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6653A -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6653A
KR20010056653A KR1019990058213A KR19990058213A KR20010056653A KR 20010056653 A KR20010056653 A KR 20010056653A KR 1019990058213 A KR1019990058213 A KR 1019990058213A KR 19990058213 A KR19990058213 A KR 19990058213A KR 20010056653 A KR20010056653 A KR 20010056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pulley
belt conveyor
receiv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6885B1 (ko
Inventor
박종식
Original Assignee
박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식 filed Critical 박종식
Priority to KR1019990058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885B1/ko
Publication of KR20010056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8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단에 배설된 풀리 사이에서 다수의 캐리어 로울러를 타고 순환하는 벨트를 가진 벨트 콘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 폭방향으로 밀리는 힘을 받아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에 의해 기울어지는 경사수단과, 상기 경사수단에 안착되어 벨트의 평면에 폭방향을 따라 밀착되는 가이드 로울러를 구비하고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벨트의 사행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는 한편 사행시 마다 콘베이어의 가동을 중단시키고 벨트의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불편을 없앨 뿐만 아니라 콘베이어의 가동률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 방지 장치{apparatus for auto tracking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벨트 콘베이어는 건설현장에서 모래나 시멘트 또는 아스팔트등을 이송하거나, 공장에서 원료 등을 이송하기 위해 널리 쓰이는 콘베이어이다. 이러한 벨트 콘베이어는 벨트가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사이에서 무한궤도를 그리며 공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벨트는 다수의 캐리어 로울러에 의해 지지되면서 공전한다.
상기 벨트 위에는 운반하고자 하는 운반물이 놓여져 이송된다.
그런데, 벨트 콘베이어의 벨트는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의 외면에 밀착하여 그 마찰력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가 정확히 평행을 이루지 않으면, 벨트가 폭방향으로 밀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사행현상은 구동부위에 미세한 입자등이 접착하게 되어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의 직경이 변하거나, 풀리의 구동이 원할하지 못할 경우, 또는 육안으로 풀리의 위치를 잘못 조정함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사행 현상이 발생하면 벨트가 풀리의 양측단에 닿아 손상될 뿐 만 아니라 이송하고자 하는 운반물을 원활히 이송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행현상이 발생하면, 작업자는 콘베이어의 가동을 중단시키고 벨트의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데, 이러한 위치조정 작업은 콘베이어의 가동률을 높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잦은 위치조정은 벨트 콘베이어의 수명을 줄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가 폭방향을 밀리더라도 자동으로 벨트를 중간으로 되돌아오게 하여 벨트가 정상적으로 이동하게 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사행 방지 장치가 적용된 벨트 콘베이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4는 콘베이어 벨트가 정상적으로 이동할 때의 사행 방지 장치의 상태도,
도5은 콘베이어 벨트가 폭방향 우측으로 밀려서 이동할 때의 사행 방지 장치의 상태도,
도6은 콘베이어 벨트가 폭방향 좌측으로 밀려서 이동할 때의 사행 방지 장치의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 벨트 30, 30' : 사행 방지 장치
32 : 연결대 34, 34' : 가이드 풀리
36 : 가이드 로울러 38 : 수용 프레임
40 : 받침 프레임 42 : 돌출로드
44, 44' : 링크부재
본 발명에 의한 콘베이어 벨트의 사행 방지 장치는, 양측단에 배설된 풀리 사이에서 다수의 캐리어 로울러를 타고 순환하는 벨트를 가진 벨트 콘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 폭방향으로 밀리는 힘을 받아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에 의해 기울어지는 경사수단과, 상기 경사수단에 안착되어 벨트의 평면에 폭방향을 따라 밀착되는 가이드 로울러를 구비하고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벨트의 양측면에는 밀착하는 가이드 풀리와, 상기 양측 가이드 풀리를 연결하는 연결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경사수단은 상기 가이드 로울러가 안착하여 수용되는 수용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수용프레임의 중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대에 힌지결합된 돌출로드로 되어 있다.
상기 수용프레임의 하측에는 이 수용프레임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받침프레임이 콘베이어의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받침프레임과 상기 연결대는 링크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벨트 콘베이어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사이드 프레임(12)의 양단에는 구동풀리(14)와 종동풀리(16)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구동풀리(14)와 종동풀리(16)에 무한궤도를 그리는 벨트(18)가 걸려 있다. 상기 구동풀리(14)에는 이 구동풀리을 회전시키도록 도시하지 않은 모터가 결합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벨트가 종돌풀리(16)에서 구동풀리(14)로 이동하면서 운반물을 운반하는 부분을 "캐리어부"라 하고, 벨트가 구동풀리(14)의 하측으로 돌아 종동풀리(16)로 리턴하는 부분을 "리턴부"라 한다.
상기 벨트의 캐리어부의 저면에는 이 케리어부를 지지하도록 다수의 캐리어 로울러(2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벨트의 리턴부의 저면에는 이 리턴부를 지지하도록 다수의 리턴 로울러(2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벨트의 리턴부에서 상기 구동풀리(14)에 인접하는 곳에는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텐션로울러(2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텐션로울러(24)는 조정기구(26)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조정기구(26)는 공지의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벨트의 캐리어부에서 상기 구동풀리(14)에 인접한 부분 및 상기 벨트의리턴부에서 상기 종동풀리(16)에 인접한 부분의 저면, 즉 벨트의 인장측에는 벨트가 폭방향으로 밀리게 되는 사행현상을 방지하도록 본 발명의 사행 방지장치(30)(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사행 방지장치(30)(30')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의 폭보다 조금 긴 연결대(32)의 양면에 가이드 풀리(34)(34')가 수평방향을 놓여져 회전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연결대(32)에서 벨트의 이동방향으로 소정거리 떨어 진 곳에는 벨트의 평면에 밀착하는 가이드 로울러(36)가 수용프레임(38)에 안착/설치되며, 상기 수용프레임(38)의 하측에는 이 수용프레임(38)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받침프레임(40)이 콘베이어의 사이드 프레임(도1에서 부호 12)에 고정되며, 상기 수용프레임(38)은 이 수용프레임(38)에서 돌출된 돌출로드(42)에 의해 상기 연결대(32)의 중간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받침프레임(40)과 상기 연결대(32)는 링크부재(44)(44')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대(32)의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 풀리(34)를 설치하도록 상측으로 돌출하여 바깥쪽으로 절곡된 플랜지(52)(52')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에는 상기 돌출로드(42)가 힌지축(53)에 의해 힌지결합되도록 중간 힌지부(5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힌지부(54)와 상기 플랜지(52)(52')사이에는 상기 링크부재(44)(44')가 힌지축(55)(55')에 의해 힌지결합되도록 힌지구멍을 가진 수평플랜지(56)(5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풀리(34)(34')는 힌지축(58)(58')에 의해 회전가능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풀리(34)(34')은 그 외주면에 파인 홈(60)(60')에 의해 콘베이어 벨트의 측면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로울러(36)는 상기 캐리어 로울러(도1에서 부호 20)나 리턴 로울러(도1에서 부호 22)의 길이와 대체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으며, 그 양단면에서 축부(62)(62')가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수용프레임(38)은, 상측 및 하측이 트인 상자형으로 되고, 그 저면의 중간에는 상기 돌출로드(42)의 단부가 용착되며, 그 측판부(64)(64')에는 상기 가이드 로울러의 축부(62)(62')가 끼워지는 구멍(64a) 및 트인 홈(64b)가 형성되며, 그 중간부와 측판부 사이에는 상기 받침프레임(40)에서 용이하게 미끄러지도록 가로판(66)(66')이 용착되며, 상기 돌출로드(42)의 단부에는 힌지축(68)에 의해 상기 받침프레임(40)에 대해 소정각도로 회전가능케 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받침프레임(40)은 상측 및 하측이 트인 상자형으로 되고, 그 상면의 중간에는 상기 돌출로드(42)의 단부가 밀착하여 힌지 결합되는 가로판(70)이 용착되며, 상기 가로판(70)의 양측에는 상기 링크부재(44)(44')의 단부가 밀착하여 힌지축(72)(72')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가로판(74)(74')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받침프레임(40)은 고정부재(76)에 의해 콘베이어의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방지장치에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18)가 콘베이어의 중심선(CL)을 따라 평행하게 진행하다가, 구동풀리(14)나 종동풀리(16)에 이상이 생겨 벨트(18)가 콘베이어의 중심선(CL)에서 우측으로 밀리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풀리(34)(34')에 밀착하고 있는 벨트(18)가 양측의 가이드 풀리(34)(34')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대(32)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연결대(32)에 힌지 결합된 돌출로드(42) 및 링크부재(44)(44')가 경사진다. 이때 돌출로드(42)의 타단은 수용프레임(38)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힌지축(68)을 중심으로 상기 수용프레임(38)이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하여 기울어 진다. 따라서, 이 수용프레임(38)에 수용된 가이드 로울러(36)도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이 가이드 로울러(36)에 밀착되어 이동하는 벨트(18)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도4에 도시한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한편, 벨트(18)가 콘베이어의 중심선(CL)에서 좌측으로 밀리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풀리(34)(34')에 밀착하고 있는 벨트(18)가 양측의 가이드 풀리(34)(34')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대(32)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힌지축(68)을 중심으로 상기 수용프레임(38)은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하여 기울어 지고, 이 수용프레임(38)에 수용된 가이드 로울러(36)도 시계방향으로 기울어 지게 되므로, 이 가이드 로울러(36)에 밀착되어 이동하는 벨트(18)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도4에 도시한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 방지 장치에 의하면, 벨트가 사행되면 자동적으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므로, 벨트의 사행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는 한편 사행시 마다 콘베이어의 가동을 중단시키고 벨트의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불편을 없앨 뿐만 아니라 콘베이어의 가동률을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양측단에 배설된 풀리 사이에서 다수의 캐리어 로울러를 타고 순환하는 벨트를 가진 벨트 콘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 폭방향으로 밀리는 힘을 받아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에 의해 기울어지는 경사수단과,
    상기 경사수단에 안착되어 벨트의 평면에 밀착되는 가이드 로울러를 구비하고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벨트의 양측면에는 밀착하는 가이드 풀리와,
    상기 양측의 가이드 풀리를 연결하는 연결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수단은,
    상기 가이드 로울러가 안착하여 수용되는 수용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수용프레임의 중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대에 힌지결합된 돌출로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 방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프레임의 하측에는 이 수용프레임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받침프레임이 콘베이어의 측판에 고정되고,
    상기 받침프레임과 상기 연결대는 링크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 방지 장치.
KR1019990058213A 1999-12-16 1999-12-16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 방지 장치 KR100346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213A KR100346885B1 (ko) 1999-12-16 1999-12-16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213A KR100346885B1 (ko) 1999-12-16 1999-12-16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653A true KR20010056653A (ko) 2001-07-04
KR100346885B1 KR100346885B1 (ko) 2002-08-03

Family

ID=19626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213A KR100346885B1 (ko) 1999-12-16 1999-12-16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8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800B1 (ko) * 2001-11-05 2008-03-20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227B1 (ko) 2013-04-17 2014-01-07 황의상 벨트 컨베이어의 양방향 사행 자동 조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9285U (ko) * 1975-03-25 1976-09-28
JPS6122894Y2 (ko) * 1981-04-21 1986-07-09
JPH0429514A (ja) * 1990-05-25 1992-01-31 Fujikura Ltd 管路内移動装置
JPH04117815U (ja) * 1991-04-02 1992-10-21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の蛇行防止装置
KR200234743Y1 (ko) * 1996-10-18 2001-11-22 이구택 벨트컨베이어사행조심롤러의자동보상작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800B1 (ko) * 2001-11-05 2008-03-20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6885B1 (ko) 200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1712B1 (ko) 밸트이동교정부재를갖는밸트구동장치
KR20130034493A (ko)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장치
WO2020140629A1 (zh) 皮带输送机
KR100346885B1 (ko)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 방지 장치
KR100775317B1 (ko) 가역벨트콘베어의 사행조정장치
KR100870759B1 (ko) 중심 축 이동방식 벨트컨베어 사행조정 장치
KR101129280B1 (ko) 벨트 컨베이어
JPH06115679A (ja) 方向転換装置
KR0125436Y1 (ko)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방지장치
JP2005053662A (ja) 物品の方向変更装置
JPH08225131A (ja) 計量コンベアにおけるコンベアベルト片寄り防止機能付きテンション装置
JP2003040415A (ja) 基板搬送装置
KR102041136B1 (ko) 벨트 사행방지를 위한 기능성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
JPH01220630A (ja) 中間ローラを介して駆動されるストレージローラコンベア
KR101763105B1 (ko) 컨베이어용 사행 조정 장치
KR200261870Y1 (ko) 양방향주행의 벨트콘베어용 사행방지장치
KR100209065B1 (ko) 소재공급용 벨트의 사행방지장치
KR100512046B1 (ko) 주차기의 턴테이블 구동메카니즘
JP2005179038A (ja) コンベヤ設備
KR100541918B1 (ko) 평판이송장치
KR20000014673U (ko) 벨트컨베이어 텐션웨이트의 사행조정장치
JP2020059596A (ja) 搬送装置
KR101118300B1 (ko) 리버싱 벨트 콘베이어의 벨트 사행 조정장치
KR0119015Y1 (ko) 리턴 롤러 지지부의 자동귀한 장치
KR20020041061A (ko) 양방향 벨트 콘베이어용 사행자동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