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3616A - 루즈 물질 베일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루즈 물질 베일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3616A
KR19980703616A KR1019970707015A KR19970707015A KR19980703616A KR 19980703616 A KR19980703616 A KR 19980703616A KR 1019970707015 A KR1019970707015 A KR 1019970707015A KR 19970707015 A KR19970707015 A KR 19970707015A KR 19980703616 A KR19980703616 A KR 19980703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mpression
bale
ram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니에 알. 로빈손
Original Assignee
아우구스트반데어벡
린데만마신넨파브릭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구스트반데어벡, 린데만마신넨파브릭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우구스트반데어벡
Publication of KR19980703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61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14Ej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07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32Press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제어가능한 위치설정 도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쓰레기와 같은 루즈 물질을 베어링 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예에서, 도어는 압축 베일을 개방 도어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통해 압축 챔버로 배출할 수 있도록 초기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의 선단 에지부는 초과 크기의 베일을 포함하는, 가변폭으로된 베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압축 램 가압판과 정렬하고 있는 최종 위치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도어의 선단 에지부는 압축 램 가압판과 정렬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일링 장치는 플러그 베일 모드에서 작동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된 베일에 대해서 가압되는 도어를 포함하므로 연속 베일 압축동안 압축 챔버에 의해 형성된 개구내에 플러그 베일을 확고하기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도어가 폐쇄되어지는 속도가 소정 속도보다 느릴 때 까지 도어를 부분적으로 폐쇄한다. 도어가 폐쇄되어지는 속도가 소정 속도보다 느리면, 추가의 도어의 폐쇄는 정지되고 부분적으로 폐쇄된 도어에 의해 마찰력이 증가함으로 플러그 베일은 개구내에 확고하게 유지된다.

Description

루즈 물질 베일링 방법 및 장치
쓰레기와 같은 루즈 물질을 상당히 조밀한 압축 베일로 압축하는 다수의 베일링 기계가 개발되어 왔다. 여기서 종종 쓰레기를 상당히 균일한 크기로 압축된 베일은 보다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보관 또는 처분 장소로 보다 쉽게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이용가능한 매립지의 공간이 줄어듦에 따라, 쓰레기를 선적하기 전에 이들을 조밀한 압축 베일로 압축해서 매립지에 보관하는 것은 매립지내에서 쓰레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더욱더 감소시키기 위해서 아주 중요시되고 있다. 추가로, 환경의 관점이 더욱 강조되고, 재활용될 수 있는 종이, 플라스틱과 캔과 같은 쓰레기의 보다 큰 퍼센테이지를 허용하는 재활용기술이 최근에 개선됨에 따라서, 재활용가능한 쓰레기이 적당한 재활용 시설로의 선적전에 일반적으로 압축되기 때문에 쓰레기의 베일링은 휠씬더 중요하게 되어왔다.
종래의 베일링 기계는 일반적으로 쓰레기와 같은 루즈 물질이 누적되는 빈 또는 호퍼를 포함한다. 누적 물질은 일반적으로 베일링 기계내에 형성된 충진통로내에 수집된다. 충진 통로는 직사각형 단단한 형상과 같은 평행 6면체 형상을 가진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통로이다.
또한, 종래 베일링 기계는 일반적으로 충진 통로내에 누적되고 종축 이동용으로 적용된 적합한 압축 램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특히, 압축 램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수축위치와 팽창위치사이의 충진 통로를 통해서 종축으로 왕복 이동하기에 적합한 압축 램 가압판을 포함한다. 수축 위치에서, 호퍼내에 누적된 루즈 물질은 충진 통로내에 수집된다. 압축 램 가압판이 수축위치에서부터 팽창위치로 종축 전방으로 이동되면, 루즈 물질은 충진 통로를 통해 눌려져 압축 챔버로 들어간다. 압축 챔버는 또한 베일링 기계내에 형성되고 충진 통로의 출구 단부와 연통한다. 따라서, 충진 통로를 통해 연장 압축 램 가압판에 의해 눌려진 루즈 물질은 압축 챔버내에서 베일로 압축된다.
이런 종래의 베일링 기계의 압축 챔버는 일반적으로 소정 폭을 포함하는 소정 치수로 만들어진 직사각형의 단단한 형상을 가진다. 팽창 위치내에 압축 램 가압판의 전방면에 더해서, 압축 챔버는 전형적으로 제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압축 램 가압판과 마주보는 단부벽과 천정과 바닥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축 챔버는 더욱더 압축 베일을 배출하도록 상호협력하여 이동하도록 적용되는 한 쌍의 양 측벽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베일이 한번 압축 챔버내에 형성되면, 베일은 다음 베일이 압축할 수 있도록 배출된다. 그리고 나서 배출 베일을 선적전에 스트라이프 또는 밴드로 묶을 수 있다.
종래 베일링 기계는 일반적으로 압축 베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램 가압판을 가진 방출 램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방출 램 어셈블리는 압축 베일이 배출되도록 압축 챔버를 통해 방출 램 가압판을 전진시키므로써 방출 램 가압판이 압축 챔버의 제 1 측벽을 형성하는 수축위치로부터 팽창위치로 이동한다. 일반적으로, 방출 램 가압판은 충진 통로의 종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길이방향으로 전진된다.
종래 베일링 기계는 전형적으로 두 모드, 즉, 분리 모두와 플러그 베일 모드중 하나로 작동된다. 분리 모드에서, 압축 챔버의 제 2 측벽은 압축작업동안에 폐쇄되고 압축 베일이 압축 챔버로부터 배출되어 있을 정도로 압축 베일이 형성되면 개방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그리고 나서 도어를 다음의 베일을 압축하기전에 폐쇄할 수 있다.
플러그 베일 모드에서, 또한 압축 챔버의 제 2 측벽은 도어를 포함한다. 그러나, 플러그 베일 모드에서는 압축작업동안 도어가 개방되어 있고 미리 압축된 플러그 베일의 후방부는 연속 베일의 압축동안 압축 챔버의 측벽내에 개구를 채운다. 연속 베일이 압축되어지면, 개구로 방출할 수 있으므로서, 압축 챔버내의 개구를 미리 플러그하고 있는 미리 압축된 베일을 베일링 기계의 하류로 더 누른다. 가장 최근의 압축 베일은 개구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남아 있지만, 연속 베일의 압축동안 압축 챔버의 측벽내의 개구를 채우므로서 플러그 베일로서 작용한다.
종래의 베일링 기계에 의해 만들어진 베일은 전형적으로 압축 챔버의 소정 크기에 의해 형성된 것과 같은 소정 크기를 가진다. 그러나, 약간의 경우에, 초과 크기의 베일이 형성된다. 그러나, 충진 통로내에 수집되고 압축 램 어셈블리에 의해 압축 챔버로 눌려진 루즈 물질은 심지어 압축 다음에, 압축 챔버의 용량을 초과할 수 있으므로, 압축 베일의 적어도 일부분은 압축 챔버를 넘어서 충진 통로로 연장한다.
이런 경우에, 종래 베일링 기계는 일반적으로 종래의 베일링 기계의 도어가 압축 챔버의 소정 폭에만 개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 챔버로부터 초과 크기의 베일을 배출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이런 종래 베일링 기계로부터 초과 크기의 베일을 배출하기 위한 약간의 시도는 베일링 기계를 손상할 수 있다. 따라서, 초과 크기의 베일의 형성시, 압축 챔버내에 베일을 맞추어서 배출해야 하므로, 베일링 기계의 작업자가 일반적으로 베일링 작업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압축 챔버로 들어가 물리적으로 압축 챔버를 넘어서 연장하는 초과 물질을 제거해야한다. 여기서 알 수 있둣이, 초과 물질의 물리적 제거는 시간을 낭비하고, 위험하고 어렵다.
따라서, 압축 쓰레기의 초과 크기의 베일을 방출하는데 적용된 베일링 기계는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발명자가 제릴 엘. 잭슨 등이고 해리스 프레스 앤드 셔어 인코포레이티드(Harris Press and Shear, Inc)에 양도된 1987년 4월 21일자로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58,719 호는 쓰레기 베일러로부터 초과 크기의 베일을 방출하기 위한 기계를 공지한다. 상기 미국 특허 제 4,658,719 호는 압축 베일을 배출하는 방출 통로를 포함한다. 방출 통로는 베일의 최대 폭을 형성하는 소정 폭을 가진다.
미국 특허 제 4,658,719 호의 쓰레기 베일링 기계의 방출 통로는 내부와 외부로 이루어진 측벽을 포함한다. 소정 크기의 베일의 압축과 배출동안, 내부와 외부 측벽은 측면상으로 인접한 관계로 위치설정된다. 그러나, 초과 크기의 베일의 압축시, 내부 측벽은 수직으로 상승될 수 있으며 외부 측벽상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방출 통로 측벽의 효과적인 폭은 감소되고, 따라서, 이에 맞추어 방출 통로의 폭은 증가된다. 그런 후에, 초과 크기의 베일을 베일링 기계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그러나, 미국 특허 제 4,658,719 호의 쓰레기 베일링 기계의 내부벽은 일반적으로 상당히 두꺼우므로, 내부벽의 수직 이동에는 전형적으로 유압모터에 의해 공급되는, 상당히 큰 상승력을 필요로 한다. 그 외에, 내부와 외부벽이 짝을 이루는 벽면을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내부와 외부벽을 정밀하게 가공해야한다.
초과 크기의 베일을 방출하기 위한 기계를 가진 또 다른 쓰레기 베일링 기계는 발명자가 호라스 알. 뉴섬이고 모스리 머신어리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Mosely Machinery Company, Inc)에 양도된 1991년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007,337 호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5,007,337 호는 또한 압축 챔버에 인접하고 하류에 있으며 압축 베일이 배출되는 방출 통로를 포함하는 수평 쓰레기 베일링 기계를 공지한다. 그 외에, 미국 특허 제 5,007,337 호의 쓰레기 베일링 기계는 충진 통로의 출구 단부에 인접한 방출 통로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충진 통로의 출구 단부는 일반적으로 압축 챔버에 인접한 충진 통로의 단부로서 형성된다.
방출 통로 측벽은 방출 통로의 폭과, 따라서 압축 베일의 최대폭을 형성한다. 작동시, 방출 통로 측벽은 표준 압축 베일의 소정 폭을 형성하는 정상 위치를 가진다. 그 외에, 방출 통로 측벽은 방출 통로의 폭을 증가하기 위해서 측면방향으로 외향으로 소정 거리d로 이동하여 더 넓은 위치로 되므로, 초과 크기의 베일을 방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미국 특허 제 5.007,337 호의 쓰레기 베일링 기계의 방출 통로 측벽은 두 위치, 즉, 정상 위치와 소정 거리d만큼 측면방향으로 외향으로 이동한 더 넓은 위치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간의 베일링 기계는 플러그 베일 모드내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플러그 베일 모드에서는 미리 압축된 플러그 베일을 연속 베일의 압축동안 압축 챔버내의 개구내에 놓는다. 그러나, 압축 공정동안, 압축 챔버의 물질은 상당히 큰 힘을 받게된다. 따라서, 미리 압축된 플러그 베일을 포함하는 압축 챔버 자체는 상술한 큰 힘에 견딜 수 있게 되어 있어야 한다.
전형적으로, 플러그 베일은 베일과 방출 통로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압축 챔버의 측벽내의 개구내에 유지된다. 플러그 베일이 상당히 높은 습도와 상당히 적은 크기를 가지는 경우와 같은 약간의 경우에, 압축 챔버내에 형성된 개구내에 플러그 베일을 유지하는 마찰력을 압축 챔버내의 물질에 가해진 힘에 의해서 극복될 수 있으므로 플러그 베일을 개구로부터 밀어내어 방출 통로로 전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압축 챔버내에 형성되어진 베일은 전형적으로 개구에서 발생된 플러그 베일의 이동에 의해서 잘못된 형상 또는 잘못된 크기를 형성할 것이다.
압축 챔버의 측벽내에 형성된 개구내의 플러그 베일을 더욱더 안전시키기 위해서, 발명자가 브로디 더블유. 루드 2세등이고 C M Company에 양도되고 1992년 1월 21일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 081,922 호는 고체 쓰레기 베일링 기계로부터 베일의 방출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공지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 5, 081,922 호의 쓰레기 베일링 기계는 압축 챔버와 정렬되고 연통되는 방출 통로를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 5, 081,922 호의 쓰레기 베일링 기계가 압축 작업을 완료하면, 압축 베일은 압축 챔버의 측벽내의 개구를 통해 방출 통로로 방출된다. 그러나, 압축 베일의 후방부는 압축 챔버의 측벽내의 개구내에 유지되어 연속 베일의 압축동안 플러그 베일로서 작용한다.
미국 특허 제 5, 081,922 호의 쓰레기 베일링 기계의 종축으로 연장하는 방출 통로는 상부와 하부판과 고정 측벽으로 형성된다. 방출 통로는 추가로 방출 통로의 종축선에 수직인 방향의 측면 내향과 외향으로 점증적인 이동을 위해 장착되어 있는 측면으로 이동가능한 측벽으로 형성된다. 특히, 측면으로 이동가능한 측벽은 방출 통로의 출구 단부와 정렬해서 소정 위치로부터 점증적인 내향과 외향 이동을 위해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측면으로 이동가능한 측벽은 베일의 배출다음에 측면 내향으로 점증적으로 이동될 수 있어 연속 베일의 압축동안 방출 통로내에 배출 베일을 가압하고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출 베일은 연속 베일의 압축동안 압축 챔버내에 유지된다.
미국 특허 제 5, 081,922 호의 쓰레기 베일 기계에 의해 한 번 베일이 압축되어지면, 방출 통로로 배출된다. 그러나, 가장 최근에 압축된 베일이 미리 압축된 플러그 베일보다 큰 경우와 같이, 압축 베일의 배출에 과잉 저항력이 있다면, 측면으로 이동가능한 측벽은 또한 방출 통로의 출구 단부와 정렬해서 소정 위치로부터 점증적으로 수축되어 압축 베일의 배출에 대한 저항력을 감소하므로서, 압축 베일을 방출 통로로 방출시킬 수 있다. 그런 후, 측면으로 이동가능한 측벽을 다시 측면 내향으로 점증적으로 이동하여 연속 베일의 압축동안 플러그 베일을 제 위치에 보다 확고히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루즈 물질을 베일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특히, 제어가능하게 위치설정된 도어 어셈블리를 가진 쓰레기 베일링 장치와 그와 관련된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루즈 물질을 베일링하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2-2선을 따라 취하고 압축 램 어셈블리와 방출 램 어셈블리 양자의 팽창과 수축 위치를 도시하는 베일링 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베일링 장치의 한 실시예의 압축 램 제어기와 작동 수단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 4는 압축 램 가압판을 가진 도어의 정렬을 도시하는 도 1의 베일링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압축 램 가압판과 정렬하고 있는 개방 도어에 의해 형성된 압축 챔버로 개구를 통해 압축 베일을 배출하는 동안의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예의 베일링 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플러그 베일이 연속 베일의 압축동안 개방 도어에 의해 형성된 압축 챔버로의 개구내에 유지되는 플러그 베일 모드 작동중인 도 1의 베일링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압축 베일의 배출동안 압축 램 가압판의 후방쪽이 있으며, 베일을 더욱더 베일링 장치로부터 하향으로 가압하는 최종 위치내에서의 도어의 선단 에지부를 도시하는 도 1의 베일링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베일링 장치의 한 실시예의 도어 폐쇄 수단과 도어 어셈블리의 관계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본 발명의 목적은 쓰레기의 압축 베일을 배출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개선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일링 장치의 손상없이 쓰레기의 압축 베일을 배출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개선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일링 장치로부터 초과 크기의 베일을 제어가능하게 배출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개선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일링 장치의 압축 챔버의 측벽내에 형성된 개구내에 플러그 베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개선하는데 있다.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어가능한 위치설정 도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쓰레기와 같은 루즈 물질을 베어링 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의해 제공된다. 한 실시예에서, 도어 어셈블리는 도어의 선단 에지부가 압축 램 가압판과 전체적으로 정렬하고 있는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개방 도어에 의해 형성된 압축 챔버로부터의 개구는 압축 램 가압판의 위치에 대응하는 크기, 즉 적어도 압축 베일의 폭과 같은 크기를 가지므로 초과 크기의 베일을 포함하는, 가변폭으로된 베일을 배출할 수 있다.
베일링 장치가 플러그 베일 모드내에 작동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 어셈블리는 도어의 선단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된 베일을 가압하도록 도어를 부분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도어 폐쇄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도어 폐쇄 수단은 도어가 폐쇄되어지는 속도를 반복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속도 센서와, 상기 속도 센서가 소정 속도보다 도어가 폐쇄되어지는 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결정하면 도어의 추가의 폐쇄를 정지시키기 위한 도어 위치설정 제어기를 포함한다. 소정 속도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연속 압축 작업동안 압축 챔버의 개구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 베일을 확고하게 유지한다.
루즈 물질을 베일링하기 위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상기 루즈 물질을 수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종축으로 연장하는 충진 통로와 같은, 충진 통로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또한 충진 통로와 연통하는 압축 챔버를 형성한다. 압축 램 어셈블리는 적합하게 충진 통로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종축 이동과 같은 이동을 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상기 압축 램 어셈블리는 수축 위치와 팽창 위치사이로 이동한다. 상기 압축 램 어셈블리는 충진 통로내에 수용된 루즈 물질을 압축 챔버로 가압하고 상기 압축 램 어셈블 리가 수축 위치에서 팽창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압축 챔버내의 루즈 물질을 베일로 압축하기 위한 압축 램 가압판을 포함한다. 베일이 형성되면, 압축 램 어셈블리의 이동, 특히 압축 램 가압판의 이동은 일반적으로 압축 램 제어기와 같은 것에 의해 정지된다.
본 발명의 베일링 장치는 또한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 에지부를 가지는 도어를 가진 이동가능한 도어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도어의 선단 에지부는 종축으로 후방방향으로 초기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이동된다. 최종 위치는 상기 압축 램 가압판과 정렬되어 있어서 가변폭으로된 압축 베일을 배출할 수 있는 압축 챔버로부터 개구를 형성한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의 선단 에지부는 압축 램 가압판과 정렬되어 있는 최종 위치로 이동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의 선단 에지부는 압축 램 가압판의 후방인 최종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압축 램 가압판이 압축 베일의 최대폭을 형성하기 때문에, 초과 크기의 베일과 같은 베일은 도어가 압축 램 가압판과 전체적으로 정렬한 위치로 이동되면 방출될 수 있다.
이동가능한 도어 어셈블리의 작동수단은 도어의 위치를 가르키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도어와 소정의 위치관계로 장착되어 있는 도어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수단은 도어 위치 센서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따라서 도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도어 위치설정 제어기를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도어 위치설정 제어기에 따라서 초기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까지 도어를 이동하기 위한 유압 작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 램 제어기는 또한 상기 압축 램 가압판의 위치를 가르키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압축 램 가압판에 소정 위치관계로 장착되어 있는 압축 램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소정폭의 베일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 위치설정 제어기는 적합하게 상기 압축 램 제어기에 대응하므로 압축 램 가압판의 위치에 관한 도어의 위치를 압축 램 조립체가 정지되면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일링 장치는 또한 방출 램 가압판을 포함하는 방출 램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방출 램 가압판은 상기 압축 램 어셈블 리가 정지되고 도어가 최종 위치로 이동되어지면 수축 위치로부터 팽창 위치까지 압축 챔버를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압축 베일을 개방 도어로 형성된 압축 챔버로 개구를 통해서 배출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방출 램 가압판은 수축 위치에서 압축 챔버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베일링 장치가 플러그 베일 모드에서 작동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 어셈블리는 도어의 선단 에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된 베일에 대향해 가압하도록 도어를 부분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도어 폐쇄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베일은 연속 베일의 압축동안 압축 챔버의 개구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된다. 도어 폐쇄 수단은 도어가 폐쇄되어지는 속도를 반복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속도 센서를 포함한다. 추가로, 이 실시예의 도어 위치설정 제어기는 상기 속도 센서가, 도어가 폐쇄되어지는 속도가 소정속도보다 느린지를 결정하면 도어의 추가의 폐쇄를 방지하도록 속도 센서에 응답한다. 그러므로, 베일이 개구내에 유지시키는 마찰력을 제어하여 연속 베일의 압축동안 개구로부터의 플러그 베일의 바람직하지 않은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폐쇄 수단은 또한 도어를 부분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유압 작동기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어 위치설정 제어기는 또한 도어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유압 작동 기에 공급된 유압을 가르키는 신호를 반복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도어 위치설정 제어기는 또한 유압 작동 기에 공급된 유압이 소정 압력을 초과하면 도어의 추가의 폐쇄를 정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어가 폐쇄되어지는 속도가 소정 속도보다 느리거나 도어를 폐쇄하는데 요구되는 유압이 소정 압력값을 초과하면, 추가의 도어의 폐쇄는 정지되고 배출 베일은 압축 챔버로의 개구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러그 베일로서 유지된다.
상기 속도 센서는 도어의 위치를 가르키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도어에 소정 위치 관계로 장착되어 있는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속도 센서는 도어의 위치를 가르키는 신호가 센서의 위치에 의해 생성될 때의 각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어가 폐쇄되어지는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로, 도어의 선단 에지부는 압축 챔버로의 개구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 베일을 접촉하고 확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접촉면을 가지는 외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베일링 장치는 압축 챔버로의 개구에 인접한 방출 슈트(discharge chu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출 슈트는 배출 베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에지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상향 연장 측벽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배출 베일을 도어의 접촉면과 상향 연장 측벽사이에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서, 루즈 물질을 베일링하는 장치의 도어를 일반적으로 압축 램 가압판과 정렬하여 최종 위치에 대해서 제어가능하게 개방할 수 있어, 압축 램 가압판의 위치에 대응하는 크기로 압축 챔버로부터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초과 크기의 베일을 포함하는 가변폭으로된 압축 베일을 배출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도어를 플러그 베일에 대향해 제어가능하게 폐쇄할 수 있으므로 , 개구로부터 플러그 베일의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연속 베일의 압축동안 압축 챔버로의 개구내에 플러그 베일을 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되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으며, 오히려 하기의 실시예는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에게 본원의 사상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시키는데 있다. 동일부재는 동일번호로 언급한다.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같은 루즈 물질을 베일링하는 장치(10)를 기술한다. 베일링 장치는 캔(can), 플라스틱 및 종이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와 같은 루즈 물질이 누적되는 빈(bin) 또는 호퍼(12)를 포함한다. 호퍼(12)가 베일링 장치의 하우징(14) 상부에 장착되고, 하우징내 형성되는 충진통로(16)에 연통되므로 충진통로는 호퍼내에 누적된 루즈물질을 수용한다. 도 2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바와 같이, 한 실시예에서의 충진통로는 하우징을 통해 종축으로 연장되고 충진통로를 관통하는 종축(16a)을 한정한다. 전형적으로, 충진통로는 평행 6면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보다 상세히 기술하면 직사각형의 단단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압축 램 어셈블리(18)를 충진 통로(16)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압축 램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충진 통로를 통해 수축 위치와 팽창 위치사이로 종축 이동과 같은 이동하기 위해 적용된 압축 램 가압판(20)을 포함한다. 도시의 목적으로 팽창 위치에 있는 압축 램 가압판을 도 2에 실선으로 도시하며 수축 위치에 있는 압축 램 가압판을 점선으로 도시한다. 압축 램 가압판은 전형적으로 유압작동식이다. 그러므로, 압축 램 어셈블리는 또한 압축 램 가압판을 작동하기 위한 유압원(도시생략)과 종축 연장 유압 실린더(22)를 포함한다.
압축 램 가압판(20)이 수축 위치로부터 팽창 위치로 종축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면, 충진 통로(16)내에 수용되어 있는 루즈 물질은 압축 챔버(24)로 밀려들어간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 챔버는 하우징(14)에 의해 형성되고 충진 통로의 출구 단부(26)와 연통한다. 압축 램 가압판의 종축 전방 이동은 루즈 물질을 압축 챔버로 가압할 뿐만 아니라 루즈 물질을 베일로 압축한다. 전형적으로, 압축 램 어셈블리는 수축 위치에 있을 때 추가의 루즈 물질이 충진 통로내에 수용되도록 충진 통로내에 왕복운동한다. 그리고 나서, 추가의 재료를 압축 램 가압판의 다음의 종축으로 전방 이동하는 동안 베일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일링 장치(10)는 또한 일반적으로 압축 챔버(24)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방출 램 어셈블리(28)와 같은 방출 수단을 포함한다. 방출 램 어셈블리는 수축 위치와 팽창 위치사이의 압축 챔버를 통해서 이동하도록 적용된 방출 램 가압판(3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방출 램 가압판은 도 2에서 수축 위치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와 도 7에서는 부분적으로 팽창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특히, 방출 램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충진 통로(16)의 종축선(16a)에 거의 수직인 화살표 32로 지적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압축 챔버를 통해 방출 램 가압판을 수축 위치로부터 팽창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압축 베일을 후술한 바와 같이 배출할 수 있다. 비록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방출 램 어셈블리는 적합하게 유압으로 작동되며 그러므로 또한 유압실린더와 관련 유압원을 포함한다.
압축 챔버(24)는 전형적으로 각각이 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바닥(34)과 천정(36)과 단부벽(38)으로 형성되어 있다. 추가로, 팽창 위치에 있는 압축 램 가압판(20)의 전방면은 고정 단부벽과 마주보는 압축 챔버의 벽을 형성한다. 더욱이, 압축 챔버의 제 1 측벽은 일반적으로 수축 위치에서 방출 램 어셈블리(28)의 방출 램 가압판(30)의 전방면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베일링 장치(10)는 분리 모드 또는 플러그 베일 모드중 어느 하나로 작동할 수 있다. 분리 모드에서, 방출 램 가압판(30)의 전방면과 마주하는, 압축 챔버(24)의 제 2 측벽은 이동가능한 도어(40)에 의해 형성된다. 도어는 압축 작동동안 폐쇄되고 베일의 압축 다음에 개방되도록 되어 있어, 압축 베일이 압축 챔버내에 노출된 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허용한다. 그리고 나서 도어를 연속 베일의 압축전에 폐쇄할 수 있다.
변경적으로, 플러그 베일 모드에서, 미리 압축된 플러그 베일은 연속 베일의 압축동안 개방 도어(40)로 형성된 압축 챔버(24)부터의 개구내에 유지된다. 따라서, 방출 램 가압판(30)의 전방면에 마주하는, 압축 챔버의 제 2 측벽은 개방 도어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채우는 플러그 베일의 후방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도 3에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일링 장치(10)는 적합하게, 압축 램 어셈블리(18)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가능한 논리 제어기와 같은 압축 램 제어기(42)를 포함한다. 적합하게, 압축 램 어셈블리의 이동은 베일이 형성되면 정지된다. 다양한 방법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베일이 형성될 때를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압적으로 작동되는 압축 램 어셈블리(18)에 대해서, 소정 최대 유압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압축 램 가압판(20)을 압축 램 가압판을 이동하는데 요구되는 유압이 소정 최대 유압과 동일하게 될 때 충진 통로(16)내에 종축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소정 최대 유압에 도달하면, 압축 램 어셈블리의 종축방향 전진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압축 램 제어기(42)는 압축 램 가압판을 전방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유압을 결정하기 위한 압력 센서(44)를 포함한다.
압축 램 제어기(42)는 또한 적합하게 하우징(14)에 대해 압축 램 가압판의, 길이방향 위치와 같은 위치를 가르키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압축 램 가압판(20)에 소정 위치관계로 장착되어 있는 압축 램 위치 센서(46)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서, 소정 최대 유압에 도달하고 압축 램 가압판의 종축 전진이동이 정지되면, 압축 램 제어기는 압축 램 가압판의 종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압축 램 제어기는 압축 베일의 최소폭을 형성하도록 일반적으로 선택된 종축 위치의 소정 범위 또는 소정의 종축 위치와 압축 램 가압판의 종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축 위치의 소정 범위는 도 2의 점선(48)쌍으로 도시되어 있다.
압축 램 가압판(20)이 소정 종축 위치(48)를 종축으로 넘어 또는 전방으로 향하면, 압축 램 어셈블리(18)는 적합하게 종축으로 수축하여 수축 위치로 가므로, 추가의 루즈 물질을 충진 통로(16)내에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압축 램 가압판을 충진 통로를 통해 종축으로 전진이동하여 다시 추가의 루즈 물질을 압축 베일로 압축한다. 그러나, 압축 램 가압판의 종축 위치가 소정 종축 위치와 같거나 종축으로 후방에 있으면, 압축 램 가압판의 왕복 종축 이동은 정지되고 도 4에 도시한 팽창 위치와 같이 된다.
본 발명의 베일링 장치(10)는 또한 이동가능한 도어 어셈블리(50)를 포함한다. 도어 어셈블리는 선단 에지부(52)를 가진 도어(40)를 포함한다. 도어는 하우징(14)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개방하도록 되어 있어 압축 챔버(24)로부터의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를 통해서 압축 베일은 방출 램 어셈블리(28)와 같은 것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된다. 예를 들어, 개방 도어에 의해 형성된 압축 챔버로의 개구를 통한 베일(54)의 배출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한 실시예에서, 도어 어셈블리(50)는 초기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도어(40)를 이동하기 위한 작동수단(56)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작동수단은 압축 램 어셈블리(18)가 정지하면 최종 위치로 도어를 이동한다. 특히, 작동수단은 압축 램 가압판(20)과 정렬하고 있는 최종 위치로 도어의 선단 에지부(52)를 이동한다. 도어의 선단 에지부(52)를 압축 램 가압판과 정렬하고 있는 최종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노출되어진 압축 챔버(24)로부터의 개구는 압축 램 가압판의 위치에 대응하는 크기와, 특히 초과 크기의 베일을 포함하는 압축 베일(54)의 최대폭과 적어도 같은 크기의 폭을 가진다. 도어를 본 발명의 정신과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하우징(14)에 대해 다양한 모션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를 압축 베일(54)이 배출되는 압축 챔버(24)로부터의 개구에 노출되도록 피봇이동할 수 있게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의 목적으로, 종축 이동에 알맞게 장착된 도어를 도시하며,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겠다. 이 실시예에서, 작동수단(56)은 연속 종축 이동에서와 같이, 초기 위치로부터 도어의 선단 에지부(52)가 압축 램 가압판(20)과 일반적으로 정렬하고 있는 최종 위치까지 종축으로 도어를 이동한다. 특히, 이 실시예의 도어의 선단 에지부는 후술한 바와 같이 압축 램 가압판과 같이 적어도 종축으로 후방향에 있을 때 압축 램 가압판과 일반적으로 정렬하고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작동수단(56)은 도어(40)의 선단 에지부(52)를 종축방향으로 압축 램 가압판과 종축으로 정렬되어 있고, 특히 압축 램 가압판의 전방면과 종축으로 정렬되어 있는 최종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도 7내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작동수단은 도어의 선단 에지부를 종축방향으로 압축 램 가압판의 종축 후방향에 있고, 특히 압축 램 가압판의 전방면과 종축으로 후방향에 있는 최종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작동수단은 도어 위치 센서(5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위치 센서를 셀레스코 트랜스듀셔 프로덕츠에 의해 공급된 선형 위치 트랜스듀셔와 같은 선형 위치 트랜스듀셔 또는 광학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위치 센서는 일반적으로 도 3, 도 4와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도어의 선단 에지부(52)를 따라서, 도어(40)에 소정 위치관계로 장착되어 있다. 도어 위치 센서는 하우징(14)에 대한 도어의 종축 위치와 같은 위치를 가르키는 신호를 생성한다.
이 실시예의 작동수단(56)은 또한 도어 위치 센서(58)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응답하는, 도어 위치 제어기(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위치설정 제어기는 하우징(14)에 대해 도어(40)의 위치를 결정한다. 작동 수단은 도어를 종축으로 초기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도어 위치설정 제어기에 응답하는 유압 작동기(6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도어가 초기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종축 후방으로 이동되지만, 약간의 경우에, 도어를 최종 위치까지 종축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유압 작동기는 유압 실린더(64)와 유압원(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어를 초기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이동하는 다른 수단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도어 위치설정 제어기(60)는 적합하게 압축 램 제어기(42)에 응답하므로 도어(40)의 위치를 압축 램 어셈블리(18)가 정지되는 것과 같은, 압축 램 가압판(20)의 위치에 대해서 결정할 수 있다. 적합하게, 도어의 선단 에지부(52)의 종축 위치는 압축 램 어셈블리가 정지되면 압축 램 가압판의 전방면의 종축 위치에 대해서 결정된다. 그러므로, 도어를 압축 램 가압판과 일반적으로 정렬하고 있는 최종 위치로 종축으로 작동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동모드와 상관없이, 도어(40)의 선단 에지부(52)를 압축 램 가압판(20)과 일반적으로 정렬하고 있는 최종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와 폭으로된 압축 베일을 쉽게 배출할 수 있다. 특히 초과 크기의 베일, 즉 압축 챔버의 소정 폭보다 큰 폭을 가진 베일을 베일링 장치(10)의 손상없이 그리고 베일의 배출전에 압축 베일의 일부분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작업자가 작동을 멈출 필요없이 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일링 장치(10)는 또한 플러그 베일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 압축 작업동안 개방 도어(40)에 의해 형성된 압축 챔버(24)로의 개구내에 확고하게 유지되는 플러그 베일 모드내에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도어 어셈블리(50)는 도어의 선단 에지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된 베일을 가압하도록 도어를 부분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도어 폐쇄수단(68)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된 베일(64)의 후방부는 연속 베일(66)의 압축동안 압축 챔버로의 개구내에 유지된다. 그러나, 플러그 베일에 대향해 도어를 제어가능하게 폐쇄함으로써, 개구내에 플러그 베일을 고정하는 마찰력은 증가되미로, 연속 압축 작업동안 플러그 베일의 바람직하지 않은 미끄럼은 방지된다.
이 실시예에 따라서, 도어 폐쇄 수단(68)은 도어가 폐쇄되어지는 속도를 반복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속도 센서(70)를 포함한다, 도어 폐쇄 수단은 또한 속도 센서가 소정 속도보다 도어가 폐쇄되어지는 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결정하면 도어의 추가의 폐쇄를 정지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가능한 논리 제어기와 같은 도어 위치설정 제어기(72)를 포함한다. 도어 폐쇄 수단의 도어 위치설정 제어기와 작동수단(56)을 본 발명의 정신과 범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동일 제어기 또는 분리 제어기로 사용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바닥의 폐쇄속도를 소정 속도보다 낮추면, 연속 배출 베일(64)을 압축 챔버로의 개구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해 확고하게 유지한다.
한 실시예에서, 속도 센서(70)는 도어의 위치를 가르키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도 4와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의 선단 에지부를 따르는 것과 같이, 도어(40)에 소정 위치관계로 장착되어 있는 도어 위치 센서(58)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 위치설정 제어기와 연관해서, 도어 폐쇄 수단(68)과 작동 수단(56)의 도어 위치 센서를 본 발명의 정신과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동일한 센서 또는 분리 센서로 할 수 있다. 또한 속도 센서는 도어의 위치를 가르키는 신호가 도어 위치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각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타이머(76)를 포함한다. 도어 위치 센서와 관련 타이머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도어의 위치의 챔버의 시간율에 근거해서, 도어가 폐쇄되어지는 속도를 도어 위치설정 제어기(72)에 의해 쉽게 결정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도어(40)의 선단 에지부(52)는 외향 연장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외향 연장 플랜지부는 압축 챔버(24)로의 개구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 베일(64)을 접촉하고 확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접촉면(78)을 가진다. 예를 들어, 플랜지부는 하우징으로부터 약 30센티(한 피트)외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개구내에 플러그 베일을 고정하는 마찰력은 추가로 도어의 선단 에지부의 이 실시예의 접촉면의 확대 표면역만큼 증가된다.
도 1과 도 2에 추가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일링 장치(10)는 방출 슈트(8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출 슈트는 압축 챔버(24)로의 개구에 인접하고 하류에 있다. 방출 슈트는 일반적으로 배출 베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82)과 지지면의 에지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측벽(84)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향 연장 측벽은 압축 챔버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하우징(14)의 단부벽(38)과 일반적으로 공동평면이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의 방출 램 어셈블리(28)와 같은 방출 수단은 적합하게 개구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 베일을 배출하므로 압축 베일의 후방부는 개방 도어(40)에 의해 형성된 개구내에 남아서 채워진다. 도 5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된 베일은 상향 연장 측벽(84)과 도어의 외향 연장 플랜지부의 접촉면(78)사이에 배치되므로 플러그 베일(64)로 도어를 부분적으로 폐쇄함으로서, 베일은 개구내에 확고히 유지된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스트라이핑 또는 밴딩 스테이션(strapping or banding station)(도시 생략)을 베일링 장치의 소정 위치 하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압축 베일을 확고하게 묶으므로써, 베일의 초과 확대를 방지한다. 예를 들어, 도 6과 도 7에 도시한 플러그 베일은 밴드로 묶여져 플러그 베일의 연속 확대를 방지한다.
속도 센서(70)외에, 도어 폐쇄 수단(68)은 도어(40)를 부분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유압작동기(86)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동일한 유압 작동기가 도어 폐쇄 수단과 작동 수단(56) 양쪽에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분리 유압 작동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 수단과 관련해서, 유압 작동기는 일반적으로 유압원(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어 폐쇄 수단은 추가로 도어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유압 작동기에 공급된 유압을 가르키는 신호를 반복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압력 센서(88)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도어 위치설정 제어기(72)는 또한 적합하게 압력 센서(88)에 의해 제공된 신호에 응답한다. 그러므로, 또한 도어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유압 작동기(86)에 공급된 유압이 소정 압력을 초과하면, 도어가 폐쇄되어지는 속도가 소정 속도값 아래로 떨어지지 않을 지라도 도어(40)의 폐쇄를 정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 따라서, 도어의 부분적 폐쇄는 도어의 폐쇄율이 소정 속도보다 낮거나 도어를 추가로 폐쇄하는데 요구되는 유압이 소정 압력값을 초과하면 정지된다. 어느 경우든, 도어의 추가의 폐쇄는 정지되고 플러그 베일(64)은 연속 압축 작업동안 압축 챔버(24)로의 개구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고하게 유지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라서, 소형 베일과 상당히 큰 습도를 가진 베일을 포함하는 다양한 크기와 폭으로된 압축 베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한 도어(40)에 의해 압축 챔버(40)에 형성된 개구내에 플러그 베일로서 쉽게 고정할 수 있다. 특히, 플러그 베일(64)에 대한 도어의 제어된 부분적인 폐쇄는 연속 베일의 압축동안 개구내의 플러그 베일을 고정하는 상당한 마찰력을 증가하고 플러그 베일의 원하지 않은 이동을 방지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였고 특정 용어가 사용하였을 지라도, 여기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해 사용된 것이지 첨부된 청구범위에 설명된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고자 한 것은 아니다.

Claims (23)

  1. 연장 충진 통로와 상기 충진 통로와 연통하는 압축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 통로가 루즈 물질을 수용하기 위해 적용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충진 통로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수축 위치와 팽창위치사이로 이동하기 위해 적용되고, 상기 충진 통로내에 수용된 루즈 물질을 압축 챔버로 가압하기 위해서 그리고 상기 수축 위치로부터 팽창 위치로 전방 이동될 때에 상기 압축 챔버내의 루즈 물질을 베일로 압축하기 위 한 압축 램 가압판을 가지는 압축 램 어셈블리와,
    다양한 폭으로된 베일이 형성되도록 상기 압축 램 어셈블리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압축 램 제어기와,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 에지부를 가진 도어와; 상기 도어를 초기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작동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선단 에지부가 압축 램 가압판과 일반적으로 정렬하고 있으므로서 상기 압축 램 가압판의 위치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진 압축 챔버로부터의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서 다양한 폭으로된 압축 베일을 배출하는, 이동가능한 도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도어의 선단 에지부를 압축 램 가압판과 정렬하고 있는 최종 위치까지 이동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도어의 선단 에지부를 압축 램 가압판의 후방인 최종 위치까지 이동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상기 도어의 위치를 가르키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도어와 소정 위치관계로 장착되어 있는 도어 위치 센서와,
    상기 도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도어 위치 센서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응답하는 도어 위치설정 제어기와,
    상기 압축 램 가압판과 초기 위치로부터 일반적으로 정렬하고 있는 최종 위치로 상기 도어를 이동하기 위한, 상기 도어 위치설정 제어기에 응답하는 유압 작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램 제어기는 상기 압축 램 가압판의 위치를 가르키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압축 램 가압판에 소정 위치관계로 장착되어 있는 압축 램 위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위치설정 제어기는 압축 램 가압판의 위치에 대해 도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압축 램 제어기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압축 베일을 압축 챔버로부터의 개구를 통해 방출하도록 최종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압축 챔버를 통해 수축 위치로부터 팽창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방출 램 가압판을 포함하는 방출 램 어셈블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방출 램 가압판은 수축 위치에서 압축 챔버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장치.
  7. 충진 통로와 상기 충진 통로와 연통하는 압축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 통로가 루즈 물질을 수용하기 위해 적용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충진 통로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충진 통로내에 수용된 루즈 재료를 압축 챔버로 가압해서 베일로 압축하도록 이동되어지는 압축 램 어셈블리와,
    상기 압축 챔버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상기 압축 베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방출 수단과 이동가능한 도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가능한 도어 어셈블리는,
    선단 에지부를 가지며 하우징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되고 개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서 압축 챔버로부터의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서 압축 베일을 상기 방출 수단에 의해 부분적으로 배출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선단 에지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된 베일을 가압함으로써 연속 베일의 압축동안 압축 챔버로의 개구내에 상기 베일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되도록 도어를 부분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도어 폐쇄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폐쇄 수단은,
    상기 도어가 폐쇄되어지는 속도를 반복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속도 센서와,
    상기 속도 센서가, 상기 도어가 폐쇄되어지는 속도가 소정 속도보다 느린지를 결정하므로서 상기 배출 베일을 상기 압축 챔버로의 개구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고하게 유지하면, 도어의 추가의 폐쇄를 정기하기 위한 상기 속도 센서에 응답하는 도어 위치설정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폐쇄 수단은 추가로,
    상기 도어를 부분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유압 작동기와,
    상기 도어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상기 유압 작동기에 공급된 유압을 가르키는 신호를 반복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압력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위치설정 제어기가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제공된 신호에 응답하므로 상기 유압 작동기에 공급된 유압이 소정 압력을 초과하면 추가의 도어의 폐쇄를 정지하여 상기 압축 챔버로의 개구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배출 베일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센서는,
    상기 도어의 위치를 가르키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상기 도어와 소정 위치관계로 장착되어 있는 도어 위치 센서와,
    상기 도어의 위치를 가르키는 신호가 상기 도어가 폐쇄되어지는 속도를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위치 센서에 의해 발생될 때의 각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선단 에지부는 상기 압축 챔버로의 개구내에 상기 배출 베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고 확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접촉면을 가진 외향 연장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챔버로의 개구에 인접한 방출 슈트를 포함하며,
    상기 방출 슈트는,
    상기 배출 베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에지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상향 연장 측벽을 포함하므로,
    상기 배출 베일이 상기 상향 연장 측벽과 상기 도어의 접촉면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장치.
  12. 루즈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종축으로 연장하는 충진 통로와 충진 통로와 연통하는 압축 챔버를 모두 형성하는 하우징과, 수축 위치와 팽창 위치사이로 종축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압축 램 어셈블리와 이동가능한 도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 램 어셈블리는 압축 램 어셈블 리가 압축 챔버내의 루즈 물질을 수축 위치로부터 팽창 위치로 종축으로 전방으로 이동할 때 가변폭의 베일로 압축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베일링 장치의 하우징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 에지부를 포함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초기 위치로부터, 베일이 형성되고 압축 램 어셈블리가 정지되면 최종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작동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 수단은 적어도 압축 램 가압판과 같이 후방의 최종 위치로 도어의 선단 에지부를 종축으로 이동하므로서 압축 베일의 폭과 적어도 같은 크기의 폭을 가진 압축 챔버로부터의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를 통해서 압축 베일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링 장치의 압축 챔버는 제 1 소정폭을 가지며 상기 이동가능한 도어 어셈블리의 작동 수단은 상기 도어를 종축으로 최종 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므로써 제 1 소정폭보다 큰 제 2 소정폭을 가진 개구를 형성하므로, 상기 압축 챔버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진 압축 베일을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상기 도어의 선단 에지부를 상기 압축 램 가압판과 종축으로 정렬하고 있는 최종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상기 도어의 선단 에지부를 상기 압축 램 가압판의 후방인 최종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장치.
  16. 제어가능하게 위치설정된 도어를 가진 베일링 장치로 루즈 물질을 베일링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베일링 장치내에 형성된 충진 통로내에 루즈 물질을 수용하는 단계와,
    2) 상기 충진 통로내에 수용되어진 루즈 물질을 인접 압축 챔버로 가압하는 단계와, 압축 램 가압판이 수축 위치로부터 팽창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압축 챔버내의 루즈 물질을 베일로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충진 통로내의 압축 램 가압판을 수축 위치로부터 팽창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와,
    3) 상기 압축 램 가압판의 이동을 베일이 형성되면 정지하는 단계와,
    4) 상기 도어의 선단 에지부를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압축 램 가압판과 일반적으로 정렬하므로서 상기 압축 램 가압판의 위치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진, 압축 챔버로부터의 개구를 형성하도록 하는, 최종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와,
    5) 상기 압축 베일을 상기 도어에 의해 형성된 압축 챔버로부터의 개구를 통해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선단 에지부를 이동하는 단계는 도어의 선단 에지부를 압축 램 가압판과 정렬하고 있는 최종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선단 에지부를 이동하는 단계는 도어의 선단 에지부를 압축 램 가압판의 후방인 최종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선단 에지부를 이동하는 단계는,
    1) 상기 도어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2) 상기 압축 램 가압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3) 상기 도어의 최종 위치가 압축 램 가압판과 일반적으로 정렬하고 있도록 상기 도어를 유압적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단계는 상기 압축 베일이 압축 챔버로부터의 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방출 램 가압판을 압축 챔버를 통해서 수축 위치로부터 팽창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방법.
  21. 상기 베일링 장치의 압축 챔버로부터의 개구내에 압축 베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루즈 물질 베일링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베일링 장치내에 형성된 충진 통로내에 루즈 물질을 수용하는 단계와,
    2) 상기 충진 통로내에 수용되어진 루즈 물질을 인접 압축 챔버로 가압하는 단계와, 압축 램 가압판이 수축 위치로부터 팽창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압축 챔버내의 루즈 물질을 베일로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충진 통로내의 압축 램 가압판을 수축 위치로부터 팽창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와,
    3) 상기 압축 베일을 상기 압축 챔버로부터의 개구를 통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하는 단계와,
    4) 상기 배출 베일을 연속 베일의 압축동안 개구내에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의 선단 에지부가 상기 배출 베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압하도록 도어로 개구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단계는,
    i) 상기 도어가 폐쇄되어지는 속도를 반복적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ii) 상기 도어가 폐쇄되어지는 속도가 소정속도보다 느리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된 베일이 압축 챔버로의 개구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고하게 유지되면 추가의 도어의 폐쇄를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단계는,
    1) 상기 도어를 유압 작동기로 유압적으로 이동하는 단계와,
    2) 상기 도어를 이동하도록 상기 유압 작동기에 공급된 유압을 반복적으로 측정하는 단계와,
    3) 상기 도어를 이동하는데 요구되는 유압이 소정 압력을 초과하므로 배출 베일을 압축 챔버로의 개구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고하게 유지하면 추가의 도어의 폐쇄를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를 반복적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1) 상기 도어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측정하는 단계와,
    2) 상기 도어가 폐쇄되어지는 속도를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위치를 측정할 때 각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즈 물질 베일링 방법.
KR1019970707015A 1995-04-05 1996-03-28 루즈 물질 베일링 방법 및 장치 KR199807036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417,996 1995-04-05
US08/417,996 US5558014A (en) 1995-04-05 1995-04-05 Method and apparatus for baling loose materi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616A true KR19980703616A (ko) 1998-12-05

Family

ID=23656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015A KR19980703616A (ko) 1995-04-05 1996-03-28 루즈 물질 베일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58014A (ko)
EP (1) EP0819052B1 (ko)
KR (1) KR19980703616A (ko)
CA (1) CA2217557A1 (ko)
DE (1) DE69600765T2 (ko)
ES (1) ES2122807T3 (ko)
TW (1) TW316886B (ko)
WO (1) WO199603133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616B1 (ko) * 2011-06-30 2013-07-19 조동천 폐지 압축기
KR102081024B1 (ko) * 2019-07-18 2020-02-24 이연하 IoT를 기반으로 하는 재활용품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52131B1 (es) * 1997-06-18 2001-08-16 Barrio Jose Francisco Crespo Procedimiento y maquina para tratamiento de residuos.
US6196124B1 (en) 1999-07-22 2001-03-06 The American Baler Company Baling machine having two part ejector ram
ES2200631B1 (es) * 2001-03-29 2005-05-16 Grupo Daniel Alonso, S.L. Sistema de retencion de residuos aplicable a prensas de compactacion y empujadores de trayectoria longitudinal.
ES2277779B1 (es) * 2005-12-14 2008-06-01 Amadeo Farell S.A.U. Perfeccionamientos en las maquinas para la confeccion de balas de materiales disgregados.
US20080041980A1 (en) * 2006-08-21 2008-02-21 Larry Parmet System and method for recycling using waste stream products
EP2014455B1 (en) 2007-07-13 2014-08-20 Amadeo Farell S.A.U. Machine for making bales of disgregated material
US7814826B2 (en) * 2007-07-23 2010-10-19 Amadeo Farell S.A.U. Machines for making bales of disgregated material
US20100092356A1 (en) * 2008-10-10 2010-04-15 Estech, Llc Solid waste compression loading and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WO2010083004A2 (en) 2009-01-15 2010-07-22 Electronic Warfare Associat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implementing remote boundary scan features
US20110197773A1 (en) * 2010-02-12 2011-08-18 Purdy Christopher S Device and Method for Compressing Compressible Material into a Bale
TWI557746B (zh) 2011-05-10 2016-11-11 電子戰協會公司 實施微電腦為基的電路之內容驗證的系統及方法
TWI546692B (zh) 2011-10-27 2016-08-21 電子戰協會公司 包括與已知電路板資訊有關之電路測試及驗證等特徵的裝置鑑別之系統及方法
BE1021115B1 (nl) 2012-10-01 2015-12-18 Cnh Industrial Belgium Nv Sensorinrichting
BE1021120B1 (nl) 2012-11-19 2016-01-15 Cnh Industrial Belgium Nv Dichtheidsbesturingssysteem
WO2015113018A1 (en) * 2014-01-27 2015-07-30 Catawba Baler & Equipment, Llc Baler for recycled materials
GB201409322D0 (en) 2014-05-26 2014-07-09 Beaudoin Jean F Security barrier for a vertical baler
FR3029137B1 (fr) 2014-12-01 2017-05-19 Sa Copex Presse a materiaux compactables, avec compactage et ejection en parallele
SE541968C2 (en) * 2018-02-28 2020-01-14 Presona Ab Method and baler for pressing bales of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66642A (en) * 1927-06-09 1930-06-24 Logemann Brothers Co Baling press
US3408923A (en) * 1966-07-28 1968-11-05 Case Co J I Method for processing hay wafers
US3576161A (en) * 1969-12-01 1971-04-27 American Hoist & Derrick Co Horizontal baler apparatus
GB1333772A (en) * 1970-04-22 1973-10-17 Super Compaction Ltd Method of baling refuse such as town or urban refuse
US3613556A (en) * 1970-04-22 1971-10-19 American Hoist & Derrick Co Apparatus for horizontal baling
US3643590A (en) * 1970-09-29 1972-02-22 Aluotto Antonio Vertical-horizontal baling press
US3810421A (en) * 1972-09-18 1974-05-14 Mosley Machinery Co Inc Scrap feeding apparatus
DE2536044A1 (de) * 1975-08-13 1977-03-03 Becker & Co Kg Maschf Schrottpresse
DE2653318A1 (de) * 1976-11-24 1978-06-01 Claas Maschf Gmbh Geb Ladewagen mit einer ballenbildenden ladeeinrichtung
US4205604A (en) * 1979-03-29 1980-06-03 Mosley Machinery Company, Inc. Scrap shear machine with adjustable throat
US4417510A (en) * 1981-09-28 1983-11-29 Al-Jon, Inc. Shear baler
US4676153A (en) * 1985-10-28 1987-06-30 Gene Ast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pressing bales of fibrous material
US4658719A (en) * 1985-11-15 1987-04-21 Harris Press And Shear, Inc. Oversize bale release mechanism for waste material baler
US4729301A (en) * 1985-11-27 1988-03-08 Mosley Machinery Co., Inc. Horizontal baling apparatus
US4750417A (en) * 1986-03-24 1988-06-14 Mosley Machinery Co. Method for compacting low density articles
US4669375A (en) * 1986-03-24 1987-06-02 Mosley Machinery Co., Inc. Apparatus for compacting low density articles
US4787308A (en) * 1987-11-09 1988-11-29 Mosley Machinery Company, Inc. Compacting apparatus with precompaction tamper
US4936206A (en) * 1988-12-30 1990-06-26 Thomas R. Miles High-density compactor for fibrous material
US5001974A (en) * 1989-05-17 1991-03-26 A.C.X., Inc. Hay bale recompacting system
US5007337A (en) * 1989-10-03 1991-04-16 Mosley Machinery Co., Inc. Oversize bale release mechanism for waste material baler
FR2665112A1 (fr) * 1990-07-26 1992-01-31 Meyrpic Framatome Mec Presse de traitement de dechets.
US5081922A (en) * 1991-01-22 1992-01-21 C&M Company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a bale from a solid waste baling machine
US5201266A (en) * 1991-10-10 1993-04-13 Logemann Bros. Co. Baler machine and method of baling
US5203261A (en) * 1991-11-05 1993-04-20 Cp Manufacturing, Inc. Can baling machine and method
US5463944A (en) * 1994-10-17 1995-11-07 Logemann Brothers Co. Rotatable bale release mechanism for a baler machine and method of bal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616B1 (ko) * 2011-06-30 2013-07-19 조동천 폐지 압축기
KR102081024B1 (ko) * 2019-07-18 2020-02-24 이연하 IoT를 기반으로 하는 재활용품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22807T3 (es) 1998-12-16
MX9708491A (es) 1998-06-28
WO1996031337A1 (en) 1996-10-10
DE69600765D1 (de) 1998-11-12
US5558014A (en) 1996-09-24
EP0819052A1 (en) 1998-01-21
DE69600765T2 (de) 1999-09-02
TW316886B (ko) 1997-10-01
CA2217557A1 (en) 1996-10-10
EP0819052B1 (en)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3616A (ko) 루즈 물질 베일링 방법 및 장치
US56947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trapless bale of compressed fiber
US4658719A (en) Oversize bale release mechanism for waste material baler
US5247880A (en) Horizontal baler with movable bottom support ejector
US4601238A (en) Can-baling machine
US3693541A (en) Apparatus for compacting refuse
US5201266A (en) Baler machine and method of baling
US4121515A (en) Baler for unshredded material
EP06773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plastic materials
EP0709181B1 (en) A rotatable bale release mechanism for a baler machine and method of baling
US8240247B2 (en) Compacting apparatus
EP0810083B1 (en) A baling press
US6196124B1 (en) Baling machine having two part ejector ram
EP2014455B1 (en) Machine for making bales of disgregated material
JP3507980B2 (ja) ごみ焼却プラント用供給装置のシュート
US4102259A (en) Vertical closed chamber baler
GB21849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ling
US5868067A (en) Fiber and trash baler
US5517908A (en) Baler for compacting and then loading hazardous waste into cartons
US4669374A (en) Can-baling machine
US20220227089A1 (en) Baling machine with containment apparatus
MXPA97008491A (en) Apparatus and method to form pacas of materials suel
US3584433A (en) Automated baling press with bale kick-out carton holding means and sequencing controls
GB2070511A (en) A baling press
KR200249146Y1 (ko) 폐기물 및 재활용품 압축기용 압축판의 가이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