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9561A -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 및 그 제법 - Google Patents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 및 그 제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9561A
KR20010029561A KR1020000005189A KR20000005189A KR20010029561A KR 20010029561 A KR20010029561 A KR 20010029561A KR 1020000005189 A KR1020000005189 A KR 1020000005189A KR 20000005189 A KR20000005189 A KR 20000005189A KR 20010029561 A KR20010029561 A KR 20010029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fastener
male
male member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9207B1 (ko
Inventor
가와하라마사히코
Original Assignee
오가와 요조
모리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와 요조, 모리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가와 요조
Publication of KR20010029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2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10Slide fasteners with a one-piece interlocking member on each stringer tape
    • A44B19/16Interlocking member having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string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58Strips of press-button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001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29Press-button fasteners made of plastics
    • A44B17/0035Their fas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7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article consisting of a material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porous, britt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13/00Use of textile products or fabrics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6Button with fastener
    • Y10T24/3683Button with cavity for friction grip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6Button with fastener
    • Y10T24/3687Heat or adhesive secured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775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having resiliently biased interlocking component or seg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목적 : 수부재(male parts)측 테이프와 암부재(female parts)측 테이프로부터 되는 화스너에 있어서, 강도를 떨어뜨림 없이 수부재를 얇고 작게 한다.
구성 : 합성수지재의 수부재(6)의 복수개를 소정 간격으로 천테이프(cloth tape)(18)에 성형고정한 수측테이프와, 합성수지재의 암부재(4)의 복수개를 상기 수부재와 동일 간격으로 원단 테이프(30)에 성형 고정한 암측테이프로부터 되며, 상기 원단 테이프의 부착 구멍을 천설함이 없이 수부재(6), 암부재(4)를 성형 고정한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이다. 상기 수부재(6)의 걸어 맞춤돌기(20)를, 베이스에 의하지 않고, 천테이프(18)로부터 직접 직립(直立)(stand upright)되어 있다.
암, 수부재는 겉에서 보아도 이면에서 보아도 링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 및 그 제법{A TAPE-MOUNTED FASTEN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의복, 가방, 지갑(핸드백), 신발 등의 개폐부에 사용되는 합성수지제의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Tape-mounted fastener) 및 그 제법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는 합성수지제의 수(male)부재의 복수개를 소정 간격으로 천테이프(cloth tape)에 성형 고정한 수측테이프와 합성수지제의 암(famale)부재의 복수개를 상기 수부재와 동일간격으로 천테이프에 성형 고정한 암측테이프로부터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의 소유에 관계되는 유럽 특허 제 0228293 호 참조).
상기 구성의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로는, 천테이프에 미리 설치 구멍을 뚫어 놓고 있으나, 천테이프에 설치 구멍을 낼 필요없이 수부재와 암부재를 견고히 성형 고정한 것도 공지이다(예를 들면, 본 출원인의 출원에 관계되는 일본국 공개 특허공보 특개헤이세이 10-33211 호 참조).
본 발명은 후자의 발명에 있어서, 주로 수부재를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첫번째의 목적은, 강도를 떨어뜨림이 없이, 수부재의 걸어맞춤돌기의 높이를 낮게하며, 이에 의해 화스너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의 목적은, 강도를 떨어뜨림이 없이, 수부재의 크기를 작게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세번째의 목적은, 천테이프와 암·수부재의 합성수지의 접합을 안정한 것으로 하므로서 직물이 암·수부재의 합성수지로부터 노출하거나 사출압에 의하여 천테이프가 일그러지거나 주름이 잡히는 일이 없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는, 합성수지제의 수부재의 복수개를 소정 간격으로 천테이프에 성형 고정한 수측테이프와, 합성수지제의 암부재의 복수개를 상기 수부재와 동일 간격으로 천테이프에 성형고정한 암측테이프로부터 이루어지며, 상기 천테이프에 설치 구멍을 내지않고 수부재, 암부재를 성형 고정한 것으로서, 상기 수부재의 걸어맞춤돌기를 베이스에 의하지 않고 천테이프로부터 직접 직립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의 제조방법은, 합성수지제의 수부재의 복수개를 소정간격으로 천테이프에 성형 고정한 수측테이프와 합성수지제의 암부재의 복수개를 상기 수부재와 동일간격으로 천테이프에 성형 고정한 암부재측 테이프로 형성되며, 상기 천테이프에 설치구멍을 내지 않고 수부재와 암부재를 성형 고정한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의 제법에 관한 것이며, 그 특징점을 암수부재 별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수부재를 성형할 때는, 화스너 성형용 공간을 형성한 상하금형 사이에, 용융수지가 성형압력에 의해 통과 침투하는 거칠기의 구멍없는 천테이프를 배설하고, 수부재의 걸어맞춤돌기 내측에 위치하는 들어간 부분의 천테이프를 상기 상하금형에 끼워 넣어 고정하고, 그 후, 합성수지를 상기 성형 공간내에 사출하고, 천테이프 양면에 형성되는 수부재의 표면부측과 이면부측(裏面部側)을 천테이프를 투과하는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화 시킨다.
암부재를 성형하는 때에는, 화스너 성형용 공간을 형성한 상하금형 사이에, 용융수지가 성형 압력에 의해 통과 침투하는 거칠기의 구멍없는 천테이프를 배설하고, 암부재의 걸어맞춤 들어간 부분의 천테이프를 상기 상하금형에 끼워 넣어 고정하고, 그 후, 합성수지를 상기 성형 공간내에 사출하고, 천테이프 양면에 형성되는 수부재의 표면부측과 이면부측을 천테이프를 투과하는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화 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2)를 접합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며, (a)는 암부재(4)측, (b)는 수부재(6)측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부재(6)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부재(6)의 단면도.
도 4는 암부재(4)의 평면도.
도 5는 암부재(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부재(6)와 암부재(4)를 걸어 맞춤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계되는 수부재(6A)의 접합면측에서 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계되는 암부재(4A)의 변형예의, 접합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수부재의 단면도.
도 10은 제4 실시예에 관계되는 수부재의 평면도.
도 11은 제4 실시예에 관계되는 수부재의 단면이다.
도 12는 제1 실시예와 제4 실시예의 관계를 나타내는 각 구성요소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합성수지제의 암부재 6 : 합성수지제의 수부재
18 : 암측 천테이프 20 : 수부재의 걸어맞춤돌기
28 : 걸어맞춤돌기의 내측으로 들어간 곳
30 : 수측 천테이프
본 발명의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에는, 수부재로 베이스가 존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걸어맞춤돌기는 종래 기술에 의한 것 보다도 약간 두텁게 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부재 및 암부재의 외관은 겉으로 보아도 이면에서 보아도 링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걸어맞춤과 관계 없는 수부재의 내측윤곽, 암부재의 외측 윤곽은 미적 관점에서 자유로 디자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는 수부재와 암부재의 걸어맞춤 가장자리는 어느 쪽 일방을 다각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부재의 걸어맞춤 돌기의 선단부의 외측만이 아니고, 내측에도 걸어맞춤용 팽출연(膨出緣 Bulging Edges)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수부재가 암부재의 역활을 다하는 일이 되며, 상기 내측 팽출연이 다른 수부재의 외측 팽출연과 걸어맞춤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2)를 접합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며, (a)는 암부재(4)측, (b)는 수부재(6)측이다. 각각 거의 링형상의 외관을 갖는다. 각 부재의 반대측은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역시 각각 링형상의 외관을 갖는다. 단, 반대측의 링 폭은, 후술하는 성형상의 이유에 의해 약간 굵게 된다.
도 2는 수부재(6)의 평면도, 도 3은 단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히 이 부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천테이프(8)를 샌드위치된 상태의 베이스(10)부터 걸어맞춤용돌기(12)가 직립되어 있다. 수부재의 걸어맞춤용돌기(12)는 선단부 주위에 걸어맞춤용 팽출연(14)과 수지탄성에 의한 확대축소 변형 때문에 요부(凹部)(16)을 갖는다.
본 발명에는,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는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도면에서는, 천테이프(18)와의 접합면이 약간 부풀어 올라 있지만, 이 정도의 부풀어 오름은 베이스로 보이지 아니하고, 설계에 따라서는 거의 완전히 이를 없앨수도 있다. 베이스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걸어맞춤용돌기(Engagement Protrusion)(20)는 도 10에 있어서 t2의 거리만 높이를 낮게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걸어맞춤용 돌기(20)의 단면이 종래기술의 그것 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지만, 그렇더라도 베이스(10)를 가지는 종래의 단면 폭 t1보다는 작다. 그 결과, 걸어맞춤 부분의 크기를 변하지 않고, 수부재(6)를 전체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수부재의 걸어맞춤용 돌기(20)도 종래기술과 같이, 선단부 주위에 걸어맞춤용 팽출연(22)과 수지탄성에 의한 확장축소, 변형 때문에 요부(24)를 갖는다.
이 수부재(6)를 성형하기 위하여는, 화스너 성형용 공간을 형성한 상하금형(도시하지 않음)사이에, 용융수지가 성형압력에 의하여 통과 침투하는 거칠기의 직물의 기공이 없는 천테이프(18)를 배설하고, 걸어맞춤 돌기(20) 내측에 위치하는 들어간 부분(28)의 천테이프를 상기 상하금형에 끼워 넣어 고정하고, 그 후, 합성수지를 상기 몰딩 공간내에 사출한다. 도 3의 부호 26의 작은 눌려서 들어간 곳이 금형의 사출구에 상당한다. 이 사출구 설정 때문에 이면측에서 본 링 폭이 걸어맞춤 돌기(20)의 폭(즉, 표면측에서 본 링 폭)보다도 약간 폭이 넓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서, 천테이프(18) 양면에 형성되는 수부재의 표면측과 이면측이 천테이프(18)를 투과하는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화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 돌기(20) 내측에 위치하는 들어간 부분(28)에 위치하는 천테이프가 상하금형으로 샌드위치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높은 사출압에 노출되는 천테이프의 면적이 종래기술에 비하여 작아졌다. 이 때문에, 테이프가 성형시에 사출압력에 의하여 일그러지거나 주름잡히는 일이 거의 없어진다. 그 결과, 테이프가 합성수지 표면으로부터 노출되어, 화스너의 강도를 떨어뜨리고, 미관을 손상하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천테이프(18)로서는, 용융됨이 없이 용융수지가 투과하는 직물인 것이 필요하며, 직물에도 편물에도 좋고, 예를 들면 목면천, 혼방천 등을 채용할 수가 있다. 합성수지로서는 열가소성수지,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용융수지(Polyacetal molten resin)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암부재(4)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단면도이다. 천테이프(30)를 샌드위치로 하여 합성수지에 의하여 걸어맞춤용 들어간곳(32)을 형성하고 있다. 암부재의 걸어맞춤용 들어간곳(32)은 그 열린곳 내측에 형뽑기를 허용하는 범위의 걸어맞춤용 가장자리(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암부재의 성형방법은 수부재(6)의 그것과 거의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의 부호 36의 작은 들어간 곳이 수지 주입구이다.
본 발명의 수부재(6)와 암부재(4)를 걸어맞춤 상태의 단면을 도 6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화스너의 사용방법은 종래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계되는 수부재(6A)의, 접합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수부재의 내측(40)은 걸어맞춤과는 관계가 없으므로, 어떤 형상이라도 좋으며,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별모양으로 할 수도 있다. 이는 미적 관점에서 자유로 선택할 수 있다. 부호 20a는 걸어맞춤돌기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계되는 암부재(4A)의 변형예이다. 암부재(4A)의 외측윤곽(42)은 걸어맞춤과 관계가 없기 때문에, 어떠한 형상으로 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도 8에 표시된 것과 같은 꽃잎 모양으로 할 수도 있다. 이것은 미적 관점에서 자유로 선택할 수가 있다.
도 8은, 다시 걸어맞춤 가장자리(34a)를 다각형(도면에서는 8각형)으로 하고 있다. 이 암부재와 원형상의 걸어맞춤 가장자리를 가지는 수부재를 걸어맞춤 함에 의하여, 원형상의 암수 걸어맞춤 가장자리 끼리의 때보다도 걸어맞춤 힘이 강해진다. 또,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부재의 걸어맞춤 가장자리를 다각형으로 하고, 암부재의 걸어맞춤 가장자리를 원모양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계되는 수부재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의 수부재와 다른 부분은 걸어맞춤 돌기(20)의 선단부에 있어서, 외측 팽출연(22)만이 아니고, 내측에도 팽출연(23)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내측 팽출연(23)을 더하는 것에 의해, 이 수부재(6)가 암부재의 역활을 끝내고,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다른 수부재(7)의 걸어맞춤 돌기(20b)의 외측 팽출연(22b)을 받아들이는 일이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A의 암부재와 B의 수부재가 걸어맞춰져서 D의 걸어맞춤 상태로 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지만, B의 수부재가 다른 C의 수부재와 걸어맞춤해서 E의 걸어맞춤 상태가 되는 것이다.
크기가 다른 화스너 2종류를 제공하고자 하면, 원래는 4종류(암수부재 각각 2종류)의 부재를 준비하지 않으면 아니되지만 제4 실시예의 구성을 취하므로서, 3종류(암부재 1종류, 수부재 2종류)로 끝낼 수 있다. 보다 적은 부품수로 끝낼 수 있으므로, 금형의 수를 감소할 수 있고, 제조의 공정이 보다 단순화되고, 제품관리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도 12의 A, B, C 부재가 부착된 각 테이프를 동시에 평행하게 늘어놓고 원하는 방식으로 선택하여 걸어맞출 수도 있다. 즉, 어떤 때에는 B를 A에 걸어맞춘 다든지, 또 어떤 때에는 B를 직물채로 뒤집으면서 상기 B를 C에 걸어맞추는 따위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예를 들면, 가방의 내부 간막이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할 때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비해서, 베이스가 없는 부분만큼 수부재의 걸어맞춤돌기의 높이가 낮게 되며, 이에 의해 화스너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가 있다. 그러면서도 이에 의해 강도가 떨어지는 일이 없다.
또, 베이스가 없는 것 만큼 수부재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이에 의해, 화스너 강도를 떨어뜨리는 일이 없다.
또, 성형시에 암수부재 모두 중앙의 들어간 부분이 상하금형에 의해 끼워 넣어져 고정되기 때문에 사출압력이 가해지는 면적이 적게 되어 천테이프와 수부재의 합성수지의 접합이 안정한 것으로 된다. 그 결과, 직물이 암수부재의 합성수지에서 노출하는 일도 없게 된다.

Claims (9)

  1. 합성수지제의 수부재(6)의 복수개를 소정간격으로 천테이프(18)에 성형고정한 수부재측 테이프와, 합성수지제의 암부재(4)의 복수개를 상기 수부재와 동일간격으로 천테이프(30)에 성형 고정한 암부재측 테이프로부터 되며, 상기 천테이프에 설치구멍을 낼 필요없이 수부재(6), 암부재(4)를 성형고정한 것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6)의 걸어맞춤돌기(20)를, 베이스에 의하지 않고, 천테이프(30)로부터 직접 직립(直立)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6)의 외관이 겉에서 보아도 이면에서 보아도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6)의 걸어맞춤 돌기의 내측윤곽(40)이 원형 이외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4)의 외관이 겉에서 보아도 이면에서 보아도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
  5.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4)의 외측윤곽(42)이 원형이외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
  6.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의 어느항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6)의 걸림돌기의 선단부의 외측 및 내측에 걸어맞춤용 팽출연(膨出緣)(22)(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6)의 내측 팽출연(23)이 다른 수부재의 걸어맞춤돌기와 걸어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
  8. 합성수지제의 수부재(6)의 복수개를 소정간격으로 천테이프(18)에 성형고정한 수부재측 테이프와, 합성수지제의 암부재(4)의 복수개를 상기 수부재와 동일간격으로 천테이프(30)에 성형 고정한 수측테이프로 형성되어, 상기 천테이프에 설치구멍을 낼 필요없이 수부재(6), 암부재(4)를 성형 고정한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의 제법에 있어서,
    수부재(6)를 성형할 때에, 화스너 성형용 공간을 형성한 상하 금형사이에, 용융수지가 성형압력에 의해 통과 침투하는 거칠기의 구멍없는 천테이프(18)를 배설하고, 수부재(6)의 걸어맞춤돌기(20) 내측에 위치하는 들어간 부분의 천테이프를 상기 상하금형에 끼워넣어 고정하고, 그 후, 합성수지를 상기 성형 공간내에 사출하고, 천테이프 양면에 형성되는 수부재의 표면부측과 이면부측을 천테이프(18)를 투과하는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의 제법.
  9. 합성수지제의 수부재(6)의 복수개를 소정 간격으로 천테이프(18)에 성형고정한 수부재측 테이프와, 합성수지제의 암부재(4)의 복수개를 상기 수부재와 동일간격으로 천테이프(30)에 성형 고정한 수측테이프로 형성되어 상기 천테이프에 설치구멍을 내지 않고 수부재(6), 암부재(4)를 성형고정한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 제법에 있어서,
    암부재(4)를 성형할 때에, 화스너 성형용 공간을 형성한 상하금형 사이에, 용융수지가 성형압력에 의해 통과 침투하는 거칠기의 구멍없는 천테이프(30)를 배설하고, 암부재(4)의 걸어맞춤 들어간곳(32) 부분의 천테이프를 상기 상하금형에 끼워넣어 고정하고, 그 후, 합성수지를 상기 성형공간내에 사출하고, 천테이프 양면에 형성되는 수부재의 표면부측과 이면부측을 천테이프(30)를 투과하는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 제법.
KR1020000005189A 1999-09-17 2000-02-02 테이프 부착 파스너 및 그 제조법 KR100609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382799 1999-09-17
JP99-263827 1999-09-17
JP99-368614 1999-12-27
JP36861499A JP3604983B2 (ja) 1999-09-17 1999-12-27 テープ付きファスナ及びその製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561A true KR20010029561A (ko) 2001-04-06
KR100609207B1 KR100609207B1 (ko) 2006-08-02

Family

ID=26546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189A KR100609207B1 (ko) 1999-09-17 2000-02-02 테이프 부착 파스너 및 그 제조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314621B1 (ko)
EP (1) EP1084642B1 (ko)
JP (1) JP3604983B2 (ko)
KR (1) KR100609207B1 (ko)
CN (1) CN1157134C (ko)
AT (1) ATE279868T1 (ko)
AU (1) AU765394B2 (ko)
DE (1) DE60015041T2 (ko)
ES (1) ES2230028T3 (ko)
HK (1) HK1034170A1 (ko)
TW (1) TW58859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129B1 (ko) * 2001-08-14 2008-03-20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스위치, 의복, 및 직물 물건
DE10144296A1 (de) * 2001-09-08 2003-03-27 Steffen Hachtel Verfahren zum Verbinden textiler Werkstoffe mit spritzgegossenen Kunststoffelementen
JP3939965B2 (ja) * 2001-11-19 2007-07-04 グンゼ株式会社 ブラジャー類の留め具、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ブラジャー類
JP3996453B2 (ja) * 2002-04-30 2007-10-24 モリト株式会社 テープ付きファスナ、その製造法および使用法
GB0614790D0 (en) * 2006-07-26 2006-09-06 Parbat Dina Active popping knickers
DE102006045185A1 (de) * 2006-09-25 2008-04-03 Ykk Corporation Matrizenteil eines Druckknopfes
JP2009189450A (ja) * 2008-02-13 2009-08-27 Morito Co Ltd ガイド環付きテープとこれを用いたカーテン、及びガイド環付きテープのカーテン生地に対する取付構造
JP4989520B2 (ja) * 2008-02-29 2012-08-01 Ykk株式会社 雄スナップ及び雌スナップ
IT1398322B1 (it) * 2010-02-26 2013-02-22 Fimma S P A Elemento attivo maschio per bottone a pressione di tipo perfezionato e bottone a pressione provvisto di questo elemento attivo maschio.
JP5687863B2 (ja) * 2010-08-09 2015-03-25 尼崎製罐株式会社 テープ付きスナップ
CN106455763B (zh) * 2014-05-13 2021-02-05 Wrdt有限责任公司 附接装置
WO2016004181A1 (en) * 2014-07-01 2016-01-07 Pols Dawn Feature molding into fabrics
US20170113429A1 (en) * 2014-07-01 2017-04-27 Dawn Pols Feature molding into fabrics
TWI584754B (zh) * 2016-05-13 2017-06-01 Chen-Cheng Huang Clothing joint construction
USD853087S1 (en) * 2016-10-04 2019-07-09 Morito Co., Ltd. Adjustable fabric tape for clothing
KR102563420B1 (ko) * 2016-12-26 2023-08-03 이용철 스냅 버튼 장치
DE102022207117A1 (de) 2022-07-12 2024-01-18 Fidlock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erbindungsteils einer Verbind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06818A (en) * 1963-03-15 1965-09-21 United Carr Inc Snap fastener assembly and decorative part for the same
US3378893A (en) * 1964-10-15 1968-04-23 Labek Alfred Discoid snap fastener
US3650647A (en) * 1969-05-21 1972-03-21 Jacobs Machine Corp Apparatus for securing buttons to fabric
US3800368A (en) * 1972-07-31 1974-04-02 Athlone Ind Inc Garment fastener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3890679A (en) * 1973-11-09 1975-06-24 Athlone Ind Inc Garment fastener sub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3878588A (en) * 1974-02-25 1975-04-22 William S Soto Separable fastener assembly
US4250596A (en) * 1979-11-19 1981-02-17 Nifco, Inc. Fastening system for securing a trim-fixing device to a substrate
ATE70769T1 (de) * 1985-11-06 1992-01-15 Ego Kunststoffwerk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flexiblen gliederbandes.
JPS62155805A (ja) * 1985-12-27 1987-07-10 モリト株式会社 スナツプフアスナ−及びその製造方法
US4735753A (en) * 1986-07-28 1988-04-05 Ackermann Walter T Method of making a fastener
US5357659A (en) 1986-07-28 1994-10-25 Ackermann Walter T Plastic article in situ molded to a porous substrate
JPH1033211A (ja) 1996-07-29 1998-02-10 Morito Kk テープ付きスナップ
JP3591567B2 (ja) * 1998-03-20 2004-11-24 Ykk株式会社 テープ付きスナップファスナーの雌部材及び雄部材と、その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30028T3 (es) 2005-05-01
EP1084642A3 (en) 2001-11-07
HK1034170A1 (en) 2001-10-19
EP1084642B1 (en) 2004-10-20
EP1084642A2 (en) 2001-03-21
CN1157134C (zh) 2004-07-14
AU1527700A (en) 2001-03-22
JP2001149117A (ja) 2001-06-05
JP3604983B2 (ja) 2004-12-22
ATE279868T1 (de) 2004-11-15
DE60015041T2 (de) 2006-02-16
KR100609207B1 (ko) 2006-08-02
AU765394B2 (en) 2003-09-18
DE60015041D1 (de) 2004-11-25
US6314621B1 (en) 2001-11-13
TW588593U (en) 2004-05-21
CN1288699A (zh) 2001-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9561A (ko)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 및 그 제법
JP3971948B2 (ja) スナップファスナー付きテープ
US4805272A (en) Fastener with tape
EP1800557B1 (en) Waterproof slide fastener
JP3733232B2 (ja) テープ付雌雄形係止具
US20030115727A1 (en) Fastener for brassier or brassier-like garment,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brassier or brassier-like garment using such a fastener
CN1125609C (zh) 一种具有啮合和脱开方向性的在带上安装的按钮
US6976291B2 (en) Tape-mounted fastener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US6507982B2 (en) Buckle
US3874038A (en) Sliding clasp coupling elements
KR20040093091A (ko) 면파스너의 수형 정지부재 및 이러한 정지부재가 부착된시트제품
US6430786B1 (en) Synthetic resin opening and closing press fastener
JP2002115112A (ja) 袖・裾の調節容易な衣服
JPH1033211A (ja) テープ付きスナップ
JP3859932B2 (ja) 支持体付きスナップ
JP3055106U (ja) テープ付き雌スナップ
JP5687863B2 (ja) テープ付きスナップ
JPH088650Y2 (ja) テープ付き合成樹脂着脱具
JPS5925211Y2 (ja) 合成樹脂製ホツク
JPH0437449Y2 (ko)
JPH0130090Y2 (ko)
JP2002000319A (ja) テープ状の雌型スナップ止め具の製造方法
TW202007300A (zh) 連續式扣合元件拉鏈
JP3160613B2 (ja) スナップボタン付きテープ
JP2004337417A (ja) テープ付きファス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