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2530A - 각질층 기능 향상을 위한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각질층 기능 향상을 위한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2530A
KR20010042530A KR1020007011171A KR20007011171A KR20010042530A KR 20010042530 A KR20010042530 A KR 20010042530A KR 1020007011171 A KR1020007011171 A KR 1020007011171A KR 20007011171 A KR20007011171 A KR 20007011171A KR 20010042530 A KR20010042530 A KR 20010042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lesterol sulfate
skin
composition
effective amount
stratum corne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7124B1 (ko
Inventor
다니엘 에이치. 마에스
케네쓰 디. 마레누스
크리스티나 지. 프테나키스
Original Assignee
카렌 에이. 로우니
칼라 액세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렌 에이. 로우니, 칼라 액세스, 인크. filed Critical 카렌 에이. 로우니
Publication of KR20010042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4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tan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량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를 피부에 도포하여 각질층의 박리를 지연시키고 각질층을 유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박리의 지연은 피부 자신의 UV 보호의 향상, 무일광 태닝 효과의 보유 시간의 연장 및 일반적으로 광노화 및 자연 노화와 관련된 잔주름 및 주름 발생의 감소에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각질층 기능 향상을 위한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조성물 {Cholesterol Sulfate Compositions for Enhancement of Stratum Corneum Function}
각질층은 신체와 환경 사이의 주요한 화학 및 물리적 장벽이다. 각질층은 배아 세포의 최종 분화 세포로의 전환을 수반하는 표피 내의 생성 과정에서 형성된다. 전환 과정은 약 한달에 한번 일어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최종 분화 세포는 피부 표면에서 떨어진다. 계속적으로 박리되는 피부의 최외피층의 세포는 표피 기저층의 유사분열 활성에 의해 생성되는 세포로 대체된다. 기저층에서 피부의 상층으로 이동하는 동안, 이들 세포는 케라틴을 생성하여 결국 세포질이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케라틴을 축적한다. 이어서, 세포는 사멸하여 떨어지고 이동하는 표피 세포의 새로운 지절이 이어진다. 각질층 및 표피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신체 부위에 따라 다르다.
각질화된 장벽은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이들 존재의 특히 중요한 면은 피부의 더 깊은 층 사이 및 내부 조직과 환경 사이에서 물리적 장벽으로 기능을 한다는 것이다. UV 조사 및 다른 유해 자극, 예를 들어 유리 라디칼의 더 깊은 피부층으로의 침투 방지 또는 약화는 상기 피부층의 매우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이다. 불행하게도, 다른 많은 피부 기능과 함께 각질층의 수행능은 노화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 각질층의 교체율은 노인의 경우에 크게 감소되고 각질화된 층은 점차 얇아지고, 이에 따라 물리적 장벽의 효능이 감소하여 UV선과 같은 유해 자극의 침투가 더 쉬워진다. 따라서, 피부의 진피층에 UV 손상을 일으켜 콜라겐 및 엘라스틴이 분해되고, 결국 주름 및 피부 노화가 발생한다. 또한, 각질층의 박화(thinning)는 주름 및 노화의 더 큰 발생율을 가져오며, 그 원인은 진피층에 근거한다.
건강하고 젊은 피부 유지에 각질층이 중요하다는 것이 명백한데도, 진피의 재생 및 유지가 노화 방지에 주요한 미용적 관심으로 집중되어 왔다. 상대적으로 매우 일정한 수준의 각질층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화장 수단의 개발에는 거의 관심을 모으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각질층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 및 이에 따른 상기 기능에 관련된 용도를 제공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유효량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를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층의 두께 및 결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량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를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V 조사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실시 태양에서, 피부에 대한 콜레스테롤 술페이트의 도포는 박리(desquamation) 및 이로 인한 박피(flakiness)를 감소시킨다. 다른 실시 태양에서, 본 발명은 유효량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와 함께 DHA와 같은 자가 태닝제(self-tanning agent)를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일광 태닝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실시예 1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상이한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처리 방법에 따른 각질층 두께의 조건을 예시한 것이다. (A) 대조군(무처리); (B) 1% 에탄올 비히클 대조군; (C)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0.01 ㎍/㎖; (D)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0.1 ㎍/㎖; (E)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1 ㎍/㎖; (F)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10 ㎍/㎖.
도 2는 콜레스테롤 술페이트의 존재 유무에 따른 DHA의 자가 태닝 활성 지속 기간을 예시한다.
도 3은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및 지질 혼합물의 존재 유무에 따른 DHA의 자가 태닝 활성 지속 기간을 예시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여러 실시 태양에서 피부에 국부 도포시 콜레스테롤 술페이트가 각질층의 결합성을 향상시켜 각질층을 더 장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는 사실이 예견된다. 상세하게는, 피부 세포에 콜레스테롤 술페이트의 도포는 도 1C 내지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여량 의존 방식으로 각질층의 두께를 증가시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사실은 여러가지 다른 적용에 중요하다. 특히 노화 피부결 유지 시에 중요하게 적용된다. 현재 피부의 부드러움을 향상시키는 일반적인 방법은 박피를 촉진하는 것이다. 그러나, 박피는 각질층의 높은 교체율과 이에 따른 피부 각질층의 박화가 반드시 수반된다. 젊은 피부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노화 피부에서 박리는 일부 경우에 이미 확립된 문제, 즉 노화에 따라 발생되는 자연 박화를 악화시킨다. 박리를 지연시키고 각질층 두께를 유지하는 데에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를 적용하는 것은 노화 박화된 피부의 치료 및 유지에 완전히 새로운 방향을 의미한다. 두꺼운 각질층은 흔히 박화된 피부의 특징인 잔주름 및 주름살의 발생을 방지 또는 지연시키는 것을 돕는다. 동시에, 각질층 결합의 증가는 각질층 내의 본래의 보호 지질 장벽을 효과적으로 강화시킨다.
상기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또는 그의 염은 이 활성 성분에 상용성인 화장품학적으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임의 형태의 국소 도포용 비히클, 즉 겔, 크림, 로션, 연고, 무쓰, 스프레이, 고체 스틱, 분말, 현탁액, 분산액 등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는 리포솜 제제로 제공되지 않으며 비교적 낮은 수준의 유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제제화된다. 여러 형태의 비히클의 제제화 기술은 당업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으며, 본원의 참고 문헌[Chemistry and Technology of the Cosmetics and Toiletries Industry, Williams and Schimitt, eds., Blackie academic and Professional, Second Edition, 1996 및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ition, 1990]에서 찾아볼 수 있다.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는 전체 조성물 중량의 약 0.05% 내지 약 10%,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3%의 양으로 조성물에 제공될 때 요청되는 기능에 효과적이다.
또한, 각질층의 비후 및 결합은 다른 이점을 제공하며, 이것은 임의의 특정 적용에 있어서 모든 연령층의 개인에서 평가될 수 있다. 각질층은 환경과 더 깊은 피부층 및 내부 기관 사이의 중요한 물리적 장벽에 해당한다. 따라서 더 두꺼운 각질층의 존재는 느슨한 인접 각질층에서보다 더 큰 보호 수준을 제공한다. 상기 특성은 여러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UV 선으로부터 자가 보호의 증가이다. 더 두꺼운 각질층은 일광 화상 또는 더 심각한 피부 손상을 야기하는 최소 홍반 UV 선량의 증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과 관련하여,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는 단기 및 장기 보호를 제공하는 상승된 UV 보호 조성물용의 한가지 이상의 일광 차단제와 유리하게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효량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및 한가지 이상의 일광 차단제를 포함하는 일광 차단 조성물을 제공한다. 유용한 일광 차단제는 무기 일광 차단제, 예를 들면 이산화 티타늄, 산화 아연 및 산화철, 및 유기 일광 차단제, 예를 들어 캄포르 유도체, 신나메이트, 살리실레이트, 벤조페논, 트리아진, PABA 유도체, 디페닐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및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일광 차단 조성물에서,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는 상기에 기재된 양으로 존재하며 각각의 일광 차단제는 UV 보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존재한다.
콜레스테롤 술페이트의 다른 용도는 자가 태닝 제품의 효능 향상 및 장기 지속성에 있다. 일반적으로 활성 성분으로서 디히드록시아세톤(DHA)를 기재로 하는 자가 태닝의 한계로 인식된 것은 피부의 태닝 효과가 DHA를 수용한 피부 세포가 존재하는 동안에만 지속된다는 것이다. 정상적인 과정에서, 자가 태닝 효과는 DHA가 일반적으로 최대 5일, 즉 DHA가 도포된 각질층이 완전히 교체되는 데 걸리는 기간 동안 지속된다. 콜레스테롤 술페이트가 DHA 또는 임의의 다른 자가 태닝제와 조합될 때, 대표적인 자가 태닝 제제 내에서 조성물이 도포된 각질층의 교체 속도를 지연시켜 "태닝된" 세포의 유지율을 연장시킴으로써, 태닝 효과가 피부에 가시화되어있는 시간을 연장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효량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와 유효량의 자가 태닝제를 포함하는 자가 태닝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 태양에서, 자가 태닝제는 DHA로서 일반적으로 조성물 중량의 약 2.5% 내지 약 10%의 양으로 사용된다. 또한, 자가 태닝제는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7.5% 양으로 DHA와 조합된 이미다졸일 수 있다.
치료제로서의 용도 외에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는 색조 화장품에도 유용하게 첨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유효량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는 메이크업 제제, 예를 들어 화운데이션, 블러쉬, 립스틱 및 글로스, 아이라이너, 아이쉐도우 등에 첨가될 수 있다. 박리의 지연은 제제가 도포되는 피부 상에 메이크업 유지를 향상시킬 수 있어서 상기 제제에서 특히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일광 차단제/콜레스테롤 술페이트의 조합물도 상기 제품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콜레스테롤 술페이트가 이용되는 모든 제제에서,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는 천연 지질 장벽의 다른 요소와 조합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태양에서,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는 지방산, 세라미드 및 스테롤, 바람직하게는 콜레스테롤의 각각의 1종 이상과 조합된다. 지방산은 23개 이하의 탄소 원자 길이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지방산에는 부티르산, 카프로산, 옥탄산, 데칸산, 도데칸산, 테트라데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및 올레산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C12내지 C20사슬 길이의 지방산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세라미드는 스핑고신 또는 지방산 관련 분자 골격 또는 스핑고신 상의 아미노기에 연결된 ω-에스테르화 지방산, 경우에 따라 스핑고신의 말단 히드록시기에 연결된 당 잔기를 갖는 스핑고리피드이다. 특히, 조성물은 ω-에스테르화된 세라미드 또는 아실세라미드, 세레브로시드, ω-에스테르화된 세레브로시드, 또는 아실글리코실 스핑고리피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조성물에 특히 바람직한 세라미드 형태는 세라미드 III 및 세레브로시드이다.
콜레스테롤 술페이트가 상기 지질과 조합된 조성물에서, 각 지질 성분은 전체 조성물 중량의 약 0.05% 내지 10%, 바람직하게 0.5% 내지 약 5%, 가장 바람직하게 약 1% 내지 약 3%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태양에서,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및 지질 성분은 조성물 내에 실질적으로 동량으로 존재한다. 상기로부터 지질 성분은 순수 지질일 필요는 없고, 오히려 한가지 이상의 바람직한 지질을 포함한 자연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에 권장된 농도에 일치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목적하는 결과에 알맞는 방법으로 피부에 도포한다. 예를 들어, 박리 지연 및 각질층 유지에 의해 젊고 건강한 피부의 생성을 일반적으로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에 걸쳐 규칙적인 도포 후에 최선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조성물의 이점을 얻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안전 유효량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포함 조성물의 장기간에 걸친 국소 도포이다. 예로서, 조성물을 피부의 약 0.1 mg/㎠ 내지 2 mg/㎠의 양으로 주당 약 1회 내지 1일당 약 4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주당 약 3회 내지 1일당 약 3회,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약 1회 또는 2회 국소 도포하는 것이 제시된다. 본원에서 "장기간에 걸친" 도포는 국소 도포 기간이 사용자의 일생, 바람직하게는 약 1개월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약 3개월 내지 약 20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개월에서 약 10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1년 내지 약 5년의 기간 동안 사용하고, 이에 따라 광노화 또는 자연 노화의 외부 증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성물을 일광 차단제와 함께 사용시에, 필요 수준을 기초로 하여 상기한 바와 동일한 양으로 도포되어 태양광 노출 효과를 약화시킨다. 또한, 자가 태닝제와 조합 사용시에는 조성물은 태닝될 피부 부위에 유사량으로 필요에 따라 반복 도포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예시된다.
본 발명은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를 포함하는 국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피부 치료에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콜레스테롤 술페이트가 박리를 지연시키고 각질층의 두께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마텍 피부 동등물을 입수한 후, 사용하기 위해 공급자의 지시에 따라 준비하였다. 평형화된 피부를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희석물로 국소 처리하였다.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를 에탄올에 1 mg/㎖로 용해시키고 10 배씩 연속 희석하여 0.01, 0.1, 1 및 10 ㎍/㎖의 분량으로 만들었다. 각 분량을 100㎕ 부피로 피부 동등물에 국소적으로 첨가하였다. 3일에 걸쳐 배지를 교체하면서 처리를 매일 반복하였다. 한 시료를 비히클 대조군으로서 1% 에탄올로 처리하였다. 처리 후에 피부 동등물을 표준 방법에 따라 고정시키고 조직학적으로 제조하였다. 도 1A 내지 F는 두개의 대조군과 처리 시료 절편의 염색을 보여준다. 상기 도에서, 배지 대조군에서는 매우 느슨한 각질 조직을 보이며, 처리 시료에서는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처리량이 증가함에 따라 각질층의 조직 및 결합이 점차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에탄올 처리 시료에서 약간의 밀착을 보여지나, 이것은 시료의 탈수화 및 지질 제거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2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다.
물질 중량%
상 I
이소세틸 알콜 2.5
옥틸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2.0
알파 히드록시라우르산 0.5
상 II
정제수 충분량
시클로덱스트린 1.0
상 III
에톡시디글리콜 5.0
로레스-23 1.5
디프로필렌 글리콜 1.0
나트륨 히알루로네이트(1%) 1.2
판테틴 0.1
상 IV
슈크로스 2.0
디히드록시아세톤 5.0
상 V
시클로메티콘 12.0
디메티콘 3.0
시클로메티콘/디메티콘 2.0
트리카프릴릴 시트레이트 1.5
디메티콘 3.0
상 VI
말바세애 추출물 0.2
방향제 0.4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
밀겨 추출물 0.2
리놀레산 0.2
나트륨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0.2
상 VII
나일론-12 2.0
상 VIII
폴리쿼터늄-37/플로플렌 글리콜 1.2
실시예 3
박리 감소에 대한 효과의 표지로서 피부 박피에 대한 콜레스테롤 술페이트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21 내지 65세의 실험 대상자 15명을 선발하였다. 연구를 위해 실험 대상자의 손 위에 보습제 또는 임의의 다른 제품이 없는 경우를 기본 측정치로 하였다. 수분 및 오일 유액 내에 0.5%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를 함유하는 제품을 실험 대상자에게 분배하고 집으로 가져가도록 하여 아침 세안 후와 취침전 최소 15분 전에 하루 2회씩 4주 동안 오른 손에만 스스로 도포하도록 하였다. 왼손을 비처리 대조 부위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시험 제품만 사용하도록 하고 사용 내역을 매일 상세히 기록하도록 하였다. 2주 및 4주 말에 12시간 이상 동안 제품을 도포하지 않은 상태로 오도록 하여 시험하기 위해 대상자들을 소집하여 동일 조건하에서 재측정하였다.
박피는 D-스쿠엄 디스크법(D-Squame Discs Method) 및 이미지 분석법(Image Analysis)으로 측정하였다. 간단히, 균일한 압력 장치에 지지된 손으로 4개의 스쿠엄 디스크를 각 손등에 단단히 누르고 피부로부터 조심스럽게 당겨서 제거하였다. D-스쿠엄 디스크를 투명한 현미경 슬라이드에 놓고 실험 대상자의 이름 및 방문일에 따라 표지하였다. 박리를 이미지 분석기로 D-스쿠엄 디스크에서 측정하였다. 처리 전 및 처리 2주 후 및 4주 후에 피부를 평가하였다.
피부 박피 측정에는 옵티마(OPTOMA) 이미지 분석기를 사용하였다. 각질 세포를 포함하는 D-스쿠엄 시료를 광테이블 상부의 카메라 아래에 놓고 각 이미지를 이미지 분석기로 전사하였다. 시료 밀도에 해당하는 평균 그레이 밸류(Gray Value)를 측정하였다. 시료의 밀도가 높을수록 그레이 밸류 편차가 더 높았다. 처리된 피부는 2주 후에 기준에 비해 박피의 22.5% 감소를 보였다. 박피의 감소는 관찰된 각질층 결합에 대한 효과에 의한 것이라는 것이 명백하였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자가 태닝 기간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DHA에 대한 콜레스테롤 술페이트의 첨가 효능을 예시한다. 시험을 위해 5% DHA 함유 대조군 제제와 5% DHA 및 0.2% 나트륨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함유 시험 제제를 제조하였다. 총 10명의 대상자가 시험에 참가하였다. 대조군 제제를 오른팔에, 시험 제제를 왼팔에 도포하였다. 동량의 제품(800 ㎕)을 분배하여 흡수될 때까지 도포하였다.
처리 전, 처리 24시간 후, 4일 후 및 5일 후에 색도계로 색상을 측정하였다. 색도계에서 얻어진 반사율의 감소 및 적색 및 황색의 증가(△L*, △a*, △b*)를 기준 피부색과 비교하여 계산하였다. 전체 색상 변화 △E*는 각 시점에서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E*= [(△L*)2+(△a*)2+(△b*)2]1/2
도 2에 나타낸 결과는 제품의 자가 태닝 효과에 의한 피부 반사율 감소 및 피부 적색 및 황색의 증가를 증명한다. 그래프에서 확인되는 색상값의 전체 변화(△E*)는 DHA 단독으로 처리된 팔에 비해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함유 제제로 처리된 팔에서 10% 더 어두운 색상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제 4일 및 제 5일 후에, DHA 단독 처리 부위에 비해 DHA 및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처리 부위가 20 및 25% 더 어둡게 태닝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자료는 DHA에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를 첨가하면 장기 지속 태닝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자가 태닝 강도 및 지속 기간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어서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및 지질 혼합물과 함께 DHA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효능을 예시한다. 5% DHA, 0.2% 나트륨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0.2% 리놀레산 및 밀겨 추출물 및 올리브유 추출물 함유 0.2% SC 복합체를 포함하는 시험제품과 대조군으로서 5% DHA만을 포함하는 표준 자가 태닝 제품을 시험하였다.
총 22명의 대상자를 각각 11명씩 두개의 군으로 나누어 시험하였다. 대조군을 오른팔에, 시험 제품을 왼팔에 도포하였다. 동량의 제품 (800 ㎕)을 분배하고 흡수될 때까지 도포하였다.
색상 측정은 실시예 IV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결과는 제품의 자가 태닝 효과에 의해 피부 반사율의 감소와 피부 적색 및 황색의 증가를 증명한다. 지질 혼합물을 포함하는 5% DHA 제품은 대조군 제품과 비교시 총 7일의 연구 기간 동안에 더 효율적으로 색상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21)

  1. 유효량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층의 박리(desquamation) 지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약 0.05% 내지 약 10%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약 1% 내지 약 3%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유효량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층의 박화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약 0.05% 내지 약 10%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약 1% 내지 약 3%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유효량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V 조사 효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약 0.05% 내지 약 10%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약 1% 내지 약 3%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를 1종 이상의 일광 차단제와 함께 도포하는 방법.
  11. 유효량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와 1종 이상의 일광 차단제를 포함하는, UV 조사 효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일광 차단제가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철, 캄포르 유도체, 신나메이트, 살리실레이트, 벤조페논, 트리아진, PABA 유도체, 디페닐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3. 유효량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및 유효량의 1종 이상의 자가 태닝제 (self-tanning agent)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 피부 태닝법.
  14. 유효량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및 유효량의 한가지 이상의 자가 태닝제를 포함하는 피부 인공 태닝용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자가 태닝제로서 DHA를 포함하는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이미다졸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
  17. 유효량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및 유효량의 각각 1종 이상의 지방산, 세라미드 및 스테롤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층의 박리를 지연시키고 두께를 증가시키기 위한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지방산이 C12-C20지방산인 조성물.
  19. 제17항에 있어서, 세라미드가 세라미드 III 또는 세레브로시드인 조성물.
  20. 제17항에 있어서,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C12-C20지방산, 세라미드 III 또는세레브로시드 및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조성물.
  21. 유효량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를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상에 노화와 관련된 잔주름 및 주름살 생성을 방지 또는 지연시키는 방법.
KR1020007011171A 1999-02-08 2000-02-02 각질층 기능 향상을 위한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조성물 KR100667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246,607 1999-02-08
US09/246,607 US20020098207A1 (en) 1999-02-08 1999-02-08 Cholesterol sulfate compositions for enhancement of stratum corneum function
US09/246,607 1999-0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530A true KR20010042530A (ko) 2001-05-25
KR100667124B1 KR100667124B1 (ko) 2007-01-12

Family

ID=2293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171A KR100667124B1 (ko) 1999-02-08 2000-02-02 각질층 기능 향상을 위한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020098207A1 (ko)
EP (1) EP1069883B1 (ko)
JP (1) JP3842558B2 (ko)
KR (1) KR100667124B1 (ko)
AT (1) ATE526944T1 (ko)
AU (1) AU756361B2 (ko)
CA (1) CA2326528C (ko)
ES (1) ES2372805T3 (ko)
HK (1) HK1033912A1 (ko)
WO (1) WO2000045786A1 (ko)
ZA (1) ZA20000541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808A (ko) * 2001-12-07 2003-06-18 로레알 아미노 치환 2-히드록시벤조페논 유도체 및 셀프 태닝제를함유하는 셀프 태닝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72154B1 (en) * 2000-04-04 2004-09-22 Color Access, In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lipid barrier function
US20020142013A1 (en) * 2001-01-31 2002-10-03 Maes Daniel H. Cholesterol sulfate and amino sugar compositions for enhancement of stratum corneum function
EP1377258A2 (en) * 2001-03-30 2004-01-07 L'oreal Heat activated durable conditioning compositions comprising saccharid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DE10155200A1 (de) * 2001-11-12 2003-05-28 Skinlab Gmbh Verwendung von Cholesterin, cholesterinhaltigen Substanzen oder von den Cholesteringehalt erhöhenden Substanzen in kosmetischen und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zum Zwecke der UV-Protektion
US8034387B2 (en) 2002-04-30 2011-10-11 Unigen, Inc. Formulation of a mixture of free-B-ring flavonoids and flavans for us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gnitive decline and age-related memory impairments
NZ535988A (en) 2002-04-30 2005-09-30 Unigen Pharmaceuticals Inc Formulation of a mixture of free-B-ring flavonoids and flavans as a therapeutic agent
CA2521429A1 (en) * 2003-04-04 2004-10-21 Unigen Pharmaceuticals, Inc. Formulation of dual cycloxygenase (cox) and lipoxygenase (lox) inhibitors for mammal skin care
EP1703891A1 (en) * 2003-12-11 2006-09-27 MERCK PATENT GmbH Method of tanning human body by mysting or immersion at elevated temperature
GB2413763A (en) * 2004-05-04 2005-11-09 Lifestyle Beauty Ltd Composition for application to skin
US20070059269A1 (en) * 2005-08-17 2007-03-15 L'oreal Administration of 8-hexadecene-1,16-dicarboxylic acid for promoting cohesion of the epidermal horny layer
EP2055314B1 (en) * 2006-08-11 2013-06-19 Toyobo Co., Ltd. Activator comprising biosurfactant as the active ingredient mannosyl erythritol lipid
US9289373B2 (en) 2009-10-26 2016-03-22 International Flora Technologies, Ltd. Human sebum mimetics derived from botanical sour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WO2015095010A2 (en) * 2013-12-18 2015-06-25 International Flora Technologies, Ltd. Human sebum mimetics derived from botanical sour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DK3125865T3 (da) * 2014-04-04 2019-07-08 Unifarco S P A Samling af aktive ingredienser til topikal anvendelse i restrukturering af ændret kutanbarriere følgende hudsygdomme
JP7008328B2 (ja) * 2015-11-20 2022-01-25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免疫制御剤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1911A (ja) * 1984-01-31 1985-08-23 Kanebo Ltd 皮膚化粧料
US5084270A (en) * 1988-04-22 1992-01-28 Revlon, Inc.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N-alkoxyalkylamides
US5508034A (en) * 1988-08-12 1996-04-16 Genderm Corporatio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dry skin disorders
WO1990001323A1 (en) * 1988-08-12 1990-02-22 Bernstein Joel E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dry skin disorders
EP0386680A1 (en) * 1989-03-07 1990-09-12 Plough, Inc. Liposome compositions
JPH0551314A (ja) * 1991-08-20 1993-03-02 Kanebo Ltd 皮膚化粧料
FR2694289B1 (fr) * 1992-07-29 1994-10-14 Oreal Composés amphiphiles soufrés, fluorés et polyglycérolés, composition cosmétique ou pharmaceutique en comportant,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vésicules formées.
FR2716622B1 (fr) * 1994-02-28 1996-04-12 Oreal Compositions cosmétiques autobronzantes à base de dihydroxyacétone,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utilisation.
FR2727626B1 (fr) * 1994-12-05 1997-01-17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autobronzantes a base de dihydroxyacetone, d'alkylpolyosides et d'alcools gras
US5705145A (en) * 1996-08-21 1998-01-06 E-L Management Corp. Skin tanning compositions and method
DE19642872C1 (de) * 1996-10-17 1998-02-12 Henkel Kgaa Verwendung von Sterolsulfaten als Wirkstoffe in kosmetischen und/oder pharmazeutischen Mitteln zur Inhibierung von Serinproteasen
JPH115742A (ja) * 1997-04-21 1999-01-12 Shiseido Co Ltd コレステロール硫酸含有外用剤
DE19834812A1 (de) * 1998-08-01 2000-02-03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Sterolderivaten in kosmetischen und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zur Stärkung der Barrierefunktion der Hau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808A (ko) * 2001-12-07 2003-06-18 로레알 아미노 치환 2-히드록시벤조페논 유도체 및 셀프 태닝제를함유하는 셀프 태닝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45786A1 (en) 2000-08-10
ATE526944T1 (de) 2011-10-15
ZA200005413B (en) 2001-06-04
EP1069883B1 (en) 2011-10-05
HK1033912A1 (en) 2001-10-05
CA2326528A1 (en) 2000-08-10
AU2753400A (en) 2000-08-25
JP2002536313A (ja) 2002-10-29
CA2326528C (en) 2005-08-02
AU756361B2 (en) 2003-01-09
ES2372805T3 (es) 2012-01-26
US20040028639A1 (en) 2004-02-12
KR100667124B1 (ko) 2007-01-12
JP3842558B2 (ja) 2006-11-08
EP1069883A1 (en) 2001-01-24
US20020098207A1 (en) 200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7124B1 (ko) 각질층 기능 향상을 위한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조성물
US5262407A (en) Use of salicylic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skin aging
KR100519638B1 (ko) 지질 장벽 합성을 강화시키는 조성물 및 그 방법
JP3670279B2 (ja) ポリア・ココス・ウルフ菌抽出物を含有する抗アクネ組成物
JP2008505086A (ja) Rhodiolaroseaを含む化粧組成物および方法
JP2007532521A (ja) 脱色素剤の形の、ニコチン酸またはニコチン酸アミドと関連したスフィンゴイド塩基の使用
JP2986432B2 (ja) 非常に少ない用量のメラトニンまたはその類似体を含有する新規局所組成物およびその化粧品における使用
FR2755367A1 (fr) Utilisation d'un extrait de potentille erecta dans le domaine de la cosmetique et de la pharmacie, notamment de la dermatologie
EP1172094A1 (fr) Composition, notamment cosmétique, comprenant la DHEA et/ou un précurseur ou dérivé, et au moins un composé augmentant la synthèse des glycosaminoglycanes
WO2005070370A1 (en) Method and preparation for reducing sunburn cell formation in skin
EP1250121B1 (fr) Utilisation de la dhea ou certaines de ses derives pour ameliorer l'aspect papyrace de la peau
US10653615B2 (en) Use of a photosynthetic cell extract comprising functional thylakoids in cosmetic compositions
KR20160103983A (ko) 레틴알데히드 및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질환 감소용 조성물
KR20030005258A (ko) 케라틴 물질의 화장용 처리에 있어서의 알콜디하이드로게나아제 저해제의 용도
JP2002128702A (ja) 局所活性成分の効力のモノ−アシル−(リゾ)−グリセロリン脂質による増強方法およびその用途
US6716437B1 (en) Top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enhancing lipid barrier synthesis
EP1230913A2 (fr) Utilisation cosmétique d'un complexe de photoprotecteurs cellulaires comme agent anti-pollution
JPH06145039A (ja) 皮膚化粧料
KR19990062974A (ko) 피부 담색화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FR2835427A1 (fr) Composition cosmetologique et/ou dermatologique a base d'extrait de barbatimao
KR19990025848A (ko)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MXPA00010075A (en) Beauty method for making skin white
JPH09286716A (ja) 美白化粧料
BRPI1107447A2 (pt) Composição cosmética, kit para tratamento da pele, método para tratar pele oleosa ou mista ou pele com ac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