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5366A - 자동연마기의 브러시부착용 축 - Google Patents

자동연마기의 브러시부착용 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5366A
KR20010025366A KR1020000078986A KR20000078986A KR20010025366A KR 20010025366 A KR20010025366 A KR 20010025366A KR 1020000078986 A KR1020000078986 A KR 1020000078986A KR 20000078986 A KR20000078986 A KR 20000078986A KR 20010025366 A KR20010025366 A KR 20010025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rush
motor
cover plate
screw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우
Original Assignee
김학도
에덴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도, 에덴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학도
Priority to KR1020000078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5366A/ko
Publication of KR20010025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36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9/00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 B24B29/005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u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16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taking regard of the load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기판(PCB)을 연마가공하는데 사용되는 자동연마기의 브러시부착용 축에 관한 것으로, 연마소재의 두께 혹은 브러시의 마모상태를 감지센서 작동에 의해 브러시가 부착된 축이 상·하로 작동하여 항상 최적의 상태에서 자동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브러시의 노후화에 따른 교체시 교체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그 구성으로 축(104)의 양측끝부에 축지지구(10a)(10b)를 상·하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한 축지지구(10a)(10b)의 상·하측의 어느 한쪽에 센서(17)의 감지에 의해 구동하는 정·역회전 모우터(11)를 설치하여 상기 센서(17)에 의해 모우터(11)가 구동할 때 모우터(11)의 구동력에 의해 축지지구(10a)(10b)와 접속설치된 스크류우봉(12a)(12b)이 정·역 회전하므로서 축지지구(10a)(10b)가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하여 브러시부착용축(104)에 설치된 브러시(108)가 연마소재와 적절한 압력으로 접촉하여 연마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일측의 축지지구(10a)에 손잡이(20)를 갖는 덮개판(19)을 설치하되 덮개판(19)이 부착되는 지지봉부착구(21) 및 브래킷(18)에 브러시(108)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관통구멍(22)을 뚫어 상기 덮개판(19)을 해체하므로서 관통구멍(22)을 통해 브러시(108)의 교체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자동연마기의 브러시부착용 축{ BRUSH STICKING SHAFT OF AUTO-GRINDER}
본 발명은 각종 패널 특히 회로기판(PCB)을 연마가공하는데 사용되는 자동연마기의 브러시부착용 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브러시가 설치된 축이 연마소재의 두께 혹은 브러시의 마모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항상 최적의 압력하에서 소재를 연마하도록 하고, 또한 브러시의 노후화에 따른 교환시 브러시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함에 목적을 둔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기판(이하 "소재"라고 함)을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연마기는 대략 도 1 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연마기(100)는 도시하지 않은 모우터에 의해 연마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용로울(102)이 서로 대향지게 상·하로 무수히 설치되고, 상기 이송용로울(102)의 사이에는 기대(101)하부에 설치된 모우터(10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브러시(108)가 끼워진 브러시부착용 축(104)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로울(102) 및 브러시부착용 축(104)의 상부에는 분사노즐(105)이 좌·우측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된 연마기(100)에 의해 소재를 연마를 할 때에는 일측(도면의 좌측)으로 연마소재를 투입하게 되면, 연마소재는 상·하 대칭으로 설치된 다수의 이송용로울(102) 사이를 통과하면서 후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같이 이동할 때에 분사노즐(105)에서 연마 및 냉각제가 분사되고 브러시부착용 축(104)이 모우터(103)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브러시(108)에 의해 소재의 표면을 연마 가공하도록 되어 있다.
그 후 이와같이 연마기(100)에 의해 연마된 소재는 연마기(100)의 후측에 설치된 도시하지 아니한 세척 및 건조기를 통과하면서 세척 및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종래 브러시부착 구조를 대략 살펴보면, 브러시부착용 축(104)은 위치가 고정된 롤러(106)와 대응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구동모우터(103)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외면에 부착된 브러시(108)에 의해 소재의 표면을 연마하도록 되어 있는데 예로서 연마소재의 두께가 다를 경우에는 수동으로 핸들을 회전시켜 축(104)을 지지하고 있는 축지지부재를 상부로 올리거나 내려 브러시(108)와 소재간의 접촉압력을 조절하였던 것으로 이는 작업자 임의로 조절하기 때문에 연마하는데 적합한 압력으로 조절하기가 어렵고, 또한 브러시(108)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끝부분이 닳아 소재와의 접촉압력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역시 작업자가 대략 육안으로 파악하여 브러시부착용 축(104)의 위치를 조절하였던 것으로 비효율적인 연마를 하여왔던 것이다.
또한, 노후화 된 브러시(108)를 교환함에 있어서도 축(104)을 지지하고 있는 축지지구의 전체를 분해한 후 브러시(108)를 교환했던 것으로 브러시(108)의 교환이 까다롭고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에 목적을 둔 것으로, 브러시부착용 축이 감지센서에 의한 모우터 작동에 의해 소재와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하도록 하므로서 소재와 브러시간의 압력(간격)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하여 연마효율을 높이도록 하고, 브러시 교체시에도 일측의 커버부재들만 해체시키면 축이 고정된 상태에서도 브러시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 자동연마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 이하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브러시부착용 축이 장착된 자동연마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부착용 축의 부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브러시부착용 축의 조립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 10b : 축지지구 11 : 모우터 12a, 12b : 스크류우봉
13a, 13b : 지지봉 14a, 14b : 기어케이스 15a, 16b : 기어
16 : 동력전도용 축 17 : 센서 18 : 브래킷
19 : 덮개판 20 : 손잡이 21 : 지지봉부착구
22 : 관통구멍 104 : 브러시부착용 축 106 : 고정롤러
108 : 브러시
도 2 내지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부착용 축의 부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조립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브러시부착용 축이 복수개(4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들은 각각 동일한 형상과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편의상 어느 하나의 부품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모우터(103)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풀리(107)를 갖는 브러시(108)가 부착된 축(104)은 양측끝부에 축(104)을 지지하는 축지지구(10a)(10b)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한 축지지구(10a)(10b)는 후술하는 모우터(11)의 구동시 축(104)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축(104)의 양측끝부에 설치된 축지지구(10a)(10b)의 일측(도면의 상부)에는 스크류우봉(12a)(12b)과 결합된 지지봉(13a)(13b)이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우봉(12a)(12b)은 지지봉(13a)(13b) 내에 나사결합되어 스크류우봉(12a)(12b)이 정·역회전할 때 지지봉(13a)(13b)과 일체화로 결합된 축지지구(10a)(10b)가 상·하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한편, 상기한 축(104)의 양측에 설치된 스크류우봉(12a)(12b)은 상측 끝부가 공히 기어케이스(14a)(14b)내에 설치된 워엄기어와 접속되어 모우터(11)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축지지구(10a)(10b)를 상·하로 수직이동시키도록 되어있으며, 상기 기어케이스(14a)(14b) 중 일측(도면의 우측)의 기어케이스(14b) 근접부에는 모우터(11)가 설치되어 모우터(11)의 구동력이 기어케이스(14b)내에 설치된 워엄기어에 전달되도록 한 쌍의 기어(15a)(15b)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기어케이스(14a)(14b)간에는 동력전도용 축(16)이 길게 설치되어 모우터(11)의 구동력이 동시에 좌·우양측의 기어케이스(14a)(14b)내에 전도되어 일체화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양측 기어케이스(14a)(14b) 중 타측(도면의 좌측) 기어케이스(14a) 외측에는 감지용센서(17)가 설치되어 브러시(108)가 닳아졌거나 혹은 연마소재의 두께가 변하였을때 이를 감지하여 상기 모우터(11)를 구동시키고 모우터(11)가 구동함에 따라 기어케이스(14a)(14b)내의 워엄기어와 접속되고 있는 스크류우봉 (12a)(12b)이 회전하므로서 축지지구(10a)(10b)가 강제로 상·하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한 양측의 축지지구(10a)(10b) 중 일측의 지지구(10a)는 축(104)에 설치된 브러시(108)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소정의 형상으로 된 브래킷(18)의 외측에 손잡이(20)를 갖는 덮개판(19)이 설치되어 브러시(108) 교환시 덮개판(19)을 고정시키고 있는 체결부재(19a)의 조임을 해제한 후 손잡이(20)를 잡고 덮개판(19)을 외부로 빼내면 브러시(108)을 빼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브러시(108)는 일측끝부 즉 손잡이(20)가 설치된 덮개판(19) 측의 끝부가 나사(108a)에 의해 체결되어 있어 나사(108a)를 풀면 브러시(108)가 축으로부터 외부로 해탈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브러시(108)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덮개판(19)을 고정시키고 있는 체결부재(19a)의 조임을 해제한 후 손잡이(20)를 잡고 덮개판(19)을 외부로 빼내면 덮개판(19)은 축(104)에서 빠져 이탈하며, 이와같이 덮개판(19)을 빼냈을 경우에는 지지봉부착구(21) 및 브래킷(18)의 내부에는 큰 직경의 관통구멍(22)이 뚫려 있으므로 상기 관통구멍(22)을 통해 작업공구를 넣어 브러시(108)를 고정시키고 있는 나사(108a)를 풀은 후 브러시(108)를 외측으로 빼내면 브러시(108)가 축(104)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어서 새로운 브러시(108)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 관통구멍(22)을 통해 브러시(108)를 축(104)에 끼우고 이어서 나사(108a)를 조이면 브러시(108)가 축(104)에 장착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의 작용을 실제 사용상태를 들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로서, 연마작업시 브러시(108)가 닳거나 혹은 연마소재의 두께가 다른 소재가 투입될 경우 감지센서(17)는 이를 감지하여 정·역회전 모우터(11)를 구동시키고 모우터 축의 기어(15a)와 접속되고 있는 기어케이스(14b) 측의 기어(15b) 및 이 기어(15b)와 동축상에 있는 동력전도용 축(16)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게되며, 이때 동력전도용 축(16)에 설치된 워엄기어가 수직으로 세워져있는 스크류우봉(12a)(12b)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때 스크류우봉(12a)(12b)이 회전함에 따라 지지봉(13a)(13b)과 일체화로 결합되어 있는 지지구(10a)(10b)가 함께 상부 혹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지지구(10a)(10b)가 상·하로 이동하므로 결국 고정롤러(106)와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므로서 연마소재와의 접촉 압력의 강약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브러시(108)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측지지구(10a)의 덮개판(19)의 체결부재(19)를 풀고 이어서 손잡이(20)를 잡고 덮개판(19)을 빼낸 후 관통구멍(22)을 통해 공구를 넣어 브러시(108)를 고정시키고 있는 고정용 나사(108a)를 풀어 브러시(108)를 빼내면 되며, 이어서 새로운 브러시(108)를 축(104)에 끼운후 나사(108a)를 조이고 덮개판(19)을 고정하면 교환이 완료되는 것으로 극히 간단히 브러시(108)의 교환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같이 본원 발명의 자동연마기는 브러시가 끼워지는 축자체가 감지센서의 감지력에 의해 자동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어 연마소재를 항상 희망하는 압력하에서 연마할 수 있어 연마효율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편리하며, 또한 브러시의 교체도 일측 지지구에 결합된 덮개판을 해체시키면 가능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브러시의 교체작업이 용이한 것이다.

Claims (2)

  1. 외측에 브러시(108)가 끼워져 결합된 자동연마기의 브러시부착용 축(104)에 있어서,
    상기한 축(104)의 양측끝부에 축지지구(10a)(10b)를 상·하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한 축 지지구(10a)(10b)의 상·하측의 어느 한쪽에 모우터(11)의 구동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류우봉(12a)(12b)을 접속시켜 축 지지구(10a)(10b)가 상기한 스크류우봉(12a)(12b)의 회전에 의해 상·하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하므로서 브러시부착용 축(104)이 함께 상·하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한 양측 축지지구(10a)(10b)와 접속된 스크류우봉(12a)(12b)의 상부에 기어케이스(14a)(14b)를 설치하되 상기한 기어케이스(14a)(14b) 사이에는 동력전도용 축(16)이 설치되어 모우터(11)의 구동력이 양측에 동시에 전달되도록 하며, 일측의 축지지구(10a)에 손잡이(20)를 갖는 덮개판(19)을 설치하여 브러시(108) 교환시 덮개판(19)을 해체하므로서 브러시(108)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연마기의 브러시부착용 축
  2. 제 1 항에 있어서,
    모우터(11)는 정·역회전 모우터이며, 감지센서(17)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연마기의 브러시부착용 축
KR1020000078986A 2000-12-20 2000-12-20 자동연마기의 브러시부착용 축 KR20010025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986A KR20010025366A (ko) 2000-12-20 2000-12-20 자동연마기의 브러시부착용 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986A KR20010025366A (ko) 2000-12-20 2000-12-20 자동연마기의 브러시부착용 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741U Division KR200227582Y1 (ko) 2000-12-20 2000-12-20 자동연마기의 브러시부착용 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366A true KR20010025366A (ko) 2001-04-06

Family

ID=1970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8986A KR20010025366A (ko) 2000-12-20 2000-12-20 자동연마기의 브러시부착용 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53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653B1 (ko) * 2006-01-18 2006-08-09 서천네오캐스트 주식회사 금속 성형품의 표면 연마 세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931653B1 (ko) * 2002-12-17 2009-12-14 주식회사 포스코 회전식 연마장치
KR20180129436A (ko) * 2017-05-26 2018-12-05 엠.씨.케이 (주) 브러시형 연마 제품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1986A (en) * 1979-06-05 1982-12-07 Machinefabriek A. Van Der Linden B.V. Device for surface machining
JPH01135463A (ja) * 1987-11-18 1989-05-29 Takegawa Tekko Kk 木工用仕上研削機
JPH06190712A (ja) * 1992-12-25 1994-07-12 Suzuki Motor Corp 研摩装置
US5702287A (en) * 1990-08-17 1997-12-30 Haney; Donald E. Sander with orbiting platen and abrasive
KR20010016272A (ko) * 2000-11-29 2001-03-05 김학도 자동 연마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1986A (en) * 1979-06-05 1982-12-07 Machinefabriek A. Van Der Linden B.V. Device for surface machining
JPH01135463A (ja) * 1987-11-18 1989-05-29 Takegawa Tekko Kk 木工用仕上研削機
US5702287A (en) * 1990-08-17 1997-12-30 Haney; Donald E. Sander with orbiting platen and abrasive
JPH06190712A (ja) * 1992-12-25 1994-07-12 Suzuki Motor Corp 研摩装置
KR20010016272A (ko) * 2000-11-29 2001-03-05 김학도 자동 연마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653B1 (ko) * 2002-12-17 2009-12-14 주식회사 포스코 회전식 연마장치
KR100610653B1 (ko) * 2006-01-18 2006-08-09 서천네오캐스트 주식회사 금속 성형품의 표면 연마 세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29436A (ko) * 2017-05-26 2018-12-05 엠.씨.케이 (주) 브러시형 연마 제품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161290B (zh) 一种滑轮轴生产方法及装置
CN215546654U (zh) 一种铝合金型材钻孔打磨加工生产线
CN105479286A (zh) 一种板材砂边机
CN113319720A (zh) 一种机械制造智能抛光设备及其操作使用方法
KR200227582Y1 (ko) 자동연마기의 브러시부착용 축
KR20010025366A (ko) 자동연마기의 브러시부착용 축
CN216371552U (zh) 一种组合砂轮装置
CN212020274U (zh) 一种建筑玻璃幕墙用玻璃边缘打磨装置
KR100604140B1 (ko) 사각파이프의 연마 및 광택 장치와 그 방법
CN108942648B (zh) 一种电机支架加工用能快速安装的抛光装置
KR101029273B1 (ko) 성형 연삭기
CN215394500U (zh) 一种转子轴抛光结构
CN216511067U (zh) 一种聚氨酯清扫器
CN216542306U (zh) 防废屑飞溅的中心孔磨床
CN220516421U (zh) 一种输送网的除锈装置
CN220330911U (zh) 一种便于更换砂带的打磨机
CN220029628U (zh) 节能板毛刺打磨装置
CN213225611U (zh) 一种磨管机
CN216708707U (zh) 一种印刷辊的配重组件
CN218312686U (zh) 一种机械零件打磨装置
CN216633904U (zh) 一种具有降噪功能的接杆加工用抛光装置
CN215432990U (zh) 一种汽车支架的打磨装置
CN115365962B (zh) 一种电路板加工用磨板装置
CN220863594U (zh) 一种用于立体磨床的研磨机构
CN216265204U (zh) 一种用于带式砂光机的砂带校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