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3621A -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3621A
KR20010043621A KR1020007012776A KR20007012776A KR20010043621A KR 20010043621 A KR20010043621 A KR 20010043621A KR 1020007012776 A KR1020007012776 A KR 1020007012776A KR 20007012776 A KR20007012776 A KR 20007012776A KR 20010043621 A KR20010043621 A KR 20010043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device
lifting
locking member
mobile crane
cran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5114B1 (ko
Inventor
이토가쓰토
Original Assignee
사카모토 타카시
닛코킨조쿠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카모토 타카시, 닛코킨조쿠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사카모토 타카시
Publication of KR20010043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2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6Position indicators for suspended loads or for cra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2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electric drives
    • B66C13/23Circuits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the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Abstract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의 리프팅 장치(15)에는 적어도 2개의 로킹 부재(25a)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각 로킹 부재의 상단부에는 스톱퍼(25b)가, 하단부에는 접촉 수단이 고정되어 있고, 또 리프팅 장치의 하방에는 비접촉형의 검출 장치가, 로킹 부재에는 검출체(27)가 고정되어 있어, 접촉 수단이 참조 위치에 접촉함으로써 로킹 부재의 하강이 정지되고, 한편, 리프팅 장치가 계속해서 하강함에 따라 리프팅 장치측의 검출 장치와 로킹 부재측의 검출체가 접근함으로써, 리프팅 장치의 하강을 정지하도록 구성했다.
범용형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에 부착된 리프팅 장치의 높이 방향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향상시켰다.

Description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 {OVERHEAD TRAVELING CRANE SYSTEM}
먼저, 전해 제련 설비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도 6 참조). 전해조(30)는 위로 향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탱크로서, 그 장측(長側) 벽(30c)의 상면에 공통 도체(32; 크로스 바)를 설치한다. 전해조(30)는 도 5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데,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다수가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그 총수는 수 백개에 이른다. 각 전해조(30)의 전해액에는 복수(Cu의 경우, 통상, 20매 내지 50매 정도)의 음극종판(陰極種板; 캐소드판) K 및 양극 귀붙이판(陽極耳付板; 애노드판) A가 교대로 평행하게 담궈져 있다. 각 음극판 K는 음극 지지용 크로스 바(34)에 매달려 있다. 크로스 바(34)의 양단 및 양극판 A의 귀(耳)는 좌우 어느 한 쪽 전해조 측벽(30c)의 상면, 및 다른 쪽의 전해조 측벽(30c)에 설치된 공통 도체(32)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월카(Wolca system)식 전류 공급 방식에서는 종횡 2개씩 합계 4개의 전해조(30)를 1조로 하여 각 전해조(30)의 전체 양극판 A로부터 전체 음극판 K로 각각 전류가 흐르도록 배선되어 있다. 전해 제련용 전원은 저전압, 대전류를 필요로 하고, 대용량이면서 전해 조업 조건에 따른 넓은 범위의 전압 조절을 가능케하기 위해 사이리스터 방식 또는 다이오드 방식의 반도체 정류기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해 제련에서 정상 조업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음극면에서의 나무가지형 결정이나 혹덩어리의 발생, 음극의 휨. 큰 양극 파편에 의한 브리지(bridge) 등이 있다. 예를 들면, 음극면에 국부적으로 혹덩어리가 발생하여 비대화하면 양극판 A와 음극판 K가 단락(short)을 일으키고, 전해 전류가 이 단락 부분에 집중하기 때문에 전해 제련이 방해를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이상을 발견하기 위한 검조(檢槽) 작업은 작업원이 매일 전해조 위를 보행하면서 행하고 있는데, 검사 개소가 방대하기 때문에 많은 노력이 필요함과 동시에, 작업원이 전해조 위를 보행함으로써 전극판의 위치가 틀어지는 원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전류의 증감과 자속의 변화에 일정한 관계가 있음을 이용하여, 자기(磁氣) 센서를 이용, 음극판 K 및/또는 양극판 A의 자속 밀도를 측정하고, 전류의 변화를 검출하여 전극판의 이상을 검출한다. 다시 이 검출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해 전극판 인양(引揚)용의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을 이용하며, 이것에 리프팅 장치를 매달아 이 리프팅 장치에 복수의 자기 센서를 부착하고, 이 자기 센서를 음극판 K 및/또는 양극판 A가 공통 도체에 지지되어 있는 측면 부근에 각각 근접, 위치시킴으로써 자속 밀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했다.
각 전극판의 자속 밀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자기 센서가 부착된 리프팅 장치를, 자기 센서가 음극판 K 및/또는 양극판 A의 소정의 위치에 근접하도록 하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음극판 K 및/또는 양극판 A에 근접하는 소정의 위치의 허용오차 범위는 좁고, X 방향 및 높이 방향의 위치결정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었다. X 방향의 경우, 리프팅 장치를 하강시키기 전에 미리 위치결정을 할 필요가 있고0, 이 위치결정에는 많은 시간과 더불어 고가의 장치가 요구되었다. 높이 방향의 위치결정은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의 레일 높이나 전해조 측벽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왔으나, 레일 부설 오차나 검출기 오차 등의 영향에 의해 높은 정밀도를 얻을 수 없었다.
이 경우, 이 오차를 작게하기 위해 레일의 부설을 더 정밀하게 하고, 사행(斜行)이나 횡행(橫行) 휠의 유극 등을 크게 줄이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레일의 부설 거리가 수 백 m나 되는 설비에서는 현실적으로 매우 곤란하다.
또한, 높이의 검지를 1개소만으로 행하는 것은 리프팅 장치의 경사의 영향에 의해 자기 센서가 음극판 K 및/또는 양극판 A에 근접하는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게 되어 자속의 측정이 불가능해지는 수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범용형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을 계속 사용하면서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에 부착된 리프팅 장치에서 높이 방향의 정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에 리프팅 장치가 승강 가능하게 매달린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에 있어서, 리프팅 장치의 높이 방향의 정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에 있어서, 리프팅 장치의 높이 방향의 정지 장치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로킹 부재의 부착 위치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로킹 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전해조로의 전기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전해 제련에서의 양극판 및 음극판으로 가는 전기 공급부의 사시도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은, 상부 공간에 부설된 궤도에 이동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이 이동 장치에 와이어를 통해 리프팅 장치를 승강 가능하게 매어담과 동시에, 지상측에 설치된 참조 위치에 대해 소정의 높이가 되도록 리프팅 장치를 하강시켜 정지하는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에서의 리프팅 장치의 높이 방향의 정지 장치에 있어서, 리프팅 장치에는 적어도 2개의 로킹 부재(locking member)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로킹 부재의 상단부에는 로킹 부재가 리프팅 장치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가, 그리고 그 하단부에는 참조 위치에 접촉해서 로킹 부재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접촉 수단이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리프팅 장치의 소정의 위치에는 검출 장치가, 로킹 부재에는 검출 장치가 감지하여 동작하는 검출체가 고정 부착되어, 접촉 수단이 상기 참조 위치에 접촉함으로써 로킹 부재의 하강이 정지되며, 한편, 리프팅 장치가 하강을 계속함으로써 리프팅 장치측에 부착된 검출 장치가 로킹 부재측에 부착된 검출체를 검출하여 리프팅 장치의 하강을 정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에서의 리프팅 장치의 높이 방향의 정지 장치에 있어서, 리프팅 장치측의 검출 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3개 설치되며, 접촉 수단이 참조 위치에 접촉함으로써 로킹 부재의 하강이 정지되고, 한편, 리프팅 장치가 하강을 계속함으로써 리프팅 장치측에 부착된 3개의 검출 장치 중, 최하부의 검출 장치가 로킹 부재측에 부착된 검출체를 검출하여 리프팅 장치의 하강 속도가 감속되고, 그 후, 한 가운데의 검출 장치가 검출체를 검출함으로써 리프팅 장치의 하강이 정지되며, 다시 최상부의 검출 장치가 검출체를 검출했을 때는, 리프팅 장치가 비상정지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에서의 리프팅 장치의 높이 방향의 정지 장치에 있어서, 접촉 수단이 복수의 음극 지지용 봉에 접촉 가능한 크기의 원반으로서, 또한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원반은 리프팅 장치에 볼 부시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에서의 리프팅 장치의 높이 방향의 정지 장치에 있어서, 리프팅 장치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자기 센서가 매달려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에서의 리프팅 장치의 높이 방향의 정지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자기 센서가 테프론제 환봉의 선단에 고정되어, 자기 센서가 빔에 올라 탔을 때 테프론제의 환봉을 휘게 함으로써 자기 센서의 손상을 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에서의 리프팅 장치의 높이 방향의 정지 장치에 있어서, 자기 센서의 부착 위치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에서의 리프팅 장치(15)의 높이 방향의 정지 장치(25)에 대하여, 도시된 바람직한 한 실시 형태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에 있어서 리프팅 장치(15)의 높이 방향의 정지 장치(25)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다.
다수 배열된 Cu 정련을 위한 전해조(30)는, 희황산 등의 전해액을 저장하는 탱크이며, 전체가 프레임 고정되어 복수의 다리(35)에 의해 덜컹거리지 않도록 바닥에 놓여져 있다. 각각의 전해조(30)에는 양극측 전극인 양극판 A와 음극측 전극인 음극판 K가 교대로 병렬 지지되어 배치된다. 전해조(30)의 측면 상부에는 위치결정 수단(20)이 부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은 개략적으로, 이동 장치(18), 현수부재(16), 리프팅 장치(15), 위치안내 수단(10), 위치결정 수단(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정지 장치(25)는 리프팅 장치(15)의 하방에 부착되어 있다.
먼저, 이동 장치(18)는 복수 병렬 배치된 전해조(30)의 종방향 X 또는 횡방향 Y(도 2에서는 횡방향 Y만 연속해서 복수의 전해조(30)를 그린 것임)로 수평이동하는 장치이며, 레일(18b) 위를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본체(18c)를 가지며, 이 슬라이드 본체(18c)에는 모터(18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레일(18b)은 프레임(도시 안됨) 내에 부설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본체(18c)의 하면에는 그 하부에 나팔꽃 모양의 확개부(擴開部)를 가지는 한 쌍의 제1 원통형 가이드 부재(18d)가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1 와이어(16b)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된 현수부재(16)가 매달려 있다.
현수부재(16)의 상면에는 한쌍의 제1 가이드 봉(16a)이 제1 원통형 가이드 부재(18d)의 내측에 삽입된다. 이것은, 이동 장치(18)를 수평 이동시켰을 때, 그 관성력에 의해 매달려 있는 현수부재(16)가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현수부재(16)의 하면에는 하단부가 나팔꽃 형상으로 벌어진 원통형의 한 쌍의 제2 원통형 가이드 부재(16d)가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리프팅 장치(15)가 제2 와이어(15b)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매달려 있다.
리프팅 장치(15)의 상면에는 한 쌍의 제2 가이드 봉(15a)이 제2 원통형 가이드 부재(16d)의 내측에 삽입되어 부착되어 있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장치(18)를 수평 이동시켰을 때의 리프팅 장치(15)의 요동 방지를 위한 것이다.
이 제2 가이드 봉(15a)의 상부 선단부는, 리프팅 장치(15)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고 하강함으로써 위치안내 수단(10)이 위치결정 수단(20)과 결합하기 시작한 직후, 제2 원통형 가이드 부재(16d)의 나팔꽃 형상으로 벌어진 부분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안내 수단(10)과 위치결정 수단(20)의 결합이 완료할 동안은, 제2 가이드 봉(15a)의 상부 선단부는 제2 원통형 가이드 부재(16d)의 나팔꽃 형상으로 벌어진 부분의 내측을 이동 가능토록 되어 있다.
또한, 리프팅 장치(15)의 양측면에는 전해조(30)의 측면 상부에 설치된 위치결정 수단(20)과 결합하기 위한 위치안내 수단(10)이 부착되어 있다.
리프팅 장치(15)의 하면에는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부착축(15c)이 부착되고, 자기 센서 부착 프레임(15d)이 이 부착축(15c)을 중심으로 요동하며, 또 길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음극측 또는 양극측의 자기(磁氣)를 한 번에 측정하기 위해 자기 센서 부착 프레임(15d)에는 복수의 자기 센서(1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은 구조로 한 것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 바(34)의 양단 및 양극판 A의 귀부(耳部)가 좌우 어느 한 쪽의 전해조 측벽(30c)의 상면, 및 다른 쪽의 전해조 측벽(30c)에 설치된 공통 도체에 각각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음극 K의 자속을 측정하는 개소와 양극 A의 자속을 측정하는 개소는 각각 대향하는 위치의 전해조 측벽(30c)에서 측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리프팅 장치(15)에 음극 K의 자속을 측정하는 센서와 양극 A의 자속을 측정하는 센서를 각각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자기 센서(13)의 부착 수가 약 2배로 되어 코스트가 높아짐과 동시에 중량도 증가한다.
그래서, X축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부착축(15c)을 설치하고, 이 부착축(15c)에 자기 센서(13)를 부착하여 음극 K와 양극 A의 양측의 자속을 각각 측정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단, 음극 K 및/또는 양극 A가 공통 도체에 지지되어 있는 위치는, X축 방향으로 약 5cm 정도의 어긋남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음극 K측을 측정한 후, 자기 센서(13)를 단순히 요동하는 것만으로는 자기 센서(13)가 양극 A측의 측정 위치에 근접되지 않는다. 따라서,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자기 센서 부착 프레임(15d)에 직선 이동 안내 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각 자기 센서(13)는 테프론제 환봉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다. 이것은 만일, 자기 센서(13)가 음극 지지용 봉(34)이나 전해조 측벽(30c) 등에 접촉하여 올라 타는 등의 경우에 테프론제 환봉을 휘게함으로써 자기 센서(13)의 손상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각 자기 센서(13)는 음극판 K 및/또는 양극판 A에 근접한 소정의 위치에 정확히 배치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자기 센서 부착 프레임(15d)에의 부착 위치가 미동 나사에 의해 조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 자기 센서(13)가 음극판 K의 수 만큼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정지 장치(25)가 그 자기 센서 부착 프레임(15d)을 통해 리프팅 장치(15)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다.
정지 장치(25)는 개략적으로, 로킹 부재(25), 스톱퍼(25b), 원반(26), 검출체(27), 감속 센서(29a), 정지 센서(29b), 비상정지 센서(29c)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해조(30)의 좌우 어느 쪽의 전해조 측벽(30c) 상면에 자속을 측정할 수 있도록 자기 센서(13)를 요동 가능케 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센서(13)에 대해 부착축(15c)을 중심으로 각각 45°방향에 위치하도록 로킹 부재(25a)가 배치된다. 이 로킹 부재(25a)는 자기 센서 부착 프레임(15d)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2개가 부착됨과 동시에, 자기 센서 부착 프레임(15d)의 길이 방향 거의 양단부의 2개소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자기 센서(13)가 좌우 어느 쪽의 전해조 측벽(30c)을 향하고 있어도 어느 쪽인가의 로킹 부재(25a)를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자기 센서(13)를 오른쪽 45°방향에 위치시킨 경우에는 b가 동작하고, 자기 센서(13)를 왼쪽 45°방향에 위치시킨 경우에는 a가 동작한다(도 3 참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로킹 부재(25a)는 자기센서 부착 프레임의 거의 양단 2개소에 각각 2개씩 합계 4개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킹 부재(25a)를 자기 센서 부착 프레임(15d)의 좌우 양단 2개소에 부착한 것은, 리프팅 장치(15)를 승강시키는 2개의 모터(18a)(도시 안됨)를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리프팅 장치(15)의 경사를 없애기 위한 것이다.
로킹 부재(25a)의 상단부에는 로킹 부재(25a)가 탈락하지 않도록 낙하 방지용 스톱퍼(25b)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로킹 부재(25a)의 하단부에는, 위치결정의 기점(起點)이 되는 참조 위치에 접촉하도록 하기 위한 접촉 수단인 원반(26)이 부착되어 있어, 원주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 원반(26)은 복수의 음극 지지용 봉(34)에 접촉한 후, X, Y 방향의 위치결정이 완료될 동안, 상면을 미끄러짐으로써 이동이 가능케되어 있다.
이 원반(26)의 직경은 X 방향의 위치결정 오차가 이동 장치(18)의 최대치를 보여주는 경우에도 음극 지지용 봉(34)에 접촉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로킹 부재(25a)의 소정의 위치에 비접촉형의 검출 장치에 감지되는 검출체(27)가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킹 부재(25a)가 자기 센서 부착 프레임(15d)에 걸리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로킹 부재(25a)로 볼 부시를 사용, 자기 센서 부착 프레임(15d)과의 부착 부분이 베어링에 의해 원활하게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로킹 부재(25a) 부근의 자기 센서 부착 프레임(15d)에는, 검출체(27)의 접근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검출 장치인 감속 센서(29a), 정지 센서(29b), 비상정지 센서(29c)가 각각 하방으로부터 차례로 소정의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각 센서가 검출체(27)의 접근을 감지하면 작동하여, 그 신호가 모터(18a,도시 안됨)로 보내지고, 모터(18a)가 감속, 정지, 비상정지 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검출 장치로 비접촉형 근접 스위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그 외에도 접촉형 리미트 스위치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에서 리프팅 장치(15)의 높이 방향의 정지 장치(25)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 및/또는 슬라이드 본체(18c)를 수평 이동하여 목표로 하는 전해조(30) 상방으로 리프팅 장치(15)를 이동한다. 이 이동 시에 장애물 등이 있을 경우에는 제2 와이어(15b)를 감아 올림과 동시에 제1 와이어(16b)를 감아 올려 높이를 조정한다. 이동 장치(18)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이동을 정지한다. 이 때, 제1 원통형 가이드 부재(18d) 및 제2 원통형 가이드 부재(16d)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동 장치(18)의 이동에 수반되는 관성력에 의한 리프팅 장치(15)의 요동이 억제된다.
그 후, 도시되지 않은 승강 모터(18a)를 작동시켜, 제2 와이어(15b)를 감아 내려 리프팅 장치(15)를 하강시킨다.
리프팅 장치(15)가 하강하면, 2개소의 로킹 부재(25a)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원반(26)이 음극 지지용 봉(34)에 접근한 후(도 4(a) 참조), 접촉한다(도 4(b) 참조).
원반(26)이 음극 지지용 봉(34)에 접촉하면, 로킹 부재(25a)의 하강은 정지 하는데, 자기 센서(13) 프레임과의 부착 부분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리프팅 장치(15)는 계속해서 하강한다.
리프팅 장치(15)가 하강을 계속하면 자기 센서 부착 프레임(15d)에 부착된 각종 센서 중, 먼저 최하부에 부착된 감속 센서(29a)가 검출체(27)에 접근한다(도 4(c) 참조). 그리고, 검출체(27)의 접근을 감지한 감속 센서(29a)는 승강 모터(18a)를 감속시키도록 신호를 발한다. 이 신호를 받은 승강 모터(18a)가 감속을 시작함으로써 리프팅 장치(15)의 하강 속도가 감속된다.
또한 리프팅 장치(15)가 하강을 계속하면, 이번에는 정지 센서(29b)가 검출체(27)의 접근을 감지하여 승강 모터(18a)가 정지하도록 신호를 발한다. 이 신호를 받은 승강 모터(18a)가 정지함으로써 리프팅 장치(15)의 하강이 정지된다.
만일, 승강 모터(18a)가 정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검출체(27)가 비상정지 센서(29c)에 접근하기 때문에, 비상정지 센서(29c)가 검출체(27)의 접근을 감지하여 승강 모터(18a)를 비상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한다. 그리고 이 신호를 받은 승강 모터(18a)가 비상정지됨으로써 리프팅 장치(15)가 비상정지한다.
이들 일련의 동작은, 자기 센서 부착 프레임(15d)의 양단 2개소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행해진다.
전술한 동작과 연동되어 리프팅 장치(15)가 하강하면, 위치 안내 수단의 나팔꽃 형상의 확개부(擴開部)가 원추 형상의 결합부재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다수의 자기 센서(13)가 미리 정해진 음극판 K에 근접한 소정의 위치에 정확히 배치되도록 리프팅 장치(15)가 수평 방향으로 미세 이동함으로써 위치제어가 행해지며 결합된다. 그 후, 음극 K측의 자속을 측정한다.
소정의 위치에서 자속을 측정한 후, 제2 와이어(15b)를 감아 올려 리프팅 장치(15)를 상승시키고, 자기 센서 부착 프레임(15d)을 양극판 A 방향으로 90°요동시킴과 동시에, 축 방향으로 약 5cm 이동시킨다. 그리고, 리프팅 장치(15)를 하강시켜 양극 A측의 자속을 측정한다.
그 후, 제2 와이어(15b)를 감아 올려 리프팅 장치(15)를 상승시키고, 이동 장치(18)를 수평 방향으로 움직여서, 다음 목표의 전해조(30) 상방으로 리프팅 장치(15)를 이동하고, 이 작업을 반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프팅 장치(15)의 높이 방향의 위치결정은 음극 지지용 봉(34)을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의 레일(18b) 높이 위치의 오차가 커도 위치결정 정밀도를 높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음극 지지용 봉(34)을 높이 위치의 기준으로 하여, 상방으로부터 높이 검출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전해조(30) 위에 보온 시트가 덮혀 있어도 시트의 방해를 받지 않고 위치 검출을 할 수가 있다.
또, 로킹 부재를 2개소에 설치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 모터(18a)를 제어하기 때문에 리프팅 장치(15)가 기울어짐이 없이 소정이 위치에 정지시킬 수가 있다.
또한, 자기 센서(13)의 부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미동 나사를 구비함으로써 리프팅 장치(15)나 자기 센서 부착 프레임(15d)이 비뚤어져도 자기 센서(13)를 소정의 높이에 정렬할 수가 있다.
또한, 자기 센서(13)를 테프론제 환봉의 선단에 부착함으로써, 자기 센서(13)가, 만일, 음극 지지용 봉(34) 등에 올라 탄 경우에도 환봉을 휘게하여 자기 센서(13)의 손상을 피할 수 있다.

Claims (6)

  1. 상기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은, 상부 공간에 부설된 궤도에 이동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이 이동 장치에 와이어를 통해 리프팅 장치를 승강 가능하게 매어담과 동시에, 지상측에 설치된 참조 위치에 대해 소정의 높이가 되도록 상기 리프팅 장치를 하강시켜 정지하는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에서의 리프팅 장치의 높이 방향의 정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에는 적어도 2개의 로킹 부재(locking member)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로킹 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로킹 부재가 리프팅 장치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가, 그리고 그 하단부에는 상기 참조 위치에 접촉해서 상기 로킹 부재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접촉 수단이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리프팅 장치의 소정의 위치에는 검출 장치가, 상기 로킹 부재에는 상기 검출 장치가 감지하여 동작하는 검출체가 고정 부착되어, 상기 접촉 수단이 상기 참조 위치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로킹 부재의 하강이 정지되며, 상기 리프팅 장치가 계속 하강함으로써, 상기 리프팅 장치측에 부착된 상기 검출 장치가 상기 로킹 부재측에 부착된 상기 검출체를 검출하여 상기 리프팅 장치의 하강을 정지하도록 구성된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에 있어서의 리프팅 장치의 높이 방향의 정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측의 검출 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3개 설치되며,
    상기 접촉 수단이 상기 참조 위치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로킹 부재의 하강이 정지되고, 상기 리프팅 장치가 하강을 계속함으로써 상기 리프팅 장치측에 부착된 3개의 상기 검출 장치 중, 최하부의 상기 검출 장치가 상기 로킹 부재측에 부착된 상기 검출체를 검출하여 상기 리프팅 장치의 하강 속도가 감속되고,
    한 가운데의 상기 검출 장치가 상기 검출체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리프팅 장치의 하강이 정지되며,
    다시 최상부의 상기 검출 장치가 검출체를 검출했을 때는, 상기 리프팅 장치가 비상정지되도록 구성된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에 있어서의 리프팅 장치의 높이 방향의 정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수단은 복수의 음극 지지용 봉에 접촉 가능한 크기의 원반이며, 또한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원반은 리프팅 장치에 볼 부시(ball bush)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에 있어서의 리프팅 장치의 높이 방향의 정지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자기 센서가 매달려 지지되어 있는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에 있어서의 리프팅 장치의 높이 방향의 정지 장치.
  5.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자기 센서가 테프론제 환봉의 선단에 고정되어, 상기 자기 센서가 빔에 올라 탔을 때, 상기 테프론제의 환봉을 휘게 함으로써 상기 자기 센서의 손상을 피할 수 있는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에 있어서의 리프팅 장치의 높이 방향의 정지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자기 센서의 부착 위치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에 있어서의 리프팅 장치의 높이 방향의 정지 장치.
KR10-2000-7012776A 1998-05-14 1999-05-14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 KR100385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209098A JP3148179B2 (ja) 1998-05-14 1998-05-14 頭上移動形クレーンシステムにおける吊具装置の高さ方向の停止装置
JP98-132090 1998-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621A true KR20010043621A (ko) 2001-05-25
KR100385114B1 KR100385114B1 (ko) 2003-05-23

Family

ID=1507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776A KR100385114B1 (ko) 1998-05-14 1999-05-14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31818B1 (ko)
JP (1) JP3148179B2 (ko)
KR (1) KR100385114B1 (ko)
DE (1) DE19983236T1 (ko)
WO (1) WO19990584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0908B (fi) * 2008-07-09 2010-04-30 Konecranes Oyj Siltanosturin nostovaunu
FI125515B (en) 2013-03-01 2015-11-13 Outotec Oyj A method of measuring and arranging an electric current flowing at a single electrode of an electrolysis system
US11154893B1 (en) * 2017-06-12 2021-10-26 Matt Matern Fence painting system
CN108624919B (zh) * 2018-07-02 2020-03-24 青海桥头铝电股份有限公司 一种铝电解塞尔开关压接器电动校正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960020B (it) * 1972-05-19 1973-11-20 Tce Torre Di Messina Gianmario Apparecchiatura per il posiziona mento automatico controllato degli anodi in celle elettroli tiche per la produzione di metal li ferrosi e non ferrosi
JPS5428806B2 (ko) * 1974-02-22 1979-09-19
JPS5511382A (en) * 1978-07-11 1980-01-26 Nec Corp Semiconductor
JPS55113382U (ko) * 1979-02-05 1980-08-09
JPS586857Y2 (ja) * 1980-10-02 1983-02-05 石川島造船化工機株式会社 吊具の高さ位置決め装置
US4456132A (en) * 1980-12-08 1984-06-26 Par Systems Corp.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material handling crane
JPS5831888Y2 (ja) * 1981-08-12 1983-07-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管状部材用酸洗設備における管状部材搬送装置
US4657470A (en) * 1984-11-15 1987-04-14 Westinghouse Electric Corp. Robotic end effector
JPH0676931B2 (ja) * 1986-01-13 1994-09-28 工業技術院長 触覚センサ
JPS62161199U (ko) * 1986-04-03 1987-10-13
US5145227A (en) * 1990-12-31 1992-09-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Electromagnetic attachment mechanism
JP3305563B2 (ja) * 1996-03-13 2002-07-22 日鉱金属株式会社 電極板搬送装置の位置決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48179B2 (ja) 2001-03-19
DE19983236T1 (de) 2001-05-31
US6631818B1 (en) 2003-10-14
JPH11322266A (ja) 1999-11-24
WO1999058441A1 (fr) 1999-11-18
KR100385114B1 (ko) 200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121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horizontal suspension
CN109883319B (zh) 一种永磁悬浮侧向偏离的检测方法及系统
KR100385114B1 (ko)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시스템
CN112378337A (zh) 用于起重机主梁腹板翘曲度检测的自动装置及检测方法
JP2002012996A (ja) 電解製錬における異常電極の自動検出方法
JP3148178B2 (ja) 頭上移動形クレーンシステム
KR102081538B1 (ko) 원자로 헤드 검사 장치
CN217498449U (zh) 一种预制板安装液压升降装置
JP3180901B2 (ja) フラックスゲート型磁気センサを用いた電解製錬における異常電極の検出方法及び異常電極の検出システム
CN216558893U (zh) 起重机轨道承重基础相对沉降的快速测量系统
CN113443534B (zh) 升降通道内作业装置及其姿势稳定化方法
JPH11323591A (ja) 電解製錬における異常電極の検出方法及び異常電極検出システム
CN216449601U (zh) 一种固定式雷达测流系统
CN116253245A (zh) 桥梁转体用高精度吊装定位装置及定位方法
EP4214142A1 (en) Load-handling device
JPH11310306A (ja) 自動倉庫
AU703606B2 (en) A crane positioning system
CN220524954U (zh) 一种建筑主体结构检测装置
CN220950924U (zh) 一种卸船机前臂梁吊运小车无源测尺定位装置
CN211013184U (zh) 铸管称重装置
CN113624526B (zh) 高空作业平台标重实验装置及实验方法
CN217535198U (zh) 一种新型桥式起重机端梁机构
CN213476834U (zh) 一种地基承载力检测装置
CN115405822A (zh) 一种电网调控智能巡查平台
CN215711238U (zh) 室内重型仪器运输安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