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0191A - 개폐형 빨대 - Google Patents

개폐형 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0191A
KR20010040191A KR1020000063442A KR20000063442A KR20010040191A KR 20010040191 A KR20010040191 A KR 20010040191A KR 1020000063442 A KR1020000063442 A KR 1020000063442A KR 20000063442 A KR20000063442 A KR 20000063442A KR 20010040191 A KR20010040191 A KR 20010040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cap
hole
counter
engagement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6961B1 (ko
Inventor
빌트한스페터
Original Assignee
아민 베링거
도이취시시-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베트리브스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민 베링거, 도이취시시-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베트리브스 카게 filed Critical 아민 베링거
Publication of KR20010040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9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5Mouthpiec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트-형 밀폐 캡이 밀폐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빨대 단부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고, 내부 캡 기저부가 빨대 구멍에 대한 밀폐 요소로서 디자인되어 있으며, 캡 벽이 열린 위치에서 상기 빨대 구멍과 유체 소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통로 구멍을 포함하는 유연성 또는 반-유연성 음료 용기용 개폐형 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폐형 빨대{Reclosable drinking straw}
본 발명은 개폐형 빨대, 특히 유연성 또는 반유연성 음료 용기용 개폐형 빨대에 관한 것이다.
DE-A-195 25 620호에는 판지 포장용 관형 연결 슬리브 형태의 오프너(opener)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오프너는 액체용 내부 통로와 제거 가능한 밀폐 캡이 부착된 자유 단부를 포함한다. 빨대 단부와 빨대 구멍을 가진 빨대가 오프너의 통로내로 삽입될 수 있다. 빨대는 밀폐 캡에 의해 간접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즉, 대부분의 음료 용기 또는 음료 판지 포장에 있어서 절대적으로는 필요하지 않은 기술적으로 제조하기 어려운 오프너가 밀폐 기능을 위해 필수적이다. 이러한 구조는 기술적으로 난점이 있으며, 비용이 많이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방법이 기술적으로 단순하고, 값싸고 다루기 용이한 개폐형 빨대, 특히 유연성 또는 반-유연성 음료 용기용 개폐형 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개폐형 빨대의 제1 실시예, 즉 상반부가 밀폐된 위치에 있고, 하반부가 열린 위치에 있는 개폐형 빨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대한 양 단부 위치에서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대한 양 단부 위치에서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대한 양 단부 위치에서의 수직 단면도이다.
상기 목적은 포트-형 밀폐 캡(K)이 밀폐 위치(A)와 열린 위치(B)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빨대 단부(2)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고, 내부 캡 기저부(5)가 빨대 구멍(3)에 대한 밀폐 요소로서 디자인되어 있으며, 캡 벽(6)이 열린 위치(B)에서 상기 빨대 구멍(3)과 유체 소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통로 구멍(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또는 반-유연성 음료 용기용 개폐형 빨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음료 용기 또는 판지 표장에 연결되지 않으면서 빨대의 단부에 직접 장착될 수 있는 밀폐 캡은 2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한편으로는 빨대를 열린 상태에 있거나 밀폐시키며, 다른 한편으로는 각각 따르는 장치 또는 마실 때의 출입구를 구성하기 때문이다. 밀폐 캡은 빨대의 단부에 부착되면 손실될 염려가 없으며 다루기에 간편한데, 이는 빨대 출입구를 폐쇄하거나, 따르거나 마시는 것이 가능하도록 축방향으로 앞뒤로만 이동하기 때문이다. 음료 용기로부터 밀폐 캡의 거리는 따르거나 마실 수 있도록 빨대를 안으로 밀거나 밖으로 잡아 당기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밀폐 캡은 언제든지 빨대의 단부로부터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빨대 역시 아무런 문제없이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냅 연결구가 밀폐 캡과 빨대 단부 사이에 제공되어 밀폐 캡의 상대적 위치를 한정하고, 또한 상기 위치를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밀폐 캡의 단부 위치 모두 스냅 연결구들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폐 위치에서 캡의 바닥이 밀폐 기능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빨대의 출입구가 캡의 바닥 영역 내도 밀봉될 수 있도록, 밀폐 캡의 기저부에 인접한 캡의 내경은 빨대의 출입구 외경과 꼭 들어 맞을 수 있다. 내부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신뢰할 수 있는 밀폐 기능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빨대의 단부에서 밀폐 캡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하여, 두개의 대(counter) 맞물림 요소와 하나의 맞물림 요소 또는 두개의 맞물림 요소와 하나의 대 맞물림 요소가 전부 또는 택일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는데,
도 1은 개폐형 빨대의 제1 실시예, 즉 상반부가 밀폐된 위치에 있고, 하반부가 열린 위치에 있는 개폐형 빨대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대한 양 단부 위치에서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대한 양 단부 위치에서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대한 양 단부 위치에서의 수직 단면도이다.
개폐형 빨대(T)는 관형 빨대(1),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진 관형 빨대와, 빨대 단부(2)상에 끼워진 포트-형 밀폐 캡(K)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빨대의 한쪽 단부(2)상에는 빨대 구멍(3)의 전면에 축간 거리를 두고 외부 환형 비드(bead)(4)의 형태로 맞물림 요소(E)가 성형되어 있다.
밀폐 캡(K)은 선택적으로 내부로 휘어진 내부 밀폐 캡 바닥(12)를 구비하는 밀폐된 기저부(5)를 가진다(도 2). 도 1에 있어서, 빨대 구멍(3)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는 내경을 가진 밀폐 캡(K)의 내벽의 영역(9)이 기저부(5)에 선행한다. 기저부(5)로부터 멀리 떨어진 밀폐 캡(K)의 내벽(11)은 빨대 구멍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디자인된다. 밀폐 캡(K)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캡 벽(6)은 주변에 분포된 통로 구멍(7)을, 즉 연장된 홀의 형태로 포함한다. 기저부(5)로부터 멀리 떨어진 밀폐 캡(K)의 단부에서, 빨대 단부(2)의 외주상에 형성된 대-맞물림 요소(G)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가는 슬라이드 피트(slight slide fit)로, 미끄러질 수 있는 내부로 돌출된 환형 비드 또는 칼라(8)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밀폐 캡(K)의 영역(9)은 외부로부터 안쪽으로 눌려진 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기저부(5)와 대-맞물림 요소(G) 사이의 축간 거리는 빨대 구멍(3)과 맞물림 요소(E) 사이의 축간 거리보다 크다.
도 1에 의하면, 상반부, 밀폐 캡(K)은 먼저 대-맞물림 요소(8)가 맞물림 요소(E) 넘어로 미끄러질 때까지 빨대 단부(2) 위로 나아가게 되는데, 이것은 빨대(1)의 탄성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밀폐 캡(K)의 탄성에 의해 보장된다. 이어서, 도 1의 밀폐 캡이 좌측으로 더 움직일 때, 빨대 구멍(3)은 최종적으로 캡 바닥(12)상에 머무를 때까지 부분(9)내로 들어올 것이다. 비록 통로 구멍(7)이 외부에서는 영구적으로 열려있을지라도, 현재 빨대(1)는 밀폐되어 있다.
따르거나 마시는 목적을 위하여, 밀폐 캡(K)은 빨대 구멍(3)이 부분(9)로부터 빠져 나오고 최종적으로 대-맞물림 요소(G)가 맞물림 요소(E)상에서 맞물리면서 도 1의 상반부 밀폐 위치(A)로부터 도 1의 하반부 열린 위치(B)내로 축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더우기, 맞물림 요소(E)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비드(5)이다. 열린 위치(B)에서, 흐름 연결부는 빨대 구멍(3)과 통로 구멍(7) 사이에 존재하여 빨대(1)를 통해 액체를 따르거나 마실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할 때 밀폐 캡(K)의 부분(9)는 이 실시예에서도 구비될 수 있지만 생략되어 있다. 대조적으로, 대-맞물림 요소(G)에 더하여 밀폐 캡(K)은 적어도 하나의 대-맞물림 요소(G)를 캡 단부의 내벽으로 통로 구멍(7)의 반대 면에 환형 비드의 형태로 더 포함한다.
도 2의 상반부에 도시된 밀폐 위치(A)에 있어서, 밀폐 캡(K)의 중앙 대-맞물림 요소(G)는 빨대(1)의 맞물림 요소(E)와 포지티브(positive) 또는 넌-포지티브(non-positive)로 맞물려 있어서 캡 바닥(12)이 빨대 구멍(3)을 눌러 구멍이 밀폐된다. 나머지 대-맞물림 요소(G)는 예를 들어, 빨대(1)상의 밀폐 캡의 적절한 정렬을 보장한다.
도 2의 하반부에 도시된 열린 위치(B)에 있어서, 밀폐 캡(K)의 후면 대-맞물림 요소(G)는 빨대(1)의 맞물림 요소(E)를 뒤에서 잡고, 캡 바닥(12)은 빨대 구멍(3)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적어도 밀폐 위치(A)는 포지티브 및/또는 넌-포지티브로서 한정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대조적으로, 어느 정도가 적합한 열린 위치인지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적합한 열린 위치(B) 또는 어떠한 열린 위치는 고정 연결부에 의해 한정되될 필요는 없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밀폐 캡(K)이 단지 대-맞물림 요소(G)를 단부 면에 내부 비드(8)의 형태로 포함할지라도, 각각 외부 환형 비드(4)의 형태를 가지며, 축방향으로 떨어진 2개의 맞물림 요소(E)가 빨대(1)상에 성형된다. 밀폐 위치(A)와 최대 열린 위치(B)가 명확하게 한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선된 방법으로 빨대 구멍(3)을 밀폐할 수 있도록 밀폐 캡(K)에 협착부(9)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빨대(1)의 맞물림 요소(E)는 내부 환형 비드(8)로서 형성된 밀폐 캡(K)의 대-맞물림 요소가 최대 열린 위치(B)를 한정하도록 잠길 수 있는 서라운딩 그루브(surrounding groove)(15)이다. 밀폐 위치(A)에 있어서, 대-맞물림 요소(G)는 빨대(1)의 외부 주변을 임의적으로 변형시켜 한편으로는 빨대의 단부에 대하여 밀폐 캡(K)의 만족할 수 있는 정열을 확보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빨대 단부에서 협착부(9)의 붙잡는 효과를 보조할 수 있다.
도 3과 유사하게, 제2 맞물림 요소(E)는 도 4에서도 환형 그루브(15)의 형태로 빨대 단부내에 형성될 수 있다.
빨대(T)는 이미 밀폐 캡이 장착된 형태로 음료 용기에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밀폐 캡이 부착된 빨대는 보편적인 방법으로 음료 용기에 부착될 수 있다. 일단 밀폐 캡이 빨대의 단부상에 장착된 후에는 빨대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일정 정도 음료 용기내로 넣어지거나 음료 용기 밖으로 잡아 당겨진다. 빨대가 음료 용기내로 의도하지 않게 완전히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착된 밀폐 캡은 부가적으로 안전 기능도 갖는다. 빨대가 병에 사용되는 경우에, 부착된 밀폐 캡은 외부로 돌출된 가장자리가 병의 구멍에 놓여있게 되어 병의 구멍상에 놓인 빨대 단부가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개폐형 빨대, 특히 유연성 또는 반-유연성 음료 용기용 개폐형 빨대는 제조방법이 기술적으로 단순하고, 값싸고 다루기 용이하다.

Claims (8)

  1. 유연성 또는 반-유연성 음료 용기용 개폐형 빨대에 있어서,
    포트-형 밀폐 캡(K)이 밀폐 위치(A)와 열린 위치(B)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빨대 단부(2)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고,
    내부 캡 기저부(5)가 빨대 구멍(3)에 대한 밀폐 요소로서 디자인되어 있으며,
    캡 벽(6)이 열린 위치(B)에서 상기 빨대 구멍(3)과 유체 소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통로 구멍(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포지티브 또는 넌-포지티브 고정 연결구 내로 들어올 수 있는 맞물림 및 대-맞물림 요소(E, G)가 상기 빨대 단부(2)상에, 그리고 밀폐 캡(K)내에 제공되어, 밀폐 캡(K)이 상기 빨대 단부(2)상에 적절한 위치를 확보하도록 하고 미끄러질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하며, 열린 위치 및 밀폐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열린 위치(B)와 밀페 위치(A)가 맞물림 및 대-맞물림 요소(E, G)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 기저부(5)에서, 바람직하게는 캡 바닥(12)의 인접 부분에서만, 상기 밀폐 캡의 내경이 빨대 구멍(3)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빨대.
  5. 제 2항에 있어서,
    대-맞물림 요소(G)가 밀폐 캡(K)에서 공동 내부와 캡 바닥(12)로부터 멀리 떨어진 통로 구멍(7)의 측면에 제공되며,
    맞물림 요소(E)가 빨대 구멍(3)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빨대 단부(2)의 외부에 제공되고, 상기 거리가 대-맞물림 요소(G)와 밀폐 캡 바닥(12) 사이의 축간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빨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대-맞물림 요소(G)가 밀폐 캡(K)의 공동(caity)벽상의 내부 환형 비드(8)이고, 각각의 맞물림 요소(E)가 빨대 단부(2)의 외부 환형 비드(4,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빨대.
  7. 제 2항에 있어서,
    밀폐 캡(K)이 축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내부 환형 비드(8, 13)를 가지며, 빨대 단부(2)가 외부 환형 비드(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빨대.
  8. 제 2항에 있어서,
    밀폐 캡(K)이 내부 환형 비드(8)를 가지며, 빨대 단부(2)가 축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외부 환형 비드(4, 1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빨대.
KR10-2000-0063442A 1999-10-29 2000-10-27 개폐형 빨대 KR100416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919069.2 1999-10-29
DE29919069U DE29919069U1 (de) 1999-10-29 1999-10-29 Wiederverschließbarer Trinkha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191A true KR20010040191A (ko) 2001-05-15
KR100416961B1 KR100416961B1 (ko) 2004-02-05

Family

ID=808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442A KR100416961B1 (ko) 1999-10-29 2000-10-27 개폐형 빨대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371329B1 (ko)
EP (1) EP1095600B1 (ko)
JP (1) JP2001178608A (ko)
KR (1) KR100416961B1 (ko)
CN (1) CN1192947C (ko)
AT (1) ATE257353T1 (ko)
DE (2) DE29919069U1 (ko)
DK (1) DK1095600T3 (ko)
ES (1) ES2213531T3 (ko)
HK (1) HK1036440A1 (ko)
ID (1) ID27952A (ko)
MX (1) MXPA00010531A (ko)
PT (1) PT1095600E (ko)
SA (1) SA01210647B1 (ko)
TW (1) TW5555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1924B2 (ja) * 2000-03-29 2006-02-01 株式会社まめいた 吸口付きストロ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71323Y1 (ko) * 2001-11-20 2002-04-10 강대윤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US20040069203A1 (en) * 2002-10-11 2004-04-15 Timothy Fleming Foam and inflatable collar assemblies for watercraft
GB0310947D0 (en) * 2003-05-13 2003-06-18 Maher Stephen A retractable straw device
US7845288B2 (en) 2003-07-08 2010-12-07 National Steel Car Limited Rail road car truck and members thereof
US7823513B2 (en) 2003-07-08 2010-11-02 National Steel Car Limited Rail road car truck
DE202004013809U1 (de) * 2004-09-02 2006-01-05 Rönn, Thomas von Verschließbarer Trinkbehälter
DE102005028059B4 (de) * 2005-06-16 2009-05-07 Tomalla, Jutta Wiederverschließbarer Trinkhalm
US7708035B2 (en) 2005-11-21 2010-05-04 David Mitchell Windmiller Bottom fillable bottles and systems for charging the same
AT501908B1 (de) * 2006-04-03 2006-12-15 Wiplinger Michael Ing Vorrichtung zur entnahme von flüssigkeit mit einem trinkschlauch
AU2010244987A1 (en) 2009-05-05 2011-11-24 Christiaan Mattheus Cap for a drinking straw
USD671359S1 (en) 2011-11-16 2012-11-27 David Windmiller Top lid assembly for bottle
DE102012005393A1 (de) 2012-03-09 2013-09-12 Birgit-Herta Renges Doppel-/ Dreifach-/ Mehrfach-Trinkhalm (bzw. Duo-/ Trippel-/ Multi-Trinkhalm)
WO2015155592A1 (en) 2014-04-10 2015-10-15 Christiaan Mattheus Cap for a drinking straw
US20160100703A1 (en) * 2014-10-13 2016-04-14 Todd A. Fenner Universal threaded bottle cap and straw
CN105173315B (zh) * 2015-09-22 2017-05-03 于卫华 免插管自然流套管吸嘴饮料包装盒
KR101883945B1 (ko) * 2017-12-28 2018-07-3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트로가 구비된 텀블러
US11266257B1 (en) 2019-04-23 2022-03-08 Cathy Reid Straw cover
CN111317329A (zh) * 2020-02-28 2020-06-23 南宁学院 一种多功能吸管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7918A (en) 1957-05-06 1959-03-17 Leonal P Gardner Snap cap for bottles
GB2067979B (en) 1980-01-28 1984-06-27 Funke L F Dripless closure
USD318427S (en) * 1989-08-22 1991-07-23 Pop Top of Albert Lea, Inc. Combined beverage can top and straw
USD324824S (en) * 1989-12-26 1992-03-24 Sip Top Marketing, Inc. Combined vented closure and capped straw
USD327848S (en) * 1990-06-06 1992-07-14 Hanover Matthew S Combined closure cap and straw
US5048709A (en) 1990-09-12 1991-09-17 Alverson Robert M Straw-containing cover attachment and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US5328069A (en) * 1991-05-06 1994-07-12 Bahram Cohanfard Versatile beverage container cover
US5462194A (en) 1995-01-11 1995-10-31 Candea Inc. Self-venting straw tip
DE19525620A1 (de) 1995-07-16 1997-01-23 Ahrens Hans Joachim Öffner und Verschluß für Pappverpack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78608A (ja) 2001-07-03
CN1295012A (zh) 2001-05-16
US6371329B1 (en) 2002-04-16
ATE257353T1 (de) 2004-01-15
CN1192947C (zh) 2005-03-16
DE29919069U1 (de) 2001-03-08
DE50004972D1 (de) 2004-02-12
EP1095600A1 (de) 2001-05-02
KR100416961B1 (ko) 2004-02-05
EP1095600B1 (de) 2004-01-07
TW555538B (en) 2003-10-01
ES2213531T3 (es) 2004-09-01
MXPA00010531A (es) 2002-04-24
ID27952A (id) 2001-05-03
SA01210647B1 (ar) 2006-11-25
PT1095600E (pt) 2004-05-31
HK1036440A1 (en) 2003-07-10
DK1095600T3 (da) 2004-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6961B1 (ko) 개폐형 빨대
US4795065A (en) Spout for packaging containers
EP3083443B1 (en) Lid having collapsible straw for bottle
HUP0303572A2 (hu) Flexibilis műanyag záróelem, főként palackokhoz
US20060043052A1 (en) Bottle closure
US6550647B1 (en) Blown multi-chambered plastic bottle and closure therefor
US20010035389A1 (en) Snap top, easy pouring dispensing cap
WO2004009455A3 (en) Beverage closure with open/close spout
CA2314790A1 (en) Dispenser package for fluent product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1884459B2 (en) Spouted pouch and a closure assembly
US20070187410A1 (en) Hygienic beverage can lid
US5865354A (en) Easy open dispensing cap
JPH08324612A (ja) 液体収納容器
JP3298470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7214315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3895509B2 (ja) チューブ容器
JP3587698B2 (ja) 液体容器用キャップユニット
JP2012012048A (ja) 注出栓及びその注出栓の打栓、装着方法
KR200292087Y1 (ko) 맥주캔
KR100577728B1 (ko) 일체형 3중 실링캡
JP4926569B2 (ja) 注出栓
JP2022055008A (ja) プラスチック成形体
KR200273095Y1 (ko) 포장용기용 캡
JP5680891B2 (ja) ボトル容器
JP2001206420A (ja) ヒンジ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