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0888A - 연료 분사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 분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0888A
KR20010040888A KR1020007008795A KR20007008795A KR20010040888A KR 20010040888 A KR20010040888 A KR 20010040888A KR 1020007008795 A KR1020007008795 A KR 1020007008795A KR 20007008795 A KR20007008795 A KR 20007008795A KR 20010040888 A KR20010040888 A KR 20010040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cking
cylinder
uniform
predetermined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8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립마티아스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10040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88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5/00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5/02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 interior conditions
    • F02D35/027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 interior conditions using knoc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8Controlling each cylinder individu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11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 F02D41/3076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with special conditions for selecting a mode of combustion, e.g. for starting, for diagno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01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 F02D41/1402Adaptiv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11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 F02D41/3017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characterised by the mode(s) being used
    • F02D41/3023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characterised by the mode(s) being used a mode being the stratified charge spark-ignited mode
    • F02D41/3029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characterised by the mode(s) being used a mode being the stratified charge spark-ignited mode further comprising a homogeneous charge spark-ignited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Ignition Timing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 기관용 연료 분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사는 선택적으로 균일한 정상 작동 또는 불균일한 층 작동으로 실행된다. 여기서, 불균일한 층 작동시 내연 기관의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에서 노킹 현상으로 특징지워지는 크기가 검출된다. 하나의 실린더에서 검출된 특징적인 크기가 예정된 제 1 기준을 충족시킬 경우,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가 불균일한 층 작동으로부터 균일한 정상 작동으로 전환된다.

Description

연료 분사 방법{Method for injecting fuel}
임의의 연료 및 모터에 임의의 자동차가 적용될지라도,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문제점은 승용차의 내연 기관의 가솔린 직접 분사 장치에 관련하여 설명된다.
가솔린 직접 분사 장치를 갖는 이러한 내연 기관에서는 정해진 작동 영역에서 사용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 연소 챔버 내 소위 부하층이 구현되며, 이는 하기에 층 작동으로 지칭된다.
소위 가솔린 직접 분사 장치의 정상 작동시 전체 연소 챔버는 화학량에 의한 공기 연료 혼합물에 의해 균일하게 채워지며, 상기 혼합물은 점화 시점에 점화 기능에 의해 점화된다.
이와는 달리, 층 작동시에는 단지 국부적으로 점화 가능한 작은 화학량의 클라우드(cloud)만이 연소 챔버 내에 제공되는 반면, 연소 챔버의 나머지는 점화될 수 없다. 이러한 층 작동의 장점은 연소 기관의 확대된 작동에 있다.
따라서, 층 작동의 작동 영역은 가능한한 크게 형성되고, 특히 가능한한 높은 부하 및 높은 회전수로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문제점은 통상적으로 연소 챔버 내의 겹쳐진 부하를 점화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점화 시점이 필요하다는데 있다. 이러한 고정된 점화 시점은 정해진 작동 지점에서 특히 미리 놓여 있으며, 사실 전형적으로 상사점(OT) 전의 50 °크랭크 축의 위치까지 놓여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 지점에서 겹쳐진 제한되지 않은 작동시 노킹 연소가 일어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점화각이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다시 말해 "더 이후의" 또는 OT에 더 가깝게 놓여있는 값으로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노킹 연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다른 척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내연 기관용 연료 분사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분사는 선택적으로 균일한 정상 작동 또는 불균일한 층 작동으로 실행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방법의 실시예에 따라 균일한 정상 작동과 불균일한 층 작동 간의 전환이 회전수 및 부하 기능으로 실행되는 특성 곡선의 매칭의 개략도.
청구항 제 1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방법은 공지된 해결책과는 달리, 사용에 적합한 층 작동으로 내연 기관이 작동된다는 장점이 있으며, 노킹 연소가 예컨대 높은 흡입 공기 및/또는 냉각수 온도에서 무조건 필요할 때 비로소 균일한 정상 작동으로 전환되며, 이는 모터 부분을 상하게 할 위험이 지배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노킹 연소가 나타날 때 비균일한 층 작동으로부터 균일한 정상 작동으로의 전환을 실행하는데 있다. 전환 이후, 그리고 균일한 정상 작동으로 제한된 이후에도 여전히 노킹이 존재할 경우, 부가로 점화각의 조절에 의해 반응될 수 있으며, 이는 불균일한 층 작동으로는 불가능하다.
종속항에는 청구항 제 1항에 제시된 연료 분사 방법의 바람직한 개선예가 나타난다.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노킹 강도는 불균일한 층 작동시 내연 기관의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에서 노킹 현상으로 특징지워지는 크기로서 검출되고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가 불균일한 층 작동으로부터 균일한 정상 작동으로 전환되며, 이때 한 실린더의 노킹 강도는 예정된 제 1 노킹 강도 한계치를 초과한다.
부가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노킹 빈도는 불균일한 층 작동시 내연 기관의 다수의 실린더에서 노킹 현상으로 특징지워지는 크기로서 검출되고 다수의 실린더는 불균일한 층 작동으로부터 균일한 정상 작동으로 전환하며, 이 때 다수의 실린더의 노킹 빈도는 예정된 제 1 노킹 빈도 한계치를 초과한다.
부가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전환 후 균일한 정상 작동에서 제한이 실행되고, 균일한 정상 작동에서 내연 기관의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에서 노킹 현상으로 특징지워지는 크기가 검출되며, 점화각의 조절이 실행되는데, 이때 한 실린더에서 검출되는 특징적인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노킹 강도 또는 노킹 빈도에 있어서 예정된 제 2 기준을 충족시킨다.
부가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작동 지점에 따른 짧은 시간 동안 균일한 정상 작동의 실행이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가 균일한 정상 작동으로부터 불균일한 층 작동으로 전환된다.
부가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균일한 정상 작동시 내연 기관의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에서 노킹 현상으로 특징지워지는 크기가 검출되고, 작동 지점에 따른 짧은 시간 동안 균일한 정상 작동이 실행된 이후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가 균일한 정상 작동으로부터 불균일한 층 작동으로 전환되는데, 이 때 한 실린더에서 검출되는 특징적인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노킹 강도 또는 노킹 빈도에 있어서 예정된 제 3 기준을 충족시킨다.
부가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균일한 정상 작동과 불균일한 층 작동간의 전환이 실행되는 특성 곡선이 적어도 하나의 모터 고유의 파라미터의 기능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회전수 및 부하로서 고정되고, 상기 특성 곡선의 적어도 일부는 불균일한 층 작동이 제공되는 작동 지점에서 한 실린더에서 검출되는 특징적인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노킹 강도 또는 노킹 빈도에 있어서 예정된 제 4 기준을 충족시킨다는 사실에 상응하여 이동한다.
부가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상기 특성 곡선의 지지점이 작동 지점에 상응하여 예정된 제 1 값 만큼 적절한 지지점으로 이동한다.
부가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노킹 강도가 불균일한 층 작동시 내연 기관의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에서 노킹 현상으로 특징지워지는 크기로서 검출되고, 특성 곡선의 일부가 한 실린더의 노킹 강도가 제 1 노킹 강도 한계치보다 작은 예정된 제 2 노킹 빈도를 초과할 경우 이동한다.
부가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노킹 빈도가 불균일한 층 작동시 내연 기관의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에서 노킹 현상으로 특징지워지는 크기로서 검출되고, 특성 곡선의 일부가 한 실린더의 노킹 빈도가 제 1 노킹 빈도 한계치보다 작은 예정된 제 2 노킹 빈도를 초과할 경우 이동한다.
부가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특성 곡선의 적절한 지지점이 작동 지점에 상응하여 예정된 제 2 값 만큼 원 지지점의 방향으로 역이동하며, 이때 정해진 짧은 시간에 대해 하나의 실린더에서 검출되는 특징적인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노킹 강도 또는 노킹 빈도에 있어서 예정된 제 5 기준을 충족시키며, 예정된 제 2 값이 바람직하게 예정된 제 1 값 보다 더 작다.
부가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실린더가 개별 싱글 스로틀 밸브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각각의 실린더에 있어서 검출 및 전환이 별도로 실행된다.
부가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한 실린더에서 검출되는 특징적인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노킹 강도 또는 노킹 빈도에 있어서 예정된 제 6 기준을 충족시킬 경우, 불균일한 층 작동시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의 제한이 이루어진다.
부가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노킹 강도가 불균일한 층 작동시 내연 기관의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에서 노킹 현상으로 특징지워지는 크기로서 검출되고, 한 실린더의 노킹 강도가 예정된 제 1 및 제 2 노킹 강도 한계치보다 작은 예정된 제 3 노킹 강도 한계치를 초과할 경우, 불균일한 층 작동시 적어도 한 실린더의 제한이 실행된다.
부가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노킹 빈도가 불균일한 층 작동시 내연 기관의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에서 노킹 현상으로 특징지워지는 크기로서 검출되고, 한 실린더의 노킹 빈도가 예정된 제 1 및 제 2 노킹 빈도 한계치보다 작은 예정된 제 3 노킹 빈도 한계치를 초과할 경우, 불균일한 층 작동시 적어도 한 실린더의 제한이 실행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1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방법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 에서 D는 회전수, L은 관련 내연 기관의 부하, U는 특성 곡선을 가리키며, 균일한 정상 작동과 불균일한 층 작동 간의 전환은 회전수 D 및 부하 L의 기능으로서 실행된다. 여기서, S1-S5는 특성 곡선 U의 지지점이며, 상기 지지점들 사이에 목적에 따라 보강된다. 여기서, I는 불균일한 층 작동을 위한 영역이고, Ⅱ는 균일한 정상 작동을 위한 영역이다. S3'는 적절한 지지점이고, U'는 적절한 특성 곡선이다. Δ는 상기 지지점(S3)의 영역(Ⅱ) 방향으로의 이동값이고, 및 δ는 영역(I) 방향으로의 역 이동값이다.
스로틀 밸브 및 흡입관을 갖는 내연 기관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방법의 실시예에서, 노킹 강도는 불균일한 층 작동 및 균일한 정상 작동시 내연 기관의 개별 실린더에서 노킹 현상으로 특징지워지는 크기로서 연속적으로 검출된다.
불균일한 층 작동시 실린더의 노킹 강도가 예정된 제 1 노킹 강도 한계치를 초과할 경우, 모든 실린더는 불균일한 층 작동으로부터 균일한 정상 작동으로 전환한다.
균일한 정상 작동시, 전환 후 제한이 실행되고 노킹 강도의 검출이 계속 진행된다.
상기 노킹 강도가 점점 더 높아질 경우, 균일한 정상 작동시 점화각이 조절될 수 있다.
노킹 강도가 충분히 낮을 경우, 작동 지점에 따른 짧은 시간 동안 균일한 정상 작동이 실행된 후에 모든 실린더가 균일한 정상 작동으로부터 불균일한 층 작동으로 전환한다.
그 때문에, 이러한 실시예에서 특성 곡선(U)의 변화가 검출되며, 이는 작동 지점, 여기서는 B 에는 불균일한 층 작동이 제공된다는 사실에 상응하며, 실린더에서 검출된 특징적인 크기는 실린더의 노킹 강도가 제 1 노킹 강도 한계치보다 적은 예정된 제 2 노킹 강도 한계치를 초과할 경우 예정된 기준을 충족시킨다.
특히, 특성 곡선(U)의 지지점(S3)이 작동 지점(B)에 상응하여 예정된 제 1 값(Δ) 만큼 적절한 지지점(S3')으로 이동된다. 이로부터, 적절한 특성 곡선 부분(U')(파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특성 곡선 부분(U')에서 불균일한 층 작동과 균일한 정상 작동 간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어떠한 실린더도 제 2 노킹 강도 한계치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특성 곡선(U)의 적절한 지지점(S3')이 작동 지점(B)에 상응하여 예정된 제 2 값(δ) 만큼 원 지지점(S3)의 방향으로 역이동하며, 예정된 제 2 값(δ)은 예정된 제 1 값(Δ) 보다 작다. 이는 원 지지점(S3)에 재차 도달할 때까지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불균일한 층 작동과 균일한 정상 작동간의 전환은 각각 순간적인 적절한 특성 곡선에 따라 이루어진다.
추가 실시예에서는, 실린더가 개별 싱글 스로틀 밸브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각각의 실린더를 위한 검출 뿐만 아니라, 전환도 실행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하나의 실린더의 노킹 강도가 예정된 제 1 및 제 2 노킹 강도 한계치 보다 작은 제 3 노킹 강도 한계치를 초과할 경우, 실린더는 불균일한 층 작동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이 어느 정도까지 가능한가는 관련 모터 타입에 달려있다.
비록 본 발명이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기술되었을지라도, 이는 거기에만 제한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노킹 강도 및 노킹 빈도의 검출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복합 특성 곡선이 다수의 파라미터의 사용하에 사용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특성 곡선의 채택은 임의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증된 방법에만 제한된 것이 아니다.

Claims (15)

  1. 분사가 선택적으로 균일한 정상 작동 또는 불균일한 층 작동으로 실행되는 내연 기관용 연료 분사 방법에 있어서,
    불균일한 층 작동시 내연 기관의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에서 노킹 현상으로 특징지워지는 크기가 검출되는 것과,
    하나의 실린더에서 검출된 특징적인 크기가 예정된 제 1 기준을 충족시킬 경우, 실린더 중 적어도 하나가 불균일한 층 작동으로부터 균일한 정상 작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노킹 강도가 불균일한 층 작동시 내연 기관의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에서 노킹 현상으로 특징지워지는 크기로서 검출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에서 검출된 노킹 강도가 예정된 제 1 노킹 강도 한계치를 초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킹 강도는 불균일한 층 작동시 내연 기관의 다수의 실린더에서 노킹 현상으로 특징지워지는 크기로서 검출되고,
    다수의 실린더의 노킹 빈도가 예정된 제 1 노킹 빈도 한계치를 초과할 경우, 다수의 실린더는 불균일한 층 작동으로부터 균일한 정상 작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환 후 균일한 정상 작동으로 제한되며,
    균일한 정상 작동시 내연 기관의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에서 노킹 현상으로 특징지워지는 크기를 검출하며,
    실린더에서 검출된 특징적인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노킹 강도 또는 노킹 빈도에 있어서 예정된 제 2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지점에 따른 짧은 시간 동안 균일한 정상 작동을 실행하며,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를 균일한 정상 작동으로부터 불균일한 층 작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균일한 정상 작동시 내연 기관의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에서 노킹 현상으로 특징지워지는 크기가 검출되며,
    하나의 실린더에서 검출되는 특징적인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노킹 강도 또는 노킹 빈도에 있어서 예정된 제 3 기준을 충족시킬 경우,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가 작동 지점에 따른 짧은 시간 동안 균일한 정상 작동을 실행한 후에 균일한 정상 작동으로부터 불균일한 층 작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균일한 정상 작동과 불균일한 층 작동 사이의 전환이 적어도 하나의 모터 고유의 파라미터의 기능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회전수 및 부하로서 실행되며,
    특성 곡선(U)의 적어도 일부가 불균일한 층 작동이 제공되는 작동 지점(B)에서 검출된다는 사실에 상응하여 이동하며, 하나의 실린더에서 검출된 특징적인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노킹 강도 또는 노킹 빈도에 있어서 예정된 제 4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곡선(U)의 지지점(S3)이 작동 지점(B)에 상응하여 예정된 제 1 값(Δ) 만큼 적절한 지지점(S3')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방법.
  9. 제 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노킹 강도가 불균일한 층 작동시 내연 기관의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에서 노킹 현상으로 특징지워지는 크기로서 검출되며,
    하나의 실린더의 노킹 강도가 제 1 노킹 강도 한계치 보다 작은 예정된 제 2 노킹 강도 한계치를 초과할 경우, 특성 곡선의 부분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방법.
  10. 제 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노킹 빈도가 불균일한 층 작동시 내연 기관의 다수의 실린더에서 노킹 현상으로 특징지워지는 크기로서 검출되며,
    하나의 실린더의 노킹 빈도가 제 1 노킹 빈도 한계치 보다 작은 예정된 제 2 노킹 빈도 한계치를 초과할 경우, 특성 곡선의 부분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방법.
  11. 제 8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해진 시간 동안 하나의 실린더에서 검출된 특징적인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노킹 강도 또는 노킹 빈도에 있어서 예정된 제 5 기준을 충족시킬 경우, 상기 특성 곡선(U)의 적절한 지지점(S3')이 작동 지점(B)에 상응하여 예정된 제 2 값(δ) 만큼 원 지지점(S3)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 2 값(δ)이 바람직하게는 예정된 제 1 값(Δ) 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방법.
  12. 제 1항 내지 제 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개별 싱글 스로틀 밸브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각 실린더의 검출 및 전환이 별도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방법.
  13. 제 1항 내지 제 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실린더에서 검출된 노킹 빈도가 노킹 강도 또는 노킹 빈도에 있어서 예정된 제 6 기준을 충족시킬 경우,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가 불균일한 층 작동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노킹 강도가 내연 기관의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에서 노킹 현상으로 특징지워지는 크기로서 검출되며,
    하나의 실린더의 노킹 강도가 제 1 및 제 2 노킹 강도 한계치 보다 작은 예정된 제 3 노킹 강도 한계치를 초과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가 불균일한 층 작동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노킹 빈도가 내연 기관의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에서 노킹 현상으로 특징지워지는 크기로서 검출되며,
    하나의 실린더의 노킹 빈도가 제 1 및 제 2 노킹 강도 한계치 보다 작은 예정된 제 3 노킹 강도 한계치를 초과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가 불균일한 층 작동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방법.
KR1020007008795A 1998-12-22 1999-07-23 연료 분사 방법 KR200100408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59424A DE19859424A1 (de) 1998-12-22 1998-12-22 Kraftstoff-Einspritzverfahren
DE19859424.0 1998-12-22
PCT/DE1999/002260 WO2000037788A1 (de) 1998-12-22 1999-07-23 Kraftstoff-einspritzverfahr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888A true KR20010040888A (ko) 2001-05-15

Family

ID=789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8795A KR20010040888A (ko) 1998-12-22 1999-07-23 연료 분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12283B1 (ko)
EP (1) EP1056943B1 (ko)
JP (1) JP2002533606A (ko)
KR (1) KR20010040888A (ko)
DE (2) DE19859424A1 (ko)
WO (1) WO2000037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7097B2 (ja) * 1999-08-26 2004-1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焼制御装置
DE19941528A1 (de) * 1999-09-01 2001-03-0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325018B4 (de) * 2003-06-03 2013-02-2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des Übergangs von einer ersten Betriebsart eines mit Kraftstoff-Direkteinspritzung arbeitenden Ottomotors auf eine zweite Betriebsart
DE102008018620B4 (de) * 2008-04-11 2017-10-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s Zündwinkels in einem Steuergerät für elektronische Steuerungen von Brennkraftmaschinen
DE102009001904A1 (de) * 2009-03-26 2010-09-3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Steuerein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nd Brennkraftmaschine mit Direkteinspritzung
US9175621B2 (en) * 2012-09-17 2015-11-03 Fca Us Llc Engine management strateg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7851A (ja) * 1990-11-20 1992-07-06 Toyota Motor Corp 筒内直接噴射式火花点火機関
JP4036906B2 (ja) 1996-05-15 2008-01-23 三菱電機株式会社 筒内噴射内燃機関の制御装置
DE19631986A1 (de) * 1996-08-08 1998-02-12 Bosch Gmbh Robert Steuereinrichtung für eine direkteinspritzende Benzinbrennkraftmaschine
US5922372A (en) * 1996-11-06 1999-07-13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High speed locking clamp
JP3198957B2 (ja) * 1996-12-19 2001-08-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希薄燃焼内燃機関の出力変動抑制制御装置
DE19823280C1 (de) * 1998-05-25 1999-11-11 Siemens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irekteinspritzenden Brennkraftmaschine während des Sta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37788A1 (de) 2000-06-29
JP2002533606A (ja) 2002-10-08
EP1056943A1 (de) 2000-12-06
DE59908366D1 (de) 2004-02-26
EP1056943B1 (de) 2004-01-21
DE19859424A1 (de) 2000-06-29
US6612283B1 (en) 200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03398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WO2016031518A1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US6814048B2 (en) Method and devices for avoiding knocking on failure of an anti-knock regulator
KR20020026194A (ko) 다기통 엔진의 시동 방법
EP0857866A4 (en) FUEL CONTROL DEVICE FOR INJECTION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CYLINDERS
KR20020005574A (ko) 엔진, 특히 자동차의 엔진을 시동하기 위한 방법
KR0132515B1 (ko) 자동차용 엔진
US75167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00068967A (ko) 내연기관용 점화 장치의 점화각 결정 방법
WO2006080470A2 (en) Apparatus for adjusting valve timing when star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026781A (en)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of cylinder direct injection engine
CN110966103A (zh) 气缸休止切换装置
KR20010040888A (ko) 연료 분사 방법
KR20010020197A (ko) 자동차 내연기관의 작동을 위한 방법
US20170356356A1 (en)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078932B2 (ja) 可変動弁系を有する内燃機関の制御方法
US5275143A (en) Method for reducing the fuel supply for one engine cylinder
US20030136364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20072567A (ko) 엔진 작동 방법
US7025033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drive unit includ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1999049194A3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JP3992445B2 (ja) 内燃機関の作動状態判定装置
JP2908281B2 (ja) 舶用大型ディーゼル機関の給気弁制御方法とその装置
JP3997966B2 (ja) 筒内直接噴射式内燃機関
JP4492811B2 (ja) 筒内噴射型内燃機関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