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394A - 배전반 - Google Patents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394A
KR20010062394A KR1020000076020A KR20000076020A KR20010062394A KR 20010062394 A KR20010062394 A KR 20010062394A KR 1020000076020 A KR1020000076020 A KR 1020000076020A KR 20000076020 A KR20000076020 A KR 20000076020A KR 20010062394 A KR20010062394 A KR 20010062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board
longitudinal
attached
generators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8851B1 (ko
Inventor
야마모또미쯔오
Original Assignee
데라사끼뎅끼상교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라사끼뎅끼상교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데라사끼뎅끼상교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2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tch Board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과제) 부품점수가 적고 간단한 구성으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수단)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기대 (4) 와 공동으로 역 T 자를 구성하는 1 쌍의 종부재 (5) 를 기대 (4) 의 좌ㆍ우 측가장자리에 설치하고, 이 종부재 (5) 의 절곡편에 단면이 L 자형 및 コ 자형인 횡부재 (1,3) 를 부착한다.

Description

배전반 {SWITCH BOARD}
본 발명은 배전반의 전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2 는 종래의 배전반의 예를 나타내는 선박용 배전반의 정면도이다. 이 배전반은 각각 독립된 틀체로 제작된 복수의 배전반을 일체로 연결한 것이다. 이 배전반은 배에 탑재되어 있는 3 대의 대형 발전기마다 설치되는 1 호 발전기반 (100), 2 호 발전기반 (101) 및 3 호 발전기반 (102) 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의 좌ㆍ우에 각종 부하로 전기를 공급하는 급전반 (103) 이 배치되어 있다.
각 발전기반은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케이블이 접속되는 전원입력단자 (104), 받아들여진 전력을 급전반으로 공급하는 주모선 (105), 전원입력단자와 주모선 사이에 접속되는 차단기 (106) 및 강대 (鋼帶) (107), 발전기의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장치류, 전압이나 전류 등을 계측하거나 감시하는 계측기 (109), 각 계측기에 대하여 신호를 보내는 변환기 (110), 각종 제어용 단자대 (111) 등을 주요구성부품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발전기용 배전반의 틀체가 일본 실용신안등록공고공보 소55-52725 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4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각 단면이 L 자형상인 강판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저부틀 (120) 과 정부틀 (121) 을 단면이 C 자형상인 4 개의 강판기둥 (122) 으로 나사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자립하는 틀체로서 조립되어 있다. 이 틀체는 강도를 더욱 확보하기 위하여 상하 모서리에 모서리 금구 (金具) (123) 가 용접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틀체 내부에 부품을 부착하고, 배선을 실시하여 하나의 발전기반을 완성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완성된 발전기반을 서로 연결하고, 외부배선 등을 실시하여 배전반 전체를 완성시켰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배전반에 있어서는, 틀체를 강고한 구조의 것으로 하기 위하여 번거로운 용접작업을 하거나 내장부품을 부착하기 위하여 도 14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다종의 보조부품 (124,125,126) 등을 다수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내장부품이 틀체내에 점재 (点在) 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간의 배선이 길고 또한 복잡하여 공간의 사용효율이 나쁘고,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세퍼레이터의 부착공작이 복잡하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리고, 틀체가 자립하도록 조립한 후의 좁은 공간에서 부품부착이나 배선 등의 조립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복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하기가 어려워서 착수에서 완성까지 긴 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점수가 적고 간단한 구성으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간단하면서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배전반을 실현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배전반의 조립공정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배전반의 정면도.
도 3 은 도 2 에서 도어를 생략한 배전반의 정면도.
도 4 는 도 1 의 배전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 는 도 1 의 배전반 내부를 나타내는 이면도.
도 6 은 도 1 의 배전반의 조립전 부품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은 도 1 의 배전반의 조립공정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8 은 도 1 의 배전반의 버스 바아의 부착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9 는 도 1 의 배전반의 조립공정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10 은 도 1 의 배전반의 조립공정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11 은 도 1 의 배전반의 조립공정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12 는 종래의 배전반의 정면도.
도 13 은 도 12 의 배전반 일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 는 도 12 의 배전반 일부의 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 횡부재 1a,3a,5a,5c,15a,15b : 절곡편
2,20 : 도어 3 : 제 2 횡부재
4 : 기대 (基臺) 5 : 종부재
5b : 구멍 6 : 상부 연결판
7 : 중간 연결판 8 : 하부 연결판
9 : 절연봉 10 : 버스 바아
11 : 차단기 12 : 보강판
13 : 출력측 단자 14 : 동판
15 : 측판 16 : 상부 전면 바아
17 : 중간부 전면 바아 18 : 상부 후면 커버
19 : 중간부 후면 바아 21 : 커버
22 : 입력측 단자 23 : 접속판
24 : 절연 스페이서 25 : 변류기
26,27,28,37 : 세퍼레이터 29,30 : 이면 커버
31 : 천판(天板) 36 : 화장판(化粧板)
A : 발전기 제어구획 B : 공통구획
C : 차단기 D : 전원입력구획
E : 모선구획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 의 발명의 배전반은, 좌ㆍ우에 대향하는 1 쌍의 측변을 갖는 기대 (基臺) 와, 전후방향에 소정 폭을 갖고,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기대와 공동으로 역 T 자를 형성하도록 기대의 좌ㆍ우 양측변에 설치되는 1 쌍의 대향하는 종부재와, 1 쌍의 종부재간에 걸쳐서 부착되는 횡부재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종부재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배전반을 종부재보다 전방 부분, 종부재의 폭 부분, 횡부재보다 후방 부분으로 분할한다. 또한, 횡부재는 부품의 부착, 세퍼레이터, 강도확보 등 여러 가지 작용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종부재 이외의 좌ㆍ우 커버나 구조물이 없는 상태에서 부품을 부착할 수 있다.
청구항 2 의 발명의 배전반은, 청구항 1 의 구성에 있어서, 종부재의 앞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수직면과 이 수직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면을 갖는 횡부재 및/또는 종부재의 뒤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수직면과 이 수직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면을 갖도록 직각으로 구부러진 횡부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횡부재는 배전반에 내장되는 부품을 부착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종부재에 작용할지도 모르는 전후방향의 응력 및 좌ㆍ우방향의 응력을 직각으로 구부러진 횡부재가 흡수한다. 또한, 이 횡부재는 내장부품의 부착부재, 전후방향의 세퍼레이터 등의 작용을 갖는다.
청구항 3 의 배전반은, 청구항 1 또는 2 의 발명에 의한 배전반의 구성에 더하여, 종부재와 연속하도록 상기 종부재의 전부 및 후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측판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배전반내로의 부품의 부착이 쉬워진다.
청구항 4 의 발명의 배전반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의 발명에 의한 배전반의 구성에 더하여, 종부재 및/또는 측판은 그 둘레 가장자리에 직각으로 꺽인 절곡편을 갖는 판형상부재인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절곡편은 종부재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 외에 각종 부재를 부착할 수 있다.
청구항 5 의 발명의 배전반은, 청구항 4 의 발명에 의한 배전반의 구성에 더하여, 종부재와 측판은 모두 절곡편을 갖는 판형상부재로서, 종부재와 측판은 공동으로 종부재가 측방 외측으로 돌출한 볼록형상부를 형성하도록 일렬로 늘어서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배전반 측방의 외측에 평판을 밀착시켜도 이 평판과 측판 사이에는 틈이 발생하고, 이 틈에 돌기물이나 부재 등이 있어도 배전반 자체의 부착에는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청구항 6 의 발명의 배전반은, 청구항 5 의 발명에 의한 배전반의 구성에 더하여, 횡부재는 그 좌ㆍ우 양단에 절곡편을 갖고, 이 절곡편이 측판에 부착된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횡부재와 측판을 결합함으로써 강도가 증가한다.
청구항 7 의 발명의 배전반은,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발명에 의한 배전반에 있어서, 복수의 발전기를 탑재하는 선박의 발전기용 배전반으로서, 각 발전기마다 필요한 감시나 제어용 부품을 모든 발전기만큼 부착한 제 1 횡부재와, 복수의 발전기 상호간의 제어를 하는 제어부재를 구비한 제 2 횡부재와, 복수의 발전기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차단기를 서로 상하방향으로 또한 종부재보다 전방의 공간에 배치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부품점수가 많아 이들 부품 상호간의 배선이 많은 발전기의 제어나 감시용 부품을 유닛화할 수 있다.
청구항 8 의 발명의 배전반은, 청구항 7 의 발명에 의한 배전반의 구성에 더하여, 종부재의 폭 부분의 공간에 모선을 배치하고, 종부재보다 후방의 공간에 발전기로부터의 입력 케이블을 접속하는 입력단자를 배치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충전부인 모선이 제 1 횡부재의 수직면, 제 2 횡부재의 수직면 및 차단기에 의해 배전반 전부에서 세퍼레이트되고, 배전반 후부로부터는 모선부분을 덮는 세퍼레이터를 쉽게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주요부재가 배전반의 전부 및 중간부에 배치되고, 후부 공간에는 입력단자 등 약간의 부품만이 배치되기 때문에 큰 공간이 생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3 대의 발전기를 탑재한 선박의 발전기반을 실시예로 하여 도 1 ∼ 도 11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 도 3, 도 4 및 도 5 는 각각 이 실시예의 배전반의 정면도, 후술하는 도어 (2 및 20) 를 분리한 정면도, 내부 측면도 및 내부 이면도이다. 발전기마다 각각 독립한 배전반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하나의 배전반으로 모든 발전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배전반은 대략 전면 (정면) 부와 중간부와 후면 (이면) 부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부의 상부와 하부에 발전기 제어구획 (A) 과 공통구획 (B) 이 형성되며, 이들 사이에 차단기 (C) 의 구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면부에는 발전기로부터의 케이블을 도입하는 전원입력구획 (D) 이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모선구획 (E) 이 형성되어 있다.
발전기 제어구획 (A) 은 3 대의 발전기를 개별적으로 감시하거나 제어하기위한 부품을 수납한 구획이다. 이 구획은 전체가 역 L 자형상으로 구부러진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횡부재 (1) 상에 각종 부품 (32) 이 부착됨과 동시에 이들 부품간의 배선이 실시된 내장 유닛과, 전류계 등의 계기 (33), 표시등 (34), 발전기를 조작하는 조작버튼 (35) 등을 부착한 도어 (2) 로 구성되어 있다.
공통구획 (B) 은 3 대의 발전기에 공통되는 부품을 수납한 구획이다. 이 구획은 전체가 コ 자형상으로 구부러진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2 횡부재 (3) 상에 각종 부품이 부착됨과 동시에 이들 부품간의 배선이 실시된 내장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횡부재 (1) 및 제 2 횡부재 (3) 에는 이들의 둘레 가장자리에 직각으로 구부러진 절곡편 (1a 및 3a) 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동일한 부분을 절곡편이라 함).
이상과 같은 구획을 갖는 이 실시예의 배전반의 상세구조와 조립공정을 다음에 설명한다.
공정 1.
도 6 및 도 7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둘레 가장자리부를 제외하고 바닥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갖는 직사각형의 철판제 기대 (4) 의 좌ㆍ우 측가장자리 중앙부에 각각 종부재 (5) 를 부착한다. 종부재 (5) 는 그 둘레 가장자리에 절곡편을 갖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철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측 가장자리의 절곡편 (5a) 이 기대 (4) 에 나사로 고정된다. 그로 인해,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기대 (4) 와 종부재 (5) 는 공동으로 역 T 자형상으로 보인다.
공정 2.
다음으로, 각각 둘레 가장자리에 절곡편을 갖는 철판제 상부 연결판 (6), 중간 연결판 (7) 및 하부 연결판 (8) 의 좌ㆍ우 양단의 절곡편을 대응하는 종부재 (5) 에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1 쌍의 종부재 (5) 를 서로 연결한다.
그리고, 도 1 및 도 7 ∼ 도 11 에 있어서 조립방법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내장부품의 도시를 생략한다.
공정 3.
도 4, 도 5 및 도 8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부 연결판 (6) 과 중간 연결판 (7) 에 복수의 절연봉 (9) 을 나사로 부착하고, 이들 절연봉 (9) 에 삼상분의 두꺼운 강대로 이루어지는 버스 바아 (10) 와 단로기 (11) 를 부착한다. 이 부착작업은 작업을 방해하는 부재가 거의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버스 바아 (10) 등은 무겁고 길지만 안전하고 간단히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종부재 (5) 에는 발전기반과 나란히 설치되는 급전반에 버스 바아 (10) 를 연장시키기 위한 구멍 (5b) 이 형성되어 있다.
공정 4.
도 7 및 도 9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유닛 조립된 공통구획 (B) 의 제 2 횡부재 (3) 의 수직면의 좌ㆍ우 양단을 종부재 (5) 의 종방향의 절곡편 (5c) 에 나사로 부착한다.
공정 5.
도 3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공통구획 (B) 의 제 2 횡부재 (3) 의 중간부에 상하방향으로 보강판 (12) 을 부착하고, 제 2 횡부재 (3) 상에 3 대의 차단기 (C)를 부착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 차단기 (C) 의 출력측 단자 (13) 와 버스 바아 (10) 를 접속하는 동판 (14) 을 부착한다. 이들 부착작업도 차단기 (C) 나 동판 (14) 등은 무겁지만, 전술한 버스 바아 (10) 등의 부착작업과 동일한 이유에서 안전하면서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
공정 6.
도 1 및 도 9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발전기 제어구획 (A) 의 내장 유닛의 제 1 횡부재 (1) 의 수직면의 좌ㆍ우 양단을 종부재 (5) 의 종방향의 절곡편 (5c) 에 나사로 부착한다. 이들을 부착한 결과, 제 1 횡부재 (1) 의 수직면, 제 2 횡부재 (3) 의 수직면 및 차단기 (C) 의 배면은, 이 배전반의 전부와 중간부 및 후부 사이를 세퍼레이트하는 벽을 형성하게 된다.
공정 7.
도 1, 도 8 및 도 10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4 장의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측판 (15) 을 종부재 (5) 의 전후에 좌ㆍ우 각각 일렬로 되도록 부착한다. 즉, 둘레 가장자리에 절곡편을 갖는 철판제 측판 (15) 의 하변의 절곡편 (15a) 을 기대 (4) 에 나사로 고정하고, 그 종방향의 절곡편 (15b) 을 종부재 (5) 의 절곡편 (5c) 에 나사로 고정한다. 그리고, 도 10 은 좌측 측판 (15) 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하여 부착된 측판 (15) 과 종부재 (5) 는 도 8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종부재 (5) 가 외측으로 돌출한 볼록형상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볼록형상부를 형성하도록 배치하면, 예컨대 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화장판(化粧板) (36) 이 측면에 부착되어도 나사의 머리가 방해로 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화장판 (36) 과 측판 (15)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제어용 배선 등을 배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1 장마다의 프레스가공이 간단한 비교적 폭이 작은 측판 2 장과 종부재 1 장으로 면적이 큰 배전반의 측부를 덮을 수 있는 것 외에 이들 절곡편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공정 8.
도 8 및 도 10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횡부재 (1) 및 제 2 횡부재 (3) 의 좌ㆍ우 양단의 절곡편 (1a,3a) 을 전부의 좌ㆍ우측판 (15) 에 나사로 고정한다.
공정 9.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모두 둘레 가장자리에 절곡편을 갖는 철판제 상부 전면 바아 (16), 중간부 전면 바아 (17), 역 L 자형상의 상부 후면 커버 (18) 및 중간부 후면 바아 (19) 를 각각의 좌ㆍ우 양단의 절곡편을 이용하여 전부 또는 후부의 좌ㆍ우측판 (15) 에 나사로 부착한다. 그리고, 도 11 은 좌후부의 측판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공정 10.
도 2 및 도 4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배전반 전부에 발전기 제어구획 (A) 의 힌지형 도어 (2), 공통구획 (B) 의 힌지형 도어 (20), 차단기 (C) 의 끼움식 커버 (21) 를 부착하고, 도어 (2) 에 부착된 부품과 제 1 횡부재 (1) 에 부착된 부품의 전기적 접속을 실시한다.
공정 11.
도 4 및 도 5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원입력구획 (D) 에 있어서 발전기로부터 도입되는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판 (23) 의 일단을 차단기 (C) 의 입력측 단자 (22) 에 부착하고, 그 타단을 절연 스페이서 (24) 를 통해 중간부 후면 바아 (19) 에 고정한다. 그리고, 접속판 (23) 이 관통하도록 변류기 (25) 가 하부 연결판 (8) 또는 접속판 (23) 에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 관한 배전반의 후면 상부는 빈 공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 케이블을 후면 상부로부터 도입할 수도 있다.
공정 12.
도 3, 도 5 및 도 8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발전기 제어구획 (A) 을 발전기마다 세퍼레이트함과 동시에 차단기 사이도 세퍼레이트하는 종방향의 2 장의 세퍼레이터 (26) 를 제 1 횡부재 (1) 와 제 2 횡부재 (3) 사이에 나사로 부착한다. 또한, 차단기 (C) 의 단자부 부근을 차단기 사이마다 세퍼레이트하는 세퍼레이터 (27) 를 중간 연결판 (7) 과 하부 연결판 (8) 사이에 나사로 부착한다. 접속판 (23) 을 차단기마다 세퍼레이트하는 세퍼레이터 (37) 를 하부 연결판 (8), 중간부 후면 바아 (19) 및 기대 (4) 에 나사로 부착한다. 그리고, 모선구획 (E) 을 후부에서 세퍼레이트하는 세퍼레이터 (28) 를 종부재 (5) 후부의 종방향의 절곡편 (5c) 에 나사로 부착한다.
공정 13.
도 3 및 도 4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천판 (31) 및 끼움식 이면 커버 (29,30) 를 부착한다.
공정 14.
이상의 공정중에 적절하게 상기 이외의 필요한 부품을 부착하거나 이들 부품상호간, 그리고 발전기 제어구획 (A) 및 공통구획 (B) 상호간의 배선작업을 실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횡부재를 종부재로부터 전방에만 설치하고 있으나, 후방에만 설치하거나 전방과 후방 쌍방에 설치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형태로 실시되며, 이하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종부재에 부착된 횡부재상에 종부재보다 전방 부분, 종부재의 폭 부분 및 종부재보다 후방 부분으로 나누어 내장부품을 부착하는 것을 쉽고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직면을 갖는 횡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횡부재로부터 전방 부분, 종부재의 폭 부분, 종부재로부터 후방 부분 사이에서 공간을 쉽게 세퍼레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배전반의 측판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쉽게 많은 내장부품을 부착할 수 있다.
수직면과 수평면을 갖는 직각으로 구부린 횡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배전반의 강도를 쉽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이 횡부재에 각종 부품을 부착하거나 배선해 둘 수 있기 때문에, 간단히 또한 단시간에 배전반을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횡부재의 수직면은 벽을 형성하여, 배전반을 전후방향으로 나누는 세퍼레이터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종부재나 횡부재로서 주위에 절곡편이 형성된 얇은 판형상의 부재를 사용하여도 강도가 크며 경량인 배전반을 구성할 수 있다.
종부재와 측판으로 볼록형상부를 형성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종부재와 측판을 덮는 화장판과 같은 것을 부착하거나 배전반 끼리를 밀착하여 배치할 경우에도 부품을 측판의 내측에 나사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측판의 외측에 전선을 깔 수도 있다.
복수의 발전기를 탑재하는 선박의 발전기반에 전술한 바와 같은 배전반을 채택함으로써, 부품점수가 많고 또한 부품 상호간의 배선이 많은 발전기의 제어나 감시용 부품을 유닛화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시간이 짧아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발전기반에 있어서 모선을 배전반의 중간부에 배치함으로써, 모선이나 다른 유닛을 쉽게 부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충전부인 모선을 쉽게 세퍼레이트할 수 있어서 감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좌ㆍ우에 대향하는 1 쌍의 측변을 갖는 기대와,
    전후방향에 소정 폭을 갖고,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기대와 공동으로 역 T 자를 형성하도록 상기 기대의 좌ㆍ우 양측변에 설치되는 1 쌍의 대향하는 종부재와,
    상기 1 쌍의 종부재간에 걸쳐서 부착되는 횡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부재의 앞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수직면과 이 수직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면을 갖는 횡부재 및/또는 상기 종부재의 뒤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수직면과 이 수직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면을 갖도록 직각으로 구부러진 상기 횡부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횡부재는 상기 배전반에 내장되는 부품을 부착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 배전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종부재와 연속하도록 종부재의 전부 및 후부에 각각 설치되는 측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부재 및/또는 상기 측판은 그 둘레 가장자리에 직각으로 꺽인 절곡편을 갖는 판형상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종부재와 상기 측판은 모두 상기 절곡편을 갖는 판형상부재이고, 상기 종부재와 상기 측판은 공동으로 상기 종부재가 측방 외측으로 돌출한 볼록형상부를 형성하도록 일렬로 늘어서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부재는 그 좌ㆍ우 양단에 절곡편을 갖고, 이 절곡편이 상기 측판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발전기를 탑재하는 선박의 발전기용 배전반으로서,
    각 발전기마다 필요한 감시나 제어용 부품을 모든 발전기만큼 부착한 제 1 횡부재와,
    복수의 발전기 상호간의 제어를 하는 제어부재를 구비한 제 2 횡부재와,
    복수의 발전기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차단기를 서로 상하방향으로 또한 상기 종부재보다 전방의 공간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종부재의 폭 부분의 공간에 모선을 배치하고, 상기 종부재보다 후방의 공간에 상기 발전기로부터의 입력 케이블을 접속하는 입력단자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KR1020000076020A 1999-12-14 2000-12-13 배전반 KR100718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54448 1999-12-14
JP35444899A JP3434758B2 (ja) 1999-12-14 1999-12-14 配電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394A true KR20010062394A (ko) 2001-07-07
KR100718851B1 KR100718851B1 (ko) 2007-05-16

Family

ID=18437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020A KR100718851B1 (ko) 1999-12-14 2000-12-13 배전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434758B2 (ko)
KR (1) KR100718851B1 (ko)
CN (1) CN1205708C (ko)
TW (1) TW4933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01420B1 (en) * 2005-03-07 2014-04-30 ABB Technology AG An electric switchboard and a medium voltage substation comprising such a switchboard
JP4625385B2 (ja) * 2005-09-16 2011-02-02 寺崎電気産業株式会社 配電盤
KR101079984B1 (ko) * 2007-04-26 2011-11-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금속폐쇄형 스위치기어
JP5970281B2 (ja) * 2012-07-27 2016-08-17 株式会社キューヘン 自動電圧調整器用子局
CN108899779A (zh) * 2018-08-27 2018-11-27 江苏南瑞帕威尔电气有限公司 一种加强型开关柜后门及加强型开关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01119A (en) * 1978-09-18 1986-02-25 Mcneilab, Inc. Diaza-cyclic derivatives of guanid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8851B1 (ko) 2007-05-16
CN1300124A (zh) 2001-06-20
JP3434758B2 (ja) 2003-08-11
CN1205708C (zh) 2005-06-08
JP2001177923A (ja) 2001-06-29
TW493306B (en) 200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4881A (en) Enclosed switchgear
KR900003184B1 (ko) 폐쇄 배전반
KR101242563B1 (ko) 양극 버스바와 음극 버스바 격리형 직류전원 분전반
KR100718851B1 (ko) 배전반
CN201774141U (zh) 组装式高压开关柜
US3787713A (en) Service section switchboard with horizontally extending bus bar stack and means for mounting some circuit breakers with load terminals facing vertical wiring trough and other circuit breakers with load terminals facing horizontal wiring trough
KR200395579Y1 (ko) 저압 배전반용 조립식 부스바커넥터
US7224577B2 (en) Mounting plate system
JPH07123536A (ja) ガス絶縁キュービクル
JPH1118216A (ja) 絶縁配線配電盤及び裏配線用端子台
JP2000184521A (ja) 閉鎖配電盤の母線装置
JPH11318009A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JP2000115926A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JP4397483B2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CN211958283U (zh) 一种中压中置柜
JP5971924B2 (ja) スイッチギヤ
US20230029540A1 (en) A Medium Voltage Switchgear or Control Gear
CN209981794U (zh) 一种动力柜
JP2011004543A (ja) スイッチギヤ
CA2160924A1 (en) Metal-enclosed medium-voltage switch gear panel with switching compartment, bus bar compartment, and cable connecting compartment
CN1765038B (zh) 开关设备及其框体
JP2004120898A (ja) 配電盤
JPH06253419A (ja) 閉鎖配電盤
JPWO2004107520A1 (ja) スイッチギヤ
JPH03608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