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976A - 재봉틀 - Google Patents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976A
KR20010049976A KR1020000044843A KR20000044843A KR20010049976A KR 20010049976 A KR20010049976 A KR 20010049976A KR 1020000044843 A KR1020000044843 A KR 1020000044843A KR 20000044843 A KR20000044843 A KR 20000044843A KR 20010049976 A KR20010049976 A KR 20010049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conditions
needle bar
needle
screen
needle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9595B1 (ko
Inventor
다지마이쿠오
아카오마사루
사토유지
Original Assignee
다지마 이쿠오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지마 이쿠오,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지마 이쿠오
Publication of KR20010049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10Arrangements for selecting combinations of stitch or pattern data from memory ; Handling data in order to control stitch format, e.g. size, direction, mirror image
    • D05B19/105Physical layout of switches or displays; Switches co-operating with the display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10Arrangements for selecting combinations of stitch or pattern data from memory ; Handling data in order to control stitch format, e.g. size, direction, mirror imag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5/00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 D05C5/04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by input of recorded information, e.g. on perforated tape
    • D05C5/06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by input of recorded information, e.g. on perforated tape with means for recording the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재봉틀은 복수의 바늘대를 구비한다. 바늘대중의 하나가 선택되어 소망하는 자수 패턴을 스티치하도록 왕복운동의 형태로 구동된다. 이 재봉틀은 공통의 설정 모드와 개별적인 설정 모드를 가져서 각종 작동 조건이 모든 바늘대에 대해서 공통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바늘대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설정되게 한다. 공통의 설정 모드가 선택되면, 모든 바늘대에 대해서 동일한 작동 조건이 공통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개별적인 설정 모드가 선택되면, 각각의 바늘대에 대해서 작동 조건이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재봉틀{SEWING MACHINES HAVING MULTIPLE-INDIVIDUALLY CONTROLLABLE NEEDLE BARS}
본 발명은 복수의 바늘대를 각기 갖는 하나 이상의 재봉 헤드를 구비하는 재봉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바늘대의 작동 변수 또는 조건이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다바늘형 재봉틀은 복수의 바늘대를 갖는 재봉 헤드를 구비한다. 상이한 특성(색채, 두께, 평활성 및/또는 탄성도와 같은 것)을 갖는 실이 각 바늘대에 설정된다. 조작자가 구동될 바늘대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이한 종류의 실을 이용하여 재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색채, 두께 및/또는 직물이 다양한 자수 제품을 자동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재봉틀은 조작자가 재봉동작을 시작하기 전에 각종 작동 조건 또는 변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그러한 작동 조건으로는 예를 들면 "실 절단 길이", "인칭 횟수" 및 "실 절단의 검출 정확도"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실 절단 길이"라 함은 윗실이 재봉틀에 의해서 의도하지 않게 절단된 후 바늘대로부터 연장하는 윗실의 길이를 말한다. "인칭 횟수"라 함은 바늘대가 정상의 재봉 동작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왕복운동하는 횟수를 말한다. "인칭" 동작은 실이 절단되고 새로운 실로 재봉 동작을 개시한 후에 보통 수행된다. 새로운 실을 직물 내에 설정하기 위하여 재봉틀이 그 실로 재봉을 시작할 때 바늘대가 먼저 느린 속도로 왕복운동하여, 실이 직물로부터 당겨질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사전결정된 수(즉 사전결정된 "인칭 횟수")의 느린 스티치 후, 바늘대는 정상적인 작동 속도에서 왕복운동을 시작하여 자수 동작을 완료한다.
공지된 다바늘형 재봉틀은 작동 조건 또는 변수가 재봉 헤드의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단순히 공통으로만 설정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결과적으로 각 바늘대 상에 설정된 실의 상이한 특성에 따라서 재봉 동작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바늘대 상에 설정된 실의 상이한 특성에 따라 재봉 동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개선된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개시내용에 따르면, 작동 조건 또는 변수가 동일한 재봉 헤드에서 상이한 바늘대 상에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개선된 재봉틀이 개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 1 바늘대가 제 1 의 설정 작동 조건 또는 변수를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고, 동일한 재봉 헤드 상의 제 2 바늘대가 제 2 의 설정 작동 조건 또는 변수를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게다가, 재봉 헤드 상의 각 바늘대에 대하여 작동 조건 또는 변수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거나, 또는 재봉 헤드 상의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동일한 작동 조건 또는 변수를 이용할 수 있는 재봉틀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동일한 작동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공통의 설정 모드나, 또는 각각의 바늘대에 대하여 상이한 작동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개별적인 설정 모드중의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작동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 도면 및 특허청구범위와 함께 읽으면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대표적인 다바늘형 재봉틀의 사시도,
도 2는 대표적인 재봉틀의 개략도,
도 3은 대표적인 제어박스 패널의 정면도,
도 4는 LCD의 대표적인 주 화면의 도면,
도 5는 초기 설정 모드에 대한 대표적인 화면의 도면,
도 6a 및 도 6b는 실 절단 길이 설정 모드의 대표적인 화면의 도면,
도 7a 및 도 7b는 실 절단 후 다수의 인칭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모드에 대한 대표적인 화면의 도면,
도 8a 및 도 8b는 의도하지 않았던 윗실 절단의 검출 정확성이 설정될 수 있는 설정 모드에 대한 대표적인 화면의 도면,
도 9a 및 도 9b는 의도하지 않았던 밑실 절단의 검출 정확성이 설정될 수 있는 설정 모드에 대한 대표적인 화면의 도면,
도 10은 실 절단 길이 설정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은 윗실과 밑실이 의도하지 않게 절단되었는지를 검출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대표적인 흐름도,
도 12는 윗실이 절단된 후 바늘대를 인칭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대표적인 흐름도,
도 13은 실 절단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대표적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재봉 헤드 15: 바늘대(needle bar)
18: 조작자 인터페이스 20: LCD
24: 위치 검출기 25: 바늘 선택 장치
26: 윗실 공급 장치 28: 윗실 공급량 검출기
29: 피커 장치(picker device) 30: 키패드
36: 실 절단 장치 41 내지 45: 터치 스위치
50: 메뉴 선택 영역 51: 수직 스크롤 바
52, 53, 60, 61: 화살표 키 54 내지 59: 라디오 버튼
재봉틀이 하나 이상의 재봉 헤드를 구비할 수도 있고, 재봉 헤드의 각각은 복수의 바늘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바늘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기(또는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의 기억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기억 장치는 재봉틀의 작동 조건 또는 변수와 작동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기억 장치는 각 바늘대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정된 작동 조건 또는 변수를 저장할 수 있다. 게다가 기억 장치는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공통으로 설정된 작동 조건 또는 변수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기가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공통으로 설정된 작동 조건이나, 또는 각 바늘대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정된 작동 조건 중 어느 하나에 의거하여 바늘대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특히, 제어기는 기억 장치내에 저장된 작동 프로그램에 따라 바늘대중 하나를 바람직하게 선택할 수도 있고, 또 기억 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는 선택된 바늘대에 대한 특정 작동 조건에 따라 재봉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재봉틀은 조작자가 작동 조건을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 표시부는 작동 조건에 대한 공통의 설정 화면과, 작동 조건에 대한 개별적인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공통의 설정 화면을 이용하여 설정된 작동 조건이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공통의 작동 조건으로서 기억 장치 내에 저장될 수 있다. 개별적인 설정 화면을 이용하여 설정된 작동 조건이 각각의 바늘대에 대한 작동 조건으로서 기억 장치 내에 저장될 수 있다.
표시장치는 각종 작동 조건에 대응하는 각종 항목을 도시하는 메뉴 선택 영역을 바람직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이 표시부는 메뉴 선택 영역에 설정된 각 항목에 대한 개별적인 설정 화면과 공통의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공통의 설정 화면은 예를 들면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공통으로 설정된 작동 조건의 식별을 구비할 수도 있다. 더구나, 개별적인 설정 화면은 예를 들면 각 바늘대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정된 작동 조건의 식별과 각각의 바늘대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예를 들면 구비할 수도 있다.
게다가, 작동 조건에 대한 각각의 공통적인 설정 화면과 작동 조건에 대한 각각의 개별적인 설정 화면은 예를 들면 조작자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항목과 조작자에 의하여 공통으로 설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항목의 식별을 구비할 수 있다. 조작자가 공통의 설정 모드를 선택할 때 공통의 설정 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다. 조작자가 개별적인 설정 모드를 선택할 때 개별적인 설정 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개시내용의 대표적인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이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들이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실시할 수 있도록 추가 세부를 개시할 의도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함은 아니다. 이 특허청구범위는 청구된 발명의 범위를 단순히 규정하는 것 뿐이다. 따라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개시된 특징 및 단계의 조합은 가장 넓은 의미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대신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특정하게 기술하기 위하여 개시하는 것이다.
도 1은 복수의 재봉 헤드를 구비할 수도 있는 대표적인 다-헤드/다-바늘형 재봉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재봉 헤드의 각각은 복수의 바늘대를 구비한다. 이 재봉틀은 재봉 테이블(10)과, 재봉 테이블(10) 위에서 연장하는 지지 프레임(12)과, 상기 지지 프레임(12) 상에 장착되며 지지 프레임(12)의 종방향으로 서로로부터 균등하게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재봉 헤드(14)(4개의 재봉 헤드를 대표적으로 도시함)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재봉 헤드(14)는 복수의 바늘대(15)(도 2에 9개의 바늘대를 도시함)를 구비할 수도 있다. 각 재봉 헤드에 대해 직물이나 다른 재료를 스티치하기 위하여 바늘대(15) 중 하나를 한꺼번에 선택할 수 있다. 이 선택된 바늘대(15)는 재봉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바늘대와 협동하는 다른 부품의 운동과 동기해서 구동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수직으로 왕복운동 구동될 수 있다. 직물 또는 자수대상의 다른 재료는 재봉 헤드(14)의 아래에 배치된 자수 프레임(16)에 의하여 신장 지지될 수도 있다. 변형예로서,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5,553,560 호(본 명세서에서 그 개시내용을 참조로 인용함)에 개시된 것과 같은 원통형 직물을 이용하여 원통형 직물 또는 캡을 스티치할 수도 있다.
X축 모터(32) 및 Y축 모터(33)가 재봉 테이블(10)에 대하여 각기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자수 프레임(16)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자수 프레임(16)이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자수 패턴이 선택된 바늘대(16)로서 직물 상에 형성될 수 있고, 그것의 협동 부품이 구동된다.
조작자 인터페이스(18)가 지지 프레임(12)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 조작자는 예를 들면 재봉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재봉틀 작동 조건을 구비하는 조작자 인터페이스(18)를 이용하여 각종 작동 조건 또는 변수를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그러한 정보를 조작자 인터페이스(18)에 직접 수동으로 입력하는 대신, CD-ROM, 플로피 디스크 또는 다른 기억 매체를 이용하여 작동 프로그램 또는 작동 조건을 재봉틀에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 인터페이스(18)는 CD-ROM, 플로피 디스크 또는 다른 기억 매체 상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을 바람직하게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이 중앙 처리 장치(CPU)(1), 자수 프로그램 또는 다른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읽기 전용 메모리(ROM)(2), 재봉틀 작동 조건과 같은 각종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3), 및 조작자 인터페이스(18)와 같은 제어기를 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 CPU(1), ROM(2) 및 RAM(3)은 버스선(4)에 연결될 수도 있다. 조작자 인터페이스(18)는 인터페이스(I/F)(5a)에 의하여 버스선(4)에 연결될 수도 있다. 공통으로 설정된 작동 변수 또는 개별적으로 설정된 작동 변수에 따라서 바늘대(15)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각종 다른 하드웨어 구성을 본 발명에 이용할 수도 있다.
주 모터(22)가 주 구동축(23)을 회전시킬 수도 있고, 이 주 구동축(23)은 바늘대 및 재봉 헤드의 다른 가동 부품을 구동시키며, 그 부품은 각각의 바늘대와 협동하여서 재봉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회전 엔코더와 같은 위치 검출기(24)가 주 구동축(23)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여서, 위치 검출기(24)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거하여 바늘대(15)의 수직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재봉 헤드(14)에 의하여 수직으로 구동될 바늘대(15)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바늘 선택 장치(25)를 이용할 수도 있다.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가질 수도 있는 윗실이 도 1에 도시한 각각의 윗실 공급 장치(26)로부터 각 재봉 헤드(14)의 바늘대(15)로 공급될 수도 있다. 윗실 공급량 검출기(28)(도 2에 단 하나만 도시함)가 윗실 공급 장치(26)로부터 대응하는 바늘대(15)로 공급된 윗실의 양을 검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공급량 검출기(28)의 각각이 롤러 및 펄스 발생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도 있다. 롤러는 대응하는 윗실 공급 장치(26)로부터 바늘대(15)로 공급되는 윗실과 결합하여, 윗실이 선택된 바늘대(15)로 공급됨에 따라 롤러가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펄스 발생기는 롤러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펄스를 출력하도록 롤러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변형예로서, 윗실 공급량 검출기(28)는 윗실의 공급 속도를 직접 검출할 수도 있다. 밑실은 그들 각각의 밑실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될 수도 있다. 이 장치는 북 내에 장착된 보빈을 구비할 수도 있다. 각 재봉틀(15)는 윗실의 절단 길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피커 장치(29)를 구비할 수도 있다. 주 모터(22), 위치 검출기(24), 공급량 검출기(28) 및 피커 장치(29)는 I/F(5c 내지 5g)를 거쳐서 버스선(4)에 각기 연결될 수도 있다.
재봉 테이블(10)에 대하여 자수 프레임(16)을 이동시키기 위한 X축 모터(32) 및 Y축 모터(33)는 I/F(5b)를 거쳐서 버스선(5b)에 연결되는 주 제어기(34)에 의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재봉 동작이 완료되었을 때, 윗실 및/또는 밑실을 절단하도록 실 절단 장치(36)가 각 재봉 헤드(15)와 관련될 수도 있다. 실 절단 장치(36)는 I/F(5h)를 거쳐서 버스선(4)에 연결될 수도 있다.
CPU(1)는 바늘 선택 장치(25), 주 모터(22), 피커 장치(29), X축 모터(32), Y축 모터(33) 및 실 절단 장치(36)를 비롯한 재봉틀의 각종 부품을 제어할 수도 있지만 그 부품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각종 재봉틀 작동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대표적인 장치를 이하에서 기술할 것이다. 조작자 인터페이스(18)를 이용하여 조작자 상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조작자 인터페이스(18)의 정면도를 도 3에 도시한다. 조작자 인터페이스(18)는 LCD(20), 키패드(30), 조그 다이알(jog dial)(40)과 같은 표시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키패드(30)는 문자숫자 키 및 화살표 키를 구비할 수도 있다. 어떤 자수 패턴, 작동 조건 또는 다른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 아이콘 또는 그림을 나타내는 LCD(20) 부분을 누르는 것에 의해서 패턴 선택, 작동 조건 및 다른 정보를 조작자가 입력하게 하기 위하여 LCD(20)의 정면에 터치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바람직하게 부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자수 패턴, 작동 조건 또는 입력 데이타를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각종 장치를 본 발명에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LCD(20) 상에 표시될 수도 있는 "주" 페이지 또는 화면을 도시한다. 5개의 터치 스위치(41 내지 45)가 "주" 화면의 하측 상에 표시될 수도 있고 주 메뉴 키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조작자가 (터치 스위치에 대응하는 LCD의 영역을 누르는 것에 의해서) 터치 스위치(41 내지 45)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때, 선택된 터치 스위치에 대응하는 다음 화면이 LCD(20)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더욱 특별하게는, 터치 스위치(41 내지 45)가 각기 선택될 때 하기의 (a) 내지 (e) 화면이 LCD(20)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a) 터치 스위치(41) 선택후에 나타난 화면
조작자가 CD-ROM 또는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타를 입력하게 하는 "데이타 입력" 화면
(b) 터치 스위치(42) 선택후에 나타난 화면
조작자가 데이타를 조작자 인터페이스(18)에 수동으로 입력하게 하는 "데이타 입력" 화면
(c) 터치 스위치(43) 선택후에 나타난 화면
조작자가 자수 패턴 데이타에 대한 변화를 입력하게 하는 "패턴 데이타 관리" 화면
(d) 터치 스위치(44) 선택후에 나타난 화면
조작자가 재봉틀 작동 조건을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기계 설정 관리" 화면
(e) 터치 스위치(51) 선택후에 나타난 화면
조작자가 재봉틀을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수동 조작 화면"
터치 스위치(43)를 선택함에 의해서 "패턴 데이타 관리" 화면을 표시하였을 때, 조작자는 예를 들면 (1) 자수 패턴 데이타의 기록 또는 소거, (2) 외부 장치로의 자수 패턴 데이타 출력, (3) 자수 패턴 데이타(각 패턴 또는 각 스티치의 데이타)의 편집을 행할 수 있다. 터치 스위치(44)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 "기계 설정 관리" 화면이 표시될 때, 조작자는 "점프 변환", "자동 점프", "새틴 스티치", "고속 회전수", "저속 회전수", "프레임 리핑 방법", "자동 원점 복귀", "프레임의 운동 개시 시간", "인칭 개시", 및 "실 절단 후 스티치 개시"와 같은 각종 작동 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 터치 스위치(45)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 "수동 조작 화면"을 표시하였을 때, 각종 지령을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그러한 지령으로서는 실 절단 지령, 프레서 푸트(presser foot) 이동 지령, 스티치 백 또는 스티치 포워드 수행 지령, 보빈 변환기의 작동 지령, 재봉 테이블(10) 상승 또는 하강 지령, 및/또는 자수 프레임(16) 이동 지령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기계 설정 관리" 화면이 바늘대 페이지를 표시할 때, 조작자는 재봉틀 작동 변수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공통의 설정" 모드나 "개별적인 설정" 모드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공통의 설정" 모드에 있어서, 조작자는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동일한 작동 변수를 선택할 수 있다. "개별적인 선택 모드"에 있어서, 조작자는 각 바늘대에 대하여 특별한 작동 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주" 화면이 표시되고,터치 스위치(44) 조작자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스위치(44)를 선택할 때, "초기 설정" 화면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될 수도 있다. 터치 스위치(44)가 선택되었는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터치 스위치(44)의 화면이 강조된, 또는 터치 스위치(44)가 눌려진 것으로 보이는 화면으로 변환될 수도 있다. 그러나 터치 스위치(44)의 선택을 표시하기 위하여 다른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설정" 화면은 좌측에 "메뉴 선택" 영역(50)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메뉴 선택" 영역(50)에 도시된 항목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또는 누르기 위하여) 선택 항목을 위한 특정 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다. "메뉴 선택" 영역(50)에 구비된 항목중 소망하는 항목을 보기 위하여, 조작자는 수직 스크롤 바(51)에 의해서 "메뉴 선택" 영역(50)을 스크롤 업 또는 다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살표 키(52, 53)를 이용하여 스크롤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재봉틀의 각종 작동 조건 또는 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대표적인 공정을 하기에서 설명할 것이다.
1. 실 절단 길이
"실 절단 길이"란 용어는 윗실이 실 절단 장치(36)에 의해 절단된 후 바늘대(15)[특히 바늘대(15)에 부착되어 있는 재봉 바늘로부터 연장하는 실의 길이]로부터 윗실의 단부로 연장하는 윗실의 나머지 부분의 길이를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음 자수 동작에서 자수될 직물의 유형 또는 스티치될 특정 자수 패턴에 따라서 절단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재봉 동작이 완료될 때 윗실(및/또는 밑실)을 절단하기 위하여, 실 절단 장치(36)의 가동 나이프가 이동해서 재봉 바늘의 운동과 관련하여 실(들)을 절단한다. 상기 재봉 바늘은 북과 협동하여 스티치를 형성한다. 피커 장치(29)는 재봉 바늘의 운동에 응답하여 윗실과 결합 및 분리되기 위해서 북을 향하여 그리고 북으로부터 멀리 이동할 수 있는 실 피커를 가질 수도 있다. 가동 나이프가 이동하여 실을 절단한 후에는, 윗실의 절단 단부가 실 절단 장치(36)와 관련된 리테이너에 의해 보유되어서, 윗실의 일부가 윗실과 결합하고 있는 상태로 윗실이 윗실 공급 장치에 의해 당겨질 수도 있다. 그 후, 실 피커는 북으로부터 후퇴하여 윗실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윗실의 나머지 부분의 절단 길이는 실 피커가 후퇴하는 시간을 변경시킴으로써 변경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윗실이 실 피커로부터 분리된 후 윗실이 절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실 절단에 응답하여 실 피커에 의하여 윗실을 분리하기 전 또는 후에 실 절단 시간을 적절히 판정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한 "초기 설정" 화면을 이용하여 전달 길이를 설정하기 위해서, 조작자는 수직 스크롤 바(51)의 화살표 키(52, 53)에 의하여 "메뉴 선택" 영역으로 스크롤하여 "실 절단 길이" 항목을 표시한다. 그 때, "실 절단 길이" 항목을 선택하고(예를 들면 이 항목을 표시하는 표시부 영역을 누르는 것에 의해 행해짐),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실 절단 길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실 절단 길이" 항목이 선택되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화면에서 이 항목을 강조할 수도 있다. 또한, "실 절단 길이" 항목의 선택을 표시하기 위하여 다른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6a는 바늘대에 대하여 "공통의 설정" 모드가 선택된 "실 절단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따라서 이 절단 길이는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공통의 모드"가 선택된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실 절단 길이"를 설정하고 있는 동안 이 화면에서 "모든 바늘대" 항목에 인접한 "라디오 버튼(radio button)(54)"이 녹색으로 번쩍거릴 수도 있다. 게다가, 세가지 상이한 실 절단 길이를 나타내는 "짧음", "중간" 및 "김" 항목에 인접한 "라디오 버튼(55) 중 하나가 선택된 설정 값을 표시하도록 번쩍거릴 수도 있다. 도 6a에 도시한 "실 절단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에 있어서는, "짧음" 항목에 인접한 라디오 버튼(55)이 녹색으로 번쩍거릴 수도 있다. 한편, 조작자가 "실 절단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사용하는 한편으로 "각 바늘대" 항목을 선택하면, 이 화면은 도 6a에 도시한 화면으로부터 도 6b에 도시한 화면으로 변경될 것이다.
도 6a에 도시한 "실 절단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에 있어서는 조작자가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실 절단 길이를 공통으로 설정할 수 있다. 실 절단 길이를 선택하기 위하여, 조작자는 짧은 절단 길이, 중간 절단 길이 및 긴 절단 길이를 각기 나타내는 "짧음", "중간" 및 "김" 표시 항목중 하나를 누를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선택된 항목에 인접한 라디오 버튼(55)이 녹색으로 번쩍거릴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선택된 길이를 공통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이 작동 변수를 RAM(3) 내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 "실 절단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으로부터 "주" 화면으로 복귀시키려면, 조작자는 터치 스위치(44)를 선택하여 누른다. 이 경우에, 눌려져 보였던 터치 스위치(44)의 화면이 원래의 화면으로 복귀될 수도 있다.
도 6b는 바늘대에 대하여 "개별적인 설정" 모드(즉 "각 바늘대")가 선택된 "실 절단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따라서 각 바늘대에 대하여 실 절단 길이가 설정될 수 있다. "개별적인 설정" 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각 바늘대" 항목에 인접한 라디오 버튼(59)이 녹색으로 번쩍일 수 있다. 조작자가 "실 절단 길이"를 설정하기 위하여 화면 안의 "모든 바늘대" 항목을 선택하면, 도 6b에 도시한 화면으로부터 도 6a에 도시한 화면으로 표시가 변화된다.
도 6b에 도시한 "실 절단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에 있어서, "바늘대" 항목과 관련하여 각 바늘대의 각각을 표시한다(예를 들면 번호 1, 2, 3, 4, 5로 함). 도 6b에서는, 각 바늘대를 식별하기 위하여 숫자 "1" 내지 "5"가 표시된다. 이 화면에는 나머지 바늘대에 대응하는 숫자 "6" 내지 "9"가 표시되지 않았지만, 화살표 키(60 또는 61)를 누르면 나타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각 화면 내에 표시된 바늘대의 번호는 표시의 크기 및 표시되는 어떤 보조 정보의 양과 같은 각종 상태에 의하여 판정할 수도 있다.
"바늘대" 항목 아래에는 "길이" 항목을 표시한다. "짧은 절단 길이", "중간 절단 길이" 및 "긴 절단 길이"를 각기 나타내기 위하여 그 항목과 관련해서 숫자 "1", "2" 및 "3"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항목 아래에 숫자 "1", "2" 및 "3"의 정의가 표시될 수도 있다.
도 6b에 도시한 "실 절단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이용하여 각 바늘대(15)에 대해 절단 길이를 개별적으로 설정하기 위해서, 조작자는 화살표 키(60 또는 61)에 의하여 바늘대 중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절단 길이를 나타내고 선택된 바늘대를 식별하는 숫자("1" 내지 "9" 중 하나) 아래에 위치된 숫자 "1", "2" 및 "3"이 강조될 수도 있다. 선택된 바늘대의 절단 길이를 나타내는 숫자가 강조되는 동안, 조작자는 문자숫자 키패드(30)의 대응하는 키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실 절단 길이를 나타내는 숫자(즉 "1", "2" 및 "3")를 선택한다.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이 동작을 반복하고 각 바늘대에 대하여 실 절단 길이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동작에 의하여 설정된 실 절단 길이 데이타를 RAM(3) 내에 저장할 수도 있다. 조작자는 터치 스위치(44)를 선택하거나 누르는 것에 의하여 "주" 화면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절단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전술한 프로세스를 도 10에 도시한 대표적인 흐름도와 관련하여 하기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주" 화면의 "메뉴 선택" 영역(50)에서 "실 절단 길이"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CPU(1)는 RAM(3)에 저장되어 있는 실 절단 길이의 작동 변수에 응답하여 표시 화면을, 도 6a에 도시한 "실 절단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나, 도 6b에 도시한 "실 절단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중 어느 하나로 변경시키라는 지령을 LCD(20)에 내린다. CPU(1)는 실 절단 길이 설정 프로세스(단계 S1)를 개시한다(단계 S1).
먼저, CPU(1)가 "모든 바늘대"가 공통의 설정 모드를 표시하도록 선택되었는지 또는 "각 바늘대" 항목이 개별적인 설정 모드를 표시하도록 선택되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2).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바늘대"가 선택되면, CPU(1)는 "실 절단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라는 지령을 LCD(20)에 내린다. 한편,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바늘대"가 선택되면, CPU(1)는 "실 절단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라는 지령을 LCD(20)에 내린다. 조작자가 "모든 바늘대"나 "각 바늘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지 않고 있으면, CPU(1)가 "실 절단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에 대하여 디폴트 설정 상태를 이용한다.
"모든 바늘대"가 선택되었으면, 실 절단 길이의 값을 입력할 수도 있고(표시 화면에서 "짧음", "중간" 및 "김"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에 의함), 그 입력 데이타는 모든 바늘대에 대한 실 절단 길이의 설정값으로서 RAM(3) 내에 저장한다(단계 S2).
한편, "각 바늘대"가 선택되었으면, 바늘대 중의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바늘대에 대하여 실 절단 길이의 설정값을 입력한다. 입력된 데이타가 선택된 바늘대에 대한 실 절단 길이의 설정값으로서 RAM(3) 내에 저장된다(단계 S4). 나머지 바늘대의 각각에 대하여 이 단계를 반복할 수도 있다.
다른 동작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각종 다른 방법이 도 10을 참조하여 기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2. 인칭 시작
일반적으로, 실이 절단된 후 재봉 동작을 개시할 때, 바늘대의 왕복 운동을 "인칭"한다. 즉 재봉 동작의 개시시에 사전결정된 행정횟수에 걸친 정상 왕복운동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바늘대가 왕복운동한다. "인칭"은 보통 직물로부터 실의 우발적인 회수(재봉 동작인 부적절한 개시)를 방지한다. 바늘대(15)의 "인칭" 횟수는 실의 특성 또는 재봉대상 직물의 성질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는 실 또는 인조섬유 실과 같은 매끄러운 실을 사용하는 경우에, 바늘대의 인칭 횟수는 정상 실에 비해서 증가되어야 한다.
바늘대의 인칭 횟수를 설정하기 위하여, 조작자는 도 5에 도시한 "초기 설정" 화면에서 "메뉴 선택" 영역(50)을 통하여 스크롤할 수도 있다. 스크롤 바(51)의 화살표 키(52 또는 53)를 이용하여 "인칭 개시" 항목이 나타날 수도 있다. 그 때 조작자는 "인칭 개시" 항목을 선택한다. 결과적으로,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칭 동작을 수행할 횟수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인칭 개시" 항목을 선택하였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인칭 개시" 항목이 강조될 수도 있다.
도 7a에 도시한 인칭 선택 화면에 있어서,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동일한 인칭 횟수를 설정하기 위해서 "공통의 설정" 모드가 선택되었다. "공통의 설정" 모드가 선택되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모든 바늘대" 항목에 인접한 라디오 버튼(54)이 녹색으로 번쩍거릴 수도 있다. 게다가, 조작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각종 다른 인칭 변수가 표시될 수도 있다. 도 7a에 도시한 대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대응하는 라디오 버튼(56)으로 "4배" 내지 "9배"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선택된 횟수에 대응하는 라디오 버튼(56)이 녹색으로 번쩍거릴 수도 있다. 도 7a에 도시한 화면에 있어서는 "4배"가 선택되어 대응하는 라디오 버튼(56)이 녹색으로 번쩍거린다. 그러나 조작자가 도 7a에 도시한 인칭 선택 화면에서 "각 바늘대" 항목을 선택하면, 화면이 도 7b에 도시한 인칭 선택 화면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a의 인칭 선택 화면을 이용하여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인칭 횟수를 설정하기 위해서, 조작자는 소망하는 인칭 횟수에 대응하는 "4배" 내지 "9배"의 표시된 항목중 하나를 눌러서, 선택된 항목에 인접한 라디오 버튼(56)이 녹색으로 번쩍거리게 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동일한 인칭 횟수가 설정될 수 있다. 인칭 횟수 데이타를 RAM(3) 내에 저장할 수도 있다.
도 7b에 도시한 인칭 선택 화면에 있어서는 각 바늘대에 대하여 인칭 횟수를 설정하기 위하여 "개별적인 설정" 모드가 선택된다. "개별적인 설정" 모드가 선택된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각 바늘대" 항목에 인접한 라디오 버튼(54)이 녹색으로 번쩍거릴 수도 있다. 조작자가 도 7b에 도시한 인칭 선택 화면에서 "모든 바늘대" 항목을 선택하면, 화면이 도 7a에 도시한 인칭 선택 화면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a의 인칭 선택 화면을 이용하여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인칭 횟수를 설정하기 위해서, 조작자는 화살표 키(60 또는 61)를 이용하여 바늘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인칭 횟수를 대표하고 선택된 바늘대를 식별하는 숫자("1" 내지 "9" 중 하나) 아래에 위치된 숫자 "4" 내지 "9"중 하나를 강조할 수도 있다. 이렇게 바늘대가 선택되면, 조작자는 문자숫자 키패드(30)의 대응하는 키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인칭 횟수(즉 "4" 내지 "9"중 하나)를 선택한다.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이러한 작동을 반복하여, 각 바늘대에 대해 인칭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인칭 횟수 데이타를 RAM(3) 내에 저장할 수도 있다.
3. 윗실 절단 검출
재봉 동작중 윗실이 우연히 절단되면, 자수 동작이 중단될 것이다. 따라서 윗실이 절단될 때를 검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윗실 공급량 검출기(28)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윗실이 절단되었는지를 검출하기 위하여, (일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한) 바늘대(15)의 한 행정중 윗실의 이동 거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검출된 이동 거리가 0이면 윗실이 절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위치 검출기(24)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바늘대(15)의 실제 행정 길이를 판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바늘대의 일 행정중 윗실의 이동 거리는 자수할 직물 또는 윗실의 성질 변화와 함께 변경될 수도 있다. 게다가, 선택된 자수 패턴이 변경되거나 또는 "런닝 스티치" 또는 "새틴 스티치"와 같은 특정 스티치가 자수되면, 이 행정 길이가 통상의 행정 길이와 상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어떤 경우에는 윗실의 검출된 공급량이 사전결정된 수의 행정 횟수에 대하여 0이 된 후에만 이 절단되었는지에 대한 판정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조작자가 이 사전결정된 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전결정된 수가 높은 수로 설정되면, 절단 검출 감도가 감소된다. 한편, 사전결정된 수가 낮은 수로 설정되면, 절단 검출 감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대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선택된 행정 수가 검출 감도를 결정하고, 이것을 "실 절단 검출 감도"라 부를 것이다. 변형예로서, 한 바늘대 행정의 완료 후 그리고 다음 바늘대 행정의 개시 전의 기간중 윗실의 이동량이 사전결정된 값 또는 0보다 작으면 윗실의 절단을 검출한다. 따라서, 이 기간중 비록 바늘대가 이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하더라도 자수 프레임은 한 스티치의 거리만큼 이동하여 윗실 및 밑실을 당길 수도 있다.
윗실 절단 검출 감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초기 설정" 화면 내에 "윗실 절단 검출" 항목이 표시될 때까지 조작자가 도 5에 도시한 "메뉴 선택" 영역(50)을 통하여 스크롤할 수도 있다. "윗실 절단 검출" 항목을 선택하거나 또는 누르는 것에 의하여, 화면이 도 8a 또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윗실 절단 검출"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 항목의 선택을 표시하기 위하여 "윗실 절단 검출" 항목이 강조될 수도 있다.
도 8a에 도시한 "윗실 절단 검출" 화면에 있어서는,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윗실 절단 검출을 위한 동일한 행정수를 설정하기 위해서 "공통의 설정" 모드가 선택되었다. "공통의 설정" 모드가 선택된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모든 바늘대" 항목에 인접한 라디오 버튼(54)이 녹색으로 번쩍거릴 수도 있다. 게다가, 각종 다른 설정가능한 수가 표시될 수도 있다. 도 8a에 도시한 대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대응하는 라디오 버튼(57)으로 "1배", "2배", "3배", "4배" 및 "0배"가 표시될 수도 있다. 선택된 횟수에 대응하는 라디오 버튼(57)이 녹색으로 번쩍거릴 수도 있다. "0배"가 선택되면, 윗실 절단 검출이 수행되지 않을 것이다. 도 8a에 도시한 화면에 있어서, "2배"가 선택되고 대응하는 라디오 버튼(57)이 녹색으로 번쩍거린다. 조작자가 도 8a에 도시한 "윗실 절단 검출 설정" 화면에서 "각 바늘대" 항목을 선택하면, 화면이 도 8b에 도시한 "윗실 절단 검출 설정" 화면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8a의 "윗실 절단 검출 설정"을 이용해서 모든 바늘대에 대해 검출 횟수를 설정하기 위하여, 조작자는 "0배" 내지 "4배"의 표시된 항목중 하나를 각기 눌러서 선택된 항목에 인접한 라디오 버튼(57)이 녹색으로 번쩍거리게 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동일한 횟수가 설정될 수 있다. 선택된 검출 횟수를 나타내는 데이타는 RAM(3) 내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8b에 도시한 "윗실 절단 검출 설정" 화면에 있어서는 각 바늘대에 대한 검출 횟수를 설정하기 위하여 "개별적인 설정" 모드가 선택되었다. "개별적인 설정" 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각 바늘대" 항목에 인접한 라디오 버튼(59)이 녹색으로 번쩍거릴 수도 있다. 조작자가 도 8b에 도시한 "윗실 절단 검출 설정" 화면에서 "모든 바늘대" 항목을 선택하면, 화면이 도 8a에 도시한 "윗실 절단 검출 설정" 화면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8b의 "윗실 절단 검출 설정" 화면을 이용해서 각 바늘대에 대한 검출 횟수를 설정하기 위하여, 조작자는 화살표 키(60 또는 61)를 이용하여 바늘대 중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횟수를 나타내고 선택된 바늘대를 식별하는 숫자("1" 내지 "9" 중 하나) 아래에 위치되는 숫자 "0" 내지 "4"중 하나를 강조할 수도 있다. 특정 바늘대가 선택되면, 조작자는 문자숫자 키패드(30)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검출 횟수(즉 "0" 내지 "4" 중 하나)를 선택한다.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각 바늘대에 대하여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검출 횟수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RAM(3) 내에 저장할 수도 있다.
4. 밑실 절단 검출
밑실이 절단되면, 재봉 동작이 중단될 것이다. 따라서 밑실의 의도하지 않던 절단을 검출할 필요가 있다. 밑실이 절단되었는지를 검출하기 위하여, 밑실 이동거리 검출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윗실 절단 검출과 동일한 방식으로, 바늘대의 일 행정중 밑실의 이동 거리가 사전결정된 값보다 작으면, 밑실의 절단이 판정될 수도 있다. 게다가, 밑실이 절단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하여, 윗실 공급량 검출기(28)가 사용될 수도 있다. 윗실 절단 검출을 수행한 횟수와 상이한 횟수로 밑실의 절단 검출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윗실 공급량 검출기928)를 이용하여 밑실이 검출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하여, 윗실의 검출량 또는 이동 거리를 자수할 패턴의 스티치 데이타로부터 계산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계산된 양을 윗실의 실제 소모량 또는 실제 이동 거리와 비교할 수도 있다. 실제 거리가 계산된 거리보다 작으면, CPU(1)가 밑실이 절단되었는지를 판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판정은 단 하나의 스티치에 관한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서는 실제로 행할 수 없는 것이 보통이다. 게다가 상이한 스티치 형태가 상이한 윗실 양을 소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대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밑실 절단 검출에 대하여 각종 비율(퍼센트)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검출 감도가 비율(퍼센트) 증가와 더불어 증가할 수도 있다.
밑실 절단 검출 감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조작자는 도 5에 도시한 "메뉴 선택" 영역(50)을 통하여 스크롤해서, "초기 설정" 화면에 "밑실 절단 검출" 항목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항목을 선택하거나 누르는 것에 의해서, 화면이 도 9a 또는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밑실 절단 검출" 화면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 항목의 선택을 표시하기 위하여 "밑실 절단 검출" 항목을 강조할 수도 있다.
도 9a에 도시한 "윗실 절단 검출" 화면에 있어서는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동일한 검출비를 설정하기 위하여 "공통의 설정" 모드를 선택하였다. "공통의 설정" 모드가 선택된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모든 바늘대" 항목에 인접한 라디오 버튼(54)이 녹색으로 번쩍거릴 수도 있다. 게다가, 각종 비율 값(퍼센트)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9a에 도시한 대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대응하는 라디오 버튼(58)으로 "60%", "70%", "75%" 및 "80%"가 표시될 수도 있다. 선택된 횟수에 대응하는 라디오 버튼(58)이 녹색으로 번쩍거릴 수도 있다. 도 9a에 도시한 화면에 있어서는 "70%"가 선택되어, 그것의 관련 라디오 버튼(58)이 녹색으로 번쩍거리게 한다. 조작자가 도 9a에 도시한 "밑실 절단 검출 설정" 화면에서 "각 바늘대" 항목을 선택하면, 화면이 도 9b에 도시한 "밑실 절단 검출 설정" 화면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9a의 "밑실 절단 검출 설정" 화면을 이용하여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동일한 검출비를 설정하기 위해서, 조작자는 "60%", "70%", "75%" 및 "80%"의 표시된 항목중 하나를 눌러서, 선택된 항목에 인접한 라디오 버튼(58)이 녹색으로 번쩍거리도록 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동일한 검출비가 설정될 수 있다. 검출 비를 나타내는 설정 데이타가 RAM(3) 내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9b의 "밑실 절단 검출 설정" 화면을 이용해서 각 바늘대에 대한 검출비를 설정하기 위하여, 조작자가 화살표 키(60 또는 61)를 이용하여 바늘대 중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검출비를 나타내고 선택된 바늘대를 식별하는 숫자("1" 내지 "9" 중 하나) 아래에 위치되는 숫자 "0" 내지 "4"중 하나를 강조할 수도 있다. 이렇게 바늘대가 선택되면, 조작자는 문자숫자 키패드(30)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퍼센트(즉 조작자는 검출비를 나타내는 숫자 "1" 내지 "4" 중 하나를 선택한다)를 입력한다.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각 바늘대에 대하여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이 동작을 반복하여 각 바늘대에 대하여 검출비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검출비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RAM(3) 내에 저장할 수도 있다.
개시 키의 작동시, CPU(1)는 ROM(2) 내에 저장된 자수 프로그램 및 RAM(3) 내에 저장된 각종 설정 데이타 및 작동 조건에 의거하여 주 모터(22)의 회전, 모든 바늘대(15) 중 한 바늘대의 선택, 자수 프레임(16)의 이동, 및 실 절단 장치(36)의 구동과 같은 각종 제어의 수행을 시작한다. RAM(3) 내에 저장되어 있는 작동 조건에 관한 데이타를 판독하는 것에 의하여 재봉 동작중 "윗실 절단 길이", "실 절단 후 인칭 개시", "윗실 절단 검출" 및 "밑실 절단 검출"의 제어가 수행될 수도 있다. 특히, "공통의 설정" 모드를 이용하여 작동 조건을 설정하였으면, 대응하는 설정 데이타를 RAM(3)으로부터 설정하였다. 한편, "개별적인 설정" 모드를 이용하여 작동 조건을 설정하였으면, 선택된 바늘대(15)에 대하여 설정된 특정 데이타를 RAM(3)으로부터 판독할 수도 있다.
윗실 공급량 검출기(28)를 이용하여 윗실 및 밑실의 절단을 검출하기 위한 대표적인 프로세스를 이제부터 도 11에 도시한 대표적인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도 11의 프로세스를 자수 패턴중 임의의 적절한 시간에 개시할 수도 있다.
이 루틴을 개시한 후, CPU(1)는 "n"번에 걸쳐서 "0"의 소모 기간이 계속되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T1). 이 명세서에 있어서, "0"의 소모 기간은 바늘대(15)의 일 행정중 윗실의 실제적인 소모(실제의 이동 거리)가 0인 기간을 의미한다. 윗실의 특성에 따라서 (예를 들면 1 내지 4 중) "n"의 값이 선택적으로 판정될 수도 있다.
단계 T1의 판정이 예이면, 윗실의 절단이 검출되었기 때문에 프로세스가 단계 T2로 진행한다.
단계 T2의 판정이 아니오이면, 이동 거리(M)의 변화가 4mm보다 긴지 아닌지를 CPU(1)가 판정하는 단계 T3로 프로세스가 진행한다. 이 경우에, 이 이동거리는 "m"의 연속적인 스티치중 자수 패턴(16)이 이동하는 거리이다. 변화(M)는 이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시간에서의 이동 거리와 이 단계를 수행하기 바로 전 시간에서의 이동 거리 사이의 차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m"이 4이고 자수 패턴(16)이 위치 (바늘대 위치) p로 이동하면, 위치 p로부터 위치 p+1 및 위치 p+2를 경유하여 위치 p+3까지의 이동 거리(X)와 위치 p-1으로부터 위치 p 및 위치 p+1을 경유하여 위치 p+2까지의 이동 거리(Y)가 계산될 수도 있다. 그 때 이동 거리(X)와 이동 거리(Y) 사이의 차 또는 변화(M)가 계산될 수도 있고, 설정값(이 경우에 4mm)과 비교될 수도 있다. 거리(X, Y)를 저장된 스티치 데이타로부터 계산할 수도 있다. 실의 성질에 따라서 "m"의 값을 선택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2", "4", "6" 및 "8" 스티치 중에서 선택할 수도 있다.
단계 T3의 판정이 예라면, 바늘대(15)의 "m"의 연속적인 스티치 중 윗실의 실제적인 소모(이동 거리)가 하기 값[스티치 데이타(L)로부터 계산된 이동 거리 ×0.5]보다 작은지를 하닌지를 CPU(1)가 판단하는 단계 T4로 프로세스가 진행한다.
단계 T3의 판정이 예라면, 밑실이 절단되었다는 것을 CPU(1)가 검출하였기 때문에 프로세스가 단계 T6로 진행한다. 단계 T4의 판정이 아니오라면, 실이 절단되었다는 것을 판정하였기 때문에 프로세스가 단계 T5로 진행한다.
단계 T3의 판정이 아니오라면, 바늘대(15)의 "m"의 연속적인 스티치 중 윗실의 실제 소모(이동 거리)가 [L ×K]보다 작은지 아닌지를 CPU(1)가 판정하는 단계 T7로 프로세스가 진행한다. 윗실의 성질에 따라서 "K" 값을 적절히 선택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50%", "60%", "70%" 및 "80%"중에서 선택할 수도 있다.
단계 T7의 판정이 예라면, 밑실이 절단되었다는 것을 CPU(1)가 검출하였기 때문에 프로세스가 단계 T6로 진행한다. 단계 T7의 판정이 아니오라면, 실이 절단되지 않았다는 것을 CPU(1)가 판정하였기 때문에 프로세스가 단계 T8로 진행한다.
실 절단 후 바늘대(15)에 대하여 "인칭"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대표적인 프로세스를 이제부터 도 12에 도시한 대표적인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실이 절단된 후 바늘대가 재기동할 때 도 12의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도 있다.
이 루틴을 개시한 후, CPU(1)는 인칭 동작을 개시할 사전설정된 횟수를 판독하고, 이 데이타를 RAM(3) 내에 저장한다(단계 P1). 특히, "공통의 설정" 모드를 이용하여 인칭 동작을 설정하였으면, RAM(3)으로부터 대응하는 설정 데이타를 판독한다. 한편, "개별적인 설정" 모드를 이용하여 인칭 동작 데이타를 설정하였으면, 선택된 바늘대(15)에 대하여 설정된 특정 데이타를 RAM(3)으로부터 판독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주 모터(22)가 기동 개시하여 통상의 동작 속도보다 느린 바늘대의 인칭 동작 속도로 회전하는 단계(P2)로 진행한다.
바늘대의 인칭 횟수가 설정 횟수에 도달하였는지 아닌지를 CPU가 판정하는 단계 P3로 프로세스가 추가로 진행한다. 단계 P3의 판정이 아니오이면, 인칭 동작이 계속된다. 단계 P4의 판정이 예라면, 프로세스가 단계 P4로 진행한다.
단계 P4에서 인칭 동작이 중단되고, 주 모터(22)가 통상의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윗실 및/또는 밑실을 절단하기 위한 대표적인 프로세스를 도 13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이제부터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재봉 동작의 완료후 실이 절단될 때 도 13의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도 있다.
이 루틴을 개시한 후, CPU(1)는 RAM(3) 내에 설정 저장된 절단 길이를 판독한다(단계 Q1). 특히 "공통의 설정" 모드를 이용하여 절단 길이가 설정되었으면, RAM(3)으로부터 대응하는 설정 데이타를 판독한다. 한편, "개별적인 설정" 모드를 이용하여 절단 길이를 설정하였으면, RAM(3)으로부터 선택된 바늘대(15)에 대하여 설정된 특정 데이타를 판독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실 피커의 이동 시간을 변경시키는 것에 의하여 절단 길이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설정된 값은 실 피커의 이동 타이밍(단계 Q7에서 실 피커의 "오프" 타이밍이라 함)을 나타낼 수도 있다.
북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실 피커의 이동 시간(이하 "온" 타이밍이라 함)에 도달하였는지 아닌지를 CPU(1)가 판정하는 단계 Q2로 프로세스가 진행한다. 이 단계에서의 판정이 아니오이면, CPU(1)는 "온" 타이밍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린다. 이 단계에서의 판정이 "예"이면, 실 피커가 북을 향하여 이동하거나 실 피커가 "온"이 되는 단계 Q3로 프로세스가 진행한다.
단계 Q3 후, 실 절단 장치(26)를 구동하기 위한 타이밍이 도달하였는지 아닌지를 CPU(1)가 판정하는 단계 Q4로 프로세스가 진행한다. 이 단계의 판정이 아니오이면, CPU는 실 절단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타이밍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린다. 이 단계의 판정이 예이면, 이 프로세스는 실 절단 장치가 기동개시되는 단계 Q5로 진행한다. 이 실은 단계 Q6에서 절단될 수도 있다.
단계 Q7 다음에, 북으로부터 실 피커의 이동 타이밍(이하 "오프" 타이밍이라 함)에 도달하였는지 아닌지를 CPU(1)가 판정하는 단계 Q6가 행해진다. 이 단계의 판정이 아니오이면, CPU(1)는 오프 타이밍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린다. 이 판정이 예이면, 이 프로세스는 단계 Q8로 진행하여 실 피커를 북으로부터 이동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수 기계와 관련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어떤 종류의 재봉틀에도 응용할 수 있다. 게다가, ROM 및 RAM을 기억 장치로서 이용하였지만,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하여 단일의 기억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추가로, 다른 유형의 기억 장치를 적절하게 이용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하나의 재봉 헤드 또는 4개 이외의 재봉 헤드수를 갖는 재봉틀에 본 발명을 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봉틀이 공통의 설정 모드와 개별적인 설정 모드를 가져서 모든 바늘대에 대하여 공통으로 작동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고 각 바늘대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작동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각 바늘대 상에 설정된 실의 상이한 특성에 따라 재봉 동작을 개별적으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3)

  1. 복수의 바늘대를 갖는 재봉 헤드와;
    자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바늘대로부터 하나의 바늘대를 한꺼번에 선택하며, 각각의 선택된 바늘대에 대하여 설정된 특정 작동 조건에 따라 자수 패턴을 수행하는 제어기와;
    재봉틀의 작동 프로그램 및 작동 조건을 저장하며, 복수개의 바늘대 중에서 상이한 작동 조건을 추가로 저장하는 재봉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작자가 작동 조건을 설정하게 하는 조작자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자 인터페이스는 조작자가 복수의 바늘대 중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선택된 작동 조건을 입력하게 하는 개별적인 설정 모드를 가지며, 상기 작동 조건은 각각의 바늘대에 대응하는 작동 조건으로서 기억 장치 내에 저장된 재봉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 인터페이스가 각종 작동 조건에 대응하는 복수의 항목을 갖는 메뉴 선택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개별적인 설정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재봉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 인터페이스는 각 바늘대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정된 작동 조건의 식별과 각 바늘대를 나타내는 식별에 의해서 개별적인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재봉틀.
  5. 복수의 바늘대를 갖는 재봉 헤드와;
    각각의 바늘대에 대한 작동 조건을 입력하는 조작자 인터페이스와;
    자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바늘대로부터 하나의 바늘대를 한꺼번에 선택하는 제어기와;
    재봉틀의 작동 프로그램 및 작동 조건을 저장하는 기억 장치와;
    상기 제어기와 기억 장치는 상기 복수의 바늘대의 각각과 상이한 작동 조건을 수용하며, 상기 상이한 작동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바늘대를 동작시키는 재봉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 인터페이스는 조작자가 상기 복수의 바늘대 각각의 개별적으로 설정된 작동 조건을 입력하게 하는 개별적인 설정 모드를 갖고, 상기 작동 조건은 각각의 바늘대에 대응하는 작동 조건으로서 기억 장치 내에 저장된 재봉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 인터페이스가 각종 작동 조건에 대응하는 복수의 항목을 갖는 메뉴 선택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개별적인 설정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재봉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 인터페이스는 각 바늘대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정된 작동 조건의 식별과 각 바늘대를 나타내는 식별에 의해서 개별적인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재봉틀.
  9. 복수의 바늘대를 갖는 재봉 헤드와;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각각의 바늘대에 대한 작동 조건을 입력하는 조작자 인터페이스와;
    자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바늘대로부터 하나의 바늘대를 한꺼번에 선택하는 제어기와;
    재봉틀의 작동 프로그램 및 작동 조건을 저장하는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공통의 설정 모드와 개별적인 설정 모드를 가지며, 상기 공통의 설정 모드는 상기 복수의 바늘대의 각각과 동일한 작동 조건을 수용하며, 상기 개별적인 설정 모드가 상기 복수의 바늘대의 각각의 대하여 상이한 작동 조건을 수용하며, 개별적으로 설정된 바늘대 작동 조건을 나타내는 데이타와 공통으로 설정된 바늘대 작동 조건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상기 기억 장치 내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기억 장치 내에 저장된 작동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바늘대를 작동시키는 재봉틀.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 인터페이스는 조작자가 각종 작동 조건에 대응하는 복수의 항목을 갖는 메뉴 선택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지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공통의 설정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 및 상기 개별적인 설정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재봉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 인터페이스는 모든 바늘대를 나타내는 식별에 의해서 공통의 설정 화면을 표시하며, 각각의 바늘대를 나타내는 식별과 각 바늘대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정된 작동 조건의 식별에 의해서 개별적인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재봉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조건에 대한 개별적인 설정 화면이 상기 공통의 설정 모드의 항목과 개별적인 설정 모드의 항목의 조작자 선택 식별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의 설정 모드 식별이 선택될 때 상기 공통의 설정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개별적인 설정 모드 식별이 선택될 때 상기 개별적인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재봉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조건은 실 절단 검출, 인칭 횟수 및 실 절단 길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봉틀.
KR1020000044843A 1999-08-03 2000-08-02 재봉틀 KR100669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20390 1999-08-03
JP11220390A JP2001038077A (ja) 1999-08-03 1999-08-03 多針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976A true KR20010049976A (ko) 2001-06-15
KR100669595B1 KR100669595B1 (ko) 2007-01-15

Family

ID=16750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843A KR100669595B1 (ko) 1999-08-03 2000-08-02 재봉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52043B1 (ko)
JP (1) JP2001038077A (ko)
KR (1) KR100669595B1 (ko)
CN (1) CN1159481C (ko)
DE (1) DE10039326A1 (ko)
TW (1) TW46628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417B1 (ko) * 2014-07-25 2015-02-06 주식회사 윔스 터치스크린 방식의 북 자수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5878B2 (en) * 2001-02-14 2005-05-24 Nahmaschinenfabrik Emil Stutznacker Gmbh & Co. Kg Chain stitch multi-needle quilting machine and method to create a pattern in a quilting material
US6823807B2 (en) 2002-01-31 2004-11-30 Melco Industries, Inc. Computerized stitching including embroidering
US7308333B2 (en) * 2002-01-31 2007-12-11 Melco Industries, Inc. Computerized stitching including embroidering
JP2004290293A (ja) * 2003-03-26 2004-10-21 Brother Ind Ltd ミシン及びそのピッカー制御プログラム
JP2008200311A (ja) * 2007-02-21 2008-09-04 Brother Ind Ltd ミシン及びミシン制御プログラム
JP2008212480A (ja) * 2007-03-06 2008-09-18 Brother Ind Ltd ミシン及びミシン操作プログラム
US7971543B2 (en) * 2007-03-06 2011-07-0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ewing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sewing machine operation program
JP2011083353A (ja) * 2009-10-14 2011-04-28 Brother Industries Ltd ミシン
JP2011083352A (ja) * 2009-10-14 2011-04-28 Brother Industries Ltd ミシン
JP2011167446A (ja) * 2010-02-22 2011-09-01 Brother Industries Ltd 多針ミシン
CN102758318B (zh) * 2011-04-25 2014-03-19 南京通孚轻纺有限公司 多头绣花机针杆独立控制系统及独立控制方法
CN102758316A (zh) * 2011-04-25 2012-10-31 南京通孚轻纺有限公司 一种由计算机系统控制的绣花机
CN103451870A (zh) * 2013-08-09 2013-12-18 中捷大宇机械有限公司 地毯绣电控装置
JP2016067696A (ja) * 2014-09-30 2016-05-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CN105155159B (zh) * 2015-09-15 2018-03-02 北京大豪科技股份有限公司 断线检测装置及方法
CN107488943B (zh) * 2017-08-11 2020-09-08 东莞市恒业机械有限公司 一种多针绗缝设备的动态配针方法
CN108589057A (zh) * 2018-06-06 2018-09-28 东莞市名菱工业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多针的自动控制缝纫机
JP7255132B2 (ja) * 2018-10-24 2023-04-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3272A (en) * 1994-05-27 1997-02-18 Juki Corporation Two-needle type sewing machine
JP3644617B2 (ja) * 1996-10-15 2005-05-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多針ミシン
JPH10140460A (ja) * 1996-11-13 1998-05-26 Brother Ind Ltd 刺繍データ表示装置および刺繍ミシン
JPH11267386A (ja) * 1998-03-24 1999-10-05 Brother Ind Ltd 多頭式刺繍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417B1 (ko) * 2014-07-25 2015-02-06 주식회사 윔스 터치스크린 방식의 북 자수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38077A (ja) 2001-02-13
CN1159481C (zh) 2004-07-28
US6352043B1 (en) 2002-03-05
DE10039326A1 (de) 2001-03-22
KR100669595B1 (ko) 2007-01-15
TW466286B (en) 2001-12-01
CN1282814A (zh) 2001-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9595B1 (ko) 재봉틀
US4981091A (en) Computer controlled tufting machine and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operation of a tufting machine
US7848842B2 (en) Sewing machine and sewing machine capable of embroidery sewing
US6173665B1 (en) Sewing machine control system
US5826526A (en) Sewing machine
US5228403A (en) Sewing machine for sewing continuous pattern consisting of plurality of partial patterns
US7878133B2 (en) Sewing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sewing machine operation program
US7252044B2 (en) Stepped embroidery machine
US4811673A (en) Information display for a zigzag sewing machine
EP1473398B1 (en) Control apparatus for button sewing machine and button sewing method using the same
US11625867B2 (en) Sewing apparatus
JP2539628B2 (ja) 自動刺繍機
JPH07155487A (ja) ミシンの糸駒スタンド装置
JPH0995855A (ja) 刺繍機用制御装置
JP3614994B2 (ja) オーバロックミシン
KR100447570B1 (ko) 자동 자수기의 알피엠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JPH08112469A (ja) コンピュータミシン
JP2004329393A (ja) 電子千鳥縫いミシン
JP4636731B2 (ja) ミシン
JPH0415088A (ja) ミシンの作動速度制御装置
JPH09271592A (ja) 縫製装置
US7962239B2 (en) Sewing machine and sewing machine operating program recorded o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706784B2 (ja) 刺繍ミシン
JPH05329287A (ja) 下糸必要量警告表示を備えたミシン
JPH06343779A (ja) 自動刺繍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