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1680A - 비막으로 아연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막으로 아연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1680A
KR20010031680A KR1020007004741A KR20007004741A KR20010031680A KR 20010031680 A KR20010031680 A KR 20010031680A KR 1020007004741 A KR1020007004741 A KR 1020007004741A KR 20007004741 A KR20007004741 A KR 20007004741A KR 20010031680 A KR20010031680 A KR 20010031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nasal
gel
zinc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9323B1 (ko
Inventor
찰스 헨슬리
로버트 스티븐 데이빗슨
Original Assignee
찰스 헨슬리
로버트 스티븐 데이빗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51133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3168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찰스 헨슬리, 로버트 스티븐 데이빗슨 filed Critical 찰스 헨슬리
Publication of KR20010031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3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8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 A61K31/315Zin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막을 통해 신체에 미소유효량의 유효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점성 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막으로 아연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METHOD AND COMPOSITION FOR DELIVERING ZINC TO THE NASAL MEMBRANE}
본 발명은 신체의 혈액에 미소유효량의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막에 미소유효량의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관점에 있어서, 본 발명은 비막에 전달하는 아연을 이온상태로 유지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관점에 있어서, 본 발명은 장시간에 걸쳐 물질이 비막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유지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기는 인간에게 질병을 가장 빈번하게 일으키는 것 중의 하나이며, 실질 사망률과 경제적 손실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온 아연은 생체외 또는 생체내에서 유효한 항 코감기바이러스제로 알려져 있다.
1991년에 보고된 생체내 연구중 하나에 있어서, 이중-맹검 임상실험이 경구 투여된 글루콘산 아연/글리세린 구중정의 효과에 대해 논증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구중정은 구강내에 13.1 mmole 이온 아연 농도가 제공된 글루콘산 아연 삼수화물 179㎎에 의해 제공된 아연 23㎎이 함유되어 있다. 연구동안, 2시간 간격으로 투여된 구중정은 감기기간에서 42% 감소를 얻었으며, 구중정에 의한 치료가 감기증상이 시작되고 2일 이내에 개시되었다면 증상의 수와 심함 모두 감소되었다. 1992년에 보고된 두번째 연구(Zarmebo J. E., Godfrey J. C., Godfrey N., J Pharm Sci 1992; 81: 128-130)는 1991년 연구의 결론으로 확인되었다. 곧 이들 연구는 널리 알려지게 되었으며, 다수의 회사가 아연 구중정 감기 치료의 그들의 버전으로 판매하기 시작하였다.
아연 구중정은 감기를 치료하는데 있어서 평소에는 유용하지만, 이 구중정은 다수의 결함을 가진다. 첫번째로, 글루콘산 아연 구중정에서의 아연의 대다수는 구강에서 배출된다. 그러나, 항바이러스 활성의 주요 측면은 비강으로 생각된다(Novick S. G., Godfrey J. C., Godfrey N. J., Wilder H. R., Medical Hypothesis 1996; 46: 295-302). 이는 아연이 바이러스 ICAM-1 수용체에 결합하여 코감기바이러스가 코 점액세포에 결합하여 감염시키는 것을 억제하는 코의 통로로 이루어지는 구강내 구중정에 의해 이온 아연이 배출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구강으로부터 비강으로 이동하는 시도에 있어서 구중정내의 이온 아연 또는 다른 물질에 의한 대항은 구중정의 효과를 제한한다. 또한, 충혈된 개인에 있어서 구강으로부터 비강으로의 경로는 완전하게 막히어 구중정을 비효과적으로 만든다.
아연 구중정와 관련된 두번째 결함은 상당한 부작용이 있다는 점이다. 한 연구에서, 환자의 20%의 구역질 및 8%의 불쾌감 반응으로 불평한다(Novick S. G., Godfrey J. C., Godfrey N. J., Wilder H. R., Medical Hypothesis 1996; 46: 295-302). 구역질에 대해, 장관내 과량의 아연이 구리의 흡수를 방해하고 신체의 충분한 양의 구리의 흡수를 방해하여 다양한 바람직하지 못한 병리학상의 상태를 야기할 수 있다. 아연 구중정의 남용은 구리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구중정과 관련된 단점을 가지지 않고, 이온(음로 하전된) 아연과 다른 유효물질을 코 상피막에 전달하기 위한 겔 조성물 및 방법을 발견하였다. 조성물은 이온 아연 또는 다른 유효물질이 비막과 직접 접촉하는 상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분동안 유지하며, 아연 또는 다른 유효물질을 비막 및 비막의 혈액내로 전달한다.
겔 조성물이 호메오패딕 조성물일 때, 75중량% 내지 99.999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운반물질과 미소유효량의 유효물질을 포함한다. 겔 조성물내의 미소유효량은 유효물질 0.0000001중량% 내지 5.0중량%를 포함한다.
겔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일 때, 75중량% 내지 99.999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운반물질과 미소유효량의 유효물질을 포함한다. 미소유효량은 유효물질의 조성물내에 0.0000001중량% 내지 10.0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낮은 농도의 유효물질은 호메오패딕에만 간주되는 것이 아니라 신체에 유익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유효물질의 이러한 ″비-호메오패딕″ 농도는 이하에서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겔 조성물이 호메오패딕 조성물이고 아연이 유효물질일 때, 조성물은 0.185중량% 내지 2.8중량%(약 4mM 내지 60mM), 바람직하게는 0.9중량% 내지 2.0중량%(약 20mM 내지 44mM)의 글루콘산 아연을 포함한다. 조성물내의 각각의 0.1중량% 글루콘산 아연은 0.014중량%의 이온 아연(즉, 약 2.2mM 이온 아연)의 농도를 생성한다. 충분히 높은 농도의 이온 아연이 조성물과 비막 사이의 경계에서 조성물에 의해 생성되도록 조성물에 있어서 아연 농도의 적어도 4mM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은 2,500 내지 40,000 센티포이즈(centipoise),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20,000의 점성을 가진다. 조성물의 점도는 비막 또는 비막상의 점액과 접촉하는 비강내에서의 조성물의 유지를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점도가 2,500 센티포이즈 미만일 때는 조성물은 비강의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경향이 있다. 점도가 약 40,000 센티포이즈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두께가 조성물을 통해 비막으로 이온 아연이 확산되는 것을 간섭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개발되는 동안, 코 분사가 고려되었으며, 이러한 분사가 비강의 중력하에서 액체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고 장시간 동안 비막과 접촉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체의 낮은 점도때문에 포기되었다. 코 분사의 유효성은 통상적으로 5분 미만으로 분산할 때 유용하다. 유사하게, 면 또는 스폰지 재료로 제조된 면봉 또는 코 플러그(nose plug)가 조성물을 계속 보유하고 있고, 면봉 또는 플러그의 표면상에 있고 비막과 직접 접촉하는 조성물이 분산된후 비막과 접촉하여 조성물을 추가 공급하는 전달을 방해하기 때문에 면봉 또는 코 플러그상에 조성물을 공급하는 것은 유효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 분산은 본 발명의 개발동안 회피되었다. 아연-거동 코 분산에 대한 배경 기술에 있어서 미국특허 제5,688,532호는 항알레르기성 분사 제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분사 용액이 알레르기 상태의 포유 동물의 눈 또는 기도에 공급되는 알레르기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 및 청구하고 있다. 분사용액은 점액 막에 염증을 유발하는 농도 이하로 비독성, 항알레르기 유효량의 이온 아연을 포함한다. 분사 용액내 대부분의 이온 아연은 비 킬레이트 아연이며 자유 이온 용액의 형태로 있으며, 용액은 약 0.002% 내지 0.12%(w/v)의 아연 이온함량을 가진다. 분사 용액으로 처리된 알레르기 상태는 발열과 천식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 용액은 수용성과 염류용액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약 0.04%(w/v) 아연 이온을 가질 수 있으며; 용질로써 아연의 무기산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황산아연 및 염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용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0.05 내지 0.5㎖ 또는 0.2㎖의 분취량으로 분배될 수 있으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약제학적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약제학적 성분은 항히스타민, 후각제 및 유효성분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아스코르브산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5,688,532호는 알레르기 상태의 포유 동물에의 아연 화합물을 투여하여 알레르기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을 개시 및 청구한다. 비독성, 항알레르기 유효량의 이온 아연을 포함하는 용액을 알레르기 상태의 포유 동물의 눈 또는 기도에 분사하는 것이다. 용액은 점막에 염증을 일으키는 농도 이하로 이온 아연을 포함한다. 분사 용액내의 이온 아연의 대부분은 비 킬레이트 아연이며, 자유 이온 용액의 형태로 되어 있다. 용액은 약 0.002 내지 0.12%(w/v)의 아연 이온 함량을 가진다.
미국특허 제5,622,724호에는 비킬레이트 이온 아연 화합물의 용액을 비중독성의, 유효치료량으로 함유하는 분사용액을 투여하는 통상의 감기 치료방법이 개시 및 청구되어있다. 용액은 환자의 콧구멍 및 기도에 약 0.004 내지 약 0.12%(w/vol)농도로 비킬레이트 아연 이온을 포함한다. 용액은 수용액 및 염류용액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고; 유효량의 맛 및/또는 냄새 강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약 0.04%(w/v)의 비킬레이트 아연 이온 함량을 가질 수 있고; 또는 비킬레이트 이온 아연 화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운반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비킬레이트 이온 아연 화합물은 아연의 무기산염을 포함할 수 있고; 황산 아연 및 염화아연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염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황산 아연을 포함할 수 있다. 0.2% 이상의 농도, 특히 0.4% 이상의 농도에서 염화 아연을 이용하면, 당 분야에 공지된 바와같이, 염화아연이 부식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운반물질은 0.05% 내지 5.0중량%의 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글리세린은 아연이 비막 및/또는 비막상의 점액과 접촉할때까지 아연을 이온 상태로 유지시키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하며 중요하다. 본 발명의 개발동안 발생되는 한 문제점은 아연을 이온상태로 유지시키는 운반물질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아연을 유효물질로 이용하는 본 발명의 겔 조성물은 이온 아연이 조성물을 통하여 코 상피막 또는 상피막상의 점액으로 확산되도록 한다. 이것은 조성물의 일부가 코 상피막(막상의 점액)에 인접할 필요없이 확산을 통해 아연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이온 아연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프레쉬 부분을 용해 또는 분해 및 노출시키기 때문에 이온 아연의 연속적인 공급능력을 용이하게 한다. 언급한 바와같이, 약 40,000센티포이즈를 초과하는 조성물 점도는 조성물을 통한 아연의 확산을 방해한다고 믿어진다. 여기에서 언급되는 점도 측정은 낮은 전단율과 주어진 회전속도에서 뉴우튼 및 비뉴우튼 물질의 점도를 측정하기 위한 Brookfield Syncho-Lectric 점도계를 이용하여 얻어진다(ASTM D1824-87). 또한 점도측정과 관련된 ASTM D1084-88, ASTM D2196-86 및 또 다른 ASTM 프로토콜을 참고한다.
또한 혈액으로 미소유효량의 금속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을 알았다. 금속은 유효물질이다. 방법은 점성 운반조성물을 제공하기위한 단계를 포함한다. 운반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운반물질 90중량% 내지 99.995중량% 및 금속 1.5중량% 이하를 포함한다. 조성물은 2,500 내지 40,000센티포이즈 범위의 점도를 가진다. 방법은 비막과 직접 접촉하여 비강내에 운반조성물을 가하는 단계, 및 적어도 10분동안 비막과 운반조성물이 접촉하는 것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혈액으로 미소유효량의 유효물질을 전달시키는 향상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운반물질의 75중량% 내지 99.999중량% 및 미소유효량의 유효물질을 포함하는 점성 운반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성물은 2,500 내지 40,000센티포이즈 범위의 점도를 가진다. 또한 상기 방법은 비강에 운반조성물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강은 점액, 섬모 및 비막을 포함한다. 운반조성물은 조성물의 제1 부분이 적어도 비막에 직접 접촉하고, 조성물의 제2 부분이 비강안에서 점액과 직접 접촉하고, 조성물의 제3 부분이 비강내에서 적어도 섬모와 직접 접촉되도록 가해진다. 또한 상기 방법은 운반조성물의 제 1 부분이 비막과 접촉하는 것을 적어도 10분동안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혈액으로 미소유효량의 유효물질을 전달하고, 유효물질이 체내로 침투하는 능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액에 유효물질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향상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운반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유효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및 비강내 비막을 통하여 유효물질을 통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침투 증강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강은 또한, 점액 및 섬모를 포함한다. 그리고, 향상된 방법은 상기 운반물질 75중량% 내지 99.999중량%, 미소유효량의 유효물질 및 미소유효량의 침투증가제를 포함하는 점성 운반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운반물질, 유효물질 및 침투 강화제를 조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조성물은 2,500 내지 40,000센티포이즈 범위의 점도를 가진다. 또한 상기 방법은 조성물의 제1 부분이 적어도 비막에 직접 접촉하고, 조성물의 제2 부분이 비강내 적어도 점액과 직접 접촉하고, 조성물의 제3 부분이 비강내 섬모와 직접 접촉하도록 비강안에 운반조성물을 가하는 단계; 및 상기 운반조성물의 제1 부분이 비막과 접촉하는 것을 적어도 10분동안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혈액에 미소유효량의 유효물질을 전달하고, 유효물질이 신체와 접촉되는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막을 통해 혈액으로 유효물질을 통과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는 향상된 방법을 제공한다. 향상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운반물질 75중량% 내지 99.999중량% 및 미소유효량의 유효물질을 포함하는 점성 운반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성물은 2,500 내지 40,000센티포이즈 범위의 점도를 가진다. 또한 상기 방법은 비강안에 운반조성물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강은 비막, 섬모 및 점액을 포함한다. 조성물의 제1 부분은 적어도 비막과 직접 접촉하고, 조성물의 제2 부분은 비강안에서 적어도 상기 점액과 직접 접촉하고 및 조성물의 제3 부분은 비강안에서 적어도 섬모와 직접 접촉한다. 또한 향상된 방법은 비강안에서 섬모의 작용을 향상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미소유효량의 유효물질을 혈액으로 전달하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향상된 방법이 제공된다. 향상된 방법은 적어도 한 운반물질 75중량% 내지 99.999중량% 및 미소유효량의 유효물질을 포함하는 점성 운반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2,500 내지 40,000센티포이즈 범위의 점도를 가진다. 상기 방법은 또한 유효물질이 선택온도 및 선택압력에서 운반물질을 통해 확산되는 운반물질 확산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운반조성물이 선택온도 및 압력에서 비막과 접촉할때 유효물질이 비막을 침투하는 막 확산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운반물질 확산속도 및 막 확산속도를 포함하는 확산속도 쌍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확산속도 쌍중 하나의 확산속도가 변경되는 변형된 점성 운반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점성 운반조성물에 한 성분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를 상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모든 비율은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한 중량기준부이다.
실시예 1
겔 조성물 1ℓ는 정제수, 글리세린, 카르보폴 및 글루콘산 아연을 함께 혼합함에 의해서 제조된다. 상기 겔은 하기의 성분을 포함한다:
성분 중량비
정제수 97.0
글리세린 U.S.P. 2.0
카르보폴 940nf 0.5
글리콘산 아연(이온 아연 공급원) 1.5 (33.3mmol농도)*
*글리콘산 아연 1리터당 0.0333mol씩 증가되는, 약 450g/mol의 글루콘산 아연의 분자량은 겔 조성물의 리터당 약 15g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겔 조성물내 글루콘산 아연의 농도는 바람직하게 0.185중량% 내지 2.8중량%(약 4mM 내지 60mM)이고, 바람직하게는 0.9중량% 내지 2.0중량%(약 20mM 내지 44mM)이다. 겔 조성물내 운반물질은 소망한다면 다양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90.0 내지 99.0%의 정제수, 0.05 내지 5.0중량%의 글리세린(아연이 그의 이온상태를 유지시키는 농조화제) 및 0.000001중량%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3.0중량%의 탄수화물 또는 다른 농조화제를 함유한다. 탄수화물 농조화제는 현재 바람직하다.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농조화제는 카라기난, 당, 구아 검 및 메틸셀룰로스를 포함한다. 운반물질내 글리세린은 아연 이온을 쉽게 확산시키도록 하는 매트릭스를 제조한다. 상기 글리세린은 또한 이온 아연을 운반하도록 점막 및 코상피막으로 용해 및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아연 겔 250㎕을 건장한 39세 남자 코카서스 환자의 콧구멍에 넣는다. 그리고 실시예 1의 아연 겔 250㎕을 환자의 다른 쪽 콧구멍에 넣는다. 결과적으로 전체 500㎕의 겔을 환자의 코에 넣는다. 겔의 제1 부분을 적어도 일부의 코상피막과 접촉시킨다. 겔의 제2 부분을 환자의 코에 적어도 일부의 점막과 접촉시킨다. 겔의 제3 부분을 환자의 코에서 적어도 섬모와 접촉시킨다. 겔은 막상에서 코의 상피막, 섬모 또는 점막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한다. 4시간후에, 아연 겔이 완전히 분해된다.
실시예 3
실시예 2가 반복되지만, 환자는 하루동안 약한 감기증상을 앓았던 24세 흑인계 미국인이다. 상기 겔이 코의 상피막 또는 막의 점막 일부와 접촉시킨다. 4시간후에 아연 겔이 완전히 분해되고, 환자는 심한 감기 증상이 감소함을 발견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이 반복되지만, 본 발명의 아연 겔이 24세 흑인계 미국인에게 투여되지 않앗고, 다른 처방도 없었다. 4시간후에, 그는 심한 감기 증상이 완화되었다고 인식하지 못했다.
실시예 5
실시예 3 및 실시예 4가 반복되지만, 환자는 하룻동안 약한 감기증상이 있었던 15세 일본계 소녀이다.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6
실시예 3 및 실시예 4가 반복되지만, 치료된 환자는 2일동안 감기 증상이 있었던 15세 코카서스인 남자이다.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7
실시예 2가 반복되지만, 비점막내 아연의 농도가 아연 겔이 삽입되기 전에 측정되고, 겔의 환자의 비강에 투여된 후에 10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및 4시간에 측정된다. 하기의 결과가 얻어졌다:
측정시간 아연 농도
아연 겔 투여직전 0.003%
아연겔 투여 후 10분 0.008%
아연겔 투여 후 30분 0.01%
아연겔 투여 후 1시간 0.01%
아연겔 투여 후 2시간 0.011%
아연겔 투여 후 3시간 0.012%
아연겔 투여 후 4시간 0.012%
실시예 8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이 반복되지만, 조성물내 이온 아연의 농도는 33.3mmol 대신에 20mM이다.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9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이 반복되지만, 조성물내 이온 아연의 농도는 33.3mmol 대신에 44mM이다.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10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이 반복되지만, 조성물내 이온 아연의 농도는 33.3mmol 대신에 10mM이다.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11
실시예 1이 반복되지만, 상기 아연 겔 조성물이 카르보폴 대신에 1.5중량%의 나트로솔(NATROSOL)(TM)(히드록시에틸셀룰로즈) 및 97중량%의 정제수 대신에 96중량%의 정제수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겔 조성물내 글리세린 및 글리콘산 아연의 각각의 중량비는 변화되지 않는다.
실시예 12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7이 반복되지만, 실시예 11의 아연 겔 조성물이 실시예 1의 아연 겔 조성물 대신에 사용된다.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13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0이 반복되지만, 실시예 11의 아연 겔 조성물이 실시예 1의 아연 겔 조성물 대신에 사용되고, 아연 겔 조성물 내 실시예 11의 이온 아연 농도가 실시예 8 내지 10의 각각에서 명시된 바와 같이 변한다.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11내 사용된 나트로솔이 델라웨어주(우편번호: 19894) 노쓰 마켓 스트리트 1313의 허큘 코퍼레이션(Hercules Coporation)에서 얻어진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즈가 다른 회사에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비막을 통해서 금속, 화학적 성분 또는 다른 유효물질의 유사 농도로 혈액으로 운반하는 것이다. 상기는 물질의 특정의 선택된 적정 농도(예를들면 적은 유효량)의 운반을 요구한다. 유효물질 또는 성분이 너무 높은 농도로 혈관으로 운반시킨다면, 상기는 몸에서 미소효과를 준다. 본 발명에 따라 코막을 통해서 혈관으로 유효 물질의 적은 유효량의 운반은 금속, 화학성분, 조성물 또는 다른 유효물질을 선택된 적은 유효량으로 혈관으로 빠르게 운반할 수 있기때문에 매우 유익한 것으로 사료된다. 화학성분 또는 조성물의 경구용 유사 적정량을 운반하려는 시도는 구강에서 화학성분이 분해되기 때문에 실용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초기에, 여기에 사용된 것과 같이 유효물질이 겔 조성물에 0.0000001% 내지 5.0%의 적은 유효량의 농도로 겔 조성물에 있을 때 본 발명의 겔 조성물내 유효물질의 유사농도가 나타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같이, 금속, 화학성분 또는 다른 성분 또는 화학적 조성물은 금속, 화학성분등이 몸에서 유익한 생리학적 효과를 낸다면 유효물질이라고 생각한다. 환자의 몸으로 물질이 들어간 후에, 몸에서 유익한 생리학적 효과을 유효물질이 생성하고, 상기 유효물질은 몸의 골격계, 소화계, 호흡계, 순환계, 생식계, 비뇨기계, 내분비계, 피부 또는 신경계에 유익하다. 유효물질이 유익한 생리학적 효과를 생성시키는 한가지 방법은 몸이 질병과 싸우는 것을 돕는 것이다. 다른 방법은 몸을 고치는 것을 돕는 것이다. 다른 방법은 몸에서 계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져 있는 바와같이, 유효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타민, 미네랄, 인슐린 및 다른 폴리펩티드, 니코틴, 유전자, 유전자를 바꾸거나 또는 유전자의 형성시킬 수 있거나 또는 유전자를 무능력하게 할 수 있는 물질과, 약학적 및 치료적 물질로 이루어진 화학적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니코틴은 사람들이 담배피는 습관을 막기위해서 이용하는 담배의 니코틴을 보충시키는 경우 유효물질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는 몸에서 폐, 다른 계 및 기관에 유익하다.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운반물질은 코 겔내 유효물질 이외에 코의 겔 조성물내 모든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운반물질은 겔 조성물의 유체 성분(예를 들면 물, 오일, 알콜 등)을 함유하고, 코의 겔내 특정 농조화제(예를들면 글리세린, 카라기난, 당, 구아 검, 메틸셀룰로즈 등)를 포함하며, 투과 향상제(예를들면 리포좀, 키토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를 포함하며, 및 유효물질 대신에 특정의 다른 성분을 포함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투과 향상제는 코막을 통해서 유효물질을 통과시키는 기능을 하며, 코막을 통과할 때 유효물질이 손상되거나 바뀌는 것으로부터 보호하고 및/또는 유효물질이 코막을 통과한 후에 몸에서 소망하는 표적으로 유효물질을 운반한다. 막 투과 향상제의 예로는 리포좀, 키토산 및 시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한다. 리포좀은 약 또는 다른 유효물질을 캡슐화하고, 리포좀은 코의 상피막을 통과하는 경우 약이 손상 또는 변형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리포좀은 또한 일부의 비막으로 이루어진 세포가 들어가고, 통과하고 및 흥분함에 의해서 코의 상피막을 통과한다. 리포좀은 간에 의해서 ″볼 수 없는″ 및 간에 의해서 분해될 수 있는 ″은밀한″ 리포좀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들면 리포좀내 소량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넣어서, 리포좀을 간에 의해서 볼 수 없고 및 분해되는 은밀한 리포좀으로 리포좀을 변형시킨다. 상기 리포좀은 또한 몸에서 특정의 위치를 표적으로 삼는다. 예를들면 항원이 심근조직에서 제거되고, 항체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상기 항체는 유효물질을 운반하는 리포좀에 놓는다. 상기 리포좀이 비막을 통과하여 몸으로 들어가는 경우, 상기 항체는 리포좀내 운반되는 리포좀 및 유효물질과 함께 항체를 제조하기위해서 사용되는 항체의 종류에 상응하는 심장에서 항체를 찾는다. 프로테아제 억제제는 비막을 통해서 유효물질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기위해서 리포좀 또는 비막의 물리적 성질을 바꿈에 의해서 투과 향상제로서 작용한다. 투과 향상제는 0.000001% 내지 5.0%의 농도범위로 코의 겔내 존재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같이, 상기 매트릭스는 액체(예를들면 물, 오일, 알콜 등) 및 농조화제(카르기난, 당, 구아 검 등)를 포함한다.
비강내 아연은 충혈완화제, 점액의 방출향상제 및 새로운 점액의 생성 억제제로서 작용한다. 멘톨은 또한 충혈완화제이고, 0.000001중량% 내지 0.10중량%의 농도로 본 발명의 조성물내 첨가될 수 있다. 멘톨은 기관지 확장제이고, 폐에서의 기관을 열는데 및 점액의 방출을 돕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아연 겔이 비강으로 사용되는 경우, 아연 이온이 비강에서 점액 또는 점막으로 겔의 매트릭스로 분산된다. 이는 점액 또는 점막내 아연 농도가 코의 상피막의 바이러스 감염을 막기위해서 방벽을 생성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온 아연이 겔로부터 점막 및 다른 코의 상피세포로 흡수될 때, 겔 매트릭스는 새로운 아연이 코의 먹으로 확산되도록 한다. 겔 매트릭스를 통해 아연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는 성질과 같이 겔 매트릭스는 미셀 세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아연 겔내 아연 이온의 치료적 농도는 4mmol(mM) 내지 60mmol(mM), 바람직하게는 20mM 내지 44mM이다. 최대 44mM의 아연 농도는 아연의 높은 농도에 대해서 코의 상피막을 보호하기위해서 겔 조성물내 항산화제 또는 다른 성분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항산화제의 예로는 아스코르브산 및 SOD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겔 조성물내 항산화제의 농도는 0.000001% 내지 5.0%의 범위이다.
운반물질내 액체 성분(들)은 물, 오일(들) 및/또는 알콜(들)일 수 있다. 상기 액체 성분은 0% 내지 100% 물, 0% 내지 100% 오일, 또는 0% 내지 100%의 알콜이다. 오일의 예로는 다중불포화 오일, 오메가 3 및 오메가 6과 같은 모노포화 오일과 DHA가 있다. 알콜의 예로는 에탄올이 있다.
단독으로 또는 물 및/또는 알콜과 조합되는 오일을 사용하여 유효물질이 지용성인 경우 바람직할 수 있다. 지용성 운반 물질의 예로는 비타민 A이다. 지용성 유효물질은 전형적으로 0.000001중량% 내지 4중량%의 농도범위로 본 발명의 코 겔 조성물내 포함된다.
유화제는 본 발명의 코의 겔 조성물내 포함될 수 있고, 특히 운반물질이 물 및 오일내 함유되는 경우 포함된다. 글리세롤은 물과 오일을 조합하고, 가습화하여 막을 보호하도록 돕기때문에 유화제의 한 예이다.코의 겔 조성물내 유화제의 농도는 0.000001% 내지 5.0%가 바람직하다.
단백질, 폴리펩티드, 핵산 및 아미노산은 본 발명의 코의 겔 조성물에 대한 가능한 유효물질의 부가적인 예이다. 폴리펩티드는 단백질이 아니라, 단백질의 부분 가수분해 또는 합성에 의해서 수득되는 폴리아미드이다. 폴리펩티드는 가수분해에서 아미노산을 산출하지만, 단백질보다 더 낮은 분자량을 갖는다. 대개 비막은 단백질을 좋아하지 않으며, 비막을 통과하기위해서 가장 작은 폴리펩티드 뿐만아니라 단백질 및 폴리펩티드를 막는 경향이 있다. 상기 비막은 아미노산의 통과를 방해하는 경향있다; 그러나 몇가지 경우에, 특정의 아미노산에 대해 비막에서 운반체이기때문에 비막이 아미노산의 통과를 방해하지 않는다. 종종 효소는 폴리펩티드이다. 인슐린, 성장 호르몬 및 세크레틴과 같은 호르몬은 폴리펩티드이다. 인슐린은 폴리펩티드이다.
프로테아제 저해제와 같은 효소는 비막을 통해서 유효물질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게 때문에 투과 향상제로서 작용한다.
히드록시셀룰로즈 또는 다른 농조화제 또는 성분은 소망한다면 코의 겔 조성물내 운반물질의 점도를 증가시키기위해서 콜로이드 용액(예를 들면 현탁액)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농조화제의 바람직한 농도는 0.000001중량% 내지 5.0중량%이다.
비막내 세포들 사이의 밀착결합을 거대화 또는 느슨하게 함에 의해서 투과 향상제는 비막을 통해서 리포좀 또는 다른 투과 향상제와 같은 유효물질의 통과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로서, 한정되지는 않지만, EDTA는 킬레이트 칼슘이다. 세포 결합에서 칼슘을 제거함에 의해서, EDTA는 결합을 느슨하게하여 결합을 통해서 유효물질, 리포좀 등의 통과를 용이하게 한다. 액체 투과 향상제는 물내 아스코르브산, 물내 글리세롤, 물내 키토산 및 오일내 리소포스포리딜콜린을 포함한다. 코의 겔내 투과 향상제의 농도는 0.00001% 내지 5.0%이다.
본 발명의 겔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항산화제는 녹차 카테킨, 에피갈레이트 및 셀늄을 포함한다. 겔 조성물내 바람직한 항산화제의 농도는 0.000001% 내지 5.0%이다.
운반물질을 통한 코의 상피점막으로 또는 점액을 통해 코로 유효물질의 분산속도를 다양화 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중요하다.
비막을 통해서 유효물질의 분산속도를 증가시키기위해서, 비타민 C 또는 리포좀과 같은 투과 향상제의 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비타민 C 또는 리포좀과 같은 투과 향상제는 0.000001중량% 내지 5.0중량%의 농도로 코의 겔내 포함된다. 코의 겔이 덜 점액화되는 것은 비막을 통해서 유효물질의 분산을 증가시키는 또 다른 방법이다. 보통 유효물질 또는 유효물질을 운반하는 투과 향상제는 겔이 덜 점액성인 경우 코의 겔을 통해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유사하게, 코의 겔을 통해서 유효물질의 분산속도는 코의 겔을 통해서 유효물질의 통과 및 분산을 용이하게 하도록, 코의 겔의 점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유효물질을 운반하거나 또는 코의 겔과 접촉시킴에 의해서 코의 겔을 통해서 유효물질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는 다른 화학적 성분 또는 리포좀을 사용함에의해서 증가된다. 코의 겔을 통해서 유효물질의 확산속도는 겔내 유효물질의 농도가 겔이 비막과 접촉하거나 또는 거의 그런 경우 중요하다. 겔-비막이 접촉하는 유효물질의 겔내 농도가 나머지 겔내 유효물질의 농도보다 낮게되는 경우, 유효물질은 겔을 통해서 겔-비막 계면에서 또는 근처에서 유효물질의 농도를 풍부해지도록 하기때문에 바람직하다. 겔-비막 계면에서 또는 근처에서 유효물질의 농도는 유효물질이 겔에서 비막으로 흡수되는 경우 더 낮다. 리포좀 또는 다른 성분은 0.000001중량% 내지 5.0중량%의 농도범위로 코의 겔내 포함된다.
콧구멍내에서 점액을 통한 유효물질의 확산속도는 분해를 용이하게 하는 염 또는 아연과 같은 제제를 겔 조성물내에 사용하고, 비점액을 검조시킴으로써, 또는 점액을 통한 유효물질의 이동을 실제로 용이하게 하는 성분을 겔 조성물내에 사용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점액은 단백질이며, 비상피막과 다른 성질들을 가지고 있다. 아연 또는 염과 같은 제제들은 0.000001중량% 내지 5중량% 범위의 농도로 코 겔내에 포함될 수 있다.
비막으로의 유효물질의 확산을 용이하게 하는 다른 방법은 큰 표면적의 비막위에 코 겔을 분포시키는 것이다. 상기 용이하게 하는 한 방법은 목구멍 뒤쪽으로 코안의 점액 또는 외부물질을 밀어내거나 또는 운반하는 경향이 있는 섬모의 작용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리소자임과 같은 화학성분은 섬모의 작용을 증가시키고, 그러므로 환자의 코에 삽입된후 겔 조성물이 코로부터 뒤쪽으로 운반되고 코 통로를 통해 환자의 목구멍 뒤로 내려오는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0.00001중량% 내지 5.0중량%의 농도로 코 겔내에 포함될 수 있다. 섬모작용의 활성을 증가시키면, 코 겔이 코 통로안의 보다 넓은 표면적을 덮는 속도를 증가시킨다. 본 명세서에서와 같이, 코 통로는 각 콧구멍내 구멍으로부터 1인치의 약 1/4 내지 1/2 지점의 코 안쪽에서 시작한다. 코 통로는 환자 코의 각 콧구멍의 일부를 포함한다.
폐 또는 비막내에 본 발명의 겔내 유효물질을 흡수시키는 것은 승화에 의해 용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캠퍼 또는 요오드는 환자의 코에 겔을 삽입하기 전에 특정시간에 본 발명의 코 겔과 혼합될 수 있다. 유효물질을 승화하는 농도는 소망하는 바와 같이 다양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는 0.00001중량% 내지 5.0중량%이다.
코 겔에 있어서, 아연과 같은 유효물질은 그의 요오드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때로는 중요하다. 유효물질이 그의 요오드화 상태로 남아 있을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한 방법은 코 겔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유효물질이 그의 요오드화 상태로 남아 있을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은 유효물질이 요오드화 상태로 있을 경우 유효물질과 결합하지 않을 농조화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카르보폴은 아연과 결합하지 않으므로 보통 아연을 요오드화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소망되는 겔 조성물내 바람직한 농조화제가 아니다. 대부분의 농조화제는 아연 이온과 결합하지 않는다. 아스코르브산 또한 아연과 결합한다. 그러므로, 아스코르브산은 보통 유효물질로서 이온 아연을 포함하는 겔 조성물과 조합하여 사용되지 않는다. 글리세린은 아연 및 기타 성분들을 그의 이온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 작용한다.
코 겔이 아연 이온을 포함하고, 코감기바이러스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환자 코의 두 콧구멍내에 겔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의 혈류에 비타민을 전달하는 것과 같은 다른 환경에서, 두 콧구멍내에 겔을 넣을 필요는 없다. 한개의 콧구멍에만 사용해도 충분하다.
환자의 콧구멍에 넣을 경우, 농후시키는 코 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민감성이고, 환자 코내 증가된 온도로 인해 농후해지는 성분을 사용하는 것은 코 겔이 환자 코에 가해지는 경우 점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다른 방법은 환자 코안에 코 겔을 가하기 전에 둘 또는 그 이상의 성분들을 혼합시키는 것이다. 두 성분들은 각 성분들 이상의 점도를 가지는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코 겔은 코에 삽입할때 용해하는 캡슐 또는 기타 용기내에 포장될 수 있다. 용기가 용해할 경우, 겔은 비막과 접촉한다. 캡슐은 젤라틴, 연질의 유연한 종이같은 수용성 물질 또는, 비강에 넣을 경우 용해 또는 붕해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분해하는 기타 소망의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14
겔 조성물 1ℓ는 정제수, 글리세린, 카르보폴, 리포좀 및 인슐린을 함께 혼합하여 제조된다. 겔은 하기를 포함한다:
성분 중량%
정제수 96.5
글리세린 U.S.P. 2.0
카르보폴 940nf 0.5
인슐린 0.5
리포좀(인슐린 운반물질) 0.5
실시예 15
실시예 14의 겔 200㎕를 건장한 39세 남성 코카서스인 환자의 코 통로에 넣는다. 그후 실시예 1의 아연 겔 200㎕를 환자의 다른 코 통로에 넣는다. 그 결과, 겔 400㎕ 전체를 환자 코에 넣는다. 겔의 제1 부분은 코 상피막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한다. 겔의 제2 부분은 환자 코안의 점액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한다. 겔의 제3 부분은 환자 코안의 적어도 섬모와 접촉한다. 겔은 코 상피막, 섬모 또는 막위의 점액과 접촉한 상태로 있다. 4시간후, 아연 겔은 완전히 분해되었다.
실시예 16
겔 조성물 1ℓ는 정제수, 오일, 글리세린, 카르보폴, 리포좀 및 비타민 A를 함께 혼합하여 제조된다. 겔은 하기를 포함한다:
성분 중량%
정제수 86.5
오메가 6(단일포화 오일) 10.0
글리세린 U.S.P. 2.0
카르보폴 940nf 0.5
인슐린 0.5
리포좀(비타민 A 운반물질) 0.5
실시예 17
실시예 16의 겔 300㎕를 건장한 28세 여성 코카서스인 환자의 하나의 코 통로에 넣는다. 그 결과, 겔 300㎕ 전체를 환자 코에 넣는다. 겔의 제1 부분은 코 상피막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한다. 겔의 제2 부분은 환자 코안의 점액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한다. 겔의 제3 부분은 환자 코안의 적어도 섬모와 접촉한다. 겔은 코 상피막, 섬모 또는 막위의 점액과 접촉한 상태로 있다. 4시간후, 아연 겔은 완전히 분해되었다.
실시예 18
겔 조성물 1ℓ는 정제수, 알콜, 글리세린, 카르보폴 및 니코틴을 함께 혼합하여 제조된다. 겔은 하기를 포함한다:
성분 중량%
정제수 87.25
알콜 10.0
글리세린 U.S.P. 2.0
카르보폴 940nf 0.5
니코틴 0.25
실시예 19
실시예 18의 겔 100㎕ 및 50㎕를 건장한 50세 여성 흑인계 미국인 환자의 하나의 코 통로에 넣는다. 그 결과, 겔 150㎕ 전체를 환자 코에 넣는다. 겔의 제1 부분은 코 상피막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한다. 겔의 제2 부분은 환자 코안의 점액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한다. 겔의 제3 부분은 환자 코안의 적어도 섬모와 접촉한다. 겔은 코 상피막, 섬모 또는 막위의 점액과 접촉한 상태로 있다. 3시간후, 아연 겔은 완전히 분해되었다.
실시예 20
겔 조성물 1ℓ는 정제수, 글리세린, 카르보폴, 글루콘산 아연 및 SOD를 함께 혼합하여 제조된다. 겔은 하기를 포함한다:
성분 중량%
정제수 94.75
글리세린 U.S.P. 2.0
카르보폴 940nf 0.5
글루콘산 아염(이온 아연의 소스) 2.25(50mmole농도)*
SOD(산화방지제) 0.5
*글루콘산 아연의 1리터당 0.05mol배 증가시킨 약 450g/mole의 글루콘산 아연의 분자량은 겔 조성물의 1리터당 약 22.5g을 제공한다.
상기 SOD는 코의 겔내 아연 이온의 높은 농도에 의해서 코의 상피세포가 손상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실시예 21
실시예 2 내지 7이 실시예 1의 겔 조성물 대신에 실시예 20의 겔 조성물을 사용하여 반복된다. 유사한 결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22
실시예 7이 반복되지만, 환자는 코의 점막을 덮을 수 있는 1인치 두께의 약 1 내지 15의 점막층을 갖는다. 유사한 결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23
실시예 22가 반복되지만, 실시예 1의 겔 조성물은 또한 1.0중량%의 NaCl을 함유하고, 겔 조성물내 정제수의 중량비는 97% 대신에 96%이다. 실시예 1의 겔 조성물내 글리세린, 카르보폴 및 글루콘산 아연의 중량비는 같다. 상기 염은 점막층을 통해서 아연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도록 겔 조성물내 포함된다.
실시예 23에서 얻어진 결과는 실시예 22에서 얻어진 것과 유사하지만, 코의 점막내 아연 농도가 실시예 23에서 빠르게 증가되며, 이는 염이 점막층의 건조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때문이다.
실시예 24
실시예 7이 반복되지만, 실시예 1의 겔 조성물이 코 내 코의 통로로 삼입되고, 아연 겔의 투여전, 아연 겔의 투여후 10분, 아연 겔의 투여후 30분 등 코의 점액내 아연의 농도를 측정하는 대신에, 10, 30분 등 후에 비강내 섬모에 의해서 비강으로 운반되는 아연 겔의 거리가 측정된다.
실시예 25
실시예 24가 반복되지만, 실시예 1의 겔 조성물이 또한 0.5중량%의 리소좀을 포함하고, 정제수의 중량비는 97% 대신에 96.5% 이다. 실시예 1의 겔 조성물내 글리세린, 카르보폴 및 글루콘산 아연의 중량비는 같다. 겔 조성물내 포함된 리소좀은 코내에 섬모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환자의 목구멍의 뒷쪽을 향해서 비강을 통해서 코의 안쪽으로부터 섬모가 아연 겔을 운반시키는 속도를 증가시킨다. 실시예 25에서 얻어진 결과는 실시예 24에서 얻어진 것과 유사하지만, 실시예 25에서, 섬모는 환자의 목구멍의 뒷쪽을 향해서 아연 겔을 더 빠르게 운반한다.
실시예 26
실시예 1의 겔 조성물이 선택된 속도로 겔-표면 계면에서 겔로부터 아연을 제거하는 표면에 반대로 놓는다. 선택된 지점(계면으로부터 선택된 거리에 있는)에서 계면으로 아연의 분산속도가 측정된다.
실시예 27
실시예 26이 반복되지만, 실시예 1의 겔 조성물의 점도가 카르보폴의 농도를 0.25중량비로 감소시키고, 정제수의 농도를 97.25%로 증가시킴에 의해서 감소된다. 글리세린 및 글루콘산 아연의 농도는 같다. 얻어진 결과는 같지만, 아연 이온의 분산 속도는 겔 조성물의 감소된 점도 때문에 실시예 27과 실시예 26에서 더 크다.
실시예 28
실시예 15가 반복되지만, 비막내 인슐린의 농도는 10, 20 및 30분에 측정된다.
실시예 29
실시예 28이 반복되지만, 리포좀이 실시예 14의 겔 조성물에서 제거되고, 정제수의 농도는 97중량%로 상호적으로 감소된다. 상기 리포좀은 코의 상피막을 투과하기위해서 인슐린의 향상시키도록 첨가된 투과 향상제이다. 실시예 14의 겔 조성물내 글리세린, 카르보폴 및 인슐린의 농도는 같다. 실시예 29에서 얻어진 결과는 실시예 28에서 얻어진 것과는 다르며, 이는 겔 조성물내 리포솜의 투과 향상제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기때문에 코의 점막내 인슐린의 농도가 더 느려진다.
본 발명에서 기술되어진 것으로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를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으며, 그의 구체예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다.

Claims (4)

  1. (a)(ⅰ)적어도 하나의 운반물질 75중량% 내지 99.999중량%, 및
    (ⅱ)미소유효량의 유효물질을 포함하는 점성 운반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b)비강내에 상기 운반조성물을 가하는 단계;
    (c)상기 운반조성물의 제1 부분을 비막과 접촉시키는 것을 적어도 10분동안 유지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운반조성물은 2,500 내지 40,000센티포이즈의 점도를 가지고, 상기 비강은 점액, 섬모 및 비막을 포함하고, 상기 운반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제1 부분이 적어도 비막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조성물의 제1 부분이 비강내 적어도 점액과 직접 접촉하고, 및 상기 조성물의 적어도 제3 부분이 비강내 적어도 섬모와 직접 접촉하도록 가해지는,
    미소유효량의 유효물질을 혈액으로 전달하는 방법.
  2. (a)비강내 비막을 통한 유효물질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는 운반물질내 미소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투과 증강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반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b)적어도 하나의 유효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c)(ⅰ)상기 운반물질 75중량% 내지 99.999중량%, 및
    (ⅱ)미소유효량의 상기 유효물질을 포함하는 점성 운반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운반물질과 유효물질을 조합하는 단계;
    (d)비강내 상기 운반조성물을 상기 조성물의 제1 부분이 적어도 비막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조성물의 제1 부분이 비강내 적어도 점액과 직접 접촉하고, 및 상기 조성물의 적어도 제3 부분이 비강내 섬모와 직접 접촉하도록 가하는 단계; 및
    (e)상기 운반조성물의 제1 부분을 비막과 접촉시키는 것을 적어도 10분동안 유지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비강은 점액과 섬모를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은 2,500 내지 40,000센티포이즈의 점도를 가지는,
    혈액으로 미소유효량의 유효물질을 전달하고, 신체로 침투할 수 있는 유효물질의 능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액내로 유효물질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는 방법.
  3. (a)(ⅰ)적어도 하나의 운반물질 75중량% 내지 99.999중량%, 및
    (ⅱ)미소유효량의 유효물질을 포함하는 점성 운반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b)비강내에 상기 운반조성물을 가하는 단계;
    (c)비강내 섬모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운반조성물은 2,500 내지 40,000센티포이즈의 점도를 가지고, (ⅰ)상기 비강은 점액, 섬모 및 비막을 포함하고, (ⅱ)상기 조성물의 제1 부분이 적어도 비막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조성물의 제1 부분이 비강내 적어도 점액과 직접 접촉하고, 및 상기 조성물의 적어도 제3 부분이 비강내 적어도 섬모와 직접 접촉하는,
    혈액으로 미소유효량의 유효물질을 전달하고, 유효물질이 신체와 접촉하는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막을 통해 혈액으로 유효물질을 통과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는 방법.
  4. (a)(ⅰ)적어도 하나의 운반물질 75중량% 내지 99.999중량%, 및
    (ⅱ)미소유효량의 유효물질을 포함하는 점성 운반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b)선택온도 및 선택압력에서 운반물질을 통해 유효물질이 확산하는 운반물질 확산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c)상기 운반조성물이 상기 선택온도 및 선택압력에서 비막과 접촉할때 유효물질이 침투하는 막확산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d)(ⅰ)상기 운반물질 확산속도, 및
    (ⅱ)상기 막확산속도로 구성된 확산속도 쌍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e)상기 확산속도 쌍 중 확산속도가 교대되는, 변형된 점성 운반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점성 운반조성물에 한 성분을 첨가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운반조성물은 2,500 내지 40,000센티포이즈의 점도를 가지는,
    미소유효량의 유효물질이 혈액으로 전달되는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
KR10-2000-7004741A 1998-09-01 1999-09-01 비막에 아연을 송달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KR100439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45,042 US6080783A (en) 1998-09-01 1998-09-01 Method and composition for delivering zinc to the nasal membrane
US9/145,042 1998-09-01
US09/145,042 1998-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680A true KR20010031680A (ko) 2001-04-16
KR100439323B1 KR100439323B1 (ko) 2004-07-07

Family

ID=2251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741A KR100439323B1 (ko) 1998-09-01 1999-09-01 비막에 아연을 송달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8) US6080783A (ko)
EP (1) EP1039896A4 (ko)
JP (2) JP2002523453A (ko)
KR (1) KR100439323B1 (ko)
CN (1) CN1293869C (ko)
AU (1) AU774410B2 (ko)
BR (1) BR9906758A (ko)
CA (1) CA2308513C (ko)
WO (1) WO20000120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2683B1 (en) 1998-05-13 2006-04-04 Carrington Laboratories, Inc. Pharmacological compositions comprising pectins having high molecular weights and low degrees of methoxylation
US6080783A (en) * 1998-09-01 2000-06-27 Gum Tech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delivering zinc to the nasal membrane
US20040234457A1 (en) * 1999-10-19 2004-1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of preventing and treating SARS using low pH respiratory tract compositions
US20040033260A1 (en) * 1999-10-19 2004-02-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ld and influenza-like symptoms comprising chelated zinc
US20050232868A1 (en) * 1999-10-19 2005-10-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of entrapping, inactivating, and removing viral infections by the administration of respiratory tract compositions
CA2426491A1 (en) * 2000-10-27 2002-05-30 Pearl Street Group Ltd. Debt financing for companies
US6777000B2 (en) * 2001-02-28 2004-08-17 Carrington Laboratories, Inc. In-situ gel formation of pectin
US7494669B2 (en) * 2001-02-28 2009-02-24 Carrington Laboratories, Inc. Delivery of physiological agents with in-situ gels comprising anionic polysaccharides
US20030215491A1 (en) * 2001-04-30 2003-11-20 Hensley Charles B. Method and composition for rapid delivery of bioactive compounds to the systemic circulation via the nasal membrane
JP2005505587A (ja) * 2001-10-12 2005-02-24 シーエヌエ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含水性の点鼻ゲル及びその塗布装置
US8679462B2 (en) * 2002-04-11 2014-03-25 Saeed Rezakhany Methods of preventing respiratory infections
US20090035260A1 (en) * 2002-07-29 2009-02-05 Therapicon Srl Enhanced nasal composition of active peptide
AU2003263953A1 (en) * 2002-07-31 2004-02-16 Himalayan International Institute Of Yoga Science And Philosophy Nasal irrigation solu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AU2003272517A1 (en) * 2002-09-13 2004-04-30 Zicam, Llc. Compositions to reduce congestion and methods for application thereof to the nasal membrane
WO2004024225A1 (en) 2002-09-16 2004-03-25 Zicam, Ll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 composition to the nasal membrane
DE10358372A1 (de) * 2003-04-03 2004-10-14 Basf Ag Gemische von Verbindungen mit mindestens zwei Doppelbindungen und deren Verwendung
WO2004098571A1 (en) * 2003-04-30 2004-11-18 Zicam, Llc Cold remedy composition comprising zinc salts
US8216171B2 (en) * 2003-07-15 2012-07-10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Individual dose packaging
US20050043253A1 (en) * 2003-08-19 2005-02-24 Cook Bradley R. Use of wound healing compositions for prevention of infections and allergies
US7968122B2 (en) * 2003-12-10 2011-06-28 Adventrx Pharmaceuticals, Inc. Anti-vi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ITMI20040235A1 (it) * 2004-02-13 2004-05-13 Therapicon Srl Preparazione farmaceutica per il cavo orale
US20090012174A1 (en) * 2004-12-09 2009-01-08 The Dial Corporation Compositions Having a High Antiviral and Antibacterial Efficacy
WO2006062897A2 (en) * 2004-12-09 2006-06-15 The Dial Corporation Compositions having a high antiviral and antibacterial efficacy
CN101384171A (zh) * 2004-12-09 2009-03-11 日晷公司 具有高抗病毒和抗菌效力的组合物
MX2007006863A (es) * 2004-12-09 2008-02-25 Dial Corp Composiciones que tienen alta eficacia antiviral y antibacterial.
EP1830638A2 (en) * 2004-12-09 2007-09-12 The Dial Corporation Compositions having a high antiviral and antibacterial efficacy
US20070135377A1 (en) * 2004-12-10 2007-06-14 Roman Stephen B Thixotropic anti-viral formulation
US20090076132A1 (en) * 2005-03-11 2009-03-19 Gary Pekoe Antivir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US20070009443A1 (en) * 2005-07-05 2007-01-11 Hensley Charles B Method for inhibiting occupation by rhinovirus of cell in the nasal membrane
JP2009504767A (ja) * 2005-08-17 2009-02-05 フレミング・アンド・カンパニー・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ビタミンb12鼻用スプレーおよび使用方法
US20070110676A1 (en) * 2005-11-17 2007-05-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useful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mmon cold and influenza-like symptoms
WO2007139844A2 (en) * 2006-05-24 2007-12-06 The Dial Corporat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noroviruses
MX2008015088A (es) * 2006-05-26 2009-03-05 Dial Corp Metodo para inhibir la transmision de virus.
MX2008015188A (es) 2006-05-30 2009-03-06 Dial Corp Composiciones que tienen una alta eficiencia antiviral.
EP2034831A2 (en) * 2006-05-31 2009-03-18 The Dial Corporation Alcohol-containing antimicrobial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efficacy
RU2431961C2 (ru) 2006-06-02 2011-10-27 Дзе Дайл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 ингибирования переноса вируса гриппа
RU2008152442A (ru) * 2006-06-05 2010-07-20 Дзей Дайл Корпорейшн (Us) Способы и изделия, имеющие высокую противовирусную и противобактериальную эффективность
CN101516426A (zh) * 2006-09-27 2009-08-26 尼克诺姆股份公司 定向用途
DE102007045368A1 (de) * 2007-09-22 2009-04-02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ölung der Axialanläufe von auf einer Welle angeordneten Losrädern
WO2009099405A2 (en) * 2008-01-30 2009-08-13 Dalos, Llc Antibacteri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WO2009117719A2 (en) * 2008-03-21 2009-09-24 Yardley Mark J Apparatus for cleaning a nasal cavity
GB2460815A (en) * 2008-04-04 2009-12-16 Kays Medical A sterilisable gel formulation comprising calcium gluconate
US8173183B2 (en) 2008-07-02 2012-05-08 Carmell Hergert Mucosal membrane healant and moisturizer
US20100021563A1 (en) * 2008-07-24 2010-01-28 Paul Levesque Compositions comprising coconut oil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2504019A2 (en) 2009-11-25 2012-10-03 ArisGen SA Mucosal delivery composition comprising a peptide complexed with a crown compound and/or a counter ion
US20120225018A1 (en) * 2011-03-03 2012-09-06 Nancy Josephine Polich Homeopathic therapeutic method and compositions
US10022335B2 (en) 2011-03-03 2018-07-17 Nancy Josephine Polich Homeopathic therapeutic method and compositions
US9034401B1 (en) 2014-01-23 2015-05-19 Matrixx Initiative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plant extracts and methods for reducing duration of a common cold using same
HUE062108T2 (hu) * 2015-07-14 2023-09-28 Marinomed Biotech Ag Vírusellenes hatású, orrdugulást megszûntetõ készítmény
KR20180120204A (ko) 2016-02-25 2018-11-05 어플라이드 바이올로지컬 래버러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 공기 매개 병원체 및 자극물질에 대한 보호용 조성물 및 방법
KR101825041B1 (ko) * 2016-04-07 2018-02-02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물질 p를 포함하는 상처치유용 약학 조성물
JOP20190148A1 (ar) * 2016-12-21 2019-06-18 Bayer Pharma AG أشكال جرعات صيدلية تحتوي على مثبطات قنوات task-1 و task-3 واستخدامها لمعالجة الاضطرابات التنفسية
EP3772254A1 (en) 2018-04-06 2021-02-10 Philip Morris Products S.a.s. Nicotine gel
US20230330013A1 (en) * 2020-08-04 2023-10-19 Cosmosoft Hydrogel comprising glycerol and a carbomer for treating the respiratory symptoms of covid-19 disease via the nasal route
FR3113237B1 (fr) * 2020-08-04 2023-06-09 Biopass Produit pour le traitement de maladies virales par voie nasale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5908A (en) * 1975-01-02 1976-06-29 Posthuma Albert E Synthetic physiological mucus
US4503070A (en) 1981-07-31 1985-03-05 Eby Iii George A Method for reducing the duration of the common cold
US5409905A (en) 1981-01-05 1995-04-25 Eby, Iii; George A. Cure for commond cold
US5286748A (en) 1981-01-05 1994-02-15 Eby Iii George A General method of shortening the duration of common colds by application of medicaments to tissues of oral cavity
US4956385A (en) 1981-07-31 1990-09-11 Eby Iii George A Method for reducing the duration of the common cold
US5002970A (en) 1981-07-31 1991-03-26 Eby Iii George A Flavor masked ionizable zinc compositions for oral absorption
US5095035A (en) 1981-07-31 1992-03-10 Eby Iii George A Flavor stable zinc acetate compositions for oral absorption
USRE33465E (en) 1981-07-31 1990-11-27 Method for reducing the duration of the common cold
GB2133691B (en) * 1983-01-21 1986-05-21 Leo Ab Smoking substitutes for nasal administration
US4686528A (en) 1984-01-31 1987-08-11 Motorola, Inc. Method of encoding and decoding data signals
US4758439A (en) 1984-06-11 1988-07-19 Godfrey Science & Design, Inc. Flavor of zinc supplements for oral use
DE3431727A1 (de) * 1984-08-29 1986-03-13 Robugen GmbH Pharmazeutische Fabrik, 7300 Esslingen Nasenspray gegen schnupfen und grippe mit einem gehalt an zinkglukonat
US4724231A (en) * 1985-04-16 1988-02-09 Nastech Pharmaceutical, Inc. Nasel compositions containing vitamin B12
JPS63101318A (ja) * 1986-10-16 1988-05-06 Toko Yakuhin Kogyo Kk 点鼻剤
US4778810A (en) * 1987-01-08 1988-10-18 Nastech Pharmaceutical Co., Inc. Nasal delivery of caffeine
EP0296227A1 (en) * 1987-01-08 1988-12-28 Nastech Pharmaceutical Company, Inc. Nasal delivery of amino acids
JPS63174924A (ja) * 1987-01-14 1988-07-19 Toko Yakuhin Kogyo Kk 軟膏基剤および軟膏剤
ES2053678T3 (es) * 1987-11-13 1994-08-01 Asta Medica Ag Procedimiento para preparar un medicamento con contenido de azelastina para la aplicacion nasal y/u ocular.
US4885287A (en) * 1988-08-09 1989-12-05 University Of Kentucky Research Foundation Novel method of administering aspirin and dosage forms containing same
GB8902300D0 (en) * 1989-02-02 1989-03-22 Bryce Smith Derek Antirhinoviral preparations
JPH0678245B2 (ja) * 1989-07-04 1994-10-05 東興薬品工業株式会社 鼻腔内噴霧投与用インフルエンザワクチンゲル製剤
US5158761A (en) * 1989-04-05 1992-10-27 Toko Yakuhin Kogyo Kabushiki Kaisha Spray gel base and spray gel preparation using thereof
US5785054A (en) * 1989-06-06 1998-07-28 Kelly; Patrick D. Genital lubricant with zinc salt, labelled as anti-viral agent
US5208031A (en) * 1989-06-06 1993-05-04 Kelly Patrick D Sexual lubricants containing zinc as an anti-viral agent
GB8916625D0 (en) * 1989-07-20 1989-09-06 Bryce Smith Derek Respiratory tract spray preparations
IL101056A (en) * 1992-02-24 1997-03-18 Res & Dev Co Ltd Composition for nasal treatment
GB9218834D0 (en) * 1992-09-05 1992-10-21 Procter & Gamble Nasal spray products
US5760085A (en) * 1993-04-30 1998-06-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pical aromatic releasing compositions
JPH07316038A (ja) * 1994-05-23 1995-12-05 Ikeda Mohandou:Kk 粘膜投与用薬剤組成物
US5747058A (en) * 1995-06-07 1998-05-05 Southern Biosystems, Inc. High viscosity liquid controlled delivery system
US5733535A (en) * 1995-10-25 1998-03-31 The Procter & Gamble Co.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N-acetylcysteine and odor masking materials
US6344210B2 (en) * 1996-05-10 2002-02-05 Charles A. Fust Composition for freshening nostrils and sinus cavities
US5906811A (en) * 1997-06-27 1999-05-25 Thione International, Inc. Intra-oral antioxidant preparations
US6080783A (en) * 1998-09-01 2000-06-27 Gum Tech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delivering zinc to the nasal membrane
US6929800B2 (en) * 2001-08-06 2005-08-16 Abdul Rasoul Salman Nasal passage cleaning composition
WO2004024225A1 (en) * 2002-09-16 2004-03-25 Zicam, Ll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 composition to the nasal membrane
CN101198687A (zh) * 2005-06-18 2008-06-11 宝洁公司 包含高含水量的清洁条皂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09895A1 (en) 2004-06-10
US20110077296A1 (en) 2011-03-31
EP1039896A4 (en) 2007-08-15
KR100439323B1 (ko) 2004-07-07
JP2002523453A (ja) 2002-07-30
US6673835B1 (en) 2004-01-06
US20070265337A1 (en) 2007-11-15
CN1287486A (zh) 2001-03-14
CA2308513C (en) 2005-01-04
US7989003B2 (en) 2011-08-02
AU5907599A (en) 2000-03-21
CN1293869C (zh) 2007-01-10
AU774410B2 (en) 2004-06-24
US6080783A (en) 2000-06-27
WO2000012081A1 (en) 2000-03-09
BR9906758A (pt) 2002-01-15
US20020032231A1 (en) 2002-03-14
US20050118243A1 (en) 2005-06-02
JP2008013572A (ja) 2008-01-24
CA2308513A1 (en) 2000-03-09
US7348360B2 (en) 2008-03-25
US6365624B1 (en) 2002-04-02
EP1039896A1 (en) 2000-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1680A (ko) 비막으로 아연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US7597901B2 (en) System for delivering a composition to the nasal membran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Illum et al. Bioadhesive starch microspheres and absorption enhancing agents act synergistically to enhance the nasal absorption of polypeptides
KR100686901B1 (ko) 점막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
JP5118633B2 (ja) 医療用デバイスおよび医薬製剤において有用な粘膜付着性キシログルカン含有製剤
Hoogstraate et al. In-vivo buccal delivery of fluorescein isothiocyanate–dextran 4400 with glycodeoxycholate as an absorption enhancer in pigs
JP2003508483A (ja) 膜ミメティクスを用いた蛋白質性薬物の送達システム
EP2670368A1 (en) New oral dissolving films for insulin administration, for treating diabetes
KR100722209B1 (ko) 점막 도포용 시클레소나이드 함유 약학 조성물
IE60241B1 (en) Antitussive liquid compositions containing phenol
SK9062000A3 (en) Transmucosal formulations of levosimendan
Zia et al. Intranasal drug delivery
WO1996000071A1 (en) Treatment of nicotine craving and/or smoking withdrawal symptoms with a liquid nasal composition containing nicotine and caffeine or xanthine
Virmani et al. Available online through ISSN: 2319-5622 www. jprinfo. com Buccal Drug Delivery system-Approach to Improve the Bioavailability
AU703691B2 (en) Irritation relief using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compounds
MXPA00005047A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delivering zinc to the nasal membrane
JPH05170663A (ja) カルシトニン点鼻用医薬組成物
EP3820439B1 (en) Mucoadhesive dispersion nanoparticle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 same
WO2004098566A2 (en) Chewable lozenge cold remedy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k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