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2141A -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 및 그 연결유니트 - Google Patents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 및 그 연결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2141A
KR20010052141A KR1020007007473A KR20007007473A KR20010052141A KR 20010052141 A KR20010052141 A KR 20010052141A KR 1020007007473 A KR1020007007473 A KR 1020007007473A KR 20007007473 A KR20007007473 A KR 20007007473A KR 20010052141 A KR20010052141 A KR 20010052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scissors
solenoid
state
pin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6115B1 (ko
Inventor
츠지타마사히로
야마우치요시타카
Original Assignee
츠지타 마사히로
텔레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지타 마사히로, 텔레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지타 마사히로
Publication of KR20010052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5/00Accessories for bowling-alleys or table alleys
    • A63D5/06Pin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5/00Accessories for bowling-alleys or table alleys
    • A63D5/08Arrangements for setting-up or taking away pins

Landscapes

  • Manipulator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소위 10 핀 보울링을 행하는 기본적인 기능만을 구비한 핀 세터 기계장치를 약간 개조하는 것만으로, 임의의 핀 배치 패턴으로 핀 배치를 가능하게 한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 및 그 시스템을 구성한다.
제1 보울 10 핀을 배치하는 수단과, 배치되어 있는 핀을 파지하여 승강하고, 레인을 제소하고, 계속해서 핀을 재배치하는 수단을 구비한 통상의 핀 세터 기계장치만을 파지하는 선택적 핀 파지기구를 부가하여, 제2 보울의 재배치할 때 소정의 핀 배치 패턴으로 핀의 배치를 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 및 그 연결유니트{PIN ARRANGEMENT CONTROL APPARATUS FOR BOWLING AND CONNECTING UNIT THEREFOR}
종래의 일반적인 보울링장에는, 레인 후단부의 핀 배치장치에 핀을 배치하는 핀 세터(setter) 기계장치와, 투구 후 핀 상태를 검출하여 보울링의 스코어 처리를 행하는 자동 보울링 스코어링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핀 세터 기계장치는, 제1 보울 핀으로서 10개의 핀을 레인 후단부의 핀 배치위치에 새롭게 배치하는 기능(제1 보울 핀 배치수단)과, 보울의 투구를 검출시, 핀 배치위치에 직립하고 있는 핀을 파지하고 승강하여, 나머지 핀 및 쓰러진 핀을 제거하는 기구(이하 "레이크(rake)" 라 함)에서 소제(掃除)하고, 그 후에 상승된 핀을 재배치하는 기능(제2 보울핀 배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핀 세터 기계장치에는, 제1 보울링 투구를 위해 10개의 핀을 세워, 스트라이크 되지 않은 제2 보울링 투구(스페어 처리)를 위해, 잔류하는 핀을 재배치하는 기본 기능만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핀 세터 기계장치는 기본적인 보울링 게임 밖에 할 수 없었다.
이에 반해, 핀 배치 자유도를 높여, 다양한 보울링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정한 임의의 핀 패턴으로 핀 배치를 행할 수 있도록 한 핀 세터 기계장치를 개발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임의의 핀 패턴으로 배치가 가능하면, 예컨대 스페어 처리를 겨냥하는 투구 연습을 극히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른바 10 핀 보울링 이외에 핀 배치 패턴의 변화를 주는 새로운 보울링 게임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핀 배치 패턴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종래의 핀 세터 기계장치는, 쓰러져 소제된 핀을 소정의 높이까지 운반하기 위한 핀 엘레베이터, 이 핀을 소정 위치까지 운반하는 핀 슈터(pin shooter), 그 핀을 핀 설정 테이블의 소정의 위치로 공급하는 분배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핀 설정 테이블의 임의의 위치에 핀을 공급하기 위한 분배기는 규모가 대형이고, 일반적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기계 자체가 고가이다.
한편, 이러한 임의의 핀 배치 패턴에서 핀 배치를 할 수 없는 핀 세터 기계장치를 설치하고 있는 보울링장에서, 기존에 설치된 핀 세터 기계장치를 폐기하여 상기 임의의 핀 배치 패턴의 설정이 가능한 핀 세터 기계장치로 전환하는 것은, 철거 및 재설치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의 면에서 실질적으로 무리하였다. 게다가,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10 핀 보울링의 기본 기능만을 구비한 핀 세터 기계장치는 그 대부분 기계적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견고한 기계이기 때문에, 쉽게 파손되지 않고, 마모 등이 발생해도, 마모된 부품만을 교환하면 계속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새로운 기계로의 교체는 더욱 곤란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른바 10 핀 보울링을 행하는 기본적인 기능만을 구비한 핀 세터 기계장치를 새로운 핀 세터 기계장치로 교체하지 않고, 임의의 핀 배열 패턴으로 핀 배치를 가능하게 한 보울링 핀 배치제어장치 및 그 장치에 이용되는 연결유니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되는 연결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핀 파지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동일 기구의 로드 및 연결유니트 부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동일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동일 부품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핀 파지 기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핀 파지 기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다른 실시예의 핀 파지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상기 핀 파지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핀 파지 기구의 슬라이드 부재의 일부 단면 사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핀 파지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또 다른 실시예의 핀 파지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상기 핀 파지 기구의 도면이고,
도 13은 보울링 핀 배치제어 시스템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14는 콘솔 및 프린터/코인박스의 외관도이고,
도 15는 콘솔과 이에 접속된 각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16은 기계장치 제어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17은 기계장치 제어회로의 컨트롤러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워챠트이고,
도 18a 및 도 18b는 콘솔에서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9는 콘솔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워챠트이고,
도 20은 콘솔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워챠트이고,
도 21은 조작부와 기계장치 제어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2는 조작부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워챠트이고,
도 23은 기계장치 제어회로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워챠트이며,
도 24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핀 파지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는, 보울링 핀의 목부를 끼우는 가위와, 이 가위의 개폐동작을 행하는 링크기구와, 상기 가위와 상기 링크기구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유니트는, 전기적으로 비통전 또는 통전 상태로 선택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솔레노이드와, 이 솔레노이드의 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가위와 상기 링크기구 사이를 연동상태 또는 자유상태로 설정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 연결 유니트는, 보울링 핀의 목부를 끼우는 가위와 이 가위의 개폐동작을 행하는 링크기구 사이에 설치되고, 전기적으로 비통전 또는 통전으로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솔레노이드와, 이 솔레노이드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가위와 상기 링크기구 사이를 연동상태 또는 자유상태로 설정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솔레노이드의 통전과 비통전의 선택에 의해, 10개 핀중 임의의 것을 배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임의의 핀 배치 패턴으로 투구 연습 모드의 설정이 가능하고, 스페어 연습 등이 용이할 수 있다. 게다가 복잡한 기구가 불필요하고, 가위와 링크기구의 연결부에 솔레노이드를 구비하는 연결유니트를 설정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핀 세터 기계장치 전체를, 핀 설정 테이블의 임의의 위치에 핀을 공급하는 분배기를 구비한 새로운 핀 세터 기계장치로 변환하지 않고, 임의의 핀 배치 패턴으로 핀 배치를 행할 수 있는 기계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보울링의 핀 배치 제어회로의 로크기구는, 상기 링크기구의 로드 주위에 설치된 홈에 대향 설치되고, 상기 가위에 부착되고 상기 로드 주위를 덮는 파이프와, 이 파이프에 유지된 복수 개의 보울을 구비하며,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보울을 상기 홈에 끼우거나 끼우지 않거나 하여, 상기 파이프와 상기 로드를 래치상태로 하거나 비래치상태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보울링의 핀 배치제어용 연결유니트의 로크기구는, 상기 링크기구의 로드 주위에 설치된 홈에 대향 설치되고, 상기 가위에 부착되고 상기 로드 주위를 덮는 파이프와, 이 파이프에 유지된 복수 개의 보울을 구비하며,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보울을 상기 홈에 끼우거나 끼우지 않거나 하여, 상기 파이프와 상기 로드를 래치상태로 하거나 비래치상태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링크기구에 부착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의 비통전 또는 통전에 따라 이 솔레노이드의 작동부에 접촉 또는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슬라이드 로크상태 또는 슬라이드 자유상태로 하는 슬라이드부재와, 이 슬라이드부재에 핀 결합된 이 핀의 직진이동을 가위의 회전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슬라이드 자유상태로 하거나 슬라이드 로크상태로 하거나 하여, 상기 가위와 상기 링크기구 사이를 연동상태 또는 자유상태로 설정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링크기구에 설치되는 핀이 삽입되는 장공을 갖고 직진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가위에 부여하는 변환기에 연결된 슬라이드판과, 상기 솔레노이드의 비통전 또는 통전에 따라 상기 장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핀을 이 장공으로 결합상태 또는 비결합상태로 하는 핀 결합판을 구비하며,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상기 핀을 상기 장공으로 연결상태로 하거나 비연결상태로 하거나 하여, 상기 가위와 상기 링크기구 사이를 연동상태 또는 자유상태로 설정한다.
이상과 같은 기구에 의해, 이미 설치되어 있는 링크기구와 가위를 대폭적으로 개량할 필요가 없고, 로크기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현존하는 핀 세터 기계장치에 대해 단기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조립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는, 임의의 핀 배치 패턴을 설정하는 핀 배치 패턴 설정수단과, 설정된 핀 배치 패턴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의 비통전 또는 통전상태를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해, 핀 배치 패턴을 보울러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다양한 스페어 연습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보울링의 핀 배치 제어장치는, 상기 핀 배치 패턴 설정수단을, 핀 배치 패턴을 화면상에서 입력하는 수단으로 구성한다. 이것에 의해, 화면상에 핀 배치 패턴이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보울링의 핀 배치 제어장치는, 상기 핀 배치 패턴 설정수단을, 미리 기억된 핀 배치 패턴에서 선택하는 수단으로 구성한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스페어 연습용의 전형적인 핀 배치 패턴에서, 도전하고자 하는 소망의 핀 배치 패턴을 선택하는 것으로, 그 설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보울링의 핀 배치 제어장치는, 코인 또는 가치를 기억한 카드의 매체의 투입을 수납하는 수단과, 이 매체의 투입시 핀 배치 패턴의 입력 또는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해, 투구 연습 등을 유료로 하는 것이 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보울링 핀 배치제어장치의 기구부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은 새롭게 배열된 핀을 홀딩하는 핀 홀더와 함께 제공된 핀 파지기구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종래 보울링장에 설치된 핀 세터 기계장치는, 대부분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동일 기구를 구비하며, 도 1의 장치에서 연결유니트(7a-7j)는 도 2에 도시한 신규한 구조의 유니트로 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신규한 구조의 유니트는 장치 전체 이미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간단히 설비할 수 있다. 이들 연결유니트(7a-7j)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기신호에 의해 로드(3a-3d)와 회동체(2a-2j)의 운동상태와 그 해제상태(자유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번호(1a~1j)는 1번 핀에서 10번 핀까지 직립하고 있는 핀의 목부를 각각 끼우는 가위(scissor)를 나타내고, 회동체(1a~1j)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들 회동체(1a~1j)는 일측단(도면에서 좌측단)이 회전 중심이고, 타단측이 연결유니트(7a~7j)부분에서 로드(3a, 3b, 3c, 3d)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 이들 로드(3a, 3b, 3c, 3d)의 일측단(도면에서 하단)은 각각 회동체(4a, 4b, 4c, 4d)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 회동체(4a, 4b, 4c, 4d)의 타단은 로드(5)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회동체(4a, 4b, 4c, 4d)는 거의 중앙부를 회동중심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로도(5)를 축방향으로(도면에서 좌우방향) 이동시킴에 의해, 회동체(4a~4d)가 회동하고, 로드(3a~3d)가 거의 이들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지금, 연결유니트(7a~7j)가 전체 연동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면, 로드(3a-3d)가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회동체(2a~2j)가 각각 회동하고, 가위(1a~1j)가 각각 개폐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로드(5)를 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소정량 이동시킴에 의해, 가위(1a~1j)는 완전 개방, 로드(5)를 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가위(1a~1d)는 완전 밀폐된다. 로드(5)의 일단에는 인장스프링의 스프링(6)을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로드(5)는 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잡아 당겨지고, 가위(1a~1j)는 통상적으로 개방상태로 된다.
연결유니트(7a~7j) 각각은 별개로 연동상태에서 자유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 연결유니트(7a~7j)는 자유상태에서 연동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자유상태에서, 로드(3a~3d)가 이동하여도 가위(1a~1j)는 개폐 동작하지 않는다. 이 연결유니트 상태의 전환은 각각의 유니트에 수용된 솔레노이드의 통전과 비통전의 선택으로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연결유니트(7a~7j)에 선택적으로 전기신호를 통과시킴에 의해, 로드(5)의 이동에 의한 가위(1a-1j)의 개폐 제어를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로드(3d)와 회동체(2g) 사이의 연결부분(연결유니트(7g))의 구조를 도시하는 조립 상태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참조번호(13)는 링크 로드, 참조번호(11)는 로드 홀딩부를 나타낸다. 참조번호(19)는 링크로드(13)가 통과하도록 하는 파이프를 나타내며, 볼 래치 내주부(20)는 이 파이프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참조번호(18)는 볼 래치 외주부이고, 볼 래치 내주부(20)에 설치된 구멍에 복수 개의 볼(21)을 삽입하고, 볼 래치 외주부(18)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볼 래치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이 볼 래치부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링크 로드(13)에 설치되어 있는 홈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볼에 의해 연동상태와 자유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기구부분을, 본 명세서에는 "볼 래치" 라 한다. 참조번호(17)는 볼 래치 외주부(18)를 축방향으로 구동하는 솔레노이드이고, 솔레노이드 홀딩부(16)를 통해 파이프(19)에 고정하고 있다. 게다가 참조번호(14)는 파이프 홀딩부이고, 이 파이프 홀딩부(14)에 부착되어 있다. 회동체(2g)의 일단에 연결하고 있는 링크 스터드(25)는 파이프 홀딩부(14)의 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볼 래치 부분의 작용을 도시하는 일부 파단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 참조번호(24)는 솔레노이드(17)의 리턴 스프링이고, 솔레노이드(17)의 비통전 상태에서, 리턴 스프링(24)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래치 외주부(18)를 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솔레노이드(17)의 통전상태에는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 래치 외주부(18)를 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이 솔레노이드 상태에 의해, 연결유니트는 이하 기술하는 것과 다른 작동을 행한다.
솔레노이드 비통전시:
참조번호(22)는 볼 래치 외주부(18)의 내면에 설치된 홈, 참조번호(23)는 링 크 로드(13)의 주위에 설치된 홈이고, 도 4a에 도시한 상태는, 링크 로드의 홈(23)에 볼(21)이 끼워져 있다. 이 볼(21)은 볼 래치 내주부(20)에 설치된 구멍의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도 4a의 상태에서 링크 로드(13)의 홈(23)과 볼 래치 내주부(20)가 볼(21)을 통해 결합 유지(래치)된다. 볼 래치 내주부(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이프(19)를 통해 파이프 유지부(14)와 일체로 되기 때문에, 결국 도 1에 도시한 회동체(2g)는 링크기구에 연동하여 변위하게 된다.
솔레노이드 통전시:
솔레노이드(17)에 통전을 행하고,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 래치 외주부(18)를 도면에서 우측으로 변위시키면, 볼(21)은 볼 래치 외주부(18)의 내주면의 홈(22)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링크(13)가 도면에서 좌방으로 변위할 때에, 볼(21)은 링크 로드(13)의 홈(23)에서 해제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파이프(19)는 링크 로드(13)에서 자유상태로 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예에는, 도 1에서 7번째 핀용 로드(3d) 부분에 관해 도시하지만, 다른 회동체(2a~2f, 2h~2j)의 가동단부에 상기의 파이프(19), 볼 래치(18, 20, 21), 솔레노이드(17), 솔레노이드 홀딩부(16), 파이프 홀딩부(14) 및 쉘 캡(15)에 의해 연결유니트가 각각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핀 파지기구는, 링크 로드(13)에 적당한 부재를 부착한 링크 로드(25)를 연결시키고 있는 것이지만, 이를 전술의 연결유니트로 대체시키는 것으로, 선택적 핀 파지기구를 구성한다.
도 24는 링크 로드(13)에 연결되는 종래의 핀 파지기구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구조는 이미 보울링장에 설치되어 있는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일례이고, 링크 로드(13)에 핀 형상의 링크 스터드(25)를 연동 상태로 연결시키는 구조를 구비한다. 여러 이유에서, 핀 파지기구에는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조이지만, 10개의 핀 모두에 대응하여 채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10개의 핀, 또는 이에 가까운 갯수의 핀에 대응하여,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로드(13)와 링크 스터드(25)의 연결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이 연결을 위한 부재를 제거하여, 상기 연결유니트를 부착하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핀 파지기구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 도시한 선택적 핀 파지기구에 의해, 전체 핀(10개의 핀)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임의의 핀만을 파지하여 재배치하는 경우, 전체의 솔레노이드에 통전되지 않는 상태(즉 도 4a에 도시한 연동 상태)에서, 우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5)를 개방측으로 이동시켜, 모든 가위를 개방시키고, 가위가 직립 핀의 목부 높이가 될 때까지 핀 홀더를 하강시킨다. 그후, 예컨대 2, 4, 7, 8, 10번 핀을 배치하고 싶지 않다면, 이들 핀에 대한 솔레노이드를 통전시킨 상태(즉, 도 4b에 도시한 자유상태)에서, 로드(5)를 밀폐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결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 4, 7, 8, 10번째 핀에 대응하고 있는 가위는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배치하고자 하는 그 외의 1, 3, 5, 6, 9번째 핀의 가위만이 닫힌 상태로 된다. 그후, 핀 홀더를 상승시켜, 레이크에 의해 잔류하고 있는 직립 핀(2,4, 7, 8, 10번째 핀)을 이동하고, 다시 핀 홀더를 하강시켜, 로드(5)를 개방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2, 4, 7, 8, 10번째 핀에 대응하고 있는 자유상태의 가위는 로드(5)의 이동으로 무관계하게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1, 3, 5, 6, 9번재 핀에 대응하고 있는 연동상태의 가위는 로드의 이동과 함께 개방한다. 이와 같이, 모든 가위를 개방하고, 다시 핀 홀더를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목적의 1, 3, 5, 6, 9번 핀을 배치할 수 있다.
또, 2, 4, 7, 8, 10번 핀에 대응하는 솔레노이드는, 이 단계에는 또 통전 상태가 된다. 따라서, 1, 3, 5, 6, 9번 핀을 배치하고 나서 가위를 개방할 때(로드(5)를 개방측으로 이동하는 것), 2, 4, 7, 8, 10번 핀에 대응하는 솔레노이드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이때, 로드(5)의 개방측으로 이동에 의해 링크 로드(13)가 가위 개방상태의 위치를 향해(도 4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있고, 홈(23)이 보울(21)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솔레노이드(17)의 리턴 스프링(24)의 힘이 볼 래치 외주부(18)를 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가해질 때, 볼(21)이 홈(23)에 맞물리는 동시에, 볼 래치 외주부(18)가 도 4에서 좌측방향으로 변위하고, 도 4a에 도시한 연동상태로 복귀한다. 또, 가위가 개방하기 이전에 상기 솔레노이드로의 통전을 정지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솔레노이드(17)의 리턴 스프링(24)의 힘이 볼 래치 외주부(18)를 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가해진다. 그 후, 로드(5)의 개방측으로 이동에 의해 링크 로드(13)가 가위 개방상태의 위치를 향해(도 4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홈(23)이 볼(21)의 위치까지 이동할 때, 볼(21)이 홈(23)에 끼워지는 동시에, 볼 래치 외주부(18)가 리턴 스프링(24)의 가압력에 의해 도 4에서 좌측방향으로 변위하고,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동상태로 복귀한다.
도 7a 및 도 7b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링크기구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한 구조와 거의 동일하지만, 링크기구와 가위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유니트의 구조가 상기 실시형태의 것과 다르게 되어 있다. 또, 링크기구에 관해서는, 도면에서 해칭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이 L자 형상의 금속 핏팅을 사용하고 있다. 링크기구의 구조는 도 2의 것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도 1의 링크기구의 로드(3d')(봉형상 로드가 아니고, L자 형상 금속 핏팅의 로드이기 때문에 참조번호(3d)에 「'」를 부가하고 있다)와 이에 연결되는 가위(1g')의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다른 로드와 가위의 연결부분에 관해서도 동일 형태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 링크기구의 로드(3d')에는, 슬라이드부재(100)와 솔레노이드(101)가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100)는 본 발명의 로크기구이고,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또, 도 9는 슬라이드부재(100)의 일부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슬라이드부재(100)는 저부에 핀(100a)을 나사 결합한 슬라이드판(100b)과, 슬라이드판(100b)이 슬라이드하는 볼 베어링 고정프레임(100c)과, 이 볼 베어링 고정프레임(100c)과 슬라이드판(100b) 사이에 놓여지는 복수 개의 볼 베어링(100d)과, 슬라이드판(100b)의 슬라이드 이동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스톱퍼(100e)로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 베어링 고정프레임(100c)은 터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양측부는 볼 베어링(100d)이 슬라이드하도록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판(100b)은 상방으로 돌출하는 슬라이드판 돌기부(100b(1), 100b(2))를 양단에 설치하고, 그 사이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슬라이드판 본체부(100b(3))를 설치하고 있다. 이 슬라이드판 본체부(100b(3))는 볼 베어링 고정프레임(100c) 내측으로 삽입되고, 그 양측부는 볼 베어링(100d)이 슬라이드하도록 내측으로 만곡하고 있다. 따라서, 볼 베어링(100d)은, 볼 베어링 고정프레임(100c)의 양측부와 슬라이드판 본체부(100b(3))의 양측부 사이에 끼워지는 것으로 되고, 볼 베어링 고정프레임(100c)에 대해 슬라이드판 본체부(100b(3))가 로드(3d')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또, 스톱퍼(100e)는, 양단에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부(100e(1), 100e(2))를 갖고, 이 스톱퍼(100e)는, 양단의 돌기부 사이에 슬라이드판(100b)의 돌기부(100b(1))가 위치하도록 로드(3d')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판(100b)이 자유롭게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에서는, 그 슬라이드 범위는, 돌기부(100b(1))가 스톱퍼(100e)의 돌기부(100e(1))에 접하는 위치(도 8b에 도시한 상태)에서 돌기부(100e(2))에 접하는 위치(도 8a에 도시하는 상태)까지이다.
솔레노이드(101)는, L자형의 솔레노이드 고정판(102)에 나사 결합되고, 그 작동부(101a)는 솔레노이드(101)의 온/오프에 따라 수축 및 신장가능하다. 이 작동부(101a)는, 슬라이드판(100b)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좌측 위치까지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또 솔레노이드(101)가 오프하고 있으면, 로드(3d')의 하방까지 신장하고 슬라이드판 본체부(100b)의 돌기(100b(2))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는, 슬라이드판(100b)의 돌기(100b(1))가 스톱퍼(100e)의 돌기(100e(1))에 규제되는 동시에, 이 슬라이드판(100b)의 돌기(100b(2))가 솔레노이드(101)의 작동부(101a)에 규제되어, 그 결과, 이 슬라이드판(100b)은 좌우로 슬라이드할 수 없다. 도 8b는 이 상태를 도시하고, 슬라이드 로크상태라 한다.
한편, 도 8b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01)를 온하면, 이 솔레노이드(101)의 작동부(101a)가 상방으로 수축하고, 작동부(101a)에 의해 슬라이드판(100b)의 돌기(100b(2))의 규제가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판(100)은 돌기(100b(1))가 스톱퍼(100e)의 돌기(100e(1))와 돌기(100e(2)) 사이에 이동할 수 있는 범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도 8a가 이 상태이고, 이 상태를 슬라이드 자유상태라 한다.
도 7a에 있어서, 가위(1g')(도 1의 가위(1g)에 비해 형상이 다소 다르기 때문에 부호(1g)에 「'」를 부가하고 있다)의 지점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100)에 부착되어 있는 핀(100a)의 직진이동을 가위(1g')의 회전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기구(2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변환기구(200)는, 가위(1g')에 개방되는 장공(200a)과, 이 장공(200a)에 맞물리는 핀(200)과, 이 핀(200b)을 유지하는 핀지지체(200c)와, 이 핀지지체(200c)에 회전부(200d)에서 핀 결합되고 슬라이드부재(100)에 부착되어 있는 핀(100a)에서 결합되는 구멍(200e)을 갖는 아암부(200f)로 구성된다. 아암부(200f)는 그 단부가 핀(200g)에서 도시하지 않는 새시에 유지되고, 이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된다.
도 7a에는, 솔레노이드(101)가 오프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그 작동부(101a)가 슬라이드부재(100)의 슬라이드 동작을 로크하는 슬라이드 로크상태로 되기 때문에, 변환기구(200)는, 슬라이드부재(100)의 직진이동에 따라, 항상 그 직진이동을 회전이동으로 변환한다. 따라서, 도 7a에 도시한 상태에서 로드(3d')가 도면의 화살표 부호(A) 방향으로 직진이동하면, 변환기구(200)의 아암부(200f)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핀지지체(200c)가 도면의 화살표 부호(B) 방향(도면의 우상방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장공(200a)을 핀(200b)이 슬라이드하면서 이동하고, 그 결과,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위(1g')가 열린다. 또, 도 7b에 도시한 상태에서 로드(3d')가 도면의 화살표 부호(C) 방향으로 직진이동하면, 변환기구(200)의 아암부(200f)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핀 지지체(200c)가 도면의 화살표 부호(D) 방향(도면의 좌하방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장공(200a)을 핀(200b)이 슬라이드하면서 이동하고, 그 결과,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위(1g')가 닫힌다. 이와 같이, 로드(3d')와 가위(1g) 사이를 연동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솔레노이드(101)을 온하여, 슬라이드부재를 슬라이드 자유상태로 하면, 로드(3d')를 직진이동하여도, 슬라이드판(100b)이 볼 베어링 고정프레임(100c)에 대해 슬라이드하면서, 변환기구(200)는 작동하지 않는다. 도 10a는, 슬라이드부재를 슬라이드 자유상태로 한 때의 슬라이드부재 및 변환기구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 10a는, 로드(3d')를 C방향으로 직진이동한 경우를 도시하고, 도 10b는 로드(3d')를 A방향으로 직진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어느 경우에도, 로드(3d')의 직진이동에 따라 슬라이드부재(100)가 슬라이드하기 위해, 변환기구(200)도 작동하지 않고, 따라서, 가위(1g')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도 10a의 상태가 로드(3d')와 가위(1g')를 연동시키지 않는 자유상태이다.
이상과 같이, 도 7a 및 도 7b의 연동상태와, 도 10a 및 도 10b의 자유상태를, 솔레노이드(101)의 온/오프에 따라 간단히 설정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부재(100)의 연결유니트를 준비하면, 이미 설정되어 있는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에 이 연결유니트를 부착하는 작업만으로, 후술하는 제어에 의해, 간단히 상기의 운동상태와 자유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부재(100)와 변환기구(200)는, 핀(100a)에 의해 직접적으로 연결하고 있지만, 핀(100a)과 변환기구(200)의 구멍(200e) 사이에 적당한 링크를 개재시키는 것으로, 핀(100a)과 변환기구(200)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7a 및 도 7b의 연동상태와 도 10a 및 도 10b의 자유상태는, 각각, 이미 설명한 실시형태의 도 4a의 연동상태와 도4b의 자유상태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의 제어에 관해서는, 어느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행해지고, 핀의 선택적인 파지도 동일하게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선택 핀 파지기구가 구성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의 가위(1g')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변환기구)(310)가 각각의 가위(1g')에 부착되어 있다. 링크(310)에는 직진이동하는 직사각형의 슬라이드판(302)이 핀(303)에 연결되고, 이 슬라이드판(302)이 동일 도면의 좌우방향으로 직진이동하는 것에 의해 링크(310)를 통해 회전력이 가위(1g')에 가해져, 이에 의해 가위(1g')가 개폐 동작한다.
본 실시형태의 로크기구는, 상기 슬라이드판(302)과, 솔레노이드(301)의 온/오프에 따라 요동하는 핀 결합판(304)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드판(302)은, 그 좌측에 장공(305)을 갖고, 이 장공(305)에 단면이 중공 사각 형상의 로드(3d')에 부착되어 있는 핀(300)이 맞물려 있다. 또, 핀 결합판(304)은, 그 우단면에 리세스(recess)가 형성되어 있고, 이 리세스의 부분이 핀 결합판(304)의 요동에 따라 장공(305)의일부를 덮거나, 장공(305)에서 회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이 핀 결합체(304)는, 요동중심(306)에서 슬라이드판(302)에 핀 결합되고, 좌측 하단의 코너부가 솔레노이드(301)의 작동부의 선단에 핀(307)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 솔레노이드(301)가 오프하고 있을 때에는,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 결합판(304)의 좌단부가 슬라이드 판(302)의 장공(305)의 일부를 덮는다. 이 상태에는, 로드(3d')에 부착되어 있는 핀(300)은, 핀 결합판(304)이 장공(305)의 일부를 덮기 때문에, 장공(305)에 완전한 결합상태로 된다. 따라서, 로드(3d')가 도 11a의 화살표 부호(A)방향으로 이동하면, 이에 따라 슬라이드판(302)도 동일 방향(A방향)으로 직진이동하고, 이에 따라 가위(1g')는 도 11b와 같이 열린다. 도 11b의 상태에서, 로드(3d')가 동일 방향(C방향)으로 직진이동하고, 이에 따라 가위(1g')는 도 11a와 같이 닫힌다. 즉, 가위(1g')와 로드(3d')가 연동상태로 된다.
한편, 도 11b의 상태에서, 솔레노이드(301)가 온하면, 도 12a와 같이, 핀 결합판(30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핀 결합판(304)이 장공(305)을 덮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장공(305)에 대해 핀(300)이 비결합상태로 되고, 도 12a의 상태에서 로드(3d')가 화살표 부호(C) 방향으로 직진이동하여도, 장공(305) 내에서 핀(300)이 이동하는 것만으로, 슬라이드판(302)은 직진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도 12b와 같이 가위(1g')는 닫힌 상태이다. 동일하게, 도 12b에서 로드(3d')가 화살표 부호(A) 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슬라이드판(302)은 직진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가위(1g')는 열린 상태이다. 이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상태는 가위(1d')와 로드(3d') 사이의 자유상태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도, 가위(1d')와 로드(3d') 사이의 연동상태와 자유상태를 솔레노이드(301)의 온/오프에 의해 간단히 설정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구성은, 슬라이드판(302), 핀결합판(304) 및 스프링(309)으로 이루어지는 유니트와, 솔레노이드(301)로 간단히 실현할 수 있기 위해 기존의 장치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링크상태와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자유상태는, 각각, 전술한 실시형태의 도 4a의 연동상태와 도 4b의 자유상태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의 제어에 관해서는, 이들 양 실시예와 동일하게 행해지고, 핀의 선택적 파지도 동일하게 행해진다. 이와 같이,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선택적 핀 파지기구가 구성된다.
이상으로 도시한 각 솔레노이드는, 후술하는 기계장치 제어회로에 의해 제어되지만, 이 기계장치 제어회로의 전원이 오프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각 솔레노이드는 비통전상태로 되기 때문에, 상기 링크기구에 연동하여 각 가위가 움직인다. 따라서, 기계장치 제어회로의 전원을 오프하거나, 그 기능을 오프하는 것으로, 상기 볼 래치와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연결유니트는, 종래의 연결유니트와 같은 기능을 갖게 되기 때문에, 통상의 보울링 게임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핀 배치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보울링의 투구 연습 및 통상 게임을 행할 수 있는 보울링 핀 배치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도 13 내지 도 20을 참조로 설명한다. 통상 게임 모드는, 최초의 투구 전에 10개의 핀이 배치되고, 1번째 투구에서 스트라이크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2번째 투구가 가능한 통상의 모드이고, 투구연습모드는, 최초의 투구전에 임의의 핀 배치 패턴을 설정하여 스페어 연습을 행할 수 있는 모드이다. 본 발명에는, 이미 보울링장에 설치되어 있는 핀 세터 기계장치의 기능을 변경하는 것은 아니다. 핀 세터 기계장치의 기능은, 초기 상태의 10 핀을 배치하고, 이 초기상태에서 핀 배치 기동신호(예컨대, 통상의 게임에서, 10 프레임의 3회째의 투구를 행할 때에 스트라이크가 되지 않은 핀이 남은 경우, 그 핀을 치우기 위해 리셋 버튼을 누르지만, 이 리셋 버튼을 눌렀을 때에 핀 세터 기계장치에 부여되는 신호이고, 기계장치 리셋 신호라 불리운다)를 받으면, 가위를 내려, 서 있는 핀을 들어 올려, 쓰러져 있는 핀을 제거하고, 들어 올려진 핀의 재배치를 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는, 투구 연습모드로 설정되면, 핀 세터 기계장치의 이 기능을 변경하는 일 없이, 핀 세터 기계장치에 대해 각 솔레노이드의 도통과 비도통 신호 뿐만 아니라 "겉보기(false)" 핀 세팅 기동신호를 보낸다. 핀 세터 기계장치는, 실제의 투구가 행해지지 않아도, 이 "겉보기"의 핀 배치 기동신호를 받는 것으로, 초기 상태에서 즉시 상기의 동작을 행한다. 이 때, 각 솔레노이드의 도통과 비도통의 신호에 의해, 설정된 핀 배치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보울러는 최초에서 스페어 처리 연습을 행할 수 있다.
도 13은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각 콘솔은 레인 마다에 설정되어 있고, 이 콘솔에 후술하는 프린터/코인박스 및 핀 세터 기계장치를 각각 접속하고 있다. 또, 이들의 복수 개의 콘솔과 프론트관리장치 및 오피스유니트를 각각 랜(LAN)을 통해 접속하고 있다. 프론트관리장치는 프론트에 설치된 호스트장치이고, 보울러(고객)의 접수 처리, 소정의 콘솔의 제어 및 각 콘솔에서의 이용상태의 관리를 행한다. 오피스유니트는 사무소에 설정되어 있고, 그외의 고객관리나 운영관리의 처리를 행한다.
또, 프린터/코인박스를 도 13과 같이 콘솔 마다에 설치하면, 프론트관리장치와의 연계를 반드시 행할 필요 없이, 각 콘솔이 각각 독립하여 동작하여도 좋다. 또, 요금의 관리 및 스코어 프린트를 모두 프론트관리장치측에 행하는 경우에는, "프린터/코인박스" 를 콘솔측에 설치할 필요는 없다.
도 14는 콘솔 및 프린터/코인박스의 외관도이다. 콘솔의 정면에는 터치 패널이 마련된 모니터(40)가 설치되어 있고, 보울러는 필요에 따라 그 표시내용에 따라 터치 조작을 행한다. 프린터/코인박스에는 코인투입구(42) 및 프린터 용지 수납부(41)를 전면에 설치하고 있다.
도 15는 콘솔 및 프린터/코인박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CPU(51)는 ROM(52)에 미리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RAM(53)은 그 프로그램의 실행시 각종 데이터의 일시 기억 등의 작업영역으로 사용된다. LAN 인터페이스(54)는 랜의 제어를 수행한다.
터치패널 인터페이스(55)는 터치패널이 마련된 모니터의 터치패널의 입력조작을 검출한다. CPU(51)는 이 터치패널 인터페이스(55)를 통해 터치 조작 내용을 읽어 들인다. 표시 인터페이스(56)는 터치패널이 마련된 모니터(40a)에 표시 신호를 부여한다. 이 표시 인터페이스(56)에는 표시용 메모리 및 그 내용에서 표시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CPU(51)는 상기 표시용 메모리에 표시하는 모든 데이터를 기록한다.
주변기기 인터페이스(57)는 프린터/코인박스의 제어를 행한다. 프린터/코인박스의 코인 셀렉터는, 투입된 코인 종류를 읽기 및 선별을 행하고, CPU(51)는 주변기기 인터페이스(57)를 통해, 투입된 금액을 읽어 들인다. 또, 여기서 표시한 일례에는, 코인을 받아들이는 것이지만, 가격을 기억한 IC 메모리 카드나 자기카드 등의 코인 이외의 매체를 읽어 들여도 좋다. 가격을 기억한 카드로서는, 크레디트카드 또는 은행 구좌에서 인출 가능한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드를 읽어 들이는 경우에는, 프린터/코인박스 부분에 카드 리더/라이터를 설치하고, CPU(51)는 삽입된 카드의 가격을, 주변기기 인터페이스(57)를 통해 읽어 들이고, 투구 수 등에 따라 가격 만큼 카드에서 빼내도록 한다. 프린터/코인박스의 프린터는 스코어 등을 프린트한다. CPU(51)는 주변기기 인터페이스(57)를 통해 프린터로 프린트 데이터를 출력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8)는 핀 세터 기계장치측에 설치하는 기계장치 제어회로(51) 사이에 통신제어를 행한다. CPU(51)는 이 통신 인터페이스(58)를 통해, 기계장치 제어회로(71)로 소정의 커맨드를 출력한다. 사운드 재생회로(59)는 여러 효과음이나 합성음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회로이며, CPU(51)는 재생된 효과음이나 합성음의 데이터를 사운드 재생회로(59)로 부여하는 것에 의해, 스피커(60)에서 이를 출력한다.
볼 통과 센서(62)는 투구되는 볼이 레인 상을 통과한 것을 검출하는 센서이고, CPU(51)는 인터페이스(61)를 통해 그 검출 결과를 읽어 들인다. 핀용 카메라(64)는 핀 배치 위치를 검출하는 카메라로서, 화상처리회로(63)는 그 촬영신호로부터 소정위치에 직립 핀을 검출한다.
또,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계장치 제어회로(71)에는 연출효과 제어회로(72)를 접속하고 있고, 콘솔로부터 수신된 연출효과의 커맨드를 연출효과 제어회로(72)로 부여하고 있다. 이 연출효과 제어회로(72)에는, 핀 배치 위치에 우선 배치되는 10개의 핀을 숨기는 동시에 소정의 핀 배치 패턴의 핀이 연기 속에서 보이도록 연출하기 위한 스모크 기계장치(73) 및 핀 배치위치를 조명하는 조명등(74)을 접속하고 있다.
도 16은 기계장치 제어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통신 인터페이스(18)는 콘솔 사이에 통신제어를 행하고, 콘솔에서 부여된 각종 커맨트를 부여한다. 컨트롤러(82)는 그 커맨드에 따라, 핀 세터 기계장치로 핀 배치를 행하기 위한 핀 배치 기동신호를 부여한다. 또, 상기 연출효과 제어회로에 기동신호를 부여한다. 게다가, 핀 배치 패턴에 따라 드라이버(83)를 구동한다. 드라이버(83)는 상기 연결유니트에 설치된 10개의 솔레노이드를 통전 제어한다.
상기 기계장치 제어회로는, 핀 세터 기계장치에 설치된 선택적 핀 파지기구의 10개의 솔레노이드에 대해 통전 제어를 행하고, 핀 세터 기계장치에 대해 핀 배치 기동신호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핀 세터 기계장치에 소정의 핀 배치를 시킨다. 기본적으로는 다음의 순서에 의한다.
통상, 핀 세터 기계장치는 10개의 핀을 배치하고, 1번재 투구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가 초기 상태이고, 통상의 보울링 게임(통상 게임 모드)이면, 보울러는 이 상태에서 1번째 투구를 행할 수 있다(이 10개의 핀 배치 동작을 이하 "1번째의 핀 배치" 라 한다). 그러나, 스페어 연습을 행하는 보울러는 투구를 행하지 않는다. 이 10개의 핀 배치에서 소정의 핀 배치 패턴으로 되기 때문에 투구가 행해진다.
투구연습모드시, 기계장치 제어회로는, 이 상태에서, 배치하고 싶지 않은 핀에 대응하는 솔레노이드를 통전시켜, 이 솔레노이드에 대응하는 연결유니트를 자유상태로 한다. 그리고, 핀 세터 기계장치에 대해 "겉보기"의 핀 배치 기동신호를 받으면, 핀 세터 기계장치는 10개의 핀을 파지하고, 들어올리고, 레인에서 제거하여 핀을 다시 내려 배치한다는 일련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행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기계장치 제어회로에 의해 제거되고, 나머지의 실제로 파지된 핀이 재배치된다. 그리고, 핀 세터 기계장치는 통상 게임 모드에서의 2번째 투구를 대기하게 된다. 그러나, 보울러에는 2번째 투구가 없이, 금회 배치된 소정의 핀 배치 패턴의 핀에 대해 최초의 투구가 된다.
도 17은 투구연습모드에서의 상기 기계장치 제어회로(71)의 컨트롤러(82)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워챠트이다. 우선, 콘솔에서 커맨드를 수신한다. 투구연습모드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이 커맨드로서 핀 배치 패턴 설정 커맨드와 핀 배치 커맨드를, 이 순서로 수신한다. 수신된 커맨드가 핀 배치 패턴 설정 커맨드이면, 이에 계속된 핀 배치 패턴 데이터를 격납한다(n11→n12→n13→n14). 수신한 커맨드가 핀 배치 커맨드이면, 이미 콘솔에 부여되어 있는 상기 핀 배치 패턴에 따라 솔레노이드를 구동하고, 핀 세터 기계장치에 대해 "겉보기" 핀 배치 기동신호를 부여한다(n15→n16). 상술한 대로, 핀 세터 기계장치는 10개의 핀을 배치하고, 1번째 투구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가 초기상태이기 때문에, 콘솔에서 상기 핀 배치 커맨드를 수신하기까지 이미 10개의 핀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텝 n15, n16의 처리에서, 핀 세터 기계장치에 "2번째 핀 배치" 동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소정의 핀 배치 패턴의 핀 배치가 행해진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겉보기" 핀 배치 기동신호를 부여한 후, 소정의 시간을 기다려 모든 솔레노이드로의 통전을 정지한다(n17→n18). 이 소정의 시간은, 소정의 핀이 들어 올려져, 레이크로 소제되는 핀이 다시 내려져 가위가 열리기까지의 시간이다. 이 조작에 의해 모든 연결유니트가 연동상태로 복귀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콘솔의 표시 내용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프린터/코인박스의 코인투입구에서, 미리 설정된 소정액의 코인이 투입되면, 도 18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초기 화면을 도시한다. 여기서 10개의 핀 배열 위치를 터치하는 것에 의해, 핀 배치 패턴을 설정한다. 희망의 핀 배치 패턴이 되면, "설정 완료" 버튼을 터치하는 것에 의해 플레이를 개시한다. 또, 스페어 연습용의 핀 배치 패턴으로서는 미리 여러 개의 패턴을 기억하고 있고, "다음 패턴으로" 버튼을 터치하는 것에 의해, 그 핀 배치 패턴을 표시한다. 이 "다음 패턴으로" 버튼을 터치할 때 마다, 상기의 기억하고 있는 핀 배치 패턴을 차례로 읽어 표시한다. 또 "이전 패턴으로" 버튼을 터치하면, 직전에 표시된 핀 배치 패턴의 표시로 복귀한다. 그리고, 이 "이전 패턴으로" 버튼을 터치할 때마다, 상기의 기억하고 있는 핀 배치 패턴을 역순으로 차례로 표시한다. "다음 패턴으로" 버튼 또는 "이전 패턴으로" 버튼에서 읽은 핀 배치 패턴을 부분적으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표시되고 있는 핀의 배열 위치를 터치하는 것에 의해, 핀 배치 패턴을 변경한다. 희망의 핀 배치 패턴이 되면, "설정완료" 버튼을 터치하는 것에 의해 플레이를 개시한다.
투구가 행해질 때, 나머지 핀을 도 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체적으로 도식적으로 표시한다. 이에 의해, 소정 핀 배치 패턴에 의한 스페어의 연습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한 예에는 터치 패널의 조작에 의해 소망의 핀 배치 패턴을 설정한 것이지만, 입력부를 키 스위치로 구성해도 좋다.
도 19 및 도 20은, 이 콘솔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워챠트이다. 우선, 코인의 투입을 대기하고, 소정액의 투입이 행해지면 투구 연습모드가 설정되고,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기 화면의 표시를 행하고, 터치 패널의 읽기를 행한다(n21→n22→n23). 도 20은 상기 터치패널의 읽기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워챠트이다. 어느 핀 위치가 터치되면, 해당 핀의 선택상황/비선택상황의 반전을 행한다(n41→n42→n43). 도 18a에서, 검은 원은 선택상태를, 흰 원은 비선택상태를 표시한다. 또, "다음 패턴으로" 버튼의 위치가 터치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버튼 위치가 터치될 때마다, 미리 기억된 핀 배치 패턴을 차례로 표시한다(n44→n45). 동일하게, "이전 패턴으로" 버튼의 위치가 터치될 때, 미리 기억된 핀 배치 패턴을 역순으로 표시한다(n46→n47). 이들 조작에 의해 소망의 핀 설정이 행해진 후, "설정완료" 버튼이 터치될 때, 그 핀 배치 패턴을 기억한다(n48→n50).
그 후,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회의 터치 패널 조작에 의해 설정된 핀 배치 패턴 데이터(상기 스텝 n 50에서 기억된 핀 배치 패턴 데이터)를 핀 배치 패턴 설정 커맨드로서 기계장치 제어회로로 송신한다(n 24). 계속해서 기계장치 제어회로로 핀 배치 커맨드를 송신한다(n 25). 이들에 의해 기계장치 제어회로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에 의해 핀 세터 기계장치를 제어하여, 설정된 핀 배치 패턴의 핀 배치를 행한다. 그 후, 보울러에 의한 투구를 대기한다(n 26). 투구가 행해지면, 투구 수를 카운터하고, 현재의 핀의 상태를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코어 계수와 그 표시를 행한다(n27→n28→n29).
이 투구에 의해, 핀 세터 기계장치는, 그 자체가 갖는 기능에 의해 "1번째 핀 배치" 동작을 행한다. 즉, 이 투구에 의한 보울의 도달에 의해, 핀 세터 기계장치는 2번째 투구가 행해진 것을 확인하고, 새로운 10개의 핀을 배치하는 동작을 자동적으로 행한다.
그 후, 터치 패널의 읽기를 행한다(n31). 혹, 여기서 보울러가 터치패널을 조작하여 새로운 핀 배치 패턴을 설정하여, 상기 10개 핀의 배치에 필요한 시간을 기다리고, 기계장치 제어회로로 다시 핀 배치 패턴 설정 커맨드 및 핀 배치 커맨드를 송신한다(n31→n32→n33→n24→n25). 예컨대, 도 18b에 도시한 핀 배치 패턴에서, 6번째 핀 위치가 터치되어, "설정완료" 버튼이 터치되면, 1번, 3번, 4번, 6번, 10번 핀이 배치된다.
여기서, 보울러가 터치 패널의 조작을 행하는 경우나, 설정완료 버튼을 터치하기 이전에 시간이 완료된 경우(도 20에서 n49→RETURN)에는, 핀 배치 패턴이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10개의 핀 배치에 필요한 시간의 경과후, 기계장치 제어회로로 핀 배치 커맨드만을 송신한다(n32→n33→n25). 이것에 의해, 다시 동일 핀 배치 패턴의 핀 배치가 행해지고, 보울러는 투구를 행한다. 그 결과, 미리 정해진 투구 수의 투구를 완료하면, 처리를 종료하고, 다음의 코인의 투입을 대기한다(n30→n21).
이상과 같이, 스페어 연습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실질적으로 핀 세터 기계장치에 직접 연결한 기계장치 제어회로만을 이용한 시스템의 예를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21은 조작부와 기계장치 제어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플로워챠트이다. 이 조작부는 콘솔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미 설치된 보울링 스코어로서의 콘솔은 연동하지 않는다. 또, 기계장치 제어회로는 핀 세터 기계장치측에 배치되어, 양자는 시리얼 통신 케이블을 통해 접속된다.
조작부의 CPU(11)는 ROM(12)에 미리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RAM(13)은 이 프로그램의 실행시 보울러에 의해 조작 내용의 일시 기억 등의 작업영역으로 이용된다. 조작패널(15)은 1 내지 10 번 핀의 배치 형태에 배치된 키 스위치와, 그 조작위치를 표시하는 LED를 구비하고 있고, CPU(11)는 인터페이스(14)를 통해 조작 내용을 읽고, 조작에 따라 LED를 점등/소등시킨다. 통신 인터페이스(16)는 기계장치 제어회로 사이에서 통신 제어를 행한다.
기계장치 제어회로의 CPU(21)는 ROM(22)에 미리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RAM(23)은 그 프로그램의 실행시 핀 배치 패턴 데이터의 일시 기억 등의 작업영역으로 이용된다. 통신 인터페이스(24)는 조작부 사이에 통신제어를 행한다. 볼 통과 센서(26)는 투구된 볼이 레인 상을 통과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이고, CPU(21)는 인터페이스(25)를 통해 그 검출 결과를 읽는다. 또, CPU(21)는 인터페이스(25)를 통해 그 검출 결과를 읽는다. 또, CPU(21)는 인터페이스(27)를 통해 핀 세터 기계장치에 "2번째 핀 세팅" 을 위해 핀 배치 기동신호를 출력한다. 드라이브(28)는, 이미 설명한 10개의 솔레노이드를 구동하는 회로이고, CPU(21)는 인터페이스(27)를 통해 드라이브(28)에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솔레노이드를 구동한다.
도 22는 조작부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워챠트이다. 우선, 보울러에 의해 키 스위치의 조작을 읽고, 해당 스위치부의 LED를 점등시킨다(LED가 점등 상태의 키 스위치가 조작되면, 그 LED를 소등시킨다). 그리고, 설정완료 키가 조작되면, LED가 점등하고 있는 키 스위치에 상당하는 핀이 선택된 것으로서, 그 핀 배치 패턴 데이터를 기계장치 제어회로로 전송한다.
도 23은 기계장치 제어회로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워챠트이다. 우선, 조작부에서의 핀 배치 패턴 데이터의 전송을 대기한다. 이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격납하고, 핀 배치 패턴에 따라 솔레노이드를 구동하고, 핀 세터 기계장치에 대해 핀 배치 기동신호를 부여한다. 이에 의해, 핀 세터 기계장치는 소정의 핀 배치 패턴으로 핀을 배치한다. 그후, 소정 시간을 대기하여 모든 솔레노이드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이 소정의 시간은, 소정의 핀이 들어 올려져, 레인에서 제거된 핀이 다시 내려지고, 가위가 개방하기 전의 시간이다. 이 조작에 의해 모든 연결유니트가 연동상태로 복귀한다.
그후, 보울러에 의해 실제로 투구가 행해지는 것을 검출하면, 핀 세터 기계장치가 1번째 핀으로서 10개의 핀을 배치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기다리고, 다시 핀 배치 패턴에 따라 솔레노이드를 구동하고, 핀 세터 기계장치에 대해 핀 배치 기동신호를 부여한다. 이것에 의해, 핀 세터 기계장치는 다시 소정의 핀 배치 패턴으로 핀을 배치한다. 이하, 조작부에서 새로운 핀 배치 패턴 데이터를 수신할 때까지는 동일한 방법의 처리를 반복한다.
본 발명은, 이미 널리 보급된 보울링의 핀 세터 기계장치를 전면적으로 바꾸지 않고도, 임의의 핀 배치 패턴으로 핀 배치할 수 있도록 변경 가능하고, 새로운 보울링 게임이나 효과적인 투구 연습이 가능한 장치 및 시스템으로 유용하다.

Claims (12)

  1. 보울링 핀의 목부를 끼우는 가위와,
    이 가위의 개폐동작을 행하는 링크기구와,
    상기 가위와 상기 링크기구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유니트는, 전기적으로 비통전 또는 통전 상태로 선택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솔레노이드와, 이 솔레노이드의 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가위와 상기 링크기구 사이를 연동상태 또는 자유상태로 설정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링크기구의 로드 주위에 설치된 홈에 대향 설치되고, 상기 가위에 부착되고 상기 로드 주위를 덮는 파이프와, 이 파이프에 유지된 복수 개의 보울을 구비하며,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보울을 상기 홈에 끼우거나 끼우지 않거나 하여, 상기 파이프와 상기 로드를 래치상태로 하거나 비래치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링크기구에 부착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의 비통전 또는 통전에 따라 이 솔레노이드의 작동부에 접촉 또는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슬라이드 로크상태 또는 슬라이드 자유상태로 하는 슬라이드부재를 갖고, 이 슬라이드부재는 직진이동을 가위의 회전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에 핀 결합시키며,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슬라이드 자유상태로 하거나 슬라이드 로크상태로 하거나 하여, 상기 가위와 상기 링크기구 사이를 운동상태 또는 자유상태로 설정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링크기구에 설치된 핀이 삽입되는 장공을 갖고 직진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가위에 부여하는 변환기구에 연결된 슬라이드판과, 상기 솔레노이드의 비통전 또는 통전에 따라 상기 장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핀을 이 장공으로 결합상태 또는 비결합상태로 하는 핀 결합판을 구비하며,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상기 핀을 상기 장공으로 연결상태로 하거나 비연결상태로 하거나 하여, 상기 가위와 상기 링크기구 사이를 연동상태 또는 자유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
  5. 보울링 핀의 목부를 끼우는 가위와 이 가위의 개폐동작을 행하는 링크기구 사이에 설치되고, 전기적으로 비통전 또는 통전으로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솔레노이드와, 이 솔레노이드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가위와 상기 링크기구 사이를 연동상태 또는 자유상태로 설정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용 연결유니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링크기구의 로드 주위에 설치된 홈에 대향 설치되고, 상기 가위에 부착되고 상기 로드 주위를 덮는 파이프와, 이 파이프에 유지된 복수 개의 보울을 구비하며,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보울을 상기 홈에 끼우거나 끼우지 않거나 하여, 상기 파이프와 상기 로드를 래치상태로 하거나 비래치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용 연결유니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링크기구에 부착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의 비통전 또는 통전에 따라 이 솔레노이드의 작동부에 접촉 또는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슬라이드 로크상태 또는 슬라이드 자유상태로 하는 슬라이드부재를 갖고, 이 슬라이드부재는 직진이동을 가위의 회전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에 핀 결합시키며,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슬라이드 자유상태로 하거나 슬라이드 로크상태로 하거나 하여, 상기 가위와 상기 링크기구 사이를 운동상태 또는 자유상태로 설정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용 연결유니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링크기구에 설치된 핀이 삽입되는 장공을 갖고 직진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가위에 부여하는 변환기구에 연결된 슬라이드판과, 상기 솔레노이드의 비통전 또는 통전에 따라 상기 장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핀을 이 장공으로 결합상태 또는 비결합상태로 하는 핀 결합판을 구비하며,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상기 핀을 상기 장공으로 연결상태로 하거나 비연결상태로 하거나 하여, 상기 가위와 상기 링크기구 사이를 연동상태 또는 자유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용 연결유니트.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임의의 핀 배치 패턴을 설정하는 핀 배치 패턴설정수단과,
    설정된 핀 배치 패턴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의 비통전 또는 통전상태를 설정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핀 배치 패턴설정수단은, 핀 배치 패턴을 화면상에서 입력하는 입력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핀 배치 패턴 설정수단은 미리 기억되어 있는 배치 패턴 중에서 선택하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코인 또는 가치를 기억한 카드의 매체의 투입을 수납하는 수단과,
    이 매체의 투입시 핀 배치 패턴의 입력 또는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
KR10-2000-7007473A 1998-12-11 1999-08-09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 및 그 연결유니트 KR100406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274598 1998-12-11
JP98-352745 1998-12-11
JP5362999 1999-03-02
JP99-053629 1999-03-02
JPPCT/JP99/01065 1999-03-04
PCT/JP1999/001065 WO2000035543A1 (fr) 1998-12-11 1999-03-04 Gestionnaire de disposition de quilles de bowling et mecanisme
PCT/JP1999/004313 WO2000035544A1 (fr) 1998-12-11 1999-08-09 Dispositif de commande de disposition pour quilles et unite de connexion associ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141A true KR20010052141A (ko) 2001-06-25
KR100406115B1 KR100406115B1 (ko) 2003-11-15

Family

ID=26394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473A KR100406115B1 (ko) 1998-12-11 1999-08-09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 및 그 연결유니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24192B1 (ko)
KR (1) KR100406115B1 (ko)
CN (1) CN1134277C (ko)
AU (2) AU2746199A (ko)
CA (1) CA2314271C (ko)
GB (1) GB2351449B (ko)
WO (2) WO20000355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7143B2 (en) * 2005-03-14 2010-11-23 Matos Jeffrey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pilot control of a hijacked aircraft
US7658383B1 (en) 2008-12-23 2010-02-09 Charles Salansky Gaming device
NL2003002C2 (en) * 2009-06-11 2010-12-15 Securo B V Systeem voor bowling.
WO2011075122A1 (en) * 2009-12-16 2011-06-23 Charles Andrew Salansky Gaming device
US9084928B2 (en) * 2013-07-31 2015-07-21 Sven Gunnar Klang Tong operating device for a pinsetter
CA2957228A1 (en) 2014-08-07 2016-02-11 Tod S. Lyter Bowling pin setting systems and methods with reconfigurable pin setting array
EP3479878A1 (de) 2017-11-02 2019-05-08 Pin Marketing S.L.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stellen mindestens eines bowlingpins
US11631250B2 (en) * 2020-05-12 2023-04-18 Amish Patel Bowling lane error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8378A (en) * 1961-03-29 1964-06-23 American Mach & Foundry Automatic pinspotter spare practice device having selectively deactivated respottingunits
US3219345A (en) * 1962-09-04 1965-11-23 Brunswick Corp Selective pinsetting control
US3314678A (en) * 1963-07-09 1967-04-18 Brunswick Corp Mechanism for setting bowling pins at selected positions
US3265390A (en) * 1963-11-01 1966-08-09 Lawrence J Stauth Device for setting selected bowling pins with respotting mechanism
JPS607879A (ja) * 1983-06-27 1985-01-16 今泉 幸男 ボ−リング施設における任意ピンセツト装置
US4754967A (en) * 1986-07-22 1988-07-05 Tomas Edler Supplemental device for an automatic pin handling device
JPH0632672B2 (ja) * 1987-05-20 1994-05-02 株式会社ダイフク ボウリングゲ−ム設備
US5255185A (en) * 1988-04-18 1993-10-19 Brunswick Bowling & Billiards Corp. Bowling center video display system
JP2718246B2 (ja) * 1990-05-17 1998-02-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横型開放圧縮機
JPH06340586A (ja) * 1991-07-15 1994-12-13 Tsumura & Co Fcレセプター産生促進剤
US5393269A (en) * 1994-01-12 1995-02-28 Atkinson, Jr.; William A. Bowling pin setting mechanism and scissor ar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35543A1 (fr) 2000-06-22
CN1295490A (zh) 2001-05-16
CA2314271C (en) 2004-04-20
GB2351449B (en) 2003-05-21
AU2746199A (en) 2000-07-03
GB0023352D0 (en) 2000-11-08
AU5195499A (en) 2000-07-03
CN1134277C (zh) 2004-01-14
US6524192B1 (en) 2003-02-25
GB2351449A (en) 2001-01-03
CA2314271A1 (en) 2000-06-22
WO2000035544A1 (fr) 2000-06-22
AU757663B2 (en) 2003-02-27
KR100406115B1 (ko) 200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9861B1 (en) Method and kit for retrofitting a pinball machine
JP4197232B2 (ja) 遊技機
JP7017789B2 (ja) 遊技機
KR100406115B1 (ko) 보울링 핀 배치 제어장치 및 그 연결유니트
JP4722722B2 (ja) 遊技機
JP4473106B2 (ja) 入賞装置
JP6317009B1 (ja) 遊技機
JP2001062116A (ja) パチンコ遊技機
JP3976488B2 (ja) パチンコ機
JP3594844B2 (ja) ボウリングのピン配置制御装置およびその連結ユニット
JP2005334182A (ja) 遊技機
JP2001145735A (ja) 弾球遊技機
JP6798936B2 (ja) 遊技機
JP4237671B2 (ja) 遊技機
JP6317006B1 (ja) 遊技機
JP4440514B2 (ja) 弾球遊技機
JP3673082B2 (ja) 自動ボウリングスコア装置
JP6983421B2 (ja) 遊技機
JP2532433Y2 (ja) パチンコ機
JP6317008B1 (ja) 遊技機
JP6317007B1 (ja) 遊技機
JPH09220368A (ja) ゲーム装置
JP2004135704A (ja) 遊技機
JP2006141687A (ja) 遊技ポイント付与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を備えた遊技機
JP2018167026A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