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1445A - 벽 장착용 설비 하우징 - Google Patents

벽 장착용 설비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1445A
KR20010031445A KR1020007004477A KR20007004477A KR20010031445A KR 20010031445 A KR20010031445 A KR 20010031445A KR 1020007004477 A KR1020007004477 A KR 1020007004477A KR 20007004477 A KR20007004477 A KR 20007004477A KR 20010031445 A KR20010031445 A KR 20010031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ase
cover
suppor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5062B1 (ko
Inventor
티엘만보도
하르텔마르크
베쎄러호르스트
Original Assignee
뮬러 노베르트
리탈-베르크 루돌프 로흐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뮬러 노베르트, 리탈-베르크 루돌프 로흐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filed Critical 뮬러 노베르트
Publication of KR20010031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0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surface mounting on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atch Boards (AREA)
  • Hinge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부품들을 내부 공간에 설비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로 벽에 나사 결합 가능하고, 설비 공간을 한정하는 두 개의 측벽, 베이스 벽 및 천장 벽으로 에워싸여 형성된 캡 형상의 커버가 위에 배치될 수 있는 베이스부를 구비한 벽 장착용 설비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이용 가능한 설비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부에 부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커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커버를 지지하며, 부품들이 부착 가능하고 상기 설비 공간과 마주하는 체결 구멍들을 갖는 조립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벽 장착용 설비 하우징{Wall-mounted Installation Housing}
상기와 같은 설비 하우징은 DE 44 10795 C1에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만곡 플레이트 요소(bent plate component)가 상기 베이스부(base part)로서 사용되고, 이 만곡 플레이트 요소는 상기 벽에 평행하게 정렬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부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는, 전기 부품이 고정될 수 있고 이 전기 부품간에 상호 배선 연결 가능한 다수의 체결 구멍을 구비한다. 이들 전기 부품을 설비한 후, 상기 설비 하우징은 상기 커버로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캡(cap)형상의 커버는 상기 베이스부상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전기 부품들을 내부 공간에 설비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로 벽에 나사 결합 가능하고, 설비 공간을 한정하는 두 개의 측벽, 베이스 벽 및 천장 벽으로 에워싸여 형성된 컵 형상의 커버가 위에 배치될 수 있는 베이스부를 구비하는 벽 장착용 설비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두 개의 지지부가 베이스부상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베이스부를 구비한 설비 하우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설비 하우징의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 가능한 설비 공간이 부품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처음에 전술한 형태의 벽 장착용 설비 하우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기 부품들을 내부 공간에 설비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로 벽에 나사 결합 가능하고, 설치 공간을 한정하는 두 개의 측벽, 베이스 벽 및 천장 벽으로 에워싸여 형성된 캡 형상의 커버가 위에 배치될 수 있는 베이스부를 구비한 벽 장착용 설비 하우징이 제공되고, 상기 벽 장착용 설비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부에 부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커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커버를 지지하며, 부품들이 부착 가능하고 상기 설비 공간과 마주하는 체결 구멍을 갖는 조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품들은 상기 베이스부의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기 지지부에 고정된다. 이로써, 상기 이용 가능한 설비 공간에는 상기 설비 하우징의 깊이 방향으로 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설비 하우징은 가변 방식으로 설비될 수도 있다. 한편, 검사가 용이한 배선(wiring)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리세스를 구비하고 브러시 스트립(brush strip)이 삽입되는 최소 하나의 측방향 만곡 보강부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시 스트립은 상기 베이스부와 마주보는 상기 커버의 모서리 영역과 함께 상기 벽에 근접한 케이블 도입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두 개의 대향 측면에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조립부와 돌출된다. 이때, 상기 설비 공간의 전체폭에 걸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조립 레일이 예컨대, 상기 두 개의 지지부에 부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설비 공간의 전체폭에 걸쳐 연장되는 보다 큰 부품을 상기 지지부의 상기 조립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체결하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상기 설비 하우징에서 케이블을 정돈되게 연장배치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의 상기 조립부는, 관련 측벽에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관련 측벽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직립 배치되는 벽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조립부와 상기 측벽사이에 형성되는 케이블 샤프트와 상기 설비 공간사이에 공간 연결부를 형성하는 최소 하나의 케이블 통로를 구비한다.
표준 구성요소 캐리어(standard component carriers)가 상기 설비 공간내에서 설비될 경우, 서로에 대해 마주보는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10)의 측면에 할당되는 상기 두 개의 지지부(20)는 격자모양으로 배치된 일렬의 체결 구멍들을 구비하고, 서로로부터 두 개 간격으로 교대로 번갈아 위치할 수 있고, 제 1 조립 위치에서 계량 조립 치수를 갖는 구성요소들 및 제 2 조립 위치에서 인치로 측정된 조립 치수를 갖는 구성요소들을 상기 두 개의 구성요소 캐리어(30)에 체결 가능하다.
상기 커버를 상기 베이스부에 고착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수평 만곡 보강부로서 구성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조립부는, 직각으로 상기 지지대에 인접하고, 상기 지지대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상기 조립부의 단부에서 상기 커버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의 측벽의 내부 패널에 맞댄 채 위치하여 상기 측벽에 평행한 상기 조립부를 지지하는 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굽혀진 지지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상기 지지부의 전방 측면에서 상기 측벽에 수직인 방향으로 커버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 가이드부로 인해 상기 커버의 수직벽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커버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단순하고 안정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설비 하우징은, 상기 커버(40)의 측벽(43)이 수평 체결 플랜지(fastening flanges)(43.2)를 구비하고 베이스 벽(41) 및 천장 벽(48)도 마찬가지로 상기 측벽(43)의 상기 체결 플랜지(43.2)에 인접 배치되는 수평 체결 플랜지(41.2)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 플랜지(41.2,43.2)가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측 공간을 향해 정렬되고 서로에 대해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상기 커버를 상기 베이스부에 간단하게 어떤 도구의 도움없이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부 또는 상기 지지부의 로킹 부재와 연동 작용하는 최소 하나의 로킹부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는 그 일측면 영역에 힌지 설치되는 도어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면서 그 전방 측면상에서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커버가 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설비 공간은 상기 도어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에는 표시 요소를 판독하여 작동 상태를 모니터할 수 있게 해주는 관찰창문(viewing window)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 및 특징들은 이하에 상술될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고,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또한, 도면에 병기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직벽상으로 장착 가능한 베이스부(10)가 도시된다. 상기 베이스부(10)는 만곡 보강부(12,13)가 직각을 연결되는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11)를 구비한다. 브러시 스트립(brush strips)(14.1)이 수평 연장 만곡 보강부(13)에 고정된다. 상기 브러시 스트립(14.1)은 측면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을 갖는 프로파일 스트립(profile strip)(14.2)을 구비한다.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4.2)은 상기 슬롯에 의해 상기 만곡 보강부(13)의 모서리부(13.1)상으로 밀어 넣어 질 수 있다. 상기 만곡 보강부(12)와 마주보는 천이 영역에서, 상기 만곡 보강부(13)는 깍인 모서리부(13.2)를 갖는다. 상기 깍인 모서리부(13.2)와 상기 만곡 보강부(12)사이에는 슬롯(15)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에서 우측에 도시된 상기 만곡 보강부(1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설비 공간과 마주보는 나사산 볼트로 구성된 두 개의 장착부(mounts)(12.2)가 상기 만곡 보강부(12)에 고정된다. 어셈블리 레일(assembly rail)이 상기 장착부(12.2)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들(12.2)사이에는 상기 만곡 보강부(12)의 중앙 위치에 로킹 부재(locking member)(12.1)가 돌설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10)를 상기 벽에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 구멍(11.2, 11.3)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에 형성된다. 체결 나사들이 상기 체결 구멍(11.2,11.3)을 통해 안내되어 상기 벽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립 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에 평행한 상기 베이스부(10)상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평면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나사산 볼트(11.1)가 설치된다. 측방향 만곡 보강부(12)의 영역에는, 4 개의 또 다른 나사산 볼트(11.4,11.5)가 각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상에 체결된다. 이들 나사산 볼트(11.4,11.5)는 지지부(20)를 부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부(20)는 만곡 스탬핑 가공물(bent stampings)인 박판 블랭크(sheet metal blank)로 제조된다.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지지대(support foot)(23)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는 만곡 보강부 역할을 하는 조립부(21)로부터 일정 각도로 구부러져 있다. 상기 조립부(21)는 다수의 일 열로 구성된 체결 구멍(26)을 구비하는 편평한 벽(flat wall)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립부(21)로부터 하나의 단편으로서 만곡 처리된 지지 가이드부(25)가 상기 조립부(21)의 수평 모서리부에 인접 배치된다. 상기 지지 가이드부(25)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에서 상기 조립부(21)의 자유단부로 연장한다.
상기 지지부(20)의 지지대(23)는 두 개의 보어 구멍(28)을 구비한다. 이들 보어 구멍(28)에 의해,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나사산 볼트(11.4,11.5)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두 쌍의 나사산 볼트(11.4,11.5)중 한 쌍에 교대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립부(21)는 서로 다른 조립 위치에서 상기 만곡 보강부(12)로부터 상이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만약, 상기 두 개의 지지부(20)가 상기 만곡 보강부(12)에 근접하게 부착되면, 상기 지지부의 상기 두 개의 조립부(21)는 상호 큰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넓은 간격 배치로, 계량 조립 치수를 갖는 구성요소는 구성요소 캐리어(component carrier)(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캐리어(30)는 서로에 대해 직각으로 직립 배치되는 두 개의 아암(arms)(31,32)을 갖는 윤곽부로서 구성된다. 상기 아암(31)은 상기 조립부(21)상의 평면에 위치한다. 상기 아암(31)에는 연장 구멍들(33)이 형성되고 이 연장 구멍들(31)은 상기 조립부(21)의 체결 구멍(26)과 일렬로 정렬 배치될 있다. 상기 구성요소 캐리어(30)를 고정하기 위해 체결 나사(34)가 상기 연장 구멍들(33)속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장 구멍(33)에 대응하는 상기 체결 구멍(26)속으로 나사 결합된다. 상기 구성요소 캐리어(30)는 상기 설비 하우징의 가변 깊이로서 상기 체결 구멍(26)의 격자의 분할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캐리어(30)는 또한 상기 연장 구멍(33)에 의해 상기 설비 하우징의 깊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추가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조립부 (21)에 직각으로 배치되는 상기 아암(32)은 정방형의 개구로서 상기 아암(32)으로부터 스탬핑 처리된 일렬로 형성된 체결 구멍(35)을 갖는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체결 구멍(35)에 고착될 수 있다. 만약, 계량 치수를 갖는 구성요소들 대신, 인치 단위로 측정된 구성요소들이 설치될 경우, 상기 지지부(20)는 이동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대(23)는 상기 나사산 볼트(11.5)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20)는 서로에 대해 작은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간격은 인치로 측정된 상기 구성요소들의 조립 치수에 해당한다.
체결 돌출부(37)가 웨브(web)(36)를 통해 상기 아암(31)에 인접 배치된다. 상기 체결 돌출부(37)는 관련 부품을 상기 체결 돌출부(37)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 구멍들(37.1)을 갖는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커버(40)가 상기 베이스부(10)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40)는 캡 형상으로 구성되고, 두 개의 측벽(43), 베이스 벽(41) 및 천장벽(48)을 구비한다. 상기 두 개의 측벽(43) 및 상기 베이스 벽(41) 또는 상기 천장벽(48)은 정면에서 각진 모서리부(43.1,41.1)와 인접한다. 도어(50)가 상기 좌측벽(43)의 수직 연장 모서리부(43.1)에 힌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50)는 창문(53)이 부착될 수 있는 도어 프레임(51)을 갖는다. 상기 도어(50)를 고정시키기 위해 힌지 장착부(47)가 사용된다.
도어의 설계는 두가지 상세의 도움으로 도 2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다. 이들 설명을 통해, 상기 힌지 장착부(47)는 슬롯(47.1)으로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슬롯(47)은 나사 수용 수단(47.2)에 의해 중앙에서 연장된다. 상기 힌지 장착부는 그 제 1 힌지부(60.1)와 함께 상기 도어 프레임(51)에 고정된다. 상기 도어 프레임(51)은, 가로질러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직립 배치되고 연결부(51.2)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아암(51.1,51.3)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힌지부(60.1)는 상기 아암(51.3)에 고착되도록 용접된다. 상기 제 2 힌지부(60)는 힌지 핀을 통해 상기 제 1 힌지부(60.1)에 연결된다. 상기 힌지 핀과 연결되는 상기 제 2 힌지부(60)는 스페이서(spacer)(60.2)를 갖는다. 상기 스페이서(60.2)는 상기 아암(51.3)을 지나 안내된다. 상기 스페이서(60.2)와 연결되는 상기 제 2 힌지부(60)는 체결부(60.3)속으로 결합되는 직각 만곡 보강부를 갖는다. 상기 체결부(60.3)는 상기 스페이서(60.2)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한다.
두 개의 수평 연장 측면상에서, 상기 체결부(60.3)는 인입 경사면(60.4)을 갖는다. 이들 인입 경사면(60.4)으로 인해 상기 체결부(60.3)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슬롯(47.1)속으로 삽입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60.3)가 상기 슬롯(47.1)속으로 밀어 넣어지면, 상기 체결부(60.3)는 상기 슬롯 뒤쪽의 모서리부(43.1)에 인접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63.1)의 나사 수용 수단(47.2)속으로 나사(60.5)가 삽입된다. 이 나사(60.5)는 상기 나사 수용 수단(47.2)에 대해 타격이 가해진다. 상기 힌지 장착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나사(60.5)는 그 헤드부가 상기 모서리부(43.1)의 표면을 조여 고정시킬 때까지 상기 모서리부(43.1)를 향해 이동한다.
상기 커버(40)와 상기 도어(50)로 구성되는 장치를 상기 베이스부(10)위의 상기 지지부(20)위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벽(43)은 그 일부가 상기 베이부의 만곡 보강부(12)와 중첩 결합된다. 상기 커버(40)가 밀려 이동하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수직벽 및 상기 커버(40)의 천장벽(48)은 경사부(49)에 의해 상기 슬롯(15)을 통해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벽(41) 또는 상기 천장벽(48)은 상기 모서리(13)의 내측면을 등지고 위치하게 된다. 상기 커버(40)를 상기 두 개의 측벽(43)에 고정하기 위해 로킹부(locks)(44)가 제공된다. 이들 로킹부(44)는 상기 로킹 돌기 부재(12.1)(도 1참조)뒤를 향할 수 있다. 일단, 제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커버(40)의 그 내측면은 상기 지지부(20)의 상기 지지 가이드부(25)와 맞대고 위치한다. 상기 지지 가이드부(25)는 상기 경사부(49) 또는 상기 천장벽(48) 영역의 뒤쪽에서 상기 커버(40)와 활주 가능하게 맞물린다. 상기 지지 가이드부(25)가 상기 조립부(21)의 전체 깊이에 걸쳐 연장한다는 사실을 통해, 상기 커버(40)는 간단히 그리고, 기울어짐없이 상기 베이스부(10)쪽으로 밀려 이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커버(40)에 실제로 대응하는 커버가 도시된다. 도 2에 따른 상기 커버와는 반대로, 도 3의 커버는 도 2에서와 같은 슬롯이 형성된 힌지 장착부(47)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그 대신, 보어 구멍(45)이 상기 힌지 장착부에 형성된다. 도 3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상기 측벽(43)은 보어 구멍(43.4)을 갖는 수평 체결 플랜지(43.2)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40)의 전면에는, 모서리부(45)가 상기 측벽부(43)으로부터 만곡 처리된다. 상기 베이스벽(41) 및 상기 천장벽(48)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수평 체결 플랜지(41.2)를 구비한다. 스터드 볼트(41.3)가 이들 체결 플랜지상에 설치된다. 상기 커버의 전면에는, 상기 베이스벽(41) 또는 상기 천장벽(48)이 상기 모서리부(41.1)에서 종료된다. 상기 베이스벽(41) 및 상기 천장벽(48)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두 개의 측벽(43) 역시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커버를 조립하기 위해, 상기 측벽(43)은 그 체결 플랜지(43.2)가 상기 베이스벽(41) 또는 상기 천장벽(48)의 상기 체결 플랜지(41.2)상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스터드 볼트(41.3)가 상기 보어 구멍(43.4)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스터드 볼트(41.3)를 고정시키기 위해, 너트가 상기 스터드 볼트(41.3)위로 나사 결합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여러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개시는 단지 본 발명의 적용예에 불과한 것이고,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상 모드로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전기 부품들을 내부 공간에 설비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로 벽에 나사 결합 가능하고, 설치 공간을 한정하는 두 개의 측벽, 베이스 벽 및 천장 벽으로 에워싸여 형성된 캡 형상의 커버가 위에 배치될 수 있는 베이스부를 구비한 벽 장착용 설비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에 부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지지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커버(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10)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커버(40)를 지지하며, 부품들이 부착 가능하고 상기 설비 공간과 마주하는 체결 구멍(26)을 갖는 조립부(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장착용 설비 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는, 리세스(13.1)를 구비하고 브러시 스트립(14.1)이 삽입되는 최소 하나의 측방향 만곡 보강부(12,13)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시 스트립(14.1)은 상기 베이스부(10)와 마주보는 상기 커버(40)의 모서리 영역과 함께 상기 벽에 근접한 케이블 도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장착용 설비 하우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두 개의 대향 측면상에서 상기 베이스부(10)의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로부터 직각으로 상기 조립부(21)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장착용 설비 하우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의 상기 조립부(21)는, 관련 측벽(43)에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관련 측벽(43)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직립 배치되는 벽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조립부(21)와 상기 측벽(43)사이에 형성되는 케이블 샤프트와 상기 설비 공간사이에 공간 연결부를 형성하는 최소 하나의 케이블 통로(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장착용 설비 하우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에 대해 마주보는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10)의 측면에 할당되는 상기 두 개의 지지부(20)는 격자모양으로 배치된 일렬의 체결 구멍들을 구비하고, 서로로부터 두 개 간격으로 교대로 번갈아 위치할 수 있고, 제 1 조립 위치에서 계량 조립 치수를 갖는 구성요소들 및 제 2 조립 위치에서 인치로 측정된 조립 치수를 갖는 구성요소들을 상기 두 개의 구성요소 캐리어(30)에 체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장착용 설비 하우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상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수평 만곡 보강부로서 구성되는 지지대(23)를 구비하고, 상기 조립부(21)는, 직각으로 상기 지지대(23)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상기 조립부의 단부에서 상기 커버(4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40)의 측벽의 내부 패널에 맞댄 채 위치하여 상기 측벽에 평행한 상기 조립부를 지지하는 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굽혀진 지지 가이드부(25)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상기 지지부의 전방 측면에서 상기 측벽에 수직인 방향으로 커버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장착용 설비 하우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측벽은 수평 체결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벽 및 천장 벽도 마찬가지로 상기 측벽의 상기 체결 플랜지에 인접 배치되는 수평 체결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 플랜지들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측 공간을 향해 정렬되고 서로에 대해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장착용 설비 하우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0)를 상기 베이스부(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커버(40)는 상기 베이스부(20) 또는 상기 지지부(20)의 로킹 부재(12.1)와 연동 작용하는 최소 하나의 로킹부(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장착용 설비 하우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로부터 떨어져 회전되는 상기 커버의 전면은 상기 커버(40)의 일측면상의 영역에 힌지 설치되는 도어(50)를 사용하여 폐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장착용 설비 하우징.
KR10-2000-7004477A 1998-03-18 1999-03-13 벽 장착형 설비 하우징 KR100375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11711.6 1998-03-18
DE19811711A DE19811711C1 (de) 1998-03-18 1998-03-18 Wandbefestigtes Installationsgehä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445A true KR20010031445A (ko) 2001-04-16
KR100375062B1 KR100375062B1 (ko) 2003-03-07

Family

ID=786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477A KR100375062B1 (ko) 1998-03-18 1999-03-13 벽 장착형 설비 하우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435364B1 (ko)
EP (1) EP1064709B1 (ko)
JP (1) JP3677451B2 (ko)
KR (1) KR100375062B1 (ko)
CN (1) CN1177396C (ko)
AU (1) AU733078B2 (ko)
BR (1) BR9908849A (ko)
DE (2) DE29823843U1 (ko)
ES (1) ES2177269T3 (ko)
MY (1) MY122379A (ko)
RU (1) RU2190912C2 (ko)
TW (1) TW411752B (ko)
WO (1) WO19990481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8667B4 (de) * 2001-11-30 2005-03-17 Db Netz Ag Wandbefestigtes Installationsgehäuse für den Einbau elektrischer Komponenten
DE10210754B4 (de) * 2002-03-12 2008-05-15 Rittal Gmbh & Co. Kg Schaltschrank mit einem Rahmengestell und einer Kabeleinführung in der Deckwand
DE102007008873B4 (de) 2007-02-21 2013-08-14 Rittal Gmbh & Co. Kg Gehäusesystem
US8088998B2 (en) 2008-08-04 2012-01-03 Nelson James M Sectional electrical boxes
DE102009009500B4 (de) 2009-02-18 2015-06-11 Rittal Gmbh & Co. Kg Gehäuse
KR200455528Y1 (ko) 2011-04-07 2011-09-14 (주)케이더블유엠 산업기술 통신 보안 시스템 박스
EP3028606B1 (en) * 2014-12-01 2018-08-08 Elfa International AB Cabine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409438A (ko) * 1964-08-15 1966-02-18
US3571771A (en) * 1969-02-03 1971-03-23 Stegg Electric Ltd Enclosure for plug in relay
CA1137608A (en) * 1979-05-23 1982-12-14 Joseph S. Maheu Electrical box
US4323723A (en) * 1980-04-04 1982-04-06 H. H. Robertson Company Surface mounted outlet unit
FR2628577B1 (fr) 1988-03-09 1992-09-11 Seram Coffret de branchement en matiere plastique pour cables electriques
DE9013739U1 (ko) * 1990-10-02 1990-12-06 Siemens Ag, 8000 Muenchen, De
DE9016053U1 (ko) * 1990-11-26 1991-02-14 Forschungsinstitut Prof. Dr.-Ing.Habil, Dr.Phil.Nat. Karl Otto Lehmann, Nachf. Gmbh & Cie, 7570 Baden-Baden, De
DE9117138U1 (de) * 1991-08-08 1996-07-04 Loh Kg Rittal Werk Baugruppenträger
SE505801C2 (sv) * 1992-09-25 1997-10-13 Atlas Copco Tools Ab Skåp för inrymmande av elektronisk utrustning anslutbar till maskiner eller kraftverktyg
DE4410795C1 (de) * 1994-03-16 1995-09-07 Loh Kg Rittal Werk Gehäuse für Fernmeldekabel
FR2737055B1 (fr) 1995-07-19 1997-09-26 Legrand Sa Cadre pour appareillage electrique
DE19707680C1 (de) * 1997-02-26 1998-03-05 Loh Kg Rittal Werk Kleingehäuse, insbesondere Kabelanschluß- und Kabelverteilergehä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64709A1 (de) 2001-01-03
ES2177269T3 (es) 2002-12-01
US6435364B1 (en) 2002-08-20
RU2190912C2 (ru) 2002-10-10
CN1177396C (zh) 2004-11-24
JP2002507844A (ja) 2002-03-12
AU3412299A (en) 1999-10-11
CN1266546A (zh) 2000-09-13
DE19811711C1 (de) 2000-01-13
MY122379A (en) 2006-04-29
AU733078B2 (en) 2001-05-03
JP3677451B2 (ja) 2005-08-03
TW411752B (en) 2000-11-11
KR100375062B1 (ko) 2003-03-07
DE29823843U1 (de) 1999-12-30
WO1999048181A1 (de) 1999-09-23
EP1064709B1 (de) 2002-07-10
BR9908849A (pt) 2000-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0373A (en) Chassis assembly with means for mounting within thin wall opening
US5927667A (en) Electrical box mounting bracket
US7307213B1 (en) Horizontal electrical box with internal mounting arrangement
US7732715B2 (en) Wall flush mount supporting device for electric or electronic components
US5478032A (en) Retrofit drywall mounting frame
JP2001157610A (ja) キャビネットシステム
KR20010031445A (ko) 벽 장착용 설비 하우징
US5463533A (en) Variable depth load center enclosure
JP4446266B2 (ja) 軽量間仕切り壁用配線ボックス及び軽量間仕切り壁用配線ボックス装置
CA2457079C (en) Electrical termination component bracket
US6335484B1 (en) Electrical equipment support for attachment to trunking
JPH10323249A (ja) 組立て式箱体の転倒防止装置
JPH0570363B2 (ko)
KR100405502B1 (ko) 하우징에의전방프레임부착장치
RU2000126283A (ru) Закрепляемая на стене монтажная коробка
CN116339451A (zh) 固定架及设备
US4992635A (en) Self locating push-button switch box
JP2937934B2 (ja) パネル統合体
JPH11155207A (ja) 分電盤
JP3202818B2 (ja) 取付け枠の設置構造
JP3566160B2 (ja) 配線ダクトと配線器具収容体との取付構造
KR20080006691U (ko) 거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통신장비수납함
JPH05184430A (ja) キャビネットの取付構造
EP4324059A1 (en) Flush-to-wall electrical box
JP2003135162A (ja) 机等における幕板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