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9279A -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9279A
KR20010059279A KR1019990066670A KR19990066670A KR20010059279A KR 20010059279 A KR20010059279 A KR 20010059279A KR 1019990066670 A KR1019990066670 A KR 1019990066670A KR 19990066670 A KR19990066670 A KR 19990066670A KR 20010059279 A KR20010059279 A KR 20010059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croll
scroll portion
ven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6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1835B1 (ko
Inventor
김인갑
박창호
박태영
Original Assignee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주
Priority to KR1019990066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835B1/ko
Priority to JP2001197375A priority patent/JP3525344B2/ja
Priority to US09/894,787 priority patent/US6782944B2/en
Publication of KR20010059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64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ir streams of different temperatures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85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14Heating or cooling details
    • B60H2001/00135Deviding walls for separate air flo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1개의 에어 가이드 덕트에 의하여 내기 및 외기를 분리하여 송풍하거나 혼합하여 송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방모드시에는 난방성능 향상 및 성애제거성능이 향상되고, 냉방모드시에는 내기에서 외기로 전환하여 백무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부품의 단순화 및 원가절감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장치는, 증발기(31) 및 히터 코어(32)가 내장되는 공기조화케이스(1)는 상,하부공기유로(11,12)로 구획된다. 공기조화케이스(1)의 입구에 송풍팬들(23,24)이 설치된 상,하부 스크롤부(21,22)을 가진 스크롤 케이스(2)가 설치된다. 에어 가이드 덕트(4)는 내,외기 유입구(41,42)를 가지고 내,외기의 유동을 상,하부 스크롤부로 선택적으로 안내한다. 내,외기가 분리 또는 혼합되어 스크롤부(21,22)로 유입되도록 상부 스크롤부(21)의 상부 일측에 내,외기 구획벽(27)이 돌출설치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개의 에어 가이드 덕트에 의하여 내기 및 외기를 분리하여 송풍하거나 혼합하여 송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방모드시에는 난방성능 향상 및 성애제거성능이 향상되고, 냉방모드시에는 내기에서 외기로 전환하여 백무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2층(two layer) 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는 엔진(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압축기(61)에 의하여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62)로 유입되어 냉각팬(미도시)의 강제송풍에 의하여 열교환되어 응축된 다음 리시버 드라이어(63), 팽창팰브(64) 및 증발기(65)를 차례로 거쳐 다시 압축기(61)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블로어 유니트(66)의 송풍팬(661)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가 증발기(65)를 거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 상태로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자동차의 실내를 냉방하는 장치와; 엔진의 냉각수가 히터 코어(67)를 거쳐 엔진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송풍팬(661)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가 히터 코어(67)를 거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 상태로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자동차의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증발기(65) 및 히터 코어(67)는 는 공기조화케이스(7)의 내부 유로중에 설치되고, 증발기(65) 앞쪽의 공기조화케이스(7)의 입구단에 블로어 유니트(66)가 설치되며, 히터 코어(67) 뒤쪽의 공기조화케이스(7)의 출구단에는 냉기 또는 온기를 자동차 창문 쪽으로 토출함으로써 자동차 창문의 성애 제거를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71)와, 냉기 또는 온기를 자동차 실내의 상반부로 토출함으로써 실내를 냉난방 하기 위한 페이스 벤트(face vent)(72)와, 그리고 냉기 또는 온기를 자동차 실내의 하반부로 토출함으로써 실내를 냉난방 하기 위한 푸트 벤트(foot vent)(72)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벤트들(71,72,73)에는 이것들을 소정의 요건에 따라 개폐조절하기 위하여 도어들(711,721,731)이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는 블로어 유니트(66)의 블로어 케이스(662)의 상단부 양쪽에 외기흡입구(663) 및 내기흡입구(664)가 차례로 형성되어 있고, 이 외기흡입구(663) 및 내기흡입구(664)는 전환도어(665)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장치의 가동시 외기흡입구(663)를 통하여 외기만을 실내로 공급할 경우에는 압축기의 부하가 커져 연료손실이 많고, 내기흡입구(664)를 통하여 내기만을 순환시킬 경우에는 자동차 실내의 공기가 오염되어 탑승자의 건강을 해치게 된다. 또한 전환도어(665)를 중립위치에 놓고 내기 및 외기를 함께 공급할 경우에는 내기 및 외기가 혼합되어 내기가 탑승자의 정면으로 지속적으로 토출되므로 외기의 신선한 느낌을 탑승자가 느끼지 못하여 불쾌감을 주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내기 및 외기를 분리 또는 혼합하여 자동차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기조화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중 일본 특개평 9-24722호에 개시된 공기조화장치는, 3개의 공기취입구가 각각 구비되고 2개의 도어로 내기 또는 외기의 공기 유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도어의 작동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부품수가 많이 소요된다.
또한, 일본 특개평 9-24723호에 개시된 공기조화장치는, 내, 외기를 선택할 수 있는 제1공기취입구 및 제2공기취입구를 가짐과 아울러 내기 전용 제3공기취입구를 가지고, 이들 취입구들이 2개의 도어에 의하여 개폐조절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 공기조화장치 또한 도어 작동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부품수가 많이 소요된다.
또한, 일본 특개평 9-156348호 및 동 10-16539호에 개시된 공기조화장치는 1개의 외기 취입구 및 2개의 내기 취입구를 가지며 2개의 도어에 의하여 내기 또는외기를 선택적으로 절환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일본 특개평 9-240247호, 동 9-240248호 및 동 10-86637호에 개시된 공기조화장치는 내,외기 취입구 및 내,외기 절환도어 각 1개와, 내기 전용 취입구 및 내기절환도어 1개로 구성되고 내,외기 절환도어는 슬라이딩식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그리고, 일본 특개평 10-915호 및 동 10-86637호에 개시된 공기조화장치는 내,외기 취입구 및 내,외기 절환도어 1개와, 내기 전용 취입구 및 내기 개폐도어 1개로 구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조화장치들은 공히 2개의 내,외기 절환도어를 가짐과 아울러 이 도어들의 연동을 위한 링크구조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들 또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부품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1개의 에어 가이드 덕트에 의하여 내기 및 외기를 분리하여 송풍하거나 혼합하여 송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방모드시에는 난방성능 향상 및 성애제거성능이 향상되고, 냉방모드시에는 내기에서 외기로 전환하여 백무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부품의 단순화 및 원가절감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로서 외기모드시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로서 내기모드시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로서 내,외기 분리모드시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로서 내,외기 복합모드시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조화케이스, 2 : 스크롤 케이스,
4 : 에어 가이드 덕트, 11 : 상부공기유로,
12 : 하부공기유로, 13 : 분리벽,
14 : 푸트 벤트, 15 : 디프로스트 벤트,
16 : 페이스 벤트, 17 : 커뮤니케이션 벤트,
18 : 도어, 21 : 상부 스크롤부,
22 : 하부 스크롤부, 23 : 상부 송풍팬,
24 : 하부 송풍팬, 25 : 모터,
31 : 증발기, 32 : 히터 코어,
43 : 내,외기 전환도어, 42 : 외기 유입구,
41 : 내기 유입구, 27 : 내,외기 구획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내부에 전후로 증발기 및 히터 코어가 설치되고, 분리벽에 의하여 내부가 상부공기유로 및 하부공기유로로 상하로 구획되며, 하부공급유로 출구단쪽에 푸트 벤트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부공기유로 출구단쪽에 디프로스트 벤트 및 페이스 벤트가 차례로 설치되며, 상기 분리벽의 후단부에는 상부공기유로 및 하부공기유로를 연통시키는 커뮤니케이션 벤트가 형성되고, 상기 벤트들은 각각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되어 있는 공기조화케이스와; 상기 공기조화케이스의 입구단에 설치되고 상기 분리벽의 연장된 부분에 의하여 상부 스크롤부 및 하부 스크롤부로 구획된 스크롤 케이스와; 상기 상부 스크롤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송풍팬과; 모터에 의하여 상기 상부 송풍팬과 함께 회전하도록 하부 스크롤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송풍팬과; 전환도어의 선회에 의하여 상부에 설치된 외기 유입구 또는 내기 유입구의 개도가 조절됨으로써 외기 유입구 또는 내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 또는 내기가 상부 스크롤부 또는 하부 스크롤부로 선택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롤 케이스 및 공기조화케이스의 입구단을 감싸는 에어 가이드 덕트와; 그리고, 상기 전환도어가 소정의 위치로 선회하였을 때 상부 스크롤부와 하부 스크롤부의 연통을 차단함으로써 상부 스크롤부에는 외기만 유입되고 하부 스크롤부에는 내기만 유입되도록 상부 스크롤부의 상부 일측에 돌출설치되는 내,외기 구획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따르면, 외기유입모드에서는 전환도어에 의하여 내기 유입구가 막힌다. 따라서, 외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는 상부 스크롤부 뿐만 아니라 하부 스크롤부로도 유입된다. 따라서, 상부공기유로 뿐만 아니라 하부공급유로 쪽으로도 외기가 송풍됨으로써 자동차 실내로 신선한 외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내기유입모드에서는 전환도어에 의하여 외기 유입구가 막힌다. 따라서, 내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내기는 상부 스크롤부 뿐만 아니라 하부 스크롤부로도 유입된다. 따라서, 상부공기유로 뿐만 아니라 하부공급유로 쪽으로도 내기가 송풍됨으로써 자동차 실내에는 내기가 공급된다.
한편, 내,외기 분리모드에서는 전환도어의 자유단이 내,외기 구획벽까지 선회함으로써 외기 유입구는 상부 스크롤부와 통하고 내기 유입구는 하부 스크롤부와 통하게 됨에 따라 상부공기유로로는 외기가, 그리고 하부공급유로로는 내기가 각각 공급된다. 따라서, 자동차 실내에는 내기 및 외기가 위치에 따라 분리되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내,외기 복합모드에서는 전환도어가 외기 유입구와 구획벽과의 사이의 위치로 선회함에 따라 상부 스크롤부로 외기 및 내기가 혼합되어 유입되고 하부 스크롤부로는 거의 내기만 유입된다. 따라서, 자동차 실내에는 내,외기가 복합된 공기나 내기가 위치에 따라 분리되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은 공기조화케이스로서, 내부에 전후로 증발기(31) 및 히터 코어(32)가 설치되고, 중앙에 좌우로 설치된 분리벽(13)에 의하여 내부가 상부공기유로(11) 및 하부공기유로(12)로 상하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하부공기유로(12)의 출구단쪽에는 자동차의 플로어쪽으로 향하는 푸트 벤트(14)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공기유로(11)의 출구단쪽에는 자동차 유리창 쪽으로 향하는 디프로스트 벤트(15)와 자동차 실내의 상반부로 향하는 페이스 벤트(16)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벽(13)의 후단부에는 상부공기유로(11) 및 하부공기유로(12)를 연통시키는 커뮤니케이션 벤트(1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벤트들(14 내지 17)은 각각 도어(18)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케이스(1)의 입구단에는 스크롤 케이스(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크롤 케이스(2)는 분리벽(13)의 연장된 부분에 의하여 상부 스크롤부(21) 및 하부 스크롤부(22)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상부 스크롤부(21)에는 상부 송풍팬(2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부 스크롤부(22)에는 하부 송풍팬(2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송풍팬(23) 및 하부 송풍팬(24)은 하부 스크롤부(22)의 하부에 설치되는 모터(25)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참조부호 4는 에어 가이드 덕트(4)로서, 상부에 전환도어(43)의 선회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외기 유입구(42) 및 내기 유입구(4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외기 유입구(42)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 또는 내기 유입구(41)를 통하여 유입되는 내기가 상부 스크롤부(21) 또는 하부 스크롤부(22)로 선택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롤 케이스(2) 및 공기조화케이스(1)의 입구단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환도어(43)가 소정의 위치로 선회하였을 때 상부 스크롤부(21)와 하부 스크롤부(22)의 연통을 차단함으로써 상부 스크롤부(21)에는 외기만 유입되고 하부 스크롤부(22)에는 내기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스크롤부(21)의 상부 일측에는 내,외기 구획벽(27)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외기유입모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도어(43)에 의하여 에어 가이드 덕트(4)의 내기 유입구(41)는 막히고 외기 유입구(42)는 개방된다. 따라서, 외기 유입구(42)를 통해서만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이 공기는 신선한 외기이다. 이 외기는 상부 스크롤부(21) 뿐만 아니라 하부 스크롤부(22)로도 유입됨에 따라 상부 송풍팬(23) 및 하부 송풍팬(24)에 의하여 외기가 상부공기유로(11) 뿐만 아니라 하부공기유로(12) 쪽으로 송풍될 수 있다. 외기가 상부공기유로(11) 및 하부공기유로(12)를 통하여 송풍되면 증발기(31) 및 히터 코어(32)를 거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외기가 열교환되어 찬 공기 또는 따뜻한 공기로 바뀌어 상부공기유로(11) 및 하부공기유로(12)의 출구단 쪽으로 유동한 다음 최종적으로 각 벤트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냉난방에 사용된다.
그리고, 내기유입모드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도어(43)에 의하여 외기 유입구(42)는 막히는 반면에 내기 유입구(41)는 개방된다. 따라서, 내기 유입구(41)를 통해서만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이 공기는 내기이다. 이 내기는 상부 스크롤부(21) 뿐만 아니라 하부 스크롤부(22)로도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송풍팬(23) 및 하부 송풍팬(24)에 의하여 내기가 상부공기유로(11) 뿐만 아니라 하부공기유로(12) 쪽으로 송풍되고, 이와 같이 내기가 상부공기유로(11) 및 하부공기유로(12)를 통하여 송풍되면 증발기(31) 및 히터 코어(32)를 거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내기가 열교환되어 찬 공기 또는 따뜻한 공기로 바뀌어 상부공기유로(11) 및 하부공기유로(12)의 출구단 쪽으로 유동한 다음 최종적으로 각 벤트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냉난방에 사용된다.
한편, 내,외기 분리모드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도어(43)의 자유단이 내,외기 구획벽(27)까지 선회함으로써 외기 유입구(42) 및 내기 유입구(41)가 모두 개방되지만 외기 유입구(42)는 상부 스크롤부(21)쪽으로만 통할 수 있고, 내기 유입구(41)는 하부 스크롤부(22)쪽으로만 통할 수 있다. 따라서, 외기 유입구(42)를 거쳐 상부 스크롤부(21)로 유입되는 외기는 상부 송풍팬(23)에 의하여 상부공기유로(11) 쪽으로 송풍되고, 내기 유입구(41)를 거쳐 하부 스크롤부(22)로 유입되는 외기는 하부 송풍팬(24)에 의하여 하부공기유로(12) 쪽으로 송풍된다. 이와 같이, 상부공기유로(11)로 송풍되는 외기 및 하부공기유로(12)로 송풍되는 내기는 증발기(31) 및 히터 코어(32)를 거치는 과정에서 열교환되어 찬 공기 또는 따뜻한 공기로 바뀌어 상부공기유로(11) 및 하부공기유로(12)의 출구단 쪽으로 유동한 다음 최종적으로 각 벤트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냉난방에 사용된다.
또한, 내,외기 복합모드에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도어(43)가 외기 유입구(42)와 내,외기 구획벽(27)과의 사이의 위치로 선회함에 따라 상술한 내,외기 분리모드에서와 같이 외기 유입구(42) 및 내기 유입구(41)가 모두 개방되지만 전환도어(43)의 개방각도 때문에 내기 유입구(41)를 통하여 유입되는 내기는 하부 스크롤부(22)쪽 뿐만 아니라 상부 스크롤부(21) 쪽으로도 쉽게유동할 수 있지만 외기 유입구(42)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는 하부 스크롤부(22)쪽으로는 유동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스크롤부(21)에는 외기 및 내기가 혼합되어 유입되고, 하부 스크롤부(22)에는 거의 내기만 유입되므로, 상부 송풍팬(23)에 의하여 상부공기유로(11)로 송풍되는 공기는 내,외기 혼합공기이고, 하부 송풍팬(24)에 의하여 하부공기유로(12)로 송풍되는 공기는 내기이다. 이와 같이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31) 및 히터 코어(32)를 거치는 과정에서 열교환되어 찬 공기 또는 따뜻한 공기로 바뀌어 상부공기유로(11) 및 하부공기유로(12)의 출구단 쪽으로 유동한 다음 최종적으로 각 벤트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냉난방에 사용된다.
이 내,외기 복합모드는 냉방시 내기모드로 지속적으로 작동할 경우 실내공기가 오염되므로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서 간헐적으로 신선한 외기 도입이 필요하다. 이 때 종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내기를 외기모드로 전환할 때 고온다습한 외기가 유입되면 저온저습한 증발기 부위와 혼합되면서 벤트들의 토출구쪽으로 백무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외기와 내기가 에어 가이드 덕트(4) 내부에서 혼합되도록 하면 고온다습한 외기와 저온저습한 내기가 혼합됨으로써 온도 및 습도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이 상태에서 혼합공기가 송풍팬(23,24)에 의하여 송풍되면 백무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각 모드에서 커뮤니케이션 벤트(17)의 개방 및 폐쇄에 따라 상부공기유로(11)를 통하여 송풍되는 공기와 하부공기유로(12)를 통하여 송풍되는 공기가 혼합되거나 분리된 상태로 자동차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는, 11개의 에어 가이드 덕트(4)에 의하여 내기 및 외기를 분리하여 송풍하거나 내기 및 외기를 혼합하여 송풍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을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조화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

  1. 내부에 전후로 증발기(31) 및 히터 코어(32)가 설치되고, 분리벽(13)에 의하여 내부가 상부공기유로(11) 및 하부공기유로(12)로 상하로 구획되며, 하부공기유로의 출구단쪽에 푸트 벤트(14)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부공기유로의 출구단쪽에 디프로스트 벤트(15) 및 페이스 벤트(16)가 차례로 설치되며, 상기 분리벽의 후단부에는 상부공기유로 및 하부공기유로를 연통시키는 커뮤니케이션 벤트(17)가 형성되고, 상기 벤트들은 각각 도어(18)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되어 있는 공기조화케이스(1)와;
    상기 공기조화케이스의 입구단에 설치되고 상기 분리벽의 연장된 부분에 의하여 상부 스크롤부(21) 및 하부 스크롤부(22)로 구획된 스크롤 케이스(2)와;
    상기 상부 스크롤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송풍팬(23)과;
    모터(25)에 의하여 상기 상부 송풍팬과 함께 회전하도록 하부 스크롤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송풍팬(24)과;
    전환도어(43)의 선회에 의하여 상부에 설치된 외기 유입구(42) 또는 내기 유입구(41)의 개도가 조절됨으로써 이들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 또는 내기가 상부 스크롤부 또는 하부 스크롤부로 선택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롤 케이스 및 공기조화케이스의 입구단을 감싸는 에어 가이드 덕트(4)와; 그리고,
    상기 전환도어가 소정의 위치로 선회하였을 때 상부 스크롤부와 하부 스크롤부의 연통을 차단함으로써 상부 스크롤부에는 외기만 유입되고 하부 스크롤부에는내기만 유입되도록 상부 스크롤부의 상부 일측에 돌출설치되는 내,외기 구획벽(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9990066670A 1999-12-30 1999-12-30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601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670A KR100601835B1 (ko) 1999-12-30 1999-12-30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2001197375A JP3525344B2 (ja) 1999-12-30 2001-06-28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US09/894,787 US6782944B2 (en) 1999-12-30 2001-06-28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670A KR100601835B1 (ko) 1999-12-30 1999-12-30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2001197375A JP3525344B2 (ja) 1999-12-30 2001-06-28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US09/894,787 US6782944B2 (en) 1999-12-30 2001-06-28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279A true KR20010059279A (ko) 2001-07-06
KR100601835B1 KR100601835B1 (ko) 2006-07-19

Family

ID=2734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670A KR100601835B1 (ko) 1999-12-30 1999-12-30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782944B2 (ko)
JP (1) JP3525344B2 (ko)
KR (1) KR1006018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630B1 (ko) * 2004-07-09 2006-06-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경량전철 차량용 제상기
KR100931937B1 (ko) * 2002-08-28 2009-12-1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65978B1 (ko) * 2008-08-18 2014-11-2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050B1 (ko) * 2001-08-22 2007-01-04 한라공조주식회사 2층 공기유동시스템을 갖는 공조 유니트
US7357176B2 (en) * 2004-10-21 2008-04-15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ixture of fresh and recirculated air in a vehicle
KR101152018B1 (ko) * 2005-05-20 2012-06-08 한라공조주식회사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
JP2007176391A (ja) * 2005-12-28 2007-07-12 Calsonic Kansei Corp 空調装置
US20080105213A1 (en) * 2006-11-03 2008-05-08 Chen Shih H Air-Conditioning Device For Pet and Pet House Having The Same
US8199003B2 (en) 2007-01-30 2012-06-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environmental circumstances and responding with designated communication actions
DE102007031251A1 (de) * 2007-07-04 2009-01-08 Behr Gmbh & Co. Kg Klimaanlage
US8382563B2 (en) * 2007-11-08 2013-02-2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ulti-zone control module for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8997837B2 (en) * 2009-04-28 2015-04-07 Honda Motor Co., Ltd. Seal and drain structure for a front and rear integrated HVAC system
JP5625993B2 (ja) * 2011-02-22 2014-11-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5859214B2 (ja) * 2011-02-28 2016-02-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JP5333496B2 (ja) * 2011-03-25 2013-11-0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US9156147B2 (en) 2012-02-15 2015-10-13 Black & Decker Inc. Quick change bit holder with ring magnet
US9649907B2 (en) * 2012-04-26 2017-05-16 Honda Motor Co., Ltd. Vehicle air-conditioner
KR101416398B1 (ko) * 2012-12-05 2014-08-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공조 시스템
EP3091336B1 (en) * 2014-03-06 2021-05-26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Device for providing electric-moving-body inform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ic-moving-body information
JP6221890B2 (ja) * 2014-03-26 2017-11-0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ユニット
US9676253B2 (en) * 2014-05-14 2017-06-13 Mahle International Gmbh Dual temperature HVAC system
DE102014221143B4 (de) * 2014-10-17 2016-09-29 Mahle International Gmbh Fahrzeugkühlanlage und zugehöriges Betriebsverfahren
JP6169661B2 (ja) * 2015-09-02 2017-07-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JP6592466B2 (ja) * 2016-01-18 2019-10-16 ハンオン システムズ 車両用空調システム
DE112017000155T5 (de) * 2016-06-27 2018-06-21 Hanon Systems Klimaanlage für ein Fahrzeug
CN106274358B (zh) * 2016-08-25 2020-08-18 安徽江淮松芝空调有限公司 一种镂空结构的空调箱脚出风隔板
KR101836694B1 (ko) * 2016-09-12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외기 분리 유동 제어가 가능한 자동차용 공조 장치
KR102456849B1 (ko) * 2017-12-15 2022-10-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JP7120932B2 (ja) * 2019-01-09 2022-08-17 マーレ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車両用空調装置
CN114789643B (zh) * 2022-04-29 2024-05-03 重庆金康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车载空调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105A (ja) * 1983-06-24 1985-01-17 Nippon Denso Co Ltd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3505911B2 (ja) 1995-05-10 2004-03-1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3296186B2 (ja) 1995-05-10 2002-06-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DE19651279B4 (de) * 1995-12-13 2004-09-16 Denso Corp., Kariya Klimaanlage für ein Fahrzeug
JP3675017B2 (ja) * 1996-01-16 2005-07-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3692626B2 (ja) * 1996-06-24 2005-09-0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3719278B2 (ja) 1995-12-13 2005-11-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3185854B2 (ja) 1995-12-15 2001-07-1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3653848B2 (ja) 1996-03-05 2005-06-0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3799647B2 (ja) 1996-03-06 2006-07-19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車用空調装置
JP3692624B2 (ja) 1996-06-13 2005-09-0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3663751B2 (ja) 1996-06-28 2005-06-2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0294482B1 (ko) * 1996-07-27 2001-10-24 신영주 공기조화장치의케이스와이를이용한공기조화장치
JPH11180128A (ja) * 1997-12-18 1999-07-06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3896671B2 (ja) * 1998-01-27 2007-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3876514B2 (ja) * 1998-01-29 2007-01-3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37B1 (ko) * 2002-08-28 2009-12-1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0589630B1 (ko) * 2004-07-09 2006-06-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경량전철 차량용 제상기
KR101465978B1 (ko) * 2008-08-18 2014-11-2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1835B1 (ko) 2006-07-19
US20030000691A1 (en) 2003-01-02
JP2003011641A (ja) 2003-01-15
US6782944B2 (en) 2004-08-31
JP3525344B2 (ja) 200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1835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72397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179593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
KR100626712B1 (ko) 자동차용 박형 공기조화장치
KR100352879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842210B1 (ko) 블로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KR10062350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745078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621458B1 (ko) 자동차용 트리플 존 공기조화장치
KR100352880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683566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KR100761163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683565B1 (ko) 자동차용 멀티-존 공기조화장치
KR100810822B1 (ko) 2층 공기유동구조를 가진 센터 마운팅 타입 자동차용공기조화장치
JP2000355208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789023B1 (ko) 2층 공기유동구조를 가진 센터 마운팅 타입 자동차용공기조화장치의 송풍기
KR100601833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10102621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KR10093193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9762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520677Y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20040084415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JPH07205633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040011149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30084404A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