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5695A - 버스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45695A KR20010045695A KR1019990049081A KR19990049081A KR20010045695A KR 20010045695 A KR20010045695 A KR 20010045695A KR 1019990049081 A KR1019990049081 A KR 1019990049081A KR 19990049081 A KR19990049081 A KR 19990049081A KR 20010045695 A KR20010045695 A KR 200100456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re tire
- bus
- bolt
- wheel
- mounting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버스의 전방 차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스페어타이어를 차체의 중앙부위로 마련되는 러기지룸내에 나사결합을 매개로 안착시킴으로써 별도의 캐리어장치가 없이도 간편하게 스페어타이어의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의 하부로 캐리어장치를 매개로 탈/장착이 이루어지는 버스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버스(B)의 러기지룸(30)내에는 골조프레임(34)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돌출되는 볼트(32)가 설치되고, 이 볼트(32)에 스페어타이어(10)의 휠(10a)에 형성된 관통구멍(10b)이 끼워지며, 이 관통구멍(10b)으로부터 돌출된 볼트(32)에 고정브라켓트(38)가 끼워져 너트(36)를 매개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스의 스페어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스의 스페어타이어를 별도의 캐리어장치없이도 간편하게 차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버스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중 타이어의 손상을 대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어타이어를 구비하고 있는 바, 이러한 스페어타이어는 승용차의 경우에는 차체의 후방 트렁크룸내에 보관되는 것이 통상적이고, 화물차의 경우에는 역시 차체의 후방으로 하부에 캐리어장치를 매개로 매달리도록 보관하고 있다.
한편, 버스(B)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어타이어(10)가 차량의 전방 차체의 하부에서 캐리어조립체(20)를 매개로 하여 매달리도록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캐리어조립체(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차체를 형성하는 좌우측 사이드프레임(12)의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부재(14)상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조립체(20)는 크랭크핸들(22)에 의해 작동되어 아래로 길게 늘어 뜨려진 체인(24)을 감아 내부에 수용하도록 되어 있고, 이 체인(24)의 하단은 상기 스페어타이어(10)의 휠(10a)의 내부에 끼워진 지지부재(11)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페어타이어(10)의 휠(10a)의 내부에 지지부재(11)를 끼워 고정하고서, 이 지지부재(11)에 상기 체인(24)의 하단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크랭크핸들(22)을 캐리어조립체(20)에 끼워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체인(24)이 캐리어조립체(20)의 내부로 감겨 올라가게 되므로, 상기 스페어타이어(10)는 좌우측 사이드프레임(12) 사이로 고정된 프레임부재(14)의 하측면에 인접되게 상승하여 장착되어진다.
또한, 타이어의 교체시 상기 캐리어조립체(20)로부터 스페어타이어(10)를 탈거시킬 때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크랭크핸들(22)을 돌려 체인(24)은 하방향으로 길게 늘어 뜨린 다음 스페어타이어(10)의 휠(10a)내에 고정된 지지부재(11)로부터 체인(24)을 이탈시키고서 스페어타이어(10)를 빼내 사용하면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페어타이어(10)의 장착에 있어서는 전방 차체의 사이드프레임(12)상에 고정된 프레임부재(14)에 스페어타이어(10)의 휠(10a)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11)에 연결된 체인(24)을 감거나 풀어줄 수 있는 캐리어조립체(20)를 장착시켜야 하고, 또한 이 캐리어조립체(20)를 작동시키는 크랭크핸들(22)을 차체의 별도 부위에 구비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스페어타이어(10)의 장착에 소요되는 부품의 종류가 다수개이면서 이의 설치를 위한 작업공정도 과다한 실정이고, 이의 제작을 위한 비용도 높으며, 상기 캐리어조립체(20)의 작동에 있어서도 매번 크랭크핸들(22)을 캐리어조립체(20)에 끼운 다음 여러번 돌려야 하는 등의 번거러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버스의 전방 차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스페어타이어를 차체의 중앙부위로 마련되는 러기지룸내에 나사결합을 매개로 안착시킴으로써 별도의 캐리어장치가 없이도 간편하게 스페어타이어의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버스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의 하부로 캐리어장치를 매개로 탈/장착이 이루어지는 버스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버스의 러기지룸내에는 골조프레임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돌출되도록 설치된 볼트가 스페어타이어의 휠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끼워져 고정브라켓트와 함께 너트를 매개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버스에서 스페어타이어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도 1의 "A"부의 상세도로서,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조립체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타이어가 장착되는 러기지룸을 도시하고 있는 버스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러기지룸내에 스페어타이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러기지룸내에 스페어타이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스페어타이어 10a-휠
10b-관통구멍 12-사이드프레임
14-프레임부재 20-캐리어조립체
22-크랭크핸들 24-체인
30-러기지룸 32-볼트
34-골조프레임 36-너트
38-고정브라켓트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타이어가 장착되는 러기지룸을 도시하고 있는 버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러기지룸내에 스페어타이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러기지룸내에 스페어타이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B)의 중앙차체의 양측 하부로 각종 수화물류를 내부에 보관하도록 마련된 러기지룸(30)내에 스페어타이어(10)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버스(B)의 러기지룸(30)내에는 스페어타이어(10)의 휠(10a)을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32)가 고정되는 바, 이 볼트(32)는 상기 러기지룸(30)을 형성하는 골조프레임(34)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되고, 이 볼트(32)는 상기 휠(10a)의 중앙부위로 동심원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구멍(10b)중 일부만을 관통하여 휠(10a)의 상측 내부에서 고정브라켓트(38)와 너트(36)를 매개로 체결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볼트(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프레임(34)의 저부에서 이를 관통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골조프레임(34)상에 고정되도록 접합되어 있는 데, 상기 볼트(32)는 스페어타이어(10)를 고정브라켓트(38)를 매개로 고정함에 있어 안정감을 주기 위해 적어도 2군데 이상의 부위로 고정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트(38)는 볼트(32)의 삽입을 위한 관통구멍을 형성함은 물론, 이 고정브라켓트(38)의 전장은 다소 길게 연장되면서 볼트(32)의 삽입을 위한 관통구멍이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볼트(32)와의 체결시 스페어타이어(10)의 휠(10a)에 큰 고정력을 부여하여 스페어타이어(10)의 안착에 있어서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고정브라켓트(38)의 단면은 대체로 일측이 상방향으로 90°정도로 절곡되어 돌출되어 있어 작업자가 고정브라켓트(38)의 파지에 용이함을 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페어타이어(10)가 버스(B)의 러기지룸(30)내에 보관될 때에는, 먼저 상기 러기지룸(30)의 플랩도어(31)를 상방향으로 들어 러기지룸(30)을 개방시키고서 러기지룸(30)내에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된 볼트(32)의 근처로 스페어타이어(10)를 들어 옮긴 다음, 이 스페어타이어(10)의 휠(10a)상에 형성된 관통구멍(10b)으로 볼트(32)가 삽입되도록 하고서 이 볼트(32)의 돌출부분으로 고정브라켓트(38)를 끼운 다음 볼트(32)에 너트(36)를 체결시키면 된다.
한편, 타이어의 교체시에는 버스(B)의 플랩도어(31)를 개방시킨 다음 러기지룸(30)내 볼트(32)에 체결된 너트(36)를 해체시키고서 고정브라켓트(38)를 볼트(32)로부터 탈거시킨 후, 상기 스페어타이어(10)를 들어 휠(10a)의 관통구멍에 끼워진 볼트(32)로부터 휠(10a)과 함께 스페어타이어(10)를 탈거시키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버스(B)의 스페어타이어(10)를 장착함에 있어 종래와 같이 별도의 캐리어장치를 두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스페어타이어(10)의 고정이 가능함에 따라, 스페어타이어(10)의 장착에 소요되는 관련부품의 제조와 비용적인 측면에 있어서 경제성이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에 의하면, 버스(B)의 차체 중앙부위에 마련된 러기지룸(30)의 내부에 스페어타이어(10)가 나사체결방식으로 간편하게 탈/장착이 가능한 구조로 탑재되므로, 스페어타이어(10)의 장착에 소요되는 관련부품의 폐지와 함께 제조공정의 단축 및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 차체의 하부로 캐리어장치를 매개로 탈/장착이 이루어지는 버스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에 있어서,상기 버스(B)의 러기지룸(30)내에는 골조프레임(34)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돌출되는 볼트(32)가 설치되고, 이 볼트(32)에 스페어타이어(10)의 휠(10a)에 형성된 관통구멍(10b)이 끼워지며, 이 관통구멍(10b)으로부터 돌출된 볼트(32)에 고정브라켓트(38)가 끼워져 너트(36)를 매개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32)는 휠(10a)의 관통구멍(10b)과 적어도 2군데 이상의 부위로 관통되도록 골조프레임(34)상에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49081A KR20010045695A (ko) | 1999-11-06 | 1999-11-06 | 버스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49081A KR20010045695A (ko) | 1999-11-06 | 1999-11-06 | 버스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5695A true KR20010045695A (ko) | 2001-06-05 |
Family
ID=1961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49081A KR20010045695A (ko) | 1999-11-06 | 1999-11-06 | 버스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0045695A (ko) |
-
1999
- 1999-11-06 KR KR1019990049081A patent/KR2001004569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70203697A1 (en) | Method of interconnecting a vehicle rack | |
CN101774392A (zh) | 一种插销锁定车架 | |
AU689743B2 (en) | Truck sun visor | |
KR20010045695A (ko) | 버스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 |
KR100680831B1 (ko) | 와이어 타입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 | |
JP4206523B2 (ja) | 車両のスペアタイヤ格納構造 | |
KR100461955B1 (ko) |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의 힌지 브라켓의 구조 | |
KR200196857Y1 (ko) |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 거치대 | |
CN215590618U (zh) | 一种脚踏板组件和汽车 | |
KR100528517B1 (ko) |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수납 구조 | |
JP4057155B2 (ja) | ウイング車の屋根支持梁の支柱 | |
KR0142599B1 (ko) | 차량용 잭취부장치 | |
KR100379633B1 (ko) | 잭의 보관구조 | |
CN2290501Y (zh) | 一种汽车前保险杠 | |
JPH0131536Y2 (ko) | ||
KR20040023229A (ko) |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체결장치 | |
CN2619857Y (zh) | 车辆备用轮胎防盗悬挂支架 | |
KR100457866B1 (ko) |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체결장치 | |
JPH0221296Y2 (ko) | ||
JP3051603U (ja) | 車用積載装置 | |
KR100343853B1 (ko) | 차량의 루프래크 고정장치 | |
KR0120198Y1 (ko) | 자동차의 어퍼백패널 지지장치 | |
KR0132465Y1 (ko) |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대 | |
KR0120055Y1 (ko) | 승용차용 리어범퍼의 설치구조 | |
KR19980041810U (ko) | 상용차의 스페어타이어용 전동식 캐리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