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3495A -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및 밴드형 장신구 - Google Patents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및 밴드형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3495A
KR20010053495A KR1020017000465A KR20017000465A KR20010053495A KR 20010053495 A KR20010053495 A KR 20010053495A KR 1020017000465 A KR1020017000465 A KR 1020017000465A KR 20017000465 A KR20017000465 A KR 20017000465A KR 20010053495 A KR20010053495 A KR 20010053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button
support member
buckle
push button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5704B1 (ko
Inventor
노리오 하시모토
히데오 타구치
리오 후지타
Original Assignee
하루타 히로시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루타 히로시,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루타 히로시
Publication of KR20010053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7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2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closed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2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closed straps
    • A44C5/24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closed straps with folding devices
    • A44C5/246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closed straps with folding devices having size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52Fastener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fastener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1Strap tighteners
    • Y10T24/2143Strap-attached folding lever
    • Y10T24/2155Jewelry-watch s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7Strap-end-attaching devices
    • Y10T24/4736Buckle connec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7Strap-end-attaching devices
    • Y10T24/4782Watch strap

Landscapes

  • Buckles (AREA)
  • Toys (AREA)
  • Adornments (AREA)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밴드의 일단에 설치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부(45)와 훅(47)을 갖는 푸시버튼(36)과, 상기 지지부재 내에 설치되고 푸시버튼(36)의 훅(47)과 결합하는 잠금 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수용되고 푸시버튼을 가압하는 스프링(48, 51)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측벽을 절단하여, 측벽의 하부에 나머지 부분을 남긴 상태로 개구부(37)를 형성하며, 이 개구부(37)에서 푸시버튼(36)의 조작부(45)가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및 밴드형 장신구{CENTER ARRESTER OF BAND-SHAPED ORNAMENT AND BAND-SHAPED ORNAMENT}
손목 시계의 줄 및 팔찌 등의 밴드형 장신구에 사용되는 버클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데, 이 버클은 푸시버튼을 누름에 의해 잠금 해제되게 되어 있다.
도 22는 손목 시계의 줄에 사용되는 푸시버튼을 갖춘 버클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버클은 3중 접힘(triple-folded) 버클이라고 불리지만, 한 쪽의 밴드(1)에 연결된 하부판(2), 이 하부판에 연결된 중간판(3), 이 중간판과 다른 쪽의 밴드(4)에 연결된 지지부재와 같은 표면 커버(5)를 구비한다. 이 표면 커버(5)에는 한 쌍의 푸시버튼(6)이 밴드의 가로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푸시버튼(6)과, 각 푸시버튼을 밖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는 박스형 수납 프레임(7) 내에 내장되어 있다. 각 푸시버튼은 이탈 방지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수납 프레임(7)으로부터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장착되어 있다. 수납 프레임은 표면 커버(5)의 대향하는 측벽(5a)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납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는 푸시버튼(6)의 외단부의 조작부(6a)가 표면 커버의 측벽(5a)에 형성된 개구부(8)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3중 접힘 버클을 접는 경우, 탄성부재에 의해서 눌려지는 푸시버튼(6)에 형성된 후크가 하부판에 부착된 잠금 부재(9)와 결합하게 되어, 표면 커버(5)와 하부판(2)이 결합함으로써, 버클을 폐쇄된 상태로 잠근다.
탄성부재의 가압력에 반하여 손가락으로 푸시버튼의 조작부(6a)를 누르면, 푸시버튼의 후크가 잠금 부재(9)로부터 잠김 상태가 해제되어, 표면 커버와 하부판의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버클은 잠김 해제되어 다시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버클에 있어서는 푸시버튼의 조작부(6a)가 표면 커버의 밖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푸시버튼이 타 물건에 접촉하는 경우 눌려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버클이 부주의하게 개방되어 버리는 결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3037381호는 이러한 결점을 어느 정도 해소하는 버클을 개시하고 있다. 도 24는 그 버클의 사시도이다.
이 3중 접힘 버클에는 표면 커버(10)의 상면으로부터 이 표면 커버의 측면을 따라 하단부까지 뻗는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 내에는 푸시버튼(12)의 일단부가 노출되어 있다.
하지만, 푸시버튼(12)이 표면 커버(10)의 밖으로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푸시버튼이 부주의하게 눌려질 위험은 제거된다.
또한, 표면 커버의 상면에 개구부가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손가락을 개구부 내에 용이하게 넣을 수 있다. 따라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시버튼이 밖으로 돌출하지 않지만 이 푸시버튼을 용이하게 누를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3037381호에 개시된 버클은 또한 푸시버튼이 부주의하게 눌려질 위험이 있다. 특히, 개구부가 표면 커버의 측벽의 상면으로부터 하단부까지 뻗어있기 때문에, 상기 표면 커버의 측면으로부터 푸시버튼이 대부분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표면 커버의 측면으로부터 의도하지 않는 외력이 가해지면, 푸시버튼이 예상치 않게 눌려져 버릴 위험이 여전히 있다.
또한, 푸시버튼을 손가락으로 누르기 쉽게 하기 위해, 이 푸시버튼은 어느 정도의 두께가 있는 것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전술된 버클의 푸시버튼은 두꺼운 금속판을 절단 또는 프레스 등의 가공으로 기계 가공함에 의해 제조된다. 따라서, 가공비용이 증가되고 버클의 제조비용이 비싸지게 된다.
더욱이, 종래의 버클은 지지부재와 같은 표면 커버에 푸시버튼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푸시버튼이 표면 커버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는 간단한 구조는 제안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하는 버클은, 푸시버튼이 표면 커버 내로 눌려져 들어가면, 푸시버튼이 표면 커버의 밖으로 이탈할 수 있다.
또한, 도 24에 도시하는 버클에 있어서는, 푸시버튼을 수용하는 수납 프레임이 스프링 탄지 핀(14,15)에 의해 표면 커버(10) 내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표면 커버의 구조가 복잡해져 제조비용이 비싸지게 된다.
더욱이, 스프링 탄지 핀이 차지하는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표면 커버가 커져 소형의 버클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던 니켈을 함유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는 이와 접촉한 피부에 금속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금속 알레르기를 일으키기 어려운 금속이 최근에 버클을 비롯한 장신구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금속으로서는 티탄, 티탄합금,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등의 니켈을 함유하지 않는 니켈 비함유 금속, 혹은 니켈 함유율이 낮은 스테인레스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금속을 푸시버튼에 적용한 경우, 푸시버튼과 결합부재의 반복 접촉은 푸시버튼과 결합부재와의 접촉부분이 조기에 마모되게 하며, 마모 및 변형된 푸시버튼과 결합부재가 상호 결합하지 않게 되어 버클을 잠글 수 없게 된다.
특개평 제7-255511호 공보는 손목 시계의 버클에 있어서, 서로 접촉을 반복하는 한 쌍의 부품에 금속 알레르기를 야기하기 어려운 금속을 적용하는 경우, 서로 다른 금속을 선택할 것을 교시한다. 그러나, 특개평 제7-255511호는 푸시버튼을 갖춘 버클에 대해서는 어떤 해결책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1) 부주의하게 푸시버튼이 눌려질 위험이 적은 버클을 제공하는 것.
(2) 가공부담이 적어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하는 것.
(3) 간단하고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구조로 푸시버튼을 가이드 하우징 내에서 지지할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하는 것.
(4) 사용자에게 금속 알레르기를 일으키기 어렵고, 장기간에 걸친 사용에도 내구성이 높은 버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손목 시계의 줄 및 팔찌(bracelet) 등의 밴드형 장신구를 환형체로 연결하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버클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 주요부의 사시도.
도 4는 절단 평면도.
도 5는 절단 정면도.
도 6은 절단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버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상기 버클의 사시도.
도 9는 작동을 보여주는 절단 정면도.
도 10은 상기 버클의 절단 정면도.
도 11은 작동을 보여주는 절단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절단 정면도.
도 13 및 도 14는 작동을 보여주는 절단 정면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7 및 도 18은 작동을 보여주는 절단 평면도.
도 19는 제4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0은 제5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1은 작동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2 및 도 23은 종래의 버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4 및 도 25는 종래의 다른 버클의 사시도.
특허 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은 밴드형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되고, 또한 개구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 이 지지부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부와 결합부를 갖는 푸시버튼, 상기 지지부재 내에 설치되고 푸시버튼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잠금 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수용되는 푸시버튼을 밖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이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된 푸시버튼이 잠금 부재와 결합하여 버클을 잠그며, 상기 탄성부재에 반하여 푸시버튼을 눌러, 이 푸시버튼을 잠금 부재로부터 결합 해제시킴에 의해 잠금 해제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이 지지 부재의 측벽을 절단하여 상기 측벽의 하부에 나머지 부분을 남긴 상태로 개구부를 형성하며, 이 개구부에서 이 푸시버튼의 조작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지지부재의 측면으로부터 의도하지 않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측벽의 나머지 부분에서 저지되어, 그 외력은 푸시버튼에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부주의하게 푸시버튼이 눌리는 경우, 버클이 잠금 해제되는 위험을 막을 수 있다.
특허 청구범위의 청구항 2에 의한 발명은 밴드형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되고, 또한 개구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 이 지지부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푸시 버튼, 상기 지지부재에 수납되는 푸시버튼을 밖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이 탄성부재에 의해서 가압된 푸시버튼이 잠금 부재와 결합함에 의해 잠기고, 상기 탄성부재에 반하여 푸시버튼을 눌러, 이 푸시버튼을 잠금 부재로부터 결합 해제시킴으로써 잠금 해제되는 버클에 있어서, 푸시버튼의 조작부가 직립부 및 이 직립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는 접힘부로 이루어지며, 이 푸시버튼의 조작부는 대략 역 L자형 단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푸시버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푸시버튼을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누를 수 있으며, 푸시버튼의 조작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푸시버튼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허 청구범위의 청구항 3에 의한 발명은 밴드형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되고, 또한 개구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 이 지지부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푸시버튼, 상기 지지부재에 수납되는 푸시버튼을 밖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이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된 푸시버튼이 잠금 부재와 결함으로써 버클을 잠그며, 상기 탄성부재에 반하여 푸시버튼을 눌러, 상기 푸시버튼을 잠금 부재로부터 결합 해제시킴에 의해 잠금 해제되는 버클에 있어서, 푸시버튼과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벽에 돌출 형성된 지지 돌기에 의해 가이드 하우징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간단하면서도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구조로 지지부재 내에서 푸시버튼을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푸시버튼이 지지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특허 청구범위의 청구항 4에 의한 발명은 밴드형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되고, 또한 개구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 이 지지부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푸시버튼, 상기 지지부재에 수납되는 푸시버튼을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이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된 푸시버튼이 잠금 부재와 결합함으로써 버클을 잠그며, 상기 탄성부재에 반하여 푸시버튼을 눌러, 이 푸시버튼을 잠금 부재로부터 결합 해제시킴에 의해 잠금 해제되는 버클에 있어서, 푸시버튼의 조작부는 피부에 금속 알레르기를 야기하기 어려운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잠금 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부는 조작부에 사용한 금속과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피부에 접촉하는 조작부에 금속 알레르기를 야기하기 어려운 금속을 적용했기 때문에, 장신구의 사용자에게 금속 알레르기를 야기할 위험이 줄어든다. 또한, 잠금 돌기의 결합부와 접촉하는 훅에는 마모나 굽힘력 등에 대하여 내구성이 높은 금속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금속 알레르기를 일으키기 어렵고, 내구성이 높은 버클을 제공할 수 있다.
특허 청구범위의 청구항 5에 의한 발명은 지지부재가 상면 및 이 상면의 모서리로부터 수직한 측벽을 가지며, 이 상면의 개구부는 거의 측벽의 두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지지부재의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는 푸시버튼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푸시버튼에 가해지기 어렵기 때문에, 푸시버튼이 예상치 않게 눌려져 버릴 위험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의 상면의 개구부가 작기 때문에, 버클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특허 청구범위의 청구항 6에 의한 발명은 푸시버튼의 조작부의 단부면이 지지부재의 측면과 거의 동일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 청구범위의 청구항 7에 의한 발명은 지지부재의 대향 측벽에 각각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각 개구부에서 푸시버튼의 조작부를 노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 청구범위의 청구항 9에 의한 발명은 푸시버튼의 조작부가 지지부재의 측벽으로부터 조작부의 두께 이하의 길이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푸시버튼의 조작부가 지지부재보다 약간 돌출하기 때문에, 푸시버튼을 누르기 쉽다. 더욱이, 푸시버튼의 조작부를 돌출시키더라도, 누름부의 중공부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버클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특허 청구범위의 청구항 10에 의한 발명은 푸시버튼의 조작부가 지지부재의 측벽으로부터 버클을 잠금 해제시키는데 충분한 푸시버튼의 스트로크 보다 작게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푸시버튼이 지지부재의 측벽까지 눌려지더라도, 버클은 잠금 해제되지 않는다. 손가락으로 푸시버튼을 지지부재의 측면보다 더 내측으로 눌렀을 때, 처음으로 버클이 잠금 해제된다. 따라서, 푸시버튼을 지지부재의 밖으로 돌출시키더라도, 의도하지 외력에 의한 푸시버튼의 오작동을 막을 수 있다.
특허 청구범위의 청구항 15에 의한 발명은 푸시버튼의 조작부가 티탄, 티탄합금,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및 니켈 함유율이 낮은 스테인레스 중의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상의 형태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잠금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이 장치의 조립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그 절단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지지부재인 표면 커버(22)의 일단이 일측 밴드(21)의 단부에서 스프링 탄지 핀(23)에 의해 회동가능 하게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 탄지 핀(23)은 표면 커버(22)의 측벽(24)에 형성된 한 쌍의 대향 장착 구멍(25)과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밴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표면 커버(22)의 선단에는 중간판(26)의 일단이 핀(27)에 의해 회동가능 하게 연결되고, 중간판의 타단은 핀(28)에 의해 하부판(30)의 선단에 회동가능 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부판(30)의 베이스 단부는 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다른 쪽 밴드(32)의 단부에 회동가능 하게 연결되어 환형체의 밴드를 형성한다.
표면 커버(22)의 대향 측벽(24)에는 잠금 장치(35)(도 2)의 푸시버튼(36)의 조작부(45)가 삽입되게 되는 가늘고 긴 개구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 장치(35)는 개구부(37)의 외주를 따르는 단면형상을 갖는 수용부재인 가이드 하우징(40), 이 가이드 하우징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한 쌍의 푸시버튼(36), 이 푸시버튼(36)의 사이에 설치되어, 각 푸시버튼을 밖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스프링(48 및 51)을 갖는다.
가이드 하우징(40)과 푸시버튼(36)은 금속 박판을 절단 및 굽힘 가공하여 형성된 것으로, 가이드 하우징(40)은 밴드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긴 직사각형 형태이며, 그 양측에 원통부(41)를 가지며, 그 중간의 상부판(42) 및 하부판(43)에 의해 푸시버튼(36)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안내공간(44)이 형성되어 있다. 각 원통부(4l)는 하부판(43)보다 약간 짧아져 가이드 하우징(40)의 양측에 연장된 모서리(49)를 형성한다.
양 푸시버튼(36)은 점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각 푸시버튼의 베이스가 역 L 자형 형상으로 굽어져, 베이스로부터 위로 직립하는 수직부(45a) 및 내측으로 굽혀지는 접힘부(45b)로 이루어지는 조작부(45)를 형성하며, 푸시버튼을 손가락으로 누르는 데 필요한 상하방향의 폭이 형성되어 있다.
각 푸시버튼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하부판(30)의 잠금 돌기(46)(도 1)와 결합하는 결합부인 훅(47)이 형성되어 있다. 일측에는 일방의 코일 스프링(48)의 일단을 수용하는 제1 접촉부(50)와 타측에는 타방의 코일 스프링(51)의 타측을 수용하는 제2 접촉부(39)가 형성되어 있다. 각 스프링(48,51)은 가이드 하우징(40)의 원통부(41) 내에 각각 삽입되어, 스프링(48,51)의 구부러짐이 억제된다.
도 4를 참조로 하면, 양 푸시버튼(36)이 가이드 하우징(40)의 길이방향 단부로부터 안내공간(44) 내로 삽입되며, 이에 따라 푸시버튼이 스프링을 압축하고, 원통부(41)에 형성된 이탈 방지 돌기(52)를 내측으로 굽혀, 이 돌기를 푸시버튼의 측면에 형성된 숄더부(shoulder)(53)에 접촉시킴으로써 코일스프링(48,51)이 압축 상태로 유지되어, 양 푸시버튼을 외측으로 가압한다.
한편, 상기 개구부(37)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커버(22)의 측벽(24)의 상단으로부터 하단부의 약간 위까지 뻗어 하부에 지지부(55)를 형성하고, 표면 커버의 상부판은 표면 커버의 측벽(24)의 판두께(T)에 해당하는 양만큼 모서리로부터 절단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판(22)의 판두께와, 푸시버튼(36)의 베이스와, 조작부(45)의 판두께는 거의 같다.
각 지지부(55)의 내측에는 도 7,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 돌기(56)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하우징(40)이 표면 커버(22) 내에 수용되는 경우, 양측의 연장 모서리(45)가 지지 돌기(56)의 위를 타서, 가이드 하우징(40)을 고정하게 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부(45a)의 판두께에 해당하는 각 푸시버튼(36)의 조작부(45)의 일부분만이 표면 커버(22)의 개구부(37) 내에 끼워진다. 각 푸시버튼(36)의 수직부(45a)의 외부면은 표면 커버(22)의 측벽(24)의 측면과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룬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판(30)에는 거의 중앙에서 절단되어 돌출한 잠금 부재와 같은 잠금 돌기(46)가 형성되며, 또한 양측에는 한 쌍의 보강용 직립부(57)가 형성되어 있다. 각 직립부(57)에는 한 쌍의 개구부(5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한 쌍의 개구부는 버클을 잠글 경우, 상기 표면 커버(22)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지지 돌기(56)와 결합한다. 또한, 중간판(26)과 가이드 하우징(40)에는 잠금 돌기(46)가 관통하는 개구부(60,61,62)가 형성되어 있다.
시계를 손목에 차기 위해서, 도 1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클이 개방되어 있다. 표면 커버(22), 그리고 중간판(26)을 접어, 상기 표면 커버를 하부판(30) 쪽으로 강하게 누르면, 각 푸시버튼(36)의 훅(47)의 아래쪽 경사면(47a)이 잠금 돌기(46)의 상부의 경사면(46b)에 강압적으로 눌려, 그 경사면에 의해 푸시버튼은 스프링(48,51)에 반하여 밖으로 이동하며, 상기 돌기(46)의 상부를 통과할 때, 푸시버튼(36)은 스프링에 의해 복귀하여, 도 l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47)이 돌기(46)의 결합부(46a)와 결합하여 버클이 잠긴다. 이 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커버(22)의 지지 돌기(56)가 하부판(30)의 수직부(57)의 개구부(58) 내에 삽입된다.
다음에, 잠금 해제하여 시계를 풀기 위해서는 푸시버튼(36)의 조작부(45)를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동시에 누르면, 손가락이 도 11에 도시된 개구부(37)에서 표면 커버(22)의 모서리(22a)에 맞닿아 정지하고, 푸시버튼(36)은 표면 커버(22)의 판두께(T)에 해당하는 만큼, 즉 버튼(36)의 수직부(45a)의 판두께에 해당하는 만큼만 내측으로 눌린다. 이 때, 훅(47)이 결합부(46a)로부터 떨어져, 버클을 잠금 해제시켜 개방할 수 있게됨으로써 시계를 풀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버튼이 삽입되는 개구부의 하부에 표면 커버의 측벽이 남아있기 때문에, 외부의 다른 것이 푸시버튼 쪽으로 접근하더라도 그 나머지 부분에서 저지되고 푸시버튼에 맞닿는 것이 적어, 버클을 잠금 해제시켜 시계를 떨어뜨리는 일은 없다.
(제2 실시예)
도 12, 도 13 및 도 14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밴드의 폭방향 단면도로, 제1 실시예의 동일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로 하면, 푸시버튼(36)은 그 조작부(45)가 그 판의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만 표면 커버(22)의 측벽(24)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이탈 방지 돌기(52)와 숄더부(53)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에 멈추게 함에 의해 조작부(45)의 내측 중공부(45a)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고, 외관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조작부는 판두께 이하의 길이만 돌출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45)를 측벽(24)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이 될 때까지 누르더라도, 푸시버튼(36)의 훅(47)은 잠금 돌기(46)의 결합부(46a)로부터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걸리더라도 버클은 열리지 않는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욱 푸시버튼을 표면 커버 측벽(24)의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만 누르면, 훅(47)이 결합부(46a)로부터 떨어져, 버클을 열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버튼의 조작부(45)가 표면 커버의 개구부(97)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누르기 쉽다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통상의 스트로크로서는 잠금 상태가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부주의하게 버클이 개방되는 경우는 없다.
(제3 실시예)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푸시버튼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7 및 도 18은 푸시버튼을 가이드 하우징 내에 내장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푸시버튼(65)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66)를 포함하는 베이스(65a)와, 훅(67)을 포함하는 선단부(65b)로 이루어진다.
피부에 접하는 조작부(66)를 갖는 베이스(65a)는 금속 알레르기를 야기하지 않거나, 또는 금속 알레르기를 야기하기 어려운 금속, 예컨대 티탄, 티탄합금,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니켈 함유율이 낮은 스테인레스 등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한편, 선단부(65b)는 당연한 것이지만, 금속 알레르기를 일으키더라도 아주 단단한 금속으로 잠금 돌기의 결합부와의 반복되는 접촉에 견디는 금속, 예컨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로 만들어진다.
베이스(65a)는 결합 볼록부(68a)를 가지며, 선단부(65b)에는 볼록부와 결합하는 결합 개구부(68b)를 갖는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68a)와 개구부(68b)는 상호 결합되며, 스테이킹(staking), 접착, 납땜,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이 베이스(65a)와 선단부(65b)를 접합한다.
도 17 및 도 18은 가이드 하우징(40)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며, 다른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동일 부분은 동일한 부호가 붙여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알레르기의 발생을 막을 수 있으며, 더욱이 내구성이 있는 푸시버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착용자와 접촉하는 표면 커버, 중간판 및 잠금 돌기를 포함하는 하부판은 금속 알레르기를 야기하지 않거나 또는 금속 알레르기를 야기하기 어려운 금속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하우징(40)은 선단부(65b)와 같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가 괜찮다.
(제4 실시예)
도 19는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버클은 표면 커버(70), 중간판(71) 및 하부판(72)으로 이루어진다. 표면 커버(70)는 한편의 밴드(73)의 단부에 스프링 탄지 핀(7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표면 커버(70)의 선단에는 중간판(71)의 일단이 핀(7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간판의 타단은 핀(76)에 의해 하부판(72)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부판(72)의 베이스 단부는 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다른 쪽의 밴드(77)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표면 커버(70)는 밴드의 링크(78)와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즉, 링크(78)와 동일한 형상의 상부판(70a), 측벽(70b), 단부 벽(70c) 및 도시하지 않은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며, 내부는 중공 형상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잠금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하부판(72)에는 상기 실시예와는 다른 형상의 잠금 돌기(80)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면 커버(70)가 밴드의 링크(78)와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버클의 존재가 눈에 띄지 않으며, 밴드의 외관을 높일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20은 양측이 개방된 버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이 버클은 표면 커버(81), 한 쌍의 중간판(82,83) 및 하부판(84)으로 이루어진다. 표면 커버(81) 및 이 표면 커버의 내부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표면 커버의 상부판의 선단부(81a)는 길게 뻗어있다.
중간판(83)은 중간판(82)보다 짧아, 잠금 돌기(85)의 바로 앞까지 하부판(84) 위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 쪽 표면 커버 내의 푸시버튼(86)의 훅은 잠금 돌기(85)에 결합하며, 이 때, 표면 커버의 상부판의 선단부(81a)가 중간판(83)을 위에서 억제하여 잠그도록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조, 작동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6 실시예)
도 2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버클은 손목 시계 의 줄(90)의 일단에 핀(91)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체(92)와, 이 지지체(92)의 일단에 핀(9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판(93)과, 상기 손목 시계의 줄의 타단에 연결된 연결 링크(94)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체(92)는 상면에 오목부(95)를 형성하며, 여기에 상부판이 결합되게 되어 있다. 오목부(95)는 내부의 잠금 장치와 결합하는 원형의 개구부(97)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의 잠금 장치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푸시버튼(98) 및 개구부(100)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부판(93)은 아래쪽에 잠금 돌기(101)를 구비하며, 이 돌기(10l)는 오목부(95)의 개구부(97)에 대응하는 반구형의 헤드를 갖는다. 부착된 연결 링크(94)에는 가로방향으로 연결축(102)이 설치된다.
버클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부판(93)을 연결 링크(94)의 연결축(102)의 하측으로부터 이 연결 링크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하며, 연결축(102)은 지지체(92)로부터 돌출하는 지지 아암(103) 위에 위치하고, 상부판(93)이 핀(96)을 중심으로 연결축(102)을 넘어 회전된다. 상부판(93)이 오목부(95)에 접촉하도록 가압됨으로써, 잠금 돌기(101)가 개구부(97)에 삽입되어, 푸시버튼(98)의 훅과 결합하여 버클을 잠근다.
버클을 풀기 위해서는 양 푸시버튼(98)을 동시에 누르면 잠금이 해제되며, 상부판(93)을 상기의 역순으로 풀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벽의 나머지 부분이 푸시버튼의 조작부가 노출되는 측벽의 개구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부재의 측면으로부터 의도하지 않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측벽의 나머지 부분에서 저지되고, 그 외력은 푸시버튼에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부주의하게 푸시버튼이 눌려, 버클이 잠금 해제되는 위험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버클의 구성부가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재를 절단 및 굽힙 가공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푸시버튼의 조작부의 두께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푸시버튼을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누를 수 있다.

Claims (21)

  1. 밴드형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되고, 또한 개구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조작부와 결합부를 갖는 푸시버튼과;
    상기 지지부재 내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버튼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잠금 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에 제공되어 푸시버튼을 밖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이 탄성부재에 의해서 가압된 푸시버튼이 잠금 부재와 결합하여 버클을 잠그며,
    상기 탄성부재에 반하여 푸시버튼을 눌러, 이 푸시버튼을 잠금 부재로부터 결합 해제시키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판으로부터 이 지지부재의 측벽을 절단하여, 이 측벽의 하부에 나머지 부분을 남긴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푸시버튼의 조작부는 상기 개구부에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2. 밴드형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되고, 또한 개구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조작부와 결합부를 갖는 푸시버튼과;
    상기 지지부재 내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버튼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잠금 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에 제공되어 푸시버튼을 밖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이 탄성부재에 의해서 가압된 푸시버튼이 잠금 부재와 결합하여 버클을 잠그며,
    상기 탄성부재에 반하여 푸시버튼을 눌러, 이 푸시버튼을 잠금 부재로부터 결합 해제시키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직립부 및 이 직립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는 접힘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대략 L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3. 밴드형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되고, 또한 개구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조작부와 결합부를 갖는 푸시버튼과;
    상기 지지부재 내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버튼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잠금 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에 제공되어 푸시버튼을 밖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이 탄성부재에 의해서 가압된 푸시버튼이 잠금 부재와 결합함으로써 버클을 잠그며,
    상기 탄성부재에 반하여 푸시버튼을 눌러, 이 푸시버튼을 잠금 부재로부터 결합 해제시키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과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 하우징이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한 지지 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4. 밴드형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되고, 또한 개구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조작부와 결합부를 갖는 푸시버튼과;
    상기 지지부재 내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버튼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잠금 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에 제공되어 푸시버튼을 밖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이 탄성부재에 의해서 가압된 푸시버튼이 잠금 부재와 결합하여 버클을 잠그며,
    상기 탄성부재에 반하여 푸시버튼을 눌러, 이 푸시버튼을 잠금 부재로부터 결합 해제시키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의 조작부는 피부에 금속 알레르기를 야기하기 어려운 금속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잠금 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부는 조작부의 금속과 다른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개구부는 이 측벽의 두께에 해당하는 상부판을 절단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의 조작부의 단부면이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과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각 대향 측벽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개구부에서 상기 푸시버튼의 조작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8. 제1항에 있어서, 각 구성부가 금속판을 가공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의 조작부는 상기 조작부의 두께 이하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로 상기 지지부재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의 조작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가 상기 버클을 잠금 해제시키는데 충분한 상기 푸시버튼의 스트로크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11. 제2항에 있어서, 각 구성부는 금속판을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된 중간판과, 이 중간판과 상기 밴드형 장신구의 타단에 연결된 하부판을 구비하며, 이 하부판의 양측 모서리에 보강용 직립부를 형성하고, 이 직립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 돌기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13. 제3항에 있어서, 각 구성부가 금속판을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의 조작부는 니켈 비함유금속 또는 니켈 함유율이 낮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의 조작부는 티탄, 티탄합금,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및 니켈 함유율이 낮은 스테인레스 중의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의 훅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17. 제4항에 있어서, 각 구성부는 금속판을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18. 밴드형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되고, 또한 개구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조작부와 결합부를 갖는 푸시버튼과;
    상기 지지부재 내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버튼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잠금 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에 제공되어 푸시버튼을 밖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이 탄성부재에 의해서 가압된 푸시버튼이 잠금 부재와 결합하여 버클을 잠그며,
    상기 탄성부재에 반하여 푸시버튼을 눌러, 이 푸시버튼을 잠금 부재로부터 결합 해제시키는, 버클을 구비하는 밴드형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판으로부터 이 지지부재의 측벽을 절단하여, 이 측벽의 하부에 나머지 부분을 남긴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푸시버튼의 조작부는 상기 개구부에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장신구.
  19. 밴드형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되고, 또한 개구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조작부와 결합부를 갖는 푸시버튼과;
    상기 지지부재 내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버튼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잠금 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에 제공되어 푸시버튼을 밖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이 탄성부재에 의해서 가압된 푸시버튼이 잠금 부재와 결합하여 버클을 잠그며,
    상기 탄성부재에 반하여 푸시버튼을 눌러, 이 푸시버튼을 잠금 부재로부터 결합 해제시키는, 버클을 구비하는 밴드형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의 조작부는 직립부 및 이 직립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는 접힘부로 이루어지며, 또한 대략 역 L자형 단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장신구.
  20. 밴드형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되고, 또한 개구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조작부와 결합부를 갖는 푸시버튼과;
    상기 지지부재 내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버튼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잠금 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에 제공되어 푸시버튼을 밖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이 탄성부재에 의해서 가압된 푸시버튼이 잠금 부재와 결합하여 버클을 잠그며,
    상기 탄성부재에 반하여 푸시버튼을 눌러, 이 푸시버튼을 잠금 부재로부터 결합 해제시키는, 버클을 구비하는 밴드형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과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 하우징이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지지 돌기에 의해 수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장신구.
  21. 밴드형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되고, 또한 개구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조작부와 결합부를 갖는 푸시버튼과;
    상기 지지부재 내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버튼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잠금 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에 제공되어 푸시버튼을 밖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이 탄성부재에 의해서 가압된 푸시버튼이 잠금 부재와 결합하여 버클을 잠그며,
    상기 탄성부재에 반하여 푸시버튼을 눌러, 이 푸시버튼을 잠금 부재로부터 결합 해제시키는, 버클을 구비하는 밴드형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의 조작부는 피부에 금속 알레르기를 야기하기 어려운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잠금 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부는 조작부의 금속과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장신구.
KR1020017000465A 1999-05-13 2000-05-11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및 밴드형 장신구 KR100695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230399 1999-05-13
JP99/132303 1999-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495A true KR20010053495A (ko) 2001-06-25
KR100695704B1 KR100695704B1 (ko) 2007-03-19

Family

ID=1507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465A KR100695704B1 (ko) 1999-05-13 2000-05-11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및 밴드형 장신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81453B1 (ko)
EP (1) EP1147721B1 (ko)
JP (1) JP3495990B2 (ko)
KR (1) KR100695704B1 (ko)
CN (1) CN1156237C (ko)
DE (1) DE60044553D1 (ko)
HK (1) HK1035997A1 (ko)
WO (1) WO200006930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3610B2 (en) 2015-07-03 2017-07-04 Kono Corporation Ltd Device for fastening and unfastening watch
KR102639932B1 (ko) * 2023-02-17 2024-02-2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고소 작업 시 임시가설물에서의 이동이 용이한 안전고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9566B2 (en) * 2007-04-12 2010-12-14 Seiko Epson Corporation Clasp, band with a clasp, portable device, timepiece, and accessory
USD735190S1 (en) * 2013-08-30 2015-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9980539B2 (en) 2014-08-11 2018-05-29 Apple Inc. Segmented attachment device
CN104257043B (zh) * 2014-09-19 2016-06-08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手环
CN106329226A (zh) 2015-06-15 2017-01-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锁扣机构及可穿戴设备
CN107019297B (zh) * 2016-01-29 2021-02-1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表扣、表带及钟表
CN108433262A (zh) * 2018-05-23 2018-08-24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表带的连接结构及其手表
CN111166019B (zh) * 2020-01-23 2022-10-11 华为技术有限公司 表带连接组件及可穿戴设备
CN116019293A (zh) * 2020-07-22 2023-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表带扣、表带及穿戴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25860A (fr) * 1962-03-23 1963-05-03 Scherle S Fermoir de bracelet, ou autre
US3696469A (en) * 1971-11-12 1972-10-10 Harry Kalinsky Wrist band and buckle therefor
JPS49150709U (ko) 1973-04-24 1974-12-27
JPS5429021Y2 (ko) * 1974-12-12 1979-09-17
JPS61168302A (ja) * 1984-12-25 1986-07-30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時計バンドの中留金具
FR2634107B1 (fr) * 1988-07-15 1990-11-02 Omega Sa Fermoir de bracelet extensible a reglage fin
JPH0337381U (ko) * 1989-08-18 1991-04-11
JP2544865Y2 (ja) * 1992-04-24 1997-08-20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時計バンドの中留具
JP2596491Y2 (ja) 1992-12-08 1999-06-14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三つ折中留の構造
JPH07255511A (ja) * 1994-03-18 1995-10-09 Citizen Watch Co Ltd 時計バンドの中留構造
JPH07327714A (ja) * 1994-06-09 1995-12-19 Toshiyuki Naemura 時計バンド用ダブルロック式二つ折タイプ中留
JP3205470B2 (ja) * 1994-08-23 2001-09-04 株式会社グローリー 時計バンド用バックル
DE69623019T2 (de) * 1995-04-04 2003-07-03 Rolex Montres Armbandverschluss
JPH08322614A (ja) * 1995-05-31 1996-12-10 Glory:Kk バンド部材の連結具
FR2741244B1 (fr) * 1995-11-21 1998-01-16 Grandjean Sa Fermoir a boucle deployante
FR2745694B1 (fr) * 1996-03-08 1998-04-30 Smh Management Services Ag Fermoir extensible pour bracelet
JP3710887B2 (ja) * 1996-08-16 2005-10-26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装身具の中留構造
JP3037381U (ja) 1996-10-31 1997-05-16 株式会社バンビ 時計バンド用のプッシュ式中留
JP3939843B2 (ja) * 1997-03-31 2007-07-04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装身具の中留のロック装置
EP0995366B1 (en) * 1998-03-11 2004-06-16 Citizen Watch Co. Ltd. Intermediate clasp for band type ornam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3610B2 (en) 2015-07-03 2017-07-04 Kono Corporation Ltd Device for fastening and unfastening watch
KR102639932B1 (ko) * 2023-02-17 2024-02-2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고소 작업 시 임시가설물에서의 이동이 용이한 안전고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47721A1 (en) 2001-10-24
WO2000069301A1 (fr) 2000-11-23
EP1147721A4 (en) 2007-03-14
HK1035997A1 (en) 2001-12-21
CN1304292A (zh) 2001-07-18
KR100695704B1 (ko) 2007-03-19
CN1156237C (zh) 2004-07-07
DE60044553D1 (de) 2010-07-29
US6681453B1 (en) 2004-01-27
JP3495990B2 (ja) 2004-02-09
EP1147721B1 (en)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7506B2 (ja) 帯状装身具の長さ調節装置
JP4232792B2 (ja) 中留
US5485659A (en) Buckle for watch bands
KR100695704B1 (ko)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및 밴드형 장신구
JP4946178B2 (ja) 中留、帯状装身具及び時計
WO1999045812A1 (fr) Fermoir intermediaire pour le port d'objets d'agrement a bandes de serrage
JP4365711B2 (ja) 帯状装身具およびその中留
JP2000279217A (ja) 長さ調節機構
JP3604646B2 (ja) 装身具の中留構造
JP3753756B2 (ja) 帯状装身具の中留
KR200234608Y1 (ko) 장신구용 잠금장치
US4631785A (en) Clasp for a chain
JP3710887B2 (ja) 装身具の中留構造
JP4423932B2 (ja) 中留および腕時計
JP4409645B2 (ja) 帯状装身具の中留及びその中留を使用した腕時計
KR100456609B1 (ko) 장신구용 잠금장치
JPH09191910A (ja) 観音開き型中留構造
JP4306285B2 (ja) 装身具用中留め、装身具及び時計
CN116530760A (zh) 表带、钟表以及表带长度调整机构
JP2005137791A (ja) 中留および腕時計
KR100531138B1 (ko) 팔찌 및 시계줄의 잠금장치
JP2005349013A (ja) 中留具、帯状体、および時計
JPH105015A (ja) バンドの中留
JP2004283356A (ja) 装身具用中留め、装身具及び時計
JPH1028605A (ja) 装身具の中留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