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490A - 클램프장치 - Google Patents

클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490A
KR20010049490A KR1020000030907A KR20000030907A KR20010049490A KR 20010049490 A KR20010049490 A KR 20010049490A KR 1020000030907 A KR1020000030907 A KR 1020000030907A KR 20000030907 A KR20000030907 A KR 20000030907A KR 20010049490 A KR20010049490 A KR 20010049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lease
cap
link mechanism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7910B1 (ko
Inventor
다까하시가즈요시
Original Assignee
다까다 요시유끼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다 요시유끼,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다 요시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49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9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 B23Q3/082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6Details, e.g. jaws, jaw 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12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toggle links
    • B25B5/122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toggle links with fluid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토글링크 기구(64)는 피스톤로드부재(32)와 일체로 변위함에 따라 본체(12)에 형성된 개구부(69)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해제돌기부(67)를 갖는다. 본체(12)에는 개구부(69)를 폐쇄하고 해제돌기부(67)를 덮는 캡(71)이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클램프장치{Clamp Apparatus}
본 발명은 구동부의 구동작용하에 소정 각도로 회동하는 아암을 통해 공작물을 소정 위치에 클램프할 수 있는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어 자동차 등의 구성부품을 용접할 때, 그 구성부품을 클램프하기 위해 클램프실린더를 사용하였고, 이 클램프실린더는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5,575,46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5,575,462호 공보에 개시된 클램프실린더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도시된 실린더의 구동작용하에 축을 따라 변위하는 피스톤로드(1)가 하우징(2)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로드(1)의 일단부에는 연결부재(3)가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3)에는 핀부재(4)를 통해 링크플레이트(5)를 포함하는 토글링크부재(3)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3)에 맞닿는 해제핀(7)은 하우징(2)의 일단에서 홀부(8)를 따라 자유롭게 변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해제핀(7)은 공작물이 미도시된 아암에 의해 클램프된 상태에 있는 경우, 작업자가 수동조작으로 상기 해제핀(7)을 아래쪽으로 압압함에 따라 연결부재 (3)를 아래쪽으로 변위시키고(도 11의 2점쇄선 참조) 상기 클램프상태를 해제하여 클램프되지 않은 상태인 초기상태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상기 미국특허 제5,575,462호 공보에 개시된 클램프실린더에서는 예를 들어, 클램프된 공작물(미도시)을 용접할 때에 해제핀(7)이 변위하는 홀부(8) 내에 스퍼터 등의 이물질이 진입하거나, 또는 상기 해제핀(7)과 홀부(8)와의 사이에 들어간 먼지 등이 축적됨으로써 상기 해제핀(7)의 변위가 방해될 우여가 있다.
또 상기 해제핀(7)과 홀부(8)와의 간격을 통하는 하우징(2) 내부의 먼지 등이 들어감에 따라 토글링크기구(6) 등의 섭동마찰이 커지고, 상기 토글링크기구(6) 등의 내구성이 열화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된 것으로, 본체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게 하고, 부품갯수를 줄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클램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본체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이물질에 의한 섭동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토글링크기구를 포함하는 장치 전체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는 클램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나타낸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클램프장치의 본체에서 커버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 종단면도,
도 4는 상기 클램프장치를 구성하는 본체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클램프장치를 구성하는 구동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지지레버의 원호상 돌기부와 플레이트가 맞닿은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단 사시도,
도 7은 도 3의 Ⅶ-Ⅶ선 종단면도,
도 8은 아암의 회동동작이 정지되어 클램프상태가 된 경우의 동작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클램프장치의 축방향에 따른 일부 종단면도,
도 11은 종래기술에 따른 클램프 실린더의 부분 종단면도.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장치에 대해 적당한 실시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클램프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클램프장치(10)에는 평편하게 일체로 형성된 본체(12), 상기 본체(12)의 하단부에 기밀하게 연결된 구동부(구동수단: 14), 및 상기 본체(12)에 형성된 실질적으로 원형인 한쌍의 개구부(16a, 16b: 도 4참조)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직사각형의 베어링부(18)에 연결된 아암(20)이 구비되어 있다.
구동부(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에 타원형의 요부(22)가 형성된 받침쇠(end block: 24), 및 단면이 타원형인 실린더로 구성되고 그 일단부가 상기 받침쇠(24)의 요부(22)에 기밀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본체(12)의 저면에 기밀하게 연결된 실린더관(26)을 포함한다.
또, 구동부(14)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관(26) 내에 수장되고 실린더챔버(28)를 따라 왕복운동하는 피스톤(30), 상기 피스톤(30)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피스톤(30)과 일체로 변위하는 피스톤로드(로드부재: 32), 및 상기 피스톤(30)과 피스톤로드(32)과의 연결부위에 설치되고 홀부를 통해 피스톤로드(32)에 외감되는 링상의 스페이서(3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33)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로 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33)는 상기 피스톤(30)의 변위종단 위치에서 실린더챔버(28)의 상부를 형성하는 돌기부(50)의 벽면에 당접함에 따라 상기 피스톤(30)의 변위를 억제하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30)과 스페이서(33)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피스톤(30)의 외주면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링(34 ) 및 시일링(36)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또, 받침쇠(24)의 4개의 모서리부에는 취부용 홀부(38)가 천설되어 있고, 상기 취부용 홀부(38)에 삽입된 4개의 축(40)에 의해 받침쇠(24) 및 실린더관(26)이 본체(12)에 기밀하게 조립된다. 본체(12) 및 받침쇠(24)에는 각각 실린더챔버(28)에 압력유체(예를 들어, 압축공기)를 도입 및 도출하기 위한 한쌍의 압력유체 출입포트(42a, 42b, 44a, 44b)가 각각 상호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에 어느 쪽의 압력유체 출입포트(42a, 44a), 또는 (42b, 44b) 내로 미도시된 블랭크캡이 나입됨에 따라 상기 한쪽의 압력유체 출입포트(42a, 44a), 또는 (42b, 44b)가 폐쇄된 상태로 클램프장치가 사용된다.
본체(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대칭인 제1 케이싱(46)과 제2 케이싱(48)이 일체로 조립된다. 상기 제1 케이싱(46)의 하단부에는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고, 로드커버로서 기능을 하는 돌출부(5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케이싱(48)의 긴방향 치수는 제1 케이싱(46)과 비교해서 상기 돌출부(50)의 두께만큼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4)를 분해하지 않고 제1 케이싱(46)으로부터 제2 케이싱(48)을 떼어냄에 따라 간편하게 본체(12)를 분해할 수 있다.
상기 본체(12) 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싱(46) 및 제2 케이싱(48)에 각각 형성된 요부(52a, 52b: 요부(52b)는 요부(52a)와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챔버(54)가 형성되고, 피스톤로드(32)의 자유단은 상기 챔버(54) 내로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피스톤로드(32)는 제1 케이싱(46 ) 및 제2 케이싱(48) 내벽면에 각각 형성되고, 후술하는 너클블록(56)이 섭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이드홈(58)을 따라 직선으로 왕복자재하게 안내된다. 또한, 돌출부(50)에 형성된 관통구멍에는 피스톤로드(3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로드패킹(60: 도3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32)의 일단부에는 너클조인트(62)에 의해 상기 피스톤로드(32)의 직선운동을 아암(20)의 회동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토글링크기구(64)가 설치된다. 상기 너클조인트(62)는 소정 간격을 두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분기된 분기부를 갖는 너클블록(56)과, 상기 분기부에 형성된 홀부에 축착되는 너클핀(70)으로 구성된다.
상기 너클블록(56)의 분기부 일방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평판상 해제돌기부 (67)가 일체로 형성되고(도 4 및 도 7 참조), 상기 해제돌기부(67)는 아암(20)에 의해 공작물을 클램프할 때 제2 케이싱(48)의 상면부에 형성된 실질적으로 타원형의 개구부(홀부: 69)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하도록 설치된다(도 7 참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69)에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제 또는 고무제의 신축자재한 재료로 형성된 캡(시일수단: 71)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캡( 71)은 타원형으로 형성된 천정부(75), 신축자재하게 형성된 주름부(77) 및 상기 개구부(69) 내에 삽입되는 실린더부(79)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천정부(75), 주름부( 77) 및 실린더부(79)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1, 2, 4 참조).
이 경우, 상기 캡(71)은 개구부(69)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하는 해제돌기부(67)를 덮는다. 상기 캡(71)은 상기 개구부(69)를 폐쇄하여 먼지 등이 본체(12)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설계되어 있다(도 7 참조).
작업자는 수동작업으로 신축성을 갖는 캡(71)을 압압하여 해제돌기부(67)를 하방으로 변위시킴에 따라 클램프상태를 해제하여 클램프되지 않은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공작물을 클램프할 때, 해제돌기부(67)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너클블록 (56)의 타방 분기부의 상면부(7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의 내벽면에 당접하지 않아 상기 상면부(73)와 본체(12)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생기게 된다.
상기 너클블록(56)의 저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32)의 원반상의 돌기부(66)에 체결되는 단면이 T자형인 홈부(68)가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재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피스톤로드(32)와 일체로 형성된 돌기부(66 )와 상기 홈부(68)와의 사이, 및 너클블록(56)과 가이드홈(58)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너클블록(56)이 상기 홈부(68)를 따라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섭동자재하게 설치됨에 따라 피스톤로드(32)에 대한 횡방향의 하중이 전달되지 않는다. 환원하면, 너클블록(56)에 자유도를 둠에 따라 예를 들어, 공작물을 클램프할 때 피스톤로드(32), 로드패킹(60) 등에 횡하중이 가해지지 않고 피스톤로드(32)의 스트로크를 토글링크기구(64)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토글링크기구(6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클핀(70)을 통해 너클조인트(62)의 분기부에 연결되는 링크플레이트(72), 및 제1 케이싱(46)과 제2 케이싱(4 8)에 형성된 실질적으로 원형인 한쌍의 개구부(16a, 16b)에 각각 회동자재하게 지지되는 지지레버(74)가 구비된다.
상기 링크플레이트(72)는 상기 너클조인트(62)와 지지레버(74)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너클조인트(62)와 지지레버(74)를 링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상기 링크플레이트(72)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의 홀부(76a, 76b)가 형성된다. 상기 링크플레이트(72)는 한쪽 홀부(76a)에 축착되는 너클핀(70) 및 너클조인트(62)를 통해 피스톤로드(32)의 자유단에 연결되며, 타방의 홀부(76b)에 축착되는 핀부재(78)를 통해 지지레버(74)의 분기부에 연결된다.
지지레버(7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부재(78)가 축착되는 홀부가 형성된 분기부, 피스톤로드(32)의 축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개구부(16b)를 통해 본체(12)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베어링부(18), 상기 분기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여 형성되고 본체(12)의 실질적으로 원형인 개구부(16a, 16b)에 각각 감합하는 한쌍의 원주부(80a, 80b), 및 상기 원주부(80a, 80b)로부터 횡방향으로 약간 돌출되어 형성되고 개구부(16a)를 통해 본체 (12)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한쌍의 원호상 돌출부(82a, 82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부(18)에는 공작물(미도시)을 클램프하는 아암(20)이 착탈자재하게 장착된다.
상기 지지레버(74)는 아암(20)과 일체로 회동동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레버(74)에 형성된 상기 원호상 돌기부(82a, 82b)는 본체(12)에 고정된 플레이트 (84a, 84b)에 당접함에 따라 상기 아암(20)의 회동동작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한다.
상기 로드부재(32)의 직선운동은 너클조인트(62) 및 링크플레이트(72)를 통해 지지레버(74)로 전달되고, 상기 지지레버(74)는 본체(12)에 형성된 한쌍의 개구부(16a, 16b)에 지지되는 원주부(80a, 80b)를 회동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자재하게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를 구성하는 제1 케이싱(46) 및 제2 케이싱(48)의 측면에는 직사각형의 요부(86)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요부(86)은 한쌍의 커버부재(88a, 88b)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커버부재(88a, 88b)는 나사부재(89)에 의해 착탈자재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 지지레버(74)의 베어링부(18)는 커버부재(8 8b)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형성된 실질적으로 원형인 개구부(9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또, 상기 요부(86)의 벽면에는 지지레버(74)의 원호상 돌기부(82a, 82b)가 당접함에 따라 아암(20)의 회동동작을 정지시켜 플레이트(84a, 84b)가 나사부재(9 2)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플레이트(84b, 84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상 돌기부(84b, 84a)의 일단면(94)이 당접하는 제1 당접면(96), 및 상기 원호상 돌기부(84b, 84a)의 타단면(98)이 당접하는 제2 당접면(100)을 가지며, 상기 제1 당접면(96)과 제2 당접면(100)과의 사이에는 지지레버(74)를 둘러싸는 만곡면(1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레버(74)의 일단면(94)과 타단면(98)은 약 90도 각도만큼 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레버(74)의 일단면(94)과 타단면(98)의 이간거리는 90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경우, 본체(12)로부터 한쌍의 커버부재(88a, 88b)를 각각 떼어내고, 나사부재(92)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84a, 84b)를 다른 플레이트(후술함)와 간편하게 교환할 수있다. 또한, 본체(12)로부터 한쌍의 커버부재(88a, 88b)를 각각 떼어낸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레버(74)에 형성된 원호상 돌기부(82b, 88a)의 일단면(94) 및 타단면(98)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단, 일단면(94)은 도시되지 않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를 구성하는 제1 케이싱(46) 및 제2 케이싱(48)의 내벽면 상부쪽에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요부(106)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부(106)에는 클램프상태에 있을 때 너클조인트(62)가 당접하여 반반력을 수용하는 한쌍의 반반력판(108)이 나사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또 상기 제1 케이싱(46 ) 및 제2 케이싱(48)의 내벽면에는 직사각형 홈으로 되어 있고 상하방향으로 연재되는 한쌍의 가이드홈(58)이 상호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가이드홈( 58) 사이에는 너클블록(56)이 개재되고, 상기 너클블록(56)은 상기 가이드홈(58)의 안내작용에 따라 상하방향을 따라 섭동자재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장치(10)는 기본적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것으로, 이하에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되지 않은 고정수단을 통해 클램프장치(10)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고, 관(미도시) 등의 관체의 일단부를 한쌍의 압력유체 출입포트(42a, 44a, 42b, 44b)에 각각 접속하며, 상기 관체의 타단부를 압력유체 공급원(미도시)에 접속한다. 또한 피스톤(30)이 실린더챔버(28)의 최하단에 있을 때를 클램프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초기위치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준비작업을 한 후, 초기위치에서 압력유체 공급원(미도시)을 작동시켜 한쪽 압력유체 출입포트(44a)에서 실린더챔버(28)로 압력유체를 도입한다. 상기 실린더챔버(28)에 도입된 압력유체의 작용하에 피스톤(30)이 압압되고, 상기 피스톤(30)이 실린더챔버(28)를 따라 상승한다. 이 때, 상기 피스톤(30)의 외주면에 장착된 웨어링(34)과, 너클블록(56)이 섭동변위하는 가이드홈(58)이 안내작용을 함에 따라 피스톤(30), 피스톤로드(32) 및 너클로드(56)의 직선정밀도가 유지된다.
피스톤(30)의 직선운동은 피스톤로드(32) 및 너클조인트(62)를 통해 토글링크기구(64)에 전달되고, 상기 토글링크기구(64)를 구성하는 지지레버(74)의 회동작용하에 아암(2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된다.
즉, 피스톤(30)의 직선운동(상승)으로 피스톤로드(32)의 자유단에 체결되는 너클조인트(62) 및 링크플레이트(72)를 상방으로 압압하는 힘이 작용한다. 상기 링크플레이트(72)에 대한 압압력은 너클핀(70)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링크플레이트 (72)를 소정 각도로 회동시키며, 상기 링크플레이트(72)의 링크작용하에 지지레버( 74)를 회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지지레버(74)의 베어링부(18)를 지지점으로 아암(20)이 소정 각도로 회동함에 따라 원호상 돌기부(82b, 82a)는 상기 지지레버(74)와 일체로 소정 각도로 회동한다.
이와 같이 아암(20)이 회동할 때, 원호상 돌기부(82b, 82a)의 일단면(94)이 본체(12)에 고정된 플레이트(84b, 84a)의 제1 당접면(96)에 당접함에 따라 상기 아암(20)은 회동동작을 멈춘다. 그 결과, 아암(20)에 의해 공작물이 클램프되는 클램프상태로 된다(도 8 참조). 상기 클램프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0)과 피스톤로드(32)와의 연결부위에 설치된 스페이서(33)가 실린더챔버(28)를 형성하는 돌기부(50) 벽면에 당접하지 않는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공작물을 클램프한 때에 가해지는 반반력은 링크플레이트(72)가 당접하는 반반력판(108)에 의해 수용된다.
그래서, 아암(20)이 회동동작을 정지하여 클램프상태로 된 후, 피스톤(30) 및 피스톤로드(32)는 약간 상승하고, 상기 스페이서(33)가 돌기부(50) 벽면에 당접함에 따라 피스톤(30) 및 피스톤로드(32)는 정지하는 변위 종단위치가 된다(도 3 참조).
이 경우, 너클블록(56)과 일체로 형성된 해제돌기부(67)는 본체(12) 상부에 형성된 타원형의 개구부(69)에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고 캡(71) 내의 홀부를 향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가소성을 갖는 캡(71)을 통해 변위함에 따라 클램프상태를 해제하여 클램프되지 않은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램프상태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절환밸브의 절환작용하에 압력유체 출입포트(42a)에 압력유체를 공급함에 따라 피스톤로드(30)가 하강한다. 또 피스톤로드(32)의 하강작용하에 링크플레이트(72)를 통해 지지레버(74)가 상기와는 다른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아암(20)이 공작물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 아암(20)이 공작물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원호상 돌기부(82b, 82a)의 타단면(98)이 본체(12)에 고정된 플레이트(84b, 84a)의 제2 당접면 (100)에 당접함에 따라 상기 아암(20)은 회동동작을 정지한다. 그 결과, 클램프장치(10)는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해제돌기부(67)에 있는 개구부(69)를 캡(71)으로 폐쇄함에 따라 예를 들어, 클램프된 공작물을 용접할 때, 상기 개구부(69)를 통해 본체(12) 내에 스퍼터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2) 내부에 들어가는 이물질(먼지 등)에 의해 섭동저항이 증가하는 등의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토글링크기구(64) 등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69)와 해제돌기부(67)와의 사이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상기 해제돌기부(67)의 변위가 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는 가소성을 갖는 캡(71)을 통해 해제돌기부(67)를 압압함에 따라 상기 해제돌기부 (67)를 용이하게 변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너클블록(56)의 분기부의 일방에 상면으로 돌출되는 평판상 해제돌기부(67)를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해제핀(7)을 별개로 구성하는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부품갯수가 줄어들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수단으로 실린더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되지 않은 선형 액추에이터, 전동모터 등을 사용하여 로드부재(피스톤로드: 32)를 변위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클램프장치(110)를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클램프장치(110)에서는 너클블록(56)의 분기부의 양방에 각각 상방으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한쌍의 평판상 해제돌기부(112a, 112 b)를 일체로 형성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 클램프장치(110)에서는 본체(12)의 맨윗부분에 평면부(114)를 형성하고, 상기 평면부(114)에 형성된 직사각형 홀부(116a, 116b)를 통해 상기 한쌍의 해제돌기부(112a, 112b)의 일단부가 돌출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본체(12)의 평면부(114) 전체를 덮도록 폭이 넓은 캡(118)을 장착하고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캡(118)의 상면은 단면이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캡(118)의 하면에는 본체(12)의 홀부 등에 체결되는 톱니부(1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118)은 합성수지제 또는 고무제의 신축자재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클램프장치(110)에서는 한쌍의 평판상 해제돌기부(112a, 112b)가 설치되어 설치환경 등에 따라 작업자가 한쌍의 해제돌기부(112a, 112b) 어느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여 압압함에 따라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캡(118)의 상면에는 한쌍의 해제돌기부(112a, 112b) 어느 하나를 압압할 때의 마크(Mark: 122a, 122b)가 형성된다.
그외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일부단에 의해 본체에 형성된 홀부를 폐쇄하며, 상기 홀부에서 돌출되는 해제돌기부를 피복함에 따라 본체의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따라서, 해발돌기부의 변위이 방애되지 않으며, 본체 내에 들어가는 이물질에 의한 섭동저항이 커지지 않기 때문에 토글링크기구 등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해제돌기부를 별개로 구성하지 않고, 토글링크기구를 구성하는 너클블록과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부품갯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0)

  1. 본체(12),
    상기 본체(12) 내부에 설치된 로드부재(32)를 상기 본체(12)의 축방향을 따라 변위시키는 구동수단(14),
    상기 로드부재(32)에 열결되는 링크부재(62,72,74)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부재(32)의 직선운동을 회동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토글링크기구(64), 및
    상기 토글링크기구(64)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수단(14)의 구동작용하에 소정 각도로 회동하는 아암(20)을 포함하며,
    상기 토글링크기구(64)는 상기 로드부재(32)와 일체로 변위함에 따라 상기 본체(12)에 형성된 홀부(69,116a,116b)에서 돌출되어 있는 해제돌기부(67,112a,11 2b)를 가지며, 상기 본체(12)는 상기 홀부(69,116a,116b)를 폐쇄하고 상기 해제돌기부(67,112a,112b)를 덮는 시일수단(71,118)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링크기구(64)는 로드부재(32)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너클블록(56)을 가지며, 상기 너클블록(56)에는 축을 따라 돌출되어 있는 해제돌기부(67,112a,11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수단은 본체(12)의 축방향을 따라 일단부에 형성된 홀부(69)에 장착되는 캡(71)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71)은 천정부(75), 신축자재하게 형성된 주름부 (77), 홀부(69) 내에 삽입되는 실린더부(79)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천정부(75), 주름부(77) 및 실린더부(79)는 가소성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수단은 상기 본체(12)의 맨윗부분에 형성된 평면부(114)를 덮는 캡(118)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118)의 상면부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호상이며, 상기 캡(118)의 저면부에는 상기 본체(12)의 홀부에 체결되는 톱니부(12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돌기부(67)는 상기 너클블록(56)의 분기부 중 일방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돌기부(67)는 상기 너클블록(56)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해제돌기부(112a, 112b)는 상기 너클블록(56)의 분기부 중 타방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해제돌기부(112a, 112b)는 상기 너클블록(56)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KR1020000030907A 1999-06-17 2000-06-05 클램프장치 KR100347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70916A JP2001001274A (ja) 1999-06-17 1999-06-17 クランプ装置
JP11-170916 1999-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490A true KR20010049490A (ko) 2001-06-15
KR100347910B1 KR100347910B1 (ko) 2002-08-09

Family

ID=1591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907A KR100347910B1 (ko) 1999-06-17 2000-06-05 클램프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78856B1 (ko)
EP (1) EP1060839B1 (ko)
JP (1) JP2001001274A (ko)
KR (1) KR100347910B1 (ko)
CN (1) CN1132723C (ko)
DE (1) DE60038335T2 (ko)
TW (1) TW47669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999B1 (ko) * 2016-08-09 2017-01-19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유압 액츄에이터를 이용한 nc공작기계 자동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0163A (ja) * 2002-08-30 2004-03-25 Smc Corp クランプ装置
US6869068B2 (en) * 2003-01-31 2005-03-22 Smc Corporation Electric clamping device
US7815176B2 (en) 2003-09-11 2010-10-19 Phd, Inc. Lock mechanism for pin clamp assembly
US7516948B2 (en) * 2004-04-02 2009-04-14 Phd, Inc. Pin clamp accessories
US7182326B2 (en) * 2004-04-02 2007-02-27 Phd, Inc. Pin clamp
US7448607B2 (en) * 2004-12-15 2008-11-11 Phd, Inc. Pin clamp assembly
US20070267795A1 (en) * 2006-02-06 2007-11-22 Parag Patwardhan Pin clamp transfer assembly and method of transferring a workpiece
DE102006022950A1 (de) * 2006-05-17 2007-11-22 De-Sta-Co Europe Gmbh Spannvorrichtung zum Festlegen von Werkstücken
EP2121240B1 (en) 2007-01-15 2017-05-10 PHD, Inc. Armover clamp assembly
JP4916902B2 (ja) * 2007-02-05 2012-04-18 イーグルクランプ株式会社 段差調整治具
JP4892668B2 (ja) 2007-02-15 2012-03-07 Smc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US20080197553A1 (en) * 2007-02-19 2008-08-21 Erick William Rudaitis Power clamp having dimension determination assembly
ES2707249T3 (es) 2007-06-19 2019-04-03 Phd Inc Conjunto de abrazadera de pasador
WO2009155261A1 (en) * 2008-06-18 2009-12-23 Phd, Inc. Strip off pin clamp
JP5719981B2 (ja) * 2009-10-02 2015-05-20 Smc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DE102009048510A1 (de) 2009-10-09 2011-04-14 De-Sta-Co Europe Gmbh Spannvorrichtung
US8918968B2 (en) 2010-11-11 2014-12-30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Link clamp
CN102729062B (zh) * 2012-06-06 2014-10-22 苏州市职业大学 一种轴类样件气动夹具装置
JP5688582B2 (ja) * 2012-07-11 2015-03-25 Smc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JP5821134B2 (ja) * 2013-01-28 2015-11-24 Smc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JP5943237B2 (ja) * 2013-07-23 2016-07-05 Smc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JP6119052B2 (ja) 2014-04-01 2017-04-26 Smc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US9906093B2 (en) 2014-10-31 2018-02-27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Universal housing mount
MX2017010461A (es) * 2015-02-16 2018-06-06 Smc Corp Dispositivo de sujecion.
JP6252950B2 (ja) * 2015-03-05 2017-12-27 Smc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CN105171475B (zh) * 2015-10-16 2017-06-13 云南腾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望远镜镜筒铣削加工夹具
RU170291U1 (ru) * 2016-04-27 2017-04-19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АМАЗ"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зажима детали при механ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е
DE102016008882A1 (de) * 2016-07-20 2018-01-25 Hydac Technology Gmbh Spannzylindervorrichtung
EP3375569A1 (de) 2017-03-13 2018-09-19 UNIVER S.p.A. Vorrichtung zum positionieren, schwenken oder spannen von werkstücken
CN107470824A (zh) * 2017-08-11 2017-12-15 昆山群发机械设备有限公司 夹紧器及其控制方法
CN111331180B (zh) * 2020-04-13 2021-08-20 浙江振兴铸造有限公司 一种汽车轻质转向节夹具
CN111730268A (zh) * 2020-06-28 2020-10-02 济南金威刻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激光焊接夹具和激光焊接工作站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7355A (en) * 1975-11-12 1976-08-31 General Motors Corporation Low tire pressure warning system with mechanical latching
US5171001A (en) * 1987-05-27 1992-12-15 Btm Corporation Sealed power clamp
US5575462A (en) * 1994-08-17 1996-11-19 Blatt; John A. Rotary clamp for a linear actuator
US5634629A (en) * 1994-12-22 1997-06-03 Isi Norgren Inc. Rotary clamp having a common plane mounting arrangement
JP4099729B2 (ja) 1997-03-05 2008-06-11 Smc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999B1 (ko) * 2016-08-09 2017-01-19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유압 액츄에이터를 이용한 nc공작기계 자동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60839B1 (en) 2008-03-19
EP1060839A3 (en) 2003-10-01
DE60038335T2 (de) 2009-03-05
CN1132723C (zh) 2003-12-31
KR100347910B1 (ko) 2002-08-09
EP1060839A2 (en) 2000-12-20
TW476690B (en) 2002-02-21
CN1277907A (zh) 2000-12-27
JP2001001274A (ja) 2001-01-09
DE60038335D1 (de) 2008-04-30
US6378856B1 (en) 2002-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7910B1 (ko) 클램프장치
KR100358924B1 (ko) 클램프장치
KR100335391B1 (ko) 실린더장치
KR100338120B1 (ko) 클램프장치
KR101079608B1 (ko) 클램프 장치
KR100393540B1 (ko) 클램프장치
JP4789006B2 (ja) クランプ装置
JP2001162473A (ja) クランプ装置
KR0150476B1 (ko) 스풀 밸브
JP2004090163A (ja) クランプ装置
US6394136B1 (en) Fluidic control element
KR20110102328A (ko) 밸브 로드 상에의 밸브 플레이트의 설치
JP3780176B2 (ja) ベルトガイド機構
KR100720104B1 (ko) 실린더 장치용 가이드 기구
KR880000983B1 (ko) 왕복피스톤 모우터
JP3644882B2 (ja) クランプ装置
US6647859B2 (en) Belt-fixing mechanism
JP4560290B2 (ja) ステム又はシャフトシール構造
JP3618263B2 (ja) クランプ装置
KR100562689B1 (ko) 공압식 액츄에이터
JP2647036B2 (ja) ロッドレスシリン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