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1737A -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복합 폴리아미드 막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복합 폴리아미드 막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1737A
KR20010031737A KR1020007004801A KR20007004801A KR20010031737A KR 20010031737 A KR20010031737 A KR 20010031737A KR 1020007004801 A KR1020007004801 A KR 1020007004801A KR 20007004801 A KR20007004801 A KR 20007004801A KR 20010031737 A KR20010031737 A KR 20010031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treatment
ppm
flow rate
chlo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스스티븐디.
스터츠케니쓰제이.
페릿토마이클에스.
마이콜스윌리엄이.
Original Assignee
그래햄 이. 테일러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래햄 이. 테일러,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filed Critical 그래햄 이. 테일러
Publication of KR20010031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73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3Chemical mo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5In situ manufacturing by polymerisation, polycondensation, cross-linking or chemical re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5In situ manufacturing by polymerisation, polycondensation, cross-linking or chemical reaction
    • B01D69/1251In situ manufacturing by polymerisation, polycondensation, cross-linking or chemical reaction by interfacial polyme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6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복합 폴리아미드 역삼투막을 유량이 증가하고 염 통과량이 저하되며 염기에 대한 안정성이 증가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200 내지 10,000ppm 농도의 수성 염소화제로 처리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염소 처리에 노출시키기 전에, 당해 막을 40 내지 100℃로 가열한 물로 처리한다.

Description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복합 폴리아미드 막의 처리방법{Treatment of composite polyamide membranes to improve performance}
본 발명은 복합 폴리아미드 역삼투막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염수의 정제시에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막을 처리하여 당해 막을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증가시키고 염 통과량을 저하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막을 처리하여 염기 노출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킨다.
역삼투막의 사용은 분리하고자 하는 혼합물 중에서 일정 성분들의 통과를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당해 막의 능력에 기초를 둔다. 염수(예: 해수)의 정제에 있어서, 염수는 공급 용액에서 염의 통과량을 최소화하면서 막을 통과하는 물의 유효한 투과를 야기하는 압력하에 역삼투막의 한 면과 접촉한다.
염수 역삼투막의 효율은, 주로 높은 염수 유량과 낮은 염 통과량과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지만, 또한 염수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 또는 첨가제로부터의 화학 공격을 견디는 능력에 의존한다. 염소에의 장기간 노출은 막의 분해와 당해 막을 사용하는 염수 정제 공정에서의 필연적인 막의 파괴를 야기하는 것으로 익히 공지되어 있다. 또한, 막에 대한 염소의 작용은 막의 화학 구조에 의존하는 것으로 익히 공지되어 있다. 이는 염소가 중합체와 반응할 수 있는 다수의 상이한 자리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막에서 특별히 유효하다. 폴리아미드 막이 공격을 받는 정도는 폴리아미드 제조시에 사용되는 특정한 산과 아민에 의존한다.
물 정제시에 사용되는 막은 또한 넓은 범위의 산과 염기 조건, 즉 광범위한 pH에서 물을 정제하며 보다 혹독한 조건하에서 주기적으로 세정된다. 이러한 세정은 생물학적 오염을 제거하고 또한 막으로부터 기타 콜로이드성 미립 물질들을 유리시키기 위해 높은 pH에서 수행된다. 장기간의 염기 안정성은 또한 매우 바람직한 특성이다. 초정제수 시스템 등의 수많은 용도에 있어서, 가능한 한 높은 pH에서 수행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이러한 높은 pH에서는 수중의 기타의 용질, 예를 들면, 용해된 붕소 및 실리카 함유 화합물 또는 착물 및 유기 탄소 함유 화합물의 투과가 상당히 낮아지기 때문이다.
폴리아미드 막은 역삼투 공정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다공성 기판에 폴리아미드 분별 층을 갖는 각종 막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되는 교시인 미국 특허공보 제4,277,344호('344)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막은 이관능성 방향족 아민(예: m-페닐렌 디아민)과 임의로 이관능성 아실 할라이드를 함유할 수도 있는 삼관능성 방향족 아실 할라이드(예: 트리메소일 클로라이드 및 1,3,5-사이클로헥산 트리카보닐 클로라이드)와의 계면 중합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막은 또한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되는 교시인 미국 특허공보 제4,520,044호와 미국 특허공보 제4,606,943호에 추가로 예시되어 있다.
막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처리방법은 다수의 특허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위에 언급되어 있는 '344에는, 폴리아미드 막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차아염소산염의 농도를 기준으로 하여, pH 8 내지 9에서 염소 방출제(예: 차아염소산염)의 용액을 사용하는 당해 막의 후처리가 기재되어 있다. 염 제거(salt rejection)와 물의 유량(water flux)을 증가시키기 위해, pH 6 내지 13에서 아민 및 특히 트리아민과 염소 또는 염소 발생제와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축합에 의해 수득한 폴리아미드를 기준으로 하는 특정한 복합 폴리아미드 박막의 처리방법이 미국 특허공보 제5,051,178호에 기재되어 있다. pH 10.3에서 잔류 염소를 함유하는 수용액과 하나의 단량체로서 트리아미노 벤젠을 사용하는 복합 폴리아미드 박막을 처리하여 염 제거를 포기하는 대신 막의 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미국 특허공보 제4,761,234호에 기재되어 있다.
선행 기술에는, 산화제와 특히 염소 방출제를 사용하여 막을 처리함으로써 폴리아미드 막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당해 막을 특징짓는 상당한 기타 성능의 손실을 야기하는 것으로 입증되어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는, 생성된 막의 염기에 대한 안정성을 포함하는 복합 폴리아미드 막의 성능 특성에서 임의의 염소 처리제의 염기도 또는 pH의 의미가 인식되지 않았다. 따라서, 유량과 염 제거를 모두 증가시키는 폴리아미드 막의 처리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염 통과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높은 염기 조건하에 수행할 수 있는 역삼투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염 이외의 수중 불순물에 대해 탁월한 성능을 나타내는 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어되는 높은 pH, 온도, 시간 및 농도 조건하에 염소 함유 용액을 사용하여 폴리아미드 막을 사용 전에 처리함으로써, 유량이 증가하고 염 통과량이 저하되며 염기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된 역삼투 복합 폴리아미드 막을 제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m-페닐렌 디아민(MPD)과 트리메소일 클로라이드(TMC)와의 계면 중합된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역삼투 복합막을 실온에서 유량 증가와 염 통과량 저하를 모두 달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일반적으로는 10분 내지 5시간의 범위 내에서 차아염소산 이온 용액을 200 내지 10,000ppm 사용하여 pH 10.5 이상에서 처리하는 경우에 달성된다. 놀랍게도, pH 10.5 이상에서 처리되는 막은 낮은 pH에서 처리되는 막에 비하여 염기에 대한 장기간 안정성이 증가하고 막의 유량 특성과 염 통과 특성을 충분히 유지하여 처리되지 않은 막에 비하여 탁월한 것으로 밝혀졌다.
MPD와 TMC와의 계면 중합에 의해 수득한 역삼투막, 예를 들면, 필름 테크(Film Tec)가 FT-30 막 및 부재로서 시판하는 역삼투막의 성능 특성이 차아염소산 이온 형태의 염소에 대한 제어된 노출에 의해 유리하게 변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는, 미처리 막에 비하여 유량이 증가하고 염 통과량이 저하된 막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하여 처리된 막은 낮은 pH에서 처리되는 막에 비하여 강염기 노출에 대한 안정성이 증가하고 높은 pH에서 막의 유량 특성과 염 통과 특성을 충분히 유지하여 미처리 막에 비하여 탁월하다. 이는, 막을 다공성 기판 위에 평면 쉬트 형태 또는 부재 형태로 형성시킨 후, 10.5 이상의 pH에서 차아염소산염 용액과 접촉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최적 노출 시간은 사용되는 차아염소산염의 농도 및 온도에 의존한다. 실온에서, 언급한 목표를 달성하는 조건은 일반적으로 10분 내지 5시간의 범위 내에서 염소로서 측정한 차아염소산염 200 내지 10,000중량ppm의 농도인 것으로 밝혀졌다. 차아염소산염의 바람직한 농도는 500 내지 7,000중량ppm이고 바람직한 노출 시간은 30분 내지 3시간이다.
당해 처리로부터 발생하는 성능 특성(유량, 염 통과량, 염기 안정성)은 주로 ppm-hrs., 처리 지속기간의 생성물 및 농도에 의존한다. 그러나, 처리 도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경쟁 반응으로 인해, 막의 성능에 대한 반응 효과 면에서 처리 시간과 처리 농도를 간단하게 변경시킬 수는 없으며, 이들 조건의 최적의 조합은 실험을 통하여 얻어야 한다. 이는, 처리 조건에 보다 많이 의존하는 염기 안정성의 향상에 있어서 특별히 유효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막은 본 발명의 염소 처리에 노출되기 전에 열 처리된다. 당해 막은 40 내지 100℃의 온도에서 30초 내지 24시간 동안 수중 가열된다. 열 처리에 의해, 염 통과량이 추가로 저하되며, 제거되지 않을 경우 염소 처리의 유리한 결과를 방해할 수 있는 막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이 제거된다.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 상기한 두 가지 처리 조건은 상기한 범위 내에서, 상기한 두 가지 처리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서 염 통과량이 개선되는 한편, 유량은 유지되거나 개선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두 가지의 처리를 수행하는 순서가 중요한데, 그 이유는 막의 열처리를 염소 처리와 동시에 또는 염소 처리에 이어서 수행하는 경우에는 막을 먼저 열 처리하고 이어서 염소 처리하는 경우에 얻어지는 개선된 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막은 MPD와 TMC와의 계면 중합에 의해 수득한 막이다. MPD와 TMC는 주된 공단량체이지만, 추가의 디아민과 디애시드 할라이드(diacid halides)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디애시드 할라이드와 디아민은,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공보 제4,277,377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추가의 디애시드 할라이드와 디아민은 폴리아미드 각각의 산 및 디아민 성분의 4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미만을 구성한다.
청구된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개선된 결과는 염소와 중합체와의 경쟁 반응의 결과이며 염소화 중합체 쇄의 추가의 반응은 염소화의 발생에 의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염소화의 메카니즘은 문헌[참조: Glater et al., Desalination, 95 (1994) 324-345 및 여기서 인용되는 참고문헌]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폴리아미드의 구조는 유량, 염 통과량 및 염기 안정성에서의 바람직한 개선을 달성하는 경우에 중요하다.
본 발명을 다음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않된다.
실시예 1
물을 약 60g/㎡ 함유하는 폴리설폰 기판을 MPD 2.5중량%에 침지시키고, 이를 미국 특허공보 제4,277,344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TMC 약 0.1중량%와의 계면 중합체 의해 반응시킨다. 이어서, 막을 3.5중량%의 글리세린욕에 침지시키고, 일련의 롤러들로 통과시켜 과량의 유액을 제거한 다음 85℃의 온도에서 약 5분 동안 오븐 건조시킨다(당해 막은 또한 ″필름 테크″ 80720 부재로서 시판된다). 생성되는 지지된 역삼투막으로부터 절단한 이중 쿠폰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다양한 pH 농도에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1,000ppm 함유하는 수용액에 침지시킨다. 막을 역삼투에 사용하기 전에, 차아염소산염에의 노출을 수행한다. 노출된 쿠폰을 정제수(pure water)로 세정하고, 실온에서 225psi의 인가 압력하에서 염(염화나트륨)을 2,000ppm 함유하는 수용액을 사용하여 염 통과량과 유량을 시험한다. 수중 침지시켜 차아염소산염 용액으로 처리하지 않은 쿠폰을 비교 목적으로 시험한 결과, 유량이 33.7gfd[갤런(gallon)/ft2/일]이고 염 통과량이 1.64%인 것으로 밝혀졌다. 표 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pH 9에서 위와 같이 처리한 막은 최초의 미처리 막보다는 유량이 증가하고 염 통과량이 저하되며 낮은 pH에서의 처리한 막보다는 유량이 증가한다.
염소 처리 유량(gfd) 염 통과량(%)
염소 처리 않함 33.7 1.64
pH 4 12.2 13.42 0.14, 0.25
pH 7 19.88, 20.15 0.35, 0.36
pH 8 31.28, 25.30 0.61, 0.58
pH 9 37.37, 36.72 0.75, 0.82
pH 10 42.69, 42.40 0.87, 0.80
pH 11 48.37, 45.99 1.03, 1.01
실시예 2
실시예 1의 출발 역삼투막 쿠폰을 pH 12에서 1시간 동안 차아염소산염 용액 1,000ppm에 침지시키고, 미처리 막과 비교한다. 쿠폰 전부를 잘 세정하고, pH 7에서 1.5M 염산, 0.1M 수산화나트륨 또는 1.5시간 동안 수중 침지시킨다. 이어서, 225psi의 인가 압력하에서 염 용액을 2,000ppm 사용하여 생성된 쿠폰의 유량 및 염 통과량을 시험한다. 수 침지된 막의 유량은 30.4gfd이고 염 통과량은 1.61%이다. 차아염소산염 처리된 막의 유량은 36.5gfd이고 염 통과량은 0.75%이다. 표 Ⅱ의 아래 데이타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아염소산염 막은 산 및 염기 노출하에서도 유량과 염 통과량이 증가한다.
염소 처리 산 침지 염기 침지 수 침지
염소 처리 않함 유량(gfd) 29.9 30.9 30.4
염 통과량(%) 1.44 1.46 1.61
pH 12 유량(gfd) 36.0 37.5 36.5
염 통과량(%) 0.74 0.93 0.75
실시예 3
실시예 1의 출발 역삼투막 쿠폰을 pH 7 내지 13에서 1시간 동안 차아염소산염 용액 1,000ppm에 침지시킨다. 이어서, 쿠폰을 16시간 동안 0.1M 수산화나트륨에 노출시킨다. 이어서, 225psi의 인가 압력하에서 염 용액을 2,000ppm 사용하여 시험하기 전에, 쿠폰을 세정하여 5시간 동안 수중 정치시킨다. 다음 표 Ⅲ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pH 10.5 이상에서 처리한 막은 단지 미처리 막에 비하여 유량이 증가하고 염 통과량이 저하된다.
염소 처리 유량(gfd) 염 통과량(%)
염소 처리 않함 32.1 1.65
pH 7 95.923 4.15
pH 9 62.819 2.11
pH 10 61.771 2.09
pH 11 47.677 1.49
pH 12 42.374 1.00
pH 13 41.733 0.995
실시예 4
시판되는 ″필림 테크″ 수도물 역삼투 부재를 pH 12에서 표 Ⅳ에 나타내는 상이한 시간 동안 차아염소산염 용액 1,000ppm에 노출시킨다. 처리 이전 및 이후에, 부재 전부를 225psi의 인가 압력하에서 염 용액을 2,000ppm 사용하여 시험한다. 평균하면, 처리하기 전에 부재의 유량은 322갤런/일(gpd)이고 염 통과량은 0.5%이다. 미처리 막을 재시험하는 경우, 미량의 유량 증가가 관찰된다. 모든 경우, 처리의 결과, 염 통과량은 명목상 저하된다. 표 Ⅳ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량 증가의 증가량은 처리 시간에 따라 상당량 증가한다.
처리 시간(hrs) 0 0.5 1 4 8
유량 증가(갤런/일) 10.3, 14.4 71.9 114.1 146.7 202.5
실시예 5
″필름 테크″ 99755 부재의 막으로서 시판되는, 다공성 폴리설폰 기판 위에의 TMC와 MPD와의 계면 중합에 의해 수득한 역삼투막 쿠폰을 6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수중 침지시킨다. 이어서, 상당량의 쿠폰을 pH 12에서 1시간 동안 차아염소산염 용액 1,000ppm에 침지시킨다. 미처리 쿠폰을 단지 열처리하고, 단지 차아염소산염 처리한 다음, 225psi의 인가 압력하에서 염 용액을 2,000ppm 사용하여 시험하여 유량 및 염 통과량과 비교한다. 표 Ⅳ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합된 열 처리와 차아염소산염 처리 결과, 단독으로 처리한 막보다 유량이 증가하고 염 통과량이 저하된다.
처리 유량(gfd) 염 통과량(%)
미처리 47.5 1.78
열 처리 35.9 1.3
염소 처리 48.8 0.8
열 + 염소 처리 52.4 0.69
실시예 6
실시예 5의 역삼투막 쿠폰을 실온에서 pH 12에서 수시간 동안 표 Ⅵ에 나타낸 농도에서 차아염소산염으로 처리한다. 이어서, 상당량의 쿠폰을 62시간 동안 0.1M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한다. 이어서, 쿠폰 전부를 225psi의 인가 압력하에서 염 2,000ppm으로 처리한다. 표 Ⅵ의 데이타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염기 전체에 노출되지 않은 쿠폰은 동일한 ppm-시간에 대해 유량과 염 통과량이 유사하다. 염기에 노출된 쿠폰은 유량과 염 통과량이 모두 증가함을 나타낸다.
시간 및 농도 염기 처리 ppm/hrs 유량(gfd) 염 통과량(%)
미처리 염기 처리 하지 않음 0 45.43 1.64
1시간, 4,000ppm 염기 처리 하지 않음 4,000 55.99 0.56
2시간, 2,000ppm 염기 처리 하지 않음 4,000 57.22 0.54
1시간, 4,000ppm 염기 처리 함 4,000 73.85 1.47
2시간, 2,000ppm 염기 처리 함 4,000 74.57 1.24
1시간, 10,000ppm 염기 처리 하지 않음 10,000 58.80 0.74
5시간, 2,000ppm 염기 처리 하지 않음 10,000 62.27 0.74
본 발명의 막은 초정제수를 제조하기 위해 물의 정제시 뿐만 아니라 담함수(brackish water)로부터 음료수의 제조시에 특별히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의해 처리한 막의 다른 이점은 높은 pH에서 안정하며, 이는 사용 도중에 막의 반복 세정을 허용한다.

Claims (9)

  1. m-페닐렌 디아민과 트리메소일 클로라이드를 다공성 기판 위에서 계면 중합에 의해 반응시켜 복합막을 형성시키는 단계(a)와
    당해 복합막을 미처리 막에 비하여 유량이 증가하고 염 통과량이 저하된 막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10.5 이상의 pH에서 차아염소산 이온을 200 내지 10,000ppm 함유하는 용액에 노출시키는 단계(b)를 포함하여, 미소 다공성 기판 위에서 복합막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염소 함유 용액이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막이 염소 함유 용액과 접촉되기 전에, 4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수중 침지되어 열 처리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10.5 내지 13의 pH에서 처리되고 염소 농도가 500 내지 7,000ppm이며 노출 시간이 30분 내지 3시간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막이 유일한 단량체들인 m-페닐렌 디아민과 트리메소일 클로라이드와의 계면 중합에 의해 수득되는 방법.
  6. 제1항에 따르는 막.
  7. 제6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가 필수적으로 m-페닐렌 디아민과 트리메소일 클로라이드와의 계면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지는 막.
  8. 제5항에 있어서, 복합 폴리아미드가 미처리 막에 비하여 유량이 증가하고 염 통과량이 저하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실온에서 차아염소산 이온을 500 내지 7,000ppm 함유하는 용액에 노출되는 막.
  9. 제3항에 따르는 막.
KR1020007004801A 1997-11-04 1998-10-19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복합 폴리아미드 막의 처리방법 KR200100317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64,441 US5876602A (en) 1997-11-04 1997-11-04 Treatment of composite polyamide membranes to improve performance
US8/964,441 1997-11-04
PCT/US1998/022128 WO1999022836A2 (en) 1997-11-04 1998-10-19 Treatment of composite polyamide membranes with hypochlorite to improve perform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737A true KR20010031737A (ko) 2001-04-16

Family

ID=25508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801A KR20010031737A (ko) 1997-11-04 1998-10-19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복합 폴리아미드 막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76602A (ko)
EP (1) EP1053052A2 (ko)
JP (1) JP2001521808A (ko)
KR (1) KR20010031737A (ko)
AU (1) AU1103799A (ko)
CA (1) CA2309149A1 (ko)
TW (1) TW483910B (ko)
WO (1) WO1999022836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899B1 (ko) * 2006-08-25 2009-08-05 본트론 멤브란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내산화성 복합체 역삼투막
CN106999865A (zh) * 2015-01-29 2017-08-01 日东电工株式会社 复合半透膜、螺旋型分离膜元件、及其制造方法
US11517861B2 (en) 2018-07-09 2022-12-06 Lg Chem, Ltd. Water treatment separation membrane, water treatment module compri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280A (ja) * 1999-05-27 2000-12-05 Nitto Denko Corp 複合逆浸透膜の製造方法
JP4289757B2 (ja) * 2000-03-23 2009-07-01 日東電工株式会社 複合逆浸透膜の製造方法
US6337018B1 (en) 2000-04-17 2002-01-08 The Dow Chemical Company Composite membran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081202B2 (en) * 2001-03-19 2006-07-25 Nitto Denko Corporation Composite semipermeable membrane,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JP4247881B2 (ja) * 2001-03-19 2009-04-02 日東電工株式会社 複合半透膜、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水処理方法
US20030230531A1 (en) * 2002-06-13 2003-12-18 Hydranautics And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for reducing boron concentration in high salinity liquid
EP1551771A1 (en) * 2002-06-13 2005-07-13 Hydranautics Methods for reducing boron concentration in high salinity liquid
NL1030288C2 (nl) * 2004-10-29 2006-10-09 Toray Industries Semipermeabel composietmembraan, productiewerkwijze daarvan, en element, fluïdumscheidingsinstallatie en werkwijze voor behandeling van water onder toepassing van hetzelfde.
US10618013B2 (en) * 2005-03-09 2020-04-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anocomposite membran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7727434B2 (en) * 2005-08-16 2010-06-01 General Electric Company Membranes and methods of treating membranes
US8028842B2 (en) * 2006-01-18 2011-10-04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Chlorine resistant desalination membranes based on directly sulfo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 copolymers
WO2007100731A2 (en) * 2006-02-24 2007-09-07 Nanovibronix Inc. System and method for surface acoustic wave treatment of medical devices
US20070251883A1 (en) * 2006-04-28 2007-11-01 Niu Q Jason Reverse Osmosis Membrane with Branched Poly(Alkylene Oxide) Modified Antifouling Surface
JP4838352B2 (ja) * 2006-05-12 2011-12-14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改質膜
JP2010508140A (ja) * 2006-10-27 2010-03-18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逆浸透薄膜のためのミクロおよびナノ複合支持体構造
US7905361B2 (en) * 2007-02-05 2011-03-1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Modified polyamide membrane
US7806275B2 (en) * 2007-05-09 2010-10-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Interior, The Bureau Of Reclamation Chlorine resistant polyamides and membranes made from the same
US20100224555A1 (en) * 2007-09-21 2010-09-09 Hoek Eric M V Nanocomposite membran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8177978B2 (en) 2008-04-15 2012-05-15 Nanoh20, Inc. Reverse osmosis membranes
JP5126155B2 (ja) * 2008-04-25 2013-01-23 東レ株式会社 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US8147735B2 (en) 2008-07-09 2012-04-03 Eltron Research & Development, Inc. Semipermeable polymer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01352659B (zh) * 2008-09-03 2010-12-22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聚哌嗪酰胺纳滤膜及其制备方法
US7815987B2 (en) * 2008-12-04 2010-10-19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olyamide membrane with coating of polyalkylene oxide and polyacrylamide compounds
CA2766352C (en) * 2009-06-29 2018-09-18 NanoH2O Inc. Improved hybrid tfc ro membranes with nitrogen additives
CN102596376B (zh) 2009-10-19 2014-11-19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测试螺旋卷组件的完整性的方法
JP5763662B2 (ja) 2009-10-27 2015-08-12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渦巻状巻回型モジュールの外周にテープ層を適用する方法
WO2011087536A1 (en) 2010-01-12 2011-07-2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of testing spiral wound modules by thermal imaging
US8721942B2 (en) * 2010-03-10 2014-05-1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membrane including coating of polyalkylene oxide and acetophenone compounds
WO2011119280A1 (en) * 2010-03-24 2011-09-2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piral wound filtration module
WO2011136865A1 (en) 2010-04-26 2011-11-0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amide membrane with a coating comprising polyalkylene oxide and triazine compounds
US8757396B2 (en) 2010-05-24 2014-06-2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membrane with coating comprising polyalkylene oxide and oxy-substituted phenyl compounds
WO2011149571A1 (en) 2010-05-24 2011-12-0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amide membrane with coating comprising polyalkylene oxide and biguanide compounds
WO2011149572A1 (en) 2010-05-24 2011-12-0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amide membrane with coating comprising polyalkylene oxide and imidazol compounds
GB201012083D0 (en) 2010-07-19 2010-09-01 Imp Innovations Ltd Thin film composite membranes for separation
US8357300B2 (en) 2010-08-16 2013-01-22 Hydranautics Methods and materials for selective boron adsorption from aqueous solution
JP5968328B2 (ja) 2010-11-10 2016-08-10 ナノエイチツーオ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非金属添加剤を含む改良された混成tfcro膜
KR101920194B1 (ko) 2011-01-24 2019-02-08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복합 폴리아미드 막
US8778182B2 (en) 2011-07-28 2014-07-1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piral wound element and seal assembly
CN103764264B (zh) 2011-08-31 2016-11-16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源自包含胺反应性官能团和含磷官能团的单体的复合聚酰胺膜
US9029600B2 (en) 2011-09-29 2015-05-1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preparing high purity mono-hydrolyzed acyl halide compound
GB201117950D0 (en) 2011-10-18 2011-11-30 Imp Innovations Ltd Membranes for separation
ES2806675T3 (es) 2012-01-06 2021-02-18 Ddp Specialty Electronic Mat Us Inc Método de preparación de una membrana de poliamida de material compuesto
IN2012DE01027A (ko) 2012-04-03 2015-07-31 Council Scient Ind Res
CN104470629B (zh) 2012-07-19 2016-12-07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源自于多官能胺以及不同的多官能胺‑反应性单体的组合的膜
US9056284B2 (en) 2012-08-10 2015-06-1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Interior Chlorine resistant amides, polyamides, and membranes made from the same
CN104918687A (zh) 2013-01-14 2015-09-16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使用非极性溶剂的掺合物经由界面聚合制造复合聚酰胺膜
CN104918688B (zh) 2013-01-14 2016-12-14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包含经取代苯甲酰胺单体的复合聚酰胺膜
US9289729B2 (en) 2013-03-16 2016-03-2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polyamide membran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 containing acyl halide monomer
US9051227B2 (en) 2013-03-16 2015-06-0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In-situ method for preparing hydrolyzed acyl halide compound
US9051417B2 (en) 2013-03-16 2015-06-0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solubilizing carboxylic acid-containing compound in hydrocarbon solvent
US9387442B2 (en) 2013-05-03 2016-07-1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polyamide membrane derived from an aliphatic acyclic tertiary amine compound
CN103331110B (zh) * 2013-05-27 2015-03-04 天津工业大学 一种抗污染耐氯聚酰胺反渗透复合膜及制备方法
WO2015084511A1 (en) 2013-12-02 2015-06-1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polyamide membrane post treated with nitrious acid
EP3077089B1 (en) 2013-12-02 2018-02-2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of forming a composite polyamide membrane treated with dihyroxyaryl compounds and nitrous acid
US9616392B2 (en) 2014-01-09 2017-04-1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polyamide membrane having high acid content and low azo content
KR102273550B1 (ko) 2014-01-09 2021-07-07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아조 함량 및 높은 산 함량을 갖는 복합 폴리아미드 막
US9555378B2 (en) 2014-01-09 2017-01-3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polyamide membrane having preferred azo content
JP2017513703A (ja) 2014-04-28 2017-06-01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亜硝酸で後処理される複合ポリアミド膜
US9943810B2 (en) 2014-05-14 2018-04-1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polyamide membrane post-treated with nitrous acid
CN107074599B (zh) 2014-10-29 2023-07-07 Ddp 特种电子材料美国有限责任公司 包括超滤模块和阳离子交换树脂的水处理装置
AU2016218454A1 (en) 2015-02-11 2017-09-1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ubmerged hyperfiltration system
US9861940B2 (en) 2015-08-31 2018-01-09 Lg Baboh2O, Inc. Additives for salt rejection enhancement of a membrane
US9737859B2 (en) 2016-01-11 2017-08-22 Lg Nanoh2O, Inc. Process for improved water flux through a TFC membrane
US10155203B2 (en) * 2016-03-03 2018-12-18 Lg Nanoh2O, Inc. Methods of enhancing water flux of a TFC membrane using oxidizing and reducing agents
JP6939742B2 (ja) * 2018-03-29 2021-09-22 栗田工業株式会社 選択性透過膜、その製造方法及び水処理方法
US11534719B1 (en) * 2021-07-02 2022-12-27 Gradiant Corporation Membranes with controlled porosity for serial filt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7344A (en) * 1979-02-22 1981-07-07 Filmtec Corporation Interfacially synthesized reverse osmosis membrane
US4520044A (en) * 1984-07-30 1985-05-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duction of composite membranes
US4661254A (en) * 1985-05-23 1987-04-28 Uop Inc. Chlorine-resistant semipermeable membranes
US4761234A (en) * 1985-08-05 1988-08-02 Toray Industries, Inc. Interfacially synthesized reverse osmosis membrane
JPS6354905A (ja) * 1986-08-25 1988-03-09 Toray Ind Inc 半透性複合膜の製造方法
JPH01180208A (ja) * 1988-01-11 1989-07-18 Toray Ind Inc 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膜
US4913816A (en) * 1988-05-04 1990-04-03 Ionics Incorporated Chlorine tolerant composite semipermeable membrane
DE69132403T2 (de) * 1990-03-27 2001-03-29 Toray Industries Zusammengesetzte membran
JPH05329344A (ja) * 1992-06-01 1993-12-14 Nitto Denko Corp 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JPH0780260A (ja) * 1993-09-14 1995-03-28 Toray Ind Inc 逆浸透膜および逆浸透膜分離素子の処理方法
JPH0780262A (ja) * 1993-09-14 1995-03-28 Toray Ind Inc 逆浸透膜および逆浸透膜分離素子の処理方法
JPH0780259A (ja) * 1993-09-14 1995-03-28 Toray Ind Inc 逆浸透膜および逆浸透膜分離素子の処理方法
JPH0780261A (ja) * 1993-09-14 1995-03-28 Toray Ind Inc 逆浸透膜および逆浸透膜分離素子の処理方法
US5693227A (en) * 1994-11-17 1997-12-02 Ionics, Incorporated Catalyst mediated method of interfacial polymerization on a microporous support, and polymers, fibers, films and membranes made by such method
US6171497B1 (en) * 1996-01-24 2001-01-09 Nitto Denko Corporation Highly permeable composite reverse osmosis membra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899B1 (ko) * 2006-08-25 2009-08-05 본트론 멤브란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내산화성 복합체 역삼투막
CN106999865A (zh) * 2015-01-29 2017-08-01 日东电工株式会社 复合半透膜、螺旋型分离膜元件、及其制造方法
US11517861B2 (en) 2018-07-09 2022-12-06 Lg Chem, Ltd. Water treatment separation membrane, water treatment module compri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76602A (en) 1999-03-02
EP1053052A2 (en) 2000-11-22
JP2001521808A (ja) 2001-11-13
WO1999022836A3 (en) 1999-10-28
AU1103799A (en) 1999-05-24
CA2309149A1 (en) 1999-05-14
WO1999022836A2 (en) 1999-05-14
TW483910B (en) 200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1737A (ko)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복합 폴리아미드 막의 처리방법
EP0880401B1 (en) Method of treating polyamide membranes to increase flux
EP0117919B1 (en) A membrane treatment method for semipermeable membranes
EP1839731B1 (en) Composite polyamide reverse osmosis membrane showing high boron rejec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289757B2 (ja) 複合逆浸透膜の製造方法
EP0462967A1 (en) CHLORINE-RESISTANT SEMI-PLEASANT MEMBRANES.
PT98506A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membranas de osmose inversa de multicamadas de poliamida-ureia
US4772394A (en) Chlorine-resistant semipermeable membranes
US4792404A (en) Desalination of saline water
JP2019501006A (ja) 酸化剤および還元剤を用いてtfc膜の流水量を向上させる方法
KR100692394B1 (ko) 보론 제거 기능이 있는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방법
KR101103384B1 (ko) 친수성 및 내염소성이 우수한 역삼투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4885091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hlorine-resistant semipermeable membranes
KR100850142B1 (ko) 복합 반투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수처리 방법
EP0308153B1 (en) P-xylylenediamide/diimide composite ro membranes
KR100868028B1 (ko) 내염소성 폴리아미드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CN113304619A (zh) 一种耐氯复合反渗透膜及其制备方法
CN112892235A (zh) 一种耐氯抗菌型低压聚酰胺复合纳滤膜的制备方法
JPH05329344A (ja) 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JPH0739734A (ja) 複合半透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3022411A1 (fr) Membrane composite semi-permeab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KR100539332B1 (ko) 역삼투 분리막의 염제거율 향상 방법
CA2007273A1 (en) "p-xylylenediamide/diimide composite ro membranes"
KR20000028037A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역삼투막의 제조방법
GB2139113A (en)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