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833A - 램프 벌브의 코팅 방법 - Google Patents

램프 벌브의 코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833A
KR20010049833A KR1020000041882A KR20000041882A KR20010049833A KR 20010049833 A KR20010049833 A KR 20010049833A KR 1020000041882 A KR1020000041882 A KR 1020000041882A KR 20000041882 A KR20000041882 A KR 20000041882A KR 20010049833 A KR20010049833 A KR 20010049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evel
lamp tube
coating
layer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1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9532B1 (ko
Inventor
지몬 예레빅
프랑크 폴콤머
Original Assignee
타실로 다우너 ; 랄프 프레준 ; 요아힘 베르너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실로 다우너 ; 랄프 프레준 ; 요아힘 베르너,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filed Critical 타실로 다우너 ; 랄프 프레준 ; 요아힘 베르너
Publication of KR20010049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5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5Vessels; Containers provided with coatings on the walls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1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in continuous layers
    • H01J9/223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in continuous layers by uniformly dispersing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1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 C03C17/003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for hollow ware, e.g. containers
    • C03C17/004Coating the in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램프관의 코팅 방법에서는 국부적인 건조 영역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코팅제의 액체 레벨을 트래킹한다.

Description

램프 벌브의 코팅 방법{METHOD FOR COATING LAMP BULBS}
본 발명은 램프관(lamp tube)이 코팅제로 코팅되고 상기 코팅제가 건조되는 방식의, 램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램프 제조의 많은 분야에 있어서 관형 램프 용기 또는 그 부품은 반드시 코팅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는 형광등에 관한 것이므로 가장 중요한 적용예는 형광 물질 층이다. 그러나 이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오히려 반사 층 또는 다른 램프 유형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층들도 다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체 코팅제 또는 적어도 흐름성 코팅제가 램프관에 도포된 다음 건조되는 방법을 기초로 한다. 건조 단계를 통해 흐름성 코팅제로부터 고체 층이 제조된다. 이 고체 층은 일반적으로 나머지 코팅제가 먼저 용해되거나 현탁되어있는 액체의 기화 또는 증발에 의해 형성된다.
페이스트형 상태, 즉 점성을 가진 흐름 가능 상태로 유리관의 내벽에 도포되는 형광 페이스트에 의한, 형광등 유리관의 소위 플러싱(flushing)이 공지되어있다. 이 경우 예컨대 유리관을 플러싱함으로써 유리관의 코팅될 내벽을 형광 페이스트와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리벽상에 비교적 얇은 층이 남을 때까지 상기 형광 페이스트를 흐름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유리관을 오븐 내에서 건조시킨다. 여기서 필수적인 품질의 기준은 미리 정해진 층 두께를 가능한 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유리벽이 완전히 덮혀 UV-광선이 형광 물질 층을 통과할 수 없어야 하나, 반면 형광 물질 층이 너무 두꺼우면 형광 물질 층 내에서 가시 광자의 다중 반사에 의한 손실을 피할 수 없으며, 형광 페이스트의 재료비도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균일한 층 두께가 얻어질 수 있는, 코팅제로 램프관을 코팅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제조 방법을 통해 달성된다. 상기 방법에서는 램프관이 코팅제로 코팅되고 그 코팅제가 건조되며, 상기 코팅제의 액체 레벨이 램프관을 따라 강하되고, 이러한 액체 레벨의 강하에 의해 램프관 위에 남겨지는 코팅제 층의 국부적 건조 영역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액체 레벨의 강하를 트래킹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액체 레벨이 강하하도록 함으로써 램프관의 벽으로부터 초과되는 코팅제가 매우 통제된 방법으로 배출된다. 다시 말해서 적하 또는 낙하가 종래 방법에서 층을 균일하지 않게 하는 필수적인 원인이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 영역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액체 레벨이 강하를 트래킹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층의 모든 부분에 있어서 액체 레벨의 강하와 건조 사이에 같은 시간이 걸린다. 다시 말해 형성된 층의 상이한 부분에 대한 건조 시간의 비동일성이 바로 두께의 비균일성에 대한 주요 원인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므로 세척된 코팅제가 배출되고, 이어서 전체 램프관이 오븐에서 건조될 때 층의 높은 부분이 낮은 부분보다 더 얇아질 수 밖에 없다. 왜냐 하면 높은 부분으로부터 배출되는 코팅제가 계속해서 낮은 부분을 지나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높은 부분에서는 낮은 부분에서보다 더 적은 잔여 층 두께가 남아있게 된다. 종래 방식에 의한 방법에서, 예컨대 시간 순서에 따라 위에서 아래로 연속하여 수행되는 건조 과정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환경을 고려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다시 말해 이것은 배출되는 잔여 코팅제가 건조 과정 동안 어떠한 정의된 시간 순서도 규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이것은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적하 또는 낙하의 형성을 초래하기 때문에, 같은 높이의 램프관 부분에서 강제적으로 균일한 층 두께를 남지 않게 하는, 규정되지 않고 통계적으로 변하는 배출이 다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층이 램프관 내부에 놓여있고, 그 다음 액체 레벨이 램프관 내에서 강하된다. 이를 위해 먼저 램프관이 코팅제로 채워지고, 그로 인해 코팅제가 광범위하게 정의된 상부 액체 레벨을 갖는 액체 칼럼으로서 배출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액체"라는 개념은 점성이 있으면서 유동이 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유동성을 제공해주기만 한다면 펄프나 페이스트도 여기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램프관은 바람직하게는 수직 배치되며, 그 결과 코팅된 램프관의 둘레(내부 또는 외부 둘레)에 걸쳐서 최상의 균일성이 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일반적 의미에서 "건조 영역"이 논의되었다. 실제적으로 본 발명도
일반적으로 건조 장치는 액체 레벨의 강하에 매칭되는 방식으로 램프관에 비례하여 이동된다. 그러나 건조 장치와 램프관 사이의 고정 관계에서도, 예컨대 상이한 건조 영역을 건조 장치에서 연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이동 가능한 건조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건조 영역의 국부적 정의의 정도는 액체 레벨을 향하는 쪽에만 관련된다. 코팅제가 적어도 유동 과정에 의해 더 이상 층 두께가 변동될 수 없을 정도로 계속 건조되는 다른 쪽에서는 건조 영역이 연장되거나 조금이라도 확정될 때까지 어떠한 기본적 역할도 수행되지 못한다. 또한 액체 레벨을 향하는 쪽에서도 국부적 정의의 정도의 개념은 건조 영역의 뚜렷한 경계가 제공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는다. 램프관의 코팅될 벽의 모든 부분에 대해 액체 레벨에서부터 층 두께를 확정하는 건조까지 필수적으로 동일한 시간 간격을 갖는 것이 충분하기 때문에, 상기 건조 영역도 그러한 정도로만 국부적으로 규정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이 상기 건조 영역을 형성시키는 두 개의 변형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제 1 변형예에서는 코팅제 및/또는 램프관의 국부적 가열이 실시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램프관을 둘러싸는 오븐과 램프관의 상대 운동에 의해 실시되고, 일반적으로 건조 영역은 상기 오븐의 하부 가장자리의 상부 쯤에 놓이게 된다. 여기서는 제 1 실시예가 참조된다.
제 2 변형예는 건조에 사용되는 가스층을 순환시키는 데 있다. 이는 예컨대 램프관에 평행하는 환기관을 램프관 안으로 삽입하고 액체 레벨을 기준으로 트래킹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환기관을 통해 건조 가스를 흐름시킬 수 있다. 이는 환기관을 통해 건조 가스를 유입, 흡입 또는 배출시킴으로써 또는 다른 방법으로 전달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각 경우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액체 레벨 위로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 가스의 소용돌이 영역이 정확한 간격으로 주어진다는 점이다. 상기 소용돌이 영역은 액체 레벨을 향하는, 환기관의 개구 밑에 형성되며, 램프관(즉 환기관은 아님)의 건조 가스를 배출 또는 공급하기 위한 개구보다 더 낮게 놓여야 한다. 그러면 건조 가스는 액체 레벨까지 바로 전진하지 않고 환기관의 개구 아래부분을 따라 흘러간 다음, 전술했듯이 더 높은 곳에 있는 개구쪽으로(또는 반대 방향으로) 가는 환기관의 외부면을 향해 위쪽으로 흐른다. 이를 위해 제 2 실시예를 참조한다. 건조 가스는 가열될 수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액체 레벨과 건조 영역 사이의 일정한 시간 간격에 관하여 상이한 가능성이 주어진다. 하나는 코팅제를 예컨대 속도 조절을 위한 제한을 통해 간단히 배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 물론 건조 영역이 상응하여 뒤따라야만 하는 일정하지 않은 속도 프로파일이 제공된다. 그러나 예컨대 코팅제를 조절하여 방출시킴으로써 액체 레벨이 강하하는 동안의 시간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가 호스 펌프를 제공하며, 상기 호스 펌프는 코팅제를 전달하는 호스를 차단하고 그 차단된 영역을 예컨대 스테핑 모터를 사용하여 바람직한 속도로 밀어낸다. 이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호스 펌프가 호스를 통해 코팅제를 펌핑함에 따라 예컨대 액체 레벨의 일정 속도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가능성은 코팅제를 전달하는 용기의 사용에 있다. 코팅제와 상기 용기 사이의 연결의 흐름 속도가 목표 강하 속도에서 너무 높지 않은 경우, 용기의 강하에 의해 액체 레벨의 강하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건조 영역과 조화를 이루며 작동되는 펌프 피스톤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스테핑 모터를 작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펌프 피스톤의 작동이 목표로 하는 액체 레벨의 이동과 같은 속도를 갖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펌프의 횡단면은 액체 레벨의 횡단면과 상응하여야 한다. 그렇게 되면 건조 영역의 이동 및 액체 레벨의 이동이 서로 조화를 이루게 하기 위해 기계적 결합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이미 전술한 짧은 관형 오븐과 펌프 피스톤 사이 또는 환기관과 펌프 피스톤의 기계적 결합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은 다른 펌프 유형의 경우에도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코팅제의 배출 속도, 즉 액체 레벨의 이동이 액체 레벨 위쪽의 대기 압력 또는 코팅제를 전달하는 용기 내 대기 압력의 영향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액체 레벨과 건조 전면부 사이의 시간 간격을 선택할 때, 비교적 짧은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적하 또는 낙하의 형성을 막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물론 액체 레벨 자체를 건조시키는 것도 회피되어야 한다.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 할 지라도 공간적 간격을 램프관 길이보다 더 짧게 선택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공간적 간격이 램프관 길이의 70% 또는 그 이하인 것이 적절하다. 바로 짧은 시간 간격의 관점에서 더 큰 강하 속도를 회피하기 위해 더 짧은 공간적 간격에서, 예컨대 램프관 길이의 최대 50%, 최대 30% 내지는 최대 15%의 간격에서 작업할 것이 권장된다.
본 발명은 특히 형광등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이미 전술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방식의 수은 방전 형광등에 적용된다. 그러나 유전적으로 방해를 받는 방전을 위해 설계된, 즉 유전적으로 방해를 받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하는 형광등에도 적용된다.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형광 물질 층의 제조이다. 형광 물질 층 두께의 균일성이 왜 중요한 것인지는 이미 앞에서 설명하였다. 특히 수은 방전의 경우, 방전과 접촉하는 방전 용기의 모든 영역에서 규정 최소 두께를 보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방전 용기의 유리가 수은과 반응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램프를 검게 만들고 수명을 단축시킨다. 유전적으로 방해를 받는 방전을 위한 방전 램프의 경우 빛 방사의 균일성이 중요시되는 다양한 적용 분야가 존재한다. 한편으로는 디스플레이 또는 스크린의 배경 조명용 평면 방사기가 있으며, 반면 다른 한 편으로는 복사기, 스캐너 및 그와 유사한 기기를 위한 막대형 램프도 있다. 이미징 과정과 연관된 이러한 모든 적용 분야에서 이미지 에러 내에 비균일성이 직접 나타난다.
그러나 특히 유전적으로 방해받는 방전용 방전을 위한 방전 램프의 경우(일반 램프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한 쪽으로 방사된 빛을 막아 다른 쪽으로 활용하거나 빛 방사의 균일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반사 층도 사용된다. 따라서 반사 층의 층 두께가 비균일성을 나타내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는 한 편으로는 빛 방사 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다른 한 편으로는 반사 층 위에 적층되는 형광 물질 층의 비균일성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3.5 및 4 또는 5 이상 또는 7 ㎎/㎠ 이상의 두께를 갖는, 비교적 두께가 균일한 반사 층을 제조할 수 있게 해 준다. 상기 층 두께는 현저한 비균일성을 수용하는 경우에만 종래 방식의 방법을 사용하여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방식에서 문제를 일으켰던 비교적 두꺼운 형광 물질 층을 제조할 수 있게 해 준다. 따라서 1, 2 또는 3 ㎎/㎠ 이상의 형광 물질 층이 가능하다.
또 다른 가능한 적용예는 종래 방식의 방전 램프의 경우 유리벽과 수은의 반응을 막기 위한 반응 차단 층이다. 상기 층(알론-C-층)는 대개 상대적으로 얇다.
하기에는 본 발명이 두 개의 실시예에 따라 자세히 설명되며, 공지된 특징들은 다른 결합에서도 본 발명에 필수적일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제 2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 설명
1: 램프관, 유리관 9: 용기
2: 액체 레벨, 형광등 유리관 10: 교반기
3: 코팅제 11: 오븐, 건조 영역
4: 스토퍼 12: 환기관, 코팅제
5: 호스 라인 13: 개구, 건조 영역
6: 호스 펌프 14, 15: 개구
7: 핀 16: 부속 장치
8: 지지면 17: 디스크
도 1에는 제 1 실시예가 도시되어있다. 방전 램프의 방전관으로 사용되는 유리관이 부호 (1)로 표시되어있다. 이는 코팅 수단의 크기 및 선택에 따라 종래의 수은 방전 램프용 유리관일 수도 있고, 유전적으로 방전에 방해를 받는 관형 방전 램프용 유리관일 수도 있다.
상기 유리관(1)은 수직 배치되고 액체 레벨(2)까지 코팅제(3)로 채워진다. 상기 코팅제(3)는 수성 현탁액 형태의 형광 물질을 포함하며, 페이스트와 같은 점성 유동 밀도를 갖는다. 저면 단부에서 유리관(1)은 호스 라인(5)을 유리관(1)의 내부에 연결하는 스토퍼(4)에 의해 밀폐된다. 따라서 상기 호스 라인(5)도 코팅제(3)로 채워진다.
호스 라인(5)에는 스테핑 모터에 의해, 및 정해진 반경에서 상기 스테핑 모터의 회전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핀(7)에 의해 구동되는 휠을 갖는 호스 펌프(6)가 연결된다. 핀(7)이 휠의 상부 영역에 설치되면, 상기 핀(7)은 장치(지지면)(8)에 대고 호스 라인(5)을 누른다. 그로 인해 호스 라인(5)의 횡단면이 함께 압축된다. 휠이 (도면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핀(7)이 호스 라인(5) 및 지지면(8)을 따라 유리관(1)에 의해 인도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며, 이로써 휠의 회전 속도에 의해 조정되는 펌프 작동이 일어난다. 그럼으로써 코팅제(3)가 유리관(1)으로부터 호스 라인(5)을 통해 분출되고 용기(9)로 흘러들어간다. 또한 스테핑 모터에 의해 액체 레벨(2)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으며, 제어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용기(9)는 자석 교반기(10) 위에 있다. 상기 자석 교반기(10)는 코팅 과정 이전에 코팅제 페이스트(3)를 혼합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 때 전체 코팅제(3)는 용기(9) 내에 위치한 상태이며, 이 코팅제는 호스 펌프(6)가 바로 앞서 상술된 설명과 반대되는 방식으로 작동됨으로써 액체 레벨(2)이 유리관(1)의 상부 에지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유리관(1) 내로 높게 펌핑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호스 펌프(6) 휠의 일정한 회전 속도를 이용하여 액체 레벨(2)이 일정한 속도로 조절되어 강하함으로써 조절된 배출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개략적으로 도시된 오븐(11)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및 액체 레벨(2)의 동일한 이동에 의해 역시 일정한 공간격으로 상기 액체 레벨(2)에 비례하여 재보충된다. 공간적 간격이 도 1에 부호 (d)로 표시되어있다. 그러나 실제로 본 발명에 중요한 것은 시간 간격이며, 동일하지 않은 이동의 경우에는 공간적 간격(d)이 변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건조 오븐(11)은 유리관(1)을 둘러싸고 있으며 그 중심부에 국부적 건조 여역에 상응하는 국부적 가열 영역을 형성시킨다. 상기 오븐(11)이 코팅제(12)로 점착된 유리관(1) 영역을 지나가면, 상기 코팅제(12)가 적어도 더 이상 흐를 수 없을 정도까지 건조되며 층의 두께는 더 이상 복구될 수 없다. 물론 그 후에도 잔열 또는 실내 온도에 의해 대기중에서 잔여 건조 과정이 진행된다.
상기 오븐(11)은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기계 장치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기계 장치는 호스 펌프(6)의 스테핑 모터에 의해 적절히 변속되어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븐과 호스 펌프가 기계적으로 결합되어있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조화를 이루어 동작하게 된다. 간격(d)을 변경하기 위해 액체 레벨(2)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액체 레벨(2)을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해 호스 펌프(6)를 그 모터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오븐(11)이 그 이동 장치상에서 조정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는 주로 액체 레벨(2)이 제어되어 유출되거나 펌핑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도시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 정도는 단지 개략적 도면에 불과하다. 실제 산업에 적용될 경우에는 물론 적절히 응용된 장치가 사용될 것이며, 전문가는 기타 다른 설명이 없어도 여기 제공된 원리도를 통해 그 장치의 세부 사항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며, 여기서 도 1과 상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다. 하기에서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이 설명된다.
이 경우 코팅제(3)는 반사 물질로서 TiO2의 에탄올 현탁액이다. 여기서는 상부로부터 유리관(1) 내로 삽입되는 환기관(13)이 오븐(11) 대신 사용된다. 상기 환기관(13)의 저면 단부는 공기가 유출되는 개구(14)를 갖는다. 상기 환기관이 동일한 속도로 인해 일정한 시간 간격에 상응하게 정해진 일정한 간격(d)으로 액체 레벨(2) 이상을 유지하면, 상기 개구(14)의 하부에 난기류 영역이 형성된다. 그러나 액체 레벨(2)의 바로 위에 에탄올로 가득한 대기가 생성되고, 상기 대기는 매우 약하게 소용돌이친다. 따라서 실질적인 건조는 개구(14)의 바로 아래쪽 영역에서만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에서는 유리관(1) 벽에 있는 코팅제(3)의 에탄올 증기가 픽-업되어 환기관(13)의 외부인 동시에 유리관(1)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부 쪽으로 안내된다. 상부 영역에서는 유리관(1) 위의 부속 장치(16)에 공기 배출이 이루어지는 개구(15)가 제공된다. 상기 부속 장치(16)는 디스크(17)를 경유하여 환기관(13)을 가이드하기 위해 사용되며, 또한 유리관을 위한, 도시되지 않은 홀더(지지 수단)의 일부이다.
전술한 제 2 실시예에 대한 파라미터 세트의 예가 하기에 설명된다. 길이가 300 mm이고 내부 직경이 8.6 mm인 유리관(1)의 경우, 액체 레벨(2)과 개구(14) 사이의 간격이 43 mm이고, 이동 속도가 6 mm/sec로 일정하면 층의 두께는 6.0 ㎎/㎠이다. 이 때 출발 물질은 TiO2200 g 및 니트로셀룰로스가 60 ml(10%) 함유된 에탄올 100 ml로 구성된 코팅제이다. 약 22 ℃에서 28 l/h로 관류하는 공기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환기관(13)은 외경이 1.6 mm이고, 내경이 0.8 mm이다.
도시된 형태에서 상기 제 2 실시예는 특히 코팅제의 휘발성 캐리어 액체에 적합하다. 그러나 가열된 공기도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수성 용액도 제 1 실시예에서처럼 건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두 실시예의 용액을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종합해볼 때,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층 두께가 큰 경우에도 거의 동형의 결함이 없는 층을 제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팅제 도포("플러싱") 및 층 건조 작업이 하나의 공정으로 실시되기 때문에 시간적 측면에서 매우 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의해 매우 균일한 층 두께가 얻어질 수 있는, 코팅제로 램프관을 코팅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보증된다.

Claims (22)

  1. 램프관(1)이 코팅제(3)로 코팅되고 상기 코팅제(3)가 건조되는 방식의, 램프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3)의 액체 레벨(2)이 램프관(1)을 따라 강하되고, 상기 액체 레벨의 강하에 의해 램프관 위에 남겨지는 코팅제 층의 국부적 건조 영역(11, 13)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강하된 액체 레벨의 강하를 트래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관(1)이 형광등-유리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레벨(2)이 상기 램프관(1) 내에서 강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관(1)이 수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영역(11)이 국부 가열에 의해 형성되고 트래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가열이 램프관(1)을 둘러싸는 관형 오븐(11)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영역(13)이 건조 가스층의 흐름에 의해 형성되고 트래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레벨(2)의 경우 벌브에 대해 평행한 환기관(12)이 액체 레벨(2)로부터 분리된 개구(13)에 의해 트래킹되고, 이를 통해 건조 가스가 흐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가스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레벨(2)이 코팅제(3)용 호스 펌프(6)에 의해 강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램프관(1)상의 코팅제(3)와 연결되고 상기 코팅제(3)로 채워지는 용기(9)와 램프관(1) 사이의 상대 운동에 의해 상기 액체 레벨(2)이 강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레벨(2)이 액체 레벨(2)을 강하시키는 펌프 피스톤과 건조 영역의 상호 운동에 의해 강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가 스테핑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븐(11)과 펌프가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관(12)과 펌프가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레벨(2)의 강하시 코팅제(3)의 배출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램프관(1) 위/안의 액체 레벨 윗쪽의 대기 압력 또는 다른 액체 레벨(2)의 대기 압력이 코팅제(3)와 연결되는 용기 내에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레벨과 건조 영역 사이의 간격이 램프관(1) 길이의 최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등 유리관(2)이 유전적으로 방전에 방해를 받는 형광등의 작동을 위해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3)의 층이 형광 물질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건조된 상기 층이 적어도 1 ㎎/㎠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3)의 층이 반사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건조된 상기 층이 적어도 3.5 ㎎/㎠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0041882A 1999-07-22 2000-07-21 램프관의 코팅 및 건조 방법 KR100449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9133893 DE19933893A1 (de) 1999-07-22 1999-07-22 Verfahren zum Beschichten von Lampenkolben
DE19933893.0 1999-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833A true KR20010049833A (ko) 2001-06-15
KR100449532B1 KR100449532B1 (ko) 2004-09-21

Family

ID=791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882A KR100449532B1 (ko) 1999-07-22 2000-07-21 램프관의 코팅 및 건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99145B1 (ko)
EP (1) EP1071110B1 (ko)
JP (1) JP4478306B2 (ko)
KR (1) KR100449532B1 (ko)
AT (1) ATE276583T1 (ko)
CA (1) CA2314311C (ko)
DE (2) DE19933893A1 (ko)
TW (1) TW47698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735B1 (ko) * 2005-03-04 2006-09-29 주식회사 디엠에스 형광체 코팅장치 및 코팅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5202B2 (ja) * 2002-03-22 2007-03-22 富士通株式会社 細管内面への塗膜形成方法およびその形成装置
JP4303925B2 (ja) * 2002-08-19 2009-07-29 篠田プラズマ株式会社 金属酸化膜の形成方法及びガス放電管の2次電子放出膜形成方法
JP2005324108A (ja) * 2004-05-13 2005-11-24 Honda Motor Co Ltd 細管内壁の樹脂被覆方法
EP3023162A1 (de) 2014-11-24 2016-05-25 Heraeus Quarzglas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t einer Funktionsschicht versehenen Bauteils aus Glas sowi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derartigen Schicht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4266A (en) * 1939-03-28 1939-12-19 Gen Luminescent Corp Apparatus for coating tubes with luminescent materials
US2444572A (en) * 1945-02-03 1948-07-06 Du Mont Allen B Lab Inc Apparatus for coating tubes
US2643956A (en) * 1950-03-01 1953-06-30 Gen Electric Co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luminescent tubes
GB697998A (en) * 1951-05-03 1953-10-07 Gen Electric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for coating tubular fluorescent lamps
GB697999A (en) * 1951-05-07 1953-10-07 Gen Electric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for coating tubular fluorescent lamps
GB758968A (en) * 1953-04-29 1956-10-10 British Thomson Houston Co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interior coating of lamp bulbs and the like
DE2213452C3 (de) * 1972-04-06 1975-11-27 Wsesojusny Nautschno-Issledowatelskij Institut Po Stroitelstwu Magistralnych Truboprowodow, Moskau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Emailschlicker an der Innenflache von Rohren
US3900750A (en) * 1974-06-03 1975-08-19 Gte Sylvania Inc Metal halide discharge lamp having heat absorbing coating
US4088802A (en) * 1976-05-27 1978-05-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Process for coating envelope for reflector-type fluorescent lamp and the lamp resulting therefrom
DE2729744C2 (de) * 1977-07-01 1984-05-10 Bodenseewerk Perkin-Elmer & Co GmbH, 7770 Überlingen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Erzeugung einer gasförmigen Meßprobe
JPS57187830A (en) * 1981-05-14 1982-11-18 Matsushita Electronics Corp Manufacture of fluorescent lamp
JPS6016834A (ja) * 1983-07-05 1985-01-28 Matsushita Electronics Corp ガラス管内面への螢光体被膜の形成方法
JPS60109131A (ja) * 1983-11-17 1985-06-14 Matsushita Electronics Corp 螢光体膜形成方法
JPH01258340A (ja) * 1988-04-05 1989-10-16 Nec Home Electron Ltd 蛍光体被膜の形成方法
US4906168A (en) * 1989-02-06 1990-03-06 Thompson Ronald E Peristaltic pump
US5098261A (en) * 1990-05-04 1992-03-24 Brandel Corporation Peristaltic pump and method for adjustable flow regulation
JPH04312741A (ja) * 1991-04-11 1992-11-04 Harrison Denki Kk ガラス管内壁面への蛍光体被膜の形成方法
KR100294486B1 (ko) * 1994-02-23 2001-09-17 김순택 형광램프의형광체현탁액도포방법
DE19517515A1 (de) * 1995-05-12 1996-11-14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ntladungslamp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artiger Entladungslampen
US5811924A (en) * 1995-09-19 1998-09-22 Kabushiki Kaisha Toshiba Fluorescent lamp
US6254921B1 (en) * 1999-12-08 2001-07-03 Surmodics, Inc. Coating process and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735B1 (ko) * 2005-03-04 2006-09-29 주식회사 디엠에스 형광체 코팅장치 및 코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76980B (en) 2002-02-21
DE19933893A1 (de) 2001-01-25
JP2001052611A (ja) 2001-02-23
US6399145B1 (en) 2002-06-04
CA2314311A1 (en) 2001-01-22
KR100449532B1 (ko) 2004-09-21
EP1071110B1 (de) 2004-09-15
DE50007744D1 (de) 2004-10-21
ATE276583T1 (de) 2004-10-15
JP4478306B2 (ja) 2010-06-09
CA2314311C (en) 2009-04-21
EP1071110A1 (de) 2001-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9265B2 (ja) ガス放電管内への電子放出膜形成方法
KR100628735B1 (ko) 형광체 코팅장치 및 코팅방법
KR100449532B1 (ko) 램프관의 코팅 및 건조 방법
US7455733B2 (en) Fluorescent material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ating fluorescent substance using the same
CN101291741B (zh) 涂敷液的混入空气的除去方法及其除去装置
JP4243507B2 (ja) 管内壁の塗布膜の乾燥方法
KR100637028B1 (ko) 형광체 코팅장치
US6187373B1 (en) Method and device for washing and drying glass tubes for lamps
JP2010267525A (ja) 蛍光体塗布方法
KR100547473B1 (ko) 도막층 형성 방법, 램프의 제조 방법 및 램프의 제조 장치
US5841242A (en) Electrodeless lamp with elimination of arc attachment
KR100635220B1 (ko) Eefl 제조용 도포장치
KR100413827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용 일체형 평판형광등의 형광체도포방법
JPS59105878A (ja) 管体に対する被膜形成方法
JP2003045329A (ja) 冷陰極放電管の蛍光被膜形成方法、冷陰極放電管及び照明装置
JPH04312741A (ja) ガラス管内壁面への蛍光体被膜の形成方法
US2512866A (en) Method of coating curved tubing
KR100523689B1 (ko) 형광물질 도포장치
KR100294486B1 (ko) 형광램프의형광체현탁액도포방법
US3676176A (en) Method of making fluorescent lamps
JPS6016834A (ja) ガラス管内面への螢光体被膜の形成方法
JPS6342370B2 (ko)
JP3745859B2 (ja) 陰極線管の製造方法
JP2002343244A (ja) 蛍光被膜塗付方法、冷陰極放電管及び照明装置
JP2002343246A (ja) ガラス管内壁面への蛍光体被膜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