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193A -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 - Google Patents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193A
KR20010050193A KR1020000049220A KR20000049220A KR20010050193A KR 20010050193 A KR20010050193 A KR 20010050193A KR 1020000049220 A KR1020000049220 A KR 1020000049220A KR 20000049220 A KR20000049220 A KR 20000049220A KR 20010050193 A KR20010050193 A KR 20010050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r
passage
wall
passage portion
cylinde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9259B1 (ko
Inventor
나카노케이이치
키모토키요하루
오하시타모츠
오카노슈운지
Original Assignee
구보다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구보다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50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2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9/00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 F02M29/14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re-atomising or homogenising being effected by unevenness of internal surfaces of mixture int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3/00Other 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3/02Other 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collecting and returning condense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실린더헤드(23)내에, 혼합기입구(10)와, 이 혼합기입구(10)에서 분기한 분기통로(11)와 연통한 흡기포트(12)를 설치, 기화기(1)의 혼합통로(4)의 출구(4a)를 혼합기입구(10)에 연통시켜, 상기 슬로포트(slow port)(6)를 혼합통로(4)의 천정벽
(4b)에 하향으로 형성하고, 이 슬로포트(slow port)의 하류에서 혼합기입구(10)의 상류에 위치하는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원주벽에 액체연료받이(31)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

Description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INTAKE DEVICE FOR MULTI-CYLINDER ENGINE}
본 발명은,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에는, 슬로포트(slow port)가 기화기의 혼합통로의 천정벽에 형성된 것이 있다. 이 흡기장치에는, 슬로포트(slow port)에서 혼합통로의 천정벽면에 넘친 액체연료가, 혼합통로의 내벽면에 따라 하류로 흐르는 일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흡기장치에는, 이 천정벽의 슬로포트(slow port)에서 하류로 흐르는 액체연료의 무화(霧化)를 촉진시키는 수단이 없다. 이 때문에, 실린더헤드내에 형성된 각 흡기포트에 연료가 액체상태 그대로 흘러들어 가는 일이 있다. 이 경우에는, 각 기통으로의 연료의 분배가 불균일로 되어, 공급연료의 과부족에 따라, 착화(着火)미스나 배기가스중의 CO 농도가 증가한다.
또한, 종래의 흡기장치 대부분은, 실린더헤드에 흡기 매니홀드를 끼워 기화기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실린더헤드에서 기화기가 크게 돌출되어 이것이 엔진의 대형화 요인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액체연료의 무화(霧化)를 촉진시키고 엔진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계하는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의 횡단평면도.
도 1(B)은, 도 1(A)에 나타내는 흡기장치 주요부의 종단측면도.
도 1(C)은, 도 1(A)에 나타내는 흡기장치에 사용되는 절연체(insulator)의 정면도.
도 2는, 도 1(A)에 나타내는 흡기장치를 갖춘 다기통엔진의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계하는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의 횡단면도.
도 3(B)은, 도 3(A)에 나타내는 흡기장치 주요부의 종단측면도.
도 3(C)은, 도 3(A)에 나타내는 흡기장치에 사용되는 절연체(insulator)의 정면도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도 1(B) 또는 도 3(B)에 예시한 것처럼, 슬로포트(slow port)(6)를 혼합통로(4)의 천정벽(4b)에 하향으로 형성하고, 이 슬로포트(slow port)(6)의 하류에서, 혼합기입구(10)의 상류에 위치하는 혼합기통로부분(7a)의 원주벽으로 액체연료받이(31)를 설치한 것으로, 다음 이점을 갖추고 있다. 슬로포트
(slow port)(6)에서 낙하한 연료유 방울은, 혼합통로(4)를 통과하는 혼합기의 기류에 휩쓸려 무화(霧化)가 촉진된다. 슬로포트(slow port)(6)에서 혼합통로(4)의 천정벽면에 넘친 액체연료는, 혼합통로(4)의 내벽면에 따라 하류로 흐르는 과정에서, 어느정도 무화(霧化)된다. 흐르는 과정에서 무화(霧化)되지 않은 액체연료는, 액체연료받이로 받아내고, 혼합기의 기류의 작용에 의해 무화(霧化)가 촉진된다. 이렇게 해서, 혼합통로(4)의 천정벽(4b)의 슬로포트(slow port)(6)에서 유출한 액체연료는 도 1(A) 또는 도 3(A)에 예시하는 실린더헤드(23)의 혼합기입구(10)에 도달하기 직전에 무화(霧化)가 촉진된다. 이 때문에, 연료가 혼합기입구(10)에서 분기통로(11)를 통하여 각 흡기포트(12)로 균등하게 분배되고, 각 기통으로의 연료분배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불비(不備), 즉 착화미스나 배기가스중의 CO 농도의 증가등의 불비(不備)가 억제된다.
또한, 청구항 1의 발명은, 도 1(A) 또는 도 3(A)에 예시하는 것처럼, 실린더헤드(23)내에 분기통로(11)를 갖춘 것이므로, 흡기 매니홀드가 불요하게 되고, 실린더헤드(23)에서의 기화기(1)의 돌출을 작게 할 수가 있어, 엔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도 1(B) 또는 도 3(B)에 예시한 것처럼, 액체연료받이
(31)가,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천정벽(7b)에 요(凹)설한 홈(8)을 갖춘 것이므로, 다음 이점도 갖춘다. 혼합기 기류의 속도가 비교적 빠른 경우, 슬로포트(slow port)(6)에서 혼합통로(4)의 천정벽면으로 넘친 많은 액체연료는, 혼합통로(4)의 천정벽면에 따라 하류로 흐르나, 흐르는 과정에서 무화되지 않은 액체연료는, 혼합기통로부분(7a)의 천정벽(7b)에 요(凹)설한 홈(8)로 유입하고, 여기서 받아내어, 홈(8)의 개구부 부근을 통과하는 혼합기의 기류에 의해 발생하는 부압으로 무화(霧化)가 촉진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도 1(A) 또는 도 3(A)에 예시하는 것처럼, 액체연료받이
(31)가,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좌우 양측벽(7c)에 요(凹)설한 홈(8)도 갖춘 것이므로, 다음 이점도 갖춘다. 혼합기 기류의 유속이 비교적 늦은 경우, 슬로포트
(slow port)(6)에서 혼합통로(4)의 천정벽에 넘친 많은 액체연료는 최초, 혼합통로
(4)의 천정벽에 따라 하류로 흘러, 점차 자중으로 하강하면서, 혼합통로(4)의 좌우 양측벽면을 따라 하류로 흐르나 흐르는 과정에서 무화(霧化)되지 않은 액체연료는,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좌우 양측벽(7c)에 요(凹)설한 홈(8)으로 유입하고, 여기서 받아내, 홈(8)의 개구부 부근을 통과하는 혼합기의 기류에 의해 발생되는 부압의 작용으로 무화(霧化)가 촉진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도 1(B) 또는 도 3(B)에 예시한 것처럼, 액체연료받이
(31)가,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천정벽(7b)에서 돌출시킨 벽(9a)을 갖추고, 이벽(9a)에서 혼합기의 죄임홀(9)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므로, 다음 이점도 가진다. 혼합통로(4)의 천정벽면에 따라 하류로 흐르는 과정에서 무화(霧化)되지 않은 액체연료는,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천정벽(7b)에서 돌출시킨 벽(9a)으로 막혀, 조임홀
(9)을 통과하는 혼합기의 기류에 의해 발생하는 부압의 작용으로 무화(霧化)가 촉진되다.
청구항 5의 발명은, 도 1(A) 또는 도 3(A)에 예시한 것처럼, 액체연료받이
(31)가,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좌우 양측벽(7c)에서 돌출시킨 벽(9a)을 갖추고, 이벽(9a)에서 혼합기의 죄임홀(9)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므로, 다음의 이점도 갖춘다. 혼합통로(4)의 좌우 양측벽면에 따라 하류도 흐르는 과정에서 무화(霧化)되지 않은 액체연료는,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좌우 양측벽(7c)에서 돌출시킨 벽(9a)으로 막히고, 조임홀(9)을 통과하는 혼합기의 기류에 의해 발생하는 부압의 작용으로 무화(霧化)가 촉진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도 1(B) 또는 도 3(B)에 예시한 것처럼, 액체연료받이
(31)가,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천정벽(7b)에 요(凹)설한 홈(8)과,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천정벽(7b)에서 돌출한 벽(9a)을 갖추고, 이벽(9a)에서 혼합기의 죄임구멍(9)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다음 이점도 갖춘다. 혼합통로(4)의 천정벽면에 따라서 하류로 흐르는 과정에서 무화(霧化)되지 않은 액체연료는,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천정벽(7b)에 요(凹)설한 홈(8)으로 유입한다. 홈(8)에 유입한 액체연료는, 홈(8)의 개구부부근을 통과하는 혼합기의 기류에 의해 발생하는 부압의 작용으로, 홈(8)내에서 액체상태 그대로 하류도 흘러나오도록 하는 경우가 있으나, 벽(9a)에서 확실하게 막혀, 홈(8)의 개구부부근을 통과하는 혼합기의 기류와, 조임홀(9)을 통과하는 혼합기의 기류에 의해 각각 발생하는 부압의 작용으로 무화(霧化)가 촉진된다.
또한, 벽(9a)에 의한 액체연료의 막아냄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벽(9a)을 높게 해도, 홈(8)이 어느정도만, 벽(9a)의 돌출치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조임홀
(9)의 조임저항이 불필요하게 크게 되는 일이 없고, 높은 출력을 확보할 수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도 1(A) 또는 도 3(A)에 예시하는 것처럼, 액체연료받이 (31)가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좌우 양측벽(7c)에 요(凹)설한 홈(8)과, 이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좌우 양측벽(7c)에서 돌출시킨 벽(9a)을 갖춘 것이므로, 다음 이점이 있다. 혼합통로(4)의 좌우 양측벽면에 따라 하류로 흐르는 과정에서 무화(霧化)되지 않은 액체연료는,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좌우 양측벽(7c)에 요(凹)설한 홈(8)에 유입함과 동시에, 벽(9a)에서 확실히 막히게 된다. 또한, 벽(9a)의 폭을 크게 해도, 홈(8)이 있는 분만큼, 벽(9a)의 돌출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도 1(A),(B) 또는 도 3(A),(B)에 예시하는 것처럼, 혼합통로(4)의 출구(4a)와 혼합기입구(10)를 절연체(7)를 끼워 연통시키고, 이 절연체
(7)내에 연료받이(31)를 형성한 것이므로 다음의 이점이 있다. 절연체(7)의 성형형태는, 기화기(1)의 혼합보디(1a)와 실린더헤드(23)의 성형형태에 비하여 단순한 구조이므로 혼합보디(1a)등에 액체연료받이(31)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액체연료받이(31)를 형성하기 위한 형성형의 가공이나 형(型) 빼기에 지장이 생기게 하기 어렵다.
청구항 9의 발명은, 도 1(A),(B) 또는 도 3(A),(B)에 예시하는 것과 같이, 절연체(7)의 길이 L1을, 슬로포트(slow port)(6)에서 혼합통로(4)의 출구(4a)까지의 길이 L2 보다도 짧게 한 것이므로, 다음의 이점이 있다. 절연체(7)이 짧으므로, 절연체(7)에 의한 혼합기의 통기저항이 불필요하게 크게 되는 일이 없다. 또한, 실린더헤드(23)에서의 기화기(1)의 돌출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엔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도 1(A) 또는 도 3(A)에 예시한 것처럼 스로틀밸브(5)의 밸브축(5a)을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하여, 분기통로(11)를 V자상으로 형성한 것이므로, 다음의 이점이 있다. 혼합기가 스로틀밸브(5)에서 혼합기입구(10)로 향해 좌우 균등하게 분배되고, 혼합기입구(10)로부터 V자상의 분기통로(11)를 경유해, 각 흡기포트(12)로 균등하게 분배되므로, 각 기통에 분배되는 혼합기의 균일화를 촉진할 수가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도 1(A),(B) 또는 도 3(A),(B)에 예시하는 것처럼, 홈(8)이, 혼합통로(4)의 출구(4a)의 개구둘레에서 단락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다음 이점이 있다. 혼합통로(4)의 천정벽면이나 좌우 양측벽면에 따라 흐르는 과정에서 무화(霧化)되지 않은 액체연료가, 혼합통로(4)의 출구(4a)에서 유출한 직후에 홈(8)으로 유입하므로, 액체연료의 무화(霧化)가 신속하게 행해진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도 3(B)에 예시한 것처럼 혼합기 통로부분(7a)의 벽바닥(7d)으로부터는 벽(9a)을 돌출시키지 않은 것이므로, 다음의 이점을 갖춘다. 바닥(7d)에서의 벽(9a)가 돌출되지 않은 분만큼 조임홀(9)의 조임저항이 불필요하게 크게 되는 일이 없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계하는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를 설명하는 도이다. 이 엔진은, 종형으로 4사이클의 수냉 2 기통 가솔린엔진이다.
이 엔진(E)의 구성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크랭크케이스(21)와 실린더부(20)를 일체로 형성한 실린더블록(22)의 상부에 실린더헤드(23)를 조립, 실린더블록(21)의 앞부분에 기어케이스(24)를 조립, 그 전방에 라디에이터(25) 및 냉각팬(26)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실린더헤드(23)의 우측벽의 전후방향 중앙부에, 기화기(1)를 조립, 여기에 도시 않은 에어크리너가 조립되어 있다.
또한, 도 2중의 부호(16)는 가버너레버, (17)은 이 가버너레버(16)에 스로틀밸브(5)의 밸브축(5a)을 연결하는 연결로드, (18)은 조속 조작레버, (19)는 가버너스프링을 각각 나타내고, 부호(27)는 오일필터, (28)는 연료펌프, (29)는 점화플러그, (30)는 머플러를 각각 나타낸다.
이 엔진(E)의 흡기장치(15)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1(A)에 나타내는 것처럼, 흡기장치(15)는, 기화기(1)와 실린더헤드(23)내의 흡기통로와 절연체(7)를 갖추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기화기(1)는, 실린더헤드(23)의 횡측벽에 설치되어 있다. 기화기(1)는, 혼합보디(1a)와 연료집합소(1b)를 갖추고 있다. 도 1(A),(B)에 나타내는 것처럼, 혼합보디(1a)의 내부에는, 벤츄리부(2)를 형성하고, 이 벤츄리부(2)에 메인노즐(3)을 설치하고 있다. 벤츄리부(2)의 상류에 나비형 쵸크밸브
(13)를 설치, 이 쵸크밸브(13)의 밸브축(13a)을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있다. 메인노즐(3)의 하류에 혼합통로(4)를 형성하고, 이 혼합통로(4)내 나비형 스로틀밸브(5)를 설치하고 있다.
혼합통로(4)는, 실린더헤드(23)의 횡측벽으로 향하게 하고, 실질적으로 수평인 방향으로 하고, 스로틀밸브(5)의 밸브축(5a)은, 혼합통로(4)와 실질적으로 수평인 방향으로 하고, 스로틀밸브(5)의 밸브축(5a), 혼합통로(4)와 실질적으로 수평인 방향으로 하고, 스로틀밸브(5)의 밸브축(5a)는, 혼합통로(4)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스로틀밸브(5)의 외원주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통로의 천정벽(4b)에 슬로포트(slow port)(6)을 하향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 1(A)에 나타내는 것처럼, 헤드(23)내의 흡기통로는, 혼합기입구(10)와, 이 혼합기입구(10)에서 분기한 두 다리의 분기통로(11)와 각 분기통로(11)와 연통한 흡기포트(12)를 갖추고 있다. 혼합기입구(10)는, 실린더헤드(23)의 횡측벽으로 개구시키고 있다. 도 1(A)에 나타내는 것처럼, 스로틀밸브(5)의 밸브축(5a)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분기통로(11)는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연체(7)는, 그 중심부에 혼합기 통로부분(7a)을 갖추고 있다. 이 절연체(7)는, 기화기(1)와 실린더헤드(23)와의 사이에 끼어 부착되고 절연체(7)의 혼합기 통로부분(7a)은, 기화기(1)의 혼합통로(4)의 출구(4a)와 실린더헤드(23)의 혼합기입구(10)와의 사이에 부착되어, 이들을 연통시킨다.
이 혼합기 통로부분(7a)은, 슬로포트(slow port)(6)의 하류이고, 혼합기입구
(10)의 상류에 위치하는 것이 된다. 절연체(7)의 길이는, 슬로포트(slow port)(6)에서 혼합통로(4)의 출구까지의 길이 L2 보다도 짧게 하고 있다.
이 혼합기 통로부분(7a)에, 액체연료받이(31)를 설치하고 있다. 이 액체연료받이(31)는, 홈(8)과 벽(9a)을 갖추고 있다. 홈(8)은,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천정벽(7b)와 좌우 양측벽(7c)에 연속적으로 요(凹)설 되어 있다. 이 홈(8)은, 절연체(7)에 요(凹)설된 움푹패인 단면 L자형의 내벽면과, 혼합통로(4)의 출구(4a)의 개구원주 둘레부의 평탄한 단벽면과에서, 단면 U자형으로 형성되어져 있고, 혼합통로(4)의 출구(4a)의 개구둘레에서 단락, 형성되어 있다.
벽(9a)은,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천정벽(7b)과 좌우 양측벽(7c)에서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중심방향으로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 벽(9a)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 벽(9a)에서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중앙부에 혼합기의 조임홀(9)에 형성된다.
즉, 이 혼합기 통로부분(7a)의 바닥면에는 벽(9a)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1(C) 나타내는 것처럼, 혼합통로(4)의 축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보아, 벽(9a)의 내둘레부는, 좌,우 양하단부를 제외하고, 혼합통로(4)의 출구(4a)의 개구둘레보다도 내측으로 내뻗어 있다.
또한, 도 1(A)중의 부호(14)는 배기통로, (14a)는 배기포트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제2 실시예에서는, 홈(8)을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전원주에 걸쳐 연속하는 링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벽(9a)도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전원주에 걸쳐 연속하는 링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C)에 나타내는 것처럼, 절연체(7)를 정면에서 보면, 조임홀(9)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C)에 나타내는 것처럼, 혼합통로(4)의 축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벽(9a)의 내원주 둘레부는, 혼합통로(4)의 출구(4a)의 개구둘레 보다도 내측으로 내뻗어 있다. 기타의 구조는, 제1 실시예와 같다. 도 3(A)∼(C)중, 도 1(A)∼(C)와 동일 요소에는 도 1(A)∼(C)와 동일부호를 붙여둔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홈(8)내에 유입한 액체연료가, 혼합기 통로부분(7a)의 바닥면까지 떨어진 경우에 있어서도, 이 연료는 벽(9a)에서 막혀, 홈(8)내에서 하류로 유출하기 어렵게 되고, 무화(霧化)가 촉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내용은 상기한 대로이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취지에 반하지 않은 범위에서, 다음과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액체연료받이(31)는, 홈(8)이나, 벽(9a)만으로 해도 좋다. 또한, 연료받이(31)를,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천정벽(7b)만, 좌우 양측벽(7c)만 형성해도 좋다. 액체연료받이(31)은, 기화기(1)의 혼합통로(4)내에 형성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기화기의 혼합통로의 천정벽의 슬로포트(slow port)에서 하류로 흐르는 액체연료의 무화(霧化)를 촉진시키고 실린더헤드에서 기화기가 크게 돌출되는 대형화 요인을 없애 소형화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기화기(1)의 벤츄리부(2)에 메인노즐(3)을 설치, 이 메인노즐(3)의 하류혼합통로(4)내에 스로틀밸브(5)를 설치, 이 스로틀밸브(5)의 외주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혼합통로(4)의 통로벽에 슬로포트(slow port)(6)를 설치,
    실린더헤드(23)내에, 혼합기입구(10)와, 이 혼합기입구(10)에서 분기한 분기통로(11)와, 각 분기통로(11)와 연통한 흡기포트(12)를 설치,
    상기 혼합통로(4)의 출구(4a)를 혼합기입구(10)에 연통시켜,
    슬로포트(slow port)(6)를 혼합통로(4)의 천정벽(4b)에 하향으로 형성하고, 이 슬로포트(slow port)(6)의 하류에서, 혼합기입구(10)의 상류에 위치하는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원주벽에 액체연료받이(31)를 설치한,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
  2. 청구항 1에 기재한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에 있어서,
    액체연료받이(31)가,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천정벽(7b)에 요(凹)설한 홈(8)을 갖는 것.
  3. 청구항 2에 기재한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에 있어서,
    액체연료받이(31)가,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좌우 양측벽(7c)에 요(凹)설한 홈(8)을 구비한 것.
  4. 청구항 1에 기재한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에 있어서,
    액체연료받이(31)가,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천정벽(7b)에서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중심방향으로 향해 돌출시킨 벽(9a)을 갖추고, 이 벽(9a)에서 혼합기 통로부분(7a)내에 혼합기의 조임홀(9)을 형성한 것.
  5. 청구항 4에 기재한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연료받이(31)가,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좌우 양측벽(7c)에서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중심방향으로 향해 돌출시킨 벽(9a)을 갖춘 것.
  6. 청구항 1에 기재한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연료받이(31)가,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천정벽(7b)에 요(凹)설한 홈(8)과,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천정벽(7b)에서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중심방향으로 향해 돌출시킨 벽(9a)를 갖추고, 이 벽(9a)에서 혼합기 통로부분(7a)내에 혼합기의 조임구멍(9)을 형성한 것.
  7. 청구항 6에 기재한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연료받이(31)가,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좌우 양측벽(7c)에 요(凹)설한 홈(8)과, 이 혼합기 통로부분(7a)의 좌우 양측벽(7c)에서 혼합기 통로부분
    (7a)의 중심방향으로 향해 돌출시킨 벽(9a)를 갖춘 것.
  8. 청구항 1에 기재한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합통로(4)의 출구(4a)와 혼합기입구(10)를 절연체(7)를 끼워 연통시켜, 이 절연체(7)내에 액체연료받이(31)을 형성한 것.
  9. 청구항 8에 기재한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에 있어서,
    절연체(7)의 길이(L1)를, 상기 슬로포트(slow port)(6)에서 혼합통로(4)의 출구(4a)까지의 길이(L2)보다도 짧게한 것.
  10. 청구항 1에 기재한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밸브(5)의 밸브축(5a)을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하고, 이 밸브축
    (5a)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분기통로(11)를 V자상으로 형성한 것.
  11. 청구항 2에 기재한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8)이, 혼합통로(4)의 출구(4a)의 개구둘레에서 단락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
  12. 청구항 5에 기재한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 통로부분(7a)의 바닥벽(7d)에서는 벽(9a)을 돌출시키지 않은 것.
KR1020000049220A 1999-11-16 2000-08-24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 KR100729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24813 1999-11-16
JP32481399A JP2001140710A (ja) 1999-11-16 1999-11-16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193A true KR20010050193A (ko) 2001-06-15
KR100729259B1 KR100729259B1 (ko) 2007-06-15

Family

ID=18169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220A KR100729259B1 (ko) 1999-11-16 2000-08-24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54284B1 (ko)
JP (1) JP2001140710A (ko)
KR (1) KR100729259B1 (ko)
CN (1) CN116786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0710A (ja) * 1999-11-16 2001-05-22 Kubota Corp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2002357132A (ja) * 2001-05-30 2002-12-13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の吸気量制御装置
US7296560B2 (en) * 2005-01-20 2007-11-20 Kubota Corporation Engine of spark-ignition type
JP4649428B2 (ja) * 2007-03-09 2011-03-09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3574B2 (ko) 1973-06-11 1978-07-15
JPS5581258A (en) * 1978-12-13 1980-06-19 Hitachi Ltd Mixed gas distribution mechanism for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5108262U (ko) * 1979-01-25 1980-07-29
GB2060765A (en) * 1979-08-24 1981-05-07 Chester R A Adding fluids in fuel-air mixture intake passages
US4381756A (en) * 1980-10-31 1983-05-03 Walter Mundorf Gasoline economizing attachment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375801A (en) * 1981-10-01 1983-03-08 Eckman Donald E Charge mixing carburetor plate
JPH0694852B2 (ja) * 1986-11-18 1994-11-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吸気マニホ−ルド
JPH0466759A (ja) * 1990-07-05 1992-03-03 Suzuki Motor Corp 船外機の吸気装置
JP2528218Y2 (ja) * 1991-08-19 1997-03-05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吸気通路構造
JPH0783133A (ja) 1993-09-17 1995-03-28 Kubota Corp 火花点火式多気筒エンジン
JPH07310599A (ja) 1994-05-16 1995-11-28 Teikei Kikaki Kk 気化器
US5572979A (en) * 1995-07-05 1996-11-12 Ford Motor Company Engine air induction system
JPH11280556A (ja) * 1998-03-27 1999-10-12 Kubota Corp エンジンの気化器
JP2001140710A (ja) * 1999-11-16 2001-05-22 Kubota Corp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54284B1 (en) 2002-03-12
CN1167869C (zh) 2004-09-22
JP2001140710A (ja) 2001-05-22
KR100729259B1 (ko) 2007-06-15
CN1296121A (zh) 2001-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0204B2 (en) Carburetor arrangement
US5201301A (en) Adjustable ambient air filtering system and pollution control device
EP1096138B1 (en) Engine fuel supply system
US4580544A (en) Fuel/air mixing using swirl chamber
JPH0345228B2 (ko)
US4303046A (en) Intake system of a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729259B1 (ko) 다기통엔진의 흡기장치
US6453894B1 (en) Power ring adapter assembly
US3168599A (en) Carburetor main fuel nozzle
US3047277A (en) Carbure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2146246A (en) Combined fuel mixer and degasser for vehicula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223180A (en) Carburetor fuel discharge assembly
JP3697385B2 (ja) 2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2000045880A (ja)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US6045054A (en) Air shroud for air assist fuel injector
US3415233A (en) Vacuum flow control for crankcase ventilation
US4430982A (en) Carbure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10252577A (ja) 内燃機関のegr分配装置
JPH06159075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RU2116493C1 (ru) Смес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стемы питани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US20160319774A1 (en) Air Distribu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70045101A (ko) 크랭크 케이스 블로바이가스 재순환장치
KR20000004276U (ko) 기관의 흡기 포트 구조
JPH06173828A (ja) 燃料噴射式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H0988607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渦流室式燃焼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