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202A - 백호 - Google Patents

백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202A
KR20010050202A KR1020000049456A KR20000049456A KR20010050202A KR 20010050202 A KR20010050202 A KR 20010050202A KR 1020000049456 A KR1020000049456 A KR 1020000049456A KR 20000049456 A KR20000049456 A KR 20000049456A KR 20010050202 A KR20010050202 A KR 20010050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bin
opening
hinge
a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2823B1 (ko
Inventor
나카타야스오
마츠바라요시타카
이케다겐지
고가겐조
구니자와데루오
미야케도모아키
Original Assignee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미쯔이 고오헤이
Publication of KR20010050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6Special type
    • B60J5/0487Special type simplified doors related to cabins of, e.g. golf carts, tractors, jeeps, cranes, forklifts, et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주행장치(2)에 대하여 세로방향자세의 선회축심(X) 주위에서 선회자유롭게 선회체(3)를 지지하고 이 선회체(3)에 대하여 굴착장치(4)를 구비하고, 이 선회체(3)에 캐빈(12)을 구비함과 동시에, 선회체(3)의 후단 가장자리(3A)를 평면에서 보아 선회축심(X)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상으로 성형하여 백호(1)가 구성되어 있다. 이 백호(1)의 캐빈(12)에 형성된 개구부(31)에 대하여 힌지(34)로 개폐자유롭게 도어(32)를 구비함으로써, 힌지(34)의 세로방향자세의 개폐축심(Y) 주위에서 도어(32)를 개폐자유롭게 구성한다. 또 이 힌지(34)를 개구(31)의 후부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이 힌지(34)를 구성하는 한쌍의 경첩(34A, 34B)을 절곡함으로써 힌지(34)의 요동축심(Y)을 도어(32)의 후단위치보다 앞측으로 위치시킨다. 이러므로써 도어(32)를 개방자세에 설정한 때에는 도어(32)의 요동측의 끝부를 선회체(3)의 후단 가장자리(3A)보다 앞측으로 변위시킨다.

Description

백호{BACK HOE}
본 발명은 주행장치상에 축받이체를 통하여 세로방향자세의 선회축심 주위에서 선회자유롭게 선회체를 구비하고, 이 선회체에 구비된 캐빈의 측면의 승강용의 개구부에 대하여 세로방향자세의 개폐축심주위에서 요동개폐 자유롭게 도어를 구비하고 있는 백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캐빈외방으로 도어를 밖으로 내뻗는 것을 억제하는 기술로서 일본 특개평 8 - 291538호 공보에 나타내는 것이나, 일본 특개평 11 - 100864호 공보에 나타내는 것이 존재한다. 이둘의 종래기술중 전자에서는 캐빈(캡)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대하여 캐빈의 측면형상을 따라서 만곡성형된 도어(승강용 도어)를 캐빈외면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지지하여 이 도어를 후방으로 미끄럼이동시키므로써 캐빈 외방으로 도어를 내뻗는 것을 저지하면서 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종래의 기술중 후자에서는 제 1 도어패널과 제 2 도어패널을 서로 요동자유롭게 연결하고, 각각을 가스댐퍼로 가압함으로써, 도어를 개방자세로 설정한 때에는, 제 1 도어패널과, 제 2 도어패널을 캐빈의 외면을 따르는 자세를 요동자세로 설정하여 캐빈외면으로부터 도어를 밖으로 내뻗는 양을 적게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소선회형 백호를 예로 들면, 이 백호는 선회체를 선회시켜도 선회체의 후단이 좌우의 크롤러의 폭내로부터 외방으로 내뻗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이 종류의 백호를 골목 안으로 진입시켜서 작업을 행하게 하는 경우와 같이 전주나 가옥의 일부가 좌우의 크롤러에 근접하는 위치관계라 하더라도, 이들과 선회체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선회체의 캐빈에 대하여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것으로는 도어를 닫히는 자세로 설정한 상태로 선회체를 선회시키는 것을 상정하여 설계를 행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도어를 요동끝까지 개방한 경우(이하, 전개방자세로 칭한다)에는 도어의 후단이 선회체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되어 이 상태로 선회체를 선회시킨 경우에는 도어의 끝부를 전주나 처마끝에 접촉시키는 단점으로 연결되는 것이 었다.
그래서 상술한 2개의 종래예와 같이 도어를 구성함으로써, 개방자세의 도어의 요동끝부(닫히는 자세에 있어서 캐빈 전단부)가 선회체의 후단측으로 내뻗는 불편을 해소하는 것도 고려된다. 그러나 어느 종래기술이라 하더라도 부품수가 많고, 구조도 복잡하므로 원가상승으로 연결되기 쉽고, 게다가 어느 종래예라 하더라도 작동부재가 많아 작동불량으로 연결되기 쉬운 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전개방자세로 설정한 때에, 도어의 요동끝이 선회체의 후단으로 내뻗는 일이 없는 백호를 합리적으로 구성하는 점에 있다.
도 1은 백호의 측면도,
도 2는 백호의 배면도,
도 3은 백호의 평면도, 및 힌지의 단면도,
도 4는 도어의 개폐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힌지의 단면도, 및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의 도어의 개폐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백호 있어서, 상기 개폐축심을 상기 개구부에 있어서 캐빈 후부측에서, 또한 도어의 후단위치보다 캐빈 앞측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이 도어의 개방조작형태를 닫히는 자세에 있어서 도어의 전단측을 캐빈외방으로 끌어 내므로써 이 도어를 상기 개폐축심 주위에서 요동시키도록 설정해 있는 점에 있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닫히는 자세에 있어서 도어의 후단보다 앞측에 개폐축심을 배치하여 있으므로, 닫히는 자세에 있어서 도어의 후단위치, 혹은 이 후단위치보다 후측에 개폐축심을 배치해 있는 것과 비교해서, 도어를 전개방자세로 조작한 때의 도어의 요동끝(닫히는 자세에 있어서 도어의 전단위치)을 앞측으로 변위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 이 특징에 의하면, 도어가 개폐축심 주위에서 요동개폐하는 단순한 지지구조로 되므로, 종래의 기술에서 예를 들은 바와 같은 복잡한 구조를 채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고장이 발생되기 어렵고, 장래에 원가상승될 일이 없고, 게다가 선회체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도어가 돌출하는 단점을 저지할 수 있는 백호가 합리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히는 자세에 있어서의 전단측을 캐빈의 후방으로 향하게 하는 전개방자세로 설정자유롭게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선회축심 주위에서 상기 선회체가 선회한 때에 선회체가 그리는 선회영역내에 상기 전개방자세에 있어서 도어의 전단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도어를 전개방자세로 설정한 상태에서도 도어의 전단이 선회체의 선회영역내에 위치하므로, 도어를 전개방자세로 설정한 상태로 선회체를 선회시켜도 도어를 전주나 가옥의 일부에 접촉시키는 일이 없다. 그 결과, 도어를 전개방자세로 설정하여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도 도어나 전주 등을 파손시키는 일 없이 원활한 선회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연결되는 경첩과, 상기 도어에 연결하는 경첩과, 각각의 경첩끼리를 상기 개폐축심주위에서 요동자유롭게 연결하는 축체로 이루어지는 힌지를 구비함과 동시에, 각각의 경첩의 절곡성형에 의해 축체의 위치를 도어의 후단위치보다 캐빈 앞측으로 위치시켜 놓은 점에 있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힌지를 구성하는 경첩을 절곡성형하는 정도의 개량에 의해 도어의 개폐축심의 위치를 도어의 후단보다 앞측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캐빈이나 도어를 거의 개량하지 않아도 되게 되었다. 그 결과 제조가 간단하고 원가도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전개방자세로 설정한 때에, 이 도어와 대향하는 위치로 되는 상기 선회체 또는 캐빈에 대하여 도어가 일부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도어를 전개방자세로 설정할 때에 도어의 일부를 선회체 또는 캐빈의 오목부로 들어가게 해서 도어를 선회체, 혹은 캐빈을 따르는 자세로 설정할 수 있게 되고,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는 것과 비교하여 도어를 크게 요동개방시킬 수가 있다. 그 결과 선회체나 캐빈으로부터 도어가 밖으로 내뻗는 불편함을 억제하는 것으로 되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과 이점은 이하의 도면을 사용한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호(1)는 주행장치(2), 선회체(30), 및 굴착장치(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백호(1)는 주행방향(도 1에서 좌우방향)을 전후방향이라고 칭하고, 이것에 직교하는 옆방향(도 1에서 지면(紙面)에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방향이라고 칭하고 있다.
상기 주행장치(2)는 고무제 띠로 이루어지는 좌우의 크롤러주행체(5)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들 좌우의 크롤러주행체(5)를 구동하는 주행모터(M)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또 이들 좌우의 크롤러주행체(5)의 앞부위치에는 이 크롤러주행체(5)의 트럭프레임(2A)에 대하여 기복자유롭게 불도저(6)가 설치되어 있다.
선회체(3)는 주행장치(2)의 좌우의 크롤러 주행체(5)의 중앙위치에 있어서, 트럭프레임(2A)에 설치된 축받이체(선회베어링)(7)에 대하여 이 축받이체(7)의 선회축심(X) 주위에서 선회자유롭게 지지된 선회프레임(8)과, 이 선회프레임(8)에 탑재된 각종기기(엔진, 라디에이터, 탱크) 등을 덮는 보닛(9)과 이 보닛(9)의 위에 설치된 좌석(10)이나, 그 근방의 조정부(10A)를 덮는 캐빈(1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닛(9)은 고정보닛(9A)과, 이 고정보닛(9A)의 후단에 있어서 힌지를 통하여 개폐자유롭게 지지된 후부보닛(9B)과, 캐빈(12)의 우측옆에 있어서 탱크, 바테리를 덮는 풀오픈형의 측부보닛(9C)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석(10)은 실질적으로 고정보닛(9A)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선회프레임(8)은 상면에 각종 기기를 부착하는 부착브래킷이 세워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13)의 외주를 FRP제, 또는 강판제의 커버부재(14)로 덮혀서 구성되어 있다. 이 선회프레임(8)의 후부에 위치하는 베이스플레이트(13)에는 카운터웨이트(15)를 설치하고, 선회프레임(8)의 전단에 구비된 굴착장치(4)와의 중량밸런스를 도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선회프레임(8)은 베이스플레이트(13)에 설치된 선회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상기 선회축심(X) 주위에서 선회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이 백호(1)는 선회체(3)를 선회축심(X) 주위에서 선회시킬 때에, 이 선회체(3)의 뒤 가장자리부(3A)가 좌우의 크롤러주행체(5)의 옆방향의 외부끝끼리의 사이의 폭내에 수용되도록 이 뒤 가장자리부(3A)를 평면에서 보아 선회축심(X)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성형하고, 또 이 선회체(3)(선회프레임(8))의 우측 가장자리부(3B)와, 좌측 가장자리부(3C)가 평면에서 보아 전후자세로 되는 직선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결국 이 백호는 후방 소선회타입이라 하는 것이며, 선회체(3)의 선회시에 선회체(3)의 뒤 가장자리부(3A)가 그리는 원호형상의 선회궤적이 좌우의 크롤러주행체(5)의 옆방향의 외부끝끼리의 사이의 폭내로 수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프레임(8)의 전면측에는 굴착장치(4)를 지지하는 상하 한쌍의 피벗지지부재(16)가 전방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피벗지지부재(16)에는 세로방향자세의 지축을 통하여 스윙브래킷(17)이 좌우방향으로 요동자유롭게 피벗지지되고, 이 스윙브래킷(17)은 선회프레임(8)의 내부에 설치된 스윙실린더(17A)에 의해 요동구동된다.
굴착장치(4)는 기부를 스윙브래킷(17)에 옆방향자세의 축주위에서 요동자유롭게 지지된 붐(18)과, 이 붐(18)의 선단측에 옆방향자세의 축 주위에서 요동자유롭게 연결된 암(19)과, 이 암(19)의 선단측에 옆방향자세의 축주위에서 연결된 버킷(2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붐(18)은 스윙브래킷(17)과 이 붐(18)과의 사이에 개장된 붐실린더(21)에 의해 요동구동되고, 암(19)은 붐(18)의 중간부와 이 암(19)과의 사이에 개장된 암실린더(22)에 의해 요동구동되고, 버킷(20)은 암(19)의 기부와 버킷(20)의 부착링크와의 사이에 설치된 버킷실린더(23)에 의해 요동구동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캐빈(12)은 선회프레임(8)의 전단부에 세워설치된 좌우의 전지주(25)와, 고정보닛(9A)의 상면에 세워설치된 좌우의 후지주(26)와, 선회프레임(8)의 전후방향의 중간위치에 세워설치된 좌우의 중간지주(27)와, 이들의 상단끼리를 연결하는 상단틀(도시 생략)로 이루어지는 캐빈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캐빈프레임의 상단틀에는 천정판(28)을 구비하고, 좌우의 전지주(25)의 사이에는 프론트글라스(29A)를 갖는 프론트패널(29)을 구비하고, 좌우의 후지주(26)의 사이에는 리어글라스(30A)를 갖는 리어패널(30)을 구비하고 있다.
캐빈(12)의 좌측측면의 전부위치에는 작업자가 승강하기 위한 개구부(31)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31)에는 도어(32)가 요동개폐자유롭게 구비되어 있다. 이 개구부(31)는 전지주(25)와, 중간지주(27)와, 이들의 상부위치의 상단틀과, 이들의 하부위치의 하단틀로 4각형 틀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틀형상부의 내주에는 도어(32)를 밀봉하는 고무제의 밀봉부재(33)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어(32)의 상하위치에는 도어글라스(32A, 32B)를 갖는 도어패널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31)에 있어서 캐빈후부측에 힌지(34)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힌지(34)의 개폐축심을 도어(32)의 후단위치보다 캐빈 앞측에 배치하고 있다. 즉 힌지(34)는 개구부(31)에 볼트에 의해 연결하는 경첩(34A)과, 도어(32)의 후단에 볼트에 의해 연결하는 경첩(34B)과, 이들의 경첩(34A, 34B) 각각을 상기 개폐축심 주위에서 요동자유롭게 연결하는 축체(34C)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경첩(34A, 34B)을 절곡성형함으로써 축체(34C)의 위치를 도어(32)의 후단위치로부터 앞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닫히는 자세에 있어서 도어(32)의 전단측에서 상하방향의 중간위치에 개폐로크장치(자물쇠 채움기구)(35)를 구비함과 동시에, 닫히는 자세에 있어서 도어(32)의 전단측에서 도어(32)의 외면측에 로크부재(36)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지주(27)와 후지주(26) 사이에 사이드글라스(37A)를 갖는 사이드패널(37)을 구비하고 있고,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32)가 사이드패널(37)을 따르는 자세의 전개방자세로 설정되었을 때에는 로크부재(36)에 걸어맞춤하여 도어(32)를 전개방자세로 걸어맞춤유지하는 로크금구(41)를 사이드패널(37)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어(32)의 캐빈내면측에는 개폐의 보조구로서 난간(38)을 구비하고 있다.
또 캐빈(12) 중, 개구부(31)가 형성된 측의 외벽면(좌측의 벽면)이 적어도 도어(32)의 두께분 만큼 선회프레임(8)의 내측으로 편위되어 위치형성되어 있고, 또한 도어(32)를 전개방자세로 설정한 때에 도어(32)와의 접촉을 피하여 도어(32)의 일부가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는 오목부(39)를 선회프레임(8)(선회체(3))에 형성하고 있다. 이 오목부(39)는 선회프레임(8)의 후부위치로부터, 이로부터 상방으로 연속해 있는 카운터웨이트(15), 후부보닛(9B)의 측면을 내측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었으므로, 닫히는 자세의 도어(32)를 개방조작할 때에는, 닫히는 자세에 있어서 도어(32)의 전단위치를 외방으로 끌어내므로써, 도어(32)가 요동축심(Y) 주위를 요동하여 상기 전개방자세에 도달하고, 로크부재(36)가 로크금구(41)에 걸어맞춤하여 전개방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 전개방자세에서는 닫히는 자세에 있어서 도어(32)의 전단위치가 상기 오목부(39)에 들어가는 형태로 캐빈후방으로 향하는 자세에 도달하고, 평면에서 보아 도어(32)전체가 선회프레임(8)의 외부 가장자리보다 내방으로 수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결과 도어(32)가 전개방자세에 도달한 때에는, 폐쇄자세에 있어서 도어(32)의 전단이, 선회프레임(8)의 뒤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고, 이 도어(32)의 끝부가 선회축심 주위에서 선회프레임(8)의 선회영역내로 수용되어, 선회체(3)를 선회축심(X) 주위에서 선회시킨 때에도 도어(32)가 전주 등에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 6은 캐빈(12)과 도어(32)의 다른 실시형태이며, 좌우의 전지주(25), 좌우의 중간지주(27), 및 좌우의 후지주(26)를, 전후방향자세의 직선상에 배치하여 캐빈(12)의 좌측면을 세로자세의 평면형상으로 형성하고, 또 프론트패널(29), 리어패널(30), 및 사이드패널(37)에 의해 4각형상의 캐빈(12)을 구성하여, 도어(32)와 사이드패널(37)을 동일평면상에 배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 4에 도시하는 구조의 것과 비교하여 중간지주(27)가 캐빈내부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되므로, 캐빈(12)의 내부공간이 좁아지기는 하지만, 도어(32) 및 프론트패널(29), 리어패널(30), 사이드패널(37)의 구성이 단순화되어, 제작비의 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석(10)으로부터 투시가능한 위치에 천정창(28A), 바람직하게는 개폐자유로운 선루프형식의 천정창(28A)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프론트, 리어 등의 유리에는 와이퍼장치를 구비시킬 수가 있어, 전지주(25)의 도어측의 외면에는 승강용의 난간(4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도어가 개폐축심주위에서 요동개폐하는 단순한 지지구조로 되므로 종래의 기술에서 예를 들은 복잡한 구조를 채용하지 않고도 되어, 고장이 발생되기 어렵고, 장래 원가상승하는 일이 없으며, 선회체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도어가 돌출하는 불편을 저지할 수 있는 백호가 합리적으로 구성된다. 또 도어를 전개방자세로 설정하여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도 도어나 전주 등을 파손시키는 일이 없이 원활한 선회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캐빈이나 도어를 거의 개량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가 간단하고 원가도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어를 크게 요동개방시킬 수가 있게 되어 선회체나 캐빈으로부터 도어가 밖으로 내뻗는 불편함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주행장치(2) 상에 축받이체(7)를 통하여 세로방향자세의 선회축심(X) 주위에서 선회자유롭게 선회체(3)를 구비하고, 이 선회체(3)에 구비된 캐빈(12)의 측면의 승강용의 개구부(31)에 대하여 세로방향자세의 개폐축심(Y) 주위에서 요동개폐자유롭게 도어(32)를 구비하고 있는 백호에 있어서,
    상기 개폐축심(Y)을 상기 개구부(31)에 있어서의 캐빈 후부측에서, 또한 도어(32)의 후단위치보다 캐빈앞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이 도어(32)의 개방조작형태를 닫히는 자세에 있어서 도어(32)의 전단측을 캐빈외방으로 끌어내므로써 이 도어(32)를 상기 개폐축심(Y) 주위에서 요동시키도록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32)가 닫히는 자세에 있어서의 전단측을 캐빈(12)의 후방으로 향하게 하는 전개방자세로 설정자유롭게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선회축심(Y) 주위에서 상기 선회체(3)가 선회한 때에 선회체(3)가 그리는 선회영역내에, 상기 전개방자세에 있어서의 도어(32)의 전단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31)에 연결되는 경첩(34A)과, 상기 도어(32)에 연결되는 경첩(34B)과, 각각의 경첩(34A, 34B) 끼리를 상기 개폐축심(Y) 주위에서 요동자유롭게 연결하는 축체(34C)로 이루어지는 힌지(34)를 구비함과 동시에, 각각의 경첩(34A, 34B)의 절곡성형에 의해 축체(34C)의 위치를 도어(32)의 후단위치보다 캐빈앞측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32)를 전개방자세로 설정한 때에, 이 도어(32)와 대향하는 위치로 되는 상기 선회체(3) 또는 캐빈(12)에 대하여 도어(32)의 일부가 들어가게 허용하는 오목부(39)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
KR10-2000-0049456A 1999-09-01 2000-08-25 백호 KR100382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754499 1999-09-01
JP99-247544 1999-09-01
JP26239299 1999-09-16
JP99-262392 1999-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202A true KR20010050202A (ko) 2001-06-15
KR100382823B1 KR100382823B1 (ko) 2003-05-09

Family

ID=2653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456A KR100382823B1 (ko) 1999-09-01 2000-08-25 백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02896B1 (ko)
EP (1) EP1081294B1 (ko)
KR (1) KR1003828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3925B2 (ja) * 2000-01-19 2008-07-09 ヤンマー株式会社 バックホーのキャビン
US6682130B2 (en) * 2002-02-06 2004-01-27 Volvo Trucks North America, Inc. Service vehicle
EP1471217B1 (en) * 2003-04-25 2007-04-25 Perkins Engines Company Limited Deflector for limiting the ingress of liquid oil
JP4744296B2 (ja) * 2003-09-09 2011-08-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キャブ
EP1666341B1 (en) * 2003-09-10 2010-01-27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CN100482901C (zh) * 2004-03-29 2009-04-29 株式会社久保田 具有旋转台的旋转作业机
CN1898447B (zh) * 2004-06-07 2010-07-14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
US20070028488A1 (en) * 2005-07-19 2007-02-08 Brad Bilinsky Bracket and Method for Transport of Articulated Arm Attachment
US20070145759A1 (en) * 2005-12-28 2007-06-28 Timberpro Inc. Mobile device for handling material
JP4819647B2 (ja) * 2006-10-23 2011-11-2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7699328B2 (en) * 2007-07-16 2010-04-20 Timberpro Inc. Retractable step for cab of mobile machine
US8070170B2 (en) * 2007-11-12 2011-12-06 Timberpro, Inc. Tilt device for a material handling machine
JP5185721B2 (ja) * 2008-07-29 2013-04-1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DE202008013896U1 (de) * 2008-10-17 2010-03-11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Verfahrbares Arbeitsgerät
JP2013501864A (ja) * 2009-08-13 2013-01-17 ボルボ コンストラクション イクイップメント アーベー ドアロック装置及びドアロック装置を含む作業機械
KR101625677B1 (ko) * 2009-12-08 2016-05-3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 중장비용 전방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JP5054805B2 (ja) * 2010-06-09 2012-10-2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418425B2 (ja) * 2010-07-01 2014-02-1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キャビンのドア
EP2789752B1 (en) * 2013-04-11 2018-06-06 Yanmar Co., Ltd. Attaching structure for door of working vehicle
USD759127S1 (en) 2014-01-24 2016-06-14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Power shovel
USD768549S1 (en) * 2014-02-21 2016-10-11 Kubota Corporation Backhoe
USD742934S1 (en) * 2014-02-21 2015-11-10 Kubota Corporation Backhoe
USD792481S1 (en) * 2016-10-28 2017-07-18 Kubota Corporation Backhoe
USD806137S1 (en) * 2016-10-28 2017-12-26 Kubota Corporation Backhoe
DE102019102999A1 (de) * 2019-02-07 2020-08-13 Hamm Ag Bodenbearbeitungsmaschine
US11376929B2 (en) 2019-12-10 2022-07-05 Hyster-Yale Group, Inc. Lift truck operator compartment doo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238A (en) * 1892-08-02 Hinge
US1934074A (en) * 1931-12-05 1933-11-07 Campbell Company As Hanging of doors
US2207046A (en) * 1937-04-27 1940-07-09 Nat Lock Co Hinge
US2529200A (en) * 1945-05-14 1950-11-07 Unit Crane & Shovel Corp Material handling machine
US4082343A (en) * 1974-01-23 1978-04-04 Hurt Ii William C Resiliently mounted cab-sidewall retainer
US4035016A (en) * 1976-04-21 1977-07-12 Caterpillar Tractor Co. Door holding assembly
US4095839A (en) * 1976-05-24 1978-06-20 Caterpillar Tractor Co. Falling object protective structure
JPH076217B2 (ja) * 1987-10-09 1995-01-30 日立建機株式会社 全旋回式作業機
US5016721A (en) * 1987-10-09 1991-05-21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Full-turn type working machine
JP2601681B2 (ja) * 1988-03-10 1997-04-16 日立建機株式会社 全旋回式作業機
JP2657541B2 (ja) * 1988-12-28 1997-09-24 日立建機株式会社 全旋回式作業機
JPH084054A (ja) * 1994-06-17 1996-01-09 Sumitomo Constr Mach Co Ltd キャビンのドア補助ハンドル装置
US5491875A (en) * 1994-07-22 1996-02-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Extended cab pickup truck concealed cargo door hinge
JPH08291538A (ja) 1995-04-21 1996-11-05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車体構造
JPH09132033A (ja) * 1995-11-07 1997-05-20 Toyota Motor Corp 自動車用ドアヒンジ
KR100294480B1 (ko) * 1996-06-04 2001-09-17 세구치 류이치 운전실 부착 작업기
JPH11100864A (ja) * 1997-09-29 1999-04-13 Kubota Corp 旋回作業機のドア構造
JP3714785B2 (ja) * 1998-01-09 2005-11-0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KR100327728B1 (ko) * 1998-05-26 2002-03-15 세구치 류이치 건설기계용 캐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81294B1 (en) 2011-12-14
US6502896B1 (en) 2003-01-07
EP1081294A1 (en) 2001-03-07
KR100382823B1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2823B1 (ko) 백호
JP4113925B2 (ja) バックホーのキャビン
US20070072063A1 (en) Construction machine
JP6106769B2 (ja) 油圧ショベル
WO2002022968A1 (fr) Cabine d'engin de construction
RU2517143C2 (ru) Рабочая машина
JP2009243069A (ja) バックホー
JP2008303566A (ja) 作業車両のヒンジ構造
JP3652226B2 (ja) 旋回作業機
JP2007145092A (ja) 車体構造
JP2011246889A (ja) 建設機械
JP5054805B2 (ja) 建設機械
JP3679277B2 (ja) 旋回作業機の上部構造
JP2005188219A (ja) 建設機械のドア装置
JP2009243070A (ja) バックホー
JP3626131B2 (ja) 小型旋回作業機のキャビン
JP2000080678A (ja) 超小旋回作業機
JP4614894B2 (ja) 作業車のキャノピ
JP2002002536A (ja) 作業用車両
JP3626392B2 (ja) バックホーの旋回台
JPH09316928A (ja) 旋回作業機
JP2000096623A (ja) 旋回作業機のドア構造
JP3535979B2 (ja) 旋回作業機
JP6482925B2 (ja) 作業機
JP3703085B2 (ja) ヒ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