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5667A -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발포 수지 성형물 - Google Patents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발포 수지 성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5667A
KR20010025667A KR1020010002358A KR20010002358A KR20010025667A KR 20010025667 A KR20010025667 A KR 20010025667A KR 1020010002358 A KR1020010002358 A KR 1020010002358A KR 20010002358 A KR20010002358 A KR 20010002358A KR 20010025667 A KR20010025667 A KR 20010025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ed resin
resin
waste synthetic
foamed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선용
Original Assignee
이상억
대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억, 대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상억
Priority to KR1020010002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5667A/ko
Publication of KR20010025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66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쓰레기 및 산업 쓰레기로 폐기되는 EVA 또는 PP 또는 PE 소재로 된 폐합성수지 스크랩을 5㎜이내로 분쇄한 발포 수지 조각물을 주재료로 하여 왕겨 : 20 ~ 25중량%(또는 왕겨 제외), 접착제 : 15 ~ 20중량%의 비율로 믹서에서 혼합한 배합물을 금형에 넣은 후 프레스로 압축시킨 것과, 상기 발포 수지 성형물의 보강재로 인장력을 강화하기 위해 메시형 철망을 금형에 넣은 배합물에 내장시켜서 된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발포 수지 성형물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 공사현장의 전기아연도금강판으로 된 울타리용 패널 대용 및 방음, 단열, 보온, 방습을 요하는 경량벽체, 아이스 박스 등에 사용되는 발포 스티롤 수지(일명:스티로폼)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제품의 무게를 경량화 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하며, 소음을 차단할 수 있게 하고, 특히,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하므로 제작비 및 구입비를 저렴하게 하면서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발포 수지 성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발포 수지 성형물{Foamed resin molding composition using various wasted plastics}
본 발명은 일반 쓰레기 및 산업 쓰레기로 폐기되는 EVA, PE, PP 소재로 된 폐합성수지 스크랩을 이용하여 건축물 공사현장의 관리와 보안상의 필요로 인해 설치되는 철판으로 된 울타리용 패널 대용 및 방음, 단열, 보온, 방습을 필요로 하는 경량벽체와 아이스 박스 등에 사용되는 발포 스티롤 수지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발포 수지 성형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물공사현장의 둘레에 설치되는 울타리용 패널은 일반적으로 0.8 ~ 1.2㎜ 두께의 철판에 전기아연도금한 강판(일명:EGI)을 이용하여 보강을 위해 요철부가 형성되게 절곡하여 기둥에 부착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강판으로 된 울타리용 패널은 외부 충격에 약하고, 소음방지효과가 미흡하며, 제품의 무게가 중량이어서 시공에 어려움이 발생되고, 제작비 및 구입비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소음공해가 심한 도시구간 공사현장에서는 별도로 고가의 방음벽 패널을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전기아연도금강판의 부식방지를 위해 폐인팅처리하여 사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합성수지 제품은 일반적으로 원료를 용융하여 금형에 의해 압출 또는 사출하는 방식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나, 건축물 공사현장의 울타리용 패널또는 콘크리트 거푸집과 같은 크기가 비교적 큰 제품은 수축 또는 팽창이 발생하여 제품완성시 비틀림 현상에 의해 제품의 변형을 초래하였고, 제품의 수명은 장구하나 무게가 중량이고, 원료비 및 제작비, 구입비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발포 수지 성형물로는 방음, 방습, 보온 및 단열 등을 목적으로 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발포 스티롤(Styrol) 수지(일명:스티로폼(Styrofoam))가 있으나, 이는 에틸벤젠을 탈수소하여 만든 특이한 냄새를 가진 무색의 액체인 스티롤의 중합체로 에틸렌과 벤젠에 발포제가 첨가된 원료를 금형에 투입한 후 금형에 서 원료를 일체로 발포시킨 합성수지 성형물이기 때문에 원료비와 구입비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외부충격에 약하여 용이하게 조각 파손이 이루어지므로 발포 스티롤 수지 성형품만으로는 건축물 공사현장의 울타리용 패널에 사용이 불가능하고, 폐기된 것은 재생이 불가능하여 소각처리로 인해 환경공해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일반 쓰레기 및 산업 쓰레기로 폐기되는 EVA, PE, PP 소재로 된 폐합성수지 스크랩을 이용하여 5㎜이내의 크기로 분쇄시키되, 기발포 합성수지인 EVA는 원재료 자체를 사용하고, 기발포되지 않은 PE, PP는 수지덩어리로 형성시키기 위한 용융과정에서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시킨 후 냉각하여서 분쇄시킨 발포 수지 조각물을 주재료로 하여 성형물의 사용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왕겨와 필수 배합물인 접착제를 혼합하여서 된 배합물을 소정의 제품을 성형시키기 위한 금형에 넣은 후 프레스로 압축시킨 것으로 상기한 공정에 건축물 공사현장의 울타리용 패널에 사용할 때에는 메시형 철망을 배합물에 내장하여 인장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발포 수지 성형물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 공사현장의 전기아연도금강판으로 된 울타리용 패널 대용과 방음, 단열, 보온, 방습을 필요로 하는 경량벽체, 아이스 박스 등에 사용되는 발포 스티롤 수지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제품의 무게를 경량화 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게 하며,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으로 제작비 및 구입비를 저렴하게 하면서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발포 수지 성형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배합물의 주재료로 일반 쓰레기 및 산업 쓰레기로 폐기되는 합성수지 소재로서, 충격 흡수를 요하는 운동화, 작업화, 캐주얼화 등의 신발창이나 어린이가 야외에서 간단하게 공을 주고받는 놀이를 할 수 있는 캐치볼의 혼합재료로 사용되고, 주택공사장의 경량골재인 기포 콘크리트의 혼합재료 등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방음, 방전, 방습효과가 우수하고, 무게가 경량이며, 내충격성 및 흡수성, 탄성, 유연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진 발포 합성수지인 EVA(ethylene-vinylacetate copolymer)를 소재로 한 폐합성수지 스크랩과, 각종 용기, 전선피복, 파이프, 섬유, 라이닝, 포장 재료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전기절연성, 내수성, 방습성 및 방한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진 PE (polyethylene)와 PP(polypropylene)를 소재로 한 폐합성수지 스크랩을 이용하되, 이들 소재에 내충격성과 흡수성, 탄성, 유연성이 부여되도록 폐합성수지 스크랩을 수거하여 수지덩어리로 형성시키기 위한 용융과정에서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시킨 후 냉각시킨다.
이러한 상기 EVA, PE, PP 소재로 된 폐합성수지 스크랩의 발포 수지덩어리를 분쇄기에서 5㎜이내의 크기로 분쇄시킨다. 분쇄된 발포수지 조각물을 주재료로 하여 성형물의 사용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왕겨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고, 경도와 강도가 요구되는 성형물에는 왕겨 : 20 ~ 25중량%를 혼합하고, 상기 발포 수지 조각물 또는 발포 수지 조각물과 왕겨와의 결합력을 유지하기 위해 접착제 : 15 ~ 20중량%의 비율로 믹서에서 혼합한다. 이때, 상기 재료중 왕겨 대용으로 톱밥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믹서에서 혼합된 배합물을 소정의 제품을 성형시키기 위한 금형에 넣고 프레스로 5000㎏/㎠의 압력을 가하여 배합물을 압축시키면 성형물이 완성된다.
이때, 인장력이 요구되는 성형물은 배합물을 금형에 넣을 때 배합물에 메시형 철망을 내장한다.
소정의 성형물이 완성되면 금형에서 성형물을 외부로 꺼내어 공랭식 또는 수냉식 및 드라이를 이용하여 건조시킨다.
그리고 사용용도에 따라 금형에 150 ~ 180℃의 열을 가하여 성형물의 표면만을 용융시켜서 면을 매끄럽게 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공정은 종래 사용하던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왕겨와 접착제의 수치를 한정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왕겨는 경도와 강도를 높이기 위해 요구되는 가격이 저렴한 재료이며, 발포 수지 조각물을 주재료로 할 때 25중량% 이상에서는 성형물이 잘 깨어져 내충격성이 약하므로 내충격성을 유지하기 위한 배합비가 최소 20중량% 이상 요구되므로 20 ~ 25중량%로 제한하였다.
접착제는 발포 수지 조각물 또는 발포 수지 조각물과 왕겨 또는 발포 수지 조각물과 왕겨 및 메시형 철망의 결합력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혼합물이며, 15중량%이하에서는 결합력의 유지를 저하시키게 되고, 20중량% 이상이 되면 결합력의 유지는 우수하나 재료의 가격이 상승하므로 이를 15 ~ 20중량%로 제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EVA 소재로 된 폐합성수지 스크랩을 분쇄기에서 5㎜이내의 크기로 분쇄시키고, 분쇄된 EVA 발포 수지 조각물를 주재료로 하여 왕겨 : 20 ~ 25중량%, 접착제 : 15 ~ 20중량%의 비율로 믹서에서 혼합한 배합물을 금형에 넣은 후 프레스로 5000㎏/㎠의 압력을 가하여 배합물을 압축시킨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같은 공정에 성형물의 인장력을 강화하기 위해 배합물을 금형에 넣을 때 보강재로 메시형 철망을 배합물에 내장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같은 공정에 경도와 강도가 요구되지 않는 성형물에는 배합물중 왕겨를 포함시키지 않는다.
(실시예 4)
PE 소재로 된 폐합성수지 스크랩을 수지덩어리로 형성시키기 위한 용융과정에서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시킨 후 냉각시킨다. 냉각된 PE 발포 수지덩어리를 분쇄기에서 5㎜이내의 크기로 분쇄시키고, 분쇄된 PE 발포 수지 조각물를 주재료로 하여 왕겨 : 20 ~ 25중량%, 접착제 : 15 ~ 20중량%의 비율로 믹서에서 혼합한 배합물을 금형에 넣은 후 프레스로 5000㎏/㎠의 압력을 가하여 배합물을 압축시킨다.
(실시예 5)
실시예 4와 같은 공정에 성형물의 인장력을 강화하기 위해 배합물을 금형에 넣을 때 보강재로 메시형 철망을 배합물에 내장한다.
(실시예 6)
실시예 4와 같은 공정에 경도와 강도가 요구되지 않는 성형물에는 배합물중 왕겨를 포함시키지 않는다.
(실시예 7)
PP 소재로 된 폐합성수지 스크랩을 수지덩어리로 형성시키기 위한 용융과정에서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시킨 후 냉각시킨다. 냉각된 PP 발포 수지덩어리를 분쇄기에서 5㎜이내의 크기로 분쇄시키고, 분쇄된 PP 발포 수지 조각물를 주재료로 하여 왕겨 : 20 ~ 25중량%, 접착제 : 15 ~ 20중량%의 비율로 믹서에서 혼합한 배합물을 금형에 넣은 후 프레스로 5000㎏/㎠의 압력을 가하여 배합물을 압축시킨다.
(실시예 8)
실시예 7과 같은 공정에 성형물의 인장력을 강화하기 위해 배합물을 금형에 넣을 때 보강재로 메시형 철망을 배합물에 내장한다.
(실시예 9)
실시예 7과 같은 공정에 경도와 강도가 요구되지 않는 성형물에는 배합물중 왕겨를 포함시키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 쓰레기 및 산업 쓰레기로 폐기되는 EVA, PE, PP 소재로 된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발포 수지 조각물에 의해 내충격성과 흡수성, 탄성, 유연성이 부여되고, 왕겨에 의해 경도 및 강도가 강화되며, 메시형 철망에 의해 발포 수지 성형물의 인장력이 강화되고, 접착제에 의해 발포 수지 조각물과 왕겨 및 배합물에 내장되는 메시형 철망의 결합력을 유지시키게 되며, 주재료로 배합된 발포 수지 조각물의 압축 성형에 의해 수축이나 팽창등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내충격성과 흡수성 및 내구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주재료인 발포 수지 조각물에 왕겨와 접착제를 혼합한 배합물에 메시형 철망을 내장하여 압축 성형할 경우 건축물 공사현장에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전기아연도금강판으로 된 울타리용 패널 대용으로 사용하여 내충격성 및 부식이 발생되지 않고, 공사현장 내부의 소음을 차단시킬 수가 있는 경도와 강도 및 인장력이 부여된 울타리용 패널을 제공할 수가 있고, 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거푸집 대용으로 사용할 수가 있으며, 주재료인 발포 수지 조각물에 왕겨와 접착제를 혼합한 배합물이나 주재료인 발포 수지 조각물에 접착제를 혼합한 배합물을 압축 성형할 경우 방음, 단열, 보온, 방습을 필요로 하는 경량벽체, 아이스 박스 등에 사용되는 발포 스티롤 수지 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일반 쓰레기 및 산업 폐기물로 폐기되는 EVA, PE, PP 소재로 된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하므로 제작비 및 구입비를 저렴하게 하면서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발포 수지 성형물을 제공함과 동시에 수명을 장구하게 하고, 환경공해유발을 억제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4)

  1. 폐합성수지 스크랩을 5㎜이내로 분쇄한 발포 수지 조각물을 주재료로 하여 왕겨 : 20 ~ 25 중량%, 접착제 : 15 ~ 20중량%의 비율로 믹서에서 혼합한 배합물을 금형에 넣은 후 프레스로 압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발포 수지 성형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보강재로 메시형 철망이 금형에 넣은 배합물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발포 수지 성형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배합물의 재료로 왕겨가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발포 수지 성형물.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주재료인 발포 수지 조각물은 EVA, PE, PP 중에서 선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발포 수지 성형물.
KR1020010002358A 2001-01-16 2001-01-16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발포 수지 성형물 KR20010025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358A KR20010025667A (ko) 2001-01-16 2001-01-16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발포 수지 성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358A KR20010025667A (ko) 2001-01-16 2001-01-16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발포 수지 성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667A true KR20010025667A (ko) 2001-04-06

Family

ID=19704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358A KR20010025667A (ko) 2001-01-16 2001-01-16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발포 수지 성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566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475A (ko) * 2001-10-05 2001-11-09 이효진 다기능성 가드레일 구조
KR100551855B1 (ko) * 2002-03-15 2006-02-13 주식회사 대동그린산업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 및 단열용 건자재와 그 제조방법
KR100877872B1 (ko) * 2007-01-09 2009-01-13 한길성 수지 스크랩을 이용한 재생수지 제조방법
CN115257011A (zh) * 2022-07-22 2022-11-0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泡沫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7283A (ko) * 1981-11-11 1983-10-19 박노양 인조목재(人造木材)의 제조방법
JPH04108835A (ja) * 1990-08-29 1992-04-09 Hitachi Chem Co Ltd 再生発泡性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950005476A (ko) * 1993-08-12 1995-03-20 이헌중 폐pe수지와 톱밥을 이용한 대용 목재 및 합판의 제법
KR970006379A (ko) * 1995-07-11 1997-02-19 김준오 셀룰로오즈/플라스틱복합재료 (cellulosies/plastics composites, CPC) 의 제조방법, 장치 및 그 물건
KR0168395B1 (ko) * 1994-08-31 1999-02-18 차순희 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문
JPH11151731A (ja) * 1997-11-20 1999-06-08 Sekisui Plastics Co Ltd ネット入り発泡樹脂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74077A (ko) * 1998-03-06 1999-10-05 한덕환 왕겨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49620A (ko) * 2000-04-18 2000-08-05 윤길우 목분 함유 발포 합성수지재 건축자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7283A (ko) * 1981-11-11 1983-10-19 박노양 인조목재(人造木材)의 제조방법
JPH04108835A (ja) * 1990-08-29 1992-04-09 Hitachi Chem Co Ltd 再生発泡性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950005476A (ko) * 1993-08-12 1995-03-20 이헌중 폐pe수지와 톱밥을 이용한 대용 목재 및 합판의 제법
KR0168395B1 (ko) * 1994-08-31 1999-02-18 차순희 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문
KR970006379A (ko) * 1995-07-11 1997-02-19 김준오 셀룰로오즈/플라스틱복합재료 (cellulosies/plastics composites, CPC) 의 제조방법, 장치 및 그 물건
JPH11151731A (ja) * 1997-11-20 1999-06-08 Sekisui Plastics Co Ltd ネット入り発泡樹脂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74077A (ko) * 1998-03-06 1999-10-05 한덕환 왕겨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49620A (ko) * 2000-04-18 2000-08-05 윤길우 목분 함유 발포 합성수지재 건축자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475A (ko) * 2001-10-05 2001-11-09 이효진 다기능성 가드레일 구조
KR100551855B1 (ko) * 2002-03-15 2006-02-13 주식회사 대동그린산업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 및 단열용 건자재와 그 제조방법
KR100877872B1 (ko) * 2007-01-09 2009-01-13 한길성 수지 스크랩을 이용한 재생수지 제조방법
CN115257011A (zh) * 2022-07-22 2022-11-0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泡沫材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54825A1 (en) Method of making structural members using waste and recycled plastics
AU6313596A (en) A process for manufacturing, by molding non-resinous organic and inorganic compositions
JP2013543836A (ja) 耐火性発泡スチロール廃棄物のリサイクル建築資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25667A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발포 수지 성형물
KR100241706B1 (ko) 폐기물을 이용한 구조물성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4572C (zh) 废旧塑料和粉煤灰复合制品的模压生产方法
CN1050392A (zh) 废旧橡胶、废旧塑料、木粉组合物及其制造方法
KR100446710B1 (ko) 합성목재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0232741B1 (ko) 재활용 경량 복합 단열골재
KR20050017280A (ko) 여러종류가 혼합된 폐플라스틱을 재생하는 제조방법과이를 이용한 혼합폐플라스틱판재
KR100648710B1 (ko) 플라스틱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성형품
KR100381693B1 (ko) 폐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재생방법 및 그 재생품
WO2011135388A2 (en) Method for producing building products and the product formed by the method
EP1598164B1 (en) Polymeric foam extrusion process
KR960012431B1 (ko) 중간에 발포층이 형성된 합성수지 판넬의 제조방법
KR100349180B1 (ko) 폐플라스틱을이용한바닥재및건축벽재용성형물및그제조방법
KR100242713B1 (ko) 재활용 거푸집의 제조방법
JP5082174B2 (ja) プラスチック複合パネル
KR101409611B1 (ko) 제지슬러지 성형체의 제조방법
KR20030062465A (ko) 폐스치로폴,폐경질우레탄폼 등을 이용한 단열재 제조 및그 재생장치
KR100454219B1 (ko) 폐우레탄을 이용한 흡음제 제작방법
KR100687621B1 (ko) 건축용 문양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86037A (ko) 목재 합판 대체용 재활용 플라스틱판재의 제조 방법 및 그판재
KR950008413A (ko) 폐플라스틱콘크리트복합재료
KR20000037539A (ko) 제철소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성형재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