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8040A - 광픽업 조립체 - Google Patents

광픽업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8040A
KR20010038040A KR1019990045846A KR19990045846A KR20010038040A KR 20010038040 A KR20010038040 A KR 20010038040A KR 1019990045846 A KR1019990045846 A KR 1019990045846A KR 19990045846 A KR19990045846 A KR 19990045846A KR 20010038040 A KR20010038040 A KR 20010038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ive lens
bobbin
coil
til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6102B1 (ko
Inventor
김석중
이용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45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102B1/ko
Publication of KR20010038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1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7Arrangements for mechanically moving the whole head
    • G11B7/08582Sled-type positioners
    • G11B7/08588Sled-type positioners with position sensing by means of an auxiliary system using an external sca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tilt, skew, warp or inclination of the disc, i.e. maintain the optical axis at right angles to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개시된 광픽업 조립체는, 대물렌즈가 탑재되는 보빈과; 이 보빈을 베이스에 설치된 홀더에 대해 탄력적으로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지지재와; 보빈에 설치되어 대물렌즈의 포커스 및 트래킹방향의 구동을 위한 통전경로를 형성하는 포커스코일 및 트래킹코일과; 보빈에 설치되어 대물렌즈의 틸트 구동을 위한 통전경로를 형성하는 틸트코일과; 포커스코일 및 트래킹코일을 흐르는 전류와 함께 대물렌즈를 구동시키는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1자석 및 제1요오크와; 틸트코일을 흐르는 전류와 함께 대물렌즈를 구동시키는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2자석 및 제2요오크와; 디스크에 대한 대물렌즈의 상대적인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검출센서;를 포함하며, 탄성지지재는, 일단이 홀더에 고정되고 타단이 보빈에 고정되며 그 중간부가 지그재그 식으로 절곡된 복수의 와이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틸트제어를 위한 구조를 간결하게 구성하고 있어서 장치의 슬림화, 경량화에 유리하며, 또한 틸트동작시의 진동주파수가 감소되어 제어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픽업 조립체{Optical pickup assembly}
본 발명은 광픽업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물렌즈의 틸트제어를 위한 구조가 개선된 광픽업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P(compact disk player)나 DVDP(digital versatile disk player)와 같이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에는, 디스크의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디스크에 광을 조사하고 그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며 정보를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광픽업 조립체가 구비되어 있다. 이 광픽업 조립체에는 통상 대물렌즈를 포함한 광학계가 탑재된 보빈을 포커싱 방향과 트래킹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를 통해 출사된 광이 디스크의 정확한 위치에 입사되도록 각각 포커싱 및 트래킹 제어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러한 포커싱 및 트래킹 제어에 더하여 틸트제어 까지 수행할 수 있는 구조의 광픽업 조립체가 요구되고 있다. 이 틸트제어는, 예컨대 디스크의 평탄도가 불량하여 기울어져 있을 경우 광픽업 조립체도 그에 맞춰서 평행해지도록 기울여줌으로써 광이 디스크에 수직 입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이와 같은 틸트제어기구를 구비한 광픽업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틸트제어기구는, 대물렌즈(11)를 포함한 광픽업 조립체(10) 전체를 베이스(20)의 회동축(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디스크(1)의 기울어진 정도를 센서(12)(13)로 측정한 후 그에 상응하는 기울기만큼 틸트모터(30)를 구동하여 광픽업 조립체(10) 전체를 기울이는 방식이었다. 참조부호 40은 베이스(20)를 디스크(1) 반경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피딩모터를 나타낸다. 그런데 이와 같이 틸트제어기구를 구성하게 되면, 광픽업 조립체(10) 전체를 회동할 수 있게 설치하고, 그 광픽업 조립체(10) 외측에 별도의 틸트모터(30)를 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장치가 상당히 커지게 되며 구조도 복잡해지게 된다. 이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를 추구하는 최근의 추세에 역행하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장치의 소형 경량화를 저해하지 않으면서 틸트제어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광픽업 조립체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간결한 구조로 틸트제어를 안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광픽업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픽업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픽업 조립체의 틸트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광픽업 조립체의 센서로 대물렌즈와 디스크의 상대 기울기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베이스 110...보빈
111...대물렌즈 112...포커스코일
113...트래킹코일 114...틸트코일
120...홀더 121,121'...와이어
130...제1자석 131...제1요오크
140...제2자석 141...제2요오크
200...커버부재 201,202...제1,2위치검출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픽업 조립체는, 대물렌즈가 탑재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을 베이스에 설치된 홀더에 대해 탄력적으로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지지재와; 상기 보빈에 설치되어 상기 대물렌즈의 포커스 및 트래킹방향의 구동을 위한 통전경로를 형성하는 포커스코일 및 트래킹코일과; 상기 보빈에 설치되어 상기 대물렌즈의 틸트 구동을 위한 통전경로를 형성하는 틸트코일과; 상기 포커스코일 및 트래킹코일을 흐르는 전류와 함께 상기 대물렌즈를 구동시키는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1자석 및 제1요오크와; 상기 틸트코일을 흐르는 전류와 함께 상기 대물렌즈를 구동시키는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2자석 및 제2요오크와; 디스크에 대한 상기 대물렌즈의 상대적인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검출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재는, 일단이 상기 홀더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보빈에 고정되며 그 중간부가 지그재그 식으로 절곡된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조립체를 나타낸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100)에 홀더(120)가 고정 설치되고, 대물렌즈(111)를 탑재한 보빈(110)은 탄성지지재인 와이어(121)에 의해 상기 홀더(120)에 탄력적으로 유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보빈(110)에는 대물렌즈(111)의 포커싱방향 및 트래킹방향으로의 구동을 위한 포커스코일(112)과 트래킹코일(113)이 설치되어 있으며, 베이스(100)에는 이 코일(112)(113)을 흐르는 전류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제1자석(130) 및 제1요오크(13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110)의 다른 측면에는 대물렌즈(111)를 화살표 A 및 B방향으로 틸트구동시키기 위한 틸트코일(1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틸트코일(114)에 흐르는 전류와 상기 베이스(100)에 설치된 제2자석(140) 및 제2요오크(141)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과의 상호작용으로 화살표 A방향과 B방향으로의 회동 즉, 틸트동작이 구현된다. 여기서 상기 제2자석(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착자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틸트코일(114)의 상,하부와 마주하도록 제2요오크(141)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도면과 같이 틸트코일(114)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도면의 평면상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보빈(110)이 기울어지게 된다. 물론, 이와 반대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면 보빈(110)이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진다. 그런데 실제로는 본 발명의 틸트코일(114)과 제2자석(140) 및 제2요오크(141)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10)을 사이에 두고 대각선 방향으로 한 세트씩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틸트동작 시 전술한 바와 같이 화살표 A방향과 B방향의 복합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참조부호 200은 상기 베이스(100)위에 설치된 보빈(110)과 홀더(120)등을 포함한 부재들을 커버하는 커버부재이며, 이 커버부재(200)에 대물렌즈(111)와 디스크와의 상대적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한 제1,2위치검출센서(201,202)가 장착되어 있다. 제1위치검출센서(201)는 커버부재(200) 외측 상면에 설치되어 이 커버부재(200)에 대한 디스크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제2위치검출센서(202)는 커버부재(200) 내측면에 설치되어 각각 커버부재(200)에 대한 대물렌즈(111)의 기울기를 측정한다. 따라서 이들 각 센서(201,202)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와 대물렌즈(111)와의 상대 기울기를 산출하고 상기 틸트코일(114)에 전류를 흘려 틸트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보빈(110)을 지지하는 상기 탄성지지재를 지그재그형으로 절곡된 복수의 와이어(121)로 구성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는 탄성체의 강성계수가 길이에 반비례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탄성지지재의 전체 길이를 늘려줌으로써 강성계수 저하에 따른 구동시 진동주파수의 감소를 도모한 것이다. 진동주파수가 감소한다는 것은 제어시 보빈(110)의 흔들림이 적어진다는 것으로 보빈(110)을 더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구동시킬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즉, 탄성지지재를 상기 도면과 같은 "ㄹ"자 모양과 같은 지그재그형 와이어(121)로 절곡하여 만들게 되면, 그 전체 길이가 단순한 직선형의 탄성체보다 길어지기 때문에, 틸트제어시 진동주파수가 감소하여 보빈(110) 구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측정해본 결과에 의하면, 단순한 직선형의 탄성지지재인 경우 화살표 A방향 구동시 진동주파수가 80Hz, 화살표 B방향 구동시 진동주파수가 2kHz 정도였는데, 상기와 같은 지그재그형의 와이어(121)를 채용한 경우에는, 각각 70Hz와 94Hz 정도로 진동주파수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간결한 구조로 틸트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또한 보빈의 구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조립체를 보인 것인데, 여기서는 상기한 탄성지지재를 "ㄹ"자 모양이 아닌 "Z"자 모양의 지그재그 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도 진동주파수를 줄여 보빈(110)의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조립체는, 틸트제어를 위한 구조를 간결하게 구성하고 있어서 장치의 슬림화, 경량화에 유리하며, 또한 틸트동작시의 진동주파수를 줄여줌으로써 제어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3)

  1. 대물렌즈가 탑재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을 베이스에 설치된 홀더에 대해 탄력적으로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지지재와; 상기 보빈에 설치되어 상기 대물렌즈의 포커스 및 트래킹방향의 구동을 위한 통전경로를 형성하는 포커스코일 및 트래킹코일과; 상기 보빈에 설치되어 상기 대물렌즈의 틸트 구동을 위한 통전경로를 형성하는 틸트코일과; 상기 포커스코일 및 트래킹코일을 흐르는 전류와 함께 상기 대물렌즈를 구동시키는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1자석 및 제1요오크와; 상기 틸트코일을 흐르는 전류와 함께 상기 대물렌즈를 구동시키는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2자석 및 제2요오크와; 디스크에 대한 상기 대물렌즈의 상대적인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검출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재는, 일단이 상기 홀더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보빈에 고정되며 그 중간부가 지그재그 식으로 절곡된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석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착자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틸트코일의 상,하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2요오크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센서는, 상기 보빈과 홀더를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된 부재들을 커버하도록 그 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부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조립체.
KR1019990045846A 1999-10-21 1999-10-21 광픽업 조립체 KR100636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846A KR100636102B1 (ko) 1999-10-21 1999-10-21 광픽업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846A KR100636102B1 (ko) 1999-10-21 1999-10-21 광픽업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040A true KR20010038040A (ko) 2001-05-15
KR100636102B1 KR100636102B1 (ko) 2006-10-19

Family

ID=1961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846A KR100636102B1 (ko) 1999-10-21 1999-10-21 광픽업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1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861A (ko) * 2001-10-25 2003-05-01 넥스필전자 주식회사 높이 측정에 의한 스큐 조정방법
KR100455399B1 (ko) * 2002-12-13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의 렌즈 위치 조정 장치
KR100542012B1 (ko) * 2003-07-10 2006-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픽업 액츄에이터 지지구조
CN112198739A (zh) * 2015-01-23 2021-01-08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移动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861A (ko) * 2001-10-25 2003-05-01 넥스필전자 주식회사 높이 측정에 의한 스큐 조정방법
KR100455399B1 (ko) * 2002-12-13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의 렌즈 위치 조정 장치
KR100542012B1 (ko) * 2003-07-10 2006-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픽업 액츄에이터 지지구조
CN112198739A (zh) * 2015-01-23 2021-01-08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移动装置
US11156851B2 (en) 2015-01-23 2021-10-26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CN112198739B (zh) * 2015-01-23 2022-04-29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移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6102B1 (ko)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103B1 (ko) 광픽업 조립체
WO2005112012A1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3658526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KR100636102B1 (ko) 광픽업 조립체
KR20040081663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JP2003123288A (ja) 対物レンズ支持装置
KR19990085268A (ko)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KR100580243B1 (ko) 광픽업 조립체
JP5063091B2 (ja) 光スキャニング装置のためのアクチュエータ
JP3494165B2 (ja) 光ディスク装置の対物レンズ駆動機構
EP1791120B1 (en) Actuator for a scanning device for scanning optical discs
JP2000067444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006202380A (ja) 光ピックアップ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5018837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H0816985B2 (ja) 光ディスク装置の対物レンズ保持装置
JP3983149B2 (ja) 光ピックアップの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00400641B1 (ko) 광픽업의 대물렌즈 구동장치
EP1610311B1 (en)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1184686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003132562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00694030B1 (ko) 광픽업 조립체
JP2001250242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H01269244A (ja) 光学式情報処理装置
KR20080009316A (ko) 디스크 드라이브용 광 픽업장치와 이 광 픽업장치를 구비한디스크 드라이브
JP2002245644A (ja) 光ピックアップのアクチュエ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