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933B1 -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933B1
KR101909933B1 KR1020170105362A KR20170105362A KR101909933B1 KR 101909933 B1 KR101909933 B1 KR 101909933B1 KR 1020170105362 A KR1020170105362 A KR 1020170105362A KR 20170105362 A KR20170105362 A KR 20170105362A KR 101909933 B1 KR101909933 B1 KR 101909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ste
compressed
domestic waste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수
한재용
Original Assignee
(주)지엔아이마이크로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엔아이마이크로웨이브 filed Critical (주)지엔아이마이크로웨이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1Fe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14Ej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21Press r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42Waste feed arrangements
    • F23G5/444Waste feed arrangements for soli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연성 생활쓰레기를 압축하고, 압축된 생활쓰레기를 별도의 용기에 포장·보관하는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호퍼와, 본체와, 가압실린더부와, 가압블록과, 개폐부와, 반송라인을 포함한다. 호퍼에는 비압축 상태의 가연성 생활쓰레기가 담기며, 하측에 배출구가 형성된다. 본체는 가압통로를 갖는 함체 형상으로, 호퍼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생활쓰레기가 가압통로로 낙하될 수 있도록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가압실린더부는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가압통로를 따라 피스톤을 왕복 구동시킨다. 가압블록은 피스톤의 단부에 결합되어 가압통로에 낙하된 생활쓰레기를 본체의 타측면으로 밀어 압축시킨다. 개폐부는 가압블록에 의해 압축된 생활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본체의 타측면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반송라인은 본체의 타측에 설치되어 압축된 생활쓰레기를 전달받으며, 압축된 생활쓰레기를 방수비닐로 포장하는 제1 라인과, 제1 라인과 연결되어 생활쓰레기가 담긴 방수비닐을 보관용기에 넣는 제2 라인으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Apparatus for reducing the volume of flammable domestic waste}
본 발명은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연성 생활쓰레기를 압축하고, 압축된 생활쓰레기를 별도의 용기에 포장·보관하는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연성 생활쓰레기의 배출량은 연 10% 정도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이 좁아 쓰레기의 매립지 확보가 힘들기 때문에, 가연성 생활쓰레기의 상당량이 소각장으로 집하되어 소각되고 있다.
참고로, 가연성 생활쓰레기는 재활용이 힘든 종이, 섬유류, 플라스틱, 고무, 피혁, 목재, 음식물류 등이다.
이러한 가연성 생활쓰레기를 소각 처리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먼저, 한정된 소각 용량을 갖는 소각로에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생활쓰레기가 그대로 투입됨으로 인해, 시간당 처리할 수 있는 생활쓰레기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단점이 있었고, 전체적으로 생활쓰레기의 소각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생활쓰레기의 소각 처리가 지체되면서 대기 물량을 보관할 수 있는 광범위한 공간이 필요하게 되었고, 보관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고 미관을 흐리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4040호(2014.06.10. 등록 공고, 발명의 명칭 : 생활쓰레기 압착기)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연성 생활쓰레기의 부피를 대폭 축소하여 밀폐된 상태로 임시 보관할 수 있고, 생활쓰레기의 압축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자동화된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는, 비압축 상태의 가연성 생활쓰레기가 담기며, 하측에 배출구(110)가 형성되는 호퍼(100); 가압통로(210)를 갖는 함체 형상으로, 상기 호퍼(100)의 배출구(110)에서 배출되는 생활쓰레기가 상기 가압통로(210)로 낙하될 수 있도록 상면에 개구부(220)가 형성되는 본체(200); 상기 본체(20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통로(210)를 따라 피스톤(310)을 왕복 구동시키는 가압실린더부(300); 상기 피스톤(31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통로(210)에 낙하된 생활쓰레기를 상기 본체(200)의 타측면으로 밀어 압축시키는 가압블록(400); 상기 가압블록(400)에 의해 압축된 생활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타측면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500); 및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설치되어 압축된 생활쓰레기를 전달받으며, 압축된 생활쓰레기를 방수비닐(V)로 포장하는 제1 라인(610)과, 상기 제1 라인(610)과 연결되어 생활쓰레기가 담긴 방수비닐(V)을 보관용기(C)에 넣는 제2 라인(620)으로 구분되는 반송라인(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100)에서 배출되는 생활쓰레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호퍼(100)의 배출구(110)와 상기 본체(200)의 개구부(2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110)의 개도를 조절하는 개도조절부(700); 상기 본체(2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통로(210) 상에 쌓인 생활쓰레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 감지부(800); 및 상기 제1 감지부(800)에서 측정된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배출구(110)를 개방하여 상기 호퍼(100)에서 생활쓰레기가 토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1 감지부(800)에서 측정된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가압통로(210)에 일정량의 생활쓰레기가 쌓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배출구(110)를 폐쇄하고, 상기 생활쓰레기가 상기 가압블록(400)에 의해 압축되도록 상기 개도조절부(700) 및 상기 가압실린더부(300)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블록(400)이 상기 본체(200)의 타측을 향해 전진하는 거리를 측정하는 제2 감지부(8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부(850)에서 측정된 거리값이 일정기준 이하이면, 상기 가압통로(210)의 내부가 포화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호퍼(100)에서 생활쓰레기가 더 이상 토출되지 않도록 상기 배출구(110)를 1차적으로 폐쇄하고 상기 본체(200)의 타측면이 2차적으로 개방되며 상기 가압블록이 상기 본체의 타측면까지 3차적으로 전진되어 압축된 생활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개도조절부(700)와 상기 개폐부(500) 및 상기 가압실린더부(300)를 순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블록(400)의 전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평판 형상으로, 상측이 상기 가압블록(400)의 상측과 연결브라켓(910)을 매개로 힌지결합되는 경사판(900); 및 일단부가 상기 가압블록(400)의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경사판(900)의 하측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경사판(900)이 상기 연결브라켓(910)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경사판(900)을 밀거나 당기는 보조실린더부(10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블록(400)이 상기 본체(200)의 일측에 후진된 상태에서는 상기 경사판(900)이 상기 가압블록(400)과 일정 경사(θ)를 이루도록 상기 경사판(900)을 밀고 있다가, 상기 본체(200)의 타측을 향해 상기 가압블록(400)이 전진하면, 상기 경사판(900)이 일정속도로 당겨져 상기 경사판(900)의 경사(θ)가 점점 줄어들도록 상기 가압실린더부(300) 및 상기 보조실린더부(100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관용기(C)는, 차량에 의해 소각장으로 옮겨지고, 상기 소각장에는, 상기 보관용기(C)에 담긴 압축된 생활쓰레기가 소각로에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보관용기(C)를 상하반전시키는 상하반전부(1100);가 마련되며, 상기 상하반전부(1100)는, 전면과 상하면이 각각 개방되고 후면과 좌우면은 차폐된 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보관용기(C)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가고정되는 수용프레임(1110)과, 상기 수용프레임(1110)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수용프레임(1110)의 상면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ㄷ' 형상의 지지프레임(1120)과, 상기 지지프레임(1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프레임(1110)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1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에 따르면, 가연성 생활쓰레기의 부피가 대폭 축소됨으로써, 한 번에 많은 양의 쓰레기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고, 쓰레기 운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체적인 소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쓰레기를 별도의 용기에 밀폐된 상태로 층층이 쌓아 보관함으로써, 보관 면적과 공간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악취 발생을 방지하고 미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관용기(C)를 뒤집는 방식으로 비닐로 포장된 쓰레기 더미를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소각로에 투척할 수 있고, 경사판을 통해 쓰레기의 압축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쓰레기의 투입 - 반복 압축 - 배출의 전 과정이 제어부를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를 통해 생활쓰레기가 축소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에 포함된 상하반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a는 도 1의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에 포함된 경사판 및 보조실린더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며,
도 4b은 도 4a의 경사판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과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간소화를 위해 '생활쓰레기'를 '쓰레기 또는 쓰레기 더미'로 축약기재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를 통해 생활쓰레기가 축소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에 포함된 상하반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a는 도 1의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에 포함된 경사판 및 보조실린더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며, 도 4b은 도 4a의 경사판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과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는 쓰레기를 압축하고, 압축된 쓰레기를 별도의 용기에 포장·보관하는 장치로서, 호퍼(100), 본체(200), 가압실린더부(300), 가압블록(400), 개폐부(500)와 반송라인(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호퍼(100)에는 비압축 상태의 가연성 쓰레기가 담긴다. 호퍼(10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서, 하측에 배출구(110)가 형성된다.
본체(20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압통로(210)가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체(200)의 상면에는 호퍼(100)의 배출구(110)에서 배출되는 쓰레기가 가압통로(210)로 낙하될 수 있도록 개구부(220)가 일정 폭으로 형성된다.
호퍼(100)에서 배출되는 쓰레기가 가압통로(210)에 계속해서 투입되지 않고 일정량만 투입될 수 있도록 배출구(110)를 개폐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수단으로서, 배출구(110)와 개구부(220) 사이에 배출구(110)의 개도를 조절하는 개도조절부(700)가 설치된다.
개도조절부(700)는 본 실시예와 같이 배출구(110)와 개구부(220) 사이에 가림판(710)을 설치하고, 가림판(710)이 구동모터(720)에 의해 직선구동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혹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카메라의 셔터 구조와 같이 원형을 이루는 다수의 날개판이 서로 가까워져 겹쳐지거나 멀어져 벌어지는 형태로 배출구(110)의 개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가압실린더부(300)는 본체(20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가압통로(210)를 따라 피스톤(310)을 왕복 구동시키는 구성이다. 가압실린더부(300)로서 다양한 직선구동 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단동 실린더가 사용된다. 가압실린더부(300)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본체(200)의 일측에는 실린더 지지대(230)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블록(400)은 피스톤(310)의 단부에 결합되어 가압통로(210) 상에 낙하된 쓰레기 더미를 본체(200)의 타측면으로 밀어 압축시킨다. 비압축 상태로 투입된 쓰레기 더미는 가압블록(400)의 가압력에 의해 일정비율로 축소된다.
개폐부(500)는 가압블록(400)에 의해 압축된 쓰레기 더미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본체(200)의 타측면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개폐부(500)는 개방된 본체(200)의 타측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판(510)과, 본체(200)의 상부에서 상기 개폐판(510)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승강구동부(520)는 랙-피니언 방식의 구동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200)의 바닥면에는 개폐판(510)이 안착될 수 있는 문턱홈(240)이 형성되는데, 이는 하강 상태에서 압축력을 받는 개폐판(510)이 견고하게 제자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반송라인(600)은 본체(200)의 타측에 설치되어 압축된 쓰레기 더미를 전달받는다. 반송라인(6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된 쓰레기 더미를 방수비닐(V)로 포장하는 제1 라인(610)과, 제1 라인(610)과 연결되어 쓰레기 더미가 담긴 방수비닐(V)을 보관용기(C)에 넣는 제2 라인(620)으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제1 라인(610)은 본체(200)의 타측에서 배출된 쓰레기 더미가 자연스럽게 내려올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라인(610)과 제2 라인(620)에는 노동력 절감을 위해 컨베이어 벨트가 적용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를 통해 쓰레기가 축소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도조절부(700)의 가림판(710)을 당겨 호퍼(100)의 배출구(110)를 열면, 생활쓰레기가 가압통로(210)로 투입된다.
이때, 가압통로(210) 내에 얼마 정도의 쓰레기가 투입됐는 지를 육안으로 확인한 다음, 호퍼(100)의 배출구(110)를 수동으로 열고 닫는 것은 어렵고 비효율적이다. 이를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제1 감지부(800)와 제어부(미도시)가 추가로 구성된다.
제1 감지부(800)는 본체(200)의 상측에 설치되어 가압통로(210)에 쌓이는 쓰레기 더미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제1 감지부(800)는 거리 측정이 가능한 근접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고, 가압통로(210) 내부의 영상를 촬영하고 영상의 색상 차이를 추출하여 쓰레기의 축적량을 산출할 수 있는 비전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제1 감지부(800)에서 측정된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배출구(110)를 개방하여 호퍼(100)에서 쓰레기가 토출되도록 하고, 제1 감지부(800)에서 측정된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가압통로(210)에 일정량의 쓰레기가 쌓였다고 판단하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판(710)을 전진시켜 배출구(110)를 폐쇄하고, 쓰레기가 가압블록(400)에 의해 압축되도록 개도조절부(700) 및 가압실린더부(300)를 각각 제어한다.
이와 같은 압축과정이 반복적으로 실시되면서 쓰레기 더미의 부피가 대폭 축소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한정된 소각 용량을 갖는 소각로에 많은 양의 쓰레기를 투입하여 소각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전체적인 소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압통로(210)의 타측에 압축된 쓰레기 더미는 계속적으로 적층되면서 쓰레기 더미의 전체 부피가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가압블록(400)이 본체(200)의 타측을 향해 전진하는 거리가 점점 짧아지게 되고, 압축된 생활쓰레기 더미가 배출구(110)까지 적층되어 배출구(110)를 가로막게 되면 더 이상 정상적인 압축 작업이 불가능해진다.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처리하기 위해 본체(200)의 일측에는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블록(400)이 본체(200)의 타측을 향해 전진하는 거리를 측정하는 제2 감지부(850)가 설치되는데, 여기서 측정된 거리값이 일정기준 이하이면, 제어부는 가압통로(210)의 내부가 포화상태, 즉 쓰레기가 더 이상 압축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하고, 호퍼(100)에서 쓰레기가 더 이상 토출되지 않도록 개도조절부(700)를 제어하여 배출구(110)를 폐쇄시킨다.
이후, 본체(200)의 타측면이 개방되도록 승강구동부(520)를 제어하여 개폐판(510)을 상승시키고, 가압블록(400)이 본체의 타측면까지 전진되도록 가압실린더부(300)를 제어하여 압축된 쓰레기 더미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렇게 배출된 생활쓰레기 더미는 본체(200)의 타측에 설치된 제1 라인(610)으로 이송되며, 누수로 인한 악취가 발생되지 않도록 방수비닐(V)로 포장된다.
방수비닐(V)에 포장된 쓰레기 더미는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라인(620)에서 보관용기(C)에 넣어지고, 보관용기(C)의 덮개(C1)가 닫히면서 밀봉된 후, 보관창고에 층층이 쌓여 보관되거나, 차량에 탑재되어 소각장으로 옮겨진다.
이때, 보관용기(C)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 접합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둘레에 복수의 용기 지지밴드(CB)가 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관용기(C)의 탑재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보관용기(C)의 상부에 용기 걸이대(CH)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쓰레기의 부피를 대폭 축소하여 보관용기에 보관하고 이를 층층히 쌓음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서 많은 양의 쓰레기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보관 면적과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쓰레기가 용기에 담겨 블록 형태로 가지런히 정리됨으로써, 미관상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쓰레기의 부피가 줄어듦에 따라, 보다 많은 양의 쓰레기를 차량에 탑재하여 운반할 수 있게 되므로, 운송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보관용기(C)가 이송되는 소각장에는 보관용기(C)에 담긴 쓰레기 더미를 소각로에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보관용기(C)를 상하반전시키는 상하반전부(1100)가 설치된다.
상하반전부(1100)는 수용프레임(1110)과, 지지프레임(1120)과, 회전구동부(1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수용프레임(1110)은 전면과 상하면이 각각 개방되고 후면과 좌우면은 차폐된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며, 덮개(C1)가 열린 보관용기(C)가 수용프레임(1110)의 전면으로 진입하여 내부에 가고정된다.
수용프레임(1110)의 좌우 내측면에는 보관용기(C)의 용기 지지밴드(CB)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삽입홈(1111)이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데, 보관용기(C)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보관용기(C)가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가고정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ㄷ자 형상의 지지프레임(1120)은 수용프레임(1110)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부가 수용프레임(1110)의 상면에 각각 힌지결합되며, 회전구동부(1130)는 지지프레임(1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수용프레임(1110)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보관용기(C)를 뒤집는 방식으로 비닐로 포장된 쓰레기 더미를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소각로에 투척할 수 있다.
소각로에 투척된 쓰레기 더미는 방수비닐(V)과 함께 소각되며, 수용프레임(1110)에 가고정된 보관용기(C)는 용기 지지밴드(CB)의 선 방향, 즉 전방으로 힘을 가하여 수용프레임(1110)으로부터 분리시켜 재사용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를 통해 쓰레기가 축소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한편, 호퍼(100)의 배출구(110)에서 낙하되는 쓰레기는 도 4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통로(210) 상으로 낙하되면서 산처럼 쌓여 위로 갈수록 그 양이 줄어든다. 이 상태에서 쓰레기를 그대로 압축하게 되면, 쓰레기 더미의 상반부가 제대로 압축되지 못하여 압축되는 모양과 밀도가 나빠짐은 물론, 압축과정에서 가압실린더부(300)가 굽힘력을 받게 되면서 가압실린더부(300)가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경사판(900)과 보조실린더부(1000)가 더 포함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경사판(900)은 가압블록(400)의 전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평판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측이 가압블록(400)의 상측과 연결브라켓(910)을 매개로 힌지결합된다.
보조실린더부(1000)는 일단부가 가압블록(400)의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경사판(900)의 하측에 힌지결합되며, 경사판(900)이 연결브라켓(910)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경사판(900)을 밀거나 당기는 작용을 한다.
제어부는 도 4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블록(400)이 본체(200)의 일측에 후진된 상태에서는 경사판(900)이 가압블록(400)과 일정 경사(θ)를 이루도록 경사판(900)을 밀고 있다가, 도 4의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타측을 향해 가압블록(400)이 전진하면, 경사판(900)이 일정속도로 당겨져 경사판(900)의 경사(θ)가 점점 줄어들도록 가압실린더부(300) 및 보조실린더부(1000)를 각각 제어한다.
즉, 쓰레기 더미가 경사판(900)의 경사에 따라 상측으로 밀어 올려지면서 쓰레기 더미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균일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쓰레기의 압축효율을 높이고, 장비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는, 가연성 생활쓰레기의 부피가 대폭 축소됨으로써, 한 번에 많은 양의 쓰레기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고, 쓰레기 운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체적인 소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쓰레기를 별도의 용기에 밀폐된 상태로 층층이 쌓아 보관함으로써, 보관 면적과 공간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악취 발생을 방지하고 미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관용기(C)를 뒤집는 방식으로 비닐로 포장된 쓰레기 더미를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소각로에 투척할 수 있고, 경사판을 통해 쓰레기의 압축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쓰레기의 투입 - 반복 압축 - 배출의 전 과정이 제어부를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호퍼
200 : 본체
300 : 가압실린더부
400 : 가압블록
500 : 개폐부
600 : 반송라인

Claims (5)

  1. 비압축 상태의 가연성 생활쓰레기가 담기며, 하측에 배출구(110)가 형성되는 호퍼(100);
    가압통로(210)를 갖는 함체 형상으로, 상기 호퍼(100)의 배출구(110)에서 배출되는 생활쓰레기가 상기 가압통로(210)로 낙하될 수 있도록 상면에 개구부(220)가 형성되는 본체(200);
    상기 본체(20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통로(210)를 따라 피스톤(310)을 왕복 구동시키는 가압실린더부(300);
    상기 피스톤(31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통로(210)에 낙하된 생활쓰레기를 상기 본체(200)의 타측면으로 밀어 압축시키는 가압블록(400);
    상기 가압블록(400)에 의해 압축된 생활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00)의 타측면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500); 및
    상기 본체(200)의 타측에 설치되어 압축된 생활쓰레기를 전달받으며, 압축된 생활쓰레기를 방수비닐(V)로 포장하는 제1 라인(610)과, 상기 제1 라인(610)과 연결되어 생활쓰레기가 담긴 방수비닐(V)을 보관용기(C)에 넣는 제2 라인(620)으로 구분되는 반송라인(600);을 포함하고,
    상기 호퍼(100)에서 배출되는 생활쓰레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호퍼(100)의 배출구(110)와 상기 본체(200)의 개구부(2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110)의 개도를 조절하는 개도조절부(700);
    상기 본체(2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통로(210) 상에 쌓인 생활쓰레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 감지부(800); 및
    상기 제1 감지부(800)에서 측정된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배출구(110)를 개방하여 상기 호퍼(100)에서 생활쓰레기가 토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1 감지부(800)에서 측정된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가압통로(210)에 일정량의 생활쓰레기가 쌓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배출구(110)를 폐쇄하고, 상기 생활쓰레기가 상기 가압블록(400)에 의해 압축되도록 상기 개도조절부(700) 및 상기 가압실린더부(300)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블록(400)의 전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평판 형상으로, 상측이 상기 가압블록(400)의 상측과 연결브라켓(910)을 매개로 힌지결합되는 경사판(900); 및
    일단부가 상기 가압블록(400)의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경사판(900)의 하측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경사판(900)이 상기 연결브라켓(910)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경사판(900)을 밀거나 당기는 보조실린더부(10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블록(400)이 상기 본체(200)의 일측에 후진된 상태에서는 상기 경사판(900)이 상기 가압블록(400)과 일정 경사(θ)를 이루도록 상기 경사판(900)을 밀고 있다가, 상기 본체(200)의 타측을 향해 상기 가압블록(400)이 전진하면, 상기 경사판(900)이 일정속도로 당겨져 상기 경사판(900)의 경사(θ)가 점점 줄어들도록 상기 가압실린더부(300) 및 상기 보조실린더부(1000)를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블록(400)이 상기 본체(200)의 타측을 향해 전진하는 거리를 측정하는 제2 감지부(8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부(850)에서 측정된 거리값이 일정기준 이하이면, 상기 가압통로(210)의 내부가 포화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호퍼(100)에서 생활쓰레기가 더 이상 토출되지 않도록 상기 배출구(110)를 1차적으로 폐쇄하고 상기 본체(200)의 타측면이 2차적으로 개방되며 상기 가압블록이 상기 본체의 타측면까지 3차적으로 전진되어 압축된 생활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개도조절부(700)와 상기 개폐부(500) 및 상기 가압실린더부(300)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05362A 2017-03-22 2017-08-21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 KR101909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921 2017-03-22
KR20170035921 2017-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933B1 true KR101909933B1 (ko) 2018-10-19

Family

ID=64101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362A KR101909933B1 (ko) 2017-03-22 2017-08-21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9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409B1 (ko) * 2020-11-23 2021-05-13 허민규 마스크 원단 제단 시 발생되는 슬러지 안전 회수 장치
CN113815250A (zh) * 2021-09-24 2021-12-21 江苏苏阳弘和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压缩上料装置及方法
KR20220120380A (ko) * 2021-02-23 2022-08-30 김규민 압축기를 포함하는 재활용품 처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582B1 (ko) * 2005-10-14 2006-04-10 (주)아이앤씨 수직형 폐캔 자동 압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582B1 (ko) * 2005-10-14 2006-04-10 (주)아이앤씨 수직형 폐캔 자동 압축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409B1 (ko) * 2020-11-23 2021-05-13 허민규 마스크 원단 제단 시 발생되는 슬러지 안전 회수 장치
KR20220120380A (ko) * 2021-02-23 2022-08-30 김규민 압축기를 포함하는 재활용품 처리 시스템
KR102512029B1 (ko) * 2021-02-23 2023-03-17 김규민 압축기를 포함하는 재활용품 처리 시스템
CN113815250A (zh) * 2021-09-24 2021-12-21 江苏苏阳弘和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压缩上料装置及方法
CN113815250B (zh) * 2021-09-24 2024-02-27 江苏苏阳弘和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压缩上料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933B1 (ko) 가연성 생활쓰레기 축소 처리장치
EP1899230B1 (en) Handling compressible materials
US4108063A (en) Hydraulic bagging press
US4310279A (en) Trash handling system
HUT59850A (en) Waste collecting and compacting apparatus
KR19980703616A (ko) 루즈 물질 베일링 방법 및 장치
CN108326000B (zh) 一种垃圾处理系统
EP06773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plastic materials
KR101685576B1 (ko) 톱밥 및 분쇄물 운반차량
US10525648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pacting materials
CA2859440C (en) Method and device for compacting materials
US3538844A (en) Waste compressor including ejector chute
US20210187890A1 (en) Vertical box baler and method of operating it
KR100273467B1 (ko) 사전 압축식 재활용쓰레기 수거차량
JP2000071097A (ja) シュレッダー屑減容機
US3878774A (en) Plant for compacting and crushing domestic rubbish
JP2004026497A (ja) 廃棄物の圧縮収容方法及び圧縮収容装置並びにコンテナ
US7540234B1 (en) Waste baling machine
JPH1158085A (ja) 予備圧縮装置付きペットボトル減容機
GB2435810A (en) Waste compactor
KR101850786B1 (ko) 산업폐기물의 유압식 절단장치
CN213500994U (zh) 一种房屋建筑施工用建筑垃圾压缩装置
KR940008275Y1 (ko) 쓰레기 운반차의 쓰레기 압축장치
CN212476492U (zh) 一种压滤机的滤饼排出装置
JP3602153B2 (ja) シート状物の圧縮梱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