는 도,
도 8은 종래의 전지용 감압 차단기의 분해사시도,
도 9는 종래의 전지용 감압 차단기의 측면도,
도 10은 종래의 전지용 감압 차단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지팩 1a : 공동부
1b : 제 1 덮개 1c : 제 2 덮개
1f : 밀봉홈 2 : 전지
2a : 전지케이스 2c : 양극전극
2d : 측면 3 : 오목부
3a, 3b : 어깨부 4 : 제 1 외부전극
5 : 제 2 외부전극 5a : 제 1 단자
5b : 한쪽 끝부 6 : 제 2 단자
6a : 한쪽 끝부 6b : 다른쪽 끝부
7 : 엘리먼트 7a : 도전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의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전지용 감압 차단기는 내부에 발전소자를 수납한 전지케이스를 가지는 전지와, 이 전지를 내포하는 전지팩과, 무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엘리먼트를 구비하고, 상기 전지팩의 내면에는 상기 전지케이스의 측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지팩의 외부전극에 접속되는 제 1 단자와 상기 전지의 한쪽의 전극에 접속되는 제 2 단자를 가지고, 상기 엘리먼트의 표면에는 도전부가 형성되어 이 도전부의 양쪽 끝부가 상기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사이에전로가 형성되어 상기 전지의 내압이 소정치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 생기는 상기 전지케이스의 상기 측면의 상기 오목부측으로의 휘어짐에 의해 상기 엘리먼트가 상기 오목부측으로 변형하여 파단되고, 이 엘리먼트의 파단에 의해 상기 전로를 차단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엘리먼트는 상기 오목부상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양 어깨부에 걸치도록 브리지되어 지지되고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3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엘리먼트는 한쪽의 끝부가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양 어깨부의 한쪽의 어깨부에 위치하고, 다른쪽의 끝부가 상기 오목부상에 위치하여 지지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4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중 어느 한쪽의 끝부측에는 잘라 세워 형성된 U 자형상의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오목부상에 위치하는 상기 엘리먼트의 상기 다른쪽의 끝부를 상기 U 자형상의 상기접속부에서 끼워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5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단자 및/또는 제 2 단자의 일부가 상기 전지팩에 매설되어 부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6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전지팩은 상기제 1 단자 및/또는 제 2 단자와 상기 엘리먼트의 접속부분에 대향하여 관통구멍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7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관통구멍은 밀봉장치로 막혀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8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전지 및 상기 전지팩은 외형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전지의 대각선이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전지팩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엘리먼트는 상기 대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하에 본 발명 전지의 전지용 감압 차단기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단면도이며, 도 2는 그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단자구조를 설명하는 요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동작을 설명하는 요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조립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전지용 감압 차단기(K1)는 뒤에서 설명하는 전지(2)를 내부에 내포가능한 공동부(1a)를 가지며, 외형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전지팩(1)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지팩(1)은 제 1 덮개(1b)와 제 2 덮개(1c)의 2개로 분할되어 형성되고, 제 1 덮개(1b)와 제 2 덮개(1c)를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부(1d)를 접착함으로써 내부에 전지(2)를 내포가능한 공동부(1a)가 형성된다.
또 공동부(1a)에 내포되는 전지(2)는 예를 들어 최근 시판되고 있는 박형 경량의 폴리머 리튬 2차전지로 설명하면, 알루미늄박과 플라스틱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형성된 가용성이 있고 도전성을 가지는 전지케이스(2a)로 내부가 밀폐되어 있다. 이 밀폐된 전지케이스(2a) 내부에는 겔폴리머 전해질 등의 전해액 및 발전소자(도시 생략) 등이 밀봉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폴리머 리튬 2차전지로 이루어지는 전지(2)는 두께가 1 mm 이하로 제조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전지(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이 좁은 좌측면에 전지케이스(2a) 내부의 발전소자의 양극측에 접속되는 양극전극(2c)이 절연부(2b)를 개재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도전성을 가지는 전지케이스(2a)는 내부의 발전소자의 음극측이 접속되어 음극전극으로 되어 있다.
또 전지팩(1)의 제 1 덮개(1b)의 내면의 중앙부 부근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동부(1a)에 내포된 전지(2)의 폭이 넓은 측면(2d)과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 좌우의 양 어깨부(3a, 3b)에 의해 소정깊이의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전지팩(1)은 공동부(1a)에 내포된 전지(2)의 양극전극(2c)에 접속되는 제 1 외부전극(4)과, 전지(2)의 음극전극인 전지케이스(2a)에 접속되는 제 2 외부전극(5)이 도시 좌측의 측면(1e)으로부터 각각 외부로 노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외부전극(5)에는 제 1 단자(5a)가 일체로 형성되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단자(5a)의 일부가 제 1 덮개(1b)에 인서트성형 등에 의해 매설되어 전지팩(1)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전지팩(1)의 내부측에 위치하는 제 1 단자(5a)는 한쪽 끝부(5b)가 한쪽의 어깨부(3a)로부터 오목부(3)상에 소정량 연장하여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단자(5a)의 한쪽 끝부(5b)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한쪽 끝부(6a)가 오목부(3)의 다른쪽의 어깨부(3b)로부터 오목부(3)상에 소정량 연장하여 돌출형성된 제 2 단자(6)를 가지며, 이 제 2 단자(6)는 그 일부가 제 1 덮개(1b)에 인서트성형 등에 의해 매설되어 전지팩(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 1 단자와 제 2 단자(5a, 6)의 양쪽을 전지팩(1)에 매설하여 부착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1 또는 제 2 단자(5a, 6)중 어느 한쪽을 전지팩(1)에 매설한 것이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전지용 감압 차단기는 제 1 단자 및/또는 제 2 단자(5a, 6)의 일부가 전지팩(1)에 매설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 제 1 덮개(1b)에 일부가 매설된 제 2 단자(6)는, 전지팩(1)의 내면으로부터 다른쪽 끝부(2b)가 노출되어 있고, 이 다른쪽 끝부(6b)에 공동부(1a)에 내포된 전지(2)의 음극전극인 전지케이스(2a)가 접촉하여 제 2 단자(6)와 전지케이스(2a)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 2 단자(6)와 전지케이스(2a)의 접속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해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오목부(3)의 양 어깨부(3a, 3b)로부터 오목부(3)상으로 연장하여 돌출되는 제 1 단자와 제 2 단자(5a, 6)의 한쪽 끝부(5b, 6a)에는 무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세라믹기판 등의 판형상의 엘리먼트(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엘리먼트(7)에는 도시 위쪽의 표면 전면에 예를 들어 은페이스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전부(7a)가 인쇄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엘리먼트(7)는 오목부(3)상에 있어서 오목부(3)의 양측에 위치하는 양어깨부(3a, 3b)에 걸치도록 브리지되어 지지되고, 도전부(7a)의 양쪽 끝부가 제 1단자와 제 2 단자(5a, 6)의 한쪽 끝부(5b, 6a)에 용접 등에 의해 접속되어, 제 1 단자와 제 2 단자(5a, 6) 사이에 전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 1 단자와 제 2 단자(5a, 6)의 일부가 전지팩(1)에 매설되어 부착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변형예로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먼트(7)에 부착된 제 1 단자와 제 2 단자(5a, 6)는 제 1 덮개(1b)의 내면에 예를 들어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된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전지용 감압 차단기(K1)의 동작은 공동부(1a) 내에 내포된 전지(2)가 사용중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여 전지(2)의 내압이 소정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오목부(3)측에 위치하는 전지케이스(2a)의 폭이 넓은 측면(2d)이 화살표(P)의 오목부(3)측으로 팽창하여 휘어진다.
상기 전지케이스(2a)의 오목부(3)측으로의 휘어짐에 의해 엘리먼트(7)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3)측으로 변형하여 파단된다. 이 엘리먼트(7)의 파단에 의해 도전부(7a)가 절단되어 제 1 외부전극(4)과 제 2 외부전극(5)사이의 전로가 차단된다.
그 때문에 전지(2) 내부의 발전소자(도시 생략)에 대한 통전이 차단되어 전지의 내압상승이 정지하여 전지(2) 파열 등의 장해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전지용 감압 차단기(K2)를 도 4 내지 도 6에의거하여 설명하면 엘리먼트(7)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한쪽의 끝부가 오목부(3)의 한쪽의 어깨부(3a)에 위치하여 제 1 단자(5a)의 한쪽 끝부(5b)에 접속되어 지지되고, 도시 우측의 다른쪽의 끝부가 오목부(3)상에 위치하여 제 2 단자(8)의 끝부측에 지지된다.
이 때 제 1 단자(5a)의 한쪽 끝부(5b)는 오목부(3)의 한쪽의 어깨부(3a)상에 위치하여 오목부(3)상으로는 연장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지(2)의 전지케이스(2a)가 휘어지면 엘리먼트(7)는 오목부(3)상의 한쪽의 어깨부 (3a) 근방이 파단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 단자(8)의 끝부측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잘라 세워 형성된 U 자형상의 접속부(8a)를 가지고, 오목부(3)상에 위치하는 엘리먼트(7)의 다른쪽의 끝부를 U 자형상의 접속부(8a)에 압접하여 끼워유지하여 지지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전지용 감압 차단기(K2)의 조립은 엘리먼트(7)의 다른쪽 끝부를 제 2 단자(8)의 U 자형상의 접속부(8a)에 찔러넣는 것만으로 엘리먼트(7)가 제 2 단자(8)의 접속부(8a)에 끼워 유지되어 제 2 단자(8)와 엘리먼트 (7)의 도전부(7a)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전지용 감압 차단기(K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2)의 측면(1e)이 화살표(P)의 오목부(3)측으로의 휘어짐에 의해 한쪽의 어깨부(3a) 근방의 오목부(3)상의 엘리먼트(7)가 오목부(3)측으로 변형하여 파단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U 자형상의 접속부(8a)를 제 2 단자측(8)에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U 자형상의 접속부는 제 1 단자와 제 2 단자 (5a, 8)중 어느 한쪽의 끝측에 형성하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단자와 제 2 단자(5a, 6)에 엘리먼트(7)를 접속하는 방법을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전지팩(9)의 제 1 덮개(10)에는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5a, 6)와 엘리먼트(7)의 접속부분에 대향하여 관통구멍(10a, 10b)이 형성되고, 또 제 2 단자(6)의 다른쪽 끝부(6b)와 전지케이스(2a)의 접속부분에 대향하여 관통구멍(10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관통구멍(10a, 10b, 10c)에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기 등의 전극을 위치시켜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5a, 6)와 엘리먼트(7), 및 제 2 단자(6)와 전지케이스(2a)를 용접하여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덮개(10)의 도시 위쪽 바깥쪽에서 관통구멍(10a, 10b, 10c)이 형성된 부분에 오목형상의 밀봉홈(10d)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고, 이 밀봉홈(10d)에 예를 들어 설명하면 밀봉장치(11)를 부착함으로써 관통구멍(10a, 10b, 10c)이 막혀 외부로부터 공동부(1a)내에 쓰레기 등이 침입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도 4에 나타내는 제 1 단자(5a)와 엘리먼트(7)의 접속부분에 대향하여 전지팩(1)에 관통구멍(도시 생략)을 형성하여도 된다. 또 제 2 단자(8)측은 U 자형상의 접속부(8a)에 엘리먼트의 끝부가 압접하여 끼워 유지되기 때문에 용접할 필요가 없고 접속부(8a)가 대향하는 쪽의 전지팩(1)에는 관통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즉, 전지팩(1)은 제 1 단자(5a) 및/또는 제 2 단자(6)와 엘리먼트(7)의 접속부분에 대향하여 관통구멍(10a, 10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전지팩(1) 및 전지(2)는 외형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오목부(3)는 도시 생략하나 공동부(1a)에 내포된 측면(2d) 방향에서 본 전지(2)의 대각선이 위치하는 부분의 전지팩(1)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먼트(7)는 전지(2)의 상기 대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양쪽 끝부가 제 1과 제 2 단자에 접속되어 전지팩(1)에 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지의 외형이 소형이라 하더라도 오목부(3)상에 브리지하는 엘리먼트(7)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전지케이스(2a)의 작은 팽창만으로도 용이하게 엘리먼트(7)를 파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지팩의 내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엘리먼트의 표면에는 도전부로 이루어지는 전로가 형성되며, 상기 도전부의 양쪽 끝부가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에 접속되어 전지의 내압이 소정치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생기는 전지케이스 측면의 오목부측으로의 휘어짐에 의해 엘리먼트가 오목부측으로 변형하여 파단되고, 이 엘리먼트의 파단에 의해 전로를 차단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전지가 박형이더라도 전지케이스의 측면에 휘어짐이 발생하면 엘리먼트를 용이하게 파단하여 전로를 차단할 수있고, 전지 내부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전지가 파열 또는 전해액 누출 등을 일으키지 않는 고성능이고 안전한 전지용 감압 차단기를 제공할 수있다.
또 상기 엘리먼트는 오목부상에 있어서 오목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양 어깨부에 걸치도록 브리지되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전지케이스가 변형된 경우에 엘리먼트는 양 어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중앙부로부터 파단하여 전로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 상기 엘리먼트는 한쪽의 끝부가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양 어깨부의 한쪽의 어깨부에 위치하고, 다른쪽의 끝부가 상기 오목부상에 위치하여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먼트는 오목부의 한쪽의 어깨부에 캔틸레버지지되고 오목부상에 위치하는 다른쪽의 끝부가 자유단측이 되어 전지케이스의 작은 휘어짐으로도 자유단측을 밀어 올려 용이하게 엘리먼트를 파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중 어느 한쪽의 끝부측에는 잘라 세워 형성된 U 자형상의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엘리먼트의 상기 오목부상에 위치하는 상기 다른쪽의 끝부를 상기 U 자형상의 상기 접속부에서 끼워유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엘리먼트의 다른쪽의 끝부를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접속부에 찔러 넣는 것만으로 접속할 수 있어 조립성이 좋은 전지용 감압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단자 및/또는 제 2 단자의 일부가 상기 전지팩에 매설되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단자 및/또는 제 2 단자를 전지팩에 부착하는 공정수를 줄일 수 있어 조립성이 좋다.
또 상기 전지팩은 상기 제 1 단자 및/또는 제 2 단자와 상기 엘리먼트의 접속부분에 대향하여 관통구멍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이 관통구멍을 사용하여 각각의 단자와 엘리먼트를 용접 등으로 접속할 수 있어 조립성이 좋은 전지용 감압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관통구멍은 밀봉장치로 막혀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내부의 구멍부에 쓰레기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전지 및 상기 전지팩은 외형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전지의 대각선이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전지팩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엘리먼트는 상기 대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부상에 브리지 되는 엘리먼트를 길게 할 수 있어 전지케이스(2a)의 작은 팽창만으로도 용이하게 엘리먼트(7)를 파단할 수 있는 고성능의 전지용 감압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내부에 발전소자를 수납한 전지케이스를 구비하는 전지와; 상기 전지를 내포하는 전지팩과; 무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엘리먼트를 구비하고,
    상기 전지팩의 내면에는 상기 전지케이스의 측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지팩의 외부전극에 접속되는 제 1 단자와 상기 전지의 한쪽의 전극에 접속되는 제 2 단자를 가지며,
    상기 엘리먼트의 표면에는 도전부가 형성되고, 이 도전부의 양쪽 끝부가 상기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사이에 전로가 형성되어 상기 전지의 내압이 소정치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 생기는 상기 전지케이스의 상기 측면의 상기 오목부측으로의 휘어짐에 의해 상기 엘리먼트가 상기 오목부측으로 변형하여 파단되고, 이 엘리먼트의 파단에 의해 상기 전로를 차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감압 차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는 상기 오목부상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양어깨부에 걸치도록 브리지되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감압 차단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는 한쪽의 끝부가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양 어깨부의 한쪽의 어깨부에 위치하고, 다른쪽의 끝부가 상기 오목부상에 위치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감압 차단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중 어느 한쪽의 끝부측에는 잘라 세워 형성된 U 자형상의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상에 위치하는 상기 엘리먼트의 상기 다른쪽의 끝부를 상기 U 자형상의 상기 접속부로 끼워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감압 차단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 및/또는 제 2 단자의 일부가 상기 전지팩에 매설되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감압 차단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팩은 상기 제 1 단자 및/또는 제 2 단자와 상기 엘리먼트의 접속부분에 대향하여 관통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감압 차단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은 밀봉장치로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감압 차단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및 상기 전지팩은 외형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전지의 대각선이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전지팩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엘리먼트는 상기 대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감압 차단기.
KR1020000048520A 1999-08-23 2000-08-22 전지용 감압 차단기 KR100351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34922 1999-08-23
JP23492299A JP3698925B2 (ja) 1999-08-23 1999-08-23 電池用感圧ブレーカ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092A true KR20010067092A (ko) 2001-07-12
KR100351784B1 KR100351784B1 (ko) 2002-09-05

Family

ID=1697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520A KR100351784B1 (ko) 1999-08-23 2000-08-22 전지용 감압 차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92172B1 (ko)
EP (1) EP1079450A1 (ko)
JP (1) JP3698925B2 (ko)
KR (1) KR100351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9260B2 (en) 2008-06-25 2015-12-22 Lg Chem, Lt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of improved safe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2898B2 (en) * 2003-10-28 2014-01-2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system including batteries that have a plurality of positive terminals and a plurality of negative terminals
DE102004008569A1 (de) * 2004-02-19 2005-09-01 Dbt Automation Gmbh Eigensichere Batteriestromversorgung für den untertägigen Bergbau
FR2881580B1 (fr) * 2005-02-01 2010-11-19 Accumulateurs Fixes Accumulateur etanche muni d'un dispositif de securite
EP1878085B1 (en) * 2005-03-14 2016-04-2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ithium battery system
JP5220588B2 (ja) * 2005-05-02 2013-06-2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安全性が向上した中型又は大型の改良バッテリーパック
JP5037308B2 (ja) * 2006-11-21 2012-09-26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モジュール
JP5004769B2 (ja) * 2006-11-21 2012-08-22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100874455B1 (ko) * 2007-03-08 2008-12-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7723961B2 (en) * 2007-08-07 2010-05-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MS based battery monitoring technical field
US8741458B2 (en) * 2008-02-25 2014-06-03 Jakks Pacific, Inc. Battery with over-pressure protection
DE102008053011A1 (de) * 2008-10-23 2010-04-29 Li-Tec Battery Gmbh Galvanische Zelle für einen Akkumulator
DE102008052985A1 (de) 2008-10-23 2010-04-29 Li-Tec Battery Gmbh Verpackungsvorrichtung und Verpackungssystem für im Wesentlichen flache Gegenstände, beispielsweise Lithium-Ionen-Zellen
DE102008053089A1 (de) 2008-10-24 2010-04-29 Li-Tec Battery Gmbh Akkumulator mit mehreren galvanischen Zellen
DE102008043946A1 (de) * 2008-11-20 2010-05-27 Robert Bosch Gmbh Sicherungseinrichtung für eine Akkumulatorzelle
DE102014200197A1 (de) * 2014-01-09 2015-07-09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mit erhöhter Sicherheit und Verfahren
KR101704127B1 (ko) * 2014-11-14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KR102264906B1 (ko) 2017-11-23 2021-06-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개선된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9883B2 (ja) 1994-06-13 2002-01-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流路遮断機能付き電池
US5773775A (en) * 1995-05-17 1998-06-30 Alps Electric Co., Ltd. Pressure actuated circuit breaker with frangible printed circuit board
JP3306257B2 (ja) * 1995-08-11 2002-07-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2次電池の安全装置
US5853912A (en) * 1996-07-10 1998-12-29 Saft America, Inc. Lithium ion electrochemical cell with safety valve electrical disconnect
WO1999031742A1 (en) * 1997-12-18 1999-06-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ening sealing device for enclosed batteries
US6335109B1 (en) * 1998-04-28 2002-01-01 Kyocera Corporation Safety device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EP1185479B1 (en) * 1999-06-10 2003-10-15 JohnsonDiversey, Inc. Coupl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9260B2 (en) 2008-06-25 2015-12-22 Lg Chem, Lt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of improved safe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1784B1 (ko) 2002-09-05
EP1079450A1 (en) 2001-02-28
JP3698925B2 (ja) 2005-09-21
JP2001060457A (ja) 2001-03-06
US6392172B1 (en) 200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1784B1 (ko) 전지용 감압 차단기
KR100578804B1 (ko)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EP1946394B1 (en) No-welding type battery pack
CN102867934A (zh) 用于二次电池的安全装置以及具有该安全装置的二次电池
KR20050055580A (ko) 보호회로 모듈 성형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지
KR100927250B1 (ko) 조립식 보호회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2001229893A (ja) リチウムイオンポリマー電池の安全装置
CN109755422B (zh) 动力电池顶盖组件、动力电池以及电池模组
KR100477754B1 (ko) 전지 팩
KR20070075927A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형 전지팩
JP3249883B2 (ja) 電流路遮断機能付き電池
KR20030033594A (ko) 각형 이차전지
KR100874402B1 (ko) 압력스위치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KR100788558B1 (ko) 팩 전지
JP2019029306A (ja) 密閉型電池
JP3592193B2 (ja) 電池パック
JP2001023607A (ja) 電池用感圧ブレーカー
CN113948827B (zh) 一种电池、电池模组和电池包
JP3497919B2 (ja) 圧力遮断センサ
JP3520939B2 (ja) 保護装置およびこの保護装置を用いた蓄電池
JP3283401B2 (ja) 圧力保護装置
KR200269123Y1 (ko) 차단장치를 내장한 배터리
JP2001196049A (ja) 電池用の感圧電流遮断構造
JP2023113927A (ja)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集合体
CN116210122A (zh) 电化学装置及用电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