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0197A - 자동차 내연기관의 작동을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연기관의 작동을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0197A
KR20010020197A KR1019997009775A KR19997009775A KR20010020197A KR 20010020197 A KR20010020197 A KR 20010020197A KR 1019997009775 A KR1019997009775 A KR 1019997009775A KR 19997009775 A KR19997009775 A KR 19997009775A KR 20010020197 A KR20010020197 A KR 20010020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ed
amount
combustion chamber
air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6269B1 (ko
Inventor
오더미샤엘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10020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11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 F02D41/3064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with special control during transition between modes
    • F02D41/307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with special control during transition between modes to avoid torque sh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11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 F02D41/3064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with special control during transition between m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11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 F02D41/3017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characterised by the mode(s) being used
    • F02D41/3023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characterised by the mode(s) being used a mode being the stratified charge spark-ignited mode
    • F02D41/3029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characterised by the mode(s) being used a mode being the stratified charge spark-ignited mode further comprising a homogeneous charge spark-ignited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특히 자동차용 내연기관(1)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며, 이때의 자동차는 연료분사장치(8)를 구비하고 있으며, 연료분사장치(8)로 흡입행정동안에 제1 운전방법으로 또는 압축행정동안에는 제2 운전방법으로 연료를 직접 연소실(4)로 분사할 수 있다. 더나아가서 연소실(4)로 주입된 공기량(rl)을 얻기 위해서 그리고 두운전방법에 있어서 연소실(1)로 분사되는 연료량의 서로 다른 제어 및 조정을 위한 제어장치(16)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장치(16)를 통해서 연소실(4)로 주입된 공기량(rl)에 따라서 제1 운전방법과 제2 운전방법 사이에서 변환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연기관의 작동을 위한 방법{Method for oper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vehicle}
내연기관의 연소실로 연료를 직접 분사하기 위한 이러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사실이다. 동시에 제1 운전방법으로서 소위 말하는 층운전과 제2 운전방법으로 호모겐운전이 서로 구별되어 있다. 이때의 층운전은 특히 작은 하중이 걸릴때 사용되며, 호모겐 운전은 내연기관에 걸리는 하중이 클 때에 사용된다.
층운전의 연료는 내연기관이 압축행정일 때에 연소실로 점화하고자 하는 시간포인트에서 연료운(즉 연료구름)으로서 점화플러그 주위로 직접 분사된다. 이러한 분사는 서로 다른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분사된 연료운은 직접 분사되는 동안에 또는 분사가 끝난 후에 이미 점화플러그에 위치하며, 점화플러그에 의해서 점화된다. 마찬가지로 분사된 연료운은 농도방향에 따라 점화플러그로 안내되고, 이어서 점화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두 연소과정에 있어서 연료분사분배가 불균일하게 발생하지 않고, 대신 층분배가 이루어진다.
층운전의 장점은 내연기관에 작은 하중이 걸릴 경우에 작은 연료량으로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큰 하중은 층운전으로는 충족될 수 없다.
이러한 큰 하중을 위한 호모겐 운전에서 연료는 내연기관의 흡입행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분사되고, 따라서 와류 작용과 이에 따른 연료의 분사가 연소실에서 다른 어떤 작용없이 이루어진다. 더나아가서 호모겐 운전은 내연기관의 운전방법과 일치하게 되고, 이때의 운전방법에서는 종래의 방법대로 연료는 흡입관에 분사된다. 작은 하중이 걸려 있을 때의 연료공급에 있어서도 호모겐 운전이 적용된다.
층운전에 있어서 드로틀 밸브는 연소실로 안내되는 흡입관에서 계속 열리고, 또한 연소가 단지 분사된 연료량을 통해서 제어되거나 조정된다. 호모겐 운전에 있어서는 드로틀밸브는 요구된 모멘트에 따라서 열리거나 또는 닫히게 된고 분사된 연료량은 흡입된 공기량에 따라서 제어 또는 조정된다.
층운전을 하는 내연기관은 호모겐 운전으로 다시 재변환되어야 한다. 층운전에서 드로틀밸브는 계속적으로 열려 있으며, 그리고 공기가 이에 따라서 계속해서 공급되는 동안에 드로틀밸브는 호모겐운전으로 단지 부분적으로 열리고, 이에 따라서 공기공급이 감소한다. 무엇보다도 층운전을 호모겐운전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연소실로 가는 흡입관의 능력을 고려하므로, 이때의 변환운전에 의해 내연기관의 출력 모멘트의 증가를 가져온다.
본발명은 특히 자동차 내연기관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며, 연료가 압축행정동안에 제 1 운전방법으로, 또는 흡입행정동안에 제 2 운전방법으로 직접 연소실로 분사되고, 이때의 연소실에 주입되는 공기량이 측정되며, 그리고 연소실에 분사된 연료량은 두 운전방법으로 서로 다르게 제어되거나 또는 조정된다. 더아아가서 본발명의 자동차의 내연기관은 흡입행정동안의 제1 운전방법으로 아니면, 압축행정동안의 제2 운전방법으로 연료를 연소실에 직접 분사하는 연료분사장치, 그리고 연료실에 주입된 공기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그리고 두 운전방법으로 연소실에 분사되는 연료량의 서로 다른 제어 또는 조정을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자동차 내연기관의 실시예에 대한 도식적인 블록회로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1의 내연기관을 구동하기 위한 본발명의 방법의 실시예에 대한 도식적인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따른 방법의 실시에 있어서 도 1의 내연기관의 신호를 도시적인 시간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1의 방법과 반대되는 방법의 실시에 있어서 도 1의 내연기관의 신호를 도식적인 시간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도면,
본발명의 과제는 내연기관의 운전을 위한 방법을 이룩하는 것이며, 이러한 운전방법으로 최적의 변환운전이 두 운전방법 사이에서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과제는 도입부에서 기술하고 있는 방법에 있어서, 또는 도입부에 기술된 내연기관에 있어서 본발명에 따라, 즉 내연기관에 주입된 연료량에 따라서 제1 및 제2 운전방법 사이에서 변환운전되어 해결된다.
내연기관에 주입된 연료량은 정확한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규칙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규칙을 근거로 제1 에서 제2 운전방법으로, 또는 제2 에서 제1 운전방법으로 변환되는 변환운전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나아가서 연소실로 주입된 공기량은 모델연산을 이용한 제어장치에 의해서 측정되거나, 또는 내연기관의 연소실에 주입된 연료량을 측정하기 위해 압력센서나 공기량 측정기가 흡입관에 배치된다. 두 방법은 간단하게 그리고 적은 설계비용으로 실행할 수 있다.
유리한 본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연소실에 주입된 공기량과 호모겐운전의 최대공기량과 서로 차이가 발생한다면, 제 1에서 제 2 운전방법으로 변환운전된다. 층운전에서 호모겐 운전으로의 변환운전은 내연기관에 주입된 공기량을 감소시킨다. 만약에 공기량이 호모겐운전을 위해 제공된 최고값에 도달하면, 호모겐운전으로 변환운전된다. 이에 따라서 이러한 과정은 간단히 제어될 수 있으며, 또한 실행가능하다.
제 2운전 방법으로 변환되기 전에 연소실로 주입되는 공기량이 감소되면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감소는 실제 변환운전으로 되기 전에 드로틀 밸브를 미리 닫으므로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리한 본발명의 개선형태에 있어서 제 2의 운전방법으로 주입된 연료/공기 혼합물이 설정된, 특히 이상적인 혼합물(즉, 공기 : 연료 = 14,7 : 1)로 제어되거나 조정된다. 이때의 연료/공기 혼합물은 설정값을 예를 들어서 1로 규정한다. 이에 따라서 내연기관에서 매연이 작게 배출되는 운전을 이루게 된다.
특히 제 2 운전방법으로 변환된 후에 분사되는 연료량을 주입된 연료량으로 부터 얻는 것이 주 목적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설정된, 즉 공기/연료간의 이상혼합물을 얻는 것이 보장된다.
더나아가서 제 2 운전방법으로 변환후의 점화각도는 요구되는 모멘트로 부터 얻을 수 있다. 점화각도를 이용해서 설정값 또는 이상값의 변동없이도, 일시적인 모멘트의 변동이 이루어진다.
본발명의 유리한 형태에 있어서, 만약 연소실에 주입된 공기량이 층운전을 위한 최소공기량을 초과하였을 경우에는 제 2운전방법에서 제1운전방법으로 변환운전된다. 호모겐 운전에서 층운전으로 변환운전하는 경우에 연소실에 주입된 공기량이 증가하게 된다. 만약 공기량이 제공하고 있는 층운전을 위한 최소값에 도달하게 된다면, 층운전으로 변환운전된다. 이에 따라서 이러한 과정은 간단히 조정 또는 실행될 수 있다.
특히 연소실로 주입되는 공기량이 운전이 변환되기 전에 제1 변환운전에서 증가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변환운전되기 전에 드로틀 밸브를 통해서 도달하게 된다.
특히 제 1운전방법으로 변환되기 전에 분사된 연료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더나아가서 점화각도가 제1 운전방법으로 변환운전되기 전에 약간 지연되어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발명의 방법실현은 제어요소, 특히 자동차의 내연기관에 구비된 제어요소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동시에 제어요소에는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 프로그램은 연산장치에 의해 특히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의해 진행될 수 있고, 본발명의 방법을 실행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발명은 제어요소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써, 프로그램과 연관된 제어요소가 동일한 방법으로 본발명을 프로그램에 따라 실시하기에 적합한 방법으로 되어있다. 제어요소로서 특히 전기적인 저장 프로그램 매체는 예를 들어서 판독-전용-메모리(ROM)가 사용된다.
또다른 주안점, 응용가능성과 본발명의 장점이 다음의 실시예에 대한 기술로 부터 나오게 되며, 이때의 실시예는 도면에 나타나 있다. 동시에 모든 기술과, 이에 따른 도시된 주안점은 본발명의 목적물의 임의 조합으로, 이들의 요약에 무관하게 특허청구항들 또는 이들의 귀속관계를 예를 들어 이들의 공식 또는 도식에 의해서 기술 또는 도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내연기관(1)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내연기관(1)에 있어서 피스톤(2)은 실린더(3)에서 왕복운동한다. 실린더(3)는 연소실(4)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연소실(4)에서 밸브(5)에 의해 흡입관(6)과 배기관(7)이 서로 연결된다. 더나아가서 연소실에 신호(TI)로 제어될 수 있는 연료분사장치(8)와 신호(ZW)로 제어되는 점화플러그(9)가 장치되어 있다.
흡입관(6)에서 공기량센서(10)는 흡입관(6)에 주입된 주위공기의 공기량을 측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신호(LM)를 발생시킨다. 람다-센서(11)는 배기가스의 산소량을 측정하도록 배기관(7)에 위치하며, 또한 신호(λ)를 발생시킨다.
흡입관(6)에 드로틀밸브(12)를 설치하고, 이의 회전위치는 신호(DK)를 이용해서 조정할 수 있다.
제 1 운전방법, 즉 내연기관의 층운전방법에 있어서 드로틀밸브(12)는 계속 열린다. 연료는 연료분사장치(8)의 작용에 따라 피스톤(2)에 의해서 발생된 압축행정을 통해서 연소실(4)로 분사되거나 아니면 점화플러그(9)의 주위에 부분적으로 그리고 점화 시간포인트전에 적절한 시간간격으로 직접 분사된다. 이어서 점화플러그(9)를 이용해서 연료가 점화되고, 이어서 피스톤(2)은 연이은 팽창과정에서 점화된 연료의 팽창을 통해서 구동된다.
제2 운전방법, 즉 내연기관(1)의 호모겐 운전에 있어서 드로틀 밸브(12)는 원하는, 주입 공기량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열리거나, 또는 닫히게 된다. 연료는 연료분사장치(8)의 작용에 따라 피스톤에 의해서 발생되는 흡입행정시에 연소실(4)로 분사된다. 동시에 흡입된 공기에 의해서 분사된 연료는 선회하게 되고(와류 작용), 이에 따라서 연소실(4)에서 균일하게 분포된다. 이어서 연료/공기 혼합물은 점화플러그(9)에 의해 점화되기 위해서 압축행정동안에 압축된다. 점화된 연료의 팽창을 통해서 피스톤(2)이 구동된다.
호모겐 운전에서와 마찬가지로 층운전에서도 구동된 피스톤에 의해서 크랭크샤프트(4)가 회전운동을 실행하게 되고, 이 회전운동으로 마지막으로 자동차의 휠이 최종 구동된다. 크랭크샤프트(14)는 회전수 센서(15)와 서로 대응되고, 이 회전수 센서는 크랭크샤프트(14)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신호(N)를 발생시킨다.
층운전과 호모겐 운전에 이어서 연료분사장치에 의해서 연소실(4)에 분사되는 연료량은 제어장치(16)에 의해서 특히 작은 연료소비와 작은 배기가스 발생을 지향하는 제어 또는 조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제어장치(1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저장매체로서 특히 판독-전용-메모리로서 상기 조정과 제어를 실행하기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제어장치(16)는 입력신호로 작동되는데, 이때의 입력신호는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내연기관의 운전인수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서 제어장치(16)는 공기센서(10), 람다센서(11) 그리고 회전수 센서(15)와 연결되어 있다. 더나아가서 제어장치(16)는 운전페달센서(17)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의 운전페달센서(17)는 운전자에 의해서 작동되는 운전페달에 의해서 제공되는 신호(FP)를 발생한다. 제어장치(16)는 출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로 엑츄에이터를 통해서 제어와 조정에 의해 내연기관의 작동이 영향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서 제어장치(16)는 연료분사장치(8), 점화플러그(9) 그리고 드로틀밸브(12)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를 위해 필요한 신호(TI, ZW, DK)를 발생시킨다.
제어장치(16)로 부터 도2, 3에 따라서 기술된 방법은 층운전을 호모겐운전으로 변환운전을 실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블록은 동시에 방법상의 기능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의 기능은 예를 들어서 소프트 웨어모듈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제어장치(16)에 의해 실현된다.
도 2에서 블록(21)에서는 내연기관(1)이 정상 층운전상태로 부터 시작된다. 블록(22)에서는 이어서 예를 들어서 운전자에 의해서 원하는 자동차의 가속때문에 하나의 과정이 호모겐 운전을 요구한다. 요구되는 호모겐운전의 시간포인트는 도 3으로 부터 알 수 있다.
이어서 블록(23, 24)를 이용해서 감쇠장치가 이루어지는데, 감쇠장치로 층운전과 호모겐운전 사이의 서로 왕복접속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만약에 호모겐운전이 해제되고, 이어서 층운전에서 호모겐 운전으로 변화되는 과정이 블록(25)에 의해서 시작된다. 변환과정이 시작되는 시간포인트는 도 3에서 참조표시(40)로 지시되어 있다.
상기의 시간포인트(40)에서는 드로틀 밸브(12)가 블록(26)을 이용해서 완전히 열린상태(wdksch)의 층운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리거나, 또는 닫힌 상태(wdkhom)의 호모겐 운전으로 제어된다. 호모겐 운전에서의 드로틀 밸브(12)의 회전위치는 이상상태의 연료/공기-혼합물로, 즉 λ= 1을 지향하며, 또한 예를 들어 요구되는 내연기관(1)의 모멘트와 회전수(N)에 의존한다.
드로틀 밸브(12)의 조정을 통해서 내연기관(1)은 정상상태의 층운전에서 과도상태의 층운전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운전상태에서 연소실(4)로 주입된 공기량의 충전(rlsch)은 층운전동안에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3에서 알 수 있다. 연료실(4)로 주입되는 공기량(rl) 또는 이의 충전은 공기량센서(10)에 의해서 또는 공기량센서(10)의 신호(LM)로 부터 얻어진다. 블록(27)에 따라서 내연기관(1)은 층운전에서 운전된다.
도 2의 블록(28)에서는 연소실(4)에 주입된 공기량이 어떤 결정값에 도달하였는지를 시험하게 되거나, 아니면 충전(rl)이 호모겐 운전의 최대 공기량 또는 최대 충전(rlmaxhom) 보다 작아졌는지를 시험하게 된다. 즉 rl <rlmaxhom 인지를 시험하게 된다. 충전(rlmaxhom)은 내연기관(1)에 의해서 제공된 모멘트가 λ = 1에서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만약 rl<rlmaxhom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순차회로에서 블록(26)에 의해 계속해서 대기 상태가 된다. 상기의 경우는 도 3에서 참조번호(41)로 지시된 시간포인트에 있게 되고, 이 시간 포인트에서 과도상태의 층운전에서 과도상태의 호모겐 운전으로 변환된다. 도 2에 따라서 변환은 블록(29)에서 시행된다. 연료/공기 혼합물은 더나아가서 λ = 1로 유지된다.
블록(30)에 따라서 호모겐 운전에서 연소실(4)로 분사되는 연료량(rk)은 연료실로 주입된 연료량(rl)에 따라서 제어되고 또한 조정되어, 이상적인 공기/혼합물이 이루어지고 λ = 1로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영향을 받는 연료량(rk)은 어떠한 확정된 시간동안에 적어도 내연기관에 의해 발생된 모멘트(Md)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증가는 시간 포인트(41)에서, 즉 호모겐 운전으로 변환되는 곳에서의 점화각도(ZW)는 값(zwsch)을 근거로 조정되어 상쇄되고, 출력된 모멘트(Md)가 값(mdsoll)을 가지며, 그리고 이에 따라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것은 도 2에서 블록(30)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 블록(30)에서는 연료량(rk)이 연료실(4)에 주입한 연료량(rl)로 부터 이상적인 연료/공기혼합물에 기인하여 얻어지게 된다. 더나아가서 점화각도(ZW)는 출력된 모멘트(mdsoll)에 따라서 지연조정으로 조정된다. 지연조정으로 인해서 호모겐 운전과의 어떤 정확한 편차가 발생하며, 이 편차를 이용해서 일시적으로 너무 많은 공기량과 이에 따라 내연기관(1)의 증가 모멘트를 상쇄시킨다.
블록(31)에서는 연소실(4)에 주입된 공기량(rl)이 결국 이상적인 연료/공기 혼합물의 정상상태 호모겐 운전에 속하게 되는 충전으로 각각 감소되었는지를 시험하게 된다. 만약에 감소하지 않았다면, 순차회로에서 블록(30)에 의해 계속 대기상태가 된다. 그러나 감소되었다면 내연기관(1)은 점화각도의 지연조정할 필요없이 정상상태의 호모겐 운전으로 블록(32)에 의해 계속 진행된다. 이때의 경우가 도 3에서참고표시(42)로 경우의 시간포인트가 지시되어 있다.
이러한 정상상태의 호모겐 운전에 있어서 연소실(4)로 주입된 호모겐 운전을 위한 공기량의 충전(rlhom)과 점화플러그(9)의 점화각도(zwhom)는 호모겐 운전의 각각의 상태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서 드로틀 밸브(12)의 회전위치(wdkhom)가 유효하게 된다.
도 4에서는 호모겐 운전에서 층운전으로의 변환을 나타내고 있다. 동시에 정상상태의 호모겐 운전에서 시작해서 예를 들어서 내연기관(1)이 운전인수 때문에 정상상태의 층운전으로 변환되어야 한다.
층운전으로의 변환은 제어장치(16)에 의해서 호모겐운전의 요구가 해제되므로써 유도된다. 감쇠작용 후에 변환은 층운전으로 작동되고, 또한 드로틀 밸브(12)는 층운전을 위한 각각의 회전위치로 제어된다. 동시에 드로틀 밸브(12)가 계속해서 열리게 되는 회전위치를 다루게 된다. 이러한 회전위치는 값(wdkhom)의 상태에서 값(wdksch) 상태로 가는 과도상태를 도 4에서 나타내고 있다.
드로틀 밸브(12)의 열림은 연소실(4)에 주입된 공기량(rl)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증가는 도 4에서 값(rlhom)의 진행으로 부터 이루어진다. 만약 공기량(rl)이 층운전(rlminsch)을 위한 최소값을 초과하면, 호모겐 운전에서 층운전으로 변환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가 바로 도 4에서 시간포인트(43)의 경우이다.
층운전에서 변환되기전에 연소실로 주입되는 공기량의 증가는 분사된 공기량(rk)을 증가시키고, 점화각도(ZW)가 지연 조정되므로서 상쇄된다. 이러한 상쇄작용은 도 4에서 값(rkhom)과 값(zwhom)의 진행과정에서 나타나 있다.
층운전으로 변환된 후에는 분사 연료량(rk)은 층운전을 위한 값(rksch)으로 조정된다. 이는 점화각도(ZW)에 대해서 유효하며, 이때의 점화각도(ZW)는 층운전을 위한 값(zwsch)으로 조정된다.

Claims (13)

  1. 자동차에 있어서 연료는 압축행정동안의 제1 운전방법으로, 또는 흡입행정동안의 제2 운전방법으로 연소실(4)에 직접 분사되며, 이와 동시에 연소실(4)에 주입된 공기량(rl)이 얻어지며, 또한 연소실(4)로 분사된 연료량이 두 운전방법으로 서로 다르게 제어 또는 조정되는 자동차의 내연기관(1)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연소실(4)로 주입된 공기량(rl)에 따라서 제1 운전방법과 제2 운전방법 사이에서 변환(41, 43)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4)로 주입된 공기량(rl)이 호모겐 운전을 위한 최대 공기량(rlmaxhom)을 초과(28)하게 되면 제1 운전방법에서 제2 운전방법으로 변환(41)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4)로의 주입되는 공기량(rl)이 제2 운전방법으로 변환(41)되기 전에 감소(26)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운전방법에서 주입된 연료/공기 혼합물이 설정된 이상적인 값(λ = 1)으로 조정되고, 제어되는(30)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된 연료량(rk)을 제2 운전방법으로 변환(41)된 후에 주입된 공기량(rl)으로 부터 얻는(30)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점화각도(ZW)가 제2 운전방법으로 변환(41)된 후에 요구되는 모멘트(mdsoll)로 부터 얻는(30)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각도(ZW)가 지연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4)로 주입된 공기량(rl)은 층운전을 위한 최소 공기량(rlminsch)을 초과하였을 경우 제2 운전방법에서 제1 운전방법으로 변환(43)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4)로 주입된 공기량(rl)은 제 1 운전방법으로 변환(43)되기 전에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된 연료량(rk)은 제 1 운전방법으로 변환(43)되기 전에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각도(ZW)는 제1 운전방법으로 변환(43)되기 전에 지연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내연기관(1)의 제어장치(16)를 위한 제어요소, 특히 판독-전용-메모리(ROM)와 같은 제어요소에 있어서,
    상기 제어요소에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이 프로그램은 연산장치, 특히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진행되고, 또한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요소.
  13. 연료가 압축행정동안에 제1 운전방법으로, 또는 흡입행정동안에는 제2 운전방법으로 직접 연소실(4)로 분사시키는 연료분사장치(8)와 연소실(4)로 주입하는 공기량(rl)을 얻기 위해서, 그리고 두 운전방법으로 연소실(4)에 분사되는 연료량의 서로 다른 제어 및 조정을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한 자동차용 내연기관(1)에 있어서,
    제어장치(16)에 의해 연소실(4)로 주입되는 공기량(rl)에 따라서 제1 운전방법과 제2 운전방법 사이에서 변환(41, 43)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KR1019997009775A 1998-03-26 1999-03-22 자동차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KR100616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13381.2 1998-03-26
DE19813381A DE19813381A1 (de) 1998-03-26 1998-03-26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
PCT/DE1999/000822 WO1999049197A1 (de) 1998-03-26 1999-03-22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197A true KR20010020197A (ko) 2001-03-15
KR100616269B1 KR100616269B1 (ko) 2006-08-28

Family

ID=7862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775A KR100616269B1 (ko) 1998-03-26 1999-03-22 자동차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40895B1 (ko)
EP (1) EP0995025B1 (ko)
JP (1) JP2002500722A (ko)
KR (1) KR100616269B1 (ko)
DE (2) DE19813381A1 (ko)
WO (1) WO19990491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7974A (ko) * 2013-07-12 2015-01-2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복수의 실린더를 구비한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63918A1 (en) 1998-06-11 1999-12-16 Eallan Hirshfeld An earplug
US6662776B1 (en) * 1999-04-13 2003-12-16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9928825C2 (de) * 1999-06-24 2003-10-09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Steuergerät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sowie Brennkraftmaschin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SE521717C2 (sv) * 1999-07-05 2003-12-02 Volvo Personvagnar Ab Förfarande för styrning av förbränningsmotor, samt arrangemang för sådant förfarande
JP3552609B2 (ja) * 1999-09-30 2004-08-11 マツダ株式会社 火花点火式直噴エンジンの制御装置
DE10191818B3 (de) 2000-05-08 2013-01-10 Cummins, Inc. Verbrennungsmotor betreibbar im PCCI-Modus mit Nachzündungseinspritzung und Betriebsverfahren
US7367180B2 (en) * 2004-03-05 2008-05-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alve timing of an engine with cylinder deactivation
US7021046B2 (en) * 2004-03-05 2006-04-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gine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emission control device purging
US7159387B2 (en) 2004-03-05 2007-01-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mission control device
US6957640B1 (en) * 2004-06-23 2005-10-25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Strategy for fueling a diesel engine by selective use of fueling maps to provide HCCI+RVT, HCCI+VVT, and CD+RVT combustion modes
CA2570752A1 (en) * 2004-06-23 2006-01-26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Strategy for fueling a diesel engine by selective use of fueling maps to extend range of hcci combustion
DE102005012943A1 (de) 2005-03-21 2006-09-2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2005022691A1 (de) * 2005-05-18 2006-11-2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JP6041051B2 (ja) * 2013-05-24 2016-12-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787B2 (ja) 1991-06-10 2001-07-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供給燃料制御装置
DE19612150A1 (de) * 1996-03-27 1997-10-02 Bosch Gmbh Robert Steuereinrichtung für eine Benzin-Brennkraftmaschine mit Direkteinspritzung
DE19631986A1 (de) * 1996-08-08 1998-02-12 Bosch Gmbh Robert Steuereinrichtung für eine direkteinspritzende Benzinbrennkraftmaschine
JP3175601B2 (ja) 1996-08-26 2001-06-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希薄燃焼エンジンの吸気量制御装置
SE522177C2 (sv) * 1996-08-27 2004-01-20 Mitsubishi Motors Corp Styranordning för en förbränningsmotor med cylinderinsprutning och gnisttändning
JP3237553B2 (ja) 1996-12-18 2001-1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焼制御装置
JP3680491B2 (ja) 1997-06-02 2005-08-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3680492B2 (ja) * 1997-06-03 2005-08-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H10339215A (ja) * 1997-06-09 1998-12-22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のegr制御装置
JP3680500B2 (ja) * 1997-07-02 2005-08-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0317157B1 (ko) * 1997-07-04 2002-02-19 하나와 요시카즈 내연기관용제어시스템
JP3508481B2 (ja) * 1997-07-08 2004-03-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7974A (ko) * 2013-07-12 2015-01-2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복수의 실린더를 구비한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49197A1 (de) 1999-09-30
US6240895B1 (en) 2001-06-05
EP0995025A1 (de) 2000-04-26
JP2002500722A (ja) 2002-01-08
DE59906342D1 (de) 2003-08-28
KR100616269B1 (ko) 2006-08-28
DE19813381A1 (de) 1999-10-07
EP0995025B1 (de) 200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8029B2 (ja) 内燃機関例えば自動車の内燃機関の作動システム
US6971367B2 (en) Fuel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engine
US600671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negative pressure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1997013063A1 (fr) Dispositif de commande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US609511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negative pressure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10020197A (ko) 자동차 내연기관의 작동을 위한 방법
US200700624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00163006A1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apparatus
JP2002089324A (ja) 筒内噴射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US20030226528A1 (en) Compression igni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216664B1 (en) Method for star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460508B1 (en) Method of operatio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386174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505602B1 (en) Method of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508227B2 (en) Method of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625974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064729B2 (ja) 内燃機関の空気量算出装置
US6698189B1 (en) Method for operatio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474293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013862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20072567A (ko) 엔진 작동 방법
JP4488459B2 (ja) 内燃機関の作動方法
CN106460690B (zh) 用于内燃机的控制装置
US6394065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475686B2 (ja) とくに自動車の内燃機関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