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395B1 - 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문 - Google Patents

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395B1
KR0168395B1 KR1019940021726A KR19940021726A KR0168395B1 KR 0168395 B1 KR0168395 B1 KR 0168395B1 KR 1019940021726 A KR1019940021726 A KR 1019940021726A KR 19940021726 A KR19940021726 A KR 19940021726A KR 0168395 B1 KR0168395 B1 KR 0168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wood
sheet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990A (ko
Inventor
김춘일
Original Assignee
차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순희 filed Critical 차순희
Priority to KR1019940021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8395B1/ko
Publication of KR960007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3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23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of foam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2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of cork; of wood or similar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42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with a fire retardant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 E06B2003/7061Wooden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Special W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문에 관한 것으로, 대량생산에 특히 용이한 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문의 제조방법은 목재로 프레임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만들어진 프레임에 골조의 역할을 하는 메쉬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메쉬가 장착된 프레임의 양면에 문의 표면을 형성하는 시트를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의 양면에 접착된 시트와 프레임 사이의 내부공간에 우레탄 발포재와 목분의 혼합물을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우레탄 발포재와 목분의 혼합물이 투입된 프레임을 금형에 넣고 상기 우레탄 발포재를 발포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문은 목재로 된 장방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골조의 역할을 하는 메쉬와, 상기 프레임의 양면에 부착되어 문의 외면을 형성하는 시트와, 상기 프레임과 시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목분과 함께 충진되어 발포된 우레탄발포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문
본 발명은 문(Door)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레탄 발포재를 이용하여 동일 형상의 문을 대량생산가능하도록 한 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문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의 문은 통상 목재를 이용하여 서로 조립하여 생산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문의 경우에, 원재료인 나무를 원하는 치수로 절단가공하고, 절단 가공된 각각의 부재들을 서로 조립함으로서 완성된다.
이러한 방법은, 많은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대량 생산에는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문을 제조하는데 많은 시간과 공정이 필요하다. 또한 문의 표면에 다양한 문양이 들어 있는 경우에, 이러한 문양을 나무에 직접 조작하는 것은 상품적으로는 가치가 있으나, 이러한 문양을 직접 수작업에 의하여 깎아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특히 문의 표면에 원하는 문양을 구비하면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한 문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문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으로,
(a)는 목재로 된 프레임을 보인 사시도.
(b)는 목재로된 프레임에 메쉬를 장착한 것을 보인 사시도.
(c)는 목재로된 프레임의 일면에 시트를 부착한 것을 보인 단면도.
(d)는 프레임의 내부에 우레탄발포재와 목분의 혼합물을 충진시킨 상태를 보인 단면도.
(e)는 우레탄발포재 혼합물이 충진된 프레임을 금형 사이에 넣어 우레탄발포재를 발포시키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1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0a : 모서리
10b : 요부 12 : 구멍
14 : 메쉬 16 : 시트
18 : 우레탄 발포재와 목분의 혼합물 24, 26 : 금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문의 제조방법은 목재로 프레임을 만드는 단게와, 상기 단계에서 만들어진 프레임에 골조의 역할을 하는 메쉬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메쉬가 장착된 프레임의 양면에 문의 표면을 형성하는 시트를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의 양면에 접착된 시트와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우레탄 발포재와 목분의 혼합물을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우레탄 발포재와 목분의 혼합물이 투입된 프레임을 금형에 넣고 상기 우레탄 발포재를 발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문은 목재로 된 장방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골조의 역할을 하는 메쉬와, 상기 프레임의 양면에 부착되어 문의 외면을 형성하는 시트와, 상기 프레임과 시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목분과 함께 충진되어 발포된 우레탄발포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문은, 외형적으로 동일한 문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방음 단열 등에 있어서도 우수한 특성을 구비한다. 또한 경량이고 화재에 강한 문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은 이러한 문(Door)의 제조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건축용 패널, 회의 테이블의 탁자의 상부등과 같이 판형상의 부재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먼저 나무로 프레임(10)을 만드는 공정이 진행된다. 즉, 제1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규격의 프레임(10)을 나무로 만드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10)은 기존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다만 후술하는 중앙지지매쉬(14)를 용이하게 중앙부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프레임의 4개의 면을 서로 결합함에 있어서, 서로 착탈가능한 구조로 하는 것이 편리하다. 즉, 각각의 면의 모서리(10a)를 못 등과 같은 수단으로 고정시켜도 되지만, 서로 마주보는 면에 요철구조를 성형하여, 단순히 결합시킴으로서 완성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에는 후술하는 발포 공정에서 발생되는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적정수의 구멍(12)을 성형한다.
그리고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을 형성하는 부재의 내면에는 그 중앙부에 요부(10b)가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요부(10b)에는 철사등으로 성형되는 매쉬(14)가 중앙부에 삽입지지된다. 이러한 메쉬(1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문이 완성되었을 때, 문의 중심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골조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이러한 매쉬(14)를 철사등으로 성형되는 철망으로 성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문에서 필요한 일정한 외력에 견딜 수 있는 재료, 즉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 상기 중앙 지지메쉬(14)를 플라스틱 사출성형함으로서, 공정을 더욱 간단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프레임(10)에 메쉬(14)를 삽입하는 공정은, 프레임(10)의 일면을 조립하지 않고, 상기 메쉬(14)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면에 성형된 요부(10b)에 삽입한 후, 일면을 결합함으로서 완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의 공정에 의하여 매쉬(14)가 프레임의 중심부에 넣어진 프레임(10)이 제조되었다.
다음에는, 완성되는 문의 양표면으로 보이게 되는 표면부를 위한 공정을 실시한다. 이러한 공정은 상기 1차 완성된 프레임(10)의 일면에, 원하는 색상 또는 무늬가 있는 시트(16)를 접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시트(16)는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이나 모양이 있는 것을 선택할 수 있으며, 현재 이러한 많은 재질의 시트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그리고, 문의 내부에 들어가는 재질이 우레탄 발포재임을 감안하면, 우레탄과의 접촉성이 좋은 우레탄 포밍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이러한 우레탄 발포시트 역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다.
문의 일측에 상기 우레탄 포밍시트(16)를 접착하고 난 다음에는 문의 방향을 돌려서, 문의 내부에 우레탄 발포재와 목분(木粉)을 혼합한 혼합물(18)을 넣는다. 혼합물(18)은 현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우레탄 발포재와 톱밥과 같은 목분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한 것이다. 여기서 우레탄 발포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발포 공정을 위하여 필수적인 것이지만, 목분은 다른 적당한 재료로 대체 가능하다. 예를들면, 재생을 위한 재생용 종이를 가루형상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단열성을 구비한 다른 건축자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혼합물(18)에는 화재의 경우를 고려하여, 난연재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혼합물(18)을 문의 일측에 시트(16)로 접착한 문의 내부에 충진시킨다.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포밍시트(16)를 나머지 일측에 접착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는 내부에 들어가서 발포하는 물질이 우레탄 발포재임을 감안하여 우레탄과 접착력이 우수한 우레탄 포밍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혼합물(18)을 문의 시트(16)의 내부 속으로 넣는 것은 양면의 시트(16)를 모두 접착한 후에 프레임의 구멍(12)을 통하여 넣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공정에 의하여 만들어진 문은 원하는 형상의 모양 및 무늬가 있는 상하부 금형(24, 26) 사이에 들어가서 일정한 온도로 발포시키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온도는 120 - 140℃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문의 시트(16)의 내부에 있는 혼합물(18)은 발포되는데, 이러한 발포공정에서 생기는 기체는 프레임(10)의 측면에 성형된 구멍(12)으로 통하여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일정시간, 즉 발포가 충분해지면, 상기 금형을 제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문을 완성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하여 완성되는 문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먼저, 외형적으로 완전히 동일한 문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잇점은 아파트와 같은 대형 건축물에 설치되는 문의 경우에는 더욱 유리한 점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는 내부의 우레탄 발포재로 인하여 방음 및 단열에 있어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통상 목재로 만들어지는 문의 경우와 대비하여 보면, 방음 및 단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건축상의 잇점을 물론이고, 에너지 절약의 측면에서도 상당히 우수한 잇점을 가진다.
또한 목재로 만들어지는 통상의 문과 비교하여 가볍고 튼튼하며, 혼합물에 난연재를 첨가할 경우, 화재의 경우에 특히 유리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도면에 도시된 문의 제조 방법만을 도시한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건축용자재인 패널을 제조함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의한 공법을 그대로 전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고, 회의용 탁자의 상부 플레이트 부분 역시 본 발명에 의한 공정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2)

  1. 목재로 프레임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만들어진 프레임에 골조의 역할을 하는 메쉬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메쉬가 장착된 프레임의 양면에 문의 표면을 형성하는 시트를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의 양면에 접착된 시트와 프레임 사이의 내부공간에 우레탄 발포재와 목분의 혼합물을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우레탄 발포재와 목분의 혼합물이 투입된 프레임을 원하는 형상의 요철무늬가 구비된 금형에 넣고 상기 우레탄 발포재를 발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제조방법.
  2. 목재로 된 장방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골조의 역할을 하는 메쉬와, 상기 프레임의 양면에 부착되어 문의 외면을 형성하는 시트와, 상기 프레임과 시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목분과 함께 충진되어 발포된 우레탄발포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
KR1019940021726A 1994-08-31 1994-08-31 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문 KR0168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726A KR0168395B1 (ko) 1994-08-31 1994-08-31 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726A KR0168395B1 (ko) 1994-08-31 1994-08-31 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990A KR960007990A (ko) 1996-03-22
KR0168395B1 true KR0168395B1 (ko) 1999-02-18

Family

ID=19391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726A KR0168395B1 (ko) 1994-08-31 1994-08-31 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83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667A (ko) * 2001-01-16 2001-04-06 이상억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발포 수지 성형물
KR100591722B1 (ko) * 2002-04-29 2006-06-22 강성태 방화용쉬트를 부착한 방화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225B1 (ko) * 2001-05-14 2005-06-23 주식회사 케이에스내츄럴 볏짚과 우레탄을 이용한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060140B1 (ko) 2018-02-08 2020-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름 접합형 열교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667A (ko) * 2001-01-16 2001-04-06 이상억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발포 수지 성형물
KR100591722B1 (ko) * 2002-04-29 2006-06-22 강성태 방화용쉬트를 부착한 방화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990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97633A (en) Structural core
CA2189090C (en) Compression molded door assembly
US5789057A (en) Sheet blow molding and molding method
JPH06158946A (ja) ドア組立体
KR0168395B1 (ko) 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문
KR101842934B1 (ko) 도어용 보드
KR20030030642A (ko) 건축용 경량 요철 마감블럭과 그 제조방법
KR100751548B1 (ko) 도어 및 도어세트
JPH1170604A (ja) 成形ボード材料及びボード成形方法
KR102438848B1 (ko) 건축용 단열판넬
KR920009315B1 (ko) 조각목재를 이용한 조립식벽체의 제조방법
JP3266834B2 (ja) 建築用パネル及び建築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2862499B2 (ja) ツーバイフォー住宅用壁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446388Y1 (ko) 조립틀이 구비되는 우레탄 벽체판넬
JPH11310991A (ja) 発泡セラミック複合ボード
KR100480202B1 (ko) 방음 도어
JPH0623643Y2 (ja) 遮音性木質系床材
KR20010084041A (ko) 골조를 갖는 압출성형재 문짝과 문틀 및 그 제조방법
JPH01190445A (ja) インシュレーション層を有するガラス繊維補強セメン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29745B1 (ko)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3755112B2 (ja) 壁パネル
KR0184726B1 (ko) 일체형 장식을 갖는 합성수지제 문짝 및 그 제조방법
KR100465048B1 (ko) 발포 플라스틱 타일 제조방법
KR200275890Y1 (ko) 방음 도어
KR200296642Y1 (ko) 건축물용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