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6887A - 자동차의 풋 주차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풋 주차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6887A
KR20010046887A KR1019990050845A KR19990050845A KR20010046887A KR 20010046887 A KR20010046887 A KR 20010046887A KR 1019990050845 A KR1019990050845 A KR 1019990050845A KR 19990050845 A KR19990050845 A KR 19990050845A KR 20010046887 A KR20010046887 A KR 20010046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parking brake
elastic member
groove
operation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0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2460B1 (ko
Inventor
허순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50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460B1/ko
Publication of KR20010046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4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with locking and release means, e.g. providing parking brake appl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풋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차 및 정차 시 운전자의 발 조작력으로 자동차의 제동륜을 단속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일측으로는 운전자가 발로 밟아 조작할 수 있는 페달(11)이 구비되고, 몸체 타측으로는 중앙부에 축지홈(12)이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다수개의 락킹구(13)이 형성된 작동암(10)과, 상기 소정의 길이를 갖고 작동암(10)의 축지홈(12)에 끼워져 횡방향으로 위치되어, 작동암(10)을 지지하는 지지축(20)과, 상기 지지축(20) 일측부에 설치되며, 몸체 일측에는 키돌기(31)가 형성되는 가압구(30)와, 상기 작동암(10)의 일측부에 위치되며, 몸체 상부와 하부로는 차체와 고정되도록 체결홈(41)이 구비되고, 몸체 중앙부에는 공간부(42)가 형성되는 고정브라켓트(40)와, 상기 고정브라켓트(40)의 공간부(42)에 설치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가압구(30)가 삽입되는 고정홈(51)이 형성되고, 몸체 일측부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절개되어, 가압구(30)의 키돌기(31)가 끼워지도록 삽입홈(52)이 형성되어, 작동암(10)의 운동을 제어하는 탄성부재(50)로 구성되므로, 종래에 비해 조립성이 향상되고, 작동시 발생되던 충격 및 소음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풋 주차 브레이크 장치 {Foot parking brake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풋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풋 브레이크의 작동을 우레탄 부시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는 손 또는 발의 조작력을 레버, 링크등을 통하여 힘을 증폭해서 케이블, 로드 등으로 각 제동륜을 단속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주차 브레이크는 크게 손으로 입력하는 방식과 발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손, 발 어느 조작에 대해서나 비교적 큰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 배치는 운전자가 앉아 있는 자세에서 쉽게 손,발이 닿는 장소에 설치하여야 하며, 조작시에도 손, 팔꿈치, 발 등이 주면 부위에 간섭되지 않아야 한다.
한편,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로 사용되는 것중 손으로 사용하는 주차브레이크는 플로어에 설치된 레버를 끌어올리는 방식이며,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 중앙부위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손으로 입력하는 주차 브레이크는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단가가 저렴하여 자동차에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발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주차 브레이크는 운전자가 페달을 밟아 누름으로써 조작하는 방식으로 최근 AT차량에 많이 채용되고 있다.
또, 상기 발로 입력하는 주차 브레이크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주로 중형차 이상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풋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은 브레이크 페달 몸체 단부에는 래칫수단에 의해 단속되는 락킹부가 형성되며, 페달 몸체 중앙부에는 리턴스프링(60)이 상부로 연결되어, 일측에서 오일댐퍼(70)의 작동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일측에 오일댐퍼를 설치하는 이유는 브레이크의 해제시 리턴 스프링의 작동으로 발생되는 충격 및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의 풋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그 작동을 이루기 위한 구성품이 많아 조립공수가 증대되어 생산단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차 실내의 협소한 공간에 장착해야 하므로, 거주성에 많은 제약을 받는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풋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과정(해제 및 작동시)에서 소음 및 충격이 발생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불안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풋 브레이크의 작동을 우레탄 부시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풋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풋 브레이크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 하여 조립성 및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풋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전자에게 신뢰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풋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풋 브레이크의 구성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인 풋 브레이크 장치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풋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풋 브레이크가 작동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동암 11 - 페달
12 - 축지홈 13 - 락킹구
20 - 지지축 30 - 가압구
31 - 키돌기 40 - 고정브라켓트
41 - 체결홈 42 - 공간부
50 - 탄성부재 51 - 고정홈
52 - 삽입홈 53 - 우레탄 부시
60 - 리턴스프링 70 - 오일댐퍼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 및 정차 시 운전자의 발 조작력으로 자동차의 제동륜을 단속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일측으로는 운전자가 발로 밟아 조작할 수 있는 페달(11)이 구비되고, 몸체 타측으로는 중앙부에 축지홈(12)이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다수개의 락킹구(13)이 형성된 작동암(10)과;
상기 소정의 길이를 갖고 작동암(10)의 축지홈(12)에 끼워져 횡방향으로 위치되어, 작동암(10)을 지지하는 지지축(20)과;
상기 지지축(20) 일측부에 설치되며, 몸체 일측에는 키돌기(31)가 형성되는 가압구(30)와;
상기 작동암(10)의 일측부에 위치되며, 몸체 상부와 하부로는 차체와 고정되도록 체결홈(41)이 구비되고, 몸체 중앙부에는 공간부(42)가 형성되는 고정브라켓트(40)와;
상기 고정브라켓트(40)의 공간부(42)에 설치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가압구(30)가 삽입되는 고정홈(51)이 형성되고, 몸체 일측부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절개되어, 가압구(30)의 키돌기(31)가 끼워지도록 삽입홈(52)이 형성되어, 작동암(10)의 운동을 제어하는 탄성부재(5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자동차의 풋 브레이크 장치는 작동암(10)의 운동을 탄성부재(50)인 우레탄 부시(53)를 이용하여 제어하므로, 종래에 비해 조립성이 향상되고, 작동시 발생되던 충격 및 소음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풋 브레이크의 구성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풋 브레이크 장치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풋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풋 브레이크가 작동시 상태를 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자동차 풋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암(10)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일측으로는 운전자가 발로 밟아 조작할 수 있는 페달(11)이 구비되고, 몸체 타측으로는 중앙부에 축지홈(12)이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다수개의 락킹구(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암(10)의 축지홈(12)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작동암(10)의 축지홈(12)에 끼워져 횡방향으로 위치되어, 작동암(10)을 지지하는 지지축(2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축(20) 일측부에는 몸체 일측에 키돌기(31)가 형성되는 가압구(30)가 설치된다.
상기 가압구(30)는 작동암(10)의 작동시 후술될 탄성부재(50)와 접촉하면서 작동암(10)의 움직임을 탄성부재(50)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작동암(10)을 지지하는 지지축(20)에 설치된 가압구(30)는 몸체 일측으로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키돌기(31)가 형성되어 있어 운전자가 주차 브레이크 페달(11)을 가압하면 작동암(10)을 지지하면서, 상호 고정된 지지축(20)이 회전하면서, 이때 지지축(20)과 역시 고정된 가압구(30)가 탄성부재(50)와 접촉하면서 탄성부재(50)를 압축시켜 작동암(10)이 하부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암(10)의 일측부에는 몸체 상부와 하부로 차체와 고정되도록 체결홈(41)이 구비되고, 몸체 중앙부에는 공간부(42)가 형성되는 고정브라켓트(4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고정브라켓트(40)의 공간부(42)는 탄성력과 복원력을 갖는 탄성부재(50)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몸체 내측으로 가압구(30)가 삽입되는 고정홈(51)이 형성되고, 몸체 일측부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절개된 삽입홈(5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50)는 고정브라켓트(40)의 공간부(42)에 설치된 후 몸체 중앙에 형성된 고정홈(51)으로 가압구(30)가 위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0)의 몸체 일측으로 형성된 삽입홈(52)에는 가압구(30)의 키돌기(31)가 위치되어, 작동암(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탄성부재(50)는 재질특성상 탄성력 및 복원력이 우수한 우레탄 부시(53)를 사용하므로, 운전자가 작동암(10)의 페달(11)을 밟아 작동시키면, 상기 작동암(10)과 고정된 지지축(20)이 회전하면서, 가압구(30)가 탄성부재(50)의 삽입홈(52)에서 일측방향으로 탄성부재(50)를 압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탄성부재(50)를 압착하여 가압구(30)가 일측으로 이동되면, 작동암(10)의 상부에 형성된 락킹구(13)가 기어부에 맞물리면서, 작동암(10)의 단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단속된 작동암(10)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기어부 해제시키면, 락킹구(13)가 기어부와 이탈되면서, 탄성부재(50)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암(10)을 지지축(20)을 중심으로 다시 복원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동암(10)의 작동을 탄성부재(50)를 이용하므로, 작동암(10)의 해제시 종래와 같이 급격이 복귀하면서 발생되던 충격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작동해제시 이음발생 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0)로 사용되는 우레탄 부시(53)는 형상 및 밀도를 변경하여 특성선도를 임으로 조정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자동차 주차 브레이크를 탄성부재(50)인 우레탄 부시(53)를 이용하여 작동시키므로, 조립성 및 제작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둘째,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및 해제시 이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종래 주차 브레이크의 댐퍼기능저하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주차 브레이크의 설치면적이 줄어 들어 운전자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넷째, 종래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서 사용하던 리턴스프링(60)과 오일댐퍼(70)를 우레탄 부시(53)와 고정브라켓트(40)로 대치할 수 있어, 중량저감의 효과가 있다.
다섯째, 상기 탄성부재(50)로 사용하는 우레탄 부시(53)는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환경 친화적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주차 및 정차 시 운전자의 발 조작력으로 자동차의 제동륜을 단속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일측으로는 운전자가 발로 밟아 조작할 수 있는 페달(11)이 구비되고, 몸체 타측으로는 중앙부에 축지홈(12)이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다수개의 락킹구(13)이 형성된 작동암(10)과;
    상기 소정의 길이를 갖고 작동암(10)의 축지홈(12)에 끼워져 횡방향으로 위치되어, 작동암(10)을 지지하는 지지축(20)과;
    상기 지지축(20) 일측부에 설치되며, 몸체 일측에는 키돌기(31)가 형성되는 가압구(30)와;
    상기 작동암(10)의 일측부에 위치되며, 몸체 상부와 하부로는 차체와 고정되도록 체결홈(41)이 구비되고, 몸체 중앙부에는 공간부(42)가 형성되는 고정브라켓트(40)와;
    상기 고정브라켓트(40)의 공간부(42)에 설치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가압구(30)가 삽입되는 고정홈(51)이 형성되고, 몸체 일측부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절개되어, 가압구(30)의 키돌기(31)가 끼워지도록 삽입홈(52)이 형성되어, 작동암(10)의 운동을 제어하는 탄성부재(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자 브레이크 장치.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50)로는 우레탄 부시(53)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19990050845A 1999-11-16 1999-11-16 자동차의 풋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0312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845A KR100312460B1 (ko) 1999-11-16 1999-11-16 자동차의 풋 주차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845A KR100312460B1 (ko) 1999-11-16 1999-11-16 자동차의 풋 주차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887A true KR20010046887A (ko) 2001-06-15
KR100312460B1 KR100312460B1 (ko) 2001-11-05

Family

ID=19620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0845A KR100312460B1 (ko) 1999-11-16 1999-11-16 자동차의 풋 주차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4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555B1 (ko) * 2010-10-29 2013-01-22 주식회사 밴텍디엔씨 다용도 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138B1 (ko) * 2002-10-07 2005-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범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555B1 (ko) * 2010-10-29 2013-01-22 주식회사 밴텍디엔씨 다용도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2460B1 (ko) 200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2616A (en) Brake pedal mechanism for automotive vehicles
JP3125715B2 (ja) 車両用ペダル変位制御構造
US5916330A (en) Cable operated releasable brake pedal assembly
JP3449206B2 (ja) 車両用ペダル変位制御構造
KR100312460B1 (ko) 자동차의 풋 주차 브레이크 장치
JP3932702B2 (ja) ペダルブラケットの構造
JP2006103501A (ja) 車両用ペダルの後退防止装置
JPH11115699A (ja) ペダル機構
JP4045527B2 (ja) ブレーキペダル装置
JP2000280874A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KR100207220B1 (ko)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레버 작동시 소음 감소장치
KR100511857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 시스템
US6983671B2 (en) Cantilever-style pedal assembly
KR100216825B1 (ko)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JP4045526B2 (ja) ブレーキペダル装置
JP3125967B2 (ja) ブレーキロック装置
JPH0911827A (ja) ペダル引き込み装置
KR0117285Y1 (ko) 종형으로 배열설치된 자동차용 브레이크 및 액셀러레이터 페달
KR100261432B1 (ko) 브레이크 부우스터
KR20010000866U (ko)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장착구조
KR19980016526U (ko) 충격흡수용 스토퍼
KR0121956Y1 (ko) 자동차용 드럼 브레이크
JP4094802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用ペダルの後退防止構造
KR19980013336U (ko) 주차용 풋 브레이크
JP2001341623A (ja) 車両用ペダル操作部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