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7864A - 자동차의 후륜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륜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7864A
KR20010047864A KR1019990052255A KR19990052255A KR20010047864A KR 20010047864 A KR20010047864 A KR 20010047864A KR 1019990052255 A KR1019990052255 A KR 1019990052255A KR 19990052255 A KR19990052255 A KR 19990052255A KR 20010047864 A KR20010047864 A KR 20010047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wheel
tie rod
vehicle
screw shaft
rod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8775B1 (ko
Inventor
김제덕
남궁주
Original Assignee
밍 루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 루,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밍 루
Priority to KR10-1999-0052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8775B1/ko
Publication of KR20010047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computing target steering angles for front or r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4Rear wheel steering; All wheel ste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륜조향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발명의 주된 목적은 고속 회전주행에 도움을 주기 위해 후륜을 조향할 수 있도록 하되, 보다 간단한 구조로 제조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제조 원가를 최소화 하여 널리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실시수단은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된 지지부재 상에서 힌지를 지점으로 회동가능토록 연결된 후륜, 그리고 상기 후륜의 림상에 외측 끝단이 연결된 통상의 타이로드앤드부재, 그리고 상기한 타이로드앤드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후륜을 회동시키기 위해 나사축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상에 고정된 구동모터어셈브리로 구성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륜조향장치{Back wheel steering gear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륜조향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조향장치를 가진 전륜 외에 후륜에도 조향기능을 추가로 설치하여 고속 선회시 주행안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는 양측 전륜에 조향장치를 설치하여 조향핸들을 좌, 우로 돌렸을 때, 상기 전륜이 좌, 우 조향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승용차가 고속 주행을 하면서 커브를 돌게되면 원심력 즉, 회전하는 속도에 비례하고, 회전 하는 반경에 반비례하는 크기의 힘이 바깥쪽으로 작용하므로 운전자는 속도를 줄이던가 회전반경을 작게 하여야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회전주행시 회전 반경을 가능한 크게 하고, 속도를 줄여야 하는 것은 효과적인 주행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근래에는 회전 주행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양측 전륜 외에 나머지 양측 후륜에도 조향장치를 설치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즉,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속회전주행을 할 경우, 전륜(F)은 회전하고자 하는 회전방향의 안쪽을 향하고 있으나, 후륜(R)은 직진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선회 주행하는데 있어서는 전혀 도움이 안된다.
따라서 고속 회전주행시 상기 후륜(R)을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임의의 각도 만큼씩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소개 되어 있다.
그러나 후륜조향 장치는 전륜조향장치와 달리 조향을 위한 동력전달 체계는 물론 조향을 위한 각도, 조작시기, 조작방법 등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종래의 후륜조향장치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고, 이러한 단점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널리 실용화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발명의 주된 목적은 고속 회전주행에 도움을 주기 위해 후륜을 조향할 수 있도록 하되, 보다 간단한 구조로 제조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제조 원가를 최소화 하여 널리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실시수단은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된 지지부재 상에서 힌지를 지점으로 회동가능토록 연결된 후륜, 그리고 상기 후륜의 림상에 외측 끝단이 연결된 통상의 타이로드앤드부재, 그리고 상기한 타이로드앤드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후륜을 회동시키기 위해 나사축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상에 고정된 구동모터어셈브리로 구성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회전주행시 차륜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후륜 조향타입의 자동차 회전주행시의 차륜을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작동수단을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부재 2 : 힌지
3 : 타이로드앤드부재 4 : 구동모터어셈브리
5 : 모터 6 : 변위감지센서
41 : 나사축 42 : 하우징
43 : 감속치차셋트 44 : 워엄기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구동모터어셈브리의 평면도이다.
먼저, 후륜(R)을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된 지지부재(1)상에서 힌지(2)를 지점으로 회동가능토록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후륜(R)의 내측 림(R1)으로 외측 끝단이 연결된 통상의 타이로드앤드부재(3)를 연결하고, 상기한 타이로드앤드부재(3)를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어셈브리(4)를 연결한다.
상기한 구동모터어셈브리(4)는 나사축(41)을 가지는 바, 그 일측 끝단은 상기한 타이로드앤드부재(3)와 연결하고, 그 타측 끝단은 하우징(42)의 내부에서 위해 워엄기어(44)를 포함하는 감속치차셋트(43)와 치합시킨 것이다.
또 하우징(42) 내부의 감속치차셋트(43)는 상기 워엄기어(44)에 치합된 워엄축(51)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워엄축(51)은 모터(5)의 회전자축의 끝단에 형성된 것이다.
특히, 구동모터어셈브리(4)의 모터(5)는 반듯이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사용하여야 하며, 그 하우징(42)의 상부에는 상기 나사축(41)의 회전상태를 감지하여 ECU(도시하지 않았음)로 전달하는 변위감지센서(6)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고속선회주행시 보다 안정된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후륜(R)을 조향할 수 있다.
즉, 주행하고 있는 자동차의 차속과, 회전반경 등을 감지한 ECU에서 급회전을 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ECU는 상기한 구동모터어셈브리(4)를 작동시킨다.
구동모터어셈브리(4)의 모터(5)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작동하면 워엄축(51)이 감속치차셋트(43)의 워엄기어(44)를 회전시키고, 워엄기어에 따라 회전하는 치차셋트(43)가 나사축(41)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된다.
나사축(41)의 전진 또는 후진은 타이로드앤드부재(3)를 길이 방향으로 작동시키므로 지지부재(1)상에서 힌지(2)를 지점으로 회동가능토록 연결된 후륜(R)을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움직이는 후륜(R)의 조향각은 나사축(41)의 이동량과 비례하는 바, 나사축(41)의 이동량은 변위감지센서(6)가 계속적으로 감지하여 ECU에 전달되고, 또 ECU의 지시에 따라 변위량이 결정된다.
그리고 회전주행이 끝나면 이를 감지한 ECU가 다시 후륜(R)을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정상적인 주행을 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후륜(R)의 조향은 양측 바퀴를 다 같은 양으로 조향할 수도 있고, 회전시 내측 및 외측의 회전반경이 달라짐에 따라 각각 다른 각도로 달리 조향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고속주행시에는 차륜을 조향시킬 때 그다지 큰 힘이 필요치 않다는 것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나사축(41)을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는 구동모터어셈브리(4) 만으로 후륜(R)을 조향할 수 있도록 하였는 바,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우수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여 널리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3)

  1. 자동차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된 지지부재(1)상에서 힌지(2)를 지점으로 회동가능토록 연결된 후륜(R);
    상기 후륜(R)의 림(R1)상에 외측 끝단이 연결된 통상의 타이로드앤드부재(3);
    상기한 타이로드앤드부재(3)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후륜(R)을 회동시키기 위해 나사축(41)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1)상에 고정된 구동모터어셈브리(4); 로 구성하여 고속회전주행시 후륜(R)을 조향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륜조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모터어셈브리(4)는 상기 타이로드앤드부재(3)와 연결한 나사축(41)과, 상기 나사축(41)을 회전시켜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워엄기어(44)를 포함하는 감속치차셋트(43)와, 상기 감속치차셋트의 워엄기어(44)에 치합시킨 워엄축(51)과, 상기 워엄축을 회전자축으로하는 모터(5)와, 상기 나사축(41)의 회전상태를 감지하여 ECU로 전달하는 변위감지센서(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륜조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모터어셈브리(4)는 상기 모터(5)를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륜조향장치.
KR10-1999-0052255A 1999-11-23 1999-11-23 자동차의 후륜조향장치 KR100408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255A KR100408775B1 (ko) 1999-11-23 1999-11-23 자동차의 후륜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255A KR100408775B1 (ko) 1999-11-23 1999-11-23 자동차의 후륜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864A true KR20010047864A (ko) 2001-06-15
KR100408775B1 KR100408775B1 (ko) 2003-12-11

Family

ID=19621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255A KR100408775B1 (ko) 1999-11-23 1999-11-23 자동차의 후륜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87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244B1 (ko) * 2012-06-01 2014-02-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 길이측정수단이 장착된 타이로드
US10260250B2 (en) 2014-08-30 2019-04-16 Innovative Building Technologies, Llc Diaphragm to lateral support coupling in a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8009A (en) * 1990-09-12 1993-09-28 Nsk Ltd. Vehicle rear wheels steer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244B1 (ko) * 2012-06-01 2014-02-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 길이측정수단이 장착된 타이로드
US10260250B2 (en) 2014-08-30 2019-04-16 Innovative Building Technologies, Llc Diaphragm to lateral support coupling in a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8775B1 (ko)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1249B2 (ja) 自動車の舵取り装置
JP2002166841A (ja) 操舵装置
JP2007153300A (ja) モータ駆動式操向装置
JP3014588B2 (ja) 車両用可変舵角比操舵装置
JP2003127876A (ja) 操舵装置
KR20010047864A (ko) 자동차의 후륜조향장치
JP3541867B2 (ja) 舵角センサ異常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輌
CN113811480B (zh) 车辆转向设备
JP2000255436A (ja) 舵取装置
KR20140087925A (ko) 기어비 가변형 볼조인트를 구비한 스티어링장치
JP4114560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37670A (ja) 後輪操舵制御方式
JPH0214971A (ja) 車両用操舵装置
JPH04232182A (ja) 車輪操舵装置
KR200340027Y1 (ko) 전동식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KR100261414B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조향기어
KR20080006197A (ko) 자동차용 회전반경 축소시스템
JPS6050624B2 (ja) 車輌の操舵装置
JPH02155874A (ja) 車両用操舵装置およびその適用車両
JP4069653B2 (ja) 車両の操舵装置
JP2006044485A (ja) 車両操舵装置
JP2572577Y2 (ja) 前後輪操舵車両の制御装置
JPH0924851A (ja) 車両用舵角比可変操舵装置
KR20050034286A (ko) 차량의 스티어링 휠 시스템
JPH03157273A (ja) 四輪操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