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5979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5979A
KR20010045979A KR1019990049529A KR19990049529A KR20010045979A KR 20010045979 A KR20010045979 A KR 20010045979A KR 1019990049529 A KR1019990049529 A KR 1019990049529A KR 19990049529 A KR19990049529 A KR 19990049529A KR 20010045979 A KR20010045979 A KR 20010045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air
device body
heat exchanger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3815B1 (ko
Inventor
윤연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49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815B1/ko
Priority to JP2000146781A priority patent/JP3606784B2/ja
Priority to CNB001090984A priority patent/CN1142396C/zh
Priority to IT2000TO000670A priority patent/IT1320484B1/it
Priority to ES200001687A priority patent/ES2196932B1/es
Publication of KR20010045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5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3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characterised by a split arrangement, wherein parts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e.g. evaporator and condenser, are in separately locat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의 공기흡입구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릴을 구비하는 공조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공조기기는, 상기 그릴의 일측 길이방향 연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호 대향하게 외향 돌출된 회동축; 및 상기 기기본체에 상기 회동축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회동축선방향에 가로로 연장된 수용안내홈을 가지는 회동축수용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그릴의 결합분리가 간편하며, 내구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공조기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조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이하게 분해조립가능한 그릴을 갖는 분리형 공조기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조기기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의 상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열교환기 주위의 냉기 또는 온기를 토출시켜 실내를 냉방 또는 온방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조기기중에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된 소위 분리형 공조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공조기기의 실내기 및 실외기에는 각각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설치되어 있다. 냉방운전시, 실내기의 제 1열교환기는 증발기로서의 역할을 하고, 실외기의 제 2열교환기는 응축기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 때, 증발기 주위에 형성된 냉기를 송풍팬을 통해 실내로 공급한다. 한편, 난방운전시, 실내기의 제 1열교환기는 응축기 역할을 하고, 실외기의 제 2열교환기는 증발기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 때, 응축기 주위에 형성되는 온기를 송풍팬을 통해 실내로 공급한다.
도 1은 종래의 공조기기의 분해사시도로서, 실내기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공조기기(1)의 실내기는, 공기흡입구(7) 및 공기토출구(9)가 형성된 기기본체(3), 공기흡입구(7)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릴(5)을 가지고 있다. 기기본체(3)는 후방케이스(3a)와 전면커버(3b)로 구성된다. 기기본체(3)내에는, 냉기 또는 온기를 형성하는 열교환기(11) 및 이 열교환기(11) 주위에 형성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실내로 송풍시키는 송풍팬(13)등의 실내기부품이 장착된다. 기기본체(3)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통해 실내의 벽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의 공조기기(1)의 실내기는, 작동이 개시되면, 송풍팬(13)이 회전한다. 이 때, 공기흡입구(13)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그릴(5)을 통해 실내의 공기가 기기본체(3)내로 흡입된다. 흡입되는 공기는 열교환기(11) 주위에서 냉기로 형성되며, 송풍팬(13)에 의해 공기토출구(9)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의 부분확대단면도로서, 기기본체(3)와 그릴(5)의 결합상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기기본체(3)에는, 공기흡입구(7)의 양측 상부영역으로부터 각각 외향 돌출된 한 쌍의 힌지축(21)이 형성되어 있다. 기기본체(3)에는 또한, 공기흡입구(7)의 하부 길이방향 연부(23)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후크홈(2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릴(5)은 거의 사각판상을 가지며, 양측 상부영역에 각각 후방돌출된 힌지부(27)가 마련되어 있다. 힌지부(27)의 말단에는 기기본체(3)의 힌지축(21)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힌지축홈(2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릴(5)에는 또한, 그 하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후크(29)가 돌출되어 있다. 이들 후크(29)는 기기본체(3)에 형성된 후크홈(25)과 결합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기기본체(3)와 그릴(5)의 결합은, 우선 그릴(5)의 양측 힌지부(27)에 형성된 힌지축홈(28)을 기기본체(3)의 힌지축(21)에 대응시키고, 소정 가압하여 힌지축(21)을 힌지축홈(28)에 수용시킨다. 그런 다음, 그릴(5)을 하향 회동시키면, 그릴(5)에 형성된 복수의 후크(29)가 기기본체(3)에 형성된 후크홈(25)에 대응하게 된다. 이 때, 그릴(5)의 하부영역을 다시 가압하면, 후크(29)가 후크홈(25)에 수용결합된다. 한편, 기기본체(3)에 결합된 그릴(5)은, 상술한 역방향을 따라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기기(1)에서는, 기기본체(3)의 전면에 대하여 그릴(5)을 소정 각도 이상 개방시킬 수 없어서, 공기흡입구(7)에 설치된 그릴(5)의 청소나 기기부품의 이상점검시 항상 그릴(5)을 분리시켜야 하며, 이러한 경우, 그릴(5)의 결합 및 분리가 작업자의 가압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그릴(5)과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힌지부(27)는, 플라스틱 재질의 특성 및 판상의 형태로 인하여, 빈번한 힌지축(21)과의 결합 및 분리과정에서 쉽게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공조기기(1)에서는, 기기본체(3)의 공기흡입구(7)의 전면에 필터(도시않음)가 결합되기 때문에,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분리과정에서, 먼지등의 찌꺼기가 기기본체(3)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기기본체로부터 간편하고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이 증대된 그릴을 갖는 공조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의 분리결합이 간편하고, 필터의 분리시 먼지등이 기기본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조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공조기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의 부분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조기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사시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3의 부분확대도로서, 기기본체의 회동축수용부와 그릴의 회동축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조립단면도,
도 8은 도 3의 부분확대도로서, 기기본체의 걸림턱과 그릴의 걸림후크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조립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3 : 공기흡입구 35 : 공기토출구
37a, 37b : 기기본체 39 : 송풍팬고정부
40 : 열교환기수용홈 41 : 회전축수용부
43 : 수용안내홈 50 : 그릴
51 : 상부그릴부 52 : 하부그릴부
53 : 회동축 56 : 스커트부
57 : 걸림후크 59 : 걸림턱
60 : 송풍팬 65 : 열교환기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의 공기흡입구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릴을 구비하는 공조기기에 있어서, 상기 그릴의 일측 길이방향 연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호 대향하게 외향 돌출된 회동축; 및 상기 기기본체에 상기 회동축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회동축선방향에 가로로 연장된 수용안내홈을 가지는 회동축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기본체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 주위에 형성되는 냉기/온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이 각각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후방케이스; 및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흡입구의 하부영역에 상기 공기흡입구와 평행하게 형성된 공기토출구를 가지고, 상기 후방케이스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커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전면커버의 공기흡입구는, 상기 후방케이스의 벽면에 평행한 하부흡입부 및 상기 하부흡입구의 상부영역에 상기 하부흡입구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하는 상부흡입부를 가지며; 상기 회동축수용부의 수용안내홈은 상기 상부흡입구의 양측 연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릴의 일측 길이방향 연부의 중앙영역에는 판면방향을 따라 하향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기본체의 대응하는 전면에는 상기 고정돌기를 지지하는 지지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릴의 내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조기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조립사시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이다. 본 공조기기(31)는, 종래의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부영역의 공기흡입구(33) 및 하부영역의 공기토출구(35)를 가지는 기기본체(37)와, 기기본체(37)의 공기흡입구(33)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릴(50)을 가진다. 공기흡입구(33)와 공기토출구(35)는 상호 평행하게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기본체(37)는 거의 사각통형상을 가지며, 후방케이스(37b) 및 전면커버(37a)로 구성된다.
후방케이스(37a)의 판면에는, 송풍팬(60)의 양단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송풍팬고정부(39)가 공기흡입구(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송풍팬 고정부(39)의 상부영역에는 열교환기(65)의 일측 길이방향 연부(66)를 수용고정하는 열교환기 수용홈(40)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케이스(37b)에는 또한, 그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복수의 결합홈(도시않음) 및 나사홈(도시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면커버(37a)는, 그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후방케이스의 결합홈 및 나사홈과 결합되는 결합후크(도시않음) 및 나사공(도시않음)을 가지고 있다. 전면커버(37a)에 상하로 마련된 공기흡입구(33) 및 공기토출구(35)는, 상하로 거의 만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공기흡입구(33)와 공기토출구(35)를 구분하는 구분플랜지부(35)의 내면에는 열교환기(65)의 타측 길이방향 연부(67)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턱(68)이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판면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절곡된 열교환기(65)는, 일측 길이방향 연부(66)가 후방케이스(37b)의 열교환기 수용홈(40)에 고정되고, 타측 길이방향 연부(67)가 전면커버(37a)의 지지턱에 고정지지된다. 이 때, 고정된 열교환기(65)의 전면에 공기흡입구(33)가 배치되고, 하부영역에 공기토출구(35)가 배치된다. 그리고, 열교환기(65)의 내부에 송풍팬(60)이 설치된다.
전면커버(37a)의 공기흡입구(33)는, 상부흡입부(32)와 하부흡입부(34)로 구분되어 있다. 상부흡입부(32)의 양측 벽면에 그릴(50)의 회동축(53)을 수용하는 회동축수용부(41)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동축수용부(47)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과 관련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공기흡입구(33)는 또한, 좌측흡입부(36)와 우측흡입부(38)로 구분되어 있다. 이들 좌측흡입부(36) 및 우측흡입부(38)를 상호 구분하는 지지플랜지(59)는, 그릴(50)의 고정돌기(도시않음)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그릴(50)의 개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전면커버에는 또한, 도 8 및 도 9와 관련하여 자세히 후술할 한 쌍의 걸림턱(5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그릴(50)은, 전면커버(37a)의 공기흡입구(33)에 대응하도록 만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만곡면은 공기흡입구(33)의 상부흡입부(32) 및 하부흡입부(34)에 각각 대응하는 상부그릴부(51)와 하부그릴부(52), 그리고, 좌우측 흡입부(36, 38)에 대응하는 좌우측 그릴부(54, 55)로 구분된다. 그리고, 좌우측 그릴부(54, 55)의 내벽면에는 각각 사각판상의 필터(도시않음)가 부착된다. 좌우측 그릴부(54, 55)에는 각각 필터의 상측 모서리 영역을 수용고정시키는 한 쌍의 수용고정부(도시않음) 및 필터의 하측 연부를 수용고정시키는 수용돌기(도시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그릴(50)의 상부그릴부(51)에 전면커버(37a)의 회동축수용부(41)에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회동축(53)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그릴부(52)에 전면커버(37a)의 걸림턱()과 결합되는 걸림후크()가 형성된다. 도 6은 도 3의 부분확대도로서, 그릴(50)의 회동축(53) 및 전면커버(37a)의 회동축수용부(41)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조립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회동축(53)은 그릴(50)의 상측 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외향 돌출되어 있다. 이들 회동축(53)은 그릴(50)의 사출성형시 간단히 일체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릴(50)의 회동축(53)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회동축수용부(41)는 전면커버(37a)의 공기흡입구(33)의 상부흡입부(32)에 형성되어 있다. 회동축수용부(41)는 회동축홈(42)과, 상부흡입부(32)의 상측 연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용안내홈(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용안내홈(43)은 상부흡입부(32)의 양측 연부에 각각 형성된 단차부(44)와, 단차부(44)의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기준면과 평행하게 돌출된 수용안내홈 형성돌기(45)에 의하여 형성된다. 수용안내홈(43)의 말단에 회동축(53)이 출입하는 수용개구가 형성된다.
한편, 도 8은 도 3의 부분확대도로서, 기기본체의 걸림턱과 그릴의 걸림후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조립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릴(50)의 하부그릴부(52)의 양측 연부는 외향 연장되어 하향 만곡된 스커트부(56)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스커트부(56)의 하측 모서리영역에 각각 내향 돌출된 걸림후크(57)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림후크(57)는 기기본체(37) 즉, 전면커버(37a)에 형성된 걸림턱(59)과 결합한다. 걸림턱(59)은 공기토출구(35)의 양측에 각각 함몰형성되어 있다. 함몰된 걸림턱(59)의 중앙영역은 개구되어 있다. 개구된 상측 연부는 판면을 향해 소정의 경사면을 형성하며, 걸림후크(57)의 후크부(58)와 상호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공조기기(31)의 그릴(50)을 기기본체(37)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가 그릴(50)의 하부그릴부(52)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동축(53)을 기기본체(37)의 수용안내홈(43)내에 수용시킨다. 그런 다음, 회동축(53)을 수용안내홈(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시키고, 파지한 하부그릴부(52)를 회동축(53)을 축으로 하향 회동시키면 걸림후크(57)가 기기본체(37)의 걸림턱(59)에 대응하게 된다. 이 때, 그릴(50)의 자체적인 무게에 의하여, 걸림후크(57)와 기기본체(37)의 걸림턱(59)이 상호 맞물린다.
한편, 기기본체(37)에 결합된 그릴(50)은, 상술한 역순을 진행하여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다. 이 때, 그릴(50)을 회동축(53)을 축으로 거의 180。 회동시켜, 기기본체(37)의 상부에 개방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그릴(50)의 상측 길이방향 연부의 중앙영역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공기흡입구(33)의 구분플랜지에 지지시킴으로서, 그릴(50)을 개방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그릴(50)의 회동축(53)은 공기흡입구(33)의 양측 연부에 형성된 수용안내홈 형성돌기(44)에 지지되어 외향 이탈이 저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조기기(50)에서는, 그릴(50)의 회동축(53)을 기기본체(37)의 수용안내홈(43)으로부터 외향 이탈시킨 상태에서, 그릴(50)의 필터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기본체로부터 간편하고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이 증대된 그릴을 갖는 공조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공조기기는, 필터의 분리결합이 간편하고, 필터의 분리시 먼지등이 기기본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Claims (5)

  1.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의 공기흡입구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릴을 구비하는 공조기기에 있어서,
    상기 그릴의 일측 길이방향 연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호 대향하게 외향 돌출된 회동축; 및
    상기 기기본체에 상기 회동축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회동축선방향에 가로로 연장된 수용안내홈을 가지는 회동축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본체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 주위에 형성되는 냉기/온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이 각각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후방케이스; 및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흡입구의 하부영역에 상기 공기흡입구와 평행하게 형성된 공기토출구를 가지고, 상기 후방케이스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의 공기흡입구는,
    상기 후방케이스의 벽면에 평행한 하부흡입부 및 상기 하부흡입구의 상부영역에 상기 하부흡입구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하는 상부흡입부를 가지며;
    상기 회동축수용부의 수용안내홈은 상기 상부흡입구의 양측 연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의 일측 길이방향 연부의 중앙영역에는 판면방향을 따라 하향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기본체의 대응하는 전면에는 상기 고정돌기를 지지하는 지지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의 내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
KR1019990049529A 1999-11-09 1999-11-09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333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529A KR100333815B1 (ko) 1999-11-09 1999-11-09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0146781A JP3606784B2 (ja) 1999-11-09 2000-05-18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B001090984A CN1142396C (zh) 1999-11-09 2000-06-07 空调器的室内装置
IT2000TO000670A IT1320484B1 (it) 1999-11-09 2000-07-04 Unita' interna per un condizionatore d'aria con una grigliaagganciabile al pannello frontale.
ES200001687A ES2196932B1 (es) 1999-11-09 2000-07-07 Unidad interior de un aparato acondicionador de a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529A KR100333815B1 (ko) 1999-11-09 1999-11-09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979A true KR20010045979A (ko) 2001-06-05
KR100333815B1 KR100333815B1 (ko) 2002-04-26

Family

ID=19619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529A KR100333815B1 (ko) 1999-11-09 1999-11-09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606784B2 (ko)
KR (1) KR100333815B1 (ko)
CN (1) CN1142396C (ko)
ES (1) ES2196932B1 (ko)
IT (1) IT1320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5089A (ko) * 2016-02-12 201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37688B (zh) * 2005-03-24 2010-05-05 海尔集团公司 空调室内机壳体结构
CN100353123C (zh) * 2005-04-21 2007-12-05 海尔集团公司 空调室内机上进风栅的支撑结构
CN1987272B (zh) * 2005-12-23 2010-06-0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吸气面板的支撑结构
KR101304608B1 (ko) * 2006-03-20 2013-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5359134B2 (ja) * 2008-09-09 2013-12-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2022813A (zh) * 2010-12-08 2011-04-20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一体式拆卸入风口过滤系统及含有该系统的空调室内机
JP6236780B2 (ja) * 2012-12-26 2017-11-2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CN104613616B (zh) * 2015-01-27 2017-05-10 浙江倚天能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门板活动挂钩及其在电器中的应用
CN107013989B (zh) * 2017-05-25 2023-08-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N107477833B (zh) * 2017-08-17 2019-08-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室内机壳体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08036492B (zh) * 2018-01-31 2023-12-08 珠海三友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面板开合运动机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8014B2 (ja) * 1989-10-31 1995-05-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3306898B2 (ja) * 1992-03-26 2002-07-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
JP2904078B2 (ja) * 1995-11-16 1999-06-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パネルの取付構造
JPH09264562A (ja) * 1996-03-29 1997-10-0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グリル着脱装置
JPH10274323A (ja) * 1997-03-27 1998-10-13 Isuzu Motors Ltd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US6085538A (en) * 1998-08-26 2000-07-11 Carrier Corporation Control box door/fairing for front grille of an air conditioner
KR100322114B1 (ko) * 1999-07-28 2002-02-06 윤종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5089A (ko) * 2016-02-12 201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5219A (zh) 2001-05-16
ITTO20000670A1 (it) 2002-01-04
JP2001132978A (ja) 2001-05-18
JP3606784B2 (ja) 2005-01-05
IT1320484B1 (it) 2003-11-26
ITTO20000670A0 (it) 2000-07-04
ES2196932A1 (es) 2003-12-16
KR100333815B1 (ko) 2002-04-26
CN1142396C (zh) 2004-03-17
ES2196932B1 (es) 2005-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0475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2001004597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20190219278A1 (en) Air conditioner
KR20100007259A (ko) 공기조화기
KR101271057B1 (ko) 공기조화기
JP3235948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100267222B1 (ko) 공기조화기의하부지지장치
KR200204603Y1 (ko) 벽걸이형 공조기기
JP735660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100584301B1 (ko) 공기조화기
KR100244205B1 (ko) 공기조화기의 에어필터 결합장치
KR100223410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 일체형 그릴
KR200312147Y1 (ko) 룸 에어컨의 구조
JP2865346B2 (ja) 空気調和機
KR200171920Y1 (ko) 공조기기
KR100294338B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JP4739512B2 (ja) 空気調和機
KR100319691B1 (ko) 전면그릴을 갖춘 일체형 공기조화기
JPH09126538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パネル
KR200168803Y1 (ko) 공기조화기
KR20180090132A (ko)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KR0128922Y1 (ko) 공기조화기의 모터 지지대
KR20000006431U (ko) 공기조화기
KR19990019498U (ko) 공기조화기
EP1811235A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