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9550A - 후킹 장치 - Google Patents

후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9550A
KR20010029550A KR1020000001351A KR20000001351A KR20010029550A KR 20010029550 A KR20010029550 A KR 20010029550A KR 1020000001351 A KR1020000001351 A KR 1020000001351A KR 20000001351 A KR20000001351 A KR 20000001351A KR 20010029550 A KR20010029550 A KR 20010029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hook
hook
hooking
ma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0271B1 (ko
Inventor
이나도시유키
Original Assignee
오가와 요조
모리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739435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2955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와 요조, 모리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가와 요조
Publication of KR2001002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05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A44B13/0017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made of metal plat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29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44B13/0035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using prongs
    • A44B13/0041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using prongs and a backing element on which prongs are bent o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02Harness
    • Y10T24/4012Clamping
    • Y10T24/4019Sliding part or we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02Harness
    • Y10T24/4028Penetrating tongue
    • Y10T24/4044Sliding part or we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79Sliding part of we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79Sliding part of wedge
    • Y10T24/4081Hook attach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152Each mating member having similarly shaped, sized, and operated interlocking or intermeshable face
    • Y10T24/45199Hoo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후킹 장치는 의류(F)의 개구부 한 쪽에 부착된 수후크(1)와 개구부의 다른 쪽에 부착되어 상기 수후크(1)에 걸리거나 풀릴 수 있도록 된 암후크(4)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후크(1)는 수후크 베이스(11), 수후크 주몸체(21) 및 스프링(31)으로 이루어진다. 수후크 베이스(11)에는, 스프링(31)을 하우징하는 홈부(1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후크 주몸체(21)는 자신과 상기 수후크 베이스(11) 사이에 상기 스프링(31)을 하우징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암후크(4)에 걸리는 후킹 절편(22)을 제공한다. 스프링(31)은 상기 수후크 베이스(11)에 대해 수후크 주몸체(21)의 미끄럼 이동을 탄력적으로 제어하도록, 상기 수후크 베이스(11)에 하우징되어 있다.

Description

후킹 장치{A HOOKING DEVICE}
이 발명은 바지나 스커트용 후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정해진 범위 내에서 허리 크기(waist size)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바지나 스커트(이하 "의류"라고 함)와 같은 의류를 용이하게 입거나 벗기 위해, 후크 종단을 가지는 수후크(male hook)와 상기 수후크에 걸리도록 형성된 암후크(female hook)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후크 쌍이 상기 의류 허리의 개구부(opening)에 있다. 사용자의 허리 크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후크 수단은 다수의 암후크가 상기 개구부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의 다른 쪽에 부착된 수후크는 다수의 암후크 중 가장 적절한 것에 걸린다. 의류의 개구부는 암수 후크의 걸기 또는 풀기에 의해 닫히거나 열릴 수 있고, 허리 크기는 적절한 암후크의 선택에 의해 특정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허리의 일부가 고무벨트와 같은 탄성재(elastic material)로 된 의류가 있는데, 여기서 상기 고무벨트는 의류를 입거나 벗는 것이 용이하도록 줄어들거나 늘어나며 허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가장 적절한 곳에 걸리는 다수의 암후크와 수후크를 사용하는 상기 수단들은 하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즉 특정 피치(pitch)보다 작은 피치로 수후크를 재봉해서 설치하는 것이 어렵다. 만일 많은 암후크가 서로 밀접하게 설치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수후크를 적절한 암후크에 걸기 위해 세심한 주의를 해야 한다. 한편 사용자는 수후크를 암후크에 잘못 걸어서, 허리 크기가 잘못 조정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암후크는 특정 피치보다 더 작은 피치로 설치될 수 없고, 따라서 의류의 허리 크기는 꼭 맞게 조절될 수 없다.
식사 후에 사용자는 복부가 당기고, 복부 압박이 증가하며 허리 선 주위로 의류가 밀려나서, 복부에 통증을 일으킨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는 후크를 느슨하게 하거나 후크를 풀어서 처리했다. 이러한 동작은 성가신 것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단정하지 못한 사람으로 보이게 하고, 다른 사람에게 나쁜 인상을 준다.
고무벨트와 같은 탄성재를 허리의 일부에 사용하는 의류는, 의류를 입거나 벗기에 용이하고 허리 크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고무벨트가 줄어들거나 늘어나며, 탄성재 주의의 섬유에 많은 주름을 발생시킴으로서 의류의 형상을 손상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의류는 그 사용 범위가 제한되며 정장 또는 격식을 차린 의상용으로는 부적절하다.
많은 암후크가 의류에 박혀있을 경우, 이러한 암후크는 특정 피치로 허리를 따라 개별적으로 재봉되어 있다. 의류 일부에 탄성재가 사용된 경우, 이 탄성재는 긴 길이 범위에 걸쳐 재봉할 필요가 있다. 어느 쪽이나 재봉 효율은 떨어지며, 이것은 재봉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허리 압력에 따라 의류 개구부의 반대 쪽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수단을 갖춘 후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후킹 장치가 의류에 재봉되거나 의류를 입었을 때 섬유에서 주름을 발생시키기 않고, 후킹 장치를 의류에 재봉하는데 필요한 공정 단계를 감소시켜 재봉 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후킹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수후크의 사시도,
도 3은 의류의 개구부에 부착된 상태의 후킹 장치의 길이 방향 단면도,
도 4는 수후크 주몸체가 미끄러지는 상태인 도 3의 후킹 장치의 길이 방향 단면도,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후킹 장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의류의 개구부에 부착된 후킹 장치의 길이 방향 단면도,
도 7은 수후크 몸체가 미끄러지는 상태인 도 6의 후킹 장치의 길이 방향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후킹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이동 가능한 후크의 길이 방향 분해 단면도,
도 10은 이동 가능한 후크의 일반적 사시도,
도 11은 압축 코일 스프링의 한 종단이 후크 베이스에 결합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의류(F)의 개방 가능한 교차면 부분에 부착되는 조절 가능한 후킹 장치의 구조적 단면도.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의류의 개구부 한 쪽에 부착된 수후크와 개구부의 다른 쪽에 부착되어 상기 수후크에 걸리거나 풀릴 수 있는 암후크로 이루어지는 후킹 장치를 기본적인 형태로 한다. 상기 수후크는 후술할 탄성 몸체(elastic body)를 하우징하는 홈부(groove)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후크 베이스(male hook base), 자신과 상기 수후크 베이스 사이에서 후술할 탄성 몸체를 하우징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암후크에 걸리는 수단을 제공하며 상기 수후크 베이스를 가이드 부재로 사용하는 수후크 주몸체(male hook main body)와, 압력 또는 인장에 의해 상기 수후크 베이스에 대해 수후크 주몸체의 미끄럼 이동을 탄력적으로 제어하도록 상기 수후크 베이스에 하우징(housing)된 탄성 몸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는, 미끄럼 레일(sliding rails)이 수후크 베이스의 양쪽 종단에 있고, 상기 레일이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기 미끄럼 레일을 잡아주는 홀딩 암(holding arm)을 형성하기 위해 수후크 주몸체의 양쪽 종단은 한 쪽 표면 뒤로 접혀 있고, 수후크 베이스와 수후크 주몸체는 미끄럼 레일을 잡아주는 홀딩 암에서 서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서로 부착되어 있고, 이러한 부분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막아주는 정지 수단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는, 수후크 베이스와 수후크 주몸체에 정지 돌출부(stopper protrusion)와 누름 돌출부(pusher protrusion)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들 모두는 하우징 공간(housing space) 내에 돌출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수후크 베이스에 대해서 상기 수후크 주몸체의 미끄럼 이동을 탄력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홈부에 하우징된 탄성 몸체의 양쪽 종단은 상기 정지 돌출부와 누름 돌출부에 의해 압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홈부에 하우징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주름 형태로 금속 밴드(metal band) 재료를 구부려서, 상기 탄성 몸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는, 수후크와 암후크가 허리선을 따라서 휘어져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탄성 몸체의 한 종단은, 후킹 절편(hooking piece)이 형성된 수후크 주몸체의 종단에 반대되는 종단의 후면에 형성된 돌출 절편(protruding pieces)과 접촉하고, 이것의 다른 종단은 수후크 베이스로부터 세워진 정지 절편(stopping piece)의 굽은 부분(bend)에 의해 잡혀서 고정되며, 후킹 절편의 후킹 공간은 후킹 절편의 팁(tip)과 수후크 주몸체 사이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반면 후킹 절편의 폴더(fold)와 팁 사이에서는 경사진 계단 부분(inclined step)을 따라서 좁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후킹 장치에서, 수후크는 후술할 탄성 몸체를 하우징하는 홈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후크 베이스와, 자신과 수후크 베이스 사이에 후술할 탄성 몸체를 하우징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암후크에 걸리는 수단을 제공하며, 상기 수후크 베이스를 가이드 부재로서 사용하는 수후크 주몸체와, 상기 수후크 베이스에 하우징되어 압축 및 인장에 의해 수후크 베이스에 대한 수후크 주몸체의 미끄럼 이동을 탄력적으로 제어하는 탄성 몸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본 발명은 비정상적인 압력에 따른 크기조절 기능의 특성을 가지며, 여기서 탄성력은 항상 의류의 개구부를 죄는 방향으로 동작하고 허리 크기는 자동적으로 단계적으로 조절되어 사용자에게 알맞게 된다.
식사 후나 또는 사용자의 복부에 압박이 가해질 때, 탄성 몸체는 허리 크기의 변화에 따라 줄어들거나 늘어나서, 의류가 허리 크기에 맞도록 되며, 따라서 복부 영역 주위의 불쾌감을 없앤다. 그러므로, 후크를 느슨하게 하거나 풀어줄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는 다른 사람에게 단정하지 못하게 보이거나 불쾌감을 주는 것에 대해 신경 쓸 필요가 없다.
후킹 장치는 스스로 늘어나고 의류는 늘어날 수 없게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의류의 섬유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고 의류의 형태 또한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후킹 장치는 주름지기 쉬운 의류로 그 적용이 제한되지 않고, 형태가 매우 중요한 정장이나 공식 의복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의류에 상기 후킹 장치를 재봉할 때, 많은 암후크를 부착하거나 큰 범위의 길이를 고무 벨트로 재봉할 필요도 없다. 신장력(stretchability)은 단순히 수후크와 암후크를 부착함으로서 부가될 수 있어서, 재봉 효율을 높이고 재봉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수후크의 내부에 하우징된 탄성 몸체는 홈부 내에 하우징될 정도의 폭을 가지고 주름 형태로 구부려지기 때문에, 수후크는 매우 얇게 만들어도 충분한 신장력을 가질 수 있다. 탄성 몸체는 또한 제조가 용이하며, 사용하는데 만족감을 느끼고 의류의 형태를 손상하지 않도록 하는 후킹 장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특성에 따르면, 사용자의 복부 압력에 따라 의류의 개구부 종단의 위치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수단을 가지는 후크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후킹 장치가 의류에 재봉되거나 상기 의류를 입을 때 섬유에 주름이 발생되지 않으며, 의류에 후킹 장치를 재봉할 때 필요한 공정 수를 감소시켜 재봉 비용을 감소시킨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의 일부를 설명하였으며, 다른 것에 대해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후킹 장치를 설명한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후킹 장치는 의류(F) 개구부의 한 쪽에 부착된 수후크(1)와, 상기 수후크(1)에 걸리거나 풀릴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의 다른 쪽에 부착된 암후크(4)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후크(1)는 재봉에 의해 의류(F)의 개구부 한 쪽에 부착되는 수후크 베이스(11)와, 상기 수후크 베이스(11)와 미끄러지도록 맞물리고 자신과 상기 수후크 베이스(11) 사이의 후술할 탄성 몸체(31)를 하우징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수후크 주몸체(21)와, 상기 하우징 공간에 하우징되고 압축에 의해 상기 수후크 베이스(11)에 대한 수후크 주몸체(21)의 미끄럼 이동을 탄력적으로 제어하는 탄성 몸체를 더 포함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수후크 베이스(11)는 0.6 mm 두께의 스테인리스 강판을 타출(stamping), 압출(pressing) 및 굽힘(bending)에 의해서 폭 11.5 mm, 길이 31 mm, 두께 0.6 mm의 형태로 만들며, 그 길이방향의 중심에 일정한 단면으로 폭 6.0 mm, 깊이 1.8 mm를 가지는 오목한 홈부(12)가 있다. 홈부(12)의 양측에는 수후크 주몸체(21)가 미끄러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guide) 역할을 하는 미끄럼 레일(14)이 있고, 홈부 바닥(13)의 양쪽 종단에는 재봉 구멍(sewing hole)(17)이 뚫려 있는 텅(tongue)이 있다. 홈부 바닥(13)의 한 종단에는 구부러진 정지 돌출부(15)가 홈부(12) 내로 돌출되는 슬릿(slit)이 있다. 수후크 베이스(11)의 다른 종단 근처에서, 각 미끄럼 레일(14) 위에 수후크 베이스(11)의 종단에서 동일한 거리로 슬릿이 있다. 이러한 슬릿은 미끄럼 방지 절편(slip-off-preventive pieces)(16)을 형성한다.
수후크 주몸체(21)도 수후크 베이스(11)와 같은 방법으로 0.6 mm의 스테인리스 강판의 타출, 압출 및 굽힘에 의해 만들어진다. 미끄럼 방식에서 수후크 베이스(11)의 미끄럼 레일(14)을 정지시키기 위해, 양 측면이 하나의 표면 상에 접혀서 폭 12.6 mm와 간격 1.2 mm를 확보하는 홀딩 암(23)을 형성한다. 홀딩 암(23)이 접힌 표면과 반대쪽으로 접혀서 한 종단에 형성된 텅이 암후크(4)에 걸리는 후킹 종단(22)을 형성하고, 다른 한 종단에 홀딩 암(23)과 같은 표면 쪽으로 접혀서 형성된 또 다른 텅이 하우징 공간 내부로 돌출되어, 탄성 몸체(31)를 밀어주는 누름 돌출부(24)를 형성한다.
상기 탄성 몸체(31)는 길이 1.2 mm, 두께 0.3 mm의 금속 밴드를 구부려서 만든 주름진 형상(the form of bellows)의 판 스프링(leaf spring)으로 되어 있어서, 수후크(1) 내에 형성된 폭 5.0 mm의 홈부(12) 내에 하우징될 수 있다.
상기 암후크(4)는 스테인리스 강판을 구부려서 만들어, 후크 주몸체(21)의 후킹 종단(22)에 걸릴 만큼 충분한 넓이를 가지는 캐치(catch)(41)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캐치(41)의 양측에 재봉 구멍(42)을 갖추고 있어 의류(F)의 개구부에 캐치가 재봉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후킹 장치 조립체는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 3에서와 같이, 탄성 몸체(31)는 정지 수단(15)과 접촉하도록 수후크 베이스(11)의 홈부(12)에 하우징되어 있다. 수후크 주몸체(21)는 홀딩 암(23)으로 미끄럼 레일(14)을 잡아주도록 후킹 종단(22)이 형성되어 있는 쪽으로부터 미끄러진다. 수후크 몸체(21)에 형성된 누름 돌출부(24)는 탄성 몸체(31)를 압축하기 때문에, 미끄럼 레일(14) 위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 절편(16)은 수후크 몸체(1)가 미끄럼 레일(14)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위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다음으로, 도 4에서와 같이, 의류(F) 허리의 개구부에 부착된 암후크(4)와 상기 암후크(4)에 부착된 수후크 몸체(21)가 탄성 몸체(31)의 탄성에 대항하여 당겨지면, 탄성 몸체(31)는 정지 돌출부(15)와 누름 돌출부(24)에 의해 압축되고, 수후크 주몸체(21)는 수후크 베이스(11)에 대해 이동하고, 이에 따라 의류(F)의 허리 크기는 늘어나게 된다. 한편, 수후크 주몸체(21)를 당기는 힘이 감소할 경우, 탄성체(31)의 탄성력은 의류(F)의 허리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수후크 주몸체(21)를 당긴다. 따라서, 의류(F)의 허리는 항상 사용자에게 알맞은 크기로 자동 조절된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후킹 장치를 도 5-7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후킹 장치는, 의류(F) 개구부의 한 쪽에 부착된 수후크(1)와 상기 개구부의 다른 한 쪽에 부착된 암후크(4)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후크(4)는 상기 수후크(1)에 걸리거나 풀릴 수 있다. 상기 수후크(1)는, 크로(claw)에 의해 의류의 개구부 한 쪽에 부착된 수후크 베이스(11), 미끄럼 방식으로 상기 수후크 베이스(11)에 맞물리고 자신과 수후크 베이스(11) 사이에 후술할 탄성 몸체(31)를 하우징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수후크 주몸체(21), 및 상기 하우징 공간에 하우징되고 압축에 의해 수후크 베이스(11)에 대해 수후크 주몸체(21)의 미끄럼 이동을 제어하는 탄성 몸체(31)로 이루어진다.
도 5에서와 같이, 수후크 베이스(11)는 두께 0.6 mm의 황동판을 폭 11.5 mm,길이 31 mm, 두께 3.6 mm의 형태로 타출, 압축, 및 굽힘에 의해 만들고, 그 길이방향 중심에 균일한 단면을 가지는 오목 홈부(12)가 두께 6.0 mm, 깊이 3.0 mm로 형성되어 있다. 홈부(12)의 양 측면에는 수후크 주몸체(21)가 미끄러지는 가이드 기능을 하는 미끄럼 레일(14)이 있고, 홈부 바닥(13)의 양쪽 종단에는 2개의 텅이 있어서, 홈부 바닥(13)의 후면 방향으로 구부려져 크로(17, 18)를 형성한다. 홈부 바닥(13)의 한 종단에는 슬릿이 있어서 이로부터 탄성 몸체(31)의 한 종단을 걸기 위한 구부림 후크 돌출부(bent hook protrusion)(19)가 홈부(12) 안에 돌출되어 있다. 수후크 베이스(11)의 다른 종단 근처에서, 수후크 베이스(11)의 종단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서 각 미끄럼 레일(14) 위에 슬릿이 있다. 이러한 슬릿은 미끄럼 방지 절편을 형성한다.
수후크 주몸체(21)도 수후크 베이스(11)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0.6 mm 두께의 황동판을 구부려서 만든다. 미끄럼 방식으로 수후크 베이스(11)의 미끄럼 레일을 잡아주기 위해서, 모든 측면은 한 면으로 접혀서 폭 12.6 mm, 간격 1.2 mm를 확보하면서 홀딩 암(23)을 형성한다. 한 종단에 형성된 텅은 홀딩 암(23)이 접힌 면에 반대되는 면으로 접혀서 암후크(4)가 걸리는 후킹 종단(22)을 형성한다. 이 암후크의 중심 부분에는 슬릿이 있고, 탄성 몸체(31)의 다른 종단에 걸리는 다른 구부림 후크 돌출부(25)가 홀딩 암(23)과 동일한 표면으로 구부러져 형성된다.
상기 탄성 몸체(31)는 폭 5.0 mm, 높이 2.7 mm로 평평하게 된 코일 스프링(coil spring)이다. 상기 스프링의 각 종단에는, 수후크 베이스(11)에 형성된 후크 돌출부(25)와 수후크 주몸체(21)에 걸리는 루프(loop)(32)가 있다.
상기 암후크(4)는 황동판을 구부려 형성되며, 후크 주몸체(21)의 후킹 종단(22)에 걸리기에 충분한 넓이를 가지는 캐치(41)와, 상기 캐치(41)의 양 종단에 수후크 베이스(11)에서와 동일한 종류의 크로(43)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크로(43)는 의류(F)를 뚫고 나가 구부러져서, 의류(F)에 후크가 고정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후킹 장치의 조립체는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몸체(31)는 수후크 베이스(11)의 구부림 후크 돌출부(19) 상에 한 쪽 종단이 걸려서 홈부(12)에 하우징되어 있다. 탄성 몸체(31)의 다른 종단은 수후크 주몸체(21)의 중심에 형성된 구부림 후크 돌출부(25)에 확장되어 걸려 있다. 이 때 수후크 베이스(11)는 홀딩 암(23)이 미끄럼 레일(14)을 잡아주는 것과 같이, 후킹 종단(22)이 형성된 쪽의 반대쪽으로부터 수후크 주몸체(21)에 삽입된다. 이 때 미끄럼 레일(14)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 절편(16)은 위로 구부러져서 수후크(1)가 미끄럼 레일(14)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류(F) 허리의 개구부에 부착된 암후크(4)와 상기 암후크(4)에 걸리는 수후크 주몸체(21)는 탄성 몸체(31)의 탄성에 대항하여 서로 당겨지며, 탄성 몸체는 당겨지고 늘어난다. 이 때, 수후크 주몸체(21)는 수후크 베이스(11)에 대해 이동하며, 이로 인해 의류(F)의 허리 크기는 늘어난다. 한편, 수후크 주몸체(21)를 당기는 힘이 감소하면, 수후크 주몸체(21)는 의류(F)의 허리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의류(F)의 허리 크기는 자동으로 조절된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정 가능한 후킹 장치를 도 8-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조절 가능한 후킹 장치는, 의류(F)의 개방 교차면(openable inter-facing) 부분의 내부면(inward-facing)에 부착된 연장 수후크(elongate male hook)(1)와 동일한 개방 교차면 부분의 외부면(outward-facing)에 부착된 암후크(4)로 이루어진다.
수후크(1)는, 도 8 내지 10에서와 같이, 수후크 베이스(11), 수후크 베이스(11)를 가이드로 사용해서 미끄러지는 수후크 주몸체(21), 및 압축 코일 스프링(31)으로 이루어진다.
수후크 베이스(11)를 만들기 위해, 두께 0.6 mm의 스테인리스 강판을 타출 및 압축시켜 반경 65 mm의 곡면 형상을 생성한다. 수후크 베이스(11)의 볼록면(convex surface)이 부착면에 직면하도록 허리선(waist line)에 길이 방향으로 수후크 베이스를 부착한다. 폭 6.0 mm, 깊이 2 mm의 길이방향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오목 스프링-하우징 홈부(concave spring-housing groove)(12)는 그 개구부의 양측에 미끄럼 레일(14)을 가지고 있어서, 폭 11.5 mm, 홈 길이 25 mm, 두께 2.5 mm, 전체 길이 40 mm의 외부 치수(external profile)를 가진다. 홈부(12)의 바닥 양쪽 종단은 확장되어 요크 크로(yoked claw)(17, 18)를 형성한다. 정지 장치(stopper)(15)는 홈부(12)의 바닥 안쪽의 한 종단에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의 중심으로 구부러진 정지 절편(19)은 그 다른 종단에 세워져 있다.
수후크 몸체(21)를 만들기 위해, 두께 0.6 mm의 스테인리스 강판을 타출하고 압축하여 수후크 베이스(11)의 길이방향 곡률에 맞는 곡면을 생성한다. 홈부(12)의 상부를 덮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29)의 양측에, 미끄럼 레일(14)을 잡아주는 홀딩 암(23)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9)의 미끄럼 배향(sliding orientation)의 한 종단에, 역으로 접혀서 베이스 플레이트(29)의 상단면에 후킹 공간(26)을 생성하는 후킹 절편(hooking piece)(22)를 형성하도록, 후크형(hook-shaped) 절편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종단에는, 정지 장치(15)에 대응하는, 돌출 절편(27)을 형성하는 돌출-절편-형성 절편(protruding-piece-forming pieces)이 형성되어 있다. 후크형 절편과 돌출-절편-형성 절편은 구부러져서 후킹 절편(22)과 돌출 절편(27)을 각각 형성한다.
후크형 절편은 오목 곡면(curved concave surface)의 방향과 반대되게 접힌다. 상기 후크형 절편의 팁(tip)과 베이스 플레이트(29)의 폴더(fold) 사이에, 베이스 플레이트(29)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경사진 계단 부분(28)이 형성되어 있다. 후킹 절편(22)은 베이스 플레이트(29)에 역으로 접혀 있어서 그 기저(root)와 베이스 플레이트(29)의 표면 사이에 후킹 공간(26)이 생성된다. 후킹 공간(26)은 후킹 절편(22)의 팁에서는 간격이 유지되는 반면, 폴더와 팁 사이의 경사진 계단 부분(28)을 따라서는 좁아진다.
돌출 절편(27)은 정지 장치(15)에 대응하도록 돌출-절편-형성 절편을 베이스 플레이트(29)의 뒤로 구부려서 형성한다. 다음에 설명될 압축 코일 스프링의 한 종단은 상기 돌출 절편(27)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압축 코일 스프링(31)은 홈부(12)의 깊이와 폭에 맞도록 되어 있다. 탄성을 가지는 나선형 압축 코일(circular spiral compressed coil) 재료가 직각형 나선(rectangular spiral) 또는 타원형 나선(elliptical spiral)과 같이 평평한 형상으로 만들어 변형한다. 코일 스프링(31)의 한 종단은 수후크 주몸체(21)의 돌출 절편(27)과 접촉하도록 만들고, 다른 종단은 후크 베이스(11)에 세워진 정지 절편(19)에 접촉하도록 만든다. 정지 절편(19)을 아래쪽으로 구부려서, 코일 스프링(31)의 종단을 고정한다.(도 11)
수후크(1)의 구성 요소 사이의 상호 접속은 상술한 각 부분의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더욱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도 8을 참조로 하여 조립의 순서를 설명한다. 수후크 주몸체(21)는 후크 베이스(11)의 정지 절편(19)이 형성된 종단에서 삽입된다. 이 때, 압축 코일 스프링(31)의 한 종단은 돌출부(27)와 접촉하고, 홀딩 암(23)은 미끄럼 레일(14)에 의해 안내되어 수후크 주몸체(21)가 홈부(12)를 덮는다. 이 때 압축 코일 스프링의 다른 종단(31)은 정지 절편(19)의 내부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압축 코일 스프링(31)은 약간 압축되어 변형된다. 다른 종단은 정지 절편(19)(도 11 참조)의 굽은 부분에 잡혀서 고정된다.
수후크(1)와 쌍을 이루는 암후크(4)는, 스테인리스 강판을 문짝 형태(gate shape)로 구부려서 형성한 캐치(41)와 백 플레이트(back plate)(45)로 이루어진다. 캐치(41)는 의류(F)에 부착되도록 관통되고 구부려진다. 백 플레이트(45) 양 종단에는 관통-크로 구멍(penetrating-claw hole)(46)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후크와 암후크로 이루어진 조절 가능한 후킹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도 12에서와 같이, 수후크(1)는 의류(F)의 개방 가능한 교차면 부분의 외부 섬유(A)의 내면 측에 재봉된 반면, 암후크(4)는 의류(F)의 개방 가능한 교차면 부분의 내부 섬유(B)의 외면 측에 재봉되어 있다. 후킹 절편(22)은 암후크(4)에 걸리게 하는데 사용된다. 수후크(1)와 암후크(4)는 의류(F)의 개방 가능한 교차면 부분 각각에 부착되어 있다. 개방 가능한 교차면 부분을 여는 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면, 수후크(1)에 장착된 압축 코일 스프링(31)은 압축되고 변형되며, 힘이 느슨해지면, 압축 코일 스프링(31)은 원래 형태로 돌아간다. 따라서 허리 크기는 사용자에게 가장 적절한 크기로 자동 조절된다.
상기 실시예들로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후킹 장치의 크기와 형태는 그 목적과 용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후크 주몸체(11)와 탄성 몸체(31)는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어 수후크 주몸체(21)의 미끄럼 거리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암후크(4)는 자동 조절 범위를 증가하기 위해 수후크(1)와 동일한 확장 특성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수후크 베이스(11)와 수후크 주몸체(21)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 공간에 하우징된 탄성 몸체(31)는 금속 밴드 재료를 구부려서 주름 형태로 만든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 중 선택할 수 있다. 탄성 몸체(31)는, 사용자의 허리 크기에 맞게 의류(F)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과 의류의 사용 기간이 지날 때까지 충분한 내구력을 가지는 한, 어떠한 재료로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 고무로 만들어진 탄성 재료 또는 디스크 스프링(disc spring)과 동일한 단면 형태를 가지는 금속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황동 또는 스테인리스 금속판 뿐만 아니라 다른 금속 재료 또는 합성수지 재료로 수후크 베이스(11)와 수후크 주몸체(21)를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의류(F)의 개구부에 후킹 장치를 부착하는 수단으로서는, 재봉 수단 또는 크로를 대신하여 기존의 다른 부착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합성수지 후킹 장치의 경우에는, 의류(F)의 개구부에 증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의류(F)의 개구부와 함께, 수후크 베이스(11)에서 돌출된 얇은 텅을 재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후킹 장치는, 사용자의 복부 압력에 따라 의류의 개구부 종단의 위치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수단을 가지는 후킹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후킹 장치가 의류에 재봉되거나 상기 의류를 입을 때 섬유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의류에 후킹 장치를 재봉할 때 필요한 공정 수를 감소시켜 재봉 비용을 감소시킨다.

Claims (7)

  1. 의류(F)의 개구부 한 쪽에 부착된 수후크(1)와 개구부의 다른 쪽에 부착되어 상기 수후크(1)에 걸리거나 풀릴 수 있도록 된 암후크(4)로 이루어지는 후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후크(1)는,
    후술할 탄성 몸체(31)를 하우징하는 홈부(1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후크 베이스(11),
    자신과 상기 수후크 베이스(11) 사이에 후술할 탄성 몸체(31)를 하우징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암후크(4)에 걸리는 수단을 제공하며, 상기 수후크 베이스(11)를 가이드 부재로 사용하는 수후크 주몸체(21), 및
    압력 또는 인장에 의해 상기 수후크 베이스(11)에 대해 수후크 주몸체(21)의 미끄럼 이동을 탄력적으로 제어하도록, 상기 수후크 베이스(11)에 하우징된 탄성 몸체(3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킹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수후크 베이스(11)의 양쪽 종단에 미끄럼 레일(14)이 있고,
    상기 수후크 주몸체(21)의 양쪽 종단은 한 쪽 표면 뒤로 접혀서, 상기 미끄럼 레일(14)이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기 미끄럼 레일(14)을 잡아주는 홀딩 암(23)을 형성하고,
    상기 수후크 베이스(11)와 수후크 주몸체(21)는 상기 미끄럼 레일(14)을 잡아주는 상기 홀딩 암(23)에서 서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서로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부분들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막아주는 정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킹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수후크 베이스(11)와 수후크 주몸체(21)에 정지 돌출부(15)와 누름 돌출부(19)가 각각 설치되어, 하우징 공간 내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수후크 베이스(11)에 대해서 상기 수후크 주몸체(21)의 미끄럼 이동을 탄력적으로 제어하도록, 상기 홈부(12)에 하우징된 탄성 몸체(31)의 양쪽 종단은 상기 정지 돌출부(15)와 누름 돌출부(19)에 의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킹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에서,
    상기 탄성 몸체(31)는 상기 홈부에 하우징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주름 형태로 금속 밴드 재료를 구부려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킹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에서,
    상기 탄성 몸체(31)는 상기 홈부(12)에 하우징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킹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에서,
    상기 수후크(1)와 상기 암후크(4)는 허리선을 따라 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킹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탄성 몸체(31)의 한 종단은, 후킹 절편(22)이 형성된 수후크 주몸체(21)의 종단에 반대되는 종단의 후면에 형성된 돌출 절편(27)과 접촉하고,
    나머지 다른 종단은 수후크 베이스(11)로부터 세워진 정지 절편(19)의 굽은 부분에 의해서 잡혀서 고정되며,
    후킹 절편(22)의 후킹 공간(26)은 후킹 절편(22)의 팁과 수후크 주몸체(21) 사이에서 간격을 유지하는 반면, 후킹 절편(22)의 폴더와 팁 사이에서는 경사진 계단 부분(28)을 따라서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킹 장치.
KR1020000001351A 1999-09-17 2000-01-12 후킹 장치 KR1006602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63794 1999-09-17
JP26379499A JP3360256B2 (ja) 1999-09-17 1999-09-17 調節用鉤ホ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550A true KR20010029550A (ko) 2001-04-06
KR100660271B1 KR100660271B1 (ko) 2006-12-20

Family

ID=17394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351A KR100660271B1 (ko) 1999-09-17 2000-01-12 후킹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56842B1 (ko)
EP (1) EP1084640A3 (ko)
JP (1) JP3360256B2 (ko)
KR (1) KR100660271B1 (ko)
CN (1) CN1141051C (ko)
HK (1) HK1034169A1 (ko)
TW (1) TW41743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662A (ko) * 2000-02-28 2000-05-06 이해영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
KR100713560B1 (ko) * 2005-09-22 2007-05-04 윤정식 신축 가능한 허릿단이 구비된 바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O20010593A1 (it) * 2001-09-26 2003-03-26 Roberto Montagna Dispositivo di chiusura di articoli, in particolare capi di abbigliamento e pelletteria in genere
KR100687044B1 (ko) 2005-03-07 2007-02-26 손순용 허리길이 자동 조절구를 갖춘 의복
JP4598110B2 (ja) * 2007-11-15 2010-12-15 モリト株式会社 調節用鉤ホック
JP2009213871A (ja) * 2008-02-15 2009-09-24 Morito Co Ltd 調節用鉤ホック
KR101065190B1 (ko) 2009-08-14 2011-09-16 (주)대양해드림 의류용 후킹장치
CN102045971B (zh) * 2009-10-22 2012-07-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
KR200489091Y1 (ko) * 2017-07-20 2019-04-29 이경근 신축 가능한 의류용 후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9187C (de) * 1920-03-02 Johannes Linnemann Schieberverschluss fuer Bekleidungsstuecke
GB690396A (en) * 1950-11-20 1953-04-22 Philip Herbert Stone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asteners for wearing apparel
US3208124A (en) * 1960-08-18 1965-09-28 Rossi Anacleto Spring buckle
CH419691A (fr) * 1965-07-05 1966-08-31 Baumgartner S A F Boucle pour lien
DE3628771A1 (de) * 1986-08-25 1988-03-10 Schaeffer Scovill Verbindung Verschluss fuer bunde oder dergleichen
JPH0626168Y2 (ja) * 1988-06-28 1994-07-20 吉田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662A (ko) * 2000-02-28 2000-05-06 이해영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
KR100713560B1 (ko) * 2005-09-22 2007-05-04 윤정식 신축 가능한 허릿단이 구비된 바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87010A (ja) 2001-04-03
KR100660271B1 (ko) 2006-12-20
EP1084640A2 (en) 2001-03-21
US6256842B1 (en) 2001-07-10
CN1141051C (zh) 2004-03-10
CN1288698A (zh) 2001-03-28
EP1084640A3 (en) 2002-09-25
JP3360256B2 (ja) 2002-12-24
HK1034169A1 (en) 2001-10-19
TW417438U (en) 2001-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271B1 (ko) 후킹 장치
US20090235435A1 (en) Tensioning device for clothing straps
KR0124139B1 (ko) 벨트
CA2137270A1 (en) Device for holding up trousers, skirts, shorts or similar
KR20060105636A (ko) 웨이스트 조절용 어저스터
KR200444929Y1 (ko) 허리 사이즈 조절 액세서리 및 그를 구비한 하의
WO2017150776A1 (ko)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CN114828681A (zh) 用于扣紧和松开衣服的单轨滑轨上的可滑动纽扣
US3828370A (en) Band adjusting device for garments
KR200427532Y1 (ko) 탄력 신축구조를 가진 허리 벨트용 버클
JPH0130883Y2 (ko)
US11272763B2 (en) Magnetic clasp system
US2106561A (en) Hair clip
JP3360248B2 (ja) ホック
JP3124744U (ja) 総ゴムパンツのウエスト調節構造
KR20090121570A (ko) 바지의 허리 사이즈를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후크장치
JP3623782B2 (ja) カーテン吊り下げ器具及びこれを用いたカーテン
JP3561879B2 (ja) 調整用鉤ホック
US2142645A (en) Hose supporter
JPH11247012A (ja) ズボン等のウェストサイズのアジャスター
EP1024313B1 (en) Cord stopper
WO2018008843A1 (ko) 혁대 길이 자동 조절장치
KR200165804Y1 (ko)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
US2134224A (en) Clasp for garment supporters and the like
CN218790738U (zh) 一种带有线条修饰的衣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