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5736A - 탭을 갖는 리프트 업타입 캔에 적합한 캔 끝단부의 이지오픈 구조 - Google Patents

탭을 갖는 리프트 업타입 캔에 적합한 캔 끝단부의 이지오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5736A
KR20010035736A KR1019990042434A KR19990042434A KR20010035736A KR 20010035736 A KR20010035736 A KR 20010035736A KR 1019990042434 A KR1019990042434 A KR 1019990042434A KR 19990042434 A KR19990042434 A KR 19990042434A KR 20010035736 A KR20010035736 A KR 20010035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tab
opening
fixing portio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대석
Original Assignee
변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대석 filed Critical 변대석
Priority to KR1019990042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5736A/ko
Publication of KR20010035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73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6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push-down and pull-out tea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59General cross-sectional shape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61U-shaped
    • B65D2517/0062U-shaped and provided with an additional U-shaped peripheral cha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a preformed opening
    • B65D2517/5072Details of hand grip, tear- or lift-tab
    • B65D2517/5075Hand grip with finger opening
    • B65D2517/5081Hand grip with finger opening the hand grip formed as an annular or U-shaped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탭(tap)을 갖는 리프트 업타입 캔(lift-up type can)에 적합한 캔 끝단부(can end)의 이지오픈(easy open) 구조에 관한 것으로, 깡통따개 탭(tap)를 이용하여 캔을 딸 때 손가락이 들어가는 공간이 부족하여 쉽게 오픈되지 못하는 종래의 불편한 문제를 해결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은 캔을 최초 딸 때 손가락이 들어가는 틈새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간편하게 캔을 딸수 있도록 해주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탭을 갖는 리프트 업타입 캔에 적합한 캔 끝단부의 이지오픈 구조{Easy opening structure of end of can suitable for life-up type can }
본 발명은 탭(tap)을 갖는 리프트 업타입 캔(lift-up type can)에 적합한 캔 끝단부(can end)의 이지오픈(easy open)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깡통따개 탭(tap)를 이용하여 캔을 딸 경우에 쉽게 따지는 경우가 그렇게 많지 않다. 그러한 이유중의 주된 이유는 탭에 형성된 손가락 끼움영역에 손가락이 들어가는 공간이 부족하여 보다 큰 힘을 캔의 개구부에 가하기 어렵게 되어 있거나 캔 끝단부의 구조가 따는 힘을 최대로 생성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캔의 일부 이용자는 동전이나 다른 얇은 두께의 금속도구를 이용하여 그러한 탭을 갖는 리프트 업타입 캔을 따고 있는데, 이는 이지오픈 캔 또는 일명 원터치 캔이라는 정의에 부합되는 것이라고 하기에 어렵다. 그러면, 후술될 본 발명의 보다 철저히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종래의 대표적 리프트 업타입 캔의 캔 끝단부의 구조를 도시하고 용이하게 따는 것이 왜 그렇게 어려웠던가를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통상적인 리프트 업타입 캔에서 탭을 가지는 캔 끝단부의 평면구조가 나타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탭 고정부분(30)을 기준으로 일측에 끝단 영역(40)을 가지며 손잡이 영역(10)을 타측에 가지는 탭(20)은 상기 탭 고정부분(30)에 의해 캔의 일측 원주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끝단 영역(40)은 상기 캔의 원주면에 형성된 개구부(tear panel)(50)의 일단과 중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탭(20)을 사용하여 개구부(50)를 개방하는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캔내에 들어있는 내용물을 섭취하기 위하여 캔을 따기 시작할 경우에, 도 1의 손가락으로 잡는 영역(finger gripping portion)(10)과 캔 표면(11) 사이로 손가락이 들어가도록 하여 탭에 당기는(pull up) 힘을 가한다. 이러한 동작으로 인하여 상기 개구부(50)에 보다 가까이 위치하는 탭의 한쪽 끝단 영역(40)에는 탭의 고정부분 (30)을 지렛대 작용의 중심축으로 하여 개구부(50)의 중첩영역을 아래로 미는 (pull down) 힘이 발생한다. 이 미는 힘에 의하여 이미 음각되어 있는 얇은 캔의 원주영역을 째는(tear)동작이 수행되어 개구부(50)가 열리게 된다.
종래기술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에서 보여지는 절단선 A-A'를 따라 취한 탭(20) 및 캔 끝단부의 단면도는 도 2에 도시된다. 도 2을 참조하면, 종래의 탭(20)은 둘레영역이 단단한 금속물질로 되어 있고, 캔 표면(11)과 밀착되어 있어, 캔을 딸 때 상기 끝단영역(40)의 바로 아래에 존재하는 손가락을 끼우게 되는 틈새부분이 1mm 미만의 공간만이 겨우 확보된 채 캔 표면(11)과 떨어져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을, 손가락으로 잡는 영역(finger gripping portion)(10)과 캔 표면(11) 사이로 들어가도록 하는 최초의 동작을 수행하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그 결과, 개구부(50)를 최초 열리도록 하는 순간이 캔을 따는 동작중에 가장 힘을 필요로 하는 것인데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가장 힘을 가하기 어려운 현상이 나타나므로 캔을 쉽게 딸 수 없는 문제를 필연적으로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분야에서 개시된 선행기술들은 '손가락으로 잡는 영역(10)'에 대한 고정된 구조적인 해결만을 도모하고 있다. 대표적인 2가지 선행기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도 2의 A1에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손가락으로 잡는 영역 (10)'을 부분적으로 들어올리는 구조' (tip-up)(14) 혹은 '손가락으로 잡는 영역 (10)'의 하단에 위치하는 캔 표면 (11)을 일정 깊이로 '밀어 넣는 구조' (recessed panel)(12)를 이용하였으나, 여전히 탭의 둘레영역이 단단한 금속물질로 되어 있고 상기의 두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캔 표면(11)과 밀착된 구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밖에도 본 분야에서 개시된 또 다른 선행기술들, 예컨대, 미국특허 5,671,860호나 미국특허 5,749,488호에서도 금속 캔을 보다 용이하게 딸 수 있는 이지오픈 구조가 나타나 있지만, 이들 역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여 탭을 갖는 리프트 업타입 캔에 적합한 개선된 캔 끝단부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탭과 캔의 표면사이에 형성되는 손가락 끼움영역에 손가락이 들어가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손가락으로 잡는 부분을 통해 보다 큰 힘을 캔의 개구부에 가할 수 있는 캔 끝단부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캔 끝단부의 구조가 따는 힘을 최대로 생성할 수 있게 함에 의해 어린이나 노약자도 쉽게 캔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중 일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리프트 업 타입 캔 끝단부의 구조는, 대체로 원주근방에 치우쳐 음각 형성된 폐곡선에 의해 정의되는 잠재성 개구부와, 상기 폐곡선의 일단 근방에 형성된 탭 고정부분을 가지며, 상기 캔의 일측 원주판넬을 구성하는 캔 표면부; 상기 탭 고정부분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손잡이 영역과, 상기 탭 고정부분을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의 일단영역과 중첩되어 있되 상기 개구부상부에 바로 밀착되어 있지 아니하고 상기 손잡이 영역이 상기 캔 표면부의 상부로 충분히 들려질 수 있도록 할 만큼 상기 개구부의 상부와 일정 간격 떨어져 있는 형태를 갖는 끝단 영역을 가지며, 상기 손잡이 영역보다 상기 끝단 영역에 가까이 치우쳐 위치되는 상기 탭 고정부분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캔 표면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탭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리프트 업 타입 캔 끝단부의 다른 구조는, 대체로 원주근방에 치우쳐 음각 형성된 폐곡선에 의해 정의되는 잠재성 개구부와, 상기 폐곡선의 일단 근방에 형성된 탭 고정부분을 가지며, 상기 캔의 일측 원주판넬을 구성하는 캔 표면부; 손가락을 충분히 끼울 수 있는 틈새공간을 우선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가 오픈될 경우에 받는 힘보다 작은 힘에도 손잡이 홀의 중앙근방을 기준으로 상부로 꺾여질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 홀의 중앙근방의 에지두께가 주위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영역을 가지며 상기 탭 고정부분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손잡이 영역과, 상기 탭 고정부분을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의 일단영역과 중첩되어 있되 상기 개구부상부에 바로 밀착되어 있는 끝단 영역을 가지며, 상기 손잡이 영역보다 상기 끝단 영역에 가까이 치우쳐 위치되는 상기 탭 고정부분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캔 표면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탭을 가진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또 다른 리프트 업 타입 캔 끝단부의 구조는, 대체로 원주근방에 치우쳐 음각 형성된 폐곡선에 의해 정의되는 잠재성 개구부와, 상기 폐곡선의 일단 근방에 형성된 탭 고정부분을 가지며, 상기 캔의 일측 원주판넬을 구성하는 캔 표면부; 접힘영역을 기준으로 상부로 펼쳐질 수 있도록 손잡이 홀을 형성하는 부위가 상기 접힘 영역을 기준으로 하부 층과 일부 대칭적으로 접혀져 있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탭 고정부분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손잡이 영역과, 상기 탭 고정부분을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의 일단영역과 중첩되어 있는 끝단 영역을 가지며, 상기 손잡이 영역보다 상기 끝단 영역에 가까이 치우쳐 위치되는 상기 탭 고정부분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캔 표면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탭을 가진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캔 끝단부의 구조들에 따라, 캔을 딸 때 최초 손가락이 들어가는 공간인, 캔의 표면과 손가락으로 잡는 영역사이의 틈새가 넓게 확보되므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캔을 딸 수 있게 된다.
도 1은 통상적인 리프트 업타입 캔에서 탭을 갖는 캔 끝단부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절단선 A-A'를 따라 취한 캔 끝단부의 단면구조도와 종래의 개선된 구조의 예 (A1)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탭을 갖는 캔 끝단부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절단선 B-B'를 따라 취한 캔 끝단부의 단면구조도
도 5는 제1실시예의 구조에 따라 탭을 따기 시작할 때의 도 4의 단면변화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탭을 갖는 캔 끝단부의 평면도와 일부영역의 가공구조의 뒷면 영역의 입체도 (B1)
도 7은 도 6의 절단선 C-C'를 따라 취한 캔 끝단부의 단면구조도
도 8은 제2실시예의 구조에 따라 탭을 따기 시작할 때의 도 7의 단면변화를 보여주는 도면
도 9와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탭의 다양한 형태들을 보인 도면들 (C1)
도 11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탭을 갖는 캔 끝단부의 평면도
도 12은 도 9의 탭을 분리하여 펼친 상태의 평면도와 일부 영역의 가공구조의 뒷면 영역의 입체도 (C1)
도 13은 도 9의 절단선 D-D'를 따라 취한 캔 끝단부의 단면구조도
도 14는 제3실시예의 구조에 따라 탭을 따기 시작할 때의 도 11의 단면변화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탭의 다른 형태를 펼친 상태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가락으로 잡는 영역(finger gripping portion)
11 : 캔의 표면
12 : 캔 표면 (11)을 일정 깊이로 밀어 넣은 구조 (recessed panel)
14 : '손가락으로 잡는 영역 (10)'을 부분적으로 들어올리는 구조' (tip-up)
20 : 탭 (tap)
30 : 탭 고정부분 (캔 본체과 탭을 서로 고정시켜줌.)
40 : 개구부에 가까운 탭의 한쪽 끝단 영역
50 : 개구부 (tear panel)
60 : 얇은 영역
70 : 접히는 얇은 영역`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리프트 업타입 캔에서 탭과 연결된 캔 끝단부의 구조에 따른 사용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가지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실시예들은 캔을 딸 때 최초 손가락이 들어가는 공간인, 캔의 표면과 손가락으로 잡는 영역사이를 넓게 확보하여 최대의 힘이 발휘될 수 있게 함에 의해 사용자가 간편하게 캔을 딸수 있도록 한다.
먼저,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탭을 갖는 캔 끝단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절단선 B-B'를 따라 취한 캔 끝단부의 단면구조도이다. 도 5는 제1실시예의 구조에 따라 탭을 따기 시작할 때의 도 4의 단면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리프트 업 타입 캔 끝단부의 구조는, 크게 캔 표면부(11)와, 탭(20)을 가진다. 상기 캔 표면부(11)는 대체로 원주근방에 치우쳐 음각 형성된 폐곡선에 의해 정의되는 잠재성 개구부(50)와, 상기 폐곡선의 일단 근방에 형성된 탭 고정부분(30)을 가지며, 상기 캔의 일측 원주판넬을 구성한다. 상기 탭(20)은; 상기 탭 고정부분(30)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손잡이 영역(10)과, 상기 탭 고정부분(30)을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하는 끝단 영역(40)을 가진다. 상기 끝단 영역(40)은, 상기 개구부(50)의 일단영역과 중첩되어 있되 상기 개구부(50)상부에 바로 밀착되어 있지 아니하고 상기 손잡이 영역(10)이 상기 캔 표면부(11)의 상부로 충분히 들려질 수 있도록 할 만큼 상기 개구부(50)의 상부와 일정 간격 떨어져 있는 형태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탭(20)은 상기 손잡이 영역(10)보다 상기 끝단 영역(40)에 가까이 치우쳐 위치되는 상기 탭 고정부분(30)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캔 표면부(11)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50)에 가까이 위치하는 탭의 끝단영역(40)이 개구부(50)에 바로 밀착되어 있지 않고 일정 간격이 떨어져 있는 형태를 갖는데,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탭의 단면도를 보이는 상기 도 2에서 탭이 개구부(50)와 완전히 밀착되어 있는 점과 완전히 다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1실시예를 적용한 탭(20)의 경우, 캔을 최초로 딸 때 손가락의 동작이 이해하기 쉽도록 보여지는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도 4의 단면이 변화된 것을 보면 보다 용이하게 오픈되는 구조가 제공됨을 알 수 있다. 즉, 도 4에서 보여지는 탭의 끝단 영역(40)은, 도 5에서 점선 타원속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개구부에 가까운 탭의 끝단 영역(40)을 한 손가락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탭 고정부분(30)을 받침축으로 하는 지렛대원리로 인해 반대쪽 탭의 끝단 영역, 즉 '손가락으로 잡는 영역'(10)이 캔의 표면(11)으로부터 상당하게 들어 올려진다. 그 결과 다른 손가락이 여유롭게 상기 영역(10)과 캔의 표면(11)사이로 들어가 캔을 쉽게 딸수 있게 된다. 특히, 개구부(50)에 가까운 탭의 끝단 영역(40)이 최초 2 mm가량만 들려 있어도, 지렛대 원리상의 축인 탭의 고정부분(30)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는 탭의 다른 한쪽 끝단 영역은 2배 이상 올라가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제1실시예에 대해 일반인들은 상기 개구부(50)에 가까이 위치하는 탭의 끝단영역(40)이 개구부(50)가 일정 간격이 떨어져 있는 상태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탭의 끝단 영역(40)에 '누름(Press)'의 표기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누름'이라는 안내 표기에 의해 사용자는 이를 인식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탭을 갖는 캔 끝단부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절단선 C-C'를 따라 취한 캔 끝단부의 단면구조도이다. 도 8에는 제2실시예의 구조에 따라 탭을 따기 시작할 때의 도 7의 단면변화가 보여진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리프트 업 타입 캔 끝단부의 구조는,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개구부(50)와 상기 폐곡선의 일단 근방에 형성된 탭 고정부분(30)을 가지며, 상기 캔의 일측 원주판넬을 구성하는 캔 표면부(11)를 가진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 특징부는 탭(20)의 손잡이 영역(10)이다. 즉, 손가락을 충분히 끼울 수 있는 틈새공간을 우선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50)가 오픈될 경우에 받는 힘보다 작은 힘에도 손잡이 홀의 중앙근방을 기준으로 상부로 꺾여질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 홀의 중앙근방의 에지두께가 주위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영역(60)을 가지며 상기 탭 고정부분(30)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손잡이 영역(10)은 캔을 쉽게 딸 수 있게 하는 요부가 된다. 상기 탭(20)의 끝단 영역(40)은 상기 탭 고정부분(30)을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50)의 일단영역과 중첩되어 있되 상기 개구부(50)상부에 바로 밀착되어 있다.
상기 제2실시예의 이해를 돕기위해 탭(20)의 가공구조를 입체적으로 알수 있도록 하는 도면이 도 6의 B1에 도시되었다. 도면에서 B1은 상기 영역(60)의 가공된 구조 상태의 뒷면 영역의 모습이다. 얇은 영역(60)이 한겹의 금속 패널 예컨데 알루미늄 합금의 패널로 이루어짐을 알수 있다.
도 7에서, 손가락으로 잡는 영역(finger gripping portion)(10)의 손잡이 홀의 중앙근방의 에지두께가 주위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영역(60)이 보여진다. 상기 제2실시예의 동작의 이해를 위하여 도 8을 참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최초 캔을 따기위한 동작은 '손가락으로 잡는 영역(10)'을 캔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손가락으로 당기면 얇은 영역(60)을 기준점으로 하여 '손가락으로 잡는 영역(10)'이 기타의 탭의 영역이 고정된 상태로 상부로 꺾이게 된다. 즉, 상기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탭의 중앙 및 개구부에 가까운 탭의 끝단영역(40)이 움직이지 않은 채로 손가락이 들어가는 영역(10)이 독립적으로 4 mm 이상 들어 올려지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손가락을 넣는 틈새공간을 충분히 확보한 상태에서 리프트 업 힘을 가할 수 있으므로 캔을 쉽게 딸수 있다. 종래의 탭의 경우는 상기 도 2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탭의 둘레 영역이 모두 2겹으로 단단하게 되어 있어, 탭의 끝단 영역만의 독자적인 꺽임이 어려웠다.
제 2 실시예의 경우 다른 개선된 형태로써 도 9과 도 10이 도시된다. 상기 도 9와 도 10은 손가락이 들어가는 홀을 크게하여 손가락 한마디가 완전히 들어갈수 있는 구조를 가져, '손으로 잡는 영역(10)'을 들어 올리는 경우에 작은 힘이 든다.
나머지 도면들을 참조하여 제3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탭을 갖는 캔 끝단부의 평면도이고, 도 12은 도 11의 탭을 분리하여 펼친 상태의 평면도이다.
상기 제3실시예의 이해를 돕기위해 탭(20)의 가공구조를 입체적으로 알수 있도록 하는 도면이 도 12의 C1에 도시되었다. 도면에서 C1은 상기 얇은 영역(70)의 가공된 구조 상태의 뒷면 영역의 모습을 보인다. 한겹의 금속 패널 예컨데 알루미늄 합금의 패널로 이루어져 작은 힘으로도 휠수 있는 구조임을 알수 있다.
도 13은 도 11의 절단선 D-D'를 따라 취한 캔 끝단부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14는 제3실시예의 구조에 따라 탭을 따기 시작할 때의 도 13의 단면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3실시예에서 캔 표면부(11), 탭(20)의 끝단 영역(40)은 제2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고, 손잡이 영역(10)이 특이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손잡이 영역(10)은, 접힘영역을 기준으로 상부로 펼쳐질 수 있도록 손잡이 홀을 형성하는 부위가 상기 접힘 영역(70)을 기준으로 하부 층과 일부 대칭적으로 접혀져 있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제3실시예의 탭(20)의 외관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히는 얇은 영역'(70)에 의해 한번 접혀진 상태로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단면도를 보인 상기 도 13에 의해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3실시예에서, 탭(20)만을 분리하여 펼친 상태의 평면도인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히는 얇은 영역'(70)이 손가락으로 잡는 영역(10)과 탭의 중앙부분사이에 위치한다.
제3실시예에 따라 캔을 딸 때 도 13의 탭 단면변화를 보인 도 14를 참조하여 동작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손가락을 이용하여 손가락으로 잡는 영역(finger grapping portion)(10)을 '접히는 얇은 영역'(70)을 기준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도 14와 같이 손가락이 쉽게 들어갈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손가락이 탭에 들어가는 영역이 8 mm 이상 충분히 확보된다. 손가락을 넣은 후엔 손가락으로 잡는 영역(10)을 캔으로부터 당기게 되면 (pull up),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탭 고정부분(30)을 기준축으로 하여 개구부에 가까운 탭의 한쪽 끝단 (40)영역은 개구부(50)를 캔의 안쪽으로 미는(pull down) 힘을 가하게 된다. 그 결과 개구부는 캔의 안쪽으로 열리게 된다. 한편, 손가락을 넣는 구멍을 크게 제작하여, 손가락 한마디가 충분히 들어가는 구조일 경우에 캔을 따기가 더욱 편리하다.
제3실시예의 경우 다른 개선된 형태로써 도 15가 도시된다. 각각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13의 형태는 접히는 얇은 영역(70)이 하나로만 연결되고 폭을 좁게 하여, 탭의 '손으로 잡는 영역'(10)을 들어올리는 경우에 작은 힘이 든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캔을 딸 때 최초 손가락이 들어가는 공간인, 캔의 표면과 손가락으로 잡는 영역사이를 넓게 확보되므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캔을 딸 수 있게 된다. 종래의 탭구조에서는 손가락이 들어가는 공간이 1 mm 남짓한 작은 크기인데 반하여, 본 발명의 경우에는 손가락이 들어가는 공간을 4 mm내지 8 mm 가량 확보할 수 있어 캔을 용이하게 딸 수 있다. 따라서, 쉽게 따는 진정한 의미의 이지오픈 캔 구조가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르면, 종래의 탭이 갖는 불편함으로 보이는 현상, 즉 캔을 따는 최초 가장 큰 손가락 힘이 요구되는 점에도 불구하고 탭과 캔 표면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이 1 mm 미만으로 작아 손가락을 비집고 넣거나 다른 이물질(동전 등)을 이용하여 탭을 들어올리는 비효율적인 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세가지 실시예는 캔을 따는 최초에 손가락이 탭과 캔 표면 사이에 충분히 들어갈수 있도록 4 mm 내지 8mm의 공간을 확보할수 있어서 종래의 탭이 갖는 불편함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한 본 발명은 도면에 따라 설명되고 예를들어 한정되었지만 사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

  1. 리프트 업 타입 캔 끝단부의 구조에 있어서:
    대체로 원주근방에 치우쳐 음각 형성된 폐곡선에 의해 정의되는 잠재성 개구부와, 상기 폐곡선의 일단 근방에 형성된 탭 고정부분을 가지며, 상기 캔의 일측 원주판넬을 구성하는 캔 표면부와;
    상기 탭 고정부분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손잡이 영역과, 상기 탭 고정부분을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의 일단영역과 중첩되어 있되 상기 개구부 상부에 바로 밀착되어 있지 아니하고 상기 손잡이 영역이 상기 캔 표면부의 상부로 충분히 들려질 수 있도록 할 만큼 상기 개구부의 상부와 일정 간격 떨어져 있는 형태를 갖는 끝단 영역을 가지며, 상기 손잡이 영역보다 상기 끝단 영역에 가까이 치우쳐 위치되는 상기 탭 고정부분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캔 표면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탭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캔 끝단부의 구조.
  2. 리프트 업 타입 캔 끝단부의 구조에 있어서:
    대체로 원주근방에 치우쳐 음각 형성된 폐곡선에 의해 정의되는 잠재성 개구부와, 상기 폐곡선의 일단 근방에 형성된 탭 고정부분을 가지며, 상기 캔의 일측 원주판넬을 구성하는 캔 표면부와;
    손가락을 충분히 끼울 수 있는 틈새공간을 우선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가 오픈될 경우에 받는 힘보다 작은 힘에도 손잡이 홀의 중앙근방을 기준으로 상부로 꺾여질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 홀의 중앙근방의 에지두께가 주위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영역을 가지며 상기 탭 고정부분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손잡이 영역과, 상기 탭 고정부분을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의 일단영역과 중첩되어 있되 상기 개구부상부에 바로 밀착되어 있는 끝단 영역을 가지며, 상기 손잡이 영역보다 상기 끝단 영역에 가까이 치우쳐 위치되는 상기 탭 고정부분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캔 표면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탭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캔 끝단부의 구조.
  3. 리프트 업 타입 캔 끝단부의 구조에 있어서:
    대체로 원주근방에 치우쳐 음각 형성된 폐곡선에 의해 정의되는 잠재성 개구부와, 상기 폐곡선의 일단 근방에 형성된 탭 고정부분을 가지며, 상기 캔의 일측 원주판넬을 구성하는 캔 표면부;
    접힘 영역을 기준으로 상부로 펼쳐질 수 있도록 손잡이 홀을 형성하는 부위가 상기 접힘 영역을 기준으로 하부 층과 일부 대칭적으로 접혀져 있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탭 고정부분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손잡이 영역과, 상기 탭 고정부분을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의 일단영역과 중첩되어 있는 끝단 영역을 가지며, 상기 손잡이 영역보다 상기 끝단 영역에 가까이 치우쳐 위치되는 상기 탭 고정부분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캔 표면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탭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캔 끝단부의 구조.
KR1019990042434A 1999-10-01 1999-10-01 탭을 갖는 리프트 업타입 캔에 적합한 캔 끝단부의 이지오픈 구조 KR20010035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434A KR20010035736A (ko) 1999-10-01 1999-10-01 탭을 갖는 리프트 업타입 캔에 적합한 캔 끝단부의 이지오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434A KR20010035736A (ko) 1999-10-01 1999-10-01 탭을 갖는 리프트 업타입 캔에 적합한 캔 끝단부의 이지오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736A true KR20010035736A (ko) 2001-05-07

Family

ID=1961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434A KR20010035736A (ko) 1999-10-01 1999-10-01 탭을 갖는 리프트 업타입 캔에 적합한 캔 끝단부의 이지오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57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0591A1 (en) * 2003-10-02 2005-04-07 Eun-Jeong Ahn Beverage can with pull tab integrally formed thereon
US7692176B2 (en) 2004-08-17 2010-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ase-changeable memory devices including an adiabatic lay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0591A1 (en) * 2003-10-02 2005-04-07 Eun-Jeong Ahn Beverage can with pull tab integrally formed thereon
US7692176B2 (en) 2004-08-17 2010-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ase-changeable memory devices including an adiabatic lay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2464A (en) Combination can opening tool
KR101435227B1 (ko) 용기 마개의 손잡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03512262A (ja) より容易に開口し、衛生性の高められた缶蓋構造
KR100853811B1 (ko) 이지 오픈 형 깡통과 그의 개구 방법
KR20010035736A (ko) 탭을 갖는 리프트 업타입 캔에 적합한 캔 끝단부의 이지오픈 구조
JP2000128167A (ja) ステイオンタブらくらく蓋開けの構造
JPH1149160A (ja) プルタブ付き容器
WO2001002260A1 (en) Can lid with opening means providing enhanced opening function and sanitariness
KR200207440Y1 (ko) 개방이 용이한 캔뚜껑
KR200402552Y1 (ko) 개방이 용이한 원터치 캔 따개
JP2004091015A (ja) プルタブ式缶蓋
JPH0744595Y2 (ja) 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JPH11321862A (ja) ステイオンタブらくらく蓋開けの構造
JP3050345U (ja) プルタブ缶
JP3046378U (ja) 開缶補助器具
JP4444855B2 (ja) 缶蓋及び缶
JP3056540U (ja) 缶オープナー
JP2001130560A (ja) プルトップ付き缶
KR200279846Y1 (ko) 접이식 캔 따개
JP2539913Y2 (ja) 缶 蓋
KR200195221Y1 (ko) 캔 열림장치
JPH08169445A (ja) プルタブ缶
JP6059379B1 (ja) 缶蓋
JPH06219447A (ja) プルトップ缶のプルタブ構造
JP3013877U (ja) 缶開け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