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5467A - 골고리 자동 절곡장치 - Google Patents

골고리 자동 절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5467A
KR20010025467A KR1020000084980A KR20000084980A KR20010025467A KR 20010025467 A KR20010025467 A KR 20010025467A KR 1020000084980 A KR1020000084980 A KR 1020000084980A KR 20000084980 A KR20000084980 A KR 20000084980A KR 20010025467 A KR20010025467 A KR 20010025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ing
bending
reinforcing bars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20000084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5467A/ko
Publication of KR20010025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46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 B21D7/02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by a swinging form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7Combined feeding and 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chain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0Storage arrangements; Piling or unp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건물 등 H빔을 사용하여 건물을 시공할 경우에 대량으로 사용되는 골고리의 자동 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각종 고층건물 등 H빔을 사용하는 경우 건물의 충격을 완화하고, 내구성 및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근래에 들어 H빔을 많이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H빔위에 설치되는 테크플레이트의 철판골에 시공되는 철근 상부와 골하부 철근을 서로 연결하는 S자형의 골고리를 자동으로 절곡하여 양산성을 극대화하면서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게 하며, 단위수량을 자동포장하므로서 고층건물 등 H빔이 사용되는 건물을 시공할 경우 바닥부분의 테크플레이트 골에 철근을 서로 연결하여 주는 골고리를 합리적으로 절곡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코져 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S자형의 골고리 절곡장치(10)를 구성함에 있어서, 공급부(100)는 일정길이의 철근을 공급하는 공급호퍼(101)와; 공급호퍼(101)의 철근을 체인모터(102)에 의해 하나씩 이동시키는 다수의 체인바아(103)와; 체인바아(103)에서 공급되는 철근의 수량을 체크하면서 실린더(106)를 작동하는 센서(105)가 부착된 이송바아(104)와; 상기 이송바아(104)의 한쪽에는 실린더(106)를 장착하고, 타측에는 힌지(107)에 의해 작동하는 수단과; 이동관(108)을 통해 공급되는 철근을 지지하는 재치대(204)와; 골고리(12)를 절곡하기 위한 회전체(201)는 이중으로 형성하여 절곡모터(208)의 작동으로 동시에 절곡하는 고정바아(202)와 절곡바아(203)를 각각 구비한 회전체(201)와; 절곡된 골고리(12)를 배출하기 위하여 콤프레셔(209)와 연결된 에어공급수단(210)의 작동과 연동되는 분리핀(207)과; 회전체(201)의 회전으로 절곡이 완료되면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복원스프링(206)과; 회전체(201)의 과도한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205)로 이루어지고, 지지대(304)의 상측에 설치된 수개의 회전구체(30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테이블(301)과 일체로 된 안치판(303)과; 절곡된 골고리(12)를 투입하여 포장가능하게 하는 투입공(302)과; 투입공(302)을 통해 투입된 골고리(12)를 적정의 수량만큼 체크하여 회전테이블(301)을 회전시키는 감지센서(306)로 이루어진 포장부(300)를 포함하여 골고리(12)를 자동으로 절곡함과 동시에 포장가능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골고리 자동 절곡장치{Concrete reinforcing bar auto bending system}
본 발명은 고층건물 등 H빔을 사용하여 건물을 시공할 경우에 대량으로 사용되는 골고리의 자동 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각종 고층건물 등 H빔을 사용하는 경우 건물의 충격을 완화하고, 내구성 및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근래에 들어 H빔을 많이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H빔위에 설치되는 테크플레이트의 철판골에 시공되는 철근 상부와 골하부 철근을 서로 연결하는 S자형의 골고리를 자동으로 절곡하여 양산성을 극대화하면서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게 하며, 단위수량을 자동포장하므로서 고층건물 등 H빔이 사용되는 건물을 시공할 경우 바닥부분의 테크플레이트 골에 철근을 서로 연결하여 주는 골고리를 합리적으로 절곡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코져 함에 목적이 있다.
통상 각종 고층건물 등 H빔을 사용하는 경우 건물의 충격을 완화하고, 내구성 및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근래에 들어 H빔을 많이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H빔위에 설치되는 테크플레이트의 철판골에 시공되는 철근 상부근과 하부근을 서로 연결하는 S자형의 골고리의 경우 과거에는 별로 사용되지 않았지만 근자에 들어 골고리의 사용빈도가 높고, 이러한 골고리는 주로 H빔위에 설치되는 테크플레이트의 철판골에 설치되는 위쪽 철근과 아래쪽 철근을 연결하기 위해서 횡으로 설치된 격자상의 철근에 걸어서 하부에 다시 철근을 결속하며, 균등한 응력이 분산함으로 이러한 골고리를 사용함에 따라 건축물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완충력과 탄성력을 가지게 되며, 상기와 같이 테크플레이트의 철판골에 횡으로 설치된 격자상의 철근에 걸린 골고리와 하부의 철근을 동시에 연결 설치한 후 여기에 콘크리트를 주입한다.
이러한 골고리에 의한 철근을 설치하게 될 경우는 상기 격자상으로 설치된 철근을 결속하기 위한 골고리를 대량으로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골고리는 지금까지 주로 수작업으로 절곡하여 충당하게 되므로 작업의 능률성이 크게 저조할 뿐만 아니라 절곡이 까다로워 획일성이 저하되어 불량시공을 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즉, 적정의 규격으로 철근을 절단하여 이를 S자형으로 절곡할 시 절곡부위를 적정의 간격으로 절곡하게 되므로 사이즈가 일치되지 않아 격자상의 철근에 시공할 경우 불량이 발생하게 되어 건축물에 악영향을 초래케 된다.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골고리의 사용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동일 길이의 골고리용 철근을 절단하여 획일적인 사이즈로 절곡하는 장치가 안출되어 실용화되고 있으나, 이러한 절곡장치 역시 자동화로 이루어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인위적으로 골고리용 철근을 절곡장치에 공급을 한 상태에서 골고리 하나 하나를 스위치로 작동하여 절곡을 하고, 상기에서 얻어지는 골고리는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수량을 체크하여 포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골고리용 철근 절곡장치가 개발되기는 하지만 무인 시스템으로 절곡할 수가 없고, 인위적으로 공급하거나 절곡후 별도로 분리한 다음 다시 공급해야 하는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절곡작업의 능률성이 크게 저조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항상 대기해 있어야 하고, 특히 이로 인해 인건비의 지출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 이외에도 작업자는 스위치의 작동으로 인위적인 절곡을 하면서 포장을 위한 용기(예를 들면 포대 또는 포장박스)에 수량을 체크하면서 담아야 하므로 수량의 계산이 정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불량의 선별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작업의 능률성이 크게 저하되고, 한편으로는 정확한 사이즈로 절곡되지 못하는 등의 폐단에 따라 불량시공의 요인을 제공하게 되어 매우 비합리적인 문제점이 따랐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각종 고층건물 등 H빔을 사용하는 경우 건물의 충격을 완화하고, 내구성 및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근래에 들어 H빔을 많이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H빔위에 설치되는 테크플레이트의 철판골에 설치되는 철근 상부근과 하부근 철근을 서로 연결하는 S자형의 골고리를 자동으로 절곡하여 양산성을 극대화하면서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게 하며, 단위수량을 자동포장하므로서 고층건물 등 H빔을 사용하여 건물을 시공할 경우 바닥부분에 테크플레이트 골에 철근을 서로 연결하여 주는 골고리를 합리적으로 절곡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코져 함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은 공급호퍼에 적정의 길이로 절단된 철근을 다수 내장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의 동력이 체인바아를 구동하게 되어 상기 체인바아에 하나씩 공급되는 철근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개별적으로 이송바아에 떨어지게 되면 감지센서에 의해 실린더가 작동하여 이송바아를 경사지게 기울이는 상태가 되고, 상기 철근은 이송바아의 경사도에 따라 이동관으로 이동되어 한쌍으로 이루어진 회전체의 각 고정바아와 절곡바아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철근은 재치대에 정지된 상태에서 회전체가 동일한 속도비로 회전하게 되어 공급된 철근을 S자형으로 절곡하게 되고, 절곡이 완료되면 감지센서에 의해 분리핀이 작동하여 절곡된 골고리를 하부로 낙하하게 되며, 이와 같이 낙하되는 골고리는 별도의 포장부를 통하여 정확한 수량을 포장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절곡과정을 보인 일부절결 측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절곡과정을 보인 요부확대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절곡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절곡장치 11 : 기대
12 : 골고리
100 : 공급부 101 : 공급호퍼
102 : 체인모터 103 : 체인바아
104 : 이송바아 105 : 센서
106 : 실린더 107 : 힌지
108 : 이동관
200 : 절곡부 201 : 회전체
202 : 고정바아 203 : 절곡바아
204 : 재치대 205 : 스토퍼
206 : 복원스프링 207 : 분리핀
208 : 절곡모터 209 : 콤프레셔
210 : 에어공급수단
300 : 포장부 301 : 회전테이블
302 : 투입공 303 : 안치판
304 : 지지대 305 : 회전구체
306 : 감지센서
본 발명은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장치(10)를 구성함에 있어서, 기대(11)의 상부에 설치되는 균일한 규격으로 절단된 철근을 공급하는 공급부(100)와, 상기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철근을 S자형의 골고리(12)로 절곡하는 절곡부(200)와, 상기 절곡부(200)에서 절곡된 골고리를 자동 포장하는 포장부(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부(100)는 균일한 규격으로 절단된 철근을 공급하는 공급호퍼(101)와, 공급호퍼(101)의 철근을 체인모터(102)의 동력에 의해 하나씩 개별적으로 이동시키는 다수의 체인바아(103)와, 체인바아(103)에서 공급되는 철근의 수량을 체크하면서 실린더(106)의 작동과 수량을 제어하는 센서(105)가 부착된 이송바아(104)와, 상기 이송바아(104)의 일측 하부에는 실린더(106)를 장착하고, 타측에는 힌지(107)를 두어 경사지게 작동가능하게 하는 수단과, 이동관(108)을 통해 공급되는 철근을 지지하는 재치대(204)와, 골고리(12)를 절곡하기 위한 회전체(201)는 이중으로 형성하여 하부의 절곡모터(208)의 작동으로 동시에 절곡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바아(202)와 절곡바아(203)를 각각 구비한 회전체(201)와, 절곡된 골고리(12)를 배출하기 위한 콤프레셔(209)와 연결된 에어공급수단(210)의 작동으로 순간적인 작동이 가능한 분리핀(207)과, 회전체(201)의 회전으로 골고리(12)의 절곡이 완료되면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복원스프링(206)과, 회전체(201)의 과도한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20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포장부(300)는 지지대(304)의 상측에 설치된 수개의 회전구체(30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테이블(301)과 일체로 된 안치판(303)과, 절곡된 골고리(12)를 투입하여 포장가능하게 하는 투입공(302)과, 투입공(302)을 통해 투입된 골고리(12)를 적정의 수량만큼 체크하여 회전테이블(301)을 회전시키는 감지센서(306)로서 이루어진 포장부(300)를 포함하여 골고리(12)를 자동으로 절곡하여 적정의 균등 수량을 복수로 포장가능하게 하므로서 무인으로 골고리(12)를 생산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발명은 고층건물 등 H빔을 사용하여 건물을 시공할 경우에 대량으로 사용되는 골고리(12)의 자동 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각종 고층건물 등 H빔을 사용하는 경우 건물의 충격을 완화하고, 내구성 및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근래에 들어 H빔을 많이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H빔위에 설치되는 테크플레이트의 철판골에 설치되는 철근 상부근과 하부근을 서로 연결하는 S자형의 골고리(12)를 자동으로 절곡하여 양산성을 극대화하면서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게 하며, 단위수량을 자동포장하므로서 고층건물 등 H빔을 사용하여 건물을 시공할 경우 바닥부분에 테크플레이트 골에 철근을 서로 연결하여 주는 골고리(12)를 합리적으로 절곡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코져 함에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공급호퍼(101)에 적정의 길이로 절단된 철근을 다수 내장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면 체인모터(102)의 동력이 체인바아(103)를 구동하게 되어 상기 체인바아(103)에 하나씩 공급되는 철근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개별적으로 이송바아(104)에 떨어지게 되면 상기 이송바아(104)에 취부된 센서(105)가 작동하여 수량을 체크함과 아울러 실린더(106)가 작동하여 상기 이송바아(104)를 일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이는 상태가 되고, 상기 철근은 이송바아(104)의 경사도에 따라 이동관(108)으로 이동되어 한쌍으로 이루어진 회전체(201)의 각 고정바아(202)와 절곡바아(203)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철근은 재치대(204)에 의해 정지된 상태에서 회전체(201)가 동일한 속도비로 회전하게 되어 공급된 철근을 S자형으로 절곡하게 되고, 절곡이 완료되면 콤프레셔(209)의 에어가 에어공급수단(210)의 작동으로 분리핀(207)이 작동하여 절곡된 골고리(12)를 하부로 낙하하게 되며, 이와 같이 낙하되는 골고리(12)는 별도의 포장부(300)를 통하여 정확한 수량을 포장하고, 단위포장이 완료되면 감지센서(306)의 감지로 인해 회전테이블(301)이 일단계씩 회전할 수 있게 하여 자동으로 절곡 및 포장할 수 있게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바, 이하 본 발명의 상기한 구성에 따른 사용방법과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철근을 절곡하여 골고리(12)를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기본적으로는 공급부(100)에 공급된 적정길이의 절단된 철근을 이송수단에 의해 절곡부(200)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절곡부(200)의 다단계 작동에 의해 절곡이 완료되면 별도의 포장부(300)를 통해 정확한 수량을 체크하면서 단위포장을 자동으로 할 수 있게 한데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절곡과 포장을 동시에 행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공급호퍼(101)의 내부에 절곡하고자 하는 균일한 길이의 철근을 적재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면 체인모터(102)가 구동하게 되어 무한궤도 타입의 체인바아(103)를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인바아(103)가 작동하게 되면 공급호퍼(101) 내부의 철근이 상기 체인바아(103)에 개별적으로 하나씩 안치된 상태에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체인바아(103)에 안치된 철근이 상측으로 올라오게 되면 최상의 위치에서는 이송바아(104)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이송바아(104)에는 센서(105)가 취부되어 있으므로 상기 센서(105)가 이송바아(104)에 낙하된 철근을 감지하여 수량을 체크함과 동시에 하부일측에 취부된 실린더(106)를 작동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106)가 작동함에 따라 타측의 힌지(107)를 기점으로 이송바아(104)가 경사지게 각운동을 하게 되어 이와 연관되는 이동관(108)을 통해 공급된 철근은 상기 이송바아(104)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관(108)의 내부를 통해 하측으로 이동이 되면서 한쌍으로 된 회전체(201)의 고정바아(202)와 절곡바아(203)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게 되고, 과도한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정확한 위치에 재치대(20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회전체(201)의 고정바아(202)와 절곡바아(203)의 사이에 개재된 철근은 상기 재치대(204)에 걸린 상태에서 정지된다.
이와 같이 철근이 회전체(201)의 고정바아(202)와 절곡바아(203)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재치대(204)에 의해 정지하게 되면 절곡모터(208)가 작동을 하여 동력을 후방측으로 연결하여 각 회전체(201)를 동일한 속도비 내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체(201)가 회전을 함에 따라 경사지게 위치된 철근은 고정바아(202)와 절곡바아(203)에 지지된 상태로 S자형으로 절곡되는 것으로,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철근이 회전체(201)의 회전에 따라 고정바아(202)와 절곡바아(203)의 사이에 끼인 철근이 절곡되어 골고리(1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절곡되는 과정에서 각 회전체(201)의 과도한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측의 적정위치에는 스토퍼(20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체(201)가 철근을 절곡하면서 회전할 경우 필요한 각도만큼 절곡되면 상기 스토퍼(205)에 절곡바아(203)의 돌출된 부위가 부딪혀 정지됨과 동시에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체(201)가 복귀되는 것은 하부측으로 위치된 회전체(201)에는 복원스프링(206)이 탄설되어 있으므로 절곡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동력이 일시 단속되면 상기 복원스프링(206)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다음의 절곡 대기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절곡이 완료되면 기대(11)에 설치된 콤프레셔(209)가 작동하여 상측의 에어공급수단(210)이 작동하므로서 에어의 공급으로 인해 분리핀(207)이 순간적으로 출몰하여 상기 회전체(201)의 고정바아(202)와 절곡바아(203)에 걸려 있는 골고리(12)를 밀어내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정으로 일단 골고리(12)의 절곡이 완료되고, 다음으로는 자동으로 포장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의 과정에서 절곡이 완료된 상태에서 기대(11)에 설치된 콤프레셔(209)의 에어가 에어공급수단(210)이 작동하므로서 분리핀(207)이 작동하여 절곡된 골고리(12)를 밀어내면 이의 전방에는 포장부(30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포장부(300)의 회전테이블(301)에 형성된 투입공(302)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회전테이블(30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수개의 투입공(302) 하부에는 적정의 수량을 포장할 수 있는 용기(예를 들면 포장용 포대나 박스 등)가 결합되어 안치판(303)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투입공(302)을 통해 투입된 골고리(12)는 용기내부에 투입된다.
상기와 같은 골고리(12)의 수량을 체크하는 것은 공급부(100)의 이송바아(104)에 취부된 센서(105)에서 실린더(106)의 작동신호와 함께 이미 계산되어 있으므로 투입되는 수량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용기내부의 골고리(12)를 단위수량만큼 포장을 하게 되고, 이와 같이 하나의 용기내부에 입력된 수량이 투입되면 별도의 감지센서(306)가 작동하여 다음의 투입공(302)이 골고리(12)가 낙하하는 지점으로 각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306)가 작동함에 따라 회전테이블(301)과 안치판(303)이 회전가능한 것은 지지대(304)의 적정위치에 감지센서(306)가 취부되어 투입공(302)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게 되고, 상기 안치판(303)의 하부에는 수개의 회전구체(305)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테이블(301)과 안치판(303)이 적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투입공(302) 하부의 용기에 단위개수만큼의 골고리(12)가 투입되면 다음의 투입공(302)이 골고리(12)가 낙하하는 지점으로 이동하고, 다음으로는 먼저 투입완료된 용기는 별도로 분리하여 단위포장을 하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적정의 길이로 절단된 철근을 S자모양의 골고리(12)로 절곡하는 절곡장치(10)를 이용하므로서 별도로 작업자가 대기하여 계속적인 절곡작업을 하는 것이 아니고, 무인으로 공급호퍼(101)에 철근을 복수로 저장하여 전원을 인가하면 공급에서부터 절곡 및 포장까지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포장수량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정확한 수량을 포장할 수 있으므로 근자에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는 건물의 천정 시공용 골고리(12)를 양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건비의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음은 물론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층건물 및 H빔을 사용하여 건물을 시공할 시 상기 H빔위에 설치되는 테크플레이트 철판골 밑부분에 상부근과 하부 철근을 연결하는 S자형의 골고리(12)를 자동으로 절곡할 수 있는 절곡장치(10)를 제공하므로서 골고리(12)의 양산성을 크게 증대함과 아울러 불량의 발생률을 일층 줄이고, 특히 단위 수량을 자동으로 포장하여 상품화하므로서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상의 편의성을 일층 증대하며, 한편으로는 고층건물 및 H빔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골고리(12)를 전자동으로 절곡함과 동시에 감지센서(306)에 의해 절곡된 골고리(12)의 수량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게 하여 양산성의 증대와 아울러 인건비의 소요를 최소로 함과 동시에 근자에 들어 대량으로 사용되는 골고리(12)의 공급을 원할하게 하여 각종 건물의 천정시공용 골고리(12)의 절곡장치(10)로서 매우 합리적인 효과를 득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S자형의 골고리 절곡장치(10)를 구성함에 있어서, 공급부(100)는 일정길이의 철근을 공급하는 공급호퍼(101)와; 공급호퍼(101)의 철근을 체인모터(102)에 의해 하나씩 이동시키는 다수의 체인바아(103)와; 체인바아(103)에서 공급되는 철근의 수량을 체크하면서 실린더(106)를 작동하는 센서(105)가 부착된 이송바아(104)와; 상기 이송바아(104)의 한쪽에는 실린더(106)를 장착하고, 타측에는 힌지(107)에 의해 작동하는 수단과; 이동관(108)을 통해 공급되는 철근을 지지하는 재치대(204)와; 골고리(12)를 절곡하기 위한 회전체(201)는 이중으로 형성하여 절곡모터(208)의 작동으로 동시에 절곡하는 고정바아(202)와 절곡바아(203)를 각각 구비한 회전체(201)와; 절곡된 골고리(12)를 배출하기 위하여 콤프레셔(209)와 연결된 에어공급수단(210)의 작동과 연동되는 분리핀(207)과; 회전체(201)의 회전으로 절곡이 완료되면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복원스프링(206)과; 회전체(201)의 과도한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205)로 이루어지고, 지지대(304)의 상측에 설치된 수개의 회전구체(30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테이블(301)과 일체로 된 안치판(303)과; 절곡된 골고리(12)를 투입하여 포장가능하게 하는 투입공(302)과; 투입공(302)을 통해 투입된 골고리(12)를 적정의 수량만큼 체크하여 회전테이블(301)을 회전시키는 감지센서(306)로 이루어진 포장부(300)를 포함하여 골고리(12)를 자동으로 절곡함과 동시에 포장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고리 자동 절곡장치.
KR1020000084980A 2000-12-29 2000-12-29 골고리 자동 절곡장치 KR20010025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980A KR20010025467A (ko) 2000-12-29 2000-12-29 골고리 자동 절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980A KR20010025467A (ko) 2000-12-29 2000-12-29 골고리 자동 절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467A true KR20010025467A (ko) 2001-04-06

Family

ID=19703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980A KR20010025467A (ko) 2000-12-29 2000-12-29 골고리 자동 절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54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55174A (zh) * 2020-10-26 2021-02-12 太仓太标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精密型异形双头螺栓快速成型装置及工作方法
CN112605296A (zh) * 2021-01-08 2021-04-06 上海娜巴拉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能够对金属原料二次冲压成型的加工设备
KR102338090B1 (ko) * 2020-09-22 2021-12-14 태성전기(주) 동파이프 연결관 자동 벤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3440A (en) * 1974-02-19 1975-02-04 Morris Kortick Semi-automatic linking machine
KR890007804A (ko) * 1987-11-20 1989-07-05 이경훈 원형박판 정량 분할장치
JPH0484639A (ja) * 1990-07-25 1992-03-17 Toshiba Corp 部品供給装置
JPH11226682A (ja) * 1998-02-10 1999-08-24 Usui Internatl Ind Co Ltd 端末成形された管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3440A (en) * 1974-02-19 1975-02-04 Morris Kortick Semi-automatic linking machine
KR890007804A (ko) * 1987-11-20 1989-07-05 이경훈 원형박판 정량 분할장치
JPH0484639A (ja) * 1990-07-25 1992-03-17 Toshiba Corp 部品供給装置
JPH11226682A (ja) * 1998-02-10 1999-08-24 Usui Internatl Ind Co Ltd 端末成形された管の製造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090B1 (ko) * 2020-09-22 2021-12-14 태성전기(주) 동파이프 연결관 자동 벤딩장치
CN112355174A (zh) * 2020-10-26 2021-02-12 太仓太标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精密型异形双头螺栓快速成型装置及工作方法
CN112605296A (zh) * 2021-01-08 2021-04-06 上海娜巴拉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能够对金属原料二次冲压成型的加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69762B (zh) 片材堆叠装置和堆叠片材的方法
CN103705382B (zh) 药剂送出系统和药剂送出装置
CN104640792B (zh) 用于对底座多层堆叠的装置
US9309017B2 (en) Item loading apparatus
CN102725214A (zh) 输送机设备
US7047785B2 (en) Installation for processing metal bars with improved means for transferring the bars, and method provided thereby
CN101903916A (zh) 用于称重和分配散装产品的自动机器
CN1131832C (zh) 带分配转辙器的振动输送机
KR20210103226A (ko) 파이프 다발 밴드 결속장치
KR20010025467A (ko) 골고리 자동 절곡장치
US6474050B1 (en) Device for filling and sealing sacks
CA1112884A (en) Complex process and machine group for the support of underground cavities and cavity systems
CN206058401U (zh) 立式储物配发单元组及发药机
JPH06503616A (ja) 自動れんが積み装置のローダ
KR102519187B1 (ko) 철근 포장장치 및 철근 포장방법
JP2000142620A (ja) 長尺材の整列送出し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た結束装置
CN112298636A (zh) 一种米粉计量理料设备及计量理料工艺
JPS6123016A (ja) 大海貯蔵装置
JP4112964B2 (ja) 組合せ計量装置
JPH09169314A (ja) 秤量箱詰め装置
KR200176534Y1 (ko)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 해체장치
JP2003246301A (ja) 製茶用計量袋詰機の移送装置
CN109795911A (zh) 一种高效省时的印刷装置
JPH0653522B2 (ja) 長尺物整列方法および長尺物整列装置
JPH0692318A (ja) 農産物のパック詰装置及びパック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