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277B1 - 크레인의 회전링 발란스 보상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회전링 발란스 보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277B1
KR100797277B1 KR1020010082118A KR20010082118A KR100797277B1 KR 100797277 B1 KR100797277 B1 KR 100797277B1 KR 1020010082118 A KR1020010082118 A KR 1020010082118A KR 20010082118 A KR20010082118 A KR 20010082118A KR 100797277 B1 KR100797277 B1 KR 100797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crane
compensation device
support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2204A (ko
Inventor
이정연
김기우
이광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2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277B1/ko
Publication of KR20030052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4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separate from jib
    • B66C23/76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separate from jib and movable to take account of variations of load or of variations of length of ji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50Applications of limit circuits or of limit-switch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 본체의 웨이트(WEIGHT)측이 회전링에 걸리는 하중을 발란스 보상장치에 의해 원활하게 분산시킴으로서, 회전시 발생하는 금속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설비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안정된 설비운전 위한 크레인의 회전링 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부본체(2)의 360°회전이 용이하도록 상부본체(2)에 부착되는 원형의 레일(10)과, 상기 레일(10)을 지탱하면서 상부본체(2)의 충격흡수 및 상,하 발란스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상장치(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상장치(20)는 판상의 받침판(26)의 상부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가이드(24)와; 상기 가이드(24)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대(22)와; 상기 가이드(24)에 결합되는 지지대(22)에 개재되어 상부본체(2)의 충격과 상하 발란스를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25)과; 상기 지지대(22)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판(23)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23)에 지지되며, 회전링(5)과 직접 접촉하는 로울러(21)와; 상기 가이드(24) 일측에 설치되어 스프링(25)의 완충작용을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27)와; 상기 리미트스위치(27)의 감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는 복수개의 실린더(28)로 구성된다.
크레인, 회전링, 발란스, 보상, 레일

Description

크레인의 회전링 발란스 보상장치{APPARATUS FOR MAINTAINING BALANCE OF A ROTATION RING IN A CRANE}
제 1도는 본 발명의 적용 장비인 크레인 설비를 도시한 개략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크레인 회전링 발란스 보상장치의 발란스 레일을 도시한 개략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크레인 회전링 발란스 보상장치의 발란스 레일과 보상장치를 구성하는 사시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크레인 회전링 발란스 보상장치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레인 2 ; 상부 본체
3 ; 하부 본체 4 ; 발란스웨이트(WEIGHT)
5 ; 회전링 10 ; 레일(RAIL)
20 ; 보상장치 21 ; 로울러
22 ; 지지대 23 ; 지지판
24 ; 가이드 25 ; 스프링
26 ; 받침판 27 ; 리미트스위치
28 ; 실린더
본 발명은 크레인의 상, 하부 본체사이에 갖추어지는 회전링의 발란스 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크레인 본체의 웨이트(WEIGHT)측이 회전링에 걸리는 하중을 발란스 보상장치에 의해 원활하게 분산시킴으로서, 회전시 발생하는 금속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설비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안정된 설비운전 위한 크레인의 회전링 발란스 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을 하역, 선적시키는 데 사용되는 크레인설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360°회전되는 상부본체(2)와,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본체(3) 및 상기 상, 하부본체(2)(3)사이를 연결하는 내,외륜 레이스로 구성된 회전링(5)으로 구성되는바, 크레인운전자는 상기 회전링(5)을 회전축으로하여 상부본체(2)를 자유자재로 회전조작하므로서 제품을 원하는 장소로 선적하거나 하역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크레인에서 상, 하부본체(2)(3)사이를 연결하여 회전축으로 사용되는 상기 회전링(5)은 중량물인 상부본체(2)의 기본하중과 제품을 선적하거나 하역시키는 제품의 중량에 의해서 피로하중이 쌓이게 되었다. 또한 제품을 놓고 난 후 에 발란스웨이트(4)의 집중적인 하중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상부본체(2)의 회전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회전링(5)의 내, 외륜레이스와 베어링부재의 마찰이 가중되어 사용수명을 단축시키게 되었다.
또, 부품의 파손 및 마모가 가속화됨에 따라, 설비의 구동이 갑자기 정지됨은 물론, 장시간 설비휴지로 인해 조업출하 업무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었으며, 이에따라 전량 수입품인 고가의 회전링(5)을 빈번하게 교체하게 됨으로 인해 설비유지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발생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본체와 하부본체 사이에 조립된 회전링이 360°회전할 때 발란스 웨이트측이 어느 위치에 집중적인 하중을 가하더라도 금속간의 마찰을 극소화시켜 회전링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크레인의 회전링 발란스를 보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크레인의 회전링 발란스 보상 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도는 본 발명의 크레인 회전링 발란스 보상장치의 발란스 레일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제 3도는 본 발명의 크레인 회전링 발란스 보상장치의 발란스 레일과 보상장치를 구성하는 사시도이고, 제 4도는 본 발명의 크레인 회전링 발란스 보상 장치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회전링 발란스 보상장치의 구성은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크게 상부본체(2)의 360°회전이 용이하도록 상부본체(2)에 부착되는 원형의 레일(10)과, 이 레일(10)이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보상장치(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본체(2)에 부착되는 원형의 레일(10)은 단면이 사각을 이루고 원주방향으로 회전이 일정하도록 원통형을 갖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보상장치(20)는 판상의 받침판(26)의 상부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가이드(24)와; 상기 가이드(24)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대(22)와; 상기 가이드(24)에 결합되는 지지대(22)에 개재되어 상부본체(2)의 충격과 상하 발란스를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25)과; 상기 지지대(22)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판(23)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23)에 지지되며, 회전링(5)과 직접 접촉하는 로울러(21)와; 상기 가이드(24) 일측에 설치되어 스프링(25)의 완충작용을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 (27)와; 상기 리미트스위치(27)의 감지에 의해 상, 하방향으로 작동하는 복수 개의 실린더(28)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크레인의 회전링 발란스 보상 장치(2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회전링 발란스 보상장치는 크레인의 상, 하부 본체(2)(3)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품을 선적하거나 하역할 때는 크레인의 발란스를 유지하기 위해 발란스웨이트(4)가 작용하여 어느 정도 평형을 이루도록 하게 된다.
그러나, 하중을 걸지 않고 무부하 회전할 때는 발란스웨이트(4)측이 집중하중을 작용시키게 되는 데, 운전자가 크레인의 상부본체(2)를 회전시키면 상부본체 (2)에 연결부착된 원형의 레일(10)은 이와 더불어 같이 회전되고, 그 레일(10)의 하단에 설치되는 보상장치(20)가 상부본체(2) 및 레일(10)을 지탱하면서 레일(10)의 평형을 유지하게 된다.
즉, 회전링(5)에 상부본체(2) 즉, 발란스웨이트(4)의 집중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회전링(5) 하단의 보상장치(20)가 작용하여 회전링(5)의 발란스를 보상하게 되는 데, 그 작용은 지지대(22) 및 지지판(23)에 지지되어 회전링(5)과 접촉하고 있는 로울러(21)가 지지대(22)에 개재되는 스프링(25)의 완충작용으로 내려앉으면서 리미트스위치(27)와 접촉하게되고, 이에 따라 리미트스위치(27)와 연결설치되는 복수 개의 실린더(28)가 보상장치(20)를 밀어올려 크레인의 상부 본체(2)의 평형상태를 유지시키게 되고, 크레인의 원활한 회전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크레인 운전시 제품을 선적하거나 하역시 선적하는 중량과 발란스웨이트가 맞지 않아 생기는 발란스 웨이트의 집중하중 작용으로 인해 운전중 회전링의 금속마찰이 심화되는 현상을 발란스 보상장치을 통하여 집중하중작용과 충격을 흡수토록 함으로서, 완만하게 평형을 유지토록 하여 회전링 구 성부품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하여 작업효율 향상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부본체(2)와,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본체(3) 및 상기 상, 하부본체(2)(3)사이를 연결하는 회전링(5)으로 이루어져, 제품을 하역, 선적시키는 데 사용되는 크레인에 있어서,
    상부본체(2)의 360°회전이 용이하도록 상부본체(2)에 부착되는 원형의 레일(10)과, 상기 레일(10)을 지탱하면서 상부본체(2)의 충격흡수 및 상,하 발란스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상장치(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회전링 발란스 보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장치(20)는 판상의 받침판(26)의 상부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가이드(24)와; 상기 가이드(24)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대(22)와; 상기 가이드(24)에 결합되는 지지대(22)에 개재되어 상부본체(2)의 충격과 상하 발란스를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25)과; 상기 지지대(22)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판(23)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23)에 지지되며, 회전링(5)과 직접 접촉하는 로울러(21)와; 상기 가이드(24) 일측에 설치되어 스프링(25)의 완충작용을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27)와; 상기 리미트스위치(27)의 감지에 의해 상, 하방향으로 작동하는 복수 개의 실린더(2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회전링 발란스 보상장치.
KR1020010082118A 2001-12-20 2001-12-20 크레인의 회전링 발란스 보상장치 KR100797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118A KR100797277B1 (ko) 2001-12-20 2001-12-20 크레인의 회전링 발란스 보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118A KR100797277B1 (ko) 2001-12-20 2001-12-20 크레인의 회전링 발란스 보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204A KR20030052204A (ko) 2003-06-26
KR100797277B1 true KR100797277B1 (ko) 2008-01-23

Family

ID=2957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118A KR100797277B1 (ko) 2001-12-20 2001-12-20 크레인의 회전링 발란스 보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2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627A (ko) * 1995-08-08 1997-03-27 송영철 벼 가마니 상차기
KR0132519B1 (ko) * 1995-06-19 1998-04-11 김태구 자동차배터리 운반장치
KR0113775Y1 (ko) * 1994-07-22 1998-04-14 이세준 지브 크레인(Jiv Crane)의 상승(Climbing)시 본체부 스토퍼(Stopper)장치
KR20010024976A (ko) * 1999-03-03 2001-03-26 에리히 젠네보겐 물자운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3775Y1 (ko) * 1994-07-22 1998-04-14 이세준 지브 크레인(Jiv Crane)의 상승(Climbing)시 본체부 스토퍼(Stopper)장치
KR0132519B1 (ko) * 1995-06-19 1998-04-11 김태구 자동차배터리 운반장치
KR970010627A (ko) * 1995-08-08 1997-03-27 송영철 벼 가마니 상차기
KR20010024976A (ko) * 1999-03-03 2001-03-26 에리히 젠네보겐 물자운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204A (ko) 200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8190A (ko) 롤링 베어링
US10526171B2 (en) Support unit for elevator installation
KR100797277B1 (ko) 크레인의 회전링 발란스 보상장치
WO1982000692A1 (en) Roller suspension
CN103359452A (zh) 链式输送机
CN102741431A (zh) 带有摆杆悬挂系统的可倾动的转炉
US7752698B2 (en) Carwash brush extension arm with roller bearings
CN103318791B (zh) 托绳张紧装置及具有其的起重机
CN210004753U (zh) 一种回转窑窑尾密封装置
US20140305717A1 (en) Track-supporting roller assembly for a crawler chassis
CN114044320B (zh) 一种防燃料篮抖动的垂直到位支撑架和燃料运输装置
CN216272831U (zh) 起重机回转转盘轴向稳定装置
RU2461510C1 (ru) Траверса для лесоматериалов
CN215861305U (zh) 一种回转支承用滚柱
KR101391552B1 (ko) 지게차의 자동조심 사이드롤러 설치구조
RU118299U1 (ru) Траверса для лесоматериалов
CN213355811U (zh) 一种抗冲击托辊支架
RU2303567C2 (ru) Кран
CN112173930B (zh) 一种用于室内施工升降机的一体式绳盘
KR100766540B1 (ko) 하역장비용 바퀴 고정장치
CN219262989U (zh) 推力圆柱滚子轴承保持架
KR200495940Y1 (ko) 중량물 이송 장비
KR102477309B1 (ko) 화물 상하차용 캐리어
WO2023137590A1 (en) Rolling device for inner casing part of gas turbine
CN213594877U (zh) 一种化学品存储桶用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