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691U - 거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통신장비수납함 - Google Patents

거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통신장비수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691U
KR20080006691U KR2020070010538U KR20070010538U KR20080006691U KR 20080006691 U KR20080006691 U KR 20080006691U KR 2020070010538 U KR2020070010538 U KR 2020070010538U KR 20070010538 U KR20070010538 U KR 20070010538U KR 20080006691 U KR20080006691 U KR 200800066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ack
housing
communication equipment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5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삼
이성화
정성훈
김광준
장형기
Original Assignee
삼지전자 주식회사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지전자 주식회사,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삼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05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691U/ko
Publication of KR200800066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69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5Cabi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9Frames or mounting rack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0Hous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신장비를 장착시키는 함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렉 장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통신장비수납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외부면에 브라켓의 고정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함체와; 일측은 상기 함체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은 렉에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함체를 렉에 고정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소형 통신장비수납함을 벽이외의 렉등에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통신장비수납함, 렉, 함체, 브라켓, 벽걸이형 함체

Description

거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통신장비수납함{CASE FO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WITH MOUNTABLE BRACKET}
도 1은 본 종래기술의 통신장비용 함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통신장비용 함체의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통신장비수납함 중 함체의 사시도,
도 4 는 도 3은 통신장비수납함 중 함체의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바형 브라켓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앵글형 브라켓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절곡형 브라켓의 사시도,
도 8은 도 5의 바형브라켓에 의한 함체의 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6의 앵글형 브라켓에 의한 함체의 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7의 절곡형 브라켓에 의한 함체의 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통신장비수납함 2: 문
3: 걸이홈
10: 함체
11: 함체측면나사공 12: 함체배면나사공
20: 바형브라켓
21: 바형브라켓나사공 22: 바형브라켓볼트공
30: 앵글형 브라켓
31: 앵글형브라켓나사공 32: 앵글형브라켓볼트공
40: 절곡형 브라켓
41; 절곡형브라켓나사공 42: 절곡형브라켓볼트공
50: 렉 51: 볼트체결공
본 고안은 통신장비를 장착시키는 함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렉 장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통신장비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장비는 렉에 장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렉이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렉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소형 장비의 경우에는 벽면에 걸어 부착시키는 벽걸이형 통신장비수납함을 이용하여 벽면에 부착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의 벽면 걸이형 통신장비수납함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은 통신장비수납함의 사시도를, 도 2는 통신장비수납함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통신장비를 수납 설치하는 통신장비수납함(1)은 전면에 문(2)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내측에 통신장비를 수납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에는 걸이홈(3)이 네 귀퉁이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소형의 통신장비수납함(1)은 벽에 나사 등의 고정구를 설치한 후 나사 등을 걸이홈(3)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통신장비수납함(1)이 벽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통신장비수납함(1)의 경우 실내의 내벽에 설치하는 것이 허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소형의 중계기 등을 수납하는 벽걸이형 통신장비수납함(1)은 그 폭이 렉의 폭보다 더 작게 형성되며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어서 렉에 설치하는 것도 불가능하게 되어 통신장비수납함(1)을 설치할 장소가 마땅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실무상 통신장비수납함(1)의 설치에 어려움을 겪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기술의 통신장비를 수납하는 함체와 함체를 렉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 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벽면설치가 용이하지 않거나 허용되지 않는 상황에서 통신장비수납함을 렉에 용이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 설치 방향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통신장비수납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는 통신장비수납함은, 외부면에 브라켓의 고정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함체와; 일측은 상기 함체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은 렉에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함체를 렉에 고정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체는 측면의 배면측 위치 및 배면의 측면측 위치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은 일측에는 상기 고정구에 의해 상기 함체와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구에 의해 상기 렉과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바형브라켓, 또는, 단면이 직각으로 절곡된 앵글 형상으로 일측면을 따라서 상기 고정구에 의해 상기 함체와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을 따라서 상기 고정구에 의해 렉과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앵글형 브라켓, 또는, 직사각형의 판재가 일단부는 좌로 타단부는 우로 절곡되어 계단형으로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고정구에 의해 상기 함체의 배면 모서리 측과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고정구에 의해 상기 렉과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절곡형 브라켓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렉에 형성되는 체결공은 통신장비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렉의 내측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다수가 형성되는 체결공과 함께 고정구에 의해 브라켓을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볼트공 또는 나사공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 또한 볼트 또는 나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한 첨부도면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은 종래기술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함체측면나사공(11), 함체배면나사공(12), 브라켓나사공(21), 브라켓볼트공(22), 앵글브라켓나사공(31), 앵글브라켓볼트공(32), 절곡형브라켓나사공(41), 렉의 볼트체결공(51)을 통칭하는 경우 체결공이라 하고, '나사', '볼트'를 통칭하는 경우 '고정구'라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통신장비수납함 중 함체(1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통신장비수납함 중 함체의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3은 통신장비수납함 중 함체의 배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통신장비수납함은 함체(10)와 브라켓(20, 30, 40)으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함체(10)는 전면에 문(2)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내측에 통신장비를 수납 설치하도록 구성되며, 측면의 배면측 위치 및 배면의 측면측 양위치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고정구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도 3의 경우 함체(10)에 형성되는 체결공은 나사체결을 위한 체결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 나사 체결을 위한 함체(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함체측면나사공(11)"이라 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의 배면에는 걸이홈(3)이 네 귀퉁이에 형성되며, 양측면측의 위치에는 수직방향으로 그리고 일정 간격 내측으로 등간격을 가지도록 체결공이 형성되는 데, 배면에 형성되는 체결공 또한 나사가 결합되는 체결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 "함체배면나사공(12)"이라 한다..
상술한 구성 중 함체측면나사공(11)과 함체배면나사공(12)에 본 고안에 따르는 브라켓이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함체(10)를 렉(50, 도 8, 9, 10 참조)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르는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바형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앵글형 브라켓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절곡형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5의 바형브라켓(20)을 설명하면, 상기 바형브라켓(20)은 일측에는 함체(10)와 결합을 위한 나사가 관통되는 바형브라켓나사공(21)이 형성되고, 타측에도 또한 체결공의 일 예로서 볼트체결을 위한 바형브라켓볼트공(22)이 형성되는 바형의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도 6의 앵글형 브라켓(30)은 단면이 직각을 이루는 'ㄱ' 자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형성된 것으로서 절곡 형성된 면 중 일측면에는 함체(10)의 고정을 위한 나사가 고정되는 앵글형브라켓나사공(31)이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렉(50)에 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앵글형브라켓볼트공(32)이 또한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7의 절곡형 브라켓(40)은 직사각형의 바형 판재의 일 단부는 좌로 타 단부는 우로 절곡되어 전체 형상이 계단형상으로 형성되고, 함체(10)의 배면에 부착되는 단부는 좁게 형성되어 절곡형브라켓나사공(41)이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렉(50)에 부착되는 단부는 넓게 형성되어 절곡형브라켓볼트공(42)이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8 내지 도 10은 상기 도 5 내지 도 7의 브라켓(20, 30, 40)을 이용하여 함체(10)를 렉(50)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8은 도 5의 바형브라켓(20)에 의한 함체(10)의 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6의 앵글형 브라켓(30)에 의한 함체(10)의 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7의 절곡형 브라켓(40)에 의한 함체(10)의 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8을 설명하면 도 8은 바형브라켓(20)을 이용하여 함체(10)를 렉(50)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바형브라켓(20)의 바형브라켓나사 공(21)이 형성된 부분은 함체(10)의 함체배면나사공(12)이 형성된 부분과 나사에 의해 결합되고, 바형브라켓볼트공(22)이 형성된 부분은 렉(50, 도 8, 9, 10 참조)의 볼트체결공(51, 도 8, 9, 10 참조)이 형성된 부분과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함체(10)를 렉(5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도 9는 도 6의 앵글형 브라켓(30)을 이용하여 함체(10)를 렉(50)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앵글형 브라켓(30)의 앵글형브라켓볼트공(32)이 형성된 부분은 볼트에 의해 렉(50)의 볼트체결공(51)이 형성된 면에 부착되고, 앵글형브라켓나사공(31)이 형성된 부분은 앵글형브라켓나사공(31)을 관통하여 함체측면나사공(11)과 결합되는 나사에 의해 함체측면나사공(11)이 형성된 부분에 부착되어 함체(10)를 렉(50)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함체(10)는 전면이 렉(5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0은 도 7의 절곡형 브라켓(40)을 이용하여 함체(10)를 렉(50)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절곡형 브라켓(40)의 절곡형브라켓나사공(41)이 형성된 부분을 함체(11)의 함체배면나사공(12)이 형성된 부분에 부착한 후 나사로 고정하고, 절곡형 브라켓(40)의 절곡형브라켓볼트공(42)이 형성된 부분은 렉(50)의 볼트체결공(51)이 형성된 부분에 부착한 후 볼트 결합하여 렉(50)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함체(10)를 렉(5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 나사, 볼트는 고정구의 일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나사를 볼트로, 볼트를 나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나사공과 볼트공도 나상공 을 볼트공으로 볼트공을 나사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은 벽걸이형 통신장비수납함을 벽에 부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 용이하게 렉에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형의 통신장비수납함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통신장비 설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 또한 제공한다.

Claims (6)

  1. 외부면에 브라켓의 고정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함체와;
    일측은 상기 함체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은 렉에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함체를 렉에 고정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통신장비수납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측면의 배면측 위치 및 배면의 측면측 위치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통신장비수납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일측에는 상기 고정구에 의해 상기 함체와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구에 의해 상기 렉과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바형브라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거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통신장비수납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단면이 직각으로 절곡된 앵글 형상으로 일측면을 따라서 상기 고정구에 의해 상기 함체와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을 따라서 상기 고정구에 의해 렉과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앵글형 브라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통신장비수납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직사각형의 판재가 일단부는 좌로 타단부는 우로 절곡되어 계단형으로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고정구에 의해 상기 함체의 배면 모서리 측과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고정구에 의해 상기 렉과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절곡형 브라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통신장비수납함.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볼트 또는 나사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통신장비수납함.
KR2020070010538U 2007-06-27 2007-06-27 거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통신장비수납함 KR2008000669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538U KR20080006691U (ko) 2007-06-27 2007-06-27 거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통신장비수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538U KR20080006691U (ko) 2007-06-27 2007-06-27 거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통신장비수납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691U true KR20080006691U (ko) 2008-12-31

Family

ID=49298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538U KR20080006691U (ko) 2007-06-27 2007-06-27 거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통신장비수납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69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870B1 (ko) * 2020-02-14 2020-07-16 김근태 전선 트레이 설치용 분전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870B1 (ko) * 2020-02-14 2020-07-16 김근태 전선 트레이 설치용 분전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2270B2 (en) Rail seal for electronic equipment enclosure
US8403289B1 (en) Universal electric box mounting device
US7476807B1 (en) Electrical box assembly including adjustable bracket
CA2743712C (en) Field terminated fiber patch panel for rack and wall mounting
US20070120029A1 (en) A Modular Wall Mounting Apparatus
US20120063099A1 (en) Rail seal for electronic equipment enclosure
US9163442B2 (en) Universal system for mounting rack doors
US20090179116A1 (en) Cable management side bracket
KR20100001124U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US6956168B2 (en) Horizontal electrical box
CA2678902C (en) Prefabricated mounting bracket assembly
US8511627B2 (en) Apparatus for arranging and fastening electrical units in particular in a switchgear cabinet, and a fitting system with such an apparatus
KR20080006691U (ko) 거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통신장비수납함
JP2003333730A (ja) 軽量間仕切り壁用配線ボックス及び軽量間仕切り壁用配線ボックス装置
JP4904305B2 (ja) サーバラックへの機器取付構造
AU733078B2 (en) Wall-mounted installation housing
CN211984600U (zh) 一种抽屉
JP4892461B2 (ja) ユニットケース
JP5927651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箱における側板取付金具
JP2011187834A (ja) キャビネット用ファン取付具
WO2010006434A1 (en) Security camera assembly
JP2017112129A (ja) ファンユニット
RU2000126283A (ru) Закрепляемая на стене монтажная коробка
US8254567B2 (en) Telecommunications mounting case
JP5826312B2 (ja) 筐体取付け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取付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