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5142A -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함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충전제/접착제 - Google Patents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함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충전제/접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5142A
KR20010025142A KR1020000008195A KR20000008195A KR20010025142A KR 20010025142 A KR20010025142 A KR 20010025142A KR 1020000008195 A KR1020000008195 A KR 1020000008195A KR 20000008195 A KR20000008195 A KR 20000008195A KR 20010025142 A KR20010025142 A KR 20010025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powder
group
groups
composition
hydr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5125B1 (ko
Inventor
나카타도시키
오니시마사유키
Original Assignee
다우 코닝 도레이 실리콘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코닝 도레이 실리콘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우 코닝 도레이 실리콘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0-0008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125B1/ko
Publication of KR20010025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1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06Preparatory processes
    • C08G77/08Preparatory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충전제 또는 접착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공기 산화-경화성 불포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축합반응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함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충전제/접착제로서, 그것의 구성은 상기 조성물의 경화 제품이 디스플레이 섹션에서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조성물은 적은 표면 끈적임을 가지는 무광택 마무리된 경화 제품을 형성할 수 있는 충전제/접착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함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충전제/접착제 {FILLER/ADHESIVE AGENT FOR DISPLAY UNITS CONTAINING A CURABLE SILICONE COMPOSITION}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되는 충전제/접착제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그것의 구성이 상기 충전제/접착제의 경화 제품이 디스플레이 섹션에서 노출되도록 하고, 축합반응을 통하여 경화함으로써 우수한 무광택 마무리를 지니는 경화 제품을 형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충전제/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축합반응을 통하여 경화함으로써 적은 표면 끈적임을 갖는 무광택 마무리된 경화 제품을 형성할 수 있는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기판에 장착된 다수의 LED (발광다이오드)를 갖는 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신호장치, 교통통제신호, 또는 광고 디스플레이판 등으로서 사용된다. 방수목적을 위해 LED 사이의 갭들이 실리콘 경화 제품으로 충전 및 밀봉된 옥외에서 사용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서 일본 특허공보 No. 5-190905에 개시되었다.
그러나, 어떠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서 일본 특허공보 No. 5-190905에 개시된 발명에서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문제는 LED간의 갭을 충전 및 밀봉하기위해 사용된 실리콘 경화 제품이 노출될 때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 예를 들면 햇빛에서 밝혀진 LED 및 밝혀지지 않은 LED의 가시성이 저하된다.
이런 이유로, 축합반응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에 무기 충전제를 혼합함으로써 결과된 경화생성물에 무광택 마무리를 부여하기 위한 시도가 행해졌다. 그러나, 충분한 무광택 마무리를 부여하는 것이 어렵고, 무광택 마무리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충전제가 혼합되는 것이 필요하여 결과된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의 유동성의 감소와 취급성의 저하를 일으킨다.
그 구성이 충전제/접착제의 경화 제품이 디스플레이 섹션에서 노출되도록 하고, 축합반응을 통하여 경화함으로써 우수한 무광택 마무리를 지니는 경화 제품을 형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충전제/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더 나아간 목적은 기판에 장착된 다수의 LED 사이의 갭들이 경화된 실리콘 제품으로 충전되고, LED 및 경화된 실리콘 제품이 노출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밝혀진 LED 대 밝혀지지 않은 LED의 시각 인식 특성이 빛이 외부로 부터 입사되는 경우에도 우수하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이상의 목적은 축합반응을 통하여 경화함으로써 적은 표면 끈적임을 갖는 무광택 마무리된 경화 제품을 형성할 수 있는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LED장치의 구체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LED장치의 구체예의 상부표면의 도면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충전제 또는 접착제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공기 산화-경화성 불포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축합반응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함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충전제/접착제로서, 그것의 구성은 상기 조성물의 경화 제품이 디스플레이 섹션에서 노출되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충전제/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장치는 기판에 장착된 다수의 LED 사이의 갭들이 경화된 실리콘 제품으로 충전되고, 이들 LED 및 경화된 실리콘 제품이 노출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경화된 실리콘 제품의 표면의 60-도 거울 표면 광택 Gs (60°)가 20% 이하 라는 사실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충전제/접착제의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충전제/접착제가 적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충전제/접착제의 경화 제품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면 도 1 (단면도) 및 도 2 (평면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섹션에서 노출되는 구조를 갖는 이들 장치이다. 도 1에 나타낸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기판(2)은 프레임(1)에 배치되고, 다수의 LED(3)가 상기 기판(2)에 장착되어 있다. 다음에, 진동으로부터 LED 를 보호하고 방수를 위해 이들 LED(3)사이의 갭들과 또한 LED(3)과 프레임(1)사이의 갭이 실리콘 경화 제품(4)으로 충전 및 밀봉된다. 게다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LED 는 규칙적인 방식으로 기판에 장착될 수 있고, 또는 그림으로 나타내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고, LED와 프레임(1)사이의 갭뿐만 아니라 기판에 장착된 LED(3)사이의 갭들을 채우는 실리콘 경화 제품(4)을 노출시킨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충전제/접착제는 공기 산화-경화성 불포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축합반응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탈알콜화, 탈옥심화, 아세트산 제거, 탈아미드화, 아세톤 제거, 및 히드록실아민 제거는 축합반응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경화하기 위해 사용된 메카니즘으로서 제안된다. (A)공기 산화-경화성 불포화 화합물, (B)한 분자에 2개 이상의 규소원자-결합된 가수분해성 기 또는 실라놀기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그리고 (C)가교제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은 본 발명의 축합반응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의 바람직한 구체예이다.
상기한 성분(A)는 공기 산화-경화성 불포화 화합물이고, 상기한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얻어진 경화 제품에 충분한 무광택 마무리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성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성분(A)는 분위기 산소에 의해 분자내에 불포화 결합의 산화를 통해 경화하고 한 분자에 2개 이상의 지방족 불포화 탄소-탄소 결합을 갖는 화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그것은 불포화 고급 지방산, 불포화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불포화 탄화수소, 및 그것들의 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한가지 이상의 화합물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리놀레산, 리놀렌산, 리놀산, 및 다른 불포화 고급지방산; 유동기름, 아마인유, 대두유, 등과 같은 글리세린과 불포화 고급지방산의 에스테르로 구성되는 오일; 리놀렌산메틸, 리놀산메틸,등과 같은 알콜과 불포화 고급지방산의 에스테르; 부타디엔, 1,3-펜타디엔, 1,4-펜타디엔, 1,3-헥사디엔, 1,4-헥사디엔, 1,5-헥사디엔, 1,3,5-헥사트리엔, 및 다른 선형 불포화 탄화수소 화합물; 1,3,-시클로펜타디엔, 1,4-시클로펜타디엔, 1,3-시클로헥사디엔, 1,4-시클로헥사디엔, 1,5-시클로헥사디엔, 1,3-시클로헵타디엔, 1,4-시클로헵타디엔,1,5-시클로헵타디엔, 1,3,5-시클로헵타트리엔, 1,3,6-시클로헵타트리엔, 및 다른 환식 불포화 탄화수소 화합물; 그것들의 중합체; 또는 상기화합물들의 두가지 이상의 혼합물이 예로서 제안되며, 리놀레산, 리놀산, 유동기름, 아마인유, 대두유, 리놀렌산메틸, 리놀산메틸, 부타디엔, 펜타디엔, 헥사다엔, 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헥사디엔, 시클로헵타트리엔, 또는 상기한 화합물의 두가지 이상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 리놀레산, 리놀산, 유동기름, 아마인유, 대두유, 리놀렌산메틸, 리놀산메틸, 부타디엔, 펜타디엔, 1,3-헥사다엔, 시클로펜타디엔, 1,3-시클로헥사디엔, 1,3,5-시클로헵타트리엔, 또는 상기한 화합물의 두가지 이상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한 조성물에서 성분(A)의 함량은 0.01wt% 내지 30wt%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05wt% 내지 20wt%의 범위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1wt% 내지 10wt%의 범위이다. 만약 성분(A)의 함량이 상기한 범위의 하한 미만이라면, 결과된 경화 제품에 충분한 무광택 마무리를 부여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만약 그것이 상기한 범위의 상한을 초과한다면 결과된 경화 제품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음을 주목해야한다.
상기한 성분(B)는 한 분자에 2개 이상의 규소원자-결합된 가수분해성 기 또는 실라놀기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이다. 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및 다른 알콕시기; 비닐옥시 및 다른 알켄옥시기; 메톡시에톡시, 에톡시에톡시, 메톡시프로폭시, 및 다른 알콕시알콕시기; 아세톡시, 옥타노일옥시, 및 다른 아실옥시기; 디메틸케톡심, 메틸에틸케톡심, 다른 케톡심기; 이소프로페닐옥시, 1-에틸-2-메틸비닐옥시 및 다른 알케닐옥시기;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부틸아미노, 및 다른 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녹시, 및 다른 아미녹시기, 및 다른 아미녹시기; N-메틸아세타미드, N-에틸아세타미드, 및 다른 아미드기들이 규소원자-결합된 가수분해성 기로서 제안된다. 게다가,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다른 알킬기;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및 다른 시클로알킬기; 비닐, 알릴, 및 다른 알케닐기; 페닐, 나프틸, 및 다른 아릴기; 2-페닐에틸 및 다른 아랄킬기; 그리고 상기 기들에서 수소원자의 일부 또는 모두를 할로겐원자로 치환함으로써 얻어진 기들이 화합물(B)에서 규소원자-결합된 가수분해성 기 및 실라놀기이외의 규소원자-결합된 기로서 제안된다.
성분(B)의 분자구조는, 예를 들면, 선형, 부분분지를 갖는 선형, 분지된, 환식, 및 수지성 구조물이 될 수 있고, 선형 구조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게다가, 성분(B)의 점도에 관한 제한은 없으나, 25℃에서 20 mPa·s 내지 100,000 mPa·s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00 mPa·s 내지 100,000 mPa·s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25℃에서의 점도가 상기한 범위의 하한 미만이라면, 결과된 경화 제품의 물리적 특성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고, 반면에 그것이 상기한 범위의 상한을 초과한다면, 결과된 조성물의 취급성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한 가교제, 성분(C)는 상기한 조성물을 경화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그것은 또한 상기한 조성물이 1-용액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일 때 조성물의 보관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 성분이다. 일반식: RaSiX4-a로 표시된 실란화합물 또는 그것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 생성물이 성분(C)의 이러한 가교제의 예로서 제안된다. 상기 식에서 R은 1가의 탄화수소기, 에폭시-관능성 1가 유기기, 및 아크릴 관능성 1가 유기기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이고,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옥타데실, 및 다른 알킬기,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및 다른 시클로알킬기, 비닐, 알릴, 및 다른 알케닐기, 페닐, 톨릴, 크실릴, 나프틸, 및 다른 아릴기, 벤질, 펜에틸, 페닐프로필, 및 다른 아랄킬기, 3-클로로프로필,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및 다른 할로겐화 알킬기가 R로 표시되는 1가 탄화수소기의 예로서 제안되며; 4-옥실아닐부틸, 8-옥실아닐옥틸, 및 다른 옥실아닐알킬기, 3-글리시독시프로필, 4-글리시독시부틸, 및 다른 글리시독시알킬기, 및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이 R로 표시되는 에폭시-관능성 1가 유기기의 예로서 제안되며; 더나아가서, 3-메타크릴옥시프로필 및 4-메타크릴옥시부틸이 R로 표시되는 아크릴-관능성 1가 유기기의 예로서 제안된다. 게다가, 상기식에서, 하첨자 a는 0, 1, 또는 2가 될 수 있고, 1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에서 X는 규소원자-결합된 가수분해성 기를 나타내고,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또는 또다른 알콕시기, 메톡시에톡시, 에톡시에톡시, 메톡시프로폭시, 또는 또다른 알콕시알콕시기, 아세톡시, 옥타노일옥시, 또는 또다른 아실옥시기, 디메틸케톡심, 메틸에틸케톡심, 또는 또다른 케톡심; 이소프로페닐옥시, 1-에틸-2-메틸비닐옥시, 또는 또다른 알케닐옥시기;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부틸아미노, 또는 또다른 아미노기, 이메틸아미녹시, 디에틸아미녹시, 또는 또다른 아미녹시기, 및 N-메틸 아세타미드, N-에틸 아세타미드, 또는 또다른 아미드기가 그 예들로서 제안된다. 게다가, 성분(C)의 규소원자-결합된 가수분해성 기 X는 바람직하게는 같고, 또는 상기한 성분(B)의 규소원자-결합된 가수분해성 기와 같은 유형에 속한다.
상기한 조성물에서, 성분(C)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B)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내지 20중량부의 범위내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B)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의 범위내이다. 이것은 성분(C)의 함량이 상기한 범위의 하한 미만이면 결과된 조성물의 보관안정성이 감소하고, 그것의 접착성은 또한 감소하는 경향이 있고, 반면에, 그것의 함량이 상기한 범위의 상한을 초과한다면 결과된 조성물의 경화가 현저히 느려지는 경향이 있다.
축합반응을 촉진하는 촉매가 선택적 성분으로서 이러한 축합반응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축합반응 촉매의 선택은 상기한 성분(C)의 유형에 의존하나, 예를 들면, 조성물이 아미녹시, 아미노, 케톡심기등을 갖는 가교제를 함유할때, 그것은 요구되지 않는다.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및 다른 유기 티타네이트, 디이소프로폭시비스(아세틸아세테이트) 티타늄, 디이소프로폭시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티타늄, 및 다른 킬레이트된 오르가노티타늄 화합물, 알루미늄 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알루미늄 트리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및 다른 오르가노알루미늄 화합물, 지르코늄 테트라(아세틸아세토네이트), 지르코늄 테트라부틸레이트, 및 다른 오르가노지르코늄 화합물, 디부틸틴 디옥타노에이트,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부틸틴-2-에틸헥사노에이트 및 다른 오르가노틴 화합물, 나프텐산 제1주석, 올레산 제1주석, 부탄산 제1주석, 나프텐산 코발트, 스테아르산 아연, 및 유기 카르복실산의 다른 금속염, 헥실아민, 도데실아민 인산염, 및 다른 아민 화합물, 뿐만아니라, 그것들의 염, 벤질트리에틸암모늄 아세테이트, 및 다른 4차 암모늄염, 아세트산칼륨, 질산리튬, 및 알칼리금속의 다른 저급 지방산염, 디메틸히드록실아민, 디에틸히드록실아민, 및 다른 디알킬히드록실아민, 구아니딜-함유 오르가노실리콘 화합물, 등이 이러한 축합반응 촉매의 예들로서 제안된다.
더나아가서, 다른 선택적인 성분들, 예를 들면, 퓸드 실리카, 습윤 실리카 미세분말, 석영 미세분말, 탄산칼슘 미세분말, 탄산마그네슘 미세분말, 산화철, 이산화티탄 미세분말, 규조토 미세분말, 산화알루미늄 미세분말, 수산화 알루미늄 미세분말, 산화아연 미세분말, 탄산아연 미세분말, 및 다른 무기충전제; 상기한 무기충전제를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및 다른 오르가노알콕시실란으로 표면처리함으로써 얻어진 소수성 무기충전제; 트리메틸클로로실란 및 다른 오르가노할로실란; 헥사메틸디실라잔 및 다른 오르가노실라잔, 히드록시-말단 디메틸실록산 올리고머, 히드록시-말단 메틸페닐실록산 올리고머, 히드록시-말단 메틸비닐실록산 올리고머, 및 다른 실록산 올리고머; 톨루엔, 크실렌,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헥산, 헵탄, 및 다른 유기용매; 트리메틸실록시-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트리메틸실록시-말단 폴리메틸페닐실록산, 및 다른 비가교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카본블랙, 적산화철, 및 다른 안료; 그리고 상기한 것들에 더하여, 방염성-부여제, 내열성-부여제, 감광제, 중합억제제, 산화방지제, 내부이형제, 가소제, 요변성-부여제, 접착 촉진제, 및 살진균제들이 상기한 조성물과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충전제/접착제는 축합반응을 통하여 경화함으로써 우수한 무광택 마무리를 지니는 경화 제품을 형성할 수 있고, 경화 제품이 열팽창 및 수축으로 인한 균열을 쉽게 당하지 않으며, 긁힘에 저항적이기 때문에, 그것들을 겔 또는 고무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무형태가 특히 바람직하다. 게다가, 조성물의 색이 흑색이어야 하는데 이것은 외부로부터 입사광의 불정반사를 최소화하고 얻어진 디스플레이 장치의 우수한 가시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프레임과 같은 패키지에서 다수의 LED를 기판위에 장착하여 기판을 배치하고 이어서 상기 LED를 방수처리하고 그것들을 진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상기 충전제/접착제로 상기 LED를 밀봉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조성물을 실온에서 방치하는 것이 허용되는 방법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충전제/접착제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으로서 제안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충전제/접착제는 상기 충전제/접착제의 경화 제품이 디스플레이 섹션에서 노출될지라도 외부로부터 입사한 빛에서 디스플레이 요소의 향상된 가시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신호장치, 교통통제신호, 또는 광고 디스플레이 판 등과 같은 옥외에서 사용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용 충전제/접착제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충전제/접착제를 다음의 실시예를 들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점도"는 25℃에서 얻어진 값을 말하고, "광택도"는 60°의 광원 입사각과 60°의 광 수용각에서 측정한 바, 60-도 거울표면 광택도 Gs(60°)를 말하고, 경화 실리콘 제품의 표면 끈적임은 손가락으로 압력을 가한 후 지문 전이의 존재/부재에 의해 평가된다.
실시예1
15,000mPa·s의 점도를 갖는 트리메톡시실록시-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100중량부, BET법에 의해 측정된 바 200㎡/g의 비표면적을 갖고 헥사메틸디실라잔으로 표면처리된 퓸드 실리카 10중량부, 그리고 카본블랙 5중량부를 균질하게 혼합하고, 이어서 디이소프로폭시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티타늄 2 중량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2중량부, 그리고 유동기름 2중량부를 혼합함으로써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25℃의 온도와 55%의 습도에서 공기중 한 주간 방치해 둠으로써 그것을 경화함으로써 얻은 실리콘 고무의 60-도 거울표면 광택도 Gs(60°)는 0%이었다.
다음에, 프레임상의 매트릭스의 형태로 LED가 장착된 기판이 배치된 후, 상기한 실리콘 고무조성물은 갭들을 충전하기위해 사용되었고 따라서 LED를 노출되도록 두었다.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25℃의 온도와 55%의 습도에서 공기중 한 주간 방치해 둠으로써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경화함으로써 제조되었다. 햇빛이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을 조명하고 있을 때, LED 중 일부는 스크린에 의한 햇빛의 정반사의 방향으로부터 스크린을 보았을 때 밝혀져 있었고 밝혀진 LED와 밝혀지지 않은 LED의 가시성은 우수하였다.
실시예2
유동기름의 대신에 리놀렌산메틸 0.5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경화함으로써 얻은 실리콘 고무의 60-도 거울표면 광택도 Gs(60°)는 0%이었다.
다음에, 실시예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였다. 햇빛이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을 조명하고 있을 때, LED 중 일부는 스크린에 의한 햇빛의 정반사의 방향으로부터 스크린을 보았을 때 밝혀져 있었고 밝혀진 LED와 밝혀지지 않은 LED의 가시성은 우수하였다.
실시예3
15,000mPa·s의 점도를 갖는 실라놀-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100중량부, 200㎡/g의 비표면적을 갖고 헥사메틸디실라잔으로 표면처리된 퓸드 실리카 10중량부, 그리고 카본블랙 5중량부를 균질하게 혼합하고, 이어서 디라우르산 디부틸틴 0.5 중량부, 메틸트리(메틸에틸케톡심)실란 15중량부, 그리고 1,3-헥사디엔 0.5중량부를 혼합함으로써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경화함으로써 얻은 실리콘 고무의 60-도 거울표면 광택도 Gs(60°)는 0%이었다; 게다가, 실리콘 고무의 표면에 지문의 전이가 없었고 그것의 끈적임은 적었다.
다음에, 실시예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였다. 햇빛이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을 조명하고 있을 때, LED 중 일부는 스크린에 의한 햇빛의 정반사의 방향으로부터 스크린을 보았을 때 밝혀져 있었고 밝혀진 LED와 밝혀지지 않은 LED의 가시성은 우수하였다.
비교예1
실시예1에서와 같은 유동기름은 첨가하지 않고, 실시예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경화함으로써 얻은 실리콘 고무의 60-도 거울표면 광택도 Gs(60°)는 60%이었다.
다음에, 실시예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였다. 햇빛이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을 조명하고 있을 때, LED 중 일부는 스크린에 의한 햇빛의 정반사의 방향으로부터 스크린을 보았을 때 밝혀져 있었고, 밝혀진 LED와 밝혀지지 않은 LED간의 콘트라스트는 예리하지 않았고, 가시성은 불량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충전제/접착제는 충전제/접착제의 경화 제품이 디스플레이 섹션에서 노출되도록 하고, 축합반응을 통하여 경화함으로써 우수한 무광택 마무리를 지니는 경화 제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시성을 개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4
15,000mPa·s의 점도를 갖는 트리메톡시실록시-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100중량부, 200㎡/g의 비표면적을 갖고 헥사메틸디실라잔으로 표면처리된 퓸드 실리카 10중량부, 그리고 카본블랙 5중량부를 균질하게 혼합하고, 이어서 디이소프로폭시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티타늄 2중량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2중량부, 그리고 리놀렌산 0.5중량부를 혼합함으로써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에,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25℃의 온도와 55%RH의 습도에서 공기중 한 주간 방치해 두었다. 결과된 실리콘 고무의 60-도 거울표면 광택도 Gs(60°)는 0%이었다; 게다가, 실리콘 고무의 표면에 지문의 전이가 없었고 그것의 끈적임은 적었다.
비교예2
유동기름은 첨가하지 않고, 실시예4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실시예4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경화하였다. 결과된 실리콘 고무의 60-도 거울표면 광택도 Gs(60°)는 60%이었고, 게다가, 실리콘 고무의 표면에 지문의 전이가 있었고 표면은 상당한 끈적임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은 축합반응을 통하여 경화함으로써 적은 표면 끈적임을 갖는 무광택 마무리된 경화 제품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에 장착된 각각의 LED(3)간의 갭들과 이들 LED(3)와 프레임(1)간의 갭들을 채우는 실리콘 경화 제품(4)이 노출된다; 그러나, 이 실리콘 경화 제품의 60-도 거울표면 광택도 Gs(60°)는 20%이하이고; 밝혀진 LED 대 밝혀지지 않은 LED의 시각 인식 특성은 빛이 외부로부터 입사될 때에도 우수하다. 열팽창 및 수축으로 말미암는 균열에 저항성이고 또한 긁힘에도 저항성인 물질을 얻기 위하여, 상기한 실리콘 경화 제품은 겔 형태 또는 고무 형태 제품이고, 고무 형태 제품이 특히 바람직하다. 더나아가서, 외부로부터 입사한 광의 랜덤한 반사가 거의 없고, 얻어진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각 인식 특성이 우수하다면, 상기한 실리콘 경화 제품의 색이 흑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각의 LED를 채우는 경화 실리콘 제품은 공기-산화-경화성 불포화 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경화함으로써 형성된다. 공기-산화-경화성 불포화 기를 갖는 이 화합물은 상기한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경화함으로써 얻어지는 경화 실리콘 제품의 표면을 광택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성분이다. 공기-산화-경화성 불포화 기를 지니는 이러한 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공기에 함유된 산소에 의해 중합을 당하게 하는 분자내에 불포화 기를 갖는 화합물들이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들은 리놀레산, 리놀렌산, 리놀산과 같은 불포화 고급지방산, 유동기름, 아마인유 및 대두유와 같은 불포화 고급지방산과 글리세롤의 에스테르로 구성되는 지방 및 오일, 또한 이러한 화합물들을 변형시켜서 얻은 알킬 수지; 리놀렌산메틸 및 리놀산메틸과 같은 불포화 지방산과 알콜의 에스테르 화합물, 부타디엔, 펜타디엔 및 헥사디엔과 같은 분자내에 불포화기를 갖는 탄화수소 화합물, 또한 이러한 탄화수소 화합물의 중합체, 그리고 이러한 화합물에 의해 변형된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한다. 특히, 리놀렌산, 리놀렌산메틸, 유동기름 및 1,3-헥사다엔이 특히 바람직하다. 공기-산화-경화성 불포화 기를 갖는 이러한 화합물은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에 단독으로 첨가될 수도 있고, 또는 두가지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로서 첨가될 수도 있다. 이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에서, 상기한 공기-산화-경화성 불포화 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내 실리콘 성분 100 중량부당 0.01 내지 50중량부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1 내지 20중량부의 범위의 양이 훨씬 더 바람직하고, 0.1 내지 10중량부의 범위의 양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불포화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한 범위의 하한 미만이라면, 무광택성이 불충분하게 부여된 결과된 경화 실리콘 제품이 되는 경향이있다. 반면에, 만일 그 함량이 상기한 범위의 상한을 초과한다면, 결과되는 경화 실리콘 제품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의 경화 메카니즘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고; 사용될 수 있는 경화 메카니즘의 예들은 히드로실릴화 반응경화, 축합반응 경화, 자외선조사 경화, 유기과산화물 경화 및 이들 경화 메카니즘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히, 히드로실릴화 반응경화, 축합반응 경화, 또는 히드로실릴화 반응경화와 축합반응 경화의 조합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히드로실릴화 반응경화형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의 예들은 각 분자내에 규소원자에 결합된 2개 이상의 알케닐기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각 분자내에 규소원자에 결합된 2개 이상의 수소원자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및 히드로실릴화 반응촉매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서, 축합반응 경화형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의 예들은 탈-알콜형 조성물, 탈-아세트산형 조성물, 탈-케톤형 조성물 및 탈-아민형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물의 추가의 예들은 적어도 a) 각 분자내에 규소원자에 결합된 2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거나, 또는 규소원자에 결합된 2개 이상의 가수분해성 기(알콕시기, 알켄옥시기 또는 아세톡시기, 등)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b) 각 분자내에 규소원자에 결합된 2개 이상의 가수분해성 기(알콕시기, 알켄옥시기 또는 아세톡시기, 등)를 갖는 실란 화합물, 또는 이러한 화합물의 부분 가수분해된 축합물, 그리고 c) 축합반응 촉매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더나아가서, 상기한 히드로실릴화 반응경화형 및 축합반응 경화형의 조합인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의 예들은 적어도 a)각 분자내에 규소원자에 결합된 2개 이상의 알케닐기와 규소원자에 결합된 2개 이상의 가수분해성 기(알콕시기, 알켄옥시기 또는 아세톡시기, 등)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b) 각 분자내에 규소원자에 결합된 2개 이상의 수소원자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c) 히드로실릴화 반응 촉매, 그리고 d) 축합반응 촉매를 함유하는 조성물과, 적어도 a) 각 분자내에 규소원자에 결합된 2개 이상의 알케닐기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b) 각 분자내에 규소원자에 결합된 2개 이상의 가수분해성 기(알콕시기, 알켄옥시기 또는 아세톡시기, 등)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c) 각 분자내에 규소원자에 결합된 2개 이상의 수소원자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d) 히드로실릴화 반응 촉매, 그리고 e) 축합반응 촉매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더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서, 실시예들에서 표시된 점도값은 25℃에서 측정된 값이다. 더욱이, 실리콘 고무의 거울 표면 광택도는 60-도 거울표면 광택도 Gs(60°)로 표시하고, 여기서 광원의 입사각은 60°이고 광 수용각은 60°이다.
실시예5
2,000mPa·s의 점도를 갖는 디메틸비닐실록시-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100중량부, 헥사메틸디실라잔을 사용하여 표면을 소수성처리시킨 200㎡/g의 비표면적을 갖는 퓸드 실리카 10중량부, 카본블랙 5중량부, 트리메틸실록시-말단 디메틸실록산 -메틸히드로겐실록산 공중합체(디메틸실록산단위 대 메틸히드로겐실록산의 몰비=3:5) 2중량부, 유동기름 2중량부, 그리고 클로로플라틴산의 이소프로필알콜 용액(클로로플라틴산의 첨가량은 백금 금속의 양이 상기한 폴리디메틸실록산에 대해 0.001wt%이도록 조절되었다)를 혼합하여, 이와 같이 히드로실릴화 반응 경화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80℃에서 2시간동안 가열함으로써 경화시킨 다음 실온에서 한주간동안 방치해 두었을 때 얻어진 실리콘 고무의 60-도 거울표면 광택도 Gs(60°)는 0%이었다.
다음에, LED가 16×16 매트릭스로 장착된 기판을 프레임에 설치한 후, 이 프레임을 상기한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 채우고 LED를 노출시켰다. 이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80℃에서 2시간동안 가열함으로써 경화시킨 다음, 실온에서 한주간동안 방치해 두어서, 이와 같이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였다. 햇빛이 이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표면상에 입사되도록 하고, LED 중 일부가 밝혀진 한편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햇빛이 디스플레이 표면에 의해 정반사된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밝혀진 LED와 밝혀지지 않은 LED의 시각 인식 특성은 양호하였다.
실시예6
15,000mPa·s의 점도를 갖는 트리메톡시실록시-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100중량부, 헥사메틸디실라잔을 사용하여 표면을 소수성처리시킨 200㎡/g의 BET 비표면적을 갖는 퓸드 실리카 10중량부, 카본블랙 5중량부, 리놀렌산메틸 0.5중량부, 디이소프로폭시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티타늄 2중량부 및 메틸트리메톡시실란 2중량부를 혼합하여, 이와 같이 탈알콜 축합반응 경화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80℃에서 2시간동안 가열함으로써 경화시킨 다음 실온에서 한주간동안 방치해 두었을 때 얻어진 실리콘 고무의 60-도 거울표면 광택도 Gs(60°)는 0%이었다.
다음에, LED가 16×16 매트릭스로 장착된 기판을 프레임에 설치한 후, 이 프레임을 상기한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 채우고 LED를 노출시켰다. 이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80℃에서 2시간동안 가열함으로써 경화시킨 다음, 실온에서 한주간동안 방치해 두어서, 이와 같이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였다. 햇빛이 이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표면상에 입사되도록 하고, LED 중 일부가 밝혀진 한편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햇빛이 디스플레이 표면에 의해 정반사된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밝혀진 LED와 밝혀지지 않은 LED의 시각 인식 특성은 양호하였다.
비교예3
2,000mPa·s의 점도를 갖는 디메틸비닐실록시-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100중량부, 헥사메틸디실라잔을 사용하여 표면을 소수성처리시킨 200㎡/g의 비표면적을 갖는 퓸드 실리카 10중량부, 카본블랙 5중량부, 트리메틸실록시-말단 디메틸실록산-메틸히드로겐실록산 공중합체(디메틸실록산 단위 대 메틸히드로겐실록산 단위의 몰비=3:5), 그리고 클로로플라틴산의 이소프로필알콜 용액(클로로플라틴산의 첨가량은 백금 금속의 양이 상기한 폴리디메틸실록산에 대해 0.001wt%이도록 조절되었다)를 혼합하여, 이와 같이 히드로실릴화 반응 경화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80℃에서 2시간동안 가열함으로써 경화시킨 다음 실온에서 한주간동안 방치해 두었을 때 얻어진 실리콘 고무의 60-도 거울표면 광택도 Gs(60°)는 90%이었다.
다음에, LED가 16×16 매트릭스로 장착된 기판을 프레임에 설치한 후, 이 프레임을 상기한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 채우고 LED를 노출시켰다. 이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80℃에서 2시간동안 가열함으로써 경화시킨 다음, 실온에서 한주간동안 방치해 두어서, 이와 같이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였다. 햇빛이 이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표면상에 입사되도록 하고, LED 중 일부가 밝혀진 한편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햇빛이 디스플레이 표면에 의해 정반사된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밝혀진 LED와 밝혀지지 않은 LED간의 구별이 불분명하였고, 따라서 시각 인식 특성은 불량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a) 기판에 장착된 다수의 LED 간의 갭들이 경화 실리콘 제품(4)으로 채워진다는 사실과, b) 상기한 LED와 경화 실리콘 제품이 노출됨에도 불구하고, 밝혀진 LED 대 밝혀지지 않은 LED 의 시각 인식 특성은 빛이 외부로부터 입사될 때에도 우수하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24)

  1. (A) 한가지 이상의 공기 산화-경화성 불포화 화합물,
    (B) 한 분자에 2개 이상의 규소-결합된 가수분해성 기 또는 실라놀기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그리고
    (C)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A)는 불포화 고급 지방산, 불포화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불포화 탄화수소, 및 그것들의 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한가지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A)는 리놀레산, 리놀렌산, 리놀산, 유동기름, 아마인유, 대두유, 리놀렌산메틸, 리놀산메틸, 부타디엔, 펜타디엔, 1,3-헥사다엔, 시클로펜타디엔, 1,3-시클로헥사디엔, 1,3,5-시클로헵타트리엔,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B)는 알콕시기, 알케닐옥시기, 알콕시알콕시기, 아실옥시기, 케톡심기, 아미노기, 아미녹시기, 및 아미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C)는 식 RaSiX4-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성분(C)는 식 RaSiX4-a를 갖는 화합물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 생성물이고, 여기서 R은 1가의 탄화수소기, 에폭시-관능성 1가 유기기, 및 아크릴 관능성 1가 유기기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이고, a는 0, 1, 또는 2의 값을 가지며, X는 규소-결합된 가수분해성 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R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옥타데실,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비닐, 알릴, 페닐, 톨릴, 크실릴, 나프틸, 벤질, 펜에틸, 페닐프로필, 3-클로로프로필,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가 탄화수소기, 4-옥실아닐부틸, 8-옥실아닐옥틸, 3-글리시독시프로필, 4-글리시독시부틸, 및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에폭시-관능성 1가 유기기, 그리고 3-메타크릴옥시프로필 및 4-메타크릴옥시부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크릴-관능성 1가 유기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a는 1의 값을 가지며, X의 가수분해성 기는 알콕시기, 알콕시알콕시기, 케톡심기,알케닐옥시기, 아미노기, 아미녹시기, 및 아미드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3 항에 있어서, 성분(C)는 식 RaSiX4-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성분(C)는 식 RaSiX4-a를 갖는 화합물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 생성물이고, 여기서 R은 1가의 탄화수소기, 에폭시-관능성 1가 유기기, 및 아크릴 관능성 1가 유기기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이고, a는 0, 1, 또는 2의 값을 가지며, X는 규소-결합된 가수분해성 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R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옥타데실,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비닐, 알릴, 페닐, 톨릴, 크실릴, 나프틸, 벤질, 펜에틸, 페닐프로필, 3-클로로프로필,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가 탄화수소기, 4-옥실아닐부틸, 8-옥실아닐옥틸, 3-글리시독시프로필, 4-글리시독시부틸, 및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에폭시-관능성 1가 유기기, 그리고 3-메타크릴옥시프로필 및 4-메타크릴옥시부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크릴-관능성 1가 유기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a는 1의 값을 가지며, X의 가수분해성 기는 알콕시기, 알콕시알콕시기, 케톡심기,알케닐옥시기, 아미노기, 아미녹시기, 및 아미드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축합반응 촉매를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축합반응 촉매는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디이소프로폭시비스(아세틸아세테이트) 티타늄, 디이소프로폭시비스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티타늄, 알루미늄 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알루미늄 트리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지르코늄 테트라(아세틸아세토네이트), 지르코늄 테트라부틸레이트, 디부틸틴 디옥타노에이트,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부틸틴-2-에틸헥사노에이트, 나프텐산 제1주석, 올레산 제1주석, 부탄산 제1주석, 나프텐산 코발트, 스테아르산 아연, 헥실아민, 도데실아민 인산염, 벤질트리에틸암모늄 아세테이트, 아세트산칼륨, 질산리튬, 디메틸히드록실아민, 디에틸히드록실아민, 및 구아니딜-함유 오르가노실리콘 화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7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축합반응 촉매를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축합반응 촉매는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디이소프로폭시비스(아세틸아세테이트) 티타늄, 디이소프로폭시비스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티타늄, 알루미늄 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알루미늄 트리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지르코늄 테트라(아세틸아세토네이트), 지르코늄 테트라부틸레이트, 디부틸틴 디옥타노에이트,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부틸틴-2-에틸헥사노에이트, 나프텐산 제1주석, 올레산 제1주석, 부탄산 제1주석, 나프텐산 코발트, 스테아르산 아연, 헥실아민, 도데실아민 인산염, 벤질트리에틸암모늄 아세테이트, 아세트산칼륨, 질산리튬, 디메틸히드록실아민, 디에틸히드록실아민, 및 구아니딜-함유 오르가노실리콘 화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퓸드 실리카, 습윤 실리카 미세분말, 석영 미세분말, 탄산칼슘 미세분말, 탄산마그네슘 미세분말, 산화철, 이산화티탄 미세분말, 규조토 미세분말, 산화알루미늄 미세분말, 수산화 알루미늄 미세분말, 산화아연 미세분말, 탄산아연 미세분말, 소수성 무기충전제, 헥사메틸디실라잔, 히드록시-말단 디메틸실록산 올리고머, 히드록시-말단 메틸페닐실록산 올리고머,히드록시-말단 메틸비닐실록산 올리고머, 톨루엔, 크실렌,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헥산, 헵탄, 트리메틸실록시-말단 폴리메틸페닐실록산, 카본블랙, 적산화철, 방염성-부여제, 내열성-부여제, 감광제, 중합억제제, 산화방지제, 내부이형제, 가소제, 요변성-부여제, 접착 촉진제, 및 살진균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가지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 7 항에 있어서, 퓸드 실리카, 습윤 실리카 미세분말, 석영 미세분말, 탄산칼슘 미세분말, 탄산마그네슘 미세분말, 산화철, 이산화티탄 미세분말, 규조토 미세분말, 산화알루미늄 미세분말, 수산화 알루미늄 미세분말, 산화아연 미세분말, 탄산아연 미세분말, 소수성 무기충전제, 헥사메틸디실라잔, 히드록시-말단 디메틸실록산 올리고머, 히드록시-말단 메틸페닐실록산 올리고머,히드록시-말단 메틸비닐실록산 올리고머, 톨루엔, 크실렌,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헥산, 헵탄, 트리메틸실록시-말단 폴리메틸페닐실록산, 카본블랙, 적산화철, 방염성-부여제, 내열성-부여제, 감광제, 중합억제제, 산화방지제, 내부이형제, 가소제, 요변성-부여제, 접착 촉진제, 및 살진균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가지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 9 항에 있어서, 퓸드 실리카, 습윤 실리카 미세분말, 석영 미세분말, 탄산칼슘 미세분말, 탄산마그네슘 미세분말, 산화철, 이산화티탄 미세분말, 규조토 미세분말, 산화알루미늄 미세분말, 수산화 알루미늄 미세분말, 산화아연 미세분말, 탄산아연 미세분말, 소수성 무기충전제, 헥사메틸디실라잔, 히드록시-말단 디메틸실록산 올리고머, 히드록시-말단 메틸페닐실록산 올리고머,히드록시-말단 메틸비닐실록산 올리고머, 톨루엔, 크실렌,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헥산, 헵탄, 트리메틸실록시-말단 폴리메틸페닐실록산, 카본블랙, 적산화철, 방염성-부여제, 내열성-부여제, 감광제, 중합억제제, 산화방지제, 내부이형제, 가소제, 요변성-부여제, 접착 촉진제, 및 살진균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가지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 11 항에 있어서, 퓸드 실리카, 습윤 실리카 미세분말, 석영 미세분말, 탄산칼슘 미세분말, 탄산마그네슘 미세분말, 산화철, 이산화티탄 미세분말, 규조토 미세분말, 산화알루미늄 미세분말, 수산화 알루미늄 미세분말, 산화아연 미세분말, 탄산아연 미세분말, 소수성 무기충전제, 헥사메틸디실라잔, 히드록시-말단 디메틸실록산 올리고머, 히드록시-말단 메틸페닐실록산 올리고머,히드록시-말단 메틸비닐실록산 올리고머, 톨루엔, 크실렌,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헥산, 헵탄, 트리메틸실록시-말단 폴리메틸페닐실록산, 카본블랙, 적산화철, 방염성-부여제, 내열성-부여제, 감광제, 중합억제제, 산화방지제, 내부이형제, 가소제, 요변성-부여제, 접착 촉진제, 및 살진균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가지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 12 항에 있어서, 퓸드 실리카, 습윤 실리카 미세분말, 석영 미세분말, 탄산칼슘 미세분말, 탄산마그네슘 미세분말, 산화철, 이산화티탄 미세분말, 규조토 미세분말, 산화알루미늄 미세분말, 수산화 알루미늄 미세분말, 산화아연 미세분말, 탄산아연 미세분말, 소수성 무기충전제, 헥사메틸디실라잔, 히드록시-말단 디메틸실록산 올리고머, 히드록시-말단 메틸페닐실록산 올리고머,히드록시-말단 메틸비닐실록산 올리고머, 톨루엔, 크실렌,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헥산, 헵탄, 트리메틸실록시-말단 폴리메틸페닐실록산, 카본블랙, 적산화철, 방염성-부여제, 내열성-부여제, 감광제, 중합억제제, 산화방지제, 내부이형제, 가소제, 요변성-부여제, 접착 촉진제, 및 살진균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가지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I) (A) 한가지 이상의 공기 산화-경화성 불포화 화합물,
    (B) 한 분자에 2개 이상의 규소-결합된 가수분해성 기 또는 실라놀기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C) 가교제; 그리고
    (D) 선택적으로 축합촉매를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의 제조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A)는 리놀레산, 리놀렌산, 리놀산, 유동기름, 아마인유, 대두유, 리놀렌산메틸, 리놀산메틸, 부타디엔, 펜타디엔, 1,3-헥사다엔, 시클로펜타디엔, 1,3-시클로헥사디엔, 1,3,5-시클로헵타트리엔,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제 18 항에 있어서, 퓸드 실리카, 습윤 실리카 미세분말, 석영 미세분말, 탄산칼슘 미세분말, 탄산마그네슘 미세분말, 산화철, 이산화티탄 미세분말, 규조토 미세분말, 산화알루미늄 미세분말, 수산화 알루미늄 미세분말, 산화아연 미세분말, 탄산아연 미세분말, 소수성 무기충전제, 헥사메틸디실라잔, 히드록시-말단 디메틸실록산 올리고머, 히드록시-말단 메틸페닐실록산 올리고머,히드록시-말단 메틸비닐실록산 올리고머, 톨루엔, 크실렌,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헥산, 헵탄, 트리메틸실록시-말단 폴리메틸페닐실록산, 카본블랙, 적산화철, 방염성-부여제, 내열성-부여제, 감광제, 중합억제제, 산화방지제, 내부이형제, 가소제, 요변성-부여제, 접착 촉진제, 및 살진균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가지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1. 기판에 장착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는 그것들 사이에 갭을 가지며, 갭들은 경화 실리콘 제품으로 채워져 있고, 발광다이오드와 경화 실리콘 제품이 노출되며, 경화 실리콘 제품의 60-도 거울표면 광택도 Gs(60°)는 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장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기판은 프레임에 배치되고, 프레임과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는 그것들사이에 갭을 가지며, 갭들은 경화 실리콘 제품으로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경화 실리콘 제품은 히드로실화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축합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및 이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경화 실리콘 제품은 히드로실화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축합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및 이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0-0008195A 2000-02-21 2000-02-21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함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충전제/접착제 KR100415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195A KR100415125B1 (ko) 2000-02-21 2000-02-21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함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충전제/접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195A KR100415125B1 (ko) 2000-02-21 2000-02-21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함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충전제/접착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54418A Division KR100456742B1 (ko) 2003-08-06 2003-08-06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142A true KR20010025142A (ko) 2001-04-06
KR100415125B1 KR100415125B1 (ko) 2004-01-14

Family

ID=37527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195A KR100415125B1 (ko) 2000-02-21 2000-02-21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함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충전제/접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1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864B1 (ko) * 2001-11-15 2004-03-04 한국화학연구원 신규 가교제와 이를 함유하는 가교형 고체 고분자 전해질
WO2017073883A1 (ko) * 2015-10-27 2017-05-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실리콘 점착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294B1 (ko) * 2011-05-18 2012-07-2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점착부여수지,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8574A (en) * 1993-03-30 1994-08-16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a painted silicone elastom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864B1 (ko) * 2001-11-15 2004-03-04 한국화학연구원 신규 가교제와 이를 함유하는 가교형 고체 고분자 전해질
WO2017073883A1 (ko) * 2015-10-27 2017-05-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실리콘 점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5125B1 (ko) 2004-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85710B1 (en) Curable silicone composition
JP5686497B2 (ja) 光電子デバイス光透過表面の保護用シリコーン樹脂
KR101187594B1 (ko)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US10155852B2 (en) Silicone gel composition
TWI638858B (zh) 聚矽氧凝膠組合物及其用途
US9803062B2 (en) Heat resistant silicone rubber composition
KR101127301B1 (ko) 실온 경화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JPH0912892A (ja) 現場成形ガスケット用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
TWI752290B (zh)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接著劑及硬化物
JP6818167B2 (ja) 断熱構造物
CN111511841B (zh) 室温湿气固化型有机硅凝胶组合物及其固化物以及物品
JP6439601B2 (ja) 難燃性室温硬化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電子部品
KR20180024031A (ko) 실온-경화성 실리콘 고무 조성물, 그의 용도, 및 전자 장치의 수리 방법
US6268432B1 (en) Filler/adhesive agent for display units containing a curable silicone composition
KR100863450B1 (ko) 실온 경화성 실리콘 고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실란트
KR100415125B1 (ko)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함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충전제/접착제
JP3855041B2 (ja) 硬化性シリコーン組成物
JP7327212B2 (ja) 二成分型室温縮合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KR100456742B1 (ko)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JPH0625532A (ja) 室温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JP6915551B2 (ja) 難燃性室温硬化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電気又は電子部品並びに電気又は電子部品における耐熱接着性の向上方法
EP1127916B1 (en) Filler/adhesive agent for display units containing a curable silicone composition
JP2000129240A (ja) 表示装置用充填・接着剤
JPH07113082B2 (ja) 1包装型室温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JP2017031303A (ja) オルガノポリシルメチレンシロキサン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