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997A - 자동차의 음료 용기용 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음료 용기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997A
KR20010050997A KR1020000060093A KR20000060093A KR20010050997A KR 20010050997 A KR20010050997 A KR 20010050997A KR 1020000060093 A KR1020000060093 A KR 1020000060093A KR 20000060093 A KR20000060093 A KR 20000060093A KR 20010050997 A KR20010050997 A KR 20010050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holder
beverage
pivoting
use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르겐 디린게르
로란트 데틀링
베른트 프로케르
티로 폴크만
미하엘 켈츠
Original Assignee
중 유겐, 말리 래이너
피셔베케 아더 피셔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 유겐, 말리 래이너, 피셔베케 아더 피셔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 filed Critical 중 유겐, 말리 래이너
Publication of KR20010050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99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26Vehicle attached carrier for beverage container or bott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음료 캔과 같은 음료 용기용 홀더(holder)에 관한 것이다. 홀더(10)는 링 모양의 음료 용기받이(a ring-shaped drinks container receiver)(22)를 구비하며, 캐리지(carriage)(16)의 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사용 위치로 180° 선회될 수 있다. 음료 용기받이(22)의 선회 조인트(pivot joint)(20)의 부하(load)를 줄이기 위해, 본 발명은 지지부(34)가 제안되며, 지지부(34)는 수평축 주위로 선회될 수 있으며, 사용 위치에서 음료 용기받이(22)를 지지하며, 음료 용기받이(22)가 미사용 위치(non-use position)로 180도로 선회하는 결과로서 캐리지(16)에 대해 선회된다. 지지 위치에서, 지지부(34)는 홀더(10)의 하우징(12)의 상부 가장자리(38)에 위치하며, 이 결과로, 캐리지(16)의 하향 이동을 막는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음료 용기용 홀더{HOLDER FOR A DRINKS CONTAINER IN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음료 용기용 홀더에 관한 것이며,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홀더는 독일 특허(제 198 21 313.1호)에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홀더는 음료 용기받이(drinks container receiver)를 구비하며, 상기 음료 용기받이는 예를 들면, 컵, 비커 또는 음료 캔과 같은 음료 용기를 삽입하기 위해 삽입 개구부를 구비한다. 음료 용기받이는 캐리지에 장착되며, 상기 캐리지는 하강 위치(lowered position)로부터 상승 위치(raised position)까지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 된다. 슬라이드 가이드 요소 대신에, 예를 들면, 가위 모양 가이드 요소(scissors guide element) 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공지된 홀더에서, 음료 용기받이는 선회 조인트에 의해 캐리지에 장착되어 미사용 위치에서 사용 위치로 선회될 수 있으며, 음료 용기는 음료 용기받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공지된 홀더에서, 미사용 위치에서 사용 위치까지 음료 용기받이의 선회 각도는 90°이다. 예를 들면, 180°의 다른 선회 각도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과제로는 음료 용기받이가 사용 위치에 있을 경우 안정될 수 있는(stable), 위에서 언급된 종류의 홀더를 제작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 위치(use position)의 홀더(holder)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반대 방향의 홀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일부를 절단한 도 1의 홀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미사용 위치(non-use position)로 하강된 도 1의 홀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홀더 12 : 하우징
14 : 가이드 장치 16 : 캐리지
22 : 음료 용기받이(drinks container receiver)
24 : 제 1 부분 또는 다른 부분 26 : 이동 가능 부분
34 :지지부 42 : 커버 플랩
위의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홀더는, 이동 가능한 지지부를 구비하며, 이 지지부는 상승 위치인 사용 위치에서 음료 용기받이를 지지한다. 이렇게 지지되지 않아 무거운 하중을 받는 선회 조인트(pivot joint)는, 이와 같이 지지됨으로, 감소된 하중을 받는다. 지지부는 예를 들면, 스프링 장착(spring-loaded)될 수 있어, 자동으로 지지 위치로 이동한다. 지지 위치로의 지지부의 이동은 음료 용기받이를 상승 및/또는 선회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지지부의 복귀는 음료 용기받이가 미사용 위치로 선회 이동함으로 얻어질 수 있다. 지지부를 지지 위치로 이동함으로 음료 용기받이의 상승이나 선회로 얻어지므로, 지지부의 복귀는 또한 스프링력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홀더의 지지부는 블로킹 메커니즘(blocking mechanism)을 동시에 형성하며, 상승 위치에서 음료 용기받이의 안내를 막으며, 이 결과로, 음료 용기받이의 원하지 않은 하강를 막아준다. 음료 용기받이가 미사용 위치로 선회할 때, 지지부의 복귀 이동은 블로킹 동작을 취소시키며, 음료 용기받이가 하강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부는 원하는 대로 이동 가능하도록, 홀더에 장착하기 위해 선회 조인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음료 용기받이는 선택적으로 두 개 이상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음료 용기받이는 예를 들면, 이동 가능하게 또는 선회되게 음료 용기받이의 다른 부분에 결합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부분을 구비하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최소한 부분적으로 다른 부분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음료 용기받이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 위치에서, 음료 용기받이의 이동 가능한 부분은 홀더의 선회 블록(pivot block)에 인접하며, 상기 결과로, 음료 용기받이의 이동 가능 부분이 다른 부분으로부터 이동 될 경우, 음료 용기받이는 사용 위치로부터 미사용 위치로 선회될 수 없다. 음료 용기받이에 삽입된 음료 용기는 음료 용기받이의 이동 가능 부분이 다른 부분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료 용기가 삽입된 음료 용기받이가 선회하는 것을 막는다.
본 발명의 진전으로, 음료 용기받이가 사용 위치로부터 미사용 위치로 선회될 경우, 선회 블록은 음료 용기받이의 이동 가능 부분을 음료 용기받이의 다른 부분으로 이동시킨다. 선회 블록을 갖는 음료 용기받이의 이동 가능 부분은 음료 용기가 삽입될 경우, 음료 용기받이의 선회를 막으며, 삽입된 음료 용기는 음료 용기받이가 선회되기 전에 제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홀더는 잠금 장치를 구비하며, 이 잠금 장치는 하강 위치일 경우와 상승 중일 경우에 잠겨진 음료 용기받이가 미사용 위치에 있게 한다. 잠금 장치는 음료 용기받이가 상승하는 단부에서 잠금 해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음료 용기받이가 상승되어 질 때, 상승 중의 음료 용기받이가 선회하는 것이 막아지며, 음료 용기받이의 비스듬하게되거나 잘못 위치하며, 및 상기 결과로 주변 구성 요소에 끼거나 걸리는 것이, 회피되어지는 이점이 있다. 잠금 장치는 음료 용기받이를 사용 위치로 처음에 상승하여 순차적으로 선회하도록 시간 순서(chronological sequence)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홀더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음료 용기받이는 안내되어 상승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은 하강되어 미사용 위치에 있게되는 음료 용기받이용 개구부를 갖는다. 음료 용기받이가 상승되어 사용 위치로 선회될 경우, 하우징의 개구부에는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해, 커버(covering), 특히 하우징에 선회되게 장착되는 커버 플랩(flap)으로 덮인다. 커버는 음료 용기받이가 미사용 위치로의 선회 결과 및/또는 음료 용기받이의 하강의 결과로서 개방된다. 커버의 개방은 음료 용기받이의 이동에 따라 얻어지며, 커버는 수동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다음에 더 자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홀더(10)는, 예를 들면, 컵, 비커나 음료 캔과 같은 음료 용기(미도시 됨)의 삽입을 위해 작용한다. 홀더는 예를 들면, 차량의 중앙 콘솔이나 도어 패널 내의 상부로부터 접근이 용이한 위치에 오목하게 장착(recessed mounting)되게 한다. 홀더(10)는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12)을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는 하우징(12)의 상부면 및 측면에 걸쳐 이어진다. 하우징(12)에서, 캐리지(16)는 텅(tongue) 및 그루브 가이드 장치(groove guide device)(14)에 의해 안내되어 하강 위치(도 4)로부터 상승 위치(도 1 내지 3)까지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캐리지(16)는 스크롤 스프링(인장 스프링)(도면에 보이지 않음)에 의해 상승 위치로 이동된다. 캐리지(16)는 잠금 장치에 의해 하강 위치에서 유지되며, 상기 잠금 장치는 버튼(18)(도 4)에 의해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 장치와 잠금 장치는 당업자에게 그 자체로 알려질 것이며, 본 발명의 실제적인 요지를 구성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더 자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음료 용기받이(22)는 선회 핀 연결부(20)에 의해 캐리지(16)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수평 축 주위를 선회할 수 있다. 음료 용기받이(22)는 예를 들면, 당업자에게 그 자체로 알려진 헤리컬 토션 스프링과 같은, 선회 스프링 요소(도면에 보이지 않음)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사용 위치로 선회된다. 사용 위치에서, 음료 용기(미도시 됨)는 음료 용기받이(22)에 삽입될 수 있다. 음료 용기받이(22)는 베이스(base)를 갖는 비원형 튜브(non-circular tube)와 거의 같은 형태를 가지며, 음료 용기(미도시 됨)는 음료 용기받이(22)에 놓이게 된다. 음료 용기받이(22)는 제 1부분(24)과 이동 가능 부분(26)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동 가능 부분(26)은 선회 핀 연결부에 의해 음료 용기받이(22)의 제 1 부분(24)에 장착되어 음료 용기받이(22)의 축에 평행한 선회 축(28) 주위로 선회될 수 있다. 제 1 부분(24)은 둘레 방향으로 180도 이상 선회하며, 이동 가능 부분(26)은 둘레 방향으로 음료 용기받이(22)를 감싼다. 이동 가능 부분(26)은 선회 스프링 요소(도면에 보이지 않음)의 힘에 대항해 선회 축(28)에 대해 음료 용기받이(22)의 제 1 부분(24)으로 선회될 수 있어서, 음료 용기받이(22)의 폭은 미사용 시 더 좁아진다. 도 4는 음료 용기받이(22)의 제 1 부분(24)으로 선회된 이동 가능 부분(26)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에서, 이동 가능 부분(26)은 캐리지(16)의 돌출부(nose)에 인접한다. 돌출부는 캐리지(16)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며, 음료 용기받이(26)의 선회 블록(30)을 형성한다. 이동 가능 부분(26)은 음료 용기가 음료 용기받이(22)에 삽입될 경우에 다른 부분(24)으로 선회될 수 없기 때문에, 선회 블록(30)에 인접하는 이동 가능 부분(26)은 선회 핀 연결부(20)에 대해 음료 용기받이(22)가 선회하는 것을 막는다. 음료 용기가 음료 용기받이(22)에 삽입되지 않는다면, 음료 용기받이(22)는 도 4에 도시된 미사용 위치로 선회 핀 연결부(20)에 대해 180도 선회될 수 있다. 선회 중에, 캐리지(16)의 선회 블록(30)을 형성하는 돌출부는 음료 용기받이(22)의 이동 가능 부분(26)을 음료 용기받이(22)의 다른 부분(24)쪽으로 압력을 가한다.
공지된 그 자체로, 선회할 수 있으며, 스프링 장전되는 보정 플랩(compensating flap)(32)은 음료 용기받이(22)에 장착되며, 음료 용기받이(22)가 직경이 다른 음료 용기에 적합하도록 음료 용기받이(22)의 부분(24)과 부분(26)에 대하여 음료 용기받이(22)에 삽입되는 음료 용기에 압력을 가한다.
지지부(34)(도 2 및 도 3)는 음료 용기받이(22) 아래의 캐리지(16)에 장착되며, 수직 축 주위로 선회될 수 있다. 헤리컬 토션 스프링 요소(36) 형태의 선회 스프링 요소는 지지부(34)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지지 위치로 선회시키며, 지지부(34)는 캐리지(16)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음료 용기받이(22)는 지지부(34)에 놓이며 지지부(34)에 의해 지지된다. 캐리지(16)로부터 밖으로 선회된 지지 위치에서, 지지부(34)의 저면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10)의 하우징(12)의 상부 가장자리(38) 위에 놓인다. 이와 같이 하여, 지지부(34)는 지지 위치에 있을 경우, 캐리지(16)가 아랫방향(하강)으로 놓이는 것을 막으며, 동시에, 지지부(34)는 캐리지(16)의 블록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음료 용기받이(22)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사용 위치에서 도 4에 도시된 미사용 위치로 180°선회될 경우, 음료 용기받이(22)의 외부면은 캐리지(16)를 통해 이어지는 지지부(34)의 돌출부(40)를 누르며, 음료 용기받이(22)는 선회 스프링(36)의 힘에 대항하여, 지지부(34)를 캐리지(16)에 맞닿아져 놓이는 위치로 선회시키며, 지지부(34)는 하우징(12)의 상부 가장자리(38)에 놓이지 않아 캐리지(16)는 아랫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음료 용기받이(22)의 하우징(12) 개구부의 측부는 커버 플랩(cover flap)(42)에 의해 덮인다. 커버 플랩(42)은 선회 핀 연결부에 의해 캐리지(16)에 장착되어 상부 가장자리 부분의 수평 축 주위로 선회될 수 있다. 돌출부(44)는 커버 플랩(42)으로부터 위방향으로 돌출하며, 음료 용기받이(22)가 도 4에 도시된 미사용 위치로 선회될 때, 상기 커버 플랩(42)은 측면으로 선회된다. 결과적으로, 커버 플랩(42)은 음료 용기받이(22)에 맞닿아 놓이는, 도 4에 도시된 수평 위치로 선회된다.
홀더(10)는 잠금 장치를 구비하며, 잠금 장치는 캐리지(16)가 상부 위치에 있지 않는다면, 미사용 위치에서 음료 용기받이(22)가 선회하는 것을 막는다. 잠금 장치는 블로킹 바(46)를 구비하며, 상기 블로킹 바(46)는 캐리지(16)에 장착되어 선회 핀(48) 주위로 선회될 수 있다. 블로킹 바(46)는 헤리컬 토션 스프링(50)의 형태로 선회 스프링에 의해 윗방향으로 가압된다. 캐리지(16)가 상부 위치(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됨)에 있을 경우, 유지 돌출부(52)는 하우징(12)의 리브(rib)에 인접하며, 선회 스프링(50)의 힘에 대항해 아랫방향으로 블로킹 바(46)를 가압한다. 캐리지(16)가 상부 위치의 아래에 있다면, 선회 스프링(50)은 블로킹 바(46)를 윗방향으로 가압할 것이며, 상기 결과로, 블로킹 바(46)의 상면에 배치된 블로킹 러그(54)는 캐리지(16)로부터 윗방향으로 이어진다. 음료 용기받이(22)가 미사용 위치에 있을 경우, 블로킹 러그(54)는 음료 용기받이(22) 가장자리의 뒤와 맞물리므로, 음료 용기받이(22)는 선회하지 않는다. 캐리지(16)가 캐리지의 상부로 이동할 때, 유지 돌출부(52)는 블로킹 바(46)를 아랫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블로킹 바(46)의 블로킹 러그(54)는 음료 용기받이(22)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며, 음료 용기받이(22)는 스프링 작용 하에 사용 위치(도 1 및 도 2에 도시됨)로 선회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 내에서 벗어남이 없이, 많은 변형과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분명하게 되고, 기대될 수 있다.

Claims (8)

  1. 음료 용기의 삽입용 음료 용기받이(drinks container receiver)를 구비하며, 가이드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장치에 의해, 상기 음료 용기받이가 안내되어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 반대로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선회 조인트(pivot joint)를 구비하며, 상기 선회 조인트에 의해, 상기 음료 용기받이가 미사용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앞뒤로 선회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음료 용기가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음료 용기받이(22)로 삽입될 수 있는, 자동차의 음료 용기용 홀더(holder)에 있어서,
    상기 홀더(10)는 상기 음료 용기받이(22)의 이동 가능 지지부(34)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34)는 상기 음료 용기받이(22)를 상승 위치로 이동시킬 때 및/또는 상기 음료 용기받이(22)를 상기 사용 위치로 선회시킬 때 상기 음료 용기받이(22)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로 이동되며, 그와 동시에 상기 지지부(34)는 상기 음료 용기받이(22)의 상기 가이드 장치(14)의 블로킹메커니즘(blocking mechanism)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34)는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음료 용기받이(22)의 하강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음료 용기용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위치로부터 상기 미사용 위치까지 상기 음료 용기받이(22)를 선회하는 결과로서, 상기 지지부(34)는 측면으로 이동되며, 상기 지지부(34)의 블로킹 기능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음료 용기용 홀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4)는 선회 조인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음료 용기용 홀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용기받이(22)는 두 개 이상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음료 용기받이(22)의 이동 가능 부분(2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음료 용기받이(22)의 다른 부분(24)으로 이동되게 배치되며, 및 상기 음료 용기받이(22)의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음료 용기받이(22)의 상기 이동 가능 부분(26)은, 상기 음료 용기받이(22)의 상기 다른 부분(24)으로부터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음료 용기받이(22)가 선회에 대항해 고정되도록 상기 홀더(10)의 선회 블록(30)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음료 용기용 홀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위치로부터 상기 미사용 위치까지 상기 음료 용기받이(22)를 선회시킬 때, 상기 선회 블록(30)이 상기 음료 용기받이(22)의 상기 이동 가능 부분(26)을 상기 음료 용기받이(22)의 상기 다른 부분(24)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음료 용기용 홀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0)는 잠금 장치(46, 48, 50, 52, 54)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 장치(46, 48, 50, 52, 54)는 상기 미사용 위치에서 상기 음료 용기받이(22)를 잠그며, 상기 상승 단부에서 상기 음료 용기받이(22)의 상승의 결과로서 잠금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음료 용기용 홀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0)는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12)을 구비하며, 상기 음료 용기받이(2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강된 미사용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12)은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음료 용기받이(22)가 상기 사용 위치로 상승되어 선회될 때, 상기 하우징(12)의 상기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음료 용기받이(22)를 상기 미사용 위치로 선회시킴으로써 및/또는 상기 음료 용기받이(22)를 하강시킴으로써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음료 용기용 홀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12)에 선회되게 장착되는 커버 플랩(cover flap)(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음료 용기용 홀더.
KR1020000060093A 1999-11-25 2000-10-12 자동차의 음료 용기용 홀더 KR200100509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6649A DE19956649A1 (de) 1999-11-25 1999-11-25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in einem Kraftwagen
DE19956649.6 1999-1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997A true KR20010050997A (ko) 2001-06-25

Family

ID=7930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093A KR20010050997A (ko) 1999-11-25 2000-10-12 자동차의 음료 용기용 홀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27961B1 (ko)
EP (1) EP1103416B1 (ko)
JP (1) JP3538379B2 (ko)
KR (1) KR20010050997A (ko)
AT (1) ATE316476T1 (ko)
DE (2) DE199566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6403B2 (en) 2007-09-17 2012-04-03 Life Safety Distribution Ag Gas sensor with smart pellis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5401A1 (de) * 2003-02-11 2004-08-19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DE102004050286B4 (de) * 2004-10-15 2020-03-26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zum Einbau in einem Kraftwagen
DE102007051969A1 (de) 2007-10-31 2009-05-07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US7789265B2 (en) * 2007-12-13 2010-09-07 Honda Motor Co., Ltd. Tab structure for controlling cups in vehicles
DE102007061898A1 (de) * 2007-12-20 2009-06-25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Ablagefach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3111A (en) * 1988-07-26 1990-07-24 Prince Corporation Container holder for a vehicle
DE4224700A1 (de) * 1992-07-25 1994-01-27 Euwe Eugen Wexler Gmbh Haltevorrichtung für Getränkebehälter
DE4429515C1 (de) * 1994-08-19 1995-11-16 Fischer Artur Werke Gmbh Vorrichtung zum Halten von zwei Getränkebehältnissen in der Mittelkonsole eines Kraftfahrzeugs
US5618018A (en) * 1995-06-07 1997-04-08 Manchester Plastics Cup holder for confined spaces
US5762307A (en) * 1996-05-23 1998-06-09 Irvin Automotive Products Retractable automotive cupholder for compact storage in an interior storage compartment
DE19630528A1 (de) * 1996-07-29 1998-02-05 Fischer Artur Werke Gmbh Vorrichtung zum Halten zweier Getränkebehälter in der Mittelkonsole eines Kraftwagens
US5791617A (en) * 1996-10-25 1998-08-11 Boman; Larry Stuart Stowable vehicle container holder
US5829726A (en) * 1997-06-03 1998-11-03 Ldm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supporting a container
US5845888A (en) * 1997-07-17 1998-12-08 Prince Corporation Retractable container holder
US6092775A (en) * 1997-09-08 2000-07-25 Gallant; David Beverage cup holder with an actuator
DE19821313C2 (de) * 1998-05-13 2000-10-19 Fischer Artur Werke Gmbh Halterung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in einem Kraftwagen
US6047937A (en) * 1998-08-14 2000-04-11 Huang; Pei-Hsiu Vehicle-use foldable beverage hol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6403B2 (en) 2007-09-17 2012-04-03 Life Safety Distribution Ag Gas sensor with smart pellis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38379B2 (ja) 2004-06-14
EP1103416B1 (de) 2006-01-25
ATE316476T1 (de) 2006-02-15
US6427961B1 (en) 2002-08-06
DE19956649A1 (de) 2001-05-31
DE50012118D1 (de) 2006-04-13
EP1103416A2 (de) 2001-05-30
EP1103416A3 (de) 2003-08-06
JP2001191834A (ja) 2001-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47260B1 (en) Cupholder for confined space
JP3527688B2 (ja) 飲料容器のための保持装置
US5791616A (en) Holder for two drink containers,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US5673891A (en) Cup holder
US5379978A (en) Vehicular convertible cupholder
KR0139849B1 (ko) 음료수 용기 홀더
US7789265B2 (en) Tab structure for controlling cups in vehicles
JP2648469B2 (ja) 自動車のセンタコンソールに設けられた2つのドリンク容器を保持するための装置
US20060076468A1 (en) Cup holder for vehicles
KR100513677B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100500780B1 (ko) 컵 홀더 장치
KR20010050997A (ko) 자동차의 음료 용기용 홀더
JP3256194B2 (ja) 自動車における飲料容器のための保持具
KR20010050687A (ko) 음료 용기용 고정 장치
KR100407235B1 (ko) 음료 용기용 홀더
JP4047882B2 (ja) 自動車に組み込むための飲料容器用ホルダ
KR100445177B1 (ko) 자동차의 컵 홀더
KR200227359Y1 (ko) 포켓형컵홀더
KR20020026712A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컵홀더 장치
KR100361686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20030024989A (ko) 자동차의 컵 홀더
KR0126307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100397828B1 (ko) 승강기구
JP4138963B2 (ja) 自動車用ルーフキャリア
KR200160444Y1 (ko) 수납함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드링크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