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249A - 절단장치를 갖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용 공급시스템의 슈트 - Google Patents

절단장치를 갖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용 공급시스템의 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249A
KR20010030249A KR1020000051883A KR20000051883A KR20010030249A KR 20010030249 A KR20010030249 A KR 20010030249A KR 1020000051883 A KR1020000051883 A KR 1020000051883A KR 20000051883 A KR20000051883 A KR 20000051883A KR 20010030249 A KR20010030249 A KR 20010030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slide
cutting
sealing
incineration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6297B1 (ko
Inventor
스테판 포르스베르그
죄르그 마이에르
Original Assignee
루에디 프러이,르네 벅
폰 롤 움벨트테히닉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에디 프러이,르네 벅, 폰 롤 움벨트테히닉 아게 filed Critical 루에디 프러이,르네 벅
Publication of KR20010030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33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comminuting or cr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42Waste feed arrangements
    • F23G5/444Waste feed arrangements for solid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5/00Waste feed arrangements
    • F23G2205/16Waste feed arrangements using chu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5/00Waste feed arrangements
    • F23G2205/18Waste feed arrangements using airlock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슈트(12)는 맞물림 홀더(16), 고정 슬라이드(18)와 절단 슬라이드(24)를 갖는 절단장치(10)가 제공된다.
슈트(12)를 밀폐시키기 위해, 맞물림 홀더(16)는 대략 내측으로 슈트(12)의 중심으로 이동되어 잠금된다.
그 다음, 고정 슬라이드는 최종적으로 서로 접촉되어서 슈트(12)가 폐쇄될 때까지 맞물림 홀더(16)를 향해 이동된다.
맞물림 홀더(16)와 고정 슬라이드(18)사이에 쓰레기가 존재하고 그 결과 고정 슬라이드가 폐쇄위치에 도달될 수 없는 경우, 절단 슬라이드(24)가 작동되어 맞물림 홀더(16)와 고정 슬라이드(18)사이에 고정된 쓰레기를 절단하고 시일을 형성하도록 맞물림 홀더(16)와 고정 슬라이드(18)사이의 간극(56)을 연결시킨다.

Description

절단장치를 갖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용 공급시스템의 슈트{Chute of a feed system for a refuse incineration plant having a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청구항 1 및 14에 따른 절단장치를 갖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용 공급시스템의 슈트, 및 청구항 11에 청구된 바와 같은 슈트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 소각 플랜트들은 소위 공급 시스템에 의해 공급된다: 쓰레기은 호퍼에서 슈트 속으로 그리고 슈트 단부에 있는 계량장치로 앞으로 이송된다. 계량장치는 최종적으로 노(furnace)에 쓰레기의 양호한 계량을 제공한다.
새로 공급되는 보충공기(secondary air)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당한 길이(10m이상의 높이)의 슈트가 사용되고, 이 슈트를 통하여 쓰레기의 중력에 의해서만 이송된다.
반복하여 상대적으로 큰 물체들이 슈트에 끼이거나 고정되고 이와 같은 물체들 후방에 미끄러지는 쓰레기은 더 이상 그와 같은 위치에서 자유로워질 수 없다. 그 다음 그와 같은 물체들은 수작업으로 슈트에서 제거되어야 하고, 이는 가동 싸이클을 방해하며 충돌위험을 수반하고 서로 공급되는 보충공기의 침투를 일으킬 수도 있고 이 보충공기는 소각 및 배출에 악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큰 물체들이 더 이상 가동중단을 초래하지 않는 슈트를 제공하는 것이고, 그와 같은 슈트를 가동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 및 14에 청구된 바와 같은 슈트로 그리고 청구항 11에 청구된 바와 같이 슈트를 가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달성된다.
슈트의 절단장치의 고정 슬라이드는 접촉할 때까지 맞물림홀더(mating holder)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 맞물림홀더는 독립요소로 설계될 수도 있으나 또한 예컨대 슈트의 벽부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만일 클램핑 슬라이드가 맞물림홀더를 향해 이동되는 동안, 상대적으로 큰 물체는 맞물림홀더와 클램핑측사이에 끼여지는 경우, 간극은 두 부품사이에 개방되어 유지되고, 클램핑 슬라이드는 폐쇄위치(closed position)에 도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경우, 고정 슬라이드 바로 하측에 배치되고 절단변부(cutting edge)가 간극을 지나서 변위될 수 있는 절단 슬라이드는 간극 밖으로 하향돌출되는 물체의 부분을 절단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고정 슬라이드와 절단 슬라이드가 개방위치로 복귀 이동되는 경우, 이들은 슈트의 교차부분까지 개방되고, 간극에 남아있는 물체의 부분은 슈트로 떨어진다.
맞물림홀더가 또한 슬라이드요소로 설계되는 경우, 및 맞물림홀더와 고정 슬라이드가 공통 이동평면상에서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는 경우, 두 슬라이드 요소들이 이동되는 경우 큰 물체가 상대적으로 큰 거리에 걸쳐서 옆을 따라서 운반되어 결과적으로 그 자리에서 끼이게 되는 위험이 더 적다. 더욱이 쓰레기는 슈트 중앙으로부터 배출된다.
간극에 고정되는 물체들의 고효율 분쇄(comminution)는 절단 슬라이드가 이동 평면 바로 밑에 그리고 이동 평면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서 이동되는 경우 달성된다. 이 고효율은 절단 슬라이드의 절단 변부가 맞물림홀더의 바닥측을 따라서 바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조정장치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경우 더욱 증대될 수 있다.
V형 설계로 그리고 절단전에 제거될 물체의 부분을 둘러싸는 절단변부는 물체의 그 부분이 압착제거(squeeze out)되기보다는 오히려 제거되는 것을 보장하며, 압착제거는 더 큰 힘을 필요로 하므로 더 큰 에너지가 소비된다.
절단장치에 의해 슈트를 적어도 대략 밀봉방식으로 폐쇄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에서, 큰 물체를 절단하는 것외에, 절단장치는 또한 폐쇄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고, 이 폐쇄장치는 새로 공급되는 보충공기의 침투를 방지한다. 이는 연소공기의 공급이 더욱 성공적으로 제어가능하게 하므로 더 양호한 연소를 일으키고 오염물의 배출을 감소시키고, 더욱 균일한 온도 프로파일을 일으키고 연소실의 열부하를 더 낮게 한다.
절단장치 바로 밑에 배치되고 절단장치에서 이격되는 밀봉슬라이드는 절단장치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 밀봉(seal)을 형성하도록 슈트를 폐쇄시킬 수 있다.
밀봉 슬라이드와 절단장치는 잠금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가 상태하에서 작동될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에서 쓰레기 소각 플랜트는 예컨대 질소와 같은 불활성가스를 밀봉 슬라이드와 잠금장치에 의해 제한되는 잠금실(lock chamber)로 분사시킴으로써 아주 효율적으로 불활성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질소의 이와 같은 완충(cushion)은 노를 대기로부터 실제로 완전히 밀봉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 다음 노는 질소를 더욱 분사시킴으로써 완전히 불활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밀봉 슬라이드와 슈트의 바닥단부에 배치된 베이스(base)로 제한되는 슈트의 부분은 잠금실보다 상당히 더 큰 부피를 갖는다.
그 결과, 잠금실 밖으로 낙하되는 쓰레기용 밀봉 슬라이드 바로 밑에 항상 충분한 공간이 존재하고, 밀봉 슬라이드의 이동은 쓰레기로 방해받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또 다른 종속항의 주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다음의 실시에로 개략적으로 설명된다.
도1 은 3개의 슬라이드 요소를 갖는 슈트의 부분을 개방위치로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2a, 2b 는 슬라이드 요소들용 가이드들의 단면도.
도3a 는 절단장치의 작업사이클로 연속방법단계를 보여주는 슬라이드 요소들에 대한 횡단면도.
도3b 는 상부로부터 절단작업을 부여주는 도면.
도4a는 절단장치와 밀봉 슬라이드 장치를 갖는 슈트의 종단면도.
도4b는 도 2a, 2b에 도시된 단면도에 대응하는 밀봉 슬라이드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1은 절단장치(10)에 속하는 슬라이드 요소(14)들에 대해 횡단면으로, 슈트(12) 의 절단장치(10)를 도시한다. 이들 슬라이드 요소(14)들은 판형 맞물림 홀더(16)와 판형 고정 슬라이드(18)이고, 이들은 공통 이동평면에서 그리고 고정 슬라이드(18)의 바로 밑에서 슈트(12)의 종방향(22)에 직각으로 서로를 향해서 그리고 서로 멀리 옮겨질 수 있고, 절단 슬라이드(24)는 마찬가지로 이동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그리고 고정 슬라이드(18)와 같은 방향으로 옮겨질 수 있다. 절단 슬라이드(24)는 판 형태이고,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될 물체들이 측면에서 이 절단변부로 둘러싸이는 방식으로 v형 설계로 이루어진 절단변부(25)를 갖는다.
도1에서, 모든 슬라이드 요소(14)들은 개방위치에 있고, 슈트(12)의 교차부를 완전히 개방시킨다. 슬라이드 요소들은 하우징(26)들로 옮겨지고, 이 하우징들은 가스밀봉 방식으로 슈트(12)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옆으로 돌출된다. 하우징(26)들은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슬라이드 요소(14)들은 슈트(12)의 프레임(30)상에 장착되고 시일(seal)을 형성하도록 하우징(26) 속으로 삽입되는 유압 피스톤-실린더 유니트(28)들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유압 피스톤-실린더 유니트(28)들은 박스 구조물(32)로 설계되는 판형 슬라이드 요소(14)들 속으로 돌출 되고, 거기에 내부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판형(plate-like)이라는 용어는 슬라이드 요소(14)들의 길이 및 폭(depth)이 두께에 비해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절단 슬라이드(24)와 맞물림 홀더(16)의 측면상에 가이드 러너(guide runner)(34)들이 있고, 이 가이드 러너(34)들은 슈트의 두 대향 벽(38)들 상에 서로 겹치게 배치된 안내홈(36)에 장착되어 안내된다. 도 2a에서, 이들 안내홈(36)들과 이 홈에 안내된 가이드 러너(34)들을 갖는 이들 슈트 벽(38)들 중 한 벽만이 도시된다. 안내 홈(36)들은 슬라이드 레일(40)을 갖는다. 오염물에 대해 밀봉하여 보호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치로서, 밀봉 립(sealing lip)들, 스트리퍼 블레이드(stripper blade)들 및 시일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 러너(34)들은 - 폐쇄 방향으로 - 절단 슬라이드(24) 또는 맞물림 홀더(18)를 지나서 돌출 되어서, 개방위치에서 슈트의 전체 깊이(d)에 걸쳐 안내 홈(36)들을 채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쓰레기이 안내 홈(36)들 속으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고, 그 결과 가이드 러너들이 끼이지 않는다.
안내 홈(36)들과 가이드 러너(34)들은 가이드 러너(34)들이 슈트 벽(38)을 지나서 슈트(12) 속으로 돌출 되지 않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쓰레기이 가이드 러너(34)들 상에 쌓이는 것이 불가능하다.
안내 홈(36)들과 가이드 러너(34)들 사이의 간극(the play)을 공지된 방식으로 최소화시키도록 예컨대 조절 나사의 형식으로 조절 요소들을 사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절단 슬라이드(24), 고정 슬라이드(18) 및 맞물림 홀더(16)의 절단 변부(25)는 절단 슬라이드(24)의 절단 변부가 고정 슬라이드(18)와 맞물림 홀더(18) 하측을 따라서 슬라이드 되고 절단 중에 맞물림 홀더(16)의 바닥 전방 변부(54)와 최적으로 상호 작용하도록 서로에 대해 배향된다.
고정 슬라이드(18)의 가이드(42)들은 고정 슬라이드(18)와 절단 슬라이드(24) 사이에 위치된다.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슬라이드(18)의 박스 구조물(32)은 바닥측이 개방되어 절단 슬라이드(24)를 마주본다. 절단 슬라이드(24)에 부착된 가이드 러너(48)가 만나는 홈(46)을 갖춘 스트럿(strut)(44)은 측벽의 내측상에, 고정 슬라이드(18)상에 위치된다. 이 경우, 또한 슬라이드 레일(40)들이 홈(46)에 조립된다.
절단장치(10)를 갖는 슈트(12)를 작동시키는 방법은 이하 도3a 및 3b를 참고로 설명된다. 절단장치(10)가 폐쇄되어 있을 때, 처음에 맞물림 홀더(16)는 슈트(12)의 중심에 대해 슈트(12) 외측에 있는 (도3a Ⅰ참조) 개방 위치에서 제한 위치로 연장되고, 유압으로 잠금(도3a Ⅱ 참조)된다. 다음에, 고정 슬라이드(18)는 개방 위치에서 가능한 폐쇄 위치로 즉, 맞물림 홀더(16)와 접촉할 때까지 연장된다(도시되지 않음).
폐쇄 위치에서, 고정 슬라이드(18)는 대략 300KN 의 힘으로 맞물림 홀더(16)에 가압되고, 두 개는 모두 적어도 대략 그리고 바람직하기는 완전히 가스밀봉 방식으로 슈트(12)를 폐쇄시킨다.
절단장치(10)의 폐쇄 중에, 비교적 큰 물체(50)가 고정 슬라이드(18)와 맞물림 홀더(16)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그리고 고정 슬라이드(18)가 설정 시간 내에 폐쇄위치로 이동될 수 없는 경우, 절단 슬라이드(24)가 작동된다(도3a Ⅲ 참조). 절단 슬라이드(24)의 폐쇄시간을 최소화하도록 고정 슬라이드(18)는 돌기(52)가 설치되고, 이 돌기는 고정 슬라이드(18)가 폐쇄 방향으로 이동 중에 절단 슬라이드(24)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며,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서 절단 슬라이드(24)의 구동은 개방 유압시스템을 갖는다.
고정 슬라이드(18)가 고정 위치에 유지 - 절단될 물질이 항상 고정되게 유지되기 때문에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완전 유압을 유지 - 하는 동안,
절단 슬라이드(24)가 피스톤-실린더 유니트(28)에 의해 맞물림 홀더(16)와 고정 슬라이드(18) 사이의 간극을 지나서 제한 위치로 옮겨지고, 그 과정에서 맞물림 홀더(16)의 하부 변방 변부(54)에 대해 끼인 물체(150)를 절단한다(도3a Ⅲ 참조). 그 다음 간극(56)은 시일을 형성하도록 절단 슬라이드(24)에 의회 폐쇄되고 (도3a Ⅳ 참조), 도3b에서, 절단 슬라이드의 폐쇄위치는 점선으로 도시됐다.
도4는 슈트(12)의 종방향(22) 수직단면으로, 절단 장치(10)를 갖는 이송 시스템(58)을 도시한다.
이송 시스템(58)은 컨베이어 벨트(62)에 의해 (또한 크레인이 사용될 수도 있음) 쓰레기 호퍼(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쓰레기(61)이 이송되는 (쓰레기) 투입 깔때기(charging funnel)를 갖는다. 바닥 단부(12')에 계량장치가 설치되면서 슈트(12)는 투입 깔때기(60)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계량장치(64)는 램 테이블 역할을 하는 베이스(64')를 따라 밀어지는 램(66)을 갖고, 계량장치(64)는 중력에 의해 투입 깔때기(60)로부터 계량장치의 하부에 배치된 노()(68)로 슈트(12)을 통해 이송된 쓰레기(61)을 공급한다.
투입 깔때기(60)의 바닥 단부에 그리고 슈트(12)의 상부 단부(12'')에 도1, 2, 3에 도시되고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절단 장치(10)가 배치된다. 간략한 설명을 위해 이 절단 장치의 하우징(26)이 고정 슬라이드(18)와 절단 슬라이드(24)의 표시와 함께 도시된다.
절단 장치(10)의 하방 거리에 그리고 계량 장치(64) 상방 거리에 밀봉장치(69)가 있다. 후자는 밀봉 슬라이드(70)를 갖고, 이 밀봉 슬라이드는 슬라이드 요소(14)로 설계된 맞물림 홀더(16)와 유사한 설계로 구성되나 밀봉 위치에서 슈트(12)를 폐쇄시키는 크기로 구성된다. 밀봉 슬라이드(70)는 또다른 피스톤-실린더 유니트(12'')에 의해 도4에 도시된 밀봉위치와 슈트(12)를 완전히 개방시키는 개방위치 사이로 옮겨질 수 있다. 밀봉 슬라이드(70)은 각각의 대향 측면 상에서, 대향 슈트 벽(38)들과 관련 하우징(26)의 측벽에 있는 대응 안내 홈(74)에 안내되는 측면 가이드 러너(72)를 갖는다. 이들은 차례로 슈트 벽들에 기밀되게 연결된다. 도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40)들은 다시 안내 홈(74)들과 가이드 러너(72)들 사이에 배치된다. 밀봉 립(sealing lip)(76)들은 하우징이나 슈트 벽에 고정된 안내 홈(74)을 따라 배치되고, 밀봉 슬라이드(70)의 밀봉 위치에서 최적 밀봉작용을 달성하도록 가이드 러너(72)들과 작용한다. 개방 위치에서, 이들 가이드 러너(72)들은 또한 슈트(12)를 통과한다.
램 테이블을 형성하는 베이스(64') 상방의 거리에, 제1 충전 레벨 센버(78)가 있다. 제2 충전 레벨 센서(80)는 밀봉장치(68)와 절단장치(10)에 의해 제한되는 잠금실(82)에 배치된다. 제2 충전 레벨 센서(80)와 밀봉 장치(68) 사이의 거리는 밀봉 장치(68)와 그 밀봉장치 바로 밑에 설치된 제1 충전 레벨 센서(78)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다. 이는 밀봉 슬라이드(70)로부터 제2 충전 레벨 센서(80)까지의 체적이 제1 충전 레벨 센서(78)와 밀봉 슬라이드(70) 사이의 부피보다 더 적다는 것을 보장한다.또한, 베이스(64')와 밀봉 장치(69) 사이에 존재하는 잠금실의 체적은 잠금실(82)의 체적보다 더 크다.
도4a에 도시된 공급 시스템(58)의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시작위치들은 도시된 위치, 즉 절단 장치(10)가 폐쇄위치에 있고 밀봉 슬라이드(70)는 밀봉 위치에 있다. 밀봉 슬라이드(70)의 상부에 제2 충전 레벨 센서(80)로 감지되는 최대 충전 레벨까지 쓰레기이 있다. 램(66)은 노(68)에 소정량을 공급하고, 그 결과 밀봉장치(69) 바로 밑에 있는 잠금실의 충전 레벨이 떨어진다. 이 레벨이 제1 충전 레벨 센서(78)에 의해 감지되는 최소 충전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 공급 싸이클이 개시된다. 이 싸이클에서, 밀봉 슬라이드(70)는 밀봉 위치에서 개방위치로 후퇴되고, 그 결과 잠금실(82)에 위치한 쓰레기은 베이스(64')에 여전히 위치되는 쓰레기 위로 떨어진다. 그 다음, 밀봉 슬라이드(70)는 즉시 밀봉위치로 복귀이동된다. 밀봉 슬라이드(70)가 개방위치에 있는 동안, 절단장치(10)는 밀봉기능을 수행한다. 밀봉 슬라이드(70)가 밀봉위치로 복귀될 때, 절단장치(10)는 개방되고 잠금실(82)은 제2충전레벨센서(80)로 감지되는 최대충전레벨가지 충전된다. 다음에, 절단장치(10)는 폐쇄되고 공급싸이클은 제1충전레벨센서(78)가 다시 최소충전레벨을 감지하고 공급싸이클을 다시 시작할 때까지 정지위치에 유지된다. 절단장치(10)는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폐쇄된다.
최상의 슈트(12)밀봉은 절단장치(10)와 밀봉장치(69)가 폐쇄될 때 얻어진다. 가능한 오랜시간동안 이를 보장하기 위해, 잠금실(82)은 충분히 큰 저장용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시간당 쓰레기 처리량의 1/4에 상응하는 저장용량을 갖는 경우, 공급싸이클은 시간당 평균 4번 발생될 것이다. 이들 공급싸이클사이에, 모든 슬라이드들은 폐쇄된다. 공급싸이클 중에, 밀봉(69)나 절단장치(10)중 하나는 항상 폐쇄되고, 따라서 반대 싸이클로 작동된다.
절단장치(10)가 쓰레기(61)을 절단시킬 수 있을지라도 유지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한 적게 절단이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충전 레벨 센서(80)와 절단장치(10)사이에 충분히 큰 거리를 제공함으로써 보장된다. 쓰레기이 잠금실(82)의 높이를 초과하는 길이의 물체들을 포함하는 경우, 이들 물체들은 절단장치(10)에 의해 절단된다.
첫 번째 시도에서 끼인 물체를 절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증명되는 경우, 절단 슬라이드(24)가 간극(56)을 완전히 횡단하거나 폐쇄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개방, 폐쇄 및 가능하다면 절단단계(공정)가 설정된 수의 싸이클 동안 반복된다. 설정된 수의 싸이클이 초과되는 경우, 작동은 중단되고 경고 메시지가 뜬다.
절단장치에 의해 슈트를 적어도 대략 밀봉방식으로 폐쇄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에서, 큰 물체를 절단하는 것외에, 절단장치는 또한 폐쇄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고, 이 폐쇄장치는 새로 공급되는 보충공기의 침투를 방지한다. 이는 연소공기의 공급이 더욱 성공적으로 제어가능하게 하므로 더 양호한 연소를 일으키고 오염물의 배출을 감소시키고, 더욱 균일한 온도 프로파일을 일으키고 연소실의 열부하를 더 낮게 한다.

Claims (14)

  1. 고정슬라이드(18)와 절단 슬라이드(24)를 갖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용 공급시스템(58)의 슈트에 있어서,
    고정 슬라이드(18)는 맞물림 홀더(18)와의 작용에 의해 슈트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와 슈트(12)를 폐쇄시키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고,
    절단 슬라이드(24)는 맞물림 홀더(16)와 고정 슬라이드(18) 사이에 쓰레기가 존재하여 수단들이 폐쇄위치에 도달될 수 없는 경우, 맞물림 홀더(16)와 고정 슬라이드(18) 사이의 간극(56)을 지나서 전방의 절단변부(25)로 밀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용 공급시스템의 슈트.
  2. 제1항에 있어서, 맞물림 홀더(16)는 슬라이드 요소(14)로서 설계되고, 맞물림 홀더(16)와 고정 슬라이드(18)는 슈트(12)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한 공통 이동평면에서 서로 가까이 및 멀리 이동될 수 있으며, 폐쇄위치는 적어도 대략 슈트(12)의 중심에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용 공급시스템의 슈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절단 슬라이드(24)는 이동평면 바로 아래에 그리고 이동평면에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고, 조절장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 절단변부(25)는 이동 평면의 하측과 접촉될 때까지 앞으로 안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용 공급시스템의 슈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 변부(25)는 절단될 쓰레기를 옆으로 둘러싸는 방식으로, V형 설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용 공급시스템의 슈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 슬라이드(24)는 고정 슬라이드(18)의 측면에서 맞물림 홀더(16) 상으로 이동될 수 있고, 바람직하기는 고정 슬라이드(18)가 절단 슬라이드(24) 상에 장착되어 절단 슬라이드(24) 상에 배치된 가이드(42)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용 공급시스템의 슈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 슬라이드(24)와 맞물림 홀더(16)는 서로 대향인 슈트 벽(38)들 상에 배치된 안내 홈(36)들에 러너들이 각각 장착되는 측들에 가이드 러너(34)들을 갖고, 개방위치에서 가이드 러너(34)들은 슈트의 전체 폭(d)에 걸쳐 안내 홈을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용 공급시스템의 슈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슬라이드(18), 절단 슬라이드(24), 및 가능한한 슬라이드 요소로서 설계된 맞물림 홀더(16) 각각은 구동요소, 바람직하기는 슈트(12) 상에 배치된 프레임(30) 상에 특히 지지되는 유압-실린더 유니트(2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용 공급시스템의 슈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 장치(10)는 슈트(12')의 상부 단부 구역(12")에 배치되고, 슈트(12)는 고정 슬라이드(18)와 맞물릴 홀더(16)뿐만 아니라 가능한한 절단 슬라이드(24)에 의해 적어도 대략 가스밀봉 방식으로 폐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용 공급시스템의 슈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슬라이드(70)는 절단장치(10)에서 하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잠금실(82)는 절단장치(10)와 밀봉 슬라이드(70)에 의해 한정되며, 잠금실의 체적은 밀봉 슬라이드(70)와 슈트의 바닥 단부(12')에 배치된 베이스(64')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용 공급시스템의 슈트.
  10. 제9항에 있어서, 밀봉 슬라이드(70)는 개방위치에서, 슈트의 교차부를 개방시키고 슈트(12)의 밀봉위치에서 시일을 형성하도록 슈트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고, 밀봉 슬라이드는 서로 대향된 슈트 벽(38)들 상에 배치된 안내 홈(74)에 가이드 러너들이 각각 장착된 측면들에 가이드 러너(72)들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이드 러너(72)들은 슈트의 전체 폭(d)에 걸쳐 안내 홈(74)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용 공급시스템의 슈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에 청구된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충전 레벨은 슈트(12)의 충전 레벨 센서(78)에 의해 기록되고, 한정된 충전 레벨에 도달될 때 슈트(12)는 충전되며, 충전을 위해 절단장치(10)의 작동 싸이클은 고정 슬라이드(18)와 가능한한 맞물림 홀더(16)가 초기에 개방위치로 이동되는 동안에 시작되고, 그 다음 슈트(12)를 폐쇄시키며, 맞물림 홀더(16)는 단부 위치로 밀려져서 잠금되고, 그 후 고정 슬라이드(18)는 맞물림 홀더(16)에 눌려지는 폐쇄위치에 도달되거나 맞물림 홀더(16)에 대향된 설정 압력 하에서 제자리에 고정될 때까지 맞물림 홀더(16)를 향해 이동되고, 절단 슬라이드(24)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고정 슬라이드의 폐쇄위치가 도달되지 않는 경우, 절단장치(10)의 작동싸이클은 절단 슬라이드(24)가 간극(56)을 완전히 가로지르고 제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설정된 싸이클 횟수 내에서 반복되거나, 설정된 싸이클 횟수가 초과되는 경우 작동이 정지되고 경고 메시지가 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제9항 또는 제10항에 청구된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 밀봉 슬라이드(70)와 슈트의 바닥 단부(12')에 있는 베이스(64')사이의 실에 설정된 최소 충전 레벨이 감지되는 경우, 밀봉 슬라이드(70)는 개방되고 잠금실(82)의 함량은 이 실로 비워지고,
    밀봉 슬라이드(70)가 폐쇄된 다음, 절단장치(10)가 개방되고 잠금실(82)이 잠금실(82)의 절대 높이보다 더 작은 설정가능한 최대 높이까지 충전되며, 최종적으로 절단장치(10)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용 공급시스템의 슈트.
  14. 슈트(12)의 상부에 슈트를 폐쇄시킬 수 있는 절단장치(10)와, 이 절단장치(10) 바로 밑에 배치되된 밀봉장치(70)와, 슈트의 바닥 단부(12')에 배치된 베이스(64')를 갖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용 공급시스템(58)의 슈트에 있어서,
    절단장치(10)와 밀봉 슬라이드(70)는 잠금실(82)을 한정하고, 잠금실의 체적은 밀봉 슬라이드(40)와 베이스(64')에 의해 한정된 실의 체적보다 더 작으며, 절단장치(10)와 밀봉 슬라이드는 반대 싸이클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용 공급시스템의 슈트.
KR10-2000-0051883A 1999-09-02 2000-09-02 절단장치를 갖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용 공급시스템의 슈트 KR100386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9991597/99 1999-09-02
CH159799 1999-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249A true KR20010030249A (ko) 2001-04-16
KR100386297B1 KR100386297B1 (ko) 2003-06-02

Family

ID=4214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883A KR100386297B1 (ko) 1999-09-02 2000-09-02 절단장치를 갖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용 공급시스템의 슈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82112B1 (ko)
EP (1) EP1081433B1 (ko)
JP (1) JP3507980B2 (ko)
KR (1) KR100386297B1 (ko)
CZ (1) CZ295924B6 (ko)
DE (1) DE50008305D1 (ko)
TW (1) TW45566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369B1 (ko) * 2005-12-22 2012-04-12 인터내셔널 엔바이론멘탈 솔루션즈 코포레이션 이중 나이프 게이트 밸브를 구비한 열분해 폐기물 처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303A (ko) * 2001-04-26 2002-11-02 이은숙 소각장치
US6948436B2 (en) * 2003-11-10 2005-09-27 Rem Engineere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gasification and combustion of animal waste, human waste, and/or biomass using a moving grate over a stationary perforated plate in a configured chamber
US20070113761A1 (en) * 2005-11-22 2007-05-24 Cameron Cole Pyrolytic waste treatment system having dual knife gate valves
KR101166848B1 (ko) * 2007-08-21 2012-07-19 가부시키가이샤 신코간교오솔루션 폐기물 공급 장치, 그 시일 방법 및 폐기물 공급 방법
US20090151609A1 (en) * 2007-12-15 2009-06-18 Hoskinson Gordon H Incinerator with pivoting grating system
JP5615877B2 (ja) * 2012-08-03 2014-10-29 インターナシヨナル・エンバイロンメンタル・ソリユーシヨンズ・コーポレイシヨン 二重ナイフゲート弁を有する熱分解廃棄物処理システム
CN105066144B (zh) * 2015-08-10 2017-05-03 宜兴福鼎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密闭进料输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390A (en) * 1907-11-01 1908-10-06 Frank Kingsley Mechanism for feeding furnaces.
DE2701336C2 (de) * 1977-01-14 1978-12-21 Lindemann Maschinenfabrik Gmbh, 4000 Duesseldorf Bunkerverschluß
US4531462A (en) * 1980-01-18 1985-07-30 University Of Kentucky Research Foundation Biomass gasifier combustor
DE3274992D1 (en) * 1981-08-04 1987-02-12 Onahama Seiren Kk Apparatus for dry distillation of discarded rubber tires
DE3213175C2 (de) * 1982-04-08 1984-08-30 Holac-Maschinenbau Gmbh, 7920 Heidenheim Streifen- und Würfelschneidmaschine
DK156747C (da) * 1985-01-17 1990-02-19 Nordfab As Anlaeg til oprivning og indfyring af halmballer samt til indfyring af andet fast braendsel
JPS6217513A (ja) * 1985-07-15 1987-01-26 株式会社 道前築炉工業 固体装入物の連続式縦型熱処理装置用スライド・ダンパ
DE3610422A1 (de) * 1986-03-27 1987-10-01 Seebeck Technoproduct Gmbh Vorkammer fuer oefen zur verbrennung von abfaellen
US4658736A (en) * 1986-03-27 1987-04-21 Walter Herman K Incineration of combustible waste materials
US4714031A (en) * 1987-01-05 1987-12-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mbustor feeding arrangement
US4942052A (en) * 1988-11-29 1990-07-17 Kraft, Inc. Method for producing blocks of cheese curd
US5022328A (en) * 1990-08-16 1991-06-11 Ensco, Inc. Shredder/compactor auger system
US5586855A (en) * 1993-11-23 1996-12-24 Eshleman; Roger D. Apparatus and method for infeeding batched materials
US5655463A (en) * 1995-06-19 1997-08-12 Douglas Nagel Apparatus and method for burning waste material
DE19525106C1 (de) * 1995-06-29 1997-03-13 Richard Kablitz & Mitthof Gmbh Feuerungsanlage
DE19602399C2 (de) * 1996-01-24 2000-08-24 Basf Coatings Ag Aufgabe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die Verbrennung von Industrieabfällen
US5820999A (en) * 1996-11-01 1998-10-13 Aluminum Company Of America Trimmed aluminum she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369B1 (ko) * 2005-12-22 2012-04-12 인터내셔널 엔바이론멘탈 솔루션즈 코포레이션 이중 나이프 게이트 밸브를 구비한 열분해 폐기물 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55667B (en) 2001-09-21
US6382112B1 (en) 2002-05-07
CZ20003205A3 (cs) 2001-04-11
EP1081433A1 (de) 2001-03-07
DE50008305D1 (de) 2004-11-25
CZ295924B6 (cs) 2005-11-16
EP1081433B1 (de) 2004-10-20
JP2001082717A (ja) 2001-03-30
KR100386297B1 (ko) 2003-06-02
JP3507980B2 (ja) 200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297B1 (ko) 절단장치를 갖는 쓰레기 소각 플랜트용 공급시스템의 슈트
JP3585497B2 (ja) 圧密成形プレス装置
KR19980703616A (ko) 루즈 물질 베일링 방법 및 장치
EP06773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plastic materials
US4796544A (en) Apparatus for tearing up and stoking bales of straw material and for stoking other kinds of solid fuel
US4200422A (en) Closures of bunkers for holding refuse
GB2110591A (en) Compaction of garbage into and unloading thereof from a transportable bin
US3865259A (en) Silo for bulk material
US3747519A (en) Trash-compacting apparatus
KR101909933B1 (ko)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
WO2008007057A1 (en) Compacting apparatus
US4201129A (en) Machine for charging furnaces
EP3573820A1 (en) Bale press
US4940376A (en) Scrap loader for molten metal furnace
CN210911265U (zh) 打包式压块机
US379281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eparation of waste material for disposal
RU211156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олнения пакетов твердыми радиоактивными отходами, их уплотнения и упаковки
KR101593385B1 (ko) 칩 압축장치
CN216302211U (zh) 一种垃圾箱和垃圾压缩系统
ES2033023T3 (es) Transportador de cadena con artesa de elevacion escarpada para carga a granel moderadamente seca.
CN211730373U (zh) 定量称重自动落料的打包机
CN219336175U (zh) 一种剪切机料床
US75845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scrap metal strip
JP2014138944A (ja) 圧縮梱包装置とその制御方法
CN209763089U (zh) 危险废物双通道进料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