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552Y1 - 개방이 용이한 원터치 캔 따개 - Google Patents

개방이 용이한 원터치 캔 따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552Y1
KR200402552Y1 KR20-2005-0026516U KR20050026516U KR200402552Y1 KR 200402552 Y1 KR200402552 Y1 KR 200402552Y1 KR 20050026516 U KR20050026516 U KR 20050026516U KR 200402552 Y1 KR200402552 Y1 KR 200402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er
space
lid
handle
riv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천
Original Assignee
김동천
(주)성암비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천, (주)성암비엠씨 filed Critical 김동천
Priority to KR20-2005-0026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5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5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02Location of opening
    • B65D2517/0007Location of opening in a separate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를 내포하고 있는 캔에 부착되어 캔 뚜껑을 개방하는 원터치 캔 따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캔 따개의 손잡이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누름부와 리벳(Rivet)을 이어주는 연결 부분의 간격을 넓게 연장하여 손잡이부를 잡아당길 때 상기 간격에 의해 손잡이부가 이전 위치로 복귀되지 않아 손잡이부와 캔 뚜껑 사이의 틈새로 손가락 삽입을 용이하게 하여 손쉽게 캔 뚜껑을 개방할 수 있는 원터치 캔 따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손잡이부(108)와 누름부(110)를 구비하며 캔 뚜껑(100)에 리벳(106)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부(108)를 작동시켜 상기 누름부(110)로 상기 캔 뚜껑(100)에 구비된 개방부(104)를 함몰 개방시키는 캔 따개에 있어서, 상기 리벳(106)에 의해 고정되는 리벳 고정부(109)의 주변에는 공간 개시 단부(114)와 공간 종지 단부(116)를 구비한 공간부(112)가 형성되되, 상기 공간 개시 단부(114)와 상기 공간 종지 단부(116)를 상기 누름부(110)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여 벤딩부(202)를 구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원터치 캔 따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방이 용이한 원터치 캔 따개 {Easily Openable One Touch Can Opener}
본 고안은 음료를 내포하고 있는 캔에 부착되어 캔 뚜껑을 개방하는 원터치 캔 따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캔 따개의 손잡이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누름부와 리벳(Rivet)을 이어주는 연결 부분의 간격을 넓게 연장하여 손잡이부를 잡아당길 때 상기 간격에 의해 손잡이부가 이전 위치로 복귀되지 않아 손잡이부와 캔 뚜껑 사이의 틈새로 손가락 삽입을 용이하게 하여 손쉽게 캔 뚜껑을 개방할 수 있는 원터치 캔 따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틸(Steel)이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캔은 상기 캔의 몸체 부분을 이루는 본체와 캔의 상부에 구비되는 캔 뚜껑을 결합하여 형성된다. 캔 뚜껑에는 캔 따개, 캔 따개에 의해 절취되어 개방되는 부분, 및 캔 따개를 캔에 고정시켜 주는 리벳이 구비된다. 이러한 캔은 내포된 내용물을 이용하고자 할 때에 캔 뚜껑에 리벳으로 고정되는 캔 따개의 손잡이 부분을 상부로 들어올려 상기 캔 뚜껑에 구획된 개방 부분을 밀어 상기 개방 부분이 절취선을 따라 캔 뚜껑과 절취되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캔 내부에 내포된 내용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캔의 캔 따개 구조는 음료수를 마시기 위해 사람들이 캔 따개를 따려고 하면 상기 캔 따개가 캔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어서 상기 상면과 캔 따개의 손잡이 부분 사이의 틈새가 너무 협소하였다. 즉, 종래의 캔 뚜껑 개봉 방안으로는 캔 재질의 연성을 이용한 포밍(Forming)과 벤딩(Bending)이 이용되었는데, 이러한 포밍과 벤딩으로 틈새를 벌여주는 데는 높이의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손가락을 틈새로 집어 넣는데에는 애로점이 있으며, 손톱으로 캔 따개를 상부로 올리는 경우에는 자칫 손톱의 파손과 같은 물리적 손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캔 따개를 상부로 들어올리기 위해 손가락에 힘을 주다 보면 손가락 끝이 아픈 경우도 생긴다. 또한, 손가락을 삽입한 후 손잡이 부분을 당기다가 놓치게 되면 손잡이 부분이 원위치로 되돌아가서 다시 시도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동전과 같은 다른 보조 도구를 이용하여 손잡이 부분과 캔의 상면 사이를 벌어지게 한 후 손가락을 삽입하여 캔을 개방하기도 하였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도 캔 따개의 손잡이 부분의 모양을 변형시키는 등 많은 노력이 기울여졌으나, 이러한 캔 따개 구조도 일반적인 캔 따개의 단점을 개선시키지는 못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캔 따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먼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74,904호에서는 캔을 이루는 본체의 상면에 리벳으로 연결되는 따개쇠를 형성하고, 상기 따개쇠의 선단 하방측에 요형으로 된 따개홈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따개홈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따개쇠를 제쳐 절삭선으로 연결된 따개편을 절삭하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87,697호에서는 캔 따개 하부에 캔 따개에 의해 따이는 부분에 아래로 들어가는 오목한 포밍을 형성하여 캔 따개의 일측이 상기 포밍 부분을 삽입되도록 누르면 캔 따개의 타측에 형성된 손잡이 부분이 상부로 올라가면서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틈새 간격이 확대되어 손가락을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한편으로는, 캔 따개의 일측이 벤딩되도록 하여 벤딩된 부분의 끝부분을 누르면 캔 따개의 타측에 형성된 손잡이 부분이 상부로 올라가면서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틈새 간격이 넓혀져서 손가락을 쉽게 넣어 캔 따개를 편리하게 딸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47,826호에서는 벤딩으로 형상되는 캔 따개의 높이를 보다 상승시키기 위해 고정 받침대를 이용하여 캔 따개의 손잡이 부분을 들어올려 주고, 위에서 프레스를 이용하여 눌러 준다. 그러면, 캔 개봉시 손가락의 자극을 줄일 수 있도록 캔 따개의 손잡이 부분을 캔 용기의 높이에 근접하게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7,673호에서는 캔 따개의 손잡이 부분에 대향하는 방향에 캔 상면에 대하여 기울기를 가지는 따개부 탭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따개부 탭은 캔 상면 방향에 대하여 1도 내지 90도의 기울기, 바람직하게는 20도 내지 40도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따개부 탭을 눌러서 캔 따개의 손잡이 부분이 따개부 탭에 형성된 기울기만큼 들어올려져 충분히 확보된 틈새를 이용하여 손가락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손쉽게 캔 따개의 손잡이 부분을 젖힘으로써 캔 상면의 절취선에 의해 구획된 부분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서와 같이 캔 따개의 손잡이 부분 및 이에 대향하는 부분을 리벳 중심에서 캔의 외주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하거나, 캔 따개에 의해 따이는 부분에 충분한 깊이의 요 홈을 형성하면 캔의 본체에 캔 뚜껑을 체결하는 시임(Seam) 작업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캔의 다량 적체와 이송시 파손의 우려가 있다. 또한, 이러한 우려를 제거하려면 미미한 효과가 발생되는 상향 경사진 구조를 가지게 되거나 얕은 요 홈을 형성할 수 있을 뿐이다.
한편, 캔 따개의 손잡이 부분의 중간 정도에 절곡 홈을 형성하여 손잡이 부분을 당길 때 절곡 홈 부분이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지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구부러지면서 형성된 홈으로 손가락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방법은 손잡이 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이 절취선에 의해 구획된 부분을 강한 힘으로 압박할 때 절곡 홈 부분이 부러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절곡 홈 부분에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의 문제가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75,468호에서는 캔 따개의 손잡이 부분을 다이얼을 돌리듯이 옆으로 회전시키면 손잡이 부분의 배면이 캔의 상면에 구비된 경사진 입체 돌기로 미끄러져 올라가게 된다. 그러면, 손잡이 부분이 캔의 상면에서 들려지게 되어 손가락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일반적으로 캔을 개방할 때 처음에 손잡이 부분을 잡게 되는데, 손잡이 부분을 잡게 되는 과정이 다소 번거롭게 되는 불편함이 생긴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457,139호에서와 같이 캔 따개 손잡이 부분에 잡아당길 수 있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고리를 부착하는 방법이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314,384호에서와 같이 캔의 본체 구조를 변형시켜 캔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은 기존의 캔 따개를 제조하는 경우보다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종래의 캔에 있어서, 캔 뚜껑 및 캔 따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캔의 일면에 구비되는 캔 뚜껑의 평면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캔 뚜껑의 일측에 구비되는 캔 따개의 평면도이다.
상기 도 1a 및 상기 도 1b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종래의 캔 뚜껑(100)은 캔 따개(102), 개방부(104), 및 리벳(106)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캔 따개(102)는 손잡이부(108), 리벳 고정부(109), 누름부(110), 및 공간부(112)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공간부(112)는 공간 개시 단부(114), 및 공간 종지 단부(116)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개방부(104)는 절취선을 따라서 캔 따개(102)에 의해 절취되어 개방되는 부분이다.
누름부(110)는 캔 따개(102)의 손잡이부(108)에 대향하는 위치에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부분으로 캔 따개(102) 상부에 절취선을 따라 형성되는 개방부(104)를 압박하는 기능을 한다.
공간부(112)는 손가락으로 잡아당겼을 경우 손잡이부(108)가 캔 상면 방향에 대해 큰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공간부(112)는 손잡이부(108)를 잡아당겼을 때 리벳(106)을 중심으로 누름부(110)가 탄력적으로 휘어져 개방부(104)를 압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공간부(112)의 내측에는 리벳(106)에 의해 캔 뚜껑(100)의 상부에 고정되는 리벳 고정부(109)가 구비된다.
공간 개시 단부(114)는 상기 공간부(11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공간 종지 단부(116)는 상기 공간부(112)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도 1b에서 공간 개시 단부(114)와 공간 종지 단부(116)를 연결하는 선을 X 라인이라고 하고, 상기 X 라인에 평행하며 리벳 외주(118)에 접하는 선을 Y 라인이라고 했을 때, 종래의 캔 따개(102)는 X 라인과 Y 라인 사이의 공간, 즉 틈새 간격이 약 0.5mm로 협소하였다. 따라서, 손가락을 손잡이부(108)에 삽입한 후 잡아당기다가 놓치게 되면 손잡이부(108)가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원래 위치로 돌아가 또다시 손가락을 손잡이부(108)에 삽입하고 잡아당기는 동작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손가락에 힘을 많이 주지 않아도 캔 따개의 손잡이 부분으로 손가락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손톱의 파손과 같은 물리적 손상을 제거하며, 캔 음료를 개방할 때 손가락이 아프지 않도록 손가락의 자극을 줄일 수 있는 원터치 캔 따개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손가락을 삽입한 후 캔 따개의 손잡이 부분을 당기다가 놓치게 되더라도 캔 따개가 원위치로 돌아가지 않고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여 손가락을 삽입하고 다시 시도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는 원터치 캔 따개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누구나 동전과 같은 보조 도구 없이 손가락만으로 손쉽게 캔 음료를 개방할 수 있는 원터치 캔 따개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손잡이부(108)와 누름부(110)를 구비하며 캔 뚜껑(100)에 리벳(106)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부(108)를 작동시켜 상기 누름부(110)로 상기 캔 뚜껑(100)에 구비된 개방부(104)를 함몰 개방시키는 캔 따개에 있어서, 상기 리벳(106)에 의해 고정되는 리벳 고정부(109)의 주변에는 공간 개시 단부(114)와 공간 종지 단부(116)를 구비한 공간부(112)가 형성되되, 상기 공간 개시 단부(114)와 상기 공간 종지 단부(116)를 상기 누름부(110)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여 벤딩부(202)를 구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원터치 캔 따개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캔 음료의 일면에 구비되는 캔 뚜껑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캔 뚜껑의 일측에 구비되는 캔 따개의 평면도이다.
상기 도 2a 및 상기 도 2b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원터치 캔 따개(200)는 손잡이부(108), 리벳 고정부(109), 누름부(110), 공간부(112), 공간 개시 단부(114), 공간 종지 단부(116), 및 벤딩부(202)를 포함한다.
벤딩부(202)는 X 라인과 Y 라인 사이의 틈새 공간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리벳(106)과 누름부(110)를 이어주는 연결 부분이다. 여기에서 X 라인은 공간 개시 단부(114)와 공간 종지 단부(116)를 연결하는 선이고, Y 라인은 상기 X 라인에 평행하며 리벳 외주(118)에 접하는 선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은 수치가 부여된 제작도에 의해 제작되나, 본 고안에 따른 벤딩부(202)는 설명의 편의상 종래의 캔 따개(102)를 가공하는 방식을 빌어 그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 따개(200)는 종래의 캔 따개(102)에서의 공간 개시 단부(114)와 공간 종지 단부(116)를 누름부(110)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여 벤딩부(202)를 구비하도록 한다. 즉, 공간부(112)를 길이 방향으로 확장함으로써 리벳 고정부(109)의 하방에 벤딩부(202)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런데, 벤딩부(202)를 상기와 같이 형성하게 되면 누름부(110)도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벤딩부(202)의 형성으로 인하여 누름부(110)의 일부가 공간부(112)에 의해 잠식되어 상기 누름부(110)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캔 따개(200)의 회동시 누름부(110)가 기존의 개방부(104) 압박 지점을 제대로 압박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누름부(110)를 연장 형성해야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 따개는 캔 개방시 손잡이부(108)를 잡아당기게 되면 손잡이부(108)와 벤딩부(202), 누름부(110) 선단이 서로 힘의 균형에 맞도록 움직이다가 누름부(110) 선단이 개방부(104)에 닿게 되면 상기 누름부(110) 선단이 개방부(104)의 맞닿은 일정 지점을 압박하게 된다. 이때, 누름부(110) 선단이 개방부(104)의 기존 압박 지점을 제대로 압박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중요하다. 따라서, 누름부(110)의 길이를 연장 형성할 때에는 상기 조건에 적합한 길이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벤딩부(202)의 길이, 캔 따개에 구비된 각 부분의 운동 이동점의 변화, 캔 상면의 탄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 따개(200)는 상기를 고려해볼 때 벤딩부(202)의 길이를 2.0mm 내지 3.0mm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누름부(110)는 길이 방향으로 1.5mm 내지 2.5mm 연장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종래의 캔 따개(102)에서 누름부(110)의 길이에 변화를 주지 않고 리벳 구멍(Rivet Hole)을 손잡이부(108) 방향으로 이동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Y 라인이 손잡이부(108)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X 라인과 Y 라인 사이의 틈새 간격인 벤딩부(20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벤딩부(202)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캔 따개(200)를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캔 따개(200)는 리벳 구멍의 이동으로 캔 따개(200) 전체가 누름부(110)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캔 따개의 총장(總長)이나 누름부(110)의 길이 등은 변화되지 않으므로 종래의 캔 따개(102)의 크기 변형 없이도 본 고안에 따른 벤딩부(202)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벤딩부(202)의 폭과 두께는 종래의 캔 따개(102)에서 주어지는 폭과 두께를 그대로 따른다. 그러나, 상기 폭과 상기 두께의 수치는 캔 따개(102)의 형태를 변화시키지 않는 한 얼마든지 변동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캔 따개(200)와 종래의 캔 따개(102)는 구조적으로 X 라인과 Y 라인 사이의 간격 차이에 의해 구별된다. 이러한 간격 차이는 캔 따개의 기능에 있어서도 차이를 발생시키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종래의 캔 따개(102)는 얇은 알루미늄 판재를 드로잉(Drawing) 가공하여 납작한 형상으로 쉽게 구부러지지 않도록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캔 따개(102)를 캔 뚜껑(100) 상부 일측에 위치시킨 다음 리벳(106)에 의해 상기 캔 뚜껑(100)에 결합 부착시킨다. 이러한 리벳팅(Riveting)에 의해서 캔 따개(102)는 캔 뚜껑(100) 표면에 유격 없이 강하게 밀착되게 된다. 벤딩부(202)는 이러한 캔 따개(102)에 구비되어 손잡이부(108)에 가해진 힘에 의해 누름부(110)가 절취선을 파절시키고 개방부(104)를 캔 내부로 꺾거나 밀어넣을 때 완충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캔 따개(102)는 X 라인과 Y 라인 사이의 간격이 약 0.5mm로 틈새 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벤딩부(202)가 형성되어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캔 개방을 위해서 손잡이부(108)를 잡아당기게 되면 개방부(104)로부터 손잡이부(108)로 즉각적으로 반발력이 전달된다. 이 반발력은 손잡이부(108)를 강하게 잡아당기면 잡아당길수록 더 강하게 반발한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손잡이부(108)에 구비된 홈에 손가락을 삽입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손가락의 일부, 즉 손톱만 걸친 채 불안정한 상태에서 캔 개방을 시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손톱의 훼손 등 물리적 손상이 생기게 되고, 행여 손잡이부(108)를 잡아당기다가 놓치게 되면 처음부터 다시 시도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캔 따개(102)는 X 라인과 Y 라인 사이의 간격을 2.0mm 내지 3.0mm로 하게 되면 리벳(106)과 누름부(110) 사이에 충분한 크기의 벤딩부(202)가 형성되어 캔 개방시 상기와 같은 반발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잡이부(108)에 가해진 힘에 의해 손잡이부(108)가 캔 뚜껑(100)으로부터 기울기 값을 가지게 되면 상기 기울기 값을 유지하여 손쉽게 개방부(104)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잡이부(108)를 잡아당긴 이후 벤딩부(202)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되지 않아 다음 단계에는 점점 더 손가락의 많은 부위를 손잡이부(108)의 홈에 삽입할 수 있게 되므로 체감적으로 힘이 덜 들어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X 라인과 Y 라인 사이의 간격, 즉, 벤딩부(202)의 길이는 2.0mm 내지 3.0mm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손가락을 손잡이부(108)에 삽입한 후 잡아당기다가 놓치더라도 손잡이부(108)가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형성된 길이라면 몇 mm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캔 따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3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캔 따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캔 뚜껑의 측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캔 따개의 동작 부분을 확대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상기 도 3a 및 상기 도 3b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원터치 캔 따개(200)의 벤딩부(202)는 캔 개방 실시 전에는 캔 뚜껑(100) 상부에 상기 캔 뚜껑(100)과 나란하게 놓여 있다. 이때, 캔을 개방하기 위해 캔 따개(200)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부(108)를 잡아당기면 상기 캔 따개(200)의 타측에 구비된 누름부(110)가 개방부(104)를 압박하기 전 응력(應力)이 약한 벤딩부(202)가 먼저 구부러진다.
종래의 캔 따개(102)는 손잡이부(108)를 잡아당긴 후 상기 손잡이부(108)에 삽입된 손가락을 빼게 되면 원래 위치로 되돌아 갔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캔 따개(200)는 상기와 같이 벤딩부(202)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손잡이부(108)에 삽입된 손가락을 빼게 되면 충분히 구부러진 벤딩부(202)가 손잡이부(108)를 떠받치고 있게 되어 손잡이부(108)는 원래 위치로 복귀하지 않고, H(손잡이부(108)가 캔 뚜껑(100)과의 기울기로 형성하는 틈새 높이)를 가지면서 캔 뚜껑(100) 위로 떠있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부(108)와 캔 뚜껑(100) 사이의 틈새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손가락을 손잡이부(108)의 홈에 손쉽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손잡이부(108)를 계속해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인 캔 뚜껑(100)과 위쪽으로 구부러진 벤딩부(202)가 형성하는 각도(A; Angle)가 점점 커지게 된다. 이때, 각도 A가 75도 범위에 이르면 벤딩부(202)는 구부러짐이 둔화된다. 즉, 이 과정에 이르러 손잡이 틈새를 확보하는 벤딩부(202)의 역할은 끝나게 된다. 그런 다음, 손잡이부(108)에 가해진 하중은 서서히 개방부(104)로 옮겨지게 되고, 캔 따개(200)의 누름부(110)가 개방부(104)를 점진적으로 강하게 압박하기 시작한다. 이후, A가 90도 범위로 진행해가는 과정 중에 누름부(110)는 개방부(104)를 함몰시키게 되고, 캔은 개방된다. 한편, 벤딩부(202)의 길이 변화에 따라 캔 상면으로부터 캔을 개방시키기 위해 잡아당겨지는 손잡이부(108)의 각도도 비례하여 변화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캔 따개(200)는 벤딩부(202)의 길이로 3.0mm가 부여되었을 경우 손잡이부(108) 틈새 높이인 H는 약 8.0mm 정도가 확보된다. 그러나, 캔 뚜껑(100)과 벤딩부(202)가 형성하는 각도 A가 90도가 되기 이전에 누름부(110)가 개방부(104)를 압박하여 캔을 개방시키게 되므로 6.0mm 정도의 손잡이부(108) 틈새 높이인 H가 확보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손가락을 통하여 가해지는 힘에 따라 확보되는 손잡이부(108) 틈새 높이 H를 종래의 캔 따개(102)의 경우와 본 고안의 실시에 따라 벤딩부(202)에 천공(400)이 설치된 캔 따개(200)의 경우로 구분하여 측정한 실험 결과를 도표로 나타내면 다음 도표와 같다.
상기 도표에서, 손잡이를 당긴 높이는 캔 따개의 손잡이부(108)에 손가락을 삽입한 후 힘을 가하여 당겼을 때 상기 손잡이부(108)와 캔 뚜껑(100) 사이에 일시적으로 형성되는 틈새 높이를 말하며, 요구력은 손잡이부(108)를 일정 높이로 당길 때에 필요한 힘을 말한다.
이러한 실험에 사용된 측정 장치는 하중계인 푸시/풀 게이지(Push-Pull Gauge)이며, 요구력의 단위로는 kgf(Kilogram-force)를 사용하였다. 상기 Kgf는 1kg의 물체의 중력에 해당하는 가속력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Kgf는 N(Newton)이나 Lbf(Pound-force)로도 바꾸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1Kgf는 약 2.2046Lbf, 및 약 9.8065N이다.
상기 도표에 의하면, 손가락을 이용하여 캔 따개를 따고자 할 경우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캔 따개(200)는 벤딩부(202)의 영향으로 초기 손잡이 들기에서 종래의 캔 따개(102)의 손잡이부(108)를 당길 때 소요되는 힘의 약 75% 정도를 소모하고 6.0mm의 손잡이부(108) 틈새 높이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캔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도표에 의하면 벤딩부(202)에 천공(400)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종래의 캔 따개(102)의 손잡이부(108)를 당길 때 소요되는 힘의 약 55% 정도인 0.68Kgf만 소모하고도 6.0mm의 손잡이부(108) 틈새 높이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캔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캔 따개(200)는 유아나 노약자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캔 따개(200)는 일반인의 경우에는 손잡이부(108)를 잡아당기면서 동시에 손잡이부(108)와 캔 뚜껑(1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손가락을 손잡이부(108)의 홈으로 깊이 삽입하여 캔을 개방시키게 되므로 종래의 캔 따개(102)를 이용하여 캔을 개방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개방 속도의 차이가 없을 뿐만 아니라 손가락의 고통이나 상처가 없게 된다.
또한, 유아나 노약자 또는 손톱이 긴 여성의 경우에는 손가락이나 손톱을 이용하여 손잡이부(108)를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천천히 완만한 동작으로 살짝 당기면 벤딩부(202)의 영향으로 손잡이부(108)가 캔 뚜껑(100) 위로 조금 들려지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수회 반복하게 되면 손가락의 고통이나 상처, 손톱의 훼손 없이도 캔을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동전과 같은 보조 도구 또는 타인의 도움 없이도 자력으로 캔을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공간부(112)에 의해 둘러싸인 벤딩부(202)에 천공을 설치하여 유아나 노약자가 매우 적은 힘을 가하고도 손쉽게 캔 따개를 딸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캔 뚜껑의 일측에 구비되는 캔 따개의 평면도이다.
천공(400)을 설치하는 경우 상기 천공(400)은 공간부(112)에 둘러싸인 벤딩부(202) 내에 구비되는데, 일변은 X 라인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일변에 마주하는 변은 리벳 외주(118)로부터 0.5mm 간격을 두고 Y 라인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간격은 0.5mm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삭제
한편,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캔 따개(200)는 벤딩부(202)의 길이가 2.0mm 내지 3.0mm인 경우 천공의 길이는 2.0mm 내지 2.5mm, 폭은 2.0mm가 바람직하다. 천공(400)을 설치하게 되면 벤딩부(202)가 둘로 나누어진 모양이 되는데, 이때 각각의 벤딩부(202)의 폭은 3.0mm 범위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표를 참조하여 벤딩부(202)의 강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벤딩부(202)에 천공(400)을 설치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캔 따개(200)를 제조하여 천공(400)을 설치한 벤딩부(202)가 캔 개방에 지장이 없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모의 실험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벤딩부(202)에 천공(400)을 설치한 캔 따개(200)를 제조한 후 개방부(104)가 함몰되지 않도록 박판을 덮고, 푸시/풀 게이지를 이용하여 손잡이부(108)를 당겨보는 방법으로 상기 모의 실험을 행하였다.
통상 캔을 개방시키는데 필요한 요구력은 누름부(110)가 개방부(104)를 압박할 때 상기 누름부(110)와 상기 개방부(104)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 캔 용기의 내압, 보강 리브(Rib)의 상태 등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요구력은 일반적인 캔의 경우에는 1.4 Kgf 내지 2 Kgf 범위에서 형성된다. 그러나, 몇몇 캔의 경우에는 2.5 Kgf의 요구력이 있어야 캔을 개방시킬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실험 결과 4 Kgf 범위에 상당하는 힘의 하중에도 천공(400)을 설치한 벤딩부(202)가 파손되지 않았다. 이는 개방부(104) 함몰에 필요한 최대 요구력이 2.5 Kgf인데 견주어 벤딩부(202)에 천공(400)을 설치하여도 캔 개방시 아무런 지장을 받지 않으며, 강도에도 여유가 있음을 증명해 준다. 한편, 4 Kgf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종래의 캔 따개(102)나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캔 따개(200) 모두 리벳(106)에서 캔 따개가 탈착되게 되므로 리벳(106)과 누름부(110) 사이의 마찰시 강도가 4 Kgf 이상인 경우에는 본 실험에 있어서 별다른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
한편, 종래의 캔 따개에 있어서, 리벳(106) 주위에 형성되는 공간부(112)가 사각형 형태인 캔 따개도 있다.
도 5a는 공간부가 사각형 형태인 종래의 캔의 일면에 구비되는 캔 뚜껑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공간부가 사각형 형태인 종래의 캔 뚜껑의 일측에 구비되는 캔 따개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5a 및 상기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캔 따개의 기본 구성은 상기 도 1a에 도시한 종래의 캔 따개(102)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그러나, 이러한 캔 따개는 누름부(110) 전체가 두텁게 제작되어 누름부(110)가 상단으로, 리벳 고정부(109)가 하단으로 단을 형성한다. 또한, 누름부(110)와 리벳 고정부(109)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은 급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통상 상기 경사면은 누름부(110)와 리벳 고정부(109)에 대해 직각을 이룬다.
이러한 공간부(112)가 사각형 형태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캔 따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부가 사각형 형태인 종래의 캔 뚜껑의 일측에 구비되는 캔 따개의 평면도이다.
상기 도 5a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종래의 캔 따개에 있어서, X 라인과 Y 라인 사이의 공간인 틈새 간격은 급한 경사면을 이루는 연결 부분을 포함하므로 약 1.0mm로 형성된다. 이를 상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틈새 간격을 2.0mm 내지 3.0mm 범위로 하여 벤딩부(202)를 설치하면, 리벳(106)과 누름부(110) 사이에 충분한 크기의 벤딩부(202)가 형성되어 캔 개방시 반발력을 줄일 수 있게 되고, 기타 전술한 벤딩부(202)의 효과를 동일하게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벤딩부(202)는 전술한 도 2a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 따개(200)에 있어서 벤딩부(202)를 형성하는 경우와 같이, 공간 개시 단부(114)와 공간 종지 단부(116)를 누름부(110)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공간부(112)가 사각형 형태인 캔 따개에 있어서, 공간부(112)에 의해 둘러싸인 벤딩부(202)에 천공(40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천공(400)의 길이 방향으로 캔 따개가 리벳(106)에서 탈착되지 않게 하기 위해 천공(400)의 일변은 Y 라인에서 0.5mm 간격을 두어야 하며 타변은 X 라인에 접하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X 라인에 접하도록 설치하면 자연 급한 경사면을 이루는 부분까지 천공(400)이 설치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손가락에 힘을 많이 주지 않아도 캔 따개의 손잡이 부분으로 손가락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손톱의 파손과 같은 물리적 손상을 제거하며, 캔 음료를 개방할 때 손가락이 아프지 않도록 손가락의 자극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손가락을 삽입한 후 캔 따개의 손잡이 부분을 당기다가 놓치게 되더라도 캔 따개가 원위치로 돌아가지 않고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여 손가락을 삽입하고 다시 시도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누구나 동전과 같은 보조 도구 없이 손가락만으로 손쉽게 캔 음료를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캔의 일면에 구비되는 캔 뚜껑의 평면도,
도 1b는 종래의 캔 뚜껑의 일측에 구비되는 캔 따개의 평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캔 음료의 일면에 구비되는 캔 뚜껑의 평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캔 뚜껑의 일측에 구비되는 캔 따개의 평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캔 따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캔 뚜껑의 측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캔 따개의 동작 부분을 확대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캔 뚜껑의 일측에 구비되는 캔 따개의 평면도,
도 5a는 공간부가 사각형 형태인 종래의 캔의 일면에 구비되는 캔 뚜껑의 평면도,
도 5b는 공간부가 사각형 형태인 종래의 캔 뚜껑의 일측에 구비되는 캔 따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부가 사각형 형태인 종래의 캔 뚜껑의 일측에 구비되는 캔 따개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캔 뚜껑 102 : 종래의 캔 따개
104 : 개방부 106 : 리벳
108 : 손잡이부 109 : 리벳 고정부
110 : 누름부 112 : 공간부
114 : 공간 개시 단부 116 : 공간 종지 단부
118 : 리벳 외주 200 : 본 고안의 원터치 캔 따개
202 : 벤딩부 400 : 천공

Claims (7)

  1. 손잡이부(108)와 누름부(110)를 구비하며 캔 뚜껑(100)에 리벳(106)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부(108)를 작동시켜 상기 누름부(110)로 상기 캔 뚜껑(100)에 구비된 개방부(104)를 함몰 개방시키는 캔 따개에 있어서,
    상기 리벳(106)에 의해 고정되는 리벳 고정부(109)의 주변에는 공간 개시 단부(114)와 공간 종지 단부(116)를 구비한 공간부(112)가 형성되되, 상기 공간 개시 단부(114)와 상기 공간 종지 단부(116)를 상기 누름부(110)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여 벤딩부(202)를 구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원터치 캔 따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 따개는, 상기 누름부(110)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원터치 캔 따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110)는, 상기 연장 형성되는 길이가 1.5mm 내지 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원터치 캔 따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 따개는, 상기 공간부(112)가 사각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원터치 캔 따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202)는, 상기 공간 개시 단부(114)와 상기 공간 종지 단부(116)를 연결하는 X 라인과 상기 X 라인에 평행하며 리벳 외주(118)에 접하는 Y 라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X 라인과 상기 Y 라인 사이의 간격이 2.0mm 내지 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원터치 캔 따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202)에는, 천공(4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원터치 캔 따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400)은, 일변이 상기 X 라인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일변에 마주하는 변이 상기 리벳 외주(118)로부터 0.5mm 간격을 두고 상기 Y 라인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원터치 캔 따개.
KR20-2005-0026516U 2005-09-14 2005-09-14 개방이 용이한 원터치 캔 따개 KR200402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516U KR200402552Y1 (ko) 2005-09-14 2005-09-14 개방이 용이한 원터치 캔 따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516U KR200402552Y1 (ko) 2005-09-14 2005-09-14 개방이 용이한 원터치 캔 따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552Y1 true KR200402552Y1 (ko) 2005-12-05

Family

ID=43703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516U KR200402552Y1 (ko) 2005-09-14 2005-09-14 개방이 용이한 원터치 캔 따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5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955A1 (ko) * 2017-06-15 2018-12-20 고한덕 원터치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955A1 (ko) * 2017-06-15 2018-12-20 고한덕 원터치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512262A (ja) より容易に開口し、衛生性の高められた缶蓋構造
KR200402552Y1 (ko) 개방이 용이한 원터치 캔 따개
CA1220192A (en) Beverage can opener tool
JPH10181743A (ja) 開缶装置
US7363837B1 (en) Pop, pry and peel can opener
US20040163494A1 (en) Opener for variety of ring-pull containers
JP3141079U (ja) ステイオンタブ方式の缶蓋
JP4600789B1 (ja) シール等剥がし具
JP3178258U (ja) プルタブ起し治具
KR100543975B1 (ko) 개방이 용이한 음료캔
JP4895573B2 (ja) 開口容易缶蓋のタブおよびタブの成形方法
JP6644400B1 (ja) 缶オープナ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開缶方法。
KR200207450Y1 (ko) 탭리프터를 구비한 캔 개봉장치
KR200273107Y1 (ko) 음료수 캔의 개봉 탭
JP2663365B2 (ja) 容易開口罐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87924B2 (ja) 缶開け器具
CN215591294U (zh) 易开罐的拉环
KR200352952Y1 (ko) 오픈 기능성이 향상된 캔뚜껑의 구조
JPS5836673Y2 (ja) 金属缶
JP3088995U (ja) 缶容器の開口用タブ
JP3050345U (ja) プルタブ缶
JP3135451U (ja) ステイオンタブ式缶蓋
JP6200702B2 (ja) 缶切り器
JP3078323U (ja) ビール、ジュース等の飲料缶
JP3080370U (ja) 容器開放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