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9556A - 포장체 - Google Patents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9556A
KR20010029556A KR1020000003346A KR20000003346A KR20010029556A KR 20010029556 A KR20010029556 A KR 20010029556A KR 1020000003346 A KR1020000003346 A KR 1020000003346A KR 20000003346 A KR20000003346 A KR 20000003346A KR 20010029556 A KR20010029556 A KR 20010029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etal foil
package
film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4580B1 (ko
Inventor
마사미 지무
미노루 후쿠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루화기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루화기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루화기겐
Publication of KR20010029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5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42Sheets or tubes applied around the bottle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 B65D23/085Sheets or tubes applied around the bottle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and glued or otherwise sealed to the bott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13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 Tub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용기 내에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과 같은 습기에 민감한 물질이 수용된 포장체에 있어서, 내용물의 충전량이 작은 소용량품인 경우에도, 용기의 수분투과율이 작아서 실용적인 보존 안정성을 갖고, 또한 용기가 스퀴즈성(변형성 및 복원성)을 가짐으로써 내용물이 액상일 때에는 토출조작성이 좋고, 광차단성도 가지며 또한 가격적으로도 유리한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용기(1)의 내부에 습기에 민감한 물질로 이루어진 내용물(L)이 수용된 포장체이다. 그 용기(1)의 몸통부(11)의 외측으로부터는 적어도 몸통부(11) 전체가 덮이도록 금속박 적층필름(B)이 용착설치된다. 용기(1)중 적어도 몸통부(11)의 부분은 폴리올레핀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두께 100㎛ 이상의 기체(A)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포장체{Packing}
본 발명은 금속박 적층필름(laminated film)을 1구성부재로 하는 용기내에,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 등의 습기에 민감한 물질이 수용된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2-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주재료로 하는 순간접착제는 속경화성을 가지므로 공업용, 가정용의 접착제로서 널리 보급되어 있다.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순간접착제는 피착재에 적용하였을 때에, 공기중의 수분에 의해 음이온 중합기구에 의해 신속하게 경화한다. 이는 상기 접착제를 용기에 충전하여 유통에 제공할 때에는, 용기소재로서 수분투과율이 충분히 작고, 또한 내용물이 접촉하는 내벽재가 음이온 중합을 촉진하도록 하는 첨가물을 포함하지 않은 것을 선택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폴리에틸렌은 여러 가지의 수지 중에서도 가장 수분 투과율이 작고, 30㎛당 수분투과율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경우에 예컨대 19g/㎡ㆍ24hrs 정도,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경우에 예컨대 5g/㎡ㆍ24hrs 정도이다. 막두께를 두껍게 하면, 그에 비례하여 수분투과율은 작아지게 된다. 또 폴리에틸렌제의 성형용기는 활제 등의 성형조제를 첨가하는 일이 없이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순간접착제의 용기로서, 필요한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제의 블로우 성형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알루미늄은 절연성이 우수하므로 소재인 알루미늄 슬래브(멘코라고 불리운다)를 다이(die) 속에 넣어서 핀치에 의해 순간적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튜브용기로 만들 수가 있다. 또 알루미늄의 수분투과율은 사실상 0에 가깝고, 위에서 설명한 폴리에틸렌의 수분투과율보다도 현저히 작다. 따라서 알루미늄제의 튜브용기도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순간접착제의 용기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순간접착제는 20g이나 30g의 중용량, 또는 50g이나 100g의 큰 용량으로 용기에 충전되어 시장에 제공되는 경우 외에, 충전량이 10g 이하, 특히 5g 이하의 소용량으로 시장에 공급되는 경우도 많다. 이는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순간접착제는 물품의 수리나 공작 등 1회의 사용 시에 극히 소량밖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또 일단 노즐구를 개구하고 나서 다음의 사용까지의 일수가 길어지면 내용물이 노즐구에서 경화되어 버리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내용물에 있는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순간접착제의 양이 10g 이하, 특히 5g 이하, 더 나아가서는 2g이나 3g의 소용량품을 위한 용기로서도 상술한 폴리에틸렌제의 블로우 성형용기나 알루미늄제의 튜브용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소용량품의 경우에는 순간접착제의 그램당 내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내용량이 소량으로 되면 될수록 순간접착제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어, 소용량품의 경우에 특히 해결과제가 발생된다.
즉, 소용량품이기 때문에 폴리에틸렌제의 블로우 성형용기를 사용할 때에는 폴리에틸렌으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면 탄력성이 있으므로 스퀴즈(squeeze)성은 확보할 수 있지만, 수분의 투과가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안정성이 손상된다. 따라서 소용량품을 위한 블로우 성형용기에 있어서는 수분투과성이 작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는 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블로우 성형용기는 단단하므로 소용량품을 위한 직경이 작은 용기에서는 스퀴즈성이 손상되어 용기의 몸통부를 손가락으로 누르더라도 내용물을 토출하기 어렵게 된다. 또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용기는 알루미늄 튜브용기에 비하여 수분투과방지성이 크게 떨어지므로, 수분 투과성을 보다 작게 하고자 용기의 벽두께를 두껍게 하면 스퀴즈성은 더욱 악화된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블로우 성형용기에 알루미늄 증착 필름제의 접착제층이 부착된 라벨을 붙이는 것도 행해지고 있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용기의 수분투과성을 작게 하는 작용은 기대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알루미늄제의 튜브용기는 수분을 사실상 투과하지 않기 때문에 순간접착제의 보존안정성이 우수하다고 하지만 그 재질상, 몸통부를 손가락을 눌렀을 때에 복원하는 성질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내용물이 저점도일 때에는 토출시의 액량의 조절이 어려우므로 과량으로 토출되기 쉽고, 한편 내용물이 고점도일 때에는 여분의 압력에 의해 토출 후에 액늘어짐을 일으키는 등 내용물의 토출시의 사용편리성이 나쁜 본질적인 문제점이 있다. 알루미늄제의 튜브용기내에 폴리에틸렌제의 튜브를 안으로 삽입하여 상기 용기에 복원성(반발성)을 갖게 하는 방법도 고려되고 있지만, 가격이 높아지는 것을 면할 수 없다.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순간접착제의 용기에 관한 것은 아니지만 식품, 그 외의 포장용으로서 폴리에틸렌층/알루미늄박/기재 필름층의 층구성을 갖는 적층필름으로 제조한 알루미늄 적층튜브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알루미늄 적층튜브를 순간접착제의 용기에 적용하였을 때에는 폴리에틸렌층을 통하여 침출하는 순간접착제에 의해 폴리에틸렌층과 알루미늄박과의 계면에서 박리가 생기는 것을 면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 하에서 용기내에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과 같은 습기에 민감한 물질이 수용된 포장체에 있어서, 내용물의 충전량이 적은 소용량품이라도 용기의 수분투과율이 작으므로 실용적인 보존 안정성을 가지며, 또한 용기가 스퀴즈성(변형성 및 복원성)을 가지므로 내용물이 액형태일 때에는 토출조작성이 좋고, 광차단성도 가지며, 또한 가격적으로도 유리한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장체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포장체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포장체의 또 다른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11) … 관 모양의 몸통부, (12) … 취출부, (12') … 노즐부,
(13) … 저부,
(A) … 기체(基體),
(a1) … 폴리올레핀제의 블로우(blow) 또는 사출성형용기,
(a2) … 폴리올레핀제의 압출 또는 사출성형 시트(sheet),
(B) … 금속박 적층필름(laminated film),
(b1) … 금속박,
(b2) … 실런트(sealant)층,
(b3) … 기재필름층,
(pt) … 인쇄층,
(m) … 절단이 용이한 가공부,
(L) … 내용물.
본 발명의 포장체는 용기(1)의 내부에 습기에 민감한 물질로 이루어진 내용물(L)이 수용된 포장체로서, 그 용기(1)의 몸통부(11)의 외측으로부터 적어도 몸통부(11) 전체가 덮이도록 금속박 적층필름(B)이 용착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포장체는 용기(1)의 내부에 습기에 민감한 물질로 이루어진 내용물(L)이 수용된 것이다.
용기(1)로서는 몸통부(11)의 일단측에 내용물(L)의 취출부(12), 타단측에 저부(13)가 위치하고 있는 것 즉, 취출부(12)/몸통부(11)/저부(13)의 구성을 갖는 것이 사용되고, 또한 취출부(12)의 위로부터 몸통부(11)의 목부 내지 어깨부로 향해서 덮이는 캡(14)을 구비하여도 좋다. 이하 각 부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취출부(12)로서는 내용물(L)을 꺼낼 수 있는 토출부나 출구부를 들 수 있다. 특히 내용물(L)이 액상일 때에는 취출부(12)는 노즐부(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노즐부(12')는 노즐부(12')가 부착된 몸통부(11)로서 동시 성형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 몸통부(11)와 별도의 피스(piece)를 만든 후 몸통부(11)의 일단측에 용착, 나사식 맞춤, 끼워맞춤 등의 수단에 의해 부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노즐부(12')의 재질은 임의이지만, 내용물(L)이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일 때에는 밀도 0.942 이상의 고밀도 또는 초고밀도의 폴리에틸렌의 사출성형품(또는 블로우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부(13)는 캡테일로서 성형하고, 이 캡테일을 몸통부(11)(또는 노즐부(12')가 부착된 몸통부(11))의 타단측에 용착, 나사식 맞춤, 끼워맞춤 등의 수단에 의해 사후적으로 부착시켜도 좋고, 또는 바닥이 있는 몸통부(11)를 성형하여 그 바닥의 부분을 저부(13)로 하여도 좋고, 혹은 또 몸통부(11)(또는 노즐부(12')가 부착된 몸통부(11))를 만든 후, 몸통부(11)의 타단측을 눌러 찌그러지도록 열압하여 저부(13)로 형성하여도 좋다.
하여간, 취출부(12)(특히, 노즐부(12'))를 갖는 몸통부(11)에 내용물(L)을 충전한 후 저부(13)을 설치하거나, 저부(13)를 갖는 몸통부(11)에 내용물(L)을 충전한 후 취출부(12)(특히 노즐부(12'))를 설치함으로써 포장체를 만들 수 있다.
캡(14)은 취출부(12)(특히 노즐부(12'))의 위로부터 몸통부(11)의 목부에 걸쳐서 씌우는 것이며, 끼워붙임에 의한 고정타입이나 나사식 맞춤에 의한 고정타입이라도 좋다. 캡(14)의 재질은 폴리올레핀으로 하는 일이 많지만, 반드시 그것에 구애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1)중 적어도 몸통부(11) 부분을 폴리올레핀 성형체로 이루어진 두께 100㎛ 이상의 기체(基體)(A)로 형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용기(1)의 몸통부((11)의 외측으로부터 적어도 몸통부(11) 전체가 덮히지도록 금속박 적층필름(13)이 용착설치된다.
상기 기체(A)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ㆍ폴리올레핀제의 블로우, 사출, 또는 사출블로우 성형용기(a1),
ㆍ폴리올레핀제의 압출 또는 사출 성형시트(a2),
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으로서는 폴리에틸렌, 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폴리에틸렌이 중요하다.
기체(A)가 폴리올레핀제의 블로우, 사출 또는 사출 블로우 성형용기(a1)일 때에는, 관 모양의 용기(a1)를 성형한다. 기체(A)가 폴리올레핀제의 압출 또는 사출 성형시트(a2)일 때에는, 그 시트(a2)를 관 모양으로 감고, 양 단면을 맞춘후 접어 넣던가, 잡았을 때의 시단과 종단이 약간 포개어 합쳐지도록 하고, 이어서 그 집어 넣은 부분 또는 중합부를 압착하여 용착하는 방법 등이 채용된다.
기체(A)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00㎛ 이상인 것이 필요하고, 그 두께가 100㎛ 미만일 때에는 내용물(L)이 액상의 물질일 때에는 그것이 금속박 적층필름(B)과의 계면에까지 도달하여, 층간 박리를 일으키는 등의 트러블을 일으킬 염려가 있다. 기체(A)의 바람직한 두께는 200㎛ 이상, 특히 300㎛ 이상이다. 그러나 두께가 너무 두껍게 되면 스퀴즈성을 결하게 되므로 기체(A)의 두께의 상한은 통상적으로는 500㎛ 정도까지로 하여야 할 것이다.
기체(A)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일 때에는, 그 폴리에틸렌의 밀도에 대해서는 상기 용기(a1) 또는 시트(a2)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고밀도, 중밀도, 저밀도의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는 수분투과율이 작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쪽이 유리하고,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라 할지라도 상기의 두께라면 스퀴즈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기체(A)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특히 폴리에틸렌)은 상기한 용기(a1) 또는 시트(a2)의 어느 것이든 그 내면이 내용물(L)에 접촉하므로 보존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활제, 충전제(filler), 착색제,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은 무첨가 성형등급의 폴리올레핀(특히 폴리에틸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금속박 적층필름(B)으로서는 실런트층/금속박/기재필름층, 실런트층/금속박/실런트층, 실런트층/금속박 등의 층 구성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어느 경우도 실런트층이 내면측으로 된다.
금속박 적층필름(B)으로서 특히 바람직한 층 구성은 금속박(b1)의 내면측에 실런트층(b2)이 적층되고, 외면측에 기재필름층(b3)이 적층된 것이다. 이때, 금속박(b1)의 두께는 5∼50㎛(특히, 5∼25㎛, 그 중에서도 5∼20㎛), 실런트층(b2)의 두께는 5∼100㎛(특히 20∼50㎛), 기재필름층(b1)의 두께는 5∼100㎛(특히 5∼20㎛)로 하는 일이 많다. 각 층의 두께가 너무 두껍게 되면 스퀴즈성의 점에서 마이너스로 된다.
금속박(b1)-실런트층(b2) 사이의 적층은 건조적층이나 금속박(b1)에 대한 폴리에틸렌 등의 가열밀봉(heat-seal) 가능한 수지의 압출 코팅(extrusion coating)에 의해 행하는 일이 많고, 금속박(b1)-기재필름층(b3) 사이의 적층은 건조적층에 의해 행하는 일이 많다. 기재필름층(b3)의 내면 또는/및 외면에는 적층의 전 또는 후에 인쇄를 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에 있어서, 금속박(b1)으로서는 알루미늄박이나 주석박 등을 들 수 있고, 보통은 가격적으로 유리한 알루미늄박이 사용된다. 실런트층(b2)으로서는 예컨대, 고밀도, 중밀도, 저밀도(선형 저밀도를 포함한다) 폴리에틸렌, 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중에서 기체(A)(및 경우에 따라 캡(14))와의 용착성이 좋은 것이 선택된다. 기재필름층(b3)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나일론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을 들 수 있고, 통상은 이들의 2축 연신필름을 사용한다.
금속박 적층필름(B)의 설치는 금속박 적층필름(B)을 아직 설치하지 않은 단계의 용기(1)에 내용물(L)을 충전하고, 충전구를 닫은 후 행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때에는,
ㆍ금속박 적층필름(B)을 가열해 놓고 또는 가열하면서, 거기에 내용물(L)이 들어 있는 용기(1)를 전동시켜 가거나,
ㆍ금속박 적층필름(B)을 가열해 놓고 또는 가열하면서, 그것을 내용물(L)이 들어 있는 용기(1)에 감아 나가는 방법
이 적합하게 채용된다. 이때, 금속박 적층필름(B)의 시단과 종단은 빈틈 없이 맞대도록 하여도 좋고, 약간 겹쳐지도록 하여도 좋다.
금속박 적층필름(B)은 기체(A)의 외측으로부터 몸통부(11) 전체가 덮히도록 설치하지만 몸통부(11) 뿐만 아니라 취출부(12)(특히 노즐부(12'))의 기부까지, 그리고 예컨대 저부(13)가 테일캡으로 되어 있을 때에는 그 테일캡의 외주연까지 덮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체(A)의 외측으로부터 금속박 적층필름(B)을 용착 설치함에 있어서는, 금속박 적층필름(B)을 전면용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박 적층필름(B)을 그 전부측, 후부측 및 감겨진 단부의 부분에서 용착시키는 것과 같이 부분용착시킬 수도 있다.
용기(1)가 캡(14)을 구비하고 있을 때에는 캡(14)의 외경이 몸통부(11)의 외경과 같게 되도록 하고, 그 캡(14)을 장착한 단계에서, 금속박 적층필름(B)을 용기(1)의 몸통부(11)를 넘어서 그 캡(14)의 적어도 일부까지도 덮도록 두루 감아서 용착 설치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태양의 경우에는 사용시에 캡(14)을 벗길 때에, 용착설치되어 있는 금속박 적층필름(B)이 방해가 된다. 이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용착설치한 금속박 적층필름(B)의, 용기(1)의 몸통부(11)와 캡(14)과의 경계선의 개소에 전단이 용이한 가공부(m)를 설치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절단이 용이한 가공으로서는 금속박 적층필름(B)의 구성층인 기재필름층(b3) 부분에 선형태로 국부가열을 실시해 두는 방법이 적당하게 채용된다. 절단이 용이한 가공으로서는 그 외에, 그 기재 필름층(b3)에 재봉점 구멍을 설치해 두는 방법도 채용된다. 이와 같이 절단이 용이한 가공처리를 해 두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수분의 침입이 방지되는 데다가 사용시에는 캡(14)을 비트는 것만으로 금속박 적층필름(B)의, 용기(1)의 몸통부(11)와 캡(14)과의 경계선의 개소가 용이하게 절단된다. 또한 금속박 적층필름(B)에 선형태로 국부가열을 실시해 두면, 그 금속박 적층필름(B)의 용착설치시에 몸통부(11)-캡(14)의 경계선의 개소와 어긋남이 생기는 일이 있으므로 복수의 선 형태로 국부가열 처리를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봉점구멍의 경우도 1선 또는 복수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1)에 충전되는 습기에 민감한 물질로 이루어진 내용물(L)의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2-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주재료로 하는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2-시아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알킬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시클로 알킬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알콕시알킬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알케닐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알키닐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된다. 이 중에서, 알킬 2-시아노아크릴레이트의 예는 메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각종 프로필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각종 부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각종 펜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각종 헥실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각종 옥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등이며, 알콕시알킬 2-시아노아크릴레이트의 예는 에톡시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이소프로필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등이다.
2-시아노아크릴레이트에는 안정제 내지 중합방지제(SO2, 하이드로퀴논 등)가 배합된다. 또 필요에 따라, 증점제, 내열성 부여제, 가소제, 유연화제, 착색제, 요변성 개선제, 음이온 중합촉진제, H+이온 보촉제, pH 조정제, 에틸렌카보네이트, 유기용제, 충전제, 중합체류 등을 적당량 함유시킬 수 있다.
2-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주재료로 하는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은 순간접착제로서 특히 유용하지만 그 외에, 보수제, 보강제, 주입제, 퍼티제, 피복제, 그림 부착제, 봉지제, 실(seal)제 등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습기에 민감한 물질로 이루어진 내용물(L)로서는 그 외에, 보존중에 습기를 싫어하는 각종의 액상물이나 유기금속 화합물과 같이 가수분해하기 쉬운 것도 들 수 있다. 또한 금속박 적층필름(B)에 의해 광차단성도 발휘되므로 보존시에 방습성 외에 광차단성이 요구되는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내용물(L)은 액상 뿐만 아니라 분립상이나 고형상이라도 좋다.
상기한 용기(1)에 충전되는 내용물(L)(특히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의 충전량은 임의이지만, 충전량이 많은 경우에는 통상의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용기라도 벽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수분투과율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충전량이, 예컨대 10g 이하(0.5∼10g), 특히 5g 이하(0.5∼5g), 더욱이, 3g 이하(0.5∼3g)의 소용량의 경우에, 본 발명의 포장체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체는 방습성이 우수하다고 하더라도 완전한 수분차단성을 갖는 것은 아니므로 이 포장체를 방습성을 갖는 주머니(bag)(예컨대 세라믹 증착필름의 단면에 실런트층을 설치한 적층필름으로 제대한 주머니)에 넣어서 유통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용)
본 발명의 포장체에 있어서는, 용기(1)중 적어도 몸통부(11)의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제의 상형체로 이루어진 두께 100㎛ 이상의 기체(A)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그 기체(A)의 외측으로부터는 적어도 몸통부(11) 전체를 덮도록 금속박 적층필름(B)이 용착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습기에 민감한 물질로 이루어진 내용물(L)의 충전량이 적은 소용량품에 있어서도, 용기(1)의 수분투과율이 작으므로 실용적인 보존안정성을 갖고, 또한 용기(1)가 스퀴즈성(변형성 및 복원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내용물(L)이 액상일 때에는 그 토출 때문에 몸통부를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에는 내용물의 점도의 여하에 관계 없이 액이 나오기 쉽고, 게다가 지압을 멈추었을 때에는 액이 노즐 내로 되돌아가기 쉽고, 토출조작성이 양호하다.
[실시예]
다음의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포장체>
도 1은 본 발명의 포장체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중 (1)은 용기, (11)은 관 모양의 몸통부, (12)는 취출부(이 실시예에서는 노즐부(12')), (13)은 저부이다. (L)은 내용물이다.
무첨가 성형등급의 밀도 0.96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블로우 성형(또는 사출성형)함으로써 2g 충전용의 노즐부(12')가 부착된 벽두께 400㎛의 폴리에틸렌제의 원통 모양의 블로우 성형용기(또는 사출 성형용기)(a1)(기체(A)의 일예)를 얻었다. 이 용기(a1)가 몸통부(11)로 된다.
이 노즐부(12)가 부착된 용기(a1)에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의 일예로서 시판되는 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순간접착제(습기에 민감한 물질(L)의 일예)를 2g 충전한 후, 무첨가 성형등급의 밀도 0.96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사출성형품으로 이루어진 테일캡(저부(13)의 일예)을 눌러 끼워 맞추고, 포장체 반완성품을 얻었다.
금속박 적층필름(B)의 일예로서, 두께 7㎛의 알루미늄박(b1)의 내면측에 두께 30㎛의 저융점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실런트층(b2), 외면측에 두께 12㎛의 폴리에스테르 필름(내면에 인쇄층(pt)을 처리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기재필름층(b3)을 설치한 (b2)/(b1)/(b3)의 층 구성의 것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상기한 금속박 적층필름(B)를 그 실런트층(b2)의 측이 위로 되도록 핫플레이트 위에 올려놓고, 실런트층(b2)의 연화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후, 거기에 상기한 포장체 반완성품을 놓고, 그 포장체 반완성품의 몸통부(11) 전체, 노즐부(12')의 기부 및 저부(13)의 외주연을 덮도록 금속박 적층필름(B)을 손으로 한겹으로 휘감아서 전면용착하였다. 이때, 금속박 적층필름(B)의 시단과 종단이 빈틈 없이 맞대어 지도록 유의하였다. 이로써 목적으로 하는 포장체가 얻어졌다.
(보존안정성 시험)
이 포장체에 대하여 온도 60℃, 습도 95% RH의 가습조건하에 35일간 방치하는 촉진시험을 행하고, 점도상승율을 측정하였다. 내용물(L)인 순간접착제로서는 점도가 2.1cps/23℃의 저점도 등급의 것을 사용하였다.
(토출성 시험)
이 포장체에 대하여 토출성을 관찰하였다. 습기에 민감한 물질(L)인 에틸렌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순간접착제로서는 다음의 2종을 사용하였다.
ㆍ점도가 2.1cps/23℃인 저점도 등급의 것
ㆍ점도가 150cps/23℃인 중점도 등급의 것
(흡습시험)
내용물(L)인 순간접착제 2g 대신에 무수의 염화칼슘 2g을 충전한 포장체를 사용하고, 또한 그 포장체를 폴리에틸렌층/세라믹증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층구성의 적층필름으로 만들어진 자루에 넣고, 60℃, 95% RH의 가습조건하에 6일간 방치하는 촉진시험을 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중량증가(염화칼슘에 의한 수분의 흡수에 따른 중량증가)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1
무첨가 성형등급의 밀도 0.96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2g 충전용의 노즐부가 부착된 벽두께 400㎛의 폴리에틸렌제의 원통 모양의 블로우 성형용기를 만들었다. 이 용기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순간접착제를 2g 충전한 후, 무첨가 성형등급의 밀도 0.96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사출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테일캡을 눌러 끼워 맞추어서 포장체를 얻었다. 이 포장체에 대하여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은 시험을 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의 포장체의 외주면 전체에 알루미늄 증착필름제의 점착제층이 부착된 라벨을 부착하였다. 이 라벨부착 포장체에 대하여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은 시험을 하였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의 포장체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무첨가 성형등급의 밀도 0.96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압출성형(또는 사출성형)함으로써, 벽두께 400㎛의 폴리에틸렌제의 압출성형 시트(또는 사출성형 시트)(a2)(기체(A)의 일예)를 얻었다.
이 시트(a2)를 원통 모양로 감고, 감았을 때의 시단과 종단이 약간 포개어지도록 하고, 이어서 그 중합부를 압착하여 용착함으로써 관 모양으로 형성하였다.
이 관 모양으로 형성한 시트(a2)로 이루어지는 몸통부(11)의 일단측에 밀도 0.96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사출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노즐부(12')의 기부측을 용착에 의해 부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순간접착제를 2g 충전한 후, 몸통부(11)의 타단측에 무첨가 성형등급의 밀도 0.96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사출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테일캡(저부(13)의 일예)을 용착하여 반완성품의 포장체를 얻었다.
다음에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금속박 적층필름(B)을 그 실런트층(b2)측이 위로 되도록 핫플레이트 위에 올려놓고 실런트층(b2)의 연화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후, 거기에 상기 포장체 반완성품을 놓고, 그 포장체 반완성품의 몸통부(1) 전체, 노즐부(12')의 기부 및 저부(13)의 외주연을 덮도록, 금속박 적층필름(B)을 한겹으로 휘감아서 전면용착하였다. 이때 금속박 적층필름(B)의 시단과 종단이 빈틈 없이 맞대어지도록 유의 하였다. 이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포장체가 얻어졌다. 이 포장체에 대해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은 시험을 하였다.
<결과>
보존 안정성 시험 및 흡습시험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토출성에 대해서는 저점도품 및 중점도품의 어느 경우라도, 폴리에틸렌 용기를 사용하였을 때와 동등하고, 양호하며, 또 알루미늄 튜브용기와 같이 잔압에 의한 액의 토출은 볼 수 없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2
보존안정성
당초의 점도(23℃) 2.1cps 2.1cps 2.1cps 2.1cps
35일 방치후 2.5cps 겔화 겔화 2.6cps
흡습성(중량증가량)
1일후 0.7mg 2.7mg 2.8mg 0.9mg
3일후 2.2mg 5.4mg 5.6mg 2.6mg
5일후 3.6mg 8.7mg 9.1mg 4.2mg
6일후 4.4mg 11.9mg 12.3mg 4.9mg
실시예 3
도 3은 본 발명의 포장체의 또 다른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몸통부(11)의 외경과 같은 외경의 캡(14)을 구비한 도 3(가)의 형상을 갖는 2g용의 용기(1)의 몸통부(11) 및 저부(13)의 외주면의 전체에, 도 3(나)과 같이 실시예 1과 같은 금속박 적층필름(B)을 한겹으로 휘감아서 전면용착하였다. 또 도 3(다)와 같이 몸통부(11) 및 저부(13)의 외주연의 전체와 캡(14)의 일부를 덮도록, 실시예 1과 같은 금속박 적층필름(B)을 한겹으로 휘감아서 전면용착하였다. 그리고 또 도 3(라)와 같이, 몸통부(11) 및 저부(13)의 외주연의 전체와 캡(14)의 일부를 덮도록 실시예 1과 같은 금속박 적층필름(B)을 기계로 한겹으로 휘감아서 전면용착하였다. 단지, 도 3(다) 및 (라)에 있어서는 금속박 적층필름(B)의 기재필름층(b3)에는 용기(1)의 몸통부(11)-캡(14)의 경계선으로 되는 개소에 가열체의 압착에 의한 3줄의 선형태의 국부가열(절단이 용이한 가공부(m)의 일예)을 사전에 형성해 놓고, 사용시의 개봉이 용이하도록 해두었다.
도 3 (가), (나), (다), (라)의 용기(어느 경우도 스퀴즈성은 양호하였다)에 대하여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은 흡습시험을 한 바, 7일 후의 흡습에 의한 중량증가는 이 순서로 11.0mg, 3.2mg, 2.7mg, 2.0mg이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체는 습기에 민감한 물질로 이루어진 내용물(L)의 충전량이 적은 소용량품일지라도, 용기(1)의 수분투과율이 작으므로 실용적인 보존 안정성을 갖고, 또한 용기(1)가 스퀴즈성(변형성 및 복원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내용물(L)이 액상일 때에는 내용물의 토출을 위하여 몸통부를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에는 내용물의 점도의 여하에 관계 없이 액이 나오기 쉽고, 또한 지압을 멈추었을 때에는 액이 노즐 내로 되돌아가기 쉬워, 토출 조작성이 양호하다.
특히 용기(1)가 캡(14)을 구비하고 있으며, 금속박 적층필름(B)이 몸통부(11)를 넘어서 그 캡(14)의 적어도 일부까지도 덮도록 용착 설치하면 한층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때에는 용착설치한 금속박 적층필름(B)의, 용기(1)의 몸통부(11)와 캡(14)과의 경계선의 개소에 절단이 용이한 가공부(m)를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금속박 적층필름(B)의 용착설치는 용이하고, 그 용착설치에 의해 광차단성도 얻어지며, 또 그 금속박 적층필름(B)에 인쇄를 해두면 제품 표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용기(1) 전체의 가격도 싸다.

Claims (9)

  1. 용기 (1)의 내부에 습기에 민감한 물질로 이루어진 내용물(L)이 수용된 포장체에 있어서, 그 용기(1)의 몸통부(11)의 외측으로부터 적어도 몸통부(11) 전체가 덮히도록 금속박 적층필름(B)이 용착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2. 제 1항에 있어서, 용기(1)의 몸통부(11)의 일단측에 내용물(L)의 취출부(12), 타단측에 저부(13)가 위치하고 있으며, 용기(1)중 적어도 몸통부(11)의 부분이 폴리올레핀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두께 100㎛ 이상의 기체(A)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3. 제 1항에 있어서, 기체(A)가 폴리올레핀제의 블로우 또는 사출성형용기(a1), 또는 폴리올레핀제의 압출 또는 사출성형 시트(a2)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4. 제 1항에 있어서, 금속박 적층필름(B)이 금속박(b1)의 내면측에 실런트층(b2)이 적층되고, 외면측에 기재필름층(b3)이 적층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용기(1)가 캡(14)을 구비하고 있고, 금속박 적층필름(B)이 몸통부(11)를 넘어서 그 캡(14)의 적어도 일부까지 덮도록 용착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6. 제 5항에 있어서, 용착설치한 금속박 적층필름(B)의, 용기(1)의 몸통부(11)와 캡(14)과의 경계선의 개소에, 절단이 용이한 가공부(m)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7. 제 6항에 있어서, 절단이 용이한 가공부(m)가 금속박 적층필름(B)의 구성층인 기재필름층(b3)에 선형태로 국부가열처리를 행하거나 또는 재봉점선을 설치함으로써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8. 제 1항에 있어서, 습기에 민감한 물질로 이루어진 내용물(L)이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9.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내용물(L)의 충전량이 10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KR1020000003346A 1999-01-27 2000-01-25 포장체 KR100344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8188 1999-01-27
JP1818899 1999-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556A true KR20010029556A (ko) 2001-04-06
KR100344580B1 KR100344580B1 (ko) 2002-07-20

Family

ID=11964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346A KR100344580B1 (ko) 1999-01-27 2000-01-25 포장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26296B1 (ko)
EP (1) EP1026092A1 (ko)
KR (1) KR100344580B1 (ko)
TW (1) TWI28145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170B1 (ko) * 2011-11-22 2012-04-24 주식회사 다우기업 실런트용 카트리지
KR101145370B1 (ko) * 2011-12-22 2012-05-15 주식회사 다우기업 실런트용 카트리지
WO2013077566A1 (ko) * 2011-11-22 2013-05-30 주식회사 다우기업 실런트용 카트리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1011388A (es) * 2000-02-24 2004-08-19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Metodos y envases para prevenir la contaminacion de las etiquetas de productos y adhesivos.
US7020775B2 (en) * 2001-04-24 2006-03-28 Microsoft Corporation Derivation and quantization of robust non-local characteristics for blind watermarking
US6896838B2 (en) 2001-11-21 2005-05-24 Closure Medical Corporation Halogenated polymeric containers for 1, 1-disubstituted monomer compositions
US7241066B1 (en) 2003-04-15 2007-07-10 American Grease Stick Company Container for flowable products
US20050147582A1 (en) * 2004-01-06 2005-07-07 Robert Zimmerman Package for cyanoacrylate adhesive
DE602004002751D1 (de) * 2004-01-22 2006-11-23 Centrale Del Latte Di Brescia Lebensmittelverpackung
DE102005020756B4 (de) 2005-05-02 2007-07-26 Adtracon Gmbh Packmittel, Verfahren zur Weiterverarbeitung des Schmelzklebstoffs im schmelzklebstoffenthaltendem Packmittel, Verfahren zur Beschickung des Packmittels
DE102006034272A1 (de) * 2006-07-18 2008-01-24 Aesculap Ag & Co. Kg Flüssigkeitsspender in der Medizin in Form einer Handhabe sowie dessen Verwendung
US8061563B1 (en) 2007-05-29 2011-11-22 Ags I-Prop, Llc Flexible pouch with expulsion aid
DE102007029297B3 (de) * 2007-06-22 2008-11-20 Henkel Ag & Co. Kgaa Packmittel mit verbesserter Wasserdampfbarriere
US8729121B2 (en) 2007-06-25 2014-05-20 Adhezion Biomedical, Llc Curing accelerator and method of making
EP2742875B1 (en) 2007-11-14 2016-02-24 Adhezion Biomedical, LLC Cyanoacrylate tissue adhesives
US8376183B1 (en) 2008-06-10 2013-02-19 Ags I-Prop, Llc Fluid dispenser having multiple chambers
US8293838B2 (en) 2008-06-20 2012-10-23 Adhezion Biomedical, Llc Stable and sterile tissue adhesive composition with a controlled high viscosity
US8198344B2 (en) 2008-06-20 2012-06-12 Adhezion Biomedical, Llc Method of preparing adhesive compositions for medical use: single additive as both the thickening agent and the accelerator
US20110117047A1 (en) 2008-06-23 2011-05-19 Adhezion Biomedical, Llc Cyanoacrylate tissue adhesives with desirable permeability and tensile strength
US8609128B2 (en) 2008-10-31 2013-12-17 Adhezion Biomedical, Llc Cyanoacrylate-based liquid microbial sealant drape
US8652510B2 (en) 2008-10-31 2014-02-18 Adhezion Biomedical, Llc Sterilized liquid compositions of cyanoacrylate monomer mixtures
US9254133B2 (en) 2008-10-31 2016-02-09 Adhezion Biomedical, Llc Sterilized liquid compositions of cyanoacrylate monomer mixtures
US9309019B2 (en) 2010-05-21 2016-04-12 Adhezion Biomedical, Llc Low dose gamma sterilization of liquid adhesives
FR2990687B1 (fr) * 2012-05-16 2015-02-27 Unither Pharmaceuticals Dispositif de protection et de stabilisation du contenu d'un reservoir contenant une dose unitaire de produit fluide
US8783515B2 (en) * 2012-10-25 2014-07-22 Sonoco Development, Inc. Dispenser with fitment
US9421297B2 (en) 2014-04-02 2016-08-23 Adhezion Biomedical, Llc Sterilized compositions of cyanoacrylate monomers and naphthoquinone 2,3-oxid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4446A (en) * 1978-08-07 1985-04-30 Toray Silicone Company, Ltd. Water impermeable package for room temperature-moisture curing one-part sealants
US4358028A (en) * 1980-06-26 1982-11-09 Mercantile & Technical Promotions Inc. Single dose disposable container
US4685591A (en) * 1984-12-28 1987-08-11 American Can Company Dispensing tube package
US4698247A (en) * 1984-12-28 1987-10-06 American Can Company Multiple layer sheet material
US4777085A (en) * 1984-12-28 1988-10-11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Multiple layer sheet material
US4917267A (en) * 1986-11-12 1990-04-17 Laverdure Roland J A Self-closing valve with tamper evident lip seal tab for liquids, pastes or solids
US4986053A (en) * 1988-11-22 1991-01-22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Methods of making improved packages
CH680277A5 (ko) * 1990-10-30 1992-07-31 Alusuisse Lonza Services Ag
DE4229734A1 (de) * 1992-09-05 1994-03-10 Henkel Kgaa Verpackung für fließfähige Produkte
US5284897A (en) * 1992-11-16 1994-02-08 Borden, Inc. Thixotropic adhesive gel
CA2110761A1 (en) * 1992-12-18 1994-06-19 Yelena G. Tropsha Barrier label
US5984088A (en) * 1993-06-11 1999-11-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asy open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1016992A (ja) * 1996-07-04 1998-01-20 Toagosei Co Ltd 接着剤用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170B1 (ko) * 2011-11-22 2012-04-24 주식회사 다우기업 실런트용 카트리지
WO2013077566A1 (ko) * 2011-11-22 2013-05-30 주식회사 다우기업 실런트용 카트리지
KR101145370B1 (ko) * 2011-12-22 2012-05-15 주식회사 다우기업 실런트용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26296B1 (en) 2003-09-30
KR100344580B1 (ko) 2002-07-20
TWI281452B (en) 2007-05-21
EP1026092A1 (en) 2000-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4580B1 (ko) 포장체
US4919984A (en) Multilayer plastic container
EP0338488B1 (en) Multilayer structure and easily openable container and lid
US6601732B1 (en) Bag-in-box package comprising a tap and/or tap fitting consisting of a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an oxygen scavenging material
WO2000044632A1 (fr) Materiau d'emballage stratifie pour conteneur en papier
EP2643238B1 (en) Sealed container for foodstuffs
JP2018167860A (ja) チューブ容器
JPS6228355A (ja) ヒ−トシ−ル容器
MXPA04006951A (es) Material compuesto para empaques sellados por calor hermeticos a la luz, al gas y a los liquidos.
JPH1120073A (ja) ラミネ−トチュ−ブ容器形成用積層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ラミネ−トチュ−ブ容器
JP2009286488A (ja) 紙容器
JPH0425455A (ja) トコフェロールまたは酢酸トコフェロールを含有する内填物の密封包装体
JP4434404B2 (ja) 包装体
JPH0350706B2 (ko)
US5932305A (en) Composite sheet and sealed container
JP2021053861A (ja) 積層体およびチューブ容器
JP3883624B2 (ja) 紙容器形成用積層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包装用紙容器
JP2672353B2 (ja) ラベル付容器
JP4156054B2 (ja) ラミネ−トチュ−ブ容器形成用積層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ラミネ−トチュ−ブ容器
JP6041123B2 (ja) ガラス容器用易貫通性蓋材
JP2021160727A (ja) ヒンジ付きのキャップおよびキャップ付きチューブ容器
JPH0350704B2 (ko)
FI85242B (fi) Hoptryckbar behaollare framstaellt av etenpropenkopolymer.
JP4152037B2 (ja) 積層体及び密封容器
JPH10167292A (ja) ラミネ−トチュ−ブ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