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4976A - 물자운반장치 - Google Patents

물자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4976A
KR20010024976A KR1020007011923A KR20007011923A KR20010024976A KR 20010024976 A KR20010024976 A KR 20010024976A KR 1020007011923 A KR1020007011923 A KR 1020007011923A KR 20007011923 A KR20007011923 A KR 20007011923A KR 20010024976 A KR20010024976 A KR 20010024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arriage
material transport
intermediate structure
instrument support
transpor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리히 젠네보겐
Original Assignee
에리히 젠네보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리히 젠네보겐 filed Critical 에리히 젠네보겐
Publication of KR20010024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497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E02F3/4135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with grabs mounted directly on a b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54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pneumatic or hydraulic motors, e.g. for actuating jib-cranes on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4Slew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지장치(50), 선회식 링(45)에 의해 상기 착지장치에 직접 결합되고 에너지 공급장치(42) 및 균형추를 포함하며 또한 기구 지지부에 장착된 작업부(10)를 구비하는 상부 캐리지(40) 및 운전실(22)을 구비한 물자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부(10)를 장착한 기구 지지부(20)가 중간 구조물(30)에 의해 상부 캐리지(40)에 장착됨으로써 작업부(10)가 상기 상부 캐리지(40)로부터 상당히 이격되도록 물자운반장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자운반장치{MATERIAL-HANDLING MACHINE}
종래의 물자운반장치는 착지장치(undercarriage) 및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로 조립되는 데, 상부 캐리지 및 착지장치는 선회식 링(slewing ring)을 통해 상호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 캐리지는 균형추와 함께 작업부(working part)의 관절점(point of articulation), 운전실 및 에너지 공급장치(energy unit)를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붐(boom)의 다리가 상부 캐리지와 맞물리는 경우에, 또다른 작업부가 추가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및 다른 어떤 경우에는 상부 캐리지가 지면 위로 높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품이 운반 중에 상대적으로 큰 장애물, 예를 들어, 철도 캐리지 또는 선박의 측면 위로 들어 올려져야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크레인 작업자가 시야가 막힌 영역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크레인 운전실은 상부 캐리지 위에, 예를 들어,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독일공보 제3124303 A1호는 크레인 작업실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는 신축형 크레인(telescopic crane)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신축형 크레인은 종종 대지에서 사용되고, 특수한 설계 및 특히, 균형추가 붐 및 붐을 통해 상부 캐리지에 부가되는 무게와 균형을 유지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독일실용신안 제29718479 U1호는 부가적인 작업실을 구비한 크레인을 개시하고 있는 데, 지면으로부터 시야가 막힌 영역을 크레인 작업자가 볼 수 있도록 상기 작업실이 신축형 붐에 설치되어 있다. 부가적인 작업실은 직접 상부 캐리지 위에 장착되기 보다는 움직이는 붐 위에 장착된다. 그러나, 그것은 사용 중에 활모양의 운동 경로를 이루게 된다. 게다가, 크레인 작업실의 기울기를 부가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붐의 정밀한 움직임을 보상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또한, 대체로 장치의 운반 시에 부가적인 작업실은 제거되어야 한다.
전체 상부 캐리지가 중간 구조물에 의하여 착지장치 위로 높게 배열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운반 장치는 장치의 전체적인 무게 중심이 높게 위치하게 되는 데, 그것은 장치의 불안정성을 초래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에너지 공급장치가 동일하게 높게 위치하게 되고, 내연기관 또는 전기모터 및 유압식 펌프는 소음의 주된 원인이 되고, 이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소리의 전파를 초래한다. 게다가, 장치 작업자의 후방 시야는 상부 캐리지에 의하여 상당히 방해를 받는다. 더욱이, 장치의 설치, 유지 및 보수 역시 높이 때문에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공지 구조의 예는 미국특허공보 제3,545,633호에 개시되어 있는 데, 상기 특허에서는 착지장치에 컬럼이 구비되고 그 위에 에너지 공급장치 및 상기 장치 위에 선회식 링이 안치된다.
본 발명은 물자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회식 링을 통해 상호 결합되어 있는 상부 캐리지 및 착지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캐리지는 에너지 공급장치를 구비하며, 작업부 및 운전실을 구비한 물자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자운반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을 장애물 위로 들어 올릴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사용상태에 따른 우수한 적응성 및 직접적인 조립성에 특징이 있는 물자운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선회식 링을 통해 상호 결합되어 있는 상부 캐리지 및 착지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캐리지는 에너지 공급장치를 구비하며, 또한 작업부 및 운전실을 구비하는 물자운반장치에 있어서, 작업부가 중간 구조물을 통해 상부 캐리지로부터 이격된 기구 지지부(implement support)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적 및 설계적인 상부 캐리지의 분리 및 작업부의 장착이 제일 먼저 수행된다. 따라서, 기구 지지부가 상부 캐리지로부터 이격되어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무게 중심이 낮게 위치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장치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된다. 그와 동시에, 작업부가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게 되어 상품에 특히 접근이 용이하므로 큰 장애물 위로 상품을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구 지지부를 상부 캐리지로부터 설계적으로 분리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인 장치에 약간의 변경만을 가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물자운반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새로운 구성 부품은 소형으로 최소의 개수가 요구된다. 또한, 물자운반장치에 대해 종래의 작업부를 이용하여 더 넓은 영역에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또다른 이점은, 에너지 공급장치가 상부 캐리지에 장착되어 지면 위에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되므로 소음에 의한 파열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점이다.
더욱이, 이러한 장치에 쉽게 접근이 가능하므로 물자운반장치에 대한 임의의 설치, 보수, 연료공급 및 유지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은 특허청구범위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청구항 제 2 항에 따른 물자운반장치는 기구 지지부가 상부 캐리지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상기 기구 지지부가 상부 캐리지로부터 이격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모듈형 조립이 가능하므로 각각의 사용 상태에 대한 향상된 적응성을 갖게 된다. 특히, 실질적으로 필수적인 기구 지지부의 높이에 대한 용이한 조정은 중간 구조물을 통하여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에 필수적인 선회식 링 및 상부 캐리지에 직접 장착된 에너지 공급장치에 대하여 선로 등의 변경이 필요하지 않다.
청구항 제 3 항에 따른 본 발명은 중간 구조물이 파일론(pylon)형으로 설계된다. 상기 구성은 설계의 관점에서 낮은 경비를 갖는 특히 용이하고 정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성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청구항 제 4 항에 따른 본 발명은 운전실이 기구 지지부에 장착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장치 작업자의 후방 시야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 데, 이것은 상부 캐리지 없이 기구 지지부만이 접속되어 있고 그것은 상승된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청구항 제 5 항에 따른 본 발명은 중간 구조물 및 상부 캐리지 사이의 설치 수단이 기구 지지부 및 상부 캐리지 사이의 설치 수단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물자운반장치는 중간 구조물을 생략하여 일반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왜냐하면, 기구 지지부 또는 중간 구조물은 동일한 방식으로 상부 캐리지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청구항 제 6 항에 따른 본 발명은 높이가 유압식 수단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은 단계가 없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경제적이고 설계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수행된다. 특히, 이미 작업부에 유압식 펌프가 존재하고, 상기 펌프는 신축형 장치의 존재 여부에 불구하고 파일론형 중간 구조물의 높이 조정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전체 높이 조정 영역에 걸쳐 무게 중심의 양호한 분산이 있으므로 어떠한 위치에서든 사용이 가능하다. 더욱이, 물자운반장치는 용이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고, 작업부의 다리 및 운전실은 상대적으로 큰 장애물 위로 상품을 들어올릴 수 있고 작업부의 작업영역에 대한 관측이 용이하도록 기구 지지부에 의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함께 높이 조정이 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제 7 항에 따른 본 발명은 파일론형 중간 구조물이 신축형 장치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설계의 관점에서 용이한 방식으로 장치에 대한 높이 조정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청구항 제 8 항에 따른 본 발명은 다양한 길이의 중간 구조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교대로 또는 부가적으로 소정 길이의 중간 구조물을 선택함으로써 기구 지지부에 대한 높이 조절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 구조물은 그 안정하고 견고한 구조에 특징이 있고, 용이하고 특히 경제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청구항 제 9 항에 따른 본 발명은, 상부 캐리지가 착지장치에 상부 캐리지를 360°회전시킬 수 있도록 선회식 링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선회식 링의 회전축은 중간 구조물의 대칭축과 일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즉, 상부 캐리지는 장치가 선회식 링 주위로 회전하는 동안 안정된 위치에 있게 되고, 설비의 높이 조정 중에 기구 지지부에 의하여 발생되는 무게 중심의 변화가 작게 된다. 게다가, 상부 캐리지 위의 모든 모듈은 균형추로서 역할하고, 그에 따라 운반장치 전체의 안전성이 보장된다.
청구항 제 10 항에 따른 본 발명의 착지장치는 무한궤도 또는 바퀴를 구비하거나 또는 정지형으로 설계된다. 상기 구성으로 물자운반장치에 대한 정적인 사용뿐만 아니라 도로 또는 철도 위에서의 이동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중간 구조물이 단지 상부 캐리지 및 착지장치 사이의 결합에 약간의 영향을 미칠 뿐이므로 다른 종류의 착지장치의 사용이 가능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실린더를 통해 유압식으로 구동되는 굴착기인 물자운반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물자운반장치는 착지장치(50), 선회식 링(45)을 통해 착지장치에 커플링 되는 상부 캐리지(40), 기구 지지부(20) 및 작업부(10)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캐리지(40)는, 디젤 또는 전기적 부속 조립체인 에너지 공급장치(42), 제어장치, 탱크, 균형추 및 유압수단이 장착되는 기초 프레임을 포함한다. 기구 지지부(20)는 운전실(22) 및 작업부(10)용 관절점을 포함한다. 상부 캐리지(40) 및 기구 지지부(20)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견고한 파일론형 중간 구조물(30)이 상부 캐리지(40) 및 기구 지지부(2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이것은 운전실(22) 및 작업부(10)용 관절점이 모두 파일론형 중간 구조물(30)에 의하여 상부 캐리지(40)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나아가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작업부(10)의 붐(12)의 관절점, 및 붐(12)의 정밀한 운동을 제어하는 제1 유압 실린더(16)의 관절점 모두가 기구 지지부(20) 상에 위치한다. 또한, 작업부(10)는 제2 유압 실린더(19)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암(18)을 구비하고 있다. 기구(14)는,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파지수단(gripping means)으로서, 몸체로부터 이격된 암(18)의 단부에 설치된다.
파일론형 중간 구조물(30)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제작된 중공형 실린더로 설계되고, 외주에 위치하는 상부 캐리지(40) 및 기구 지지부(20)의 기초 프레임에 나사 결합된다. 물자운반장치가 표준적인 장치로서 사용되도록 파일론형 중간 구조물(30)이 생략된다면, 기구 지지부(20)는 중간 구조물(30)에 사용된 설치 수단에 의해 상부 캐리지(40)의 기초 프레임에 설치된다.
작업부로의 유압은 바람직하게는 에너지 공급장치(42)로부터 유압관을 통해 공급되며, 상기 유압관은 파일론형 중간 구조물(30)의 중공 실린더 내부 또는 외부를 지나간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상이한 길이의 파일론형 중간 구조물(30)이 사용될 수 있고, 이로써 물자운반장치는 주어진 작업 조건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착지장치(50)는 무한궤도형 착지장치로 설계되고, 그것은 예를 들어, 무한궤도(52), 도로 또는 철도용 바퀴를 구비하거나 또는 정지형 착지장치가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물자운반장치의 각 구성부는 각각의 경우에 모듈형으로 제공되고, 탈착 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된다. 그래서, 선회식 링(45), 상부 캐리지(40), 중간 구조물(30) 및 기구 지지부(20)의 설치 및 제거가 가능하다. 이 경우에, 상이한 구조의 물자운반장치가 적용될 상황에 따라 실현될 수 있다. 결국, 착지장치-선회식 링-상부 캐리지-기구 지지부-설비 또는 붐을 구비한 상기 구조는, 기구 지지부가 직접 선회식 링에 장착되는 하나의 변형예로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더하여 본 발명의 내용의 범주 내에서 유사한 설계가 가능하다.
파일론형 중간 구조물(30)은, 신축형 장치 및/또는 유압 수단에 의해 단계적으로 또는 무단계 방식으로 높이 조절이 될 수 있다. 이것은 각 적용 상황에 따라 부하를 소망되는 높이로 운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중간 구조물은,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상부 캐리지 및/또는 유압 수단에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중간 구조물은 상부 캐리지 및 기구 지지부에 스크루(screw) 또는 볼트(bolt)로 즉, 탈착 가능하게 모듈형으로 결합될 수 있고, 작업부가 상부 캐리지 및/또는 지면 위로 상당히 이격되게 설치되기 위하여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것은 물자운반장치의 작업영역을 확대시키고, 경제적인 일반 구성부품 특히, 종래의 작업부가 개별적 구성부품 또는 소부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작업부가 단지 기구 지지부에 장착되고 운전실이 상부 캐리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자운반장치는, 에너지 공급장치를 구비한 상부 캐리지, 착지장치, 작업부 및 운전실로 구성되는 데, 작업부를 장착한 기구 지지부가 중간 구조물에 의하여 상부 캐리지에 설치됨으로써 작업부가 지면으로부터 소망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물자운반장치에 장착되게 된다.
본 발명은 물자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회식 링을 통해 상호 결합되어 있는 상부 캐리지 및 착지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캐리지는 에너지 공급장치를 구비하며, 또한 작업부와 운전실을 구비하고 있는 물자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Claims (10)

  1. 선회식 링(45)을 통해 상호 결합되어 있는 상부 캐리지(40) 및 착지장치(50)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캐리지(40)는 에너지 공급장치(42)를 구비하며, 또한 작업부(10)와 운전실(22)을 구비하고 있는 물자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10)가 중간 구조물(30)을 통해 상부 캐리지(40)로부터 이격된 기구 지지부(20)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자운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지지부(20)가 상기 상부 캐리지(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자운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구조물(30)은 파일론형으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자운반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22)이 상기 기구 지지부(20)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자운반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구조물(30) 및 상기 상부 캐리지(40) 사이의 설치 수단이, 상기 기구 지지부(20) 및 상기 상부 캐리지(40) 사이의 설치 수단과 동일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자운반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높이가 유압식 수단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자운반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론형 중간 구조물(30)은 신축형 장치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자운반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양한 길이의 중간 구조물(30)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자운반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캐리지(40)는 상기 착지장치(50)에 상기 상부 캐리지(40)를 360°회전시킬 수 있도록 선회식 링(45)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선회식 링(45)의 회전축은 상기 중간 구조물(30)의 대칭축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자운반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지장치(50)는 무한궤도(52) 또는 바퀴를 구비하거나 또는 정지형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자운반장치.
KR1020007011923A 1999-03-03 2000-03-02 물자운반장치 KR200100249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09356.3 1999-03-03
DE19909356A DE19909356A1 (de) 1999-03-03 1999-03-03 Materialumschlaggerät
PCT/EP2000/001799 WO2000051930A1 (de) 1999-03-03 2000-03-02 Materialumschlaggerä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976A true KR20010024976A (ko) 2001-03-26

Family

ID=789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923A KR20010024976A (ko) 1999-03-03 2000-03-02 물자운반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075450A1 (ko)
KR (1) KR20010024976A (ko)
AU (1) AU3960300A (ko)
DE (1) DE19909356A1 (ko)
WO (1) WO20000519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277B1 (ko) * 2001-12-20 2008-01-23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의 회전링 발란스 보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88707A1 (de) 2000-09-18 2002-03-20 Karl Schaeff GmbH & Co. Maschinenfabrik Materialumschlaggerät
EP1245523A1 (de) * 2001-03-29 2002-10-02 Fuchs-Bagg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Modular aufgebautes Materialumschlaggerät und Sockelement für derartiges Materialumschlaggerät
DE10201673B4 (de) 2002-01-17 2008-04-17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Materialumschlaggerät
CN105174081A (zh) * 2015-10-21 2015-12-23 无锡港盛重型装备有限公司 一种轮胎起重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5633A (en) * 1969-04-09 1970-12-08 Beloit Corp Folding cab for truck-mounted loaders
US3868022A (en) * 1973-11-23 1975-02-25 Harnischfeger Corp Self-propelled heavy duty mobile crane
FR2484982A1 (fr) * 1980-06-23 1981-12-24 Braud & Faucheux Grue telescopique comportant une cabine de grutier a deux positions
US5215202A (en) * 1990-09-05 1993-06-01 Aichi Sharyo Co., Ltd. Mobile vehicular apparatus with aerial cabi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277B1 (ko) * 2001-12-20 2008-01-23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의 회전링 발란스 보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960300A (en) 2000-09-21
WO2000051930A1 (de) 2000-09-08
DE19909356A1 (de) 2000-09-14
EP1075450A1 (de) 2001-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8547B1 (en) Crane, especially a self-propelled crane
US5005714A (en) Crane, in particular a large mobile crane
US4846357A (en) Offshore station articulated boom maintenance unit
KR20010050406A (ko) 직선붐 공중작업 플랫폼용 수축가능한 평형추
JPH1087278A (ja) 自走クレーン
WO2006028579A1 (en) Vertical outrigger leg
JPH02182696A (ja) クレーン及びクレーンの吊り上げ能力を増大させる付属装置
SE421202B (sv) Mobil lyftkran
US5595313A (en) Crane, particularly a track-bound mobile crane
US4363409A (en)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KR20010024976A (ko) 물자운반장치
US7213716B2 (en) Crane
US4458780A (en) Mobile cranes or aerial lift platforms
KR20000011418A (ko) 이동식기중기
US3854606A (en) Vehicle with material loader
NZ334421A (en) Platform mountable on a vehicle comprising bracing to provide vertical stability to the upper end of a mast body extending from a base frame
JP2004001951A (ja) 運転室昇降機構を備えた作業機械
JPH0834600A (ja) 走行可能な作業壇のための取付け式クレーン
JPH05294600A (ja) 高所作業車のブーム支持構造
JP2019196239A (ja) カウンタウェイト位置変更装置及びクレーン
US20240076169A1 (en) Vehicle crane having a detachable attachment superstructure and method for rigging the same
JP6862056B2 (ja) 杭打機
RU2026259C1 (ru) Стреловой кран
RU2021969C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поворотный кран
WO1992004271A1 (en) C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