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455B1 -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455B1
KR100874455B1 KR1020070023105A KR20070023105A KR100874455B1 KR 100874455 B1 KR100874455 B1 KR 100874455B1 KR 1020070023105 A KR1020070023105 A KR 1020070023105A KR 20070023105 A KR20070023105 A KR 20070023105A KR 100874455 B1 KR100874455 B1 KR 100874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case
terminal
connection member
electrod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2347A (ko
Inventor
윤지형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3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455B1/ko
Priority to US11/950,451 priority patent/US8481193B2/en
Publication of KR20080082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5Disassembling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 모듈의 조립 공정이나 수리 작업 진행시, 간편하게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켜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i) 일단에 양극 터미널이 배치되는 제1 전지와, 일단에 음극 터미널이 배치되는 제2 전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전지들과, ii) 상기 양극 터미널과 상기 음극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재와, iii) 상기 복수개의 전지들이 안착되는 제1 전지 수용부와, 상기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제1 연결부재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 팩 케이스를 포함하고, iv) 상기 양극 터미널 및 상기 음극터미널은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본 발명은 상기 제1 팩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 팩 케이스를 더욱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양극 터미널과 상기 음극 터미널은 상기 제2 팩 케이스에 가압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접촉된다.
전지 모듈, 이차 전지, 팩 케이스, 양극 및 음극 터미널, 연결부재

Description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부 팩 케이스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팩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지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에서 하부팩 케이스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에서 상부팩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1 이차 전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00 : 전지 모듈 105,107,205,207 : 이차 전지
110 : 전극군 112 : 음극
113 : 세퍼레이터 114 : 양극
120 : 캔 123 : 비딩부
125 : 크림핑부 132 : 음극탭
134 : 양극탭 138,136 : 상부 및 하부 절연 플레이트
140 : 캡 조립체 141 : 양성온도소자
142 : 안전벤트 143 : 전극캡
144 : 가스켓 150,250 : 양극 터미널
155,255 : 음극터미널 188 : 접착부
160 : 연결부재 170 : 하부 팩 케이스
180 : 상부 팩 케이스 175,275 : 제1 연결부재 수용부
285 : 제2 연결부재 수용부 177,277,187,287 : 제1 및 제2 전지 수용부
본 발명은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공정 등에서 안전성이 확보된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 모듈은 수개에서 많게는 수십개의 이차 전지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ies)는 화학에너지와 전기에너지간의 상호변환이 가역적이어서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전지이다. 최근 휴대용 무선전자 제품들의 개발이 증가되고 있으며, 아울러 이들제품들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위해, 에너지 밀도가 높은 이차 전지의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널리 사용되는 이차 전지로는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그리고 리 튬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특히 리튬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이상으로서,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의 작동 전압보다 3배나 높고, 더욱이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도 높아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용으로 급속하게 신장되는 추세이다.
전형적인 이차 전지는 양극과 음극이 세퍼레이터(separator)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electrode assembly)과, 상기 전극군이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는 캔과, 상기 캔에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전극군과 캔 등의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및 파우치형 등이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가 복수개 연결된 전지모듈은 휴대용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및 캠코더(camcorder)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를 비롯하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s)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전지 모듈은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차 전지들이 팩 케이스에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전지 모듈의 제조 공정을 살펴보면, 연결부재에 의해 이차 전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후 서로 연결된 이차 전지들이 팩 케이스에 배치되는 과정이 포함된다. 즉,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차 전지들이 팩 케이스에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후속 공정이 진행된다.
그런데, 이차 전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차 전지들을 팩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등의 조립 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지 않게 된다. 즉,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는 상태에서 작업이 수행되므로, 상기 전류로 인해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제작이 완성된 전지 모듈의 수리 작업 진행 시에도, 복수의 이차 전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분해 작업이 수행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지 모듈의 조립공정이나 수리 작업 진행시, 간편하게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켜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i) 일단에 양극터미널이 배치되는 제1 전지와, 일단에 음극터미널이 배치되는 제2 전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전지들과, ii) 상기 양극터미널과 상기 음극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재와, iii) 상기 복수개의 전지들이 안착되는 제1 전지 수용부와, 상기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제1 연결부재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 팩 케이스를 포함하고, iv) 상기 양극 터미널 및 상기 음극 터미널은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극 터미널 및 상기 음극 터미널은 상기연결부재로부터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수용부는 상기 제1 팩 케이스에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팩 케이스의 마주하는 가장자리들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지 모듈은 상기제1 팩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 팩 케이스를 더욱 포함할 수 있고,상기 양극 터미널과 상기음극 터미널은 상기 제2 팩 케이스에 가압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 팩 케이스는 상기 복수개의 전지들이 안착되는 제2 전지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연결부재 수용부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와 상기 양극 터미널의 두께 또는상기 연결부재의 두께와 상기 음극 터미널의 두께의 합이, 상기 제1 연결부재 수용부의 깊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와 상기 양극터미널의 두께 또는 상기연결부재의 두께와 상기 음극터미널의 두께의 합이, 상기 제1 연결부재 수용부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극 터미널은 상기제1 전지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가장자리에서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음극터미널은 상기 제2 전지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가장자리에서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터미널 및 상기 음극 터미널은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합금, ABS수지, PC수지, PP수지, PBT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연결부재 수용부는 상기 제1 팩 케이스의 제1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팩 케이스는 상기 복수개의 전지들이 안착되는 제2 전지 수용 부와, 상기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제2 연결부재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 수용부가 상기 제2 팩 케이스의 제2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팩 케이스가 상기 제1 팩 케이스에 결합 시, 상기 제2 가장자리는 상기 제1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상기 제1 팩 케이스의 제3 가장자리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팩 케이스가 상기제1 팩 케이스에 결합될 때, 상기 양극 터미널 및 상기 음극 터미널이 상기 연결부재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극 터미널과 상기음극 터미널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지 및 제2 전지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전지들이 원통형 이차 전지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지 수용부의 가장 깊은 곳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까지의 높이는 상기 복수개의 전지들의 각 반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i) 제1 팩 케이스에 제1 전지 수용부와 제1 연결부재 수용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ii) 상기 제1 연결부재 수용부에 연결부재를 배치하는 단계와, iii) 전지에 형성된 터미널이 상기연결부재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도록, 상기 전지를 상기 제1 전지 수용부에 배치하는 단계와, iv) 제2 팩 케이스를 상기 제1 팩 케이스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터미널을 상기 연결부재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양극 터미널 또는 음극 터미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은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 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함)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팩 케이스(170, 이하 하부 케이스) 및 제2 팩 케이스(180, 이하 상부 케이스)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전지들 중 일부만 도시된다. 그리고 상부 팩 케이스(180) 및 하부 팩 케이스(170)의 결합 시, 연결부재(160)에 접촉되는 양극 터미널(150)을 포함하는 제1 전지가 제1 이차 전지(105)로 표현되고, 연결부재(160)에 접촉되는 음극 터미널(155)을 포함하는 제2 전지가 제2 이차 전지(107)로 표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이차 전지(105) 및 제2 이차 전지(107)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이며, 이는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일례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 형성된 전지 모듈(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이차 전지(105) 및 제2 이차 전지(107)는 원통형 이차전지뿐만 아니라 각형 또는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지 모듈(100)은 크게 제1 이차 전지(105) 및 제2 이차 전지(107)와, 제1 이차 전지(105) 및 제2 이차 전지(107)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60)와, 제1 이차 전지(105) 및 제2 이차 전지(107)가 수용되는 상부팩 케이스(180) 및 하부 팩 케이스(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 팩 케이스(170)는 연결부재(160) 및 제1 및 제2 이차 전지(105,107)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제1 연결부재 수용부(175) 및 제1 전지 수용부(177)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전지 수용부(177)는 하부 팩 케이스(170)에 복수개 형성된다. 제1 전지 수용부(177)에는 제1 및 제2 이차 전지(105,107)의 일부분이 수용되고, 그 나머지 부분은 상부팩 케이스(180)에 형성된 제2 전지 수용부(187)에 수용된다.
제1 연결부재 수용부(175)는 상부 팩 케이스(180)와 마주보는 하부 팩 케이스(170)의 일면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깊이(d)를 가지고 형성되며, 여기에 연결부재(160)가 안착된다. 이 연결부재(160)는 상부 팩 케이스(180)와 하부 팩 케이스(170)의 결합 시, 양극터미널(150) 및 음극 터미널(155)과 접촉되어 복수개의 이차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연결부재(160)와 양극 및 음극 터미널(150,15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동일한 연결부재(160)에 접촉되는 제1 이차 전지(105)의 양극 터미널(150)과 제2 이차 전지(107)의 음극 터미널(155)은 인접한 제1 전지 수용부(177)의 각 단부에서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나란히 배치된다. 이때 상기 양극 터미널(150)과 상기 음극 터미널(155)은 연결부재(160)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다.
이후 상부 팩 케이스(180)가 하부 팩 케이스(170)에 결합되고, 상기 양극 터 미널(150)과 상기 음극 터미널(155)은 상부 팩 케이스(180)에 가압되어 연결부재(160)에 접촉된다. 이로써 인접한 제1 전지 수용부(177)에 각각 배치된 제1 이차 전지(105)와 제2 이차 전지(107)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요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전지 모듈(100)은 상부팩 케이스(180)가 하부 팩 케이스(170)에 결합되기 전에는 제1 이차 전지(105)와 제2 이차 전지(107)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만약, 상기한 구성과 달리 상부 팩 케이스(180)와 하부 팩 케이스(170)가 결합되기 전에 복수개의 이차 전지들이 서로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라면, 전지 모듈의 조립공정이나 전지 모듈의 수리작업 시 전류의 흐름으로 인해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다.
한편, 연결부재(160)의 두께(t1)는 제1 연결부재 수용부(175)의 깊이(d)보다 작게 형성된다. 연결부재(160)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s) 떨어진 곳에는 제1 이차 전지(105)의 양극 터미널(150)과 제2 이차 전지(107)의 음극 터미널(155)이 위치한다. 이 양극 터미널(150) 및 음극 터미널(155)은 하부 팩 케이스(170)에 결합되는 상부 팩 케이스(180)에 가압되어 연결부재(160)에 접촉된다.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서 양극 터미널(150) 및 음극 터미널(155)의 두께(t2)는, 상기 소정 간격(s)과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소정 간격(s)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전지 수용부(177)의 가장 깊은 곳에서 연결부재(160)의 상단까지의 높이(h)는 제1 이차 전지(105) 및 제2 이차 전지(107)의 각 반지름(r)보다 작게 형성된다. 물론, 제1 전지 수용부(177)의 가장 깊은 곳에서 연결부재(160)의 상단까지의 높이(h)는 전지 모듈(100)의 설계에 따라 제1 이차 전지(105) 및 제2 이차 전지(107)의 각 반지름(r)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각 반지름(r)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양극 터미널(150) 및 음극 터미널(155)은 탄성체로 이루어지므로, 상부 팩 케이스(180)가 하부 팩 케이스(170)에서 분리될 경우, 양극 터미널(150) 및 음극 터미널(155)은 탄력(elastic force)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즉 상부 팩 케이스(180) 및 하부 팩 케이스(170)가 분리될 경우에 양극 터미널(150) 및 음극 터미널(155)은 연결부재(160)로부터 일정 간격(s) 떨어지게 되므로, 복수의 이차 전지들간 전기적 연결이 차단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부 팩 케이스(170)의 평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부팩 케이스(180)의 배면 사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전지 수용부(177)가 하부 팩 케이스(170)의 일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된다. 여기에 제1 및 제2 이차 전지(105,107)를 포함한 복수개의 이차 전지들이 수용된다.
제1 및 제2 이차 전지(105,107)를 포함한 복수개의 이차 전지들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다만 제1 이차 전지(105)는 전극캡(143, 도 8 참조)에 고정된 양극 터미널(150)을 더욱 포함하고, 제2 이차 전지(107)는 캔(120, 도 8 참조)에 고정된 음극 터미널(155)을 더욱 포함한다.
복수의 이차 전지들이 하부 팩 케이스(170)에 배치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제1 전지 수용부(177)의 제2열(177b)의 제1 단부에는 음극 터미널(155)을 구비한 제2 이차전지(107)가 배치되고, 제1 전지 수용부(177)의 제2열(177b)의 제2 단부에는 양극 터미널(150)을 구비한 제1 이차 전지(105)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전지 수용부(177)의 제2열(177b)의 제1 단부에 배치된 제2 이차 전지(107)와, 제1 전지 수용부(177)의 제1열(177a)의 제1 단부에 배치된 제1 이차 전지(105)는 동일한 연결부재(16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 전지 수용부(177)의 제2열(177b)의 제2 단부에 배치된 제1 이차 전지(105)와, 제1 전지 수용부(177)의 제3열(177c)의 제2 단부에 배치된 제2 이차 전지(107)는 동일한 연결부재(16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 전지 수용부(177)의 어느 한 열, 가령 제2열(177b)의 양쪽 단부에 각각 배치된 제1 이차 전지(105) 및 제2 이차 전지(107) 사이에는 양극 터미널(150) 및 음극 터미널(155)을 포함하지 않은 복수개의 이차 전지들(미도시)이 배치되고, 이들은 인터커넥터(미도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구조로 인해 하부 팩 케이스에 배치된 복수개의 이차 전지들이 모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 수용부(175)는 하부 팩 케이스(170)에 복수개로 구비되고, 하부 팩 케이스(170)의 마주하는 가장자리들을 따라 형성된다. 제1 연결부재 수용부(175)에는 연결부재(160)가 수용되고, 이 연결부재(160)는, 하부 팩 케이스(170)에 상부 팩 케이스(180)가 결합될 때, 양극 터미널(150) 및 음극 터미널(155)과 접촉한다. 즉, 연결부재(160)는 제1 전지 수용부(177)의 서로 다른 열에 각각 배치된 제1 이차 전지(105)의 양극 터미널(150)과 제2 이차 전지(107)의 음극 터미널(155)과 접하여, 이들 제1 및 제2 이차 전지(105,107)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부 팩 케이스(170)에 마주하는 상부 팩 케이스(180) 일면에는 제1 및 제2 이차전지(105,107)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들이 수용되는 제2 전지 수용부(187)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전지 수용부(187)의 길이방향 양쪽 끝 외측에는 양극 터미널(150) 및 음극 터미널(155)과 접하는 접착부(188)가 형성된다. 이 접착부(188)는, 상부 팩 케이스(180)가 하부 팩 케이스(170)에 결합될 때, 양극 터미널(150) 및 음극터미널(155)을 가압하여 연결부재(160)에 접촉시킨다.
도 5는 도 1의 전지모듈(100)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팩 케이스(170)의 제1 전지 수용부(177, 도 1 참조)에 완전히 수용되지 않은제1 및 제2 이차 전지(105,107)의 일부분이 상부 팩 케이스(180)의 제2 전지 수용부(187, 도 1 참조)에 수용된다. 그리고 양극터미널(150) 및 음극 터미널(155)은 상부 팩 케이스(180)의 접착부(188, 도 4 참조)에 가압되어 연결부재(160)에 접촉된다. 즉, 상부 팩 케이스(180)와 하부 팩 케이스(170)가 결합되는 순간에 비로소 제1 이차 전지(105)와 제2 이차 전지(107)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팩 케이스(180)가 하부 팩 케이스(170)에 결합되기 전에는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기 때문에, 전지 모듈(100)의 조립 공정 진행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양극 터미널(150) 및 음극 터미널(155)은 탄력성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양극 터미널(150) 및 음극 터미널(155)은 스테인레스 및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 소재나, ABS수지, PC수지, PP수지, 및 PBT수지와 같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리를 위해 전지모듈(100)의 상부 팩 케이스(180)와 하부 팩 케이스(170)를 분리하면, 제1 및 제2 이차 전지(105,107)의 양극 및 음극 터미널(150,155)은 탄력에 의해 연결부재(160)로부터 떨어진다. 이로 인해 복수개의 이차 전지들 간에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므로, 안전하게 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에서 하부팩 케이스(270)의 평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에서 상부 팩 케이스(280)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팩 케이스(270)에 제1 전지 수용부(277)와 제1 연결부재 수용부(275)가 형성되고, 나아가 상부 팩 케이스(280)에 제2 전지 수용부(287)와 제2 연결부재 수용부(285)가 형성된다.
본 제2 실시예는 하부 팩 케이스(270)의 제1 가장자리에 제1 연결부재 수용부(275)가 형성되고, 상부 팩 케이스(280)의 제2 가장자리에 제2 연결부재 수용부(285)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상부 팩 케이스(180)에 연결부재 수용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본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제2 가장자리는 반대편에 위치한다.
하부 팩 케이스(270)의 제1 가장자리 한쪽 끝에 형성된 제1 연결부재 수용부(275)에 수용된 연결부재(160)에는, 제1 전지 수용부(277)의 제1열(277a)에 수용된 제1 이차 전지(205)의 양극 터미널(250)과, 제1 전지수용부(277)의 제2열(277b) 에 수용된 제2 이차 전지(207)의 음극 터미널(155)이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가장자리의 반대편인 하부 팩 케이스(270)의 제3 가장자리 중 제1 전지 수용부(277)의 제2열(277b) 및 제1 전지 수용부(277)의 제3열(277c)의 끝 외측 부분에 대응하는 상부 팩 케이스(280)의 제2 가장자리에는 제2 연결부재 수용부(285)가 형성된다. 제2 연결부재 수용부(285)에 수용된 연결부재(160)에는, 제1 전지 수용부(277)의 제2열(277b)에 배치된 제1 이차 전지(205)의 양극 터미널(250)과, 제1 전지수용부(277)의 제3열(277c)에 배치된 제2 이차전지(207)의 음극 터미널(255)이 접촉된다.
물론 양극 터미널(250) 및 음극 터미널(255)은 상부 팩 케이스(280)와 하부 팩 케이스(270)가 결합될 때 비로소 대응되는 연결부재(160)에 접촉된다.
가령, 상부 팩 케이스(280)의 제2 가장자리는 상기 제1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하부 팩 케이스(270)의 제3 가장자리에 접촉된다. 즉, 양극 터미널(250)과 음극 터미널(255)은 제1 연결부재 수용부(275)가 형성되지 아니한 하부 팩 케이스(270)의 제3 가장자리에 의해 가압되어 연결부재(160)에 접촉된다.
양극 터미널(250) 및 음극 터미널(255)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탄력성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부 팩 케이스(280)와 하부 팩 케이스(270)가 분리되면, 양극터미널(250) 및 음극터미널(255)은 탄력에 의해 연결부재(160)로부터 떨어진다. 즉, 수리 등의 작업을 위해 상부 팩 케이스(280) 및 하부팩 케이스(270)를 분리하면, 복수개의 이차 전지들 간에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므로, 안전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에 적용되는 이차 전지들의 구조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본다. 복수개의 이차 전지들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다만, 제1 이차 전지(105) 및 제2 이차전지(107)는 각기 양극 터미널(150) 및 음극 터미널(155)을 더욱 포함하고 있다. 이 제1 이차 전지(105) 및 제2 이차 전지(107)는, 터미널이 양극 또는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고정되는 위치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바, 이하 제1 이차 전지(105)를 기준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또한, 제1 이차 전지(105) 및 제2 이차전지(107)는 상술한 제2 실시예에서의 제1 이차 전지(205) 및 제2 이차 전지(207)와도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제1 이차 전지(105)는 크게 전극군(110), 캔(120), 및 캡 조립체(140)를 포함한다.
전극군(110)은 집전판에 음극활물질이 부착된 음극(112)과, 집전판에 양극 활물질이 부착된 양극(114)과, 음극(112) 및 양극(114)의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의 단락(short-circuit)을 방지하는 세퍼레이터(113)를 포함한다.
음극(112)은 구리판과 같은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용 분말과 음극 바인더 및 결합제를 혼합한 슬러리 형태의 활물질층을 코팅하여 제조된다. 그리고 음극(112)에는 음극탭(132)이 결합되고, 이 음극탭(132)은 케이스(120) 내부 바닥면에 접촉한다. 이로 인해 케이스(120)는 음극 단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양극(114)은 알루미늄판과 같은 집전체에 양극 활물질용 분말과 양극 바인더 및 양극 도전성 첨가제를 혼합한 슬러리 형태의 활물질 층을균일하게 코팅하여 제 조된다. 그리고 양극(114)에는 양극탭(134)이 결합되고, 이 양극탭(134)은 양극(114)으로부터 인출되어 캡 조립체(140)의 안전벤트(142)에 접촉한다.
상술한 전극군(110)의 상, 하측에는 상부 절연 플레이트(138) 및 하부 절연 플레이트(136)가 각각 설치되어, 전극군(110)과 캔(120)간에 불필요한 전기적 쇼트를 방지한다.
캔(120)은 대략 원통 형태로 내부에 전극군(110)이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재로 제작된다. 캔(12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전극군(110)이 캔(12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캔(120)의 개방된 상부에는 캡 조립체(140)가 결합되어 이 캔(120)를 밀폐시키게 되는데, 캔(120)과 캡 조립체(140)의 결합 과정에서 캔(120)에는 비딩부(123)와 크림핑부(125)가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캔(120)의 내부로는 전해액(도시되지 않음)이 주입되며, 이는 충전 및 방전 시 음극(112) 및 양극(114)에서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된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캡 조립체(140)는 전극캡(143)과, 안전벤트(142)와, 양성온도소자(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element, 141)와, 가스켓(144)을 포함하며, 개방된 캔(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캔(120)을 밀폐시킨다. 그리고 전극캡(143)의 일면에는 연결부재(160, 도 1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양극 터미널(150)이 설치된다.
가스켓(144)은 전극캡(143), 양성온도소자(141) 및 안전벤트(142)의 둘레를 감싸도록 케이스(120)와 상기한 구성물들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케이스(120)와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안전벤트(142)의 하부면에는 양극(114)으로부터 인출된 양극탭(134)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안전벤트(142)는 이차 전지(105) 내부의 압력이 기설정된 값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상부쪽으로 반전되어, 양극(114)과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된다. 양성온도소자(141)는 안전벤트(142)의 상부에 배치된다. 양성온도소자(141)는 일정온도를 넘으면 전기저항이 거의 무한대까지 커지는 장치로서, 이차 전지(105)가 정해진 값 이상의 온도가 되었을 때, 충전 및 방전 전류의 흐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다만, 이차 전지(105)의 온도가 정해진 값 이하로 내려가면 양성온도소자(141)의 전기저항은 다시 작아지므로, 이차 전지(105)는 제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에 적용되는 이차 전지(105)에는 상술한 안전벤트(142) 및 양성온도소자(141) 이외에도 과충전, 과방전, 과열, 및 이상전류 등을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안전수단이 더욱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전극캡(143)은 양성온도소자(141)의 상부에 배치되어, 전류를 외부로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전극캡(143)의 상부면에는 양극 터미널(150)이 설치된다.
양극 터미널(150)은 전극캡(143)에 결합되는 제1 부분(150a)과 이 제1 부분(150a)의 가장자리에서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부분(150b)을 포함한다.
한편, 제2 이차 전지의 경우 음극 터미널이 캔에 설치된다. 이 음극 터미널 은 캔의 외측 하부면에 결합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가장자리에서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양극 터미널(150)의 제2 부분(150b) 및 음극 터미널(155, 도 5 참조)의 제2 부분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부 팩 케이스(180)가 압력을 가할 때 비로소 연결부재(160)에 접촉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여러가지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할 수 있는데,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로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팩 케이스가 하부 팩 케이스에 결합되기 전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전지모듈의 조립 공정 진행시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리를 위해 전지 모듈의 상부 및 하부 팩 케이스를 분리하게 되면, 이차 전지의 터미널이 연결부재로부터 떨어져 복수개의 이차 전지들 간에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므로, 전지 모듈의 수리 작업을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일단에 양극터미널이 배치되는 제1 전지와, 일단에 음극 터미널이 배치되는 제2 전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전지들;
    상기 양극터미널과 상기 음극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재;
    상기 복수개의 전지들이 안착되는 제1 전지 수용부와, 상기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제1 연결부재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 팩 케이스; 및
    상기 제1 팩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 팩 케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 터미널 및 상기 음극 터미널이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극 터미널과 상기 음극 터미널은 상기 제2 팩 케이스에 의하여 가압되어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에 접촉되는 전지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수용부는 상기 제1 팩 케이스에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팩 케이스의 마주하는 가장자리들을 따라 형성된 전지 모듈.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팩 케이스는 상기 복수개의 전지들이 안착되는 제2 전지 수용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5. 일단에 양극터미널이 배치되는 제1 전지와, 일단에 음극 터미널이 배치되는 제2 전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전지들;
    상기 양극터미널과 상기 음극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전지들이 안착되는 제1 전지 수용부와, 상기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제1 연결부재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 팩 케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 터미널 및 상기 음극 터미널이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연결부재 수용부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전지 모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와 상기 양극 터미널의 두께 또는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와 상기 음극 터미널의 두께의 합이,상기 제1 연결부재수용부의 깊이와 동일한 전지모듈.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와 상기 양극 터미널의 두께 또는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와 상기 음극 터미널의 두께의 합이, 상기제1 연결부재 수용부의 깊이보다 큰 전지 모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터미널 및 상기 음극 터미널 각각은, 상기 제1 전지의 일단 또는 상기 제2 전지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가장자리에서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9. 제1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터미널 및 상기 음극 터미널은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합금, ABS수지, PC수지, PP수지, PBT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진 전지 모듈.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수용부는 상기 제1 팩 케이스의 제1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전지 모듈.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팩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 팩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팩 케이스는 상기 복수개의 전지들이 안착되는 제2 전지 수용부와, 상기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제2 연결부재 수용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 수용부가 상기 제2 팩 케이스의 제2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팩 케이스가 상기 제1 팩 케이스에 결합 시, 상기 제2 가장자리 는 상기 제1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상기 제1 팩 케이스의 제3 가장자리에 접하는 전지 모듈.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팩 케이스가 상기 제1 팩 케이스에 결합될 때, 상기 양극 터미널 및 상기 음극 터미널이 상기 연결부재에 접촉되는 전지 모듈.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터미널과 상기음극 터미널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전지 모듈.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지 및 제2 전지는 직렬로 연결되는 전지 모듈.
  16. 일단에 양극터미널이 배치되는 제1 전지와, 일단에 음극 터미널이 배치되는 제2 전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전지들;
    상기 양극터미널과 상기 음극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전지들이 안착되는 제1 전지 수용부와, 상기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제1 연결부재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 팩 케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 터미널 및 상기 음극 터미널이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전지들이 원통형 이차 전지인 전지모듈.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지 수용부의 가장 깊은 곳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까지의 높이가 상기 복수개의 전지들의 각 반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전지 모듈.
  18. 제1 팩 케이스에 제1 전지 수용부와 제1 연결부재 수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연결부재수용부에 연결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전지에 형성된 터미널이 상기연결부재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도록, 상기 전지를 상기 제1 전지 수용부에 배치하는 단계 및
    제2 팩 케이스를 상기 제1 팩 케이스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터미널을 상기 연결부재에 접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양극 터미널 또는 음극 터미널인 전지모듈의 제조 방법.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이 탄성체인 전지모듈의 제조 방법.
KR1020070023105A 2007-03-08 2007-03-08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0874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105A KR100874455B1 (ko) 2007-03-08 2007-03-08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11/950,451 US8481193B2 (en) 2007-03-08 2007-12-05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105A KR100874455B1 (ko) 2007-03-08 2007-03-08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347A KR20080082347A (ko) 2008-09-11
KR100874455B1 true KR100874455B1 (ko) 2008-12-17

Family

ID=3974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105A KR100874455B1 (ko) 2007-03-08 2007-03-08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81193B2 (ko)
KR (1) KR1008744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643A3 (ko) * 2016-06-16 2018-07-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774A (ko) * 2009-11-03 2011-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1304220B1 (ko) * 2011-12-23 2013-09-05 대동공업주식회사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마운팅 장치
US10590605B2 (en) 2016-07-26 2020-03-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ating composition for corrugated paper board
CN114696012A (zh) * 2020-12-29 2022-07-0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单体及其制造方法、电池以及用电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0976A (ja) 1997-10-17 1999-04-30 Harness Syst Tech Res Ltd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の接続構造
JP2003242951A (ja) * 2002-02-13 2003-08-29 Nissan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7748B2 (ja) * 1997-09-30 2006-05-24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組電池
JP3698925B2 (ja) * 1999-08-23 2005-09-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池用感圧ブレーカー
JP3671007B2 (ja) * 2002-01-31 2005-07-1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KR100696685B1 (ko) 2005-05-16 2007-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0976A (ja) 1997-10-17 1999-04-30 Harness Syst Tech Res Ltd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の接続構造
JP2003242951A (ja) * 2002-02-13 2003-08-29 Nissan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643A3 (ko) * 2016-06-16 2018-07-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US10615383B2 (en) 2016-06-16 2020-04-07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81193B2 (en) 2013-07-09
US20080220326A1 (en) 2008-09-11
KR20080082347A (ko)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875B1 (ko) 전지 모듈
EP2808920B1 (en) Battery module having enhanced safet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KR100823510B1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EP1928044B1 (en) Connection cap for a rechargeable battery
KR100824873B1 (ko) 리튬이온 이차전지
EP1091427B1 (en) Structure for fixing electrode plate groups in cells that constitute a battery module
KR100965684B1 (ko) 전지 팩
CN106356490B (zh) 可再充电电池和包括可再充电电池的电池模块
KR100869803B1 (ko) 전지 모듈
CN108701793B (zh) 电池组
KR101074780B1 (ko) 캡 조립체, 캔,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20180055407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0874455B1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EP2830121B1 (en) Rechargeable battery
CN113692673B (zh) 汇流条模块、其制造方法及电池模块
KR101539788B1 (ko) 전지케이스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0814882B1 (ko) 이차 전지 및 상기 이차 전지를 이용한 전지 모듈
KR101483700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379765B1 (ko)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KR102335696B1 (ko) 전류차단부재 및 캡 조립체
KR101816708B1 (ko) 배터리팩
CN212874708U (zh) 二次电池、电池模块、电池组和装置
KR20170047754A (ko) 이차 전지
KR100601499B1 (ko)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
KR100322097B1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